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829B1 - 사물인터넷 기반의 복합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의 복합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829B1
KR102039829B1 KR1020180073159A KR20180073159A KR102039829B1 KR 102039829 B1 KR102039829 B1 KR 102039829B1 KR 1020180073159 A KR1020180073159 A KR 1020180073159A KR 20180073159 A KR20180073159 A KR 20180073159A KR 102039829 B1 KR102039829 B1 KR 102039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ata
clothing
clothes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정훈
Original Assignee
(주)아이리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리녹스 filed Critical (주)아이리녹스
Priority to KR1020180073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위치의 이동이 자유로운 거치형 청정기 및 파지형 청정기를 통해 의류 보관실 내의 청정 취약 공간에 대한 미세먼지제거, 살균, 탈취 및 제습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고, 특히 거치형 청정기와 함께 설치되는 파지형 청정기를 통해 의류에 묻은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의류 보관실용 의류 청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류 보관실용 의류 청정 장치는, 의류 보관실 내에 위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 보관실 내의 공기로부터 미세먼지제거, 살균, 탈취 및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거치형 청정기와, 상기 거치형 청정기와 함께 의류 보관실 내에 위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의류 보관실 내의 공기 및 의류로부터 미세먼지제거, 살균, 탈취 및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파지형 청정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복합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IoT-based Multifold Function Connected Device for Clean Clothes and Clothes Cleaning Service System Using Same}
본 발명은 의류 청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와 관련된 일상생활공간의 미세먼지제거, 살균, 탈취 및 제습 기능을 통해 의류 청정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복합기능을 구비한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는 정리 정돈과 먼지 부착 방지 등을 위해 마련된 옷방이나 옷장에 행거나 옷걸이를 이용하여 걸어 보관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의류보관방법은 의류 보관실 내의 환경에 의해 의류에 습기가 존재하게 되고, 이런 상태에서 장시간 보관하게 되면 곰팡이가 생겨 의류가 손상된다.
또한,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밀폐된 공간에 의류를 장시간 보관할 경우 진드기 또는 세균들이 기생, 증식하게 되어 인체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의류에 냄새가 스며들어 착용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며, 최근에는 미세먼지의 발생으로 의류에 미세먼지가 묻은 상태로 보관되어 의류 보관실이 청결치 못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의류 관리기들이 제안되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9106호에는 옷장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 관리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한 케이스와 송풍장치를 포함하여 옷장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옷장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옷장의 내부로 공기를 배출하여 습하고 더운 날씨에도 옷장을 건조시켜 세균 증식을 방지하는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의류 관리기는 옷장 내의 천정이나 측벽에 설치되어 옷장 내의 공기를 흡입한 후 정화하여 다시 배출하는 것이므로, 의류 관리기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세균, 냄새 및 습기의 제거는 어느 정도 효과를 발휘하지만, 의류 관리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공간의 미세먼지제거, 살균, 탈취 및 제습 기능의 효율은 낮은 단점이 있으며, 특히 의류에 묻어 있는 미세먼지는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설치 위치의 이동이 자유로운 거치형 청정기 및 파지형 청정기를 통해 의류 보관실 내의 청정 취약 공간에 대한 미세먼지제거, 살균, 탈취 및 제습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고, 특히 거치형 청정기와 함께 설치되는 파지형 청정기를 통해 의류에 묻은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복합기능을 구비한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서의 본 발명은, 의류 보관실 내에 위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 보관실 내의 공기로부터 미세먼지제거, 살균, 탈취 및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거치형 청정기와, 상기 거치형 청정기와 함께 의류 보관실 내에 위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의류 보관실 내의 공기 및 의류로부터 미세먼지제거, 살균, 탈취 및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파지형 청정기를 구비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복합기능을 구비한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에 특징이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거치형 청정기는, 일측 벽면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박스형 케이스; 상기 박스형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공기를 공기흡입구로 흡입하여 공기배출기로 배출하기 위한 블로워; 상기 박스형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블로워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모터; 상기 박스형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박스형 케이스 내의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1 필터, 습기를 제거하는 제2 필터, 살균 및 냄새를 제거하는 제3 필터를 중첩시켜 배치한 필터유닛; 및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 구비되어 전동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로 이루어지는데 특징이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파지형 청정기는,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원통형의 상부통체와 하부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통체의 둘레면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하부통체 저면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 케이스;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하부통체 내에 설치되어 공기를 상부통체의 