KR102040610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610B1
KR102040610B1 KR1020130060991A KR20130060991A KR102040610B1 KR 102040610 B1 KR102040610 B1 KR 102040610B1 KR 1020130060991 A KR1020130060991 A KR 1020130060991A KR 20130060991 A KR20130060991 A KR 20130060991A KR 102040610 B1 KR102040610 B1 KR 102040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content
display device
e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310A (ko
Inventor
배유진
고은희
이용범
김대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0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610B1/ko
Publication of KR2014014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7Communication with additional data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Content)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서버로부터 컨텐트와 상기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수신된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수신된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버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에 의해 특정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트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가 포함된 제1 서비스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서비스 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계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Content)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컨텐트는 컨텐트 타입(Type), 장르(Genre), 레이팅(Rating) 등급 등 다양한 컨텐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다양한 컨텐트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컨텐트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컴퓨터(Computer), 태블릿 PC, 노트북, 넷북, TV(Television), 기타 방송 수신 장치 등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컨텐트는, 예를 들어 음악, 영화,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 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트를 추천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감정 상태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감정 상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유저 목록을 출력하여, 사용자 사이에서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국가 및 날씨 데이터 등을 반영하여 컨텐트를 추천하기 위한 해결 방안 내지는 솔루션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서버로부터 컨텐트와 상기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수신된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수신된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버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에 의해 특정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트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가 포함된 제1 서비스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서비스 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제1 컨텐트 및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통신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와, 특정 신호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데이터 통신을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를 선택하는 신호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제2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설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트를 추천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감정 상태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감정 상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유저 목록을 출력하여, 사용자 사이에서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국가 및 날씨 데이터 등을 반영하여 컨텐트를 추천하기 위한 해결 방안 내지는 솔루션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감정 타입 및 감정 타입의 레벨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GUI를 출력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감정 타입 및 감정 타입의 레벨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GUI를 출력하는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감정 타입 및 감정 타입의 레벨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GUI를 출력하는 또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1 사용자의 감정 정보와 대응되는 감정정보가 기록된 제2 사용자 목록을 출력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소셜 네트워킹서비스 서버로부터 기기 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서비스 페이지를 생성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소셜 네트워킹서비스 서버로부터 기기 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서비스 페이지를 생성하는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소셜 네트워킹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GUI 형태로 표시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소셜 네트워킹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GUI 형태로 표시하는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컨텐트를이용하고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상기 특정 컨텐트와 함께 표시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사용자 사이에서 이루어 지는 컨텐트 추천 서비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사용자 사이에서 이루어 지는 컨텐트 추천 서비스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2 사용자 목록을 분류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TV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당해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와 리모컨(remocon)을 혼용하여 사용하지만,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한 의미로 해석함이 타당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 모듈(101), 복조부(1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04), 메모리(105), 제어부(106), 비디오 출력부(107), 오디오 출력부(108), 전원 공급부(109), 원격 제어 장치(110)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110)에 해당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이하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설명하며,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01)은, 예컨대 RF 튜너로 설계할 수도 있고 또는 STB 등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로 설계 가능하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01)은, 예를 들어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조부(102)는, 방송 수신 모듈(10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0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02)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0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04)는 외부 장치와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04)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STB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04)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06)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06)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04)는, 예를 들어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05)는, 제어부(106)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05)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04)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05)는, 예를 들어 다양한 OS, 미들웨어 및 플랫폼을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06)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06)로부터의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1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1)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11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06)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110)로 송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06)는, 방송 수신 모듈(101), 복조부(1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 다중화하거나, 역 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비디오 출력부(107)는, 제어부(106)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04)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비디오 