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355B1 - 기둥형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하는 수상 구조물 - Google Patents

기둥형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하는 수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355B1
KR102039355B1 KR1020170118299A KR20170118299A KR102039355B1 KR 102039355 B1 KR102039355 B1 KR 102039355B1 KR 1020170118299 A KR1020170118299 A KR 1020170118299A KR 20170118299 A KR20170118299 A KR 20170118299A KR 102039355 B1 KR102039355 B1 KR 102039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column
coupled
dec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0825A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동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산업(주) filed Critical 동신산업(주)
Priority to KR1020170118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35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기둥형 부력체들에 형성된 기둥을 통해 그물을 걸 수 있고, 추락 방지를 위한 펜스로 활용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기둥형 부력체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둥형 부력체는 오목한 형태의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 기둥부를 포함하는 제1 부력부, 오목한 형태의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력부과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부력부 및 상기 제1 부력부 및 상기 제2 부력부들 각각의 내부에 인서트 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들 각각의 내부에 인서트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상부와이어들을 각각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둥형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하는 수상 구조물{BUOY ASSEMBLY AND FLOA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기둥형 부력체에 관한 것으로, 양식장의 그물을 걸 수 있고, 일반용도로 사용 시 펜스로 사용될 수 있는 기둥이 형성된 기둥형 부력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부력체는 수상에서 가두리 양식장의 그물을 고정하고 데크를 배치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수면에 부상한 상태로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위해 사용된다.
최근에는 양식장의 데크를 지지하고, 다양한 종류의 수상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지만, 그물을 걸거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펜스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5549호는 조립식 부력체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3504호는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그물을 걸거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기둥이 설치된 부력체들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부력체들에 형성된 기둥을 통해 그물을 걸 수 있고, 추락 방지를 위한 펜스로 활용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기둥형 부력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둥형 부력체는 오목한 형태의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 기둥부를 포함하는 제1 부력부, 오목한 형태의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력부과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부력부 및 상기 제1 부력부 및 상기 제2 부력부들 각각의 내부에 인서트 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들 각각의 내부에 인서트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상부와이어들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 각각의 내부에 인서트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하부와이어들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부와이어들 각각의 상부 양측에는 측면 및 상부체결너트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상부와이어들 각각의 상부에는 한 쌍의 상부체결너트들 및 측면체결너트가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 구조물은 복수의 기둥형 부력체들, 상기 기둥형 부력체들을 연결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기둥형 부력체들 각각에 결합되며 연장되는 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형 부력체들 각각은 오목한 형태의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 기둥부를 포함하는 제1 부력부, 오목한 형태의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력부과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부력부 및 상기 제1 부력부 및 상기 제2 부력부들 각각의 내부에 인서트 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들 각각의 내부에 인서트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상부와이어들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들 각각은 상기 데크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데크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들 각각을 사이에 두고 상기 데크와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들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들 각각의 상단과 밀착 결합되는 상단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들 각각의 하단에 밀착 결합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 각각의 상부면과 밀착되고,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형 부력체들 및 프레임부들 각각은 상기 데크의 양측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부교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는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연결되어 사각 또는 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데크의 상부에서 상기 기둥형 부력체들 각각을 연결하는 로드들이 서로 교차 결합되며 형성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태양광 발전하는 발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둥형 부력체는 일측에 기둥이 형성되어 기둥에 그물을 걸 수 있고, 수상구조물을 지지하는 일반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펜스로 활용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둥형 부력체는 하부에 십자 형태로 형성된 받침대가 형성되어 원통형으로 지면에 세워질 수 있고, 기둥형 부력체의 양측에 파이프 형태의 프레임을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형 부력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둥형 부력체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기둥형 부력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의 사시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의 사시도.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둥형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하는 수상 구조물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형 부력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기둥형 부력체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2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 부력체(100)는 제1 부력부(200), 제2 부력부(300) 및 체결부(350)를 포함한다.
