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128B1 -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128B1
KR102040128B1 KR1020180010619A KR20180010619A KR102040128B1 KR 102040128 B1 KR102040128 B1 KR 102040128B1 KR 1020180010619 A KR1020180010619 A KR 1020180010619A KR 20180010619 A KR20180010619 A KR 20180010619A KR 102040128 B1 KR102040128 B1 KR 102040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nuclear fuel
rod
fuel ro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716A (ko
Inventor
손세익
이제원
박성준
류두현
Original Assignee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128B1/ko
Priority to US16/961,050 priority patent/US11373770B2/en
Priority to EP18902366.6A priority patent/EP3748650B1/en
Priority to CN201880087666.1A priority patent/CN111656459B/zh
Priority to PCT/KR2018/004009 priority patent/WO2019146840A1/ko
Publication of KR20190091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02Details of handling arrangements
    • G21C19/10Lifting devices or pulling device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fuel elements or with control el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34Assembling, maintenance or repair of the bundl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3Supporting or hanging of elements in the bundle; Means forming part of the bundle for inserting it into, or removing it from, the core; Means for coupling adjacent bundl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30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displacement of the reactor fuel or fuel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운동의 직진운동 변화에 따른 장입동력수단의 구성을 통해 장입봉의 이동길이 조정이 더욱 세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장입동력수단의 회전운동은 장입봉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핵연료봉의 끝단 간격 조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핵연료봉 집게를 포함하며, 전,후 직진 이동되는 장입봉;중공(中空)의 하우징;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 운동을 직진 운동으로 변환하여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장입동력수단;상기 장입동력수단과 상기 장입봉 사이에 연결된 커넥터;상기 장입동력수단과 커넥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장입동력수단의 직진운동과 연동되어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되, 장입동력수단의 회전력이 커넥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A nuclear fuel road end gap adjusting device}
본 발명은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높인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은 원자로 내부에서 핵연료를 이용하여 핵분열시 생성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1차 냉각수를 가열하고, 가열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증기발생기에서 2차 냉각수로 에너지를 전달하여 발생된 증기를 이용하여 증기 터빈에서 회전에너지를 변환하여 발전기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원자로란 핵분열성 물질의 연쇄 핵분열반응을 인공적으로 제어하여 열을 발생하거나 방사성 동위원소 및 플루토늄의 생산, 또는 방사선장 형성 등의 여러 목적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경수로 원전에서는 우라늄-235의 비율을 2∼5%로 높인 농축우라늄을 사용하며, 원자로에서 사용되는 핵연료로 가공하기 위하여 우라늄을 5g 정도 무게의 원통형 펠릿(Pellet)으로 만드는 성형가공을 한다.
한편, 핵분열을 위한 에너지원은 핵연료를 통해 제공된다.
원자로 내부에 배열된 핵연료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핵연료 집합체(10)를 단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핵연료 집합체(10)는 상단고정체(11), 하단고정체(12), 지지격자(13)로 이루어진 골격체와, 상기 지지격자(13) 내에 장입되어 상기 지지격자(13)내에 형성된 스프링 및 딤플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핵연료봉(20)으로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핵연료봉(20)은 펠렛(21) 단위의 우라늄과, 이 우라늄을 보호하고 방사능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지르코늄 합금 피복관(22)으로 구성되며 긴 바(bar)의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핵연료 집합체(10) 제작을 위해서는, 핵연료봉(20) 표면의 흠집을 방지하고 지지격자(13)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봉(20)의 표면에 락커를 도포하여 골격체에 장입한 다음 상,하단 고정체(11,12)를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핵연료 집합체(10)의 조립이 끝나게 된다.
한편, 핵연료 집합체(10)로의 핵연료봉(20) 장입 공정은, 지지격자(13) 내에 행 단위로 장입이 이루어지는데, 장입 공정 특성상 장입 공정 후 핵연료봉(20) 장입 길이의 차이(5mm 이하)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핵연료봉(20) 끝단 간격에 대한 설계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를 이용한 핵연료봉(20) 장입 길이 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핵연료봉(20) 장입 길이 조정을 위한 종래의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봉 집게(31)와, 장입봉(32)과, 장입추(33)로 구성된다.
