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125B1 -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 - Google Patents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125B1
KR102040125B1 KR1020190065468A KR20190065468A KR102040125B1 KR 102040125 B1 KR102040125 B1 KR 102040125B1 KR 1020190065468 A KR1020190065468 A KR 1020190065468A KR 20190065468 A KR20190065468 A KR 20190065468A KR 102040125 B1 KR102040125 B1 KR 102040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aft
air tube
wir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씨엔디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엔디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엔디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5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09F19/08Dolls, faces, or other representations of living forms with moving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09F19/10Devices demonstrating the action of an article to be advertis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09F19/08Dolls, faces, or other representations of living forms with moving parts
    • G09F2019/086Do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에어 튜브; 및 상기 에어 튜브 내부에 설치되고 와이어를 통해 상기 에어 튜브를 움직이는 구동 유닛;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에어 튜브 내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에어 튜브가 움직이도록 하는 구동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구동 유닛에 의해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에어 튜브가 규칙적으로 반복 움직일 수 있어 광고 홍보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AIR DUMMY WITH JOINT CONTROL}
본 발명은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도록 하여 입체적으로 광고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형물(Air Bounce)은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서 에어간판을 들 수 있다.
에어간판은 통상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던 간판을 대체하는 것으로서 간판의 형태를 원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서, 아치형 또는 캐릭터형 공기조형물이 많이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형물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스타트라인이나 방호벽 그리고 어린이용 놀이시설 등에 많이 적용되었다.
최근에는 광고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리기 위하여 에어댄서(Air Dancer) 형태의 공기조형물이 많이 이용된다.
에어댄서는 공기의 주입량을 조절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부정형의 자세가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공기조형물이더라도 주입되는 공기량 및 그 속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연출할 수 있어 광고효과를 높이는데 적합하다.
하지만, 이러한 공기조형물은 불규칙적이고 단순반복적인 동작만 가능하여 정신이 산만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5-000099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7445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8126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917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절도있고 규칙적이며 다양한 동작이 가능한 공기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은,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에어 튜브; 및 상기 에어 튜브 내부에 설치되고 와이어를 통해 상기 에어 튜브를 움직이는 구동 유닛;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와이어가 감긴 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풀리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연결된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터를 통해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풀리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기 에어 튜브 중 상기 고정판이 설치된 부분이 당겨지며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 튜브의 하단에는 베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 튜브의 내부에 상기 구동 모터가 결합되는 제1 관절 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관절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이 설치되는 제2 관절 샤프트가 구비된 골격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관절 샤프트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관절 샤프트는, 상기 관절 유닛에 결합되고 단부에 가이드가 형성된 제1 샤프트,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수축되거나 이완되는 탄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에 따르면, 에어 튜브 내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에어 튜브가 움직이도록 하는 구동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구동 유닛에 의해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에어 튜브가 규칙적으로 반복 움직일 수 있어 광고 홍보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에어 튜브 내부에 골격 프레임을 구비함으로, 구동 유닛에 의해 골격 프레임이 절도 있게 움직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1 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격 프레임의 동작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격 프레임의 동작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격 프레임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1 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격 프레임의 동작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블럭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은 와이어를 통해 관절을 움직임으로써 절도있고 역동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100)은 베이스(110), 에어 튜브(120), 골격 프레임(130) 및 구동 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컨트롤러(112) 및 구동 팬(113)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 팬(113)으로부터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팬(113)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방으로 전달된다.
상기 에어 튜브(12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 팬(113)으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며 일정한 외형을 갖는다.
예컨대, 상기 에어 튜브(120)는 사람, 캐릭터, 화살표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물론, 홍보 문구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 튜브(120)는 상기 구동 팬(113)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의 세기 및 간격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움직임을 갖는다.
상기 골격 프레임(130)은 상기 에어 튜브(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관절 유닛(132)을 통해 상기 에어 튜브(120)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보다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골격 프레임(130)은 상기 에어 튜브(120)의 일측에 제1 관절 샤프트(13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관절 샤프트(131)의 단부에는 상기 관절 유닛(13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2 관절 샤프트(133)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관절 샤프트(131) 및 제2 관절 샤프트(133)는 상기 관절 유닛(1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에어 튜브(120)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상기 구동 유닛(140)은 상기 에어 튜브(120)를 와이어(143)를 통해 움직이게 하는 것으로, 상기 에어 튜브(120)에 직접 설치되거나, 상기 골격 프레임(1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유닛(140)은 상기 베이스(110)의 컨트롤러(112)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구동 유닛(140)은 구동 모터(141), 풀리(142), 와이어(143) 및 고정판(144)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모터(141)는 상기 제1 관절 샤프트(131)에 설치된다.