기둥형 부력체(100)는 별도의 기둥이 형성되어 그물을 걸 수 있고, 수상구조물을 지지하는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기둥을 추락 방지를 위한 펜스로 활용할 수 있으며, 수상 또는 해양에서 양식장의 시설물이나 다양한 종류의 부력이 필요한 구조물에 결합되어 시설물 또는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제1 부력부(200)는 제1 바디(220) 및 제1 기둥부(240)를 포함한다.
제1 부력부(200)는 제2 부력부(300)와 결합하여 기둥형 부력체(100)를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수상 또는 해양에서 부력을 통해 부유가 가능하며, 고분자 또는 발포성 고분자로 형성되어 중량이 낮고 성형성이 우수하다.
제1 바디(220)는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제1 기둥부(240)는 일단이 제1 바디(220)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2 부력부(300)는 제2 바디(320) 및 제2 기둥부(340)를 포함한다.
제2 바디(320)는 제1 바디(220)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2 기둥부(340)는 일단이 제2 바디(320)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1 바디(220) 및 제2 바디(320)가 서로 면결합되면 기둥형 부력체(100)의 저면에는 십자 형태의 바닥면을 가진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를 통해 기둥형 부력체(100)를 원통형으로 지면에 세울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력부(200, 300)들 각각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바디(220, 320)들 각각의 사이에 외부의 공간과 차단된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기둥부(240, 340)들 각각의 사이에도 외부의 공간과 차단된 밀폐된 복수의 공간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기둥형 부력체(100)는 내부에 외부의 공간과 차단된 복수의 공간들과 제1 부력부(200) 및 제2 부력부(300) 자체 소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마이크로~밀리미터 단위의 복수의 기공들을 통해 수상에서 부유할 수 있는 부력을 얻게된다.
체결부(350)는 체결유닛(351, 352, 353, 354, 355)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체결유닛(351, 352, 353, 354)들은 제2 바디(320)의 상단 및 하단 양측 각각을 관통하여 제1 바디(220)의 상단 및 하단 양측 각각과 결합되고, 체결유닛(355)은 제1 기둥부(240)의 상단을 관통하여 제2 기둥부(240)의 상단과 결합된다.
따라서, 기둥형 부력체(100)는 복수의 체결유닛(351, 352, 353, 354, 355)들을 통해 제1 부력부(200) 및 제2 부력부(300)들 각각이 면결합되는 위치를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제1 및 제2 부력부(200, 300)들 각각을 결합시켜 기둥형 부력체(100) 내부의 공간을 밀폐시킨다.
제1 바디(220) 및 제2 바디(320)들이 체결유닛(351, 352, 353, 354)들 각각을 통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바디(320)의 상단 양측에 위치하는 체결유닛(351, 352)들 각각의 상부에는 제1 바디(220) 및 제2 바디(320)들 각각의 오목한 부분이 서로 결합되어 제1 및 제2 결합홈(10, 20)들 각각이 형성된다.
제1 결합홈(10)은 제1 및 제2 기둥부(240, 340)들 각각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2 결합홈(20)은 제1 및 제2 바디(220, 320)들 각각이 결합된 상태의 상부면을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바디(220, 320)의 타측 상단에 형성된다.
제3 결합홈(30)은 제1 및 제2 기둥부(240, 340)들 각각이 체결유닛(355)을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결합홈(10)과 동일한 수직선상의 상단에 제1 기둥부(240) 및 제2 기둥부(340)들 각각의 오목한 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제3 결합홈(30)이 형성된다.
복수의 기둥형 부력체(100)들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하여 부교, 가두리 양식장 또는 다양한 수상 구조물로 사용되는 경우 제1 내지 제3 결합홈(10, 20, 30)들 각각에 일부분이 밀착되는 파이프 형태의 프레임을 밀착시키고 볼트를 통해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제1 내지 제3 결합홈(10, 20, 30)들 각각에 형성된 너트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결합홈(10, 20, 30)들에 밀착된 프레임은 수상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해 기둥형 부력체(100)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도 1의 기둥형 부력체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 부력체(100)는 제1 지지부(400) 및 제2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400)는 제1 하부와이어(420) 및 제1 상부와이어(44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400) 및 제2 지지부(500)들 각각은 제1 부력부(200) 및 제2 부력부(300)들 각각의 내부에 인서트 되는 와이어로 구성된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부력부(200, 300)들 각각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제1 하부와이어(420)는 제1 바디(220)의 내부에 인서트되도록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 모서리들에는 외부의 데크 또는 수상구조물들과 볼트 결합시킬 수 있도록 측면체결너트(50) 및 상부체결너트(60)가 각각 결합된다.