상기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30)를 이용해 핵연료봉(20)의 장입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공정은 다음과 같다.
연료봉 집게(31)를 이용하여 장입 길이 조정이 필요한 핵연료봉(20) 단부에 결합시킨다.
이후, 핵연료봉(20)이 결합된 반대 방향을 향해 상기 장입추(33)를 타격시킨다.
이때, 장입봉(32)은 타격 방향으로 이동되며, 장입봉(32)에 설치된 연료봉 집게(31)는 핵연료봉(20)을 당기게 된다.
이후, 장입추(33)를 원위치시킨 후, 다시 핵연료봉(20)이 결합된 반대 방향을 향해 상기 장입추(33)를 타격시킨다.
이와 같은 반복 과정을 통해 핵연료봉(20)의 장입 길이는 조정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핵연료 집합체(10)를 구성하는 복수의 핵연료봉(20) 장입 길이를 조정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의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3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장입추(33) 타격 방식을 통한 종래의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은, 핵연료봉(20)의 장입 길이 조정이 미세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타격의 정도에 따라 장입추(33) 이동 거리의 정도 차이가 심하게 발생할 수 있어, 핵연료봉(20)의 장입 길이 조정이 세밀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웠던 것이다.
둘째, 장입추(33) 타격 중에 상기 장입추(33)에 발생되는 충격이 핵연료봉(20)에 전달되어 핵연료봉(20)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타격된 장입추(33)를 원위치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장입추(33)가 장입봉(32)을 당기는 대신 장입봉(32)을 밀어내어 결국 핵연료봉(20)을 밀어내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98229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핵연료봉 장입 길이에 대한 조정이 더욱 세밀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장입봉에는 회전운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핵연료봉의 끝단 간격 조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핵연료봉 집게를 포함하며, 전,후 직진 이동되는 장입봉;중공(中空)의 하우징;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 운동을 직진 운동으로 변환하여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장입동력수단;상기 장입동력수단과 상기 장입봉 사이에 연결된 커넥터;상기 장입동력수단과 커넥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장입동력수단의 직진운동과 연동되어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되, 장입동력수단의 회전력이 커넥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장입동력수단은 볼스크류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방지구의 일단부에는 볼스크류의 단부가 공회전되는 회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구의 타단부에는 커넥터가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구에는 상기 가이드 장공을 따라 가이드되는 이동핀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핵연료봉 집게는 장입봉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장입봉은 커넥터에 나사 결합되되, 상기 핵연료봉 집게는 커넥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볼스크류 방식을 이용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핵연료봉을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핵연료봉 장입 길이를 더욱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회전방식을 통해 핵연료봉의 장입 길이가 조정됨으로써, 핵연료봉 장입 길이 조정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핵연료봉에 대한 장입 길이 조정시, 핵연료봉에 충격이 가해지는 등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가이드핀을 통해 핵연료 타입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회전방지구를 통해 볼스크류의 회전운동이 장입봉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입봉은 볼스크류의 직선운동만 연동될 수 있어, 핵연료봉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핵연료 집합체와 핵연료봉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의 장입봉이 전,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를 이용해 핵연료봉 끝단간격 조정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는 볼스크류 동작 원리를 이용해 핵연료봉 끝단간격 조정이 미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핵연료봉 끝단간격 조정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핵연료 끝단 간격 조정장치는 장입봉(100)과, 하우징(200)과, 장입동력수단(300)과, 커넥터(400)와, 회전방지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입봉(100)은 핵연료 집합체(10)의 핵연료봉(20)에 결합되어 핵연료봉(20)을 당기기 위한 매개 수단으로서, 핵연료봉 집게(110)를 포함한다.
핵연료봉 집게(110)는 핵연료봉(20)에 직접 결합되는 구성이며, 핵연료봉 집게(110)의 단부에는 장입봉(100)과 탈착될 수 있도록 탈착수단이 형성된다.