공기흡입구로 흡입하여 하부통체의 공기배출기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 상기 하부통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하부통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 상기 상부통체의 공기흡입구와 하부통체의 공기배출구 사이에 위치하여 하부통체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1 필터, 습기를 제거하는 제2 필터, 살균 및 냄새 제거하는 제3 필터를 중첩시켜 배치한 필터유닛; 및 상기 하부통체 구비되어 구동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로 이루어지는데 특징이 있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상부통체 내부에 회전 송풍을 위한 구조체를 더 구비한 의류 보관실용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인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거치형 청정기 및 상기 파지형 청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어보드를 더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제어보드는 사물인터넷을 위한 통신서브시스템이나 센서 모듈을 구비할 수 있고, 센서 모듈은 센서 노드들로 이루어지는 센서 네트워크에서 특정 센서 노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형 청정기 및 상기 파지형 청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특정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사물인터넷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와 다른 사물인터넷 장치나 호스트 장치 또는 인터넷 간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이 잘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게이트웨이는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내 장치들과 서버 사이의 신호 및 데이터를 양방향 통신으로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은,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거나 모니터링하는 서비스 플랫폼으로서, 다수의 거치형 청정기들, 다수의 거치형 청정기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기기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원격 관리 장치-여기서, 원격 관리 장치는 데이터 센터에 대응함-; 및 상기 원격 관리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기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는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기기 데이터는 구동모드, 사용패턴 등의 동작 데이터를 포함하고, 구현에 따라서 거치형 청정기나 파지형 청정기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센서 데이터에 포함되어 커넥티드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센서 데이터는 미세먼지농도, 필터교체알림, 디바이스 설치 공간의 대기질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원격 관리 장치는 사용자 패턴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원격 관리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통해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패턴 데이터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원격 관리 장치는 기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와 사용자 패턴 데이터를 조합하여 특정 환경에 대응하는 특정 값를 산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원격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이나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을 허용하고, 사용자 단말에 기기 상태 정보, 기기 사용 패턴 정보, 지역 대기 정보들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원격 관리 장치는 기기 데이터를 커스터마이징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맞춤형 데이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나 사용자 경험(UX)을 통해 모니터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원격 관리 장치 처리되는 데이터의 일부는 사용자 패턴 데이터와 실제 이용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필터 교체 주기 분석부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옷방이나 옷장과 같은 의류 보관실 내에 거치형 청정기와 파지형 청정기를 함께 설치하여 의류 보관실 내의 공기로부터 미세먼지제거, 살균, 탈취 및 제습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의류 보관실 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의류를 손상 없이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거치형 청정기와 파지형 청정기 모두 의류 보관실 내에서 위치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됨에 따라, 의류 보관실 내에서 습기가 많거나 곰팡이에 취약한 공간에 수시로 이동 배치함으로써 의류 보관실 내의 청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파지형 청정기는 의류 보관실 내에 배치하여 공기로부터 미세먼지제거, 살균, 탈취 및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이므로, 파지형 청정기를 사용자가 직접 집어들고 행거나 옷걸이에 걸려 있는 의류 표면에 접촉시켜 문지르는 것에 의해 의류 표면 또는 섬유조직 사이에 묻어 있는 미세먼지를 털어냄과 동시에 집중 흡입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고 의류를 더욱 청결하게 유지하여 재착용시 깨끗하고 쾌적한 느낌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며, 의류 외에도 신발, 가방, 모자, 침구류 등의 섬유제품군에 대하여도 청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이하 간략히 '의류 청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의류 청정 장치의 거치형 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거치형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의류 청정 장치의 파지형 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파지형 청정기의 상부통체와 하부통체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하부통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파지형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9는 도 8의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에 채용할 수 있는 의류 청정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10은 도 8의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인프라 파트에 채용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의 주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의류 보관실에 설치되는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의 예로서 옷장에 본 발명의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이하 간략히 '의류 청정 장치'라고도 한다)는, 거치형 청정기(100)와 파지형 청정기(200)를 구비하고, 옷장(10) 등에 수납될 수 있다.