제1 하부와이어(420)가 제1 바디(2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기둥부(240)와 인접한 제1 하부와이어(420)의 일측 모서리에 결합되는 측면체결너트(50)는 제1 바디(220)의 내부에서 제1 결합홈(10)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상부체결너트(60)는 제1 기둥부(240)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1 바디(220)의 상부면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제1 결합홈(10)에 밀착 결합되는 수상 구조물의 프레임을 측면체결너트(50)를 통해 기둥형 부력체(100)와 볼트 고정시킬 수 있고, 제1 바디(220)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수상구조물을 상부체결너트(60)를 통해 볼트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하부와이어(420)가 제1 바디(2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결합홈(20)과 인접한 제1 하부와이어(420)의 타측 모서리에 결합되는 측면체결너트(50)는 제1 바디(220)의 내부에서 제2 결합홈(2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체결너트(60)는 제2 결합홈(20)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1 바디(220)의 상부면으로 노출된다.
제1 상부와이어(440)는 제1 기둥부(240)의 내부에 인서트 되고, 일단은 제1 하부와이어(420)의 상단 일측 모서리에 결합되고 타단은 한 쌍의 제1 와이어들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1 상부와이어(440)의 타단에 결합되는 측면체결너트(50)는 한 쌍의 상기 제1 와이어들을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상기 제1 와이어들과 결합되고, 제1 기둥부(240)의 내부에서 제3 결합홈(3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제1 상부와이어(440)의 타단에 결합되는 상부체결너트(60)들 각각은 상기 제1 와이어들 각각에 결합되어 제1 기둥부(240)의 내부에서 제1 기둥부(240)의 상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측면체결너트(50)를 통해 제3 결합홈(30)에 결합되는 수상구조물의 프레임을 볼트결합시킬 수 있고, 제1 기둥부(240)의 상단에 위치하는 수상구조물의 경우 상부체결너트(60)들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지지부(500)는 제2 하부와이어(520) 및 제2 상부와이어(540)를 포함한다.
제2 하부와이어(520)는 제2 바디(320)의 내부에 인서트되도록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 모서리들에는 외부의 데크 또는 수상구조물들과 볼트 결합시킬 수 있도록 측면체결너트(50) 및 상부체결너트(60)가 각각 결합된다.
제2 하부와이어(520)가 제2 바디(3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기둥부(340)와 인접한 제2 하부와이어(520)의 일측 모서리에 결합되는 측면체결너트(50)는 제2 바디(320)의 내부에서 제1 결합홈(10)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상부체결너트(60)는 제2 기둥부(340)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2 바디(320)의 상부면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제1 결합홈(10)에 일부가 삽입되는 수상 구조물의 프레임을 측면체결너트(50)들을 통해 기둥형 부력체(100)와 볼트 고정시킬 수 있고, 제1 및 제2 바디(220, 320)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수상구조물을 상부체결너트(60)들을 통해 견고하게 볼트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하부와이어(520)가 제2 바디(3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결합홈(20)과 인접한 제2 하부와이어(420)의 타측 모서리에 결합되는 측면체결너트(50)는 제2 바디(320)의 내부에서 제2 결합홈(2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체결너트(60)는 제2 결합홈(20)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2 바디(320)의 상부면으로 노출된다.