이때, 탈착수단은 특정하게 제공되지는 않으며, 핵연료봉 집게(110)가 장입봉(1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임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핵연료봉 집게(110)의 일단부는 핵연료봉(20)을 파지할 수 있는 집게 형태로 구성되고, 핵연료봉 집게(110)의 타단부는 장입봉(1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장입봉(100)에도 상기 핵연료봉 집게(110)가 탈착될 수 있도록 핵연료봉 집게(1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장입봉(100)은 핵연료봉 집게(110)의 탈착 여부에 따라 길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하우징(200)은 장입봉(100)을 직진 운동시키기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구성이며, 중공(中空)의 실린더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우징(200)의 양측은 개방되며, 하우징(200)의 일단부에는 전면덮개(210)가 설치되고 하우징(200)의 타단부에는 장입동력수단(300)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덮개(210)에는 커넥터(400)가 이동되는 가이드관(211)이 형성되며, 전면덮개(210)의 가장장리에는 가이드핀(220)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21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핀(220)은 FR 가이드 플레이트의 구멍에 삽입되어,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을 위한 수나사부(320) 회전시 조정장치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는 도 7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핀(220)은 다양한 직경을 갖는 복수로 제공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전면덮개(210)의 결합홈(212)에 탈착되도록 제공된다.
이때 가이드핀(220)의 선단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양한 직경의 가이드핀(220)은 전면덮개(210)의 결합홈(212)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므로,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는 핵연료 타입에 관계없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0)에는 하우징(200)의 내측과 통하는 가이드 장공(230)이 형성된다.
가이드 장공(230)은 장입동력수단(300)에 의한 회전방지구(500) 이동시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長空)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장입동력수단(300)은 장입봉(100)을 직진 이동시키기는 동력을 발생하며, 하우징(200)의 후방에 설치된다.
장입동력수단(300)은 장입봉(100)의 장입 길이 조정이 더욱 세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장입동력수단(300)은 회전운동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해주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장입동력수단(300)은 특정하게 한정되지는 않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스크류 어셈블리로 제공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볼스크류 어셈블리(300)는 암나사부(310)와, 수나사부(320)와, 플러그(330)와, 베어링(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암나사부(310)는 수나사부(320)가 나사 회전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암나사산을 따라 구르는 복수의 강구(强球)(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암나사부(310)는 하우징(200)의 개방된 후방을 차폐하면서 하우징(200)에 고정이 된다.
상기 암나사부(310)는 하우징(2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실린더 형태로 제공이 된다.
그리고, 수나사부(320)는 암나사부(310)에 나사 결합되며, 암나사부(310)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면서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으로 직진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수나사부(320)의 일단부는 하우징(200)의 내측에 위치되며, 수나사부(320)의 타단부는 하우징(200)의 외측에 위치된다.
이때, 수나사부(320)의 타단부에는 수나사부(320) 파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손잡이(321)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러그(330)는 수나사부(320)의 회전운동에 따른 직진운동시, 회전방지구(500)를 간섭하여 상기 회전방지구(500)를 밀거나 당기는 역할을 하며 수나사부(320)의 일단부에 결합이 된다.
상기 플러그(330)는 수나사부(3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플러그(330)와 수나사부(320)의 일단부 사이에는 수나사부(320)의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340)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커넥터(400)는 장입봉(100)과 장입동력수단(3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커넥터(400)의 일단부는 장입봉(100)측에 연결되고, 커넥터(400)의 타단부는 장입동력수단(300)측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커넥터(400)의 일단부는 장입봉(100) 또는 핵연료봉 집게(1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400)의 일단부는 가이드관(211)을 통해 하우징(2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장입봉(100)과 연결이 되도록 마련되고, 커넥터(400)의 타단부는 하우징(200)의 내측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회전방지구(500)는 장입동력수단(300)의 수나사부(320) 회전력이 장입봉(1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장입동력수단(300)의 직진 운동은 수나사부(320)의 회전운동을 통해 발생이 되는데, 장입봉(100)이 수나사부(320)에 직접 연결될 경우 장입봉(100)도 수나사부(320)와 함께 회전되므로 핵연료봉(20)에 데미지를 가져올 수 있는바 상기 회전방지구(500)는 장입봉(100)의 회전을 방지하고 장입봉(100)을 직진 운동만 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회전방지구(500)는 수나사부(320)의 회전운동에 의한 직진운동시 연동되면서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으로 하우징(200)의 내측에서 이동이 된다.