거치형 청정기(100)는 대략 박스 형태의 외관을 구비하고 옷장 내의 바닥 선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파지형 청정기(200)는 긴 원통 형태의 외관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크기 또는 직경과 형태를 구비한다. 파지형 청정기(200)는 옷장 내 선반상에 용이하게 배치되도록 바닥 면적이 넓고 상면에 착탈홈을 구비한 받침대(200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파지형 청정기(200)는 받침대(200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거치형 청정기(100)와 파지형 청정기(200)는 모두 옷장의 선반 상에 올려놓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에 의해 옷장 내에서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거치형 청정기(100)와 파지형 청정기(200)는 옷장 내에서 습기나 곰팡이에 취약한 공간으로 선택 이동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옷장 내 미세먼지제거, 살균, 탈취 및 제습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1개의 거치형 청정기(100)를 가운데 배치하고 2개의 파지형 청정기(200)를 거치형 청정기(100)의 양쪽에 배치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거치형 청정기(100)와 파지형 청정기(200)의 배치 형태나 배치 개수는 의류 보관실의 내부 구조와 공간 사이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거치형 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거치형 청정기의 내부 구성 및 내부 구성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거치형 청정기(100)는, 옷장의 선반에 올려놓기 용이하도록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 박스형 케이스(110)를 구비한다. 박스형 케이스(110)의 일측 벽면(본 실시예에서는 정면)에는 다수의 작은 원형 구멍들로 이루어진 공기흡입구(111)가 배치되고, 박스형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작은 장방형 구멍들로 이루어진 공기배출구(112)가 배치되고, 박스형 케이스(110)의 공기흡입구(111) 상부에는 후술하는 전동모터(1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부(160)가 구비된다. 공기흡입구(111)를 형성하는 다수의 작은 원형 구멍들 중 적어도 일부의 크기는 옷장 내의 작은 물건이나 이물질이 흡입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이 좋다.
도 3을 참조하면, 박스형 케이스(110)에는 블로워(blower, 120), 전동모터(130), 전원공급부(140), 필터유닛(150) 등이 내장될 수 있다.
블로워(120)는 옷장 내의 공기를 공기흡입구(111)를 통해 흡입하여 공기배출구(212)로 배출하도록 설치된다. 블로워(120)는 그 하부에 설치된 전동모터(130)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블로워(120)의 회전축과 전동모터(130)의 축은 한 쌍의 벨트풀리와 벨트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기구(131)에 의해 연결된다.
전동모터(130)는 그 하부에 설치된 전원공급부(14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한다.
전원공급부(140)는 상용전원과 연결되는 커넥터, 상용전원을 원하는 전압이나 전류의 전원으로 변환하는 어댑터, 충전식 배터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유닛(150)는 박스형 케이스(110) 내에서 공기흡입구(111)와 공기배출구(112) 사이에 설치된다. 필터유닛(150)은 공기흡입구(111)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1 필터(151), 습기를 제거하는 제2 필터(152), 세균 및 냄새를 제거하는 제3 필터(15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필터(151), 제2 필터(152) 및 제3 필터(153)는 중첩되어 단일 블록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필터유닛(150)을 사용하면, 옷장 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 내 미세먼지 제거, 세균 살균, 탈취 및 제습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옷장 내 공기를 청정하고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파지형 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파지형 청정기의 상부통체와 하부통체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하부통체 내부에 설치된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4에 나타낸 파지형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형 청정기(200)는 원통형 케이스(210)를 구비하고, 원통형 케이스(210)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상부통체(210a)과 하부통체(2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원통형 케이스(210)는 사용자가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파지하기 쉬운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통체(210a)과 하부통체(210b)는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부통체(210a)는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구(211)를 구비한다. 공기흡입구(211)는 상부통체(210a) 둘레에 다수 형성한 작은 구멍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부통체(210b)는 상부통체(210a)의 공기흡입구(21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한다. 하부통체(210b)의 바깥면에는 후술하는 구동모터(230)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치부(260)가 구비된다.
또한, 하부통체(210b) 저면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작은 구멍들을 다수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공기배출구(212)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통체(210b)의 내부에는 공기를 상부통체(210a)의 공기흡입구(211)로 흡입하여 하부통체(210b)의 공기배출구(212)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220)이 설치된다.