상기 풀리(142)는 상기 구동 모터(141)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 모터(141)의 구동에 따라 회전된다.
상기 와이어(143)는 상기 풀리(14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풀리(142)에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상기 고정판(144)은 상기 제2 관절 샤프트(133)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143)의 단부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관절 샤프트(133)는 상기 구동 모터(14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143)가 감기면 당겨지면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 튜브(120)는 공기에 의해 팽창된 것으로, 상기 골격 프레임(130)의 움직임에 따라 수축되거나 다시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관절 샤프트(133)는 상기 구동 모터(14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143)가 풀리면 수축된 상기 에어 튜브(120)가 공기압에 의해 다시 팽창되며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골격 프레임(130) 및 구동 유닛(140)은 상기 에어 튜브(120) 내부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격 프레임(130) 및 구동 유닛(140)이 복수로 형성됨에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10)에는 내부에 풍압센서(114)가 구비된다.
상기 풍압센서(114)는 상기 구동 팬(113)으로부터 상기 에어 튜브(120)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센싱하는 것으로, 상기 에어 튜브(120)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센싱하여 상기 컨트롤러(112)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112)는 상기 풍압센서(114)로부터 전달받은 감지값에 따라 상기 구동 팬(113)에 회전값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12)는 상기 풍압센서(114)로부터 전달받은 감지값에 따라 비례되는 회전값을 상기 구동 팬(113)으로 전달한다.
이는, 상기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에어 튜브(120)가 팽창되므로, 상기 구동 팬(113)으로 상기 에어 튜브(120)의 팽창력보다 강한 회전값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격 프레임의 동작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은 베이스, 에어 튜브, 골격 프레임(230) 및 구동 유닛(24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관절 샤프트(233)는 상기 와이어(243)의 당김 또는 풀림에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관절 샤프트(233)는 상기 관절 유닛(232)에 결합되는 제1 샤프트(233a)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샤프트(233a)의 단부에는 가이드(233d)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233d)에는 탄성체(233c)가 관통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233d)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243)가 결합된 제2 샤프트(233b)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샤프트(233b)는 상기 가이드(233d)와 마주보는 측면에 연장홈(233e)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홈(233e)에는 상기 가이드(233d)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241)에 의해 상기 와이어(243)가 감기게 되면 상기 제2 샤프트(233b)가 당겨지게 되면서 상기 가이드(233d)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탄성체(233c)가 수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43)가 풀릴 때, 상기 탄성체(233c)가 이완되면서 상기 제2 샤프트(233b)가 타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격 프레임의 동작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은 베이스, 에어 튜브, 골격 프레임(330) 및 구동 유닛(340)을 포함한다.
상기 골격 프레임(330)은 제1 관절 샤프트(331), 관절 유닛(332) 및 제2 관절 샤프트(33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유닛(340)은 구동 모터(341), 풀리(342), 와이어(343) 및 고정판(344)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샤프트(333b)는 상기 가이드(333d)를 따라 이동될 때 회전되며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샤프트(333a)의 가이드(333d)에는 수나사산(333f)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샤프트(333b)의 연장홈(333e)에는 암나사산(333g)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샤프트(333b)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수나사산(333f)을 따라 회전되며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샤프트(333b)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홈부(333h)가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 홈부(333h)는 상기 제2 샤프트(333b)가 회전될 때 상기 와이어(343)가 상기 나선형 홈부(333h)를 따라 안내되며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샤프트(333b)가 회전될 때, 상기 와이어(343)가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다 역동적인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에 따르면, 에어 튜브 내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에어 튜브가 움직이도록 하는 구동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구동 유닛에 의해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에어 튜브가 규칙적으로 반복 움직일 수 있어 광고 홍보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에어 튜브 내부에 골격 프레임을 구비함으로, 구동 유닛에 의해 골격 프레임이 절도 있게 움직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공기조형물 110: 베이스
111: 흡입구 112: 컨트롤러
113: 구동 팬 114: 풍압센서
120: 에어 튜브 130: 골격 프레임
131: 제1 관절 샤프트 132: 관절 유닛
133: 제2 관절 샤프트 140: 구동 유닛
141: 구동 모터 142: 풀리
143: 와이어 144: 고정판

Claims (6)

  1.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에어 튜브; 및