상기 회전방지구(500)의 일단부에는 수나사부(320)가 결합되고, 회전방지구(500)의 타단부에는 커넥터(400)가 결합이 된다.
회전방지구(5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회전방지구(500)의 일단부에는 장입동력수단(300)의 플러그(330)가 위치되어 공회전되는 회전공간(510)이 형성되며, 하우징(2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이 된다.
이때, 회전방지구(500)에는 회전공간(510)을 차폐하는 차폐캡(520)이 결합되며, 상기 차폐캡(520)에는 수나사부가 통과되는 통공(521)이 형성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플러그(330) 및 베어링(340)은 회전방지구(500)의 회전공간(510)에 위치되고, 차폐캡(520)은 이를 차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방지구(500)의 타단부에는 커넥터(400)가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형성된다.
고정수단 역시 커넥터(40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구성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지만,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회전방지구(500)에는 하우징(200) 내측에서 직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우징(200)의 가이드 장공(230)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는 이동핀(530)이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를 이용해 핵연료봉의 장입 길이를 조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핵연료 집합체(10)의 지지격자(13) 내에 복수의 핵연료봉(20) 장입이 이루어진다.
이때, 장입된 핵연료봉(20)들의 끝단 간격은 서로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작업자는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핵연료봉(20)의 끝단 간격을 조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200)의 전면덮개(210)에 가이드핀(220)을 장착하고, 상기 가이드핀(220)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핵연료 집합체 조립벤치의 FR 가이드 플레이트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핵연료 집합체 조립벤치의 FR 가이드 플레이트에 고정이 되고, 장입봉(100)은 핵연료봉(20)을 향해 대응이 된다.
이때, 핵연료 타입에 따라 상기 가이드핀(220)의 크기 및 하우징(200) 전면덮개(210) 상에서의 가이드핀(220) 위치는 조절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핵연료 집합체 조립벤치의 FR 가이드 플레이트와 핵연료봉(20) 간에 간격을 고려하여, 장입봉(100)의 길이 역시 조절될 수 있다.
장입봉(100)의 양단부는 핵연료봉 집게(110) 및 커넥터(400)에 각각, 탈착수단을 통해 나사 결합되어 있는바, 핵연료봉 집게(110)를 커넥터(400)에 직접 나사 결합하여 장입봉(100)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핵연료 집합체 조립벤치의 FR 가이드 플레이트와 핵연료봉(20) 간 거리에 맞게, 장입봉(100) 길이를 길게하거나 짧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핵연료봉(20)에 대응된 장입봉(100)의 핵연료봉 집게(110)를 이용해 장입 조절 대상 핵연료봉(20)의 단부를 파지시킨다.
다음으로, 장입동력수단(300)인 볼스크류의 수나사부(320) 손잡이(321)를 잡고 상기 수나사부(320)를 회전시킨다.
이때, 수나사부(320)의 회전 방향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입봉(100)을 도면상 우측으로 당길 수 있는 방향을 말한다.
한편, 수나사부(320)를 회전시키면 암나사부(310)의 나선을 따라 직진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수나사부(320)의 단부에 결합된 플러그(330)는 회전방지구(500)의 회전공간(510) 상에서 공회전을 하면서 회전방지구(500)의 차폐캡(520)을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방지구(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부(320)의 직진 운동 방향을 따라 연동되어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된다.
이때, 회전방지구(500)의 이동핀(530)은 가이드 장공(230)을 따라 이동되면서 회전방지구(500)의 안정적인 이동을 가이드 해주게 된다.