송풍팬(220)은 그 하부에 설치된 구동모터(230)에 의해 회전하며, 이를 위해 구동모터(230)의 축에는 송풍팬(220)의 회전 중심부가 고정되어 구동모터(23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다. 하부통체(210b) 내부에는 구동모터(2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40)가 장착될 수 있고, 배터리(240)는 2차전지 또는 리튬이온전지로 이루어진 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또한, 하부통체(210b) 내부에는 필터유닛(250)이 구비된다. 필터유닛(250)은 상부통체(210a)의 공기흡입구(211)와 하부통체(210b)의 공기배출구(212)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흡입구(211)로 흡입되어 공기배출구(212)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 제거, 살균, 탈취 및 제습 기능을 수행한다. 필터유닛(250)은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1 필터(251), 습기를 제거하는 제2 필터(252), 세균 및 냄새를 제거하는 제3 필터(253)를 중첩시켜 배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파지형 청정기(200)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파지형 청정기(200)를 들고 의류의 외부를 쓸어내리거나 의류의 내부에 삽입하여 의류에 묻거나 의류 주변에 있는 먼지, 오염물질 등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통체(210a) 내부에는 의류의 섬유 조직 사이의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을 집중적으로 흡입하기 위한 압력 분산형 플로팅 노즐 구조체(270)가 구비되어 있다. 이 구조체(270)에 의하면, 상부통체(210a)의 공기흡입구(211)로 유입된 공기 내 먼지에 대해 1차적인 흡착 및 제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의류 청정 장치의 작용원리를 도 1 내지 도 7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형 청정기(100)와 파지형 청정기(200)를 의류 보관실, 예를 들어 옷장 내의 선반 상에 올려놓는 형태로 배치한다.
다음,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형 청정기(100)의 스위치부(160)를 조작하여 전동모터(130)를 구동하게 되면, 박스형 케이스(110) 내의 블로워(120)가 회전하여 옷장 내의 공기를 공기흡입구(111)로 흡입하고 공기배출구(112)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공기흡입구(111)와 공기배출구(112) 사이에 배치된 필터유닛(150)에 의해 공기가 정화된다. 여기서 필터유닛(150)의 제1 필터(151)에 포함된 헤파필터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제2 필터(152)에 포함된 흡습제에 의해 습기가 제거되며, 제3 필터(153)에 의해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25922) 등의 세균과 암모니아 성분 등에 의한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즉, 옷장 내부의 공기를 깨끗하게 정화하여 옷장 내부를 항상 청결하고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의류가 미세먼지, 습기, 곰팡이 및 냄새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형 청정기(100)의 양쪽에 배치된 파지형 청정기(200)를 사용하여 옷장 내 공기를 정화하거나 의류 주변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형 청정기(200)의 스위치부(260)를 조작하여 구동모터(230)를 구동하게 되면, 원통형 케이스(210)의 하부통체(210b) 내의 송풍팬(220)가 회전하여 옷장 내의 공기를 상부통체(210a)의 공기흡입구(211)로 흡입하여 하부통체(210b)의 공기배출구(212)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공기흡입구(211)와 공기배출구(212) 사이에 배치된 필터유닛(250)에 의해 공기가 정화된다. 여기서, 필터유닛(250)의 제1 필터(251)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제2 필터(252)에 의해 습기가 제거되며, 제3 필터(253)에 의해 세균 및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에 배치한 거치형 청정기(100)와 양쪽에 배치한 파지형 청정기(200)에 의해 옷장 내의 공기를 정화하여 의류를 보호할 수 있고, 또한 거치형 청정기(100)와 파지형 청정기(200)의 위치 이동이 자유로워 옷장 내의 취약 공간으로 이동하여 배치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있다.
한편, 최근에 미세먼지가 위험수준으로 발생하는 날이 많아짐에 따라, 외출 후 미세먼지가 묻은 상태의 의류를 옷장에 걸어 보관하게 되고, 이로써 옷장 내부가 미세먼지로 오염되지만, 상기와 같이 옷장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만으로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어렵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은 파지형 청정기(200)를 이용하여 의류의 표면이나 섬유조직 사이에 묻은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파지형 청정기(200)를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한 것이므로, 사용자가 하부통체(210b)를 손으로 파지하여 파지형 청정기(2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부통체(210a)의 공기흡입구(211)를 의류의 표면에 직접 접촉시켜 문지르게 되면 미세먼지가 이탈함과 동시에, 공기흡입구(211)를 통해 내부로 흡입되므로 필터유닛(250)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지형 청정기(200)에 의해서 의료 보관실 내의 공기뿐만 아니라, 의류에 묻은 미세먼지나 잡화 등의 국부에 위치하는 먼지나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의류나 잡화 등을 더욱 청결하게 보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은, 커넥티드 장치(100a), 서비스 인프라 파트(600) 및 데이터서버(610)를 포함한다. 데이터서버(610)는 서비스 인프라 파트(600)에 포함될 수 있다.