출력부(107)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하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108)는, 제어부(106)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08)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09)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06)와, 영상 표시를 위한 비디오 출력부(107)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08)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부(206)는, 역다중화부(210), 영상처리부(220), OSD 생성부(240), 믹서(2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5) 그리고 포맷터(260)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역다중화부(2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 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 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20)는, 역 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디코더(221) 및 스케일러(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디코더(221)는, 역 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상기 스케일러(222)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비디오 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2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25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2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믹서(250)는, OSD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2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rter; FRC)(2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그리고, 포맷터(2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5)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비디오 출력부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상에, 리모트 컨트롤러(3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301)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10)를 좌우(도 3의 (b)), 상하(도 3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모트 컨트롤러(310)는,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301)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310)를 왼쪽으로 이동 시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포인터(301)도 왼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31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리모트 컨트롤러(3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로 전송된다.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리모트 컨트롤러(3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301)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301)를 표시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310)를 아래쪽으로 이동 시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포인터(301)도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310)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내 특정 영역을 신속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410)는, 무선통신부(414), 사용자 입력부(415), 센서부(417), 출력부(416), 전원공급부(411), 저장부(412), 그리고 제어부(413) 등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부(414)는 임의의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RF 모듈(414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하고, IR 모듈(414b)은 외부 전자 장치(430, 예를 들어 STB)와 적외선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로부터 수신한 IR 적외선 코드값을, STB(430)로 포워딩 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도록, 리모트 컨트롤러(410)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4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로,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14a)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4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14a)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41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14b)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1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417)는 자이로 센서(417a) 또는 가속도 센서(417b)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17a)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례로, 자이로 센서(417a)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17b)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16)는 사용자 입력부(41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416)는 사용자 입력부(41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14)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와 신호가 송수신 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16a),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16b),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16c),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16d)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11)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11)는 리모트 컨트롤러(41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저장부(412)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3)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13)는, 사용자 입력부(41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17)에서 센싱한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14)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 또는 STB(43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multimedia device)로 명명할 수도 있고, 도 4의 리모트 컨트롤러(410)내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또한, 본원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410)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410)을 이용하지 않고 터치 방식 등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5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모듈을 일부 추가하거나 변경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 1 내지 도 5 등에 기재된 요소들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컨트롤러(5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20), 메모리(530), 센서(540), 디스플레이 모듈(5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다만,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모듈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2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와 외부 서버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외부 서버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 및 컨텐트 타입, 장르, 레이팅 등급 등 컨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등에 해당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20)는, 일실시예로서 도 1에서 설명한 인터페이스부(170)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53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에 출력되는 컨텐트의 타입, 장르, 레이팅 등급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Data Base)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530)는, 일실시예로서 도 1에서 설명한 메모리(160)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센서(54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에서 특정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특정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510)에 전송한다. 상기 컨트롤러(510)는 상기 센서(540)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특정 신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메모리(550)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추출하여, 특정 컨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50)에 출력한다. 