    상기 에어 튜브 내부에 설치되고 와이어를 통해 상기 에어 튜브를 움직이는 구동 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와이어가 감긴 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풀리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연결된 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터를 통해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풀리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기 에어 튜브 중 상기 고정판이 설치된 부분이 당겨지며 움직이고,
    상기 에어 튜브의 내부에 상기 구동 모터가 결합되는 제1 관절 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관절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된 관절 유닛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이 설치되는 제2 관절 샤프트가 구비된 골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관절 샤프트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관절 샤프트는,
    상기 관절 유닛에 결합되고 단부에 가이드가 형성된 제1 샤프트,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수축되거나 이완되는 탄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튜브의 하단에는 베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65468A 2019-06-03 2019-06-03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 KR102040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68A KR102040125B1 (ko) 2019-06-03 2019-06-03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68A KR102040125B1 (ko) 2019-06-03 2019-06-03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125B1 true KR102040125B1 (ko) 2019-11-05

Family

ID=6857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468A KR102040125B1 (ko) 2019-06-03 2019-06-03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972A (ko) * 2020-07-20 2022-01-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조수퇴치 구조물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267B1 (ko) 1996-09-18 1999-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용차용 간이커텐
JP2006192523A (ja) * 2005-01-12 2006-07-27 Sharp Corp 多関節指機構
KR20080091780A (ko) 2006-01-26 2008-10-14 쉐플러 카게 앵귤러 콘택트 롤러 베어링, 특히 복열 구면 롤러 베어링
KR20110124639A (ko) * 2010-05-11 2011-11-17 주식회사 동방이엔지 모션제어가 가능한 공기막 조형물
KR20130025282A (ko) * 2011-09-01 2013-03-11 윤은석 무빙 에어간판
KR20130074451A (ko) 2011-12-26 2013-07-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칩 패키지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칩 패키지 부재
KR20130122389A (ko) * 2012-04-30 2013-1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동 장치 및 이를 가지는 로봇
KR20150000999U (ko) 2013-08-27 2015-03-09 남광조명 주식회사 매입형 조명등
KR20190017500A (ko) *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피에이치 동작형 에어간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267B1 (ko) 1996-09-18 1999-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용차용 간이커텐
JP2006192523A (ja) * 2005-01-12 2006-07-27 Sharp Corp 多関節指機構
KR20080091780A (ko) 2006-01-26 2008-10-14 쉐플러 카게 앵귤러 콘택트 롤러 베어링, 특히 복열 구면 롤러 베어링
KR20110124639A (ko) * 2010-05-11 2011-11-17 주식회사 동방이엔지 모션제어가 가능한 공기막 조형물
KR20130025282A (ko) * 2011-09-01 2013-03-11 윤은석 무빙 에어간판
KR20130074451A (ko) 2011-12-26 2013-07-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칩 패키지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칩 패키지 부재
KR20130122389A (ko) * 2012-04-30 2013-1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동 장치 및 이를 가지는 로봇
KR20150000999U (ko) 2013-08-27 2015-03-09 남광조명 주식회사 매입형 조명등
KR20190017500A (ko) *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피에이치 동작형 에어간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972A (ko) * 2020-07-20 2022-01-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조수퇴치 구조물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65665B1 (ko) 2020-07-20 2022-11-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조수퇴치 구조물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1620A (en) Animated three-dimensional inflatable displays
KR102040125B1 (ko) 관절이 구동되는 공기조형물
US5562459A (en) Dynamic three dimenional amusement and display device
US9874038B2 (en) Collapsible sun shade
JP2002522981A (ja) 情報カバー外被を伴う3次元可動カメラ組立体
US4185375A (en) Method of applying handle coverings
BR9402941A (pt) Método e aparelho para marcar gramados
CA22583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rge inflated undulating figures
KR101194194B1 (ko) 모션제어가 가능한 공기막 조형물
CN110322792A (zh) 柔性显示装置及电子设备
US5130169A (en) Novelty device
KR101726194B1 (ko) 놀이 시설물용 광고 조형물
CN102216528B (zh) 用于次级地面铺层表面的储存和临时安装的系统和方法
US5033719A (en) Portable sand screen
KR102553527B1 (ko) 유동형 에어간판
US6990921B2 (en) Self-waving flag
JP2002507293A (ja) 連続的または逐次的なアニメーションによる連続的な広告を表示装置に与えるシステム
CN103273744A (zh) 一种简单实用的卷膜打标机
JP2007303065A (ja) 可動庇装置
CN100580747C (zh) 立柱自动伸缩式装饰广告气模及其制作方法
KR200185921Y1 (ko) 광고 장식물용 기구체
KR20000063384A (ko) 삼차원 동작제어식 광고장치
CN211074065U (zh) 一种仿石纹陶瓷花盆的纹理擦成装置
KR200214636Y1 (ko) 조형물 회전식 간판 고정 장치
CN211654207U (zh) 一种拉布灯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