커넥티드 장치(100a)는 전술한 의류 청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 구성부를 포함하거나 의류 청정 장치의 한 실시 형태에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커넥티드 장치(100a)는 거치형 청정기를 포함하거나, 파지형 청정기를 포함하거나, 거치형 청정기와 파지형 청정기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커넥티드 장치(100a)는 제어보드, 센서 또는 이 둘 모두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티드 장치(100a)는 IoT 게이트웨이가 탑재된 제어보드를 통해 사용자 단말(500)이나 판매자 단말(400)에 연결되어 연동할 수 있다.
센서를 이용하면, 커넥티드 장치(100a)는 필터 부품(filter parts, 150a)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필터 부품의 상태나 수명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커넥티드 장치(100a)는 블로워 부품(120a)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블로워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티드 장치(100a)는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자외선 또는 광촉매 부품(150b)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광촉매 부품의 작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티드 장치(100a)는 센싱 부품(17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센싱 부품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티드 장치(100a)는 미세먼지 센싱 부품(151a)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미세먼지 센싱 부품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티드 장치(Connected Device, 100a)는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기기를 지칭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서비스는 수집되는 센서 데이터(D1)의 적어도 일부를 실시간 데이터 센터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티드 장치(100a)는 무선랜(WLAN), 및/또는 3G 등의 무선(wireless) 광대역 네트워크(WAN)와 연결되며, 이를 위해 통신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티드 장치(100a)는, 이머징 디바이스(Emerging Device),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네트워크 단말(Network Device) 등으로도 불릴 수 있고, 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의 범위와 인터넷 풀브라우징(Full Internet browsing)의 가능여부에 따라 다시 MID(Mobile Internet Device)와 CPD(Connected Portable Device)로 세분화될 수 있다.
MID(Mobile Internet Deivce)란 커넥티드 장치 중에서도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플랫폼(General Purpose Platform)을 탑재하고 있으며 웹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 풀브라우징 서비스가 가능한 장치 그룹을 지칭할 수 있다. 주요 MID 제품군으로는 스마트폰을 비롯해서 PMP(Portable 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video game handhelds), 넷북(Netbook2) 등이 이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CPD(Connected Portable Device)란 특정 기능의 수행에 최적화된 단말로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접속은 단말 고유의 기능을 개선 또는 증가시키기 위해 활용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예를 들면, 커넥티드 PND(Portable Navigation Device)의 경우 무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업데이트된 지도를 다운받거나, 관심 있는 지역의 데이터를 제공받는 등 기존 PND의 기능을 개선시키거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CPD는 용도에 따라 소비자용와 산업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소비자용 CPD는 PMP, 휴대용 게임기(video game handhelds), 디지털 카메라, PND(Potable Navigation Device), e-book reader 등이 있으며 산업용 CPD는 보안 단말, 계량기(utility meters) 등을 비롯, 헬스케어, 운송,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단말기들이 이에 속할 수 있다.