한편, 회전방지구(500)의 이동에 의해, 회전방지구(500)에 결합된 커넥터(400)는 장입봉(100)을 수나사부(320)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커넥터(400)는 수나사부(320)에 직접 결합된 것이 아니라, 회전방지구(500)에 결합된 구성이므로 수나사부(320)의 회전과는 연동되지 않고 수나사부(320)의 직진 운동에 따른 직진 이동만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장입봉(100)에 연결된 핵연료봉(20) 역시 커넥터(400)의 이동에 따른 직진 이동만 하게 된다.
이때, 핵연료봉(20)의 끝단 간격 조정을 위한 수나사부(320)의 회전 범위는 작업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며, 수나사부(320)의 회전 운동을 통해 장입봉(100)의 이동이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핵연료봉(20)의 끝단 간격 조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는 회전운동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입동력수단의 구성을 적용하여 핵연료봉의 끝단 간격 조정을 더욱 세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특히, 회전운동에 따른 직진 운동 변화시, 핵연료봉이 결합된 장입봉은 회전 운동 없이 직진 운동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핵연료봉에 대한 손상 없이 안정적인 핵연료봉의 끝단 간격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에 대한 편의성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장입봉 110 : 핵연료봉 집게
200 : 하우징 210 : 전면덮개
211 : 가이드관 212 : 결합홈
220 : 가이드핀 230 : 가이드 장공
300 : 장입동력수단 310 : 암나사부
320 : 수나사부 330 : 플러그
340 : 베어링 400 : 커넥터
500 : 회전방지구 510 : 회전공간
520 : 차폐캡 521 : 통공
530 : 이동핀

Claims (4)

  1. 핵연료봉 집게를 포함하며, 전,후 직진 이동되는 장입봉;
    중공(中空)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 운동을 직진 운동으로 변환하여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장입동력수단;
    상기 장입동력수단과 상기 장입봉 사이에 연결된 커넥터;
    상기 장입동력수단과 커넥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장입동력수단의 직진운동과 연동되어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되, 장입동력수단의 회전력이 커넥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동력수단은 볼스크류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방지구의 일단부에는 볼스크류의 단부가 공회전되는 회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구의 타단부에는 커넥터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구에는 상기 가이드 장공을 따라 가이드되는 이동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핵연료봉 집게는 장입봉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장입봉은 커넥터에 나사 결합되되, 상기 핵연료봉 집게는 커넥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


KR1020180010619A 2018-01-29 2018-01-29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 KR102040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619A KR102040128B1 (ko) 2018-01-29 2018-01-29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
US16/961,050 US11373770B2 (en) 2018-01-29 2018-04-05 Nuclear fuel rod end distance adjusting device
EP18902366.6A EP3748650B1 (en) 2018-01-29 2018-04-05 Nuclear fuel rod end distance adjusting device
CN201880087666.1A CN111656459B (zh) 2018-01-29 2018-04-05 核燃料棒末端距离调节装置
PCT/KR2018/004009 WO2019146840A1 (ko) 2018-01-29 2018-04-05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619A KR102040128B1 (ko) 2018-01-29 2018-01-29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716A KR20190091716A (ko) 2019-08-07
KR102040128B1 true KR102040128B1 (ko) 2019-11-05

Family

ID=6739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619A KR102040128B1 (ko) 2018-01-29 2018-01-29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73770B2 (ko)
EP (1) EP3748650B1 (ko)
KR (1) KR102040128B1 (ko)
CN (1) CN111656459B (ko)
WO (1) WO20191468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128B1 (ko) 2018-01-29 2019-11-05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
KR102229251B1 (ko) 2019-10-07 2021-03-17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경수로 핵연료봉 장입력 측정장치
KR102608543B1 (ko) * 2021-12-28 2023-12-04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 집합체의 상단고정체 조립 및 분해 장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97B1 (ko) 2008-10-01 2010-09-15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 집합체의 연료봉 장입용 장입봉 및 연료봉 자동장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15776A5 (en) * 1975-08-01 1980-02-15 Babcock & Wilcox Co Tool for mounting or dismounting a nuclear fuel rod
US4292788A (en) * 1980-02-11 1981-10-06 General Electric Company Nuclear fuel rod loading apparatus
US4775507A (en) * 1981-08-10 1988-10-04 U.S. Tool & Die, Inc. Method for compacting spent nuclear reactor fuel rods
JPS61116690A (ja) * 1984-11-10 1986-06-04 三菱原子燃料株式会社 燃料集合体組立装置
JPH083553B2 (ja) * 1988-11-29 1996-01-17 三菱原子燃料株式会社 燃料集合体の組立方法および組立装置
JPH0580177A (ja) * 1991-09-20 1993-04-02 Hitachi Ltd 原子炉の制御棒駆動機構
FR2690554B1 (fr) * 1992-04-28 1994-07-08 Fabrication Combustibles Ste Fra Dispositif et procede de montage de crayons dans un squelette d'assemblage combustible nucleaire.