상기 센서(540)는, 일실시예로서 도 1에서 설명한 센싱부(140)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50)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컨텐트를 표시하도록 설계되며, 휴대폰,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 PC, 노트북, 넷북, TV, 그리고 기타 방송 수신 장치 등이 구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모듈, 화면 출력 장치 등에 해당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50)은, 일실시예로서 도 1에서 설명한 출력부(15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151)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10)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20), 메모리(530), 센서(540), 디스플레이 모듈(550) 등 도 5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들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컨트롤러(510)는, 상기 센서(540)에 의해 특정 신호가 감지되면,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메모리(530)에 저장된 컨텐트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가 포함된 제1 서비스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서비스 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50)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된 컨트롤러는, 센서에 의해 특정 신호가 감지되면,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트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가 포함된 제1 서비스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서비스 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서버로부터 컨텐트와 상기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서버는 컨텐트의 타입, 장르, 레이팅 등급 등 컨텐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서버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특정 데이터를 업로드(Upload)할 수 있는 서버에 해당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 나아가, 서비스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츠 내용에 따라, 제1 서비스 페이지, 제2 서비스 페이지, 제3 서비스 페이지 등이 각각 출력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는 제1 컨텐트(610) 및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630)을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을 통해 획득한 정보(640, 650)를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630)에 출력하고, 특정 신호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데이터 통신을 통해 획득한 정보(640, 650)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를 선택하는 신호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제2 컨텐트를 출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는 감정 공유 아이콘(620), 제1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아이콘(621), 제2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아이콘(622), 제3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아이콘(623) 등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저가 제1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아이콘(621), 제2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아이콘(622), 제3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아이콘(623) 등을 선택하면, 각각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감정 공유 아이콘(620)을 선택하면,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정보에 포함된 감정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는,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630)을 표시하고,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630)은 제1 사용자 정보(640) 및 제2 사용자 목록(65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정보(640) 및 제2 사용자 목록(650)은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최근 감정 정보, 상기 감정 정보가 업데이트 된 시간 등이 함께 표시되며, 상기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정보를 반영하여 업데이트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0)는, 제1 컨텐트(610) 및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630)을 함께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도록 설계하여 불필요한 프로세서를 제거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컨텐트(710) 및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730)을 함께 출력하며, 사용자는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730)에 포함된 피드 작성 아이콘(731)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피드 작성 아이콘(731)을 선택하면, 텍스트(Text)를 작성하는 화면 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입력하는 창(732)이 표시되며, 유저는 상기 텍스트(Text)를 작성하는 화면 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입력하는 창(732)을 통하여 특정 데이터를 상기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Upload)할 수 있다.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에 특정 데이터를 업로드 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는 상기 특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733)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733)를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730)에 표시한다. 상기 감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타입(Type) 및 상기 감정 타입의 레벨을 포함하며, 상기 감정 타입은 사랑, 행복, 놀람, 바람, 싫음, 두려움, 슬픔, 분노의 8가지 기본 감정 군 및 상기 기본 감정 군에 따른 33가지의 상세 감정으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감정 타입의 레벨은 사용자의 감정 크기 또는 정도를 판단하여, 전체 다섯 단계의 감정 레벨 중 특정 단계의 감정 레벨로 결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감정 타입 및 감정 타입의 레벨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GUI를 출력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사용자 정보(800)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800)는 사용자의 이름(810), 사용자의 감정 정보(820), 상기 감정 정보가 업데이트 된 시간(830)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정보(800)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타입 및 상기 감정 타입의 레벨을 결정하여, 도 8의 (a)에 도시된 것과 다른 GUI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름(810) 및 상기 감정 정보가 업데이트 된 시간(830)은 동일하게 표시되나, 사용자의 감정 정보(821)를 표시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감정 타입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복수 개 사용하여, 상기 감정 타입의 레벨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감정 정보(822)를 표시 하는 경우, 상기 감정 타입의 레벨이 다섯 단계로 구분되며, 현재 사용자의 감정 타입의 레벨이 몇 번째 단계에 해당함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GUI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감정 타입 및 감정 타입의 레벨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GUI를 출력하는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900)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는 감정 타입(910) 및 상기 감정 타입의 레벨(920)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감정 타입(910) 및 상기 감정 타입의 레벨(920)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가 포함된 제1 서비스 페이지(901)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서비스 페이지(901)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감정 타입 및 감정 타입의 레벨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GUI를 출력하는 또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1000)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는 감정 타입(1010) 및 상기 감정 타입의 레벨(1020)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감정 타입(1010) 및 상기 감정 타입의 레벨(1020)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사이트(1030)가 포함된 제2 서비스 페이지(1001)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서비스 페이지(1001)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서비스 페이지와 상기 제2 서비스페이지는 서로 다르고, 사용자의 감정 정보에 포함된 감정 타입의 레벨이 네 번째 레벨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와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사이트 컨텐트를 같이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감정 타입의 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서비스 페이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현재 감정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는 컨텐트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1 사용자의 감정 정보와 대응되는 감정정보가 기록된 제2 사용자 목록을 출력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는 제1 컨텐트(1110) 및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1130)을 함께 출력하고,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1130)은 제1 사용자 정보(1140) 및 제1 사용자가 아닌 제2 사용자 목록(1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사용자 정보(1140)는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에서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된다.