서비스 인프라 파트(600)는 커넥티드 장치(100a)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받고, 공공빅데이터 관리 시스템(700)의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의류 청정 장치로부터 판매자 시스템(400)을 통해 얻은 공공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 데이터는 커넥티드 장치(100a)에서 생성되는 미세먼지 관련 데이터, 공공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먼지 관련 데이터는 커넥티드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공기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공데이터는 의류 청정 장치의 사용자와 관련된 의류 세탁, 보관 등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공데이터는 의류 청정 장치의 판매자 시스템(400)을 통해 공공빅데이터 관리 시스템(700)에 저장되는 의류 청정 장치 자체 및 소모품 제공이나 관련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인프라 파트(600)는 커넥티드 장치(100a)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500)과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및 데이터는 커넥티드 장치(100a)와 관련된 정보, 알림,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인프라 파트(600)는 커넥티드 장치(100a)와 연동하며 커넥티드 장치의 구동을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인프라 파트(600)는 커넥티드 장치(100a)에서 센싱되는 데이터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인프라 파트(600)는 데이터 센터, 호스트 장치, 서버 장치 등의 구성부를 포함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로 지칭될 수 있다. 서비스 인프라 파트(600)는 의류 청정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관리 및 모니터링 솔루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서비스 인프라 파트(600)는 구동로그 모니터링 모듈, 푸시알림 서비스 모듈, IoT(internet of things) 게이트웨이(G/W) 원격 관리 모듈, 데이터 커스터 마이징 모듈, 기기 원격 설정 모듈, 데이터 조합 및 분석 모듈, 패턴 분석 모듈, 공공빅데이터 수집 모듈, 데이터 센터 IoT 플랫폼, 데이터 관리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G/W) 원격 관리 모듈, 데이터 커스터 마이징 모듈 및 기기 원격 설정 모듈은 데이터 센터 IoT 플랫폼 상에서 동작할 수 있고, 데이터 조합 및 분석 모듈, 패턴 분석 모듈 및 공공빅데이터 수집 모듈은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의해 제어 및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푸시알림 서비스 모듈은 센서 데이터에 포함된 의류 청정 장치의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의류 청정 장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에 푸시알림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푸시알림 서비스 모듈은 푸시알림 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별도의 메시지 서비스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인프라 파트(6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판매자 단말(400) 및 사용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서비스 인프라 파트(600)는 커넥티드 장치(100a)나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의류 세탁, 보관 등과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거나 수신하고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혹은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기설정 서비스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판매자 단말(400)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의류 세탁, 의류 보관 등에 대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인프라 파트(600)는 커넥티드 장치(100a)로부터의 센서 데이터에 포함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의류 청정 관련 정보, 알림, 의류 청정 장치 제어 등을 위한 서비스 관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서버(610)는 서비스 인프라 파트(600)에 포함되는 데이터 센터에 연결되어 데이터 센터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 센터의 질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센터에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서비스 인프라 파트(6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별도의 외부 장치(800)에 연결될 수 있고, 외부 장치(800)가 속한 부가가치망을 통해 의류 청정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에 채용할 수 있는 커넥티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드 장치(100a)는 제어부(180), 저장부(190) 및 통신 인터페이스(19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티드 장치(100a)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서비스 인프라(service infra) 또는 서비스 인프라 파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 또는 소비자 단말에 연결되고, 서비스 인프라 파트를 통해 판매자 단말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티드 장치(100a)의 제어부(180), 저장부(190) 및 통신 인터페이스(195)는 도 1 등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거치형 청정기(100)이나 파지형 청정기(200) 내 제어보드에 탑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의류 청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로서의 기본적인 기능 외에 커넥티드 장치(100a)가 IoT 게이트웨이(G/W)로서 기능하기 위하여 적어도 그 구성 일부가 해당 기능수단이나 구성부로 구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서비스 인프라 파트의 데이터 센터에 센서 데이터 또는 공공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센서 데이터는 서비스 인프라 파트에서 공공빅데이터의 일부로서 수집하는 공공 데이터를 포함하고 커넥티드 장치(100a)에서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부(180)는 메인 메모리 혹은 내장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나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스마트 미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는 처리할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register)와, 비교, 판단, 연산을 담당하는 산술논리연산장치(arithmetic logical unit, ALU)와, 명령어의 해석과 실행을 위해 CPU를 내부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유닛(control unit)과, 이들을 연결하는 내부 버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는 MCU(micro control unit)와 