제2 상부와이어(540)는 제2 기둥부(340)의 내부에 인서트 되고, 일단은 제2 하부와이어(520)의 상단 일측 모서리에 결합되며 타단은 한 쌍의 제2 와이어들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2 상부와이어(540)의 타단에 결합되는 측면체결너트(50)는 한 쌍의 상기 제2 와이어들을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상기 제2 와이어들과 결합되고, 제2 기둥부(340)의 내부에서 제3 결합홈(3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제2 상부와이어(540)의 타단에 결합되는 상부체결너트(60)들 각각은 상기 제2 와이어들 각각에 결합되어 제2 기둥부(340)의 내부에서 제2 기둥부(340)의 상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측면체결너트(50)를 통해 제3 결합홈(30)에 결합되는 수상구조물의 프레임을 볼트결합시킬 수 있고, 제2 기둥부(340)의 상단에 위치하는 수상구조물의 경우 상부체결너트(60)들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600)은 원형으로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며 제1 및 제2 기둥부(240, 340)들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형 부력체(100)들, 기둥형 부력체(100)들을 연결 및 결합시키는 프레임부(620) 및 데크(640)를 포함한다.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600)은 가두리 양식장과 같은 수상구조물에 사용되고, 프레임부(620) 및 데크(640)들은 기둥형 부력체(100)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기둥형 부력체(100)들 각각과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수상에 부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크(640)는 제1 및 제2 바디(220, 320)들 각각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장자리는 제1 및 제2 기둥부(240, 340)들을 사이에 두고 프레임부(620)와 이격되도록 기둥형 부력체(100)들과 결합되어 원형으로 형성된다.
데크(640)의 내측 가장자리는 기둥형 부력체(100)들 각각의 제1 및 제2 기둥부(240, 340)들 각각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제1 및 제2 기둥부(240, 340)들 각각과 인접한 상부체결너트(60)들 및 제2 결합홈(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상부체결너트(60)들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프레임부(620)는 하단프레임(622) 및 상단프레임(624)을 포함한다.
하단프레임(622)은 파이프형태로 형성되고, 원형으로 배치된 기둥형 부력체(100)들 각각의 제1 결합홈(10)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측면체결너트(50)들을 통해 기둥형 부력체(100)들과 볼트 결합된다.
상단프레임(624)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원형으로 배치된 기둥형 부력체(100)들 각각의 제3 결합홈(30)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측면체결너트(50)들을 통해 기둥형 부력체(100)들과 볼트 결합된다.
따라서, 기둥형 부력체(100)들은 하단프레임(622) 및 상단프레임(624)들을 통해 수상에서 원형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제1 및 제3 결합홈(10, 30)들 각각을 통해 하단프레임(622) 및 상단프레임(624)들 각각과 밀착되어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6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데크(640)는 프레임부(620), 제1 및 제2 기둥부(240, 340)들 각각이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600)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과도한 중량이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600)의 내측에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6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6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800)은 데크(840), 프레임부(820) 및 발전프레임(860)을 제외하면 도 5의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6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800)은 기둥형 부력체(100), 프레임부(820), 발전부(870) 및 발전프레임(860)을 포함한다.
기둥형 부력체(100)들은 사각형 형태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데크(840)는 기둥형 부력체(100)들 각각의 제1 바디(220) 및 제2 바디(320)들 각각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된다.
데크(840)의 내측 가장자리는 기둥형 부력체(100)들 각각의 제1 및 제2 기둥부(240, 340)들 각각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제1 및 제2 기둥부(240, 340)들 각각과 인접한 상부체결너트(60)들 및 제2 결합홈(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상부체결너트(60)들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프레임부(820)는 하단프레임(824) 및 상단프레임(822)을 포함한다.
하단프레임(822)은 파이프형태로 형성되고, 사각형으로 배치된 기둥형 부력체(100)들 각각의 제1 결합홈(10)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측면체결너트(50)들을 통해 기둥형 부력체(100)들과 볼트 결합된다.
상단프레임(824)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사각형으로 배치된 기둥형 부력체(100)들 각각의 제3 결합홈(30)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측면체결너트(50)들을 통해 기둥형 부력체(100)들과 볼트 결합된다.