우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사용자 정보(1140)는 제1 사용자의 감정 정보(1141)을 포함하고, 분류 아이콘(1160)을 선택하는 신호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의 컨트롤러는 업데이트 순 아이콘(1161), 나와 같은 감정 순 아이콘(1162), 이름 순 아이콘(1163) 등의 아이콘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나와 같은 감정 순 아이콘(1162)을 선택하는 신호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기록된 제1 사용자의 감정 정보(1141)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감정 정보(1141)와 대응되는 감정 정보가 기록된 제2 사용자 목록(1150)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목록(1150)에 포함된 제2 사용자의 표시 순서는 업데이트된 순서를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제2 사용자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제1 사용자의 감정 정보와 대응되는 감정 정보는 기본 감정 군이 동일한 경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설계할 경우, 제1 사용자의 감정 정보와 대응되는 감정 정보가 기록된 제2 사용자 목록을 빠르게 찾을 수 있어, 다른 사용자와 감정 상태 및 상기 감정 상태에 기초한 컨텐트를 공유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활용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소셜 네트워킹서비스 서버로부터 기기 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서비스 페이지를 생성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0)는 제1 컨텐트(1210) 및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1230)을 함께 출력하고,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1230)은 제1 사용자 정보(1240) 및 제1 사용자가 아닌 제2 사용자 목록(12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사용자 정보(1240)는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0)에서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0)는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기기 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가 포함된 제3 서비스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3 서비스 페이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기기가 동작하는 위치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상기 위치에 대응되는 국가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정보(1240)는 제1 사용자의 감정 정보(1241)뿐만 아니라, 제1 사용자의 국가 정보(1242)도 포함하며, 상기 제2 사용자 목록(1250)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 내에도 국가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국가 정보는 다양한 GUI로서 표시되며, 자동적으로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일정 시간마다 업데이트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소셜 네트워킹서비스 서버로부터 기기 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서비스 페이지를 생성하는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 정보(1300)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의 감정 정보(1301) 및 사용자의 국가 정보(1302)를 함께 표시한다. 그리고,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1301) 및 사용자의 국가 정보(1302)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가 포함된 제3 서비스 페이지(1310)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3 서비스 페이지(1310)를 출력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감정 정보뿐만 아니라, 국가 정보까지 고려하여, 컨텐트를 추천하도록 설계하는 경우, 각 국가마다 다른 컨텐트를 이용하는 사용자 특성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컨텐트를 추천 받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소셜 네트워킹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GUI 형태로 표시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제2 서버가 소정 시간 동안 기록한 사용자의 감정 정보와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2 서버에 기록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GUI 형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서버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우선, 시간에 따라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1400)는 사용자 정보(1410), 사용자의 감정 정보가 기록된 시간(1420), 감정 통계(1430), 추천 컨텐트 목록(1440)을 포함한다. 상기 시간에 따라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가 소정 시간 동안 기록한 사용자의 감정 정보와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에 기록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GUI 형태로 표시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사용자 정보(1410)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모두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가 기록된 시간(1420)은, 디폴트(Default) 값으로 월 단위로 기록되며, 유저의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감정 통계(1430)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가 기록된 시간(1420) 동안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GUI 형태로 표시되며, 직선 그래프, 원형 그래프 등 다양한 GUI 형태로 표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추천 컨텐트 목록(1440)은 상기 감정 통계(1430)에 포함된 사용자 감정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추천하도록 설계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소셜 네트워킹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GUI 형태로 표시하는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시간에 따라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GUI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 상기 시간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컨텐트의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가 기록된 시간(1500)을 표시하면서, 상기 시간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컨텐트의 정보(1510)를 함께 표시한다. 상기 시간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컨텐트의 정보(1510)는 감정 정보가 기록된 날짜(1520), 상기 날짜에 기록된 감정 정보(1530), 상기 날짜에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컨텐트 정보(1540)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트 정보는 디폴트로 컨텐트 제목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컨텐트 제목을 선택하는 신호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컨텐트의 타입, 장르, 상기 컨텐트와 관련된 컨텐트 목록 등 다양한 정보들을 출력한다.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감정 상태 피드백(Feedback)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통계적으로 분석한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컨텐트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컨텐트를이용하고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상기 특정 컨텐트와 함께 표시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 페이지에 포함된 특정 컨텐트를 이용하고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특정 컨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하는 경우, 상기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상기 특정 컨텐트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서버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0)는, 제1 컨텐트(1610) 및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1630)을 함께 출력하고,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1630)은 제1 사용자 정보(1640) 및 제1 사용자가 아닌 제2 사용자 목록(16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사용자 정보(1640)는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0)에서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된다.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가 포함된 상기 제1 서비스 페이지에 포함된 특정 컨텐트를 이용하기 이전의 제1 사용자의 제1 감정 정보(1641) 및 상기 특정 컨텐트를 이용하고 변화된 제1 사용자의 제2 감정 정보(1642)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감정 정보(1641)및 제2 감정 정보(1642)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특정 컨텐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트와 함께 상기 제1 감정 정보(1641)에서 제2 감정 정보(1642)로 변화된 히스토리(History)(1660)를 표시한다.