주변 장치(외부 확장 장치를 위한 집적회로)가 함께 배치되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90)는 커넥티드 장치의 제어를 위한 커넥티드 디바이스 제어 모듈(192), IoT 서비스에서 IoT 부품과의 연결 지원을 위한 IoT 서비스 연동 API 관리 모듈(194), 및 데이터 센터로의 센서 데이터의 제공을 위한 공공데이터 제공 모듈(196)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90)는 커넥티드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과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이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저장부(190)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on-volatile RAM, NVRAM), 대표적 휘발성 메모리인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광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는 스마트 미러 측에서 스마트 화장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외에 운영체제, 프로그램, 명령어 집합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95)는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95)는 IoT 서비스 연동 API를 통해 커넥티드 장치 내 센서, 블로워, 구동모터, 광촉매 부품, 미세먼지 센싱 부품 등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95)는 공공데이터 제공 모듈의 제어에 따라 공공데이터가 포함된 센서 데이터를 데이터 센터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유선 통신 서브시스템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네트워크, PES(PSTN Emulation Service)를 위한 서브시스템, IP(internet protocol)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수신기, RF 송신기, RF 송수신기, 광(예컨대, 적외선) 수신기, 광 송신기, 광 송수신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95)는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ET-A(LET-Advanced),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WiMax, Wi-Fi(Wireless Fidelity), Bluetoot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이나 판매자 단말은 단순한 살균, 탈취, 청정 기능에 더하여 데이터나 앱(APP)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와 상호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의류보관서비스, 세탁서비스 등의 서비스 관련 기술분야에 파급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인프라 파트에 채용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의 주요 작동원리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센터는, 커넥티드 장치의 센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커스터 마이징를 수행한다(S610). 본 단계(S610)는 센서 데이터 중 사용 패턴 분석에 사용한 일부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변환하거나 조합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커스터 마이징된 데이터나 이에 대응하는 공공데이터는 데이터 센터의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 등에 공개될 수 있다.
다음, 커스터 마이징된 데이터와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커넥티드 장치의 사용 패턴을 분석한다(S620). 공공데이터는 공공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얻은 공공빅데이터 중 특정 커넥티드 장치나 이와 관련된 커스터 마이징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추출된 데이터를 지칭한다. 공공데이터는 판매자 시스템을 통해 얻은 데이터에서 커넥티드 장치와 동일한 식별자를 가진 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 사용 패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커넥티드 장치에 대하여 기저장된 기기 원격 설정 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S630). 기기 원격 설정 데이터는 커넥티드 장치의 종류나 사양에 따라 혹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데이터 서버 등에 미지 저장된 커넥티드 장치의 동작과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데이터 센터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혹은 커넥티드 장치의 요청에 따라 가장 최근에 저장된 기기 원격 설정 데이터를 커넥티드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S640). 이 경우, 커넥티드 장치는 기기 원격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영관리 정책이나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고 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의류 청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의 센서 데이터와 공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커넥티드 장치의 사용 패턴을 수집하고 이에 기초하여 커넥티드 장치를 실시간 효과적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거치형 청정기 110 : 박스형 케이스
111,211 : 공기흡입구 112,212 : 공기배출구
120 : 블로워 130 : 전동모터
140 : 전원공급부 150,250 : 필터유닛
151,251 : 제1 필터 152,252 : 제2 필터
153, 253 : 제3 필터 160,260 : 스위치부
200 : 파지형 청정기 210 : 원통형 케이스
220 : 송풍팬 230 : 구동모터
270 : 구조체 600 : 서비스 인프라 파트(데이터 센터)

Claims (6)

  1.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의류 보관실 내에 위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 보관실 내의 공기로부터 미세먼지제거, 살균, 탈취 및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거치형 청정기와, 상기 거치형 청정기와 함께 의류 보관실 내에 위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의류 보관실 내의 공기 및 상부통체의 공기흡입구를 의류의 표면에 직접 접촉시켜 의류로부터 미세먼지제거, 살균, 탈취 및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파지형 청정기로 이루어지는 의류 보관실용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가,
    서브통신시스템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센터로 전송하는 IoT 게이트웨이가 탑재되는 제어보드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의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센서 데이터 및 공공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하고 의류 청정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관리 및 모니터링 솔루션을 제공하며, 판매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서비스 인프라 파트와 연동하고,
    상기 서비스 인프라 파트는,
    상기 센서 데이터에 대한 커스터 마이징을 수행하고,