따라서, 기둥형 부력체(100)들은 하단프레임(822) 및 상단프레임(824)들을 통해 수상에서 원형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제1 및 제3 결합홈(10, 30)들 각각을 통해 하단프레임(822) 및 상단프레임(824)들 각각과 밀착되어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8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데크(840)는 프레임부(820), 제1 및 제2 기둥부(240, 340)들 각각이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800)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과도한 중량이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800)의 내측에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8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발전프레임(860)은 데크(840)의 상부에서 기둥형 부력체(100)들 각각을 연결하는 로드 형태의 프레임들이 서로 교차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발전프레임(860)의 상부에는 태양광 패널들로 구성된 발전부(870)가 결합된다.
발전프레임(860)의 프레임의 단부들 각각은 제1 및 제2 기둥(240, 340)들 각각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체결너트(60)들을 통해 기둥형 부력체(100)들 각각과 견고하게 결합되고, 제1 및 제2 기둥(240, 340)들 각각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상부와이어(440, 540)들을 통해 발전프레임(86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800)은 기둥형 부력체(100)들 각각의 제1 및 제2 기둥(240, 340)들 각각이 데크(840)의 상부로 돌출되어 데크(840)를 이동하는 사람들이 제1 및 제2 기둥(240, 340)들 각각을 연결하는 상단프레임(822)을 손잡이로 활용할 수 있고, 발전부(870)를 지지하는 구조로 활용될 수 있어 기둥형 부력체(100)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구조물들을 장착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900)은 프레임부(920) 및 데크(940)를 제외하면 도 5의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6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900)은 기둥형 부력체(100)들, 프레임부(920) 및 데크(940)를 포함한다.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900)은 기둥형 부력체(100)들 각각이 데크(940)를 사이에 두고 데크(940)의 양측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데크(94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데크(940)와 상부체결너트(60)들을 통해 제1 및 제2 바디(220, 320)들 각각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프레임부(920)는 하단프레임(922), 상단프레임(924) 및 내부프레임(926)을 포함한다.
하단프레임(922)들 각각은 데크(9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기둥형 부력체(100)들 각각의 제1 결합홈(10)들에 일부분이 삽입되고, 제1 결합홈(10)들 각각에 형성되는 측면체결너트(50)들에 결합되어 기둥형 부력체(100)들을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결합시킨다.
상단프레임(924)들 각각은 데크(9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기둥형 부력체(100)들 각각의 제3 결합홈(30)들 각각에 일부분이 삽입되고, 제3 결합홈(30)들 각각에 형성되는 측면체결너트(50)들에 결합되어 기둥형 부력체(100)들을 일직선으로 배열시킨다.
또한, 내부프레임(926)들 각각은 데크(9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기둥형 부력체(100)들 각각의 제2 결합홈(20)들 각각에 일부분이 삽입되고, 제2 결합홈(20)들 각각에 형성되는 측면체결너트(50)들에 결합되어 기둥형 부력체(100)들을 일직선으로 배열한다.
따라서, 기둥형 부력체(100)들 각각은 프레임부(920)를 통해 데크(94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견고하게 데크(940)와 결합되고, 부교의 형태로 형성되는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900)에 있어서 데크(940)의 가장자리에 손잡이들 또는 안전 펜스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기둥형 200: 제1 부력부
300: 제2 부력부 400: 제1 지지부
500: 제2 지지부
600, 800, 900: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구조물

Claims (7)

  1. 오목한 형태의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 기둥부를 포함하는 제1 부력부;
    오목한 형태의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력부과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부력부; 및
    상기 제1 부력부 및 상기 제2 부력부들 각각의 내부에 인서트 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들 각각의 내부에 인서트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상부와이어들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형 부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 각각의 내부에 인서트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하부와이어들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부와이어들 각각의 상부 양측에는 측면 및 상부체결너트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상부와이어들 각각의 상부에는 한 쌍의 상부체결너트들 및 측면체결너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형 부력체.