위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특정 컨텐트를 이용하고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 히스토리를 사용자가 즉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컨텐트 이용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사용자 사이에서 이루어 지는 컨텐트 추천 서비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0)는, 제1 컨텐트(1710) 및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1730)을 함께 출력하고,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1730)은 제1 사용자 정보(1740) 및 제1 사용자가 아닌 제2 사용자 목록(17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사용자 정보(1740)는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0)에서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된다.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새로운 알림 아이콘(1760)을 선택하는 신호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0)는 제2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새로운 알림 목록(1761)을 출력하고, 상기 새로운 알림 목록(1761)은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에게 보낸 컨텐트 추천 메시지(Message)(1762)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에게 보낸 컨텐트 추천 메시지(1762)를 선택하는 신호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에게 보낸 컨텐트 추천 메시지(1762)에 포함된 추천 컨텐트의 정보(1770)를 제1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상기 추천 컨텐트의 정보(1770)는 추천 컨텐트의 이미지, 기본 정보, 방송 일정, 제작진 정보, 예약 기능 아이콘 등을 포함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사용자 사이에서 이루어 지는 컨텐트 추천 서비스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800)는, 제1 컨텐트(1810) 및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1830)을 함께 출력하고,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1830)은 제1 사용자 정보(1840) 및 제1 사용자가 아닌 제2 사용자 목록(18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사용자 정보(1840)는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800)에서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된다.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사용자 정보(1851)를 선택하는 신호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800)는 상기 선택된 제2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분석한 페이지(1860)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분석한 페이지(1860)는 상기 선택된 제2 사용자의 이름(1861), 상기 제2 사용자의 감정 정보가 기록된 시간(1862), 상기 기록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사용자의 감정 통계(1863), 상기 감정 통계에 포함된 특정 감정에 기초한 추천 컨텐트 목록(1864) 등을 포함하고, 제2 사용자에게 특정 컨텐트를 추천하기 위한 친구에게 알리기 아이콘(1865)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1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친구에게 알리기 아이콘(1865)을 선택하는 신호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제2 사용자의 감정 통계에 포함된 특정 감정에 기초한 추천 컨텐트 목록(1864)이 강조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추천 컨텐트 목록에 포함된 특정 컨텐트를 선택하는 신호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도 1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컨텐트 추천 메시지(Message)가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위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기기 자체에서 제공하는 컨텐트 추천 서비스뿐만 아니라, 사용자 사이에서 컨텐트 추천 서비스가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효과를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2 사용자 목록을 분류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00)는, 제1 컨텐트(1910) 및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1930)을 함께 출력하고,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1930)은 제1 사용자 정보(1940) 및 제1 사용자가 아닌 제2 사용자 목록(19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사용자 정보(1940)는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00)에서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사용자 목록을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분류 아이콘(1960)을 포함한다.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분류 아이콘(1960)을 선택하는 신호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00)는 분류 타입 목록(1970)을 출력하고, 상기 분류 타입 목록(1970)은 제1 분류 타입 아이콘(1971), 제2 분류 타입 아이콘(1972), 제3 분류 타입 아이콘(1973) 등을 포함하며,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분류 타입아이콘(1972)을 선택하면, 상기 제2 사용자 목록(1950)을 상기 제2 분류 타입에 기초하여 재 배열하고, 현재 제2 사용자 목록(1950)의 분류 타입(1951, 1952)을 함께 표시한다.