JPH1130683A (ja) * 1997-07-09 1999-02-02 Japan Atom Energy Res Inst 原子炉制御棒の駆動装置
US7509731B2 (en) * 2002-12-24 2009-03-31 Belgonucleaire Sa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non-contaminated MOX fuel rods
US7593501B2 (en) * 2005-01-06 2009-09-22 Areva Np Inc. Segment make-up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uclear fuel rods
US7539280B2 (en) * 2005-05-17 2009-05-26 Areva Np Inc. Nuclear fuel rod loa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349130B1 (ko) * 2012-01-04 2014-01-09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가속도봉 연료 펠렛 장입용 장치
CN107610797B (zh) * 2017-09-08 2024-04-12 中机中联工程有限公司 一种核燃料组件拉棒系统及工艺
KR102040128B1 (ko) 2018-01-29 2019-11-05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97B1 (ko) 2008-10-01 2010-09-15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 집합체의 연료봉 장입용 장입봉 및 연료봉 자동장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8650A4 (en) 2021-10-27
US20210065920A1 (en) 2021-03-04
KR20190091716A (ko) 2019-08-07
CN111656459A (zh) 2020-09-11
EP3748650A1 (en) 2020-12-09
EP3748650B1 (en) 2023-01-18
US11373770B2 (en) 2022-06-28
CN111656459B (zh) 2023-10-17
WO2019146840A1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128B1 (ko) 핵연료봉 끝단 간격 조정장치
US7668280B2 (en) Nuclear fuel assembly
US7515674B2 (en) Tube-in-tube threaded dashpot end plug
KR102152188B1 (ko) 토륨 연료 기반 우주원자로 노심 및 이를 구비한 원자로
US8811566B2 (en) Guide thimble plug for nuclear fuel assembly
CN103310855A (zh) 一种液态重金属冷却反应堆燃料组件
EP4325522A3 (en) Apparatus for planting and harvesting radioisotopes on a mass production basis
CN103077756B (zh) 一种用于液态重金属冷却堆的换料机夹具装置
EP2859555B1 (en) Nuclear control rod with flexure joint
KR900000690B1 (ko) 원자로용의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
KR20140090361A (ko) 핵연료집합체의 안내관 마개 플라즈마 용접장치
EP317057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ylindrical member
KR102229251B1 (ko) 경수로 핵연료봉 장입력 측정장치
CN205900101U (zh) 核电站用燃料组件拉棒用新型夹具
WO2014189576A2 (en) Fuel assembly
WO2012066956A1 (ja) 制御棒駆動装置ハウジングの溶接治具および溶接装置
CN209055066U (zh) 一种基于阵列式柔性检测的核燃料组件多功能检测装置
US20200043617A1 (en) Control rod guide assembly with enhanced stiffness, fu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installing control rod guide assembly
US4652421A (en) Outer grid strap protruding spring repair apparatus
US4623512A (en) Device for fixing a fuel array to the lower core-supporting plate in a nuclear reactor
WO2022076878A3 (en) Sheet based, in-bundle reactivity control device for storage of spent nuclear fuel
KR102608543B1 (ko) 핵연료 집합체의 상단고정체 조립 및 분해 장비
KR102273293B1 (ko) 핵연료 집합체의 충격흡수관과 안내관 마개 용접장치
GB940734A (en) Fuel element charging arrangements for nuclear reactors
KR20230016985A (ko) 중성자 조사 표적봉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