  3. 복수의 기둥형 부력체들, 상기 기둥형 부력체들을 연결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기둥형 부력체들 각각에 결합되며 연장되는 데크;를 포함하는 수상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 부력체들 각각은,
    오목한 형태의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 기둥부를 포함하는 제1 부력부;
    오목한 형태의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력부과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부력부; 및
    상기 제1 부력부 및 상기 제2 부력부들 각각의 내부에 인서트 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들 각각의 내부에 인서트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상부와이어들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들 각각은 상기 데크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데크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들 각각을 사이에 두고 상기 데크와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들 각각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 각각의 상부면과 밀착되고,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 구조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 부력체들 및 프레임부들 각각은,
    상기 데크의 양측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부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 구조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는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연결되어 사각 또는 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데크의 상부에서 상기 기둥형 부력체들 각각을 연결하는 로드들이 서로 교차 결합되며 형성되는 발전 프레임; 및
    상기 발전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태양광 발전하는 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형 부력체를 이용하는 수상 구조물.

KR1020170118299A 2017-09-15 2017-09-15 기둥형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하는 수상 구조물 KR102039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299A KR102039355B1 (ko) 2017-09-15 2017-09-15 기둥형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하는 수상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299A KR102039355B1 (ko) 2017-09-15 2017-09-15 기둥형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하는 수상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825A KR20190030825A (ko) 2019-03-25
KR102039355B1 true KR102039355B1 (ko) 2019-11-01

Family

ID=6590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299A KR102039355B1 (ko) 2017-09-15 2017-09-15 기둥형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하는 수상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3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954B1 (ko) 2008-12-01 2011-02-08 남정훈 태양전지 어레이 설치용 부유식 구조물
KR200473387Y1 (ko) 2013-03-24 2014-07-10 김도영 부잔교, 해상쓰레기 집하장으로 이용되는 해상구조물
KR101636748B1 (ko) 2015-11-19 2016-07-07 세창이피에스(주) 어업용 부구
KR101684568B1 (ko) 2016-03-14 2016-12-08 아진기공 주식회사 개량형 플로팅 폰툰 지주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873B1 (ko) * 2011-12-15 2013-11-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양식장용 차양막
KR101561255B1 (ko) * 2014-02-10 2015-10-16 동신산업(주) 조립식 폰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954B1 (ko) 2008-12-01 2011-02-08 남정훈 태양전지 어레이 설치용 부유식 구조물
KR200473387Y1 (ko) 2013-03-24 2014-07-10 김도영 부잔교, 해상쓰레기 집하장으로 이용되는 해상구조물
KR101636748B1 (ko) 2015-11-19 2016-07-07 세창이피에스(주) 어업용 부구
KR101684568B1 (ko) 2016-03-14 2016-12-08 아진기공 주식회사 개량형 플로팅 폰툰 지주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825A (ko)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2518B1 (en) Base assemblies to support photovoltaic panels
EP3075648B1 (en) Marine float structure composed of multiple floats
KR101134524B1 (ko) 압착형 부표식 태양광 발전장치
KR20110090528A (ko) 플로트 및 부속물 조립구조
KR101180822B1 (ko) 논슬립 패널이 부착된 조립식 폰툰
JP2011162017A (ja) 人工島
US20050198730A1 (en) Floating swimming pool apparatus
KR101273537B1 (ko) 부력보강부재가 구비된 푼툰을 이용한 부유해상구조물
KR200455681Y1 (ko) 부유체 롤링피칭 제어 브라켓
KR102039355B1 (ko) 기둥형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하는 수상 구조물
KR101616689B1 (ko) 해양플랫폼
KR20140012263A (ko) 해상구조물 지지용 부유 플랫폼
KR20130058425A (ko) 부력지붕을 구비한 낚시배
KR101282156B1 (ko) 수상 인공 수영장
KR20120007987U (ko) 양식장용 플로트
KR200409137Y1 (ko) 레저 선박용 정박시설
KR100762519B1 (ko) 레저 선박용 정박시설
RU2546362C1 (ru) Модульное плавсредство
RU97336U1 (ru) Модуль для сборных плавучих конструкций (мспк)
RU2659315C1 (ru) Конструкционные элементы пластикового понтона
KR200471954Y1 (ko) 부유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흔들림을 감소시키는 웨이트
KR20090016802A (ko)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US20100175607A1 (en) Floating Aquatic Platform Structure
KR102186820B1 (ko) 앵커식 플로팅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2168603B1 (ko) 부력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