위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제2 사용자 목록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빠르게 재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당업자라면, 이전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도 20을 보충 해석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컨텐트 및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을 출력하고(S2000), 상기 데이터 통신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에 출력하고(S2010), 특정 신호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데이터 통신을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를 출력하고(S2020), 상기 출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를 선택하는 신호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제2 컨텐트를 출력한다.(S2030)
상기 S2000 단계는, 제1 컨텐트를 제1 영역에 출력하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영역을 제2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제1 컨텐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 가능한 사진, 동영상, 방송 프로그램 등 모든 컨텐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는 유저에 의해 선택 가능하고, 특정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업데이트 한다.
상기 S2010 단계는,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정보는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에 로그인(Log-in)된 계정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작동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GPS 정보, 상기 위치에 대응되는 국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S2020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 및 국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가 포함된 서비스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서비스 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출력한다.
상기 S2030 단계는, 상기 서비스 페이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를 선택하는 신호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선택된 추천 컨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출력한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즉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50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10 : 컨트롤러
52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530 : 메모리
540 : 센서
550 :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2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Content)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서버로부터 컨텐트와 상기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제 1 서버로부터 수신된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제 1 서버로부터 수신된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버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에 의해 특정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 2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트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가 포함된 제 1 서비스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1 서비스 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서버가 소정 시간 동안 기록한 사용자의 감정 정보와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 2 서버에 기록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형태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시간에 따라 변화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GUI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 상기 시간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컨텐트의 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타입(Type) 및 상기 감정 타입의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감정 타입 및 감정 타입의 레벨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감정 타입의 레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사이트가 포함된 제2 서비스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서비스 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기록된 제1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감정 정보와 대응되는 감정 정보가 기록된 제2 사용자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서버로부터 기기 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컨텐트가 포함된 제3 서비스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3 서비스 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기기가 동작하는 위치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상기 위치에 대응되는 국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 페이지에 포함된 특정 컨텐트를 이용하고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특정 컨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하는 경우, 상기 변화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상기 특정 컨텐트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060991A 2013-05-29 2013-05-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0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991A KR102040610B1 (ko) 2013-05-29 2013-05-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991A KR102040610B1 (ko) 2013-05-29 2013-05-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310A KR20140140310A (ko) 2014-12-09
KR102040610B1 true KR102040610B1 (ko) 2019-11-05

Family

ID=5245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991A KR102040610B1 (ko) 2013-05-29 2013-05-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45A1 (ko) * 2021-06-22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379B1 (ko) * 2000-11-29 2007-11-08 강민수 네트워크 사용자의 접속 위치 관련 정보 활용한 사용자 최적화된 콘텐츠 제공 방법
US20090150786A1 (en) * 2007-12-10 2009-06-11 Brown Stephen J Media content tagging on a social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682B1 (ko) * 2010-03-03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379B1 (ko) * 2000-11-29 2007-11-08 강민수 네트워크 사용자의 접속 위치 관련 정보 활용한 사용자 최적화된 콘텐츠 제공 방법
US20090150786A1 (en) * 2007-12-10 2009-06-11 Brown Stephen J Media content tagging on a social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45A1 (ko) * 2021-06-22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310A (ko) 201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41621A1 (en) Display 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searching content, and method thereof
US102353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onten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JP5559433B2 (ja) デジタルオンスクリーングラフィックを増強する技術
CN105392036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CN102835124B (zh) 图像显示设备和用于操作图像显示设备的方法
EP2824537A1 (en) Wearable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7431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CN107637089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39351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7018434B (zh) 包括数字设备和外部设备的系统及其处理数据的方法
CN103081499A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EP2986013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90626B1 (ko) 이동 단말기, 영상표시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7006959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1311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
US20170188087A1 (en) User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multimedia system
KR20150028501A (ko)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5552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061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9415A (ko) 외부 입력장치와 컨텐츠 연동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10224321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JP2014036232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84944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VOD service thereof
KR101995422B1 (ko) 네트워크와 연결된 다기능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2333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