    커스터 마이징된 데이터와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센서 데이터에 대응하는 특정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사용 패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에 대하여 기저장된 기기 원격 설정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에 혹은 상기 특정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가장 최근에 저장된 기기 원격 설정 데이터를 상기 특정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에 제공하고,
    특정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로부터의 센서 데이터에 포함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 의류 청정 관련 정보, 알림, 제어를 위한 서비스 관련 메시지를 푸시알림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자 단말에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형 청정기는,
    일측 벽면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박스형 케이스;
    상기 박스형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공기를 공기흡입구로 흡입하여 공기배출기로 배출하기 위한 블로워;
    상기 박스형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블로워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모터;
    상기 박스형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박스형 케이스 내의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1 필터, 습기를 제거하는 제2 필터, 살균 및 냄새를 제거하는 제3 필터를 중첩시켜 배치한 필터유닛; 및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 구비되어 전동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형 청정기는,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원통형의 상부통체와 하부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통체의 둘레면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하부통체 저면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 케이스;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하부통체 내에 설치되어 공기를 상부통체의 공기흡입구로 흡입하여 하부통체의 공기배출기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
    상기 하부통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하부통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
    상기 상부통체의 공기흡입구와 하부통체의 공기배출구 사이에 위치하여 하부통체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1 필터, 습기를 제거하는 제2 필터, 살균 및 냄새 제거하는 제3 필터를 중첩시켜 배치한 필터유닛; 및
    상기 하부통체에 구비되어 구동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상부통체 내부에는 의류의 섬유 조직 사이의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을 집중적으로 흡입하기 위한 압력 분산형 플로팅 노즐 구조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73159A 2018-06-26 2018-06-26 사물인터넷 기반의 복합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 KR102039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159A KR102039829B1 (ko) 2018-06-26 2018-06-26 사물인터넷 기반의 복합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159A KR102039829B1 (ko) 2018-06-26 2018-06-26 사물인터넷 기반의 복합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829B1 true KR102039829B1 (ko) 2019-11-27

Family

ID=6872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159A KR102039829B1 (ko) 2018-06-26 2018-06-26 사물인터넷 기반의 복합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6388A1 (en) *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025A (ko) * 2005-04-21 200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의 탈취필터 구조
KR20160059245A (ko) * 2014-11-18 2016-05-26 신재운 착용한 의류와 신발의 살균 및 미세먼지 흡입 제거장치
KR20160074731A (ko) * 2014-12-17 2016-06-29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 및 공기청정기 제어 방법
JP2017109158A (ja) * 2015-12-15 2017-06-22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清浄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025A (ko) * 2005-04-21 200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의 탈취필터 구조
KR20160059245A (ko) * 2014-11-18 2016-05-26 신재운 착용한 의류와 신발의 살균 및 미세먼지 흡입 제거장치
KR20160074731A (ko) * 2014-12-17 2016-06-29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 및 공기청정기 제어 방법
JP2017109158A (ja) * 2015-12-15 2017-06-22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6388A1 (en) *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20908B (zh) 空气净化器、空气净化系统以及控制空气净化系统的方法
US6149038A (en) Suit hanger with air freshener
KR20110067864A (ko) 의류세척장치
KR101710184B1 (ko) 먼지털이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성 옷장
US11566800B2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system
KR102039829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복합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청정 커넥티드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의류 청정 서비스 시스템
CN112788948A (zh) 用于宠物的多屋
CN103142177B (zh) 一种毛巾循环干手机
KR100630408B1 (ko) 먼지제거 및 살균기능을 가지는 옷장
KR20160089669A (ko) 만능 옷장
JP2000070055A (ja) 衣服収納ロッカー
CN211245472U (zh) 一种便于移动的体育器械收纳装置
KR102101243B1 (ko) 의류 건조 및 의류처리 장치
CN110673361B (zh) 一种眼镜的批量清洗和杀菌储存装置
KR101639063B1 (ko) 일체형 탈취 포대를 이용한 휴대용 스타일러
CN205192131U (zh) 一种试管干燥箱
CN205234992U (zh) 环保竹纤维日用品清洁消毒装置
KR20160059245A (ko) 착용한 의류와 신발의 살균 및 미세먼지 흡입 제거장치
KR20140107876A (ko) 신발 살균 및 건조기
CN208562857U (zh) 洗护系统
KR20170033657A (ko) 침구류 및 의류 다기능 살균장치
CN205649668U (zh) 一种吸痰管消毒固定装置
CN108224742A (zh) 一种空调室内机清洗杀菌方法及装置
TWI587827B (zh) 自走式清掃吸塵過濾裝置
CN209268947U (zh) 鞋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