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283B1 -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and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and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283B1
KR102039283B1 KR1020187008885A KR20187008885A KR102039283B1 KR 102039283 B1 KR102039283 B1 KR 102039283B1 KR 1020187008885 A KR1020187008885 A KR 1020187008885A KR 20187008885 A KR20187008885 A KR 20187008885A KR 102039283 B1 KR102039283 B1 KR 102039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ir conditioner
module
top cover
cov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8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8854A (en
Inventor
더칭 리
하이위안 진
시안운 멩
샤오홍 치
차오신 왕
롱텡 판
거 우
준화 야오
용쳉 장
쉔건 첸
윤슈 장
위량 린
칭허 쩡
리 웬
지에 양
Original Assignee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filed Critical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Publication of KR20180048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8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2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parallelly-movabl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8Treatment of condensate, e.g. steril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절장치 본체(200)의 상단 꼭대기 개구(22)에 설치되는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100)에 있어서, 상단덮개모듈(100)의 상단 위치에 공동(113)이 형성되며 상단덮개모듈(100)과 공기조절장치 본체(200)의 상단 사이에 공기배출구(5)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조절장치를 더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단덮개모듈 상부에서의 응축물의 생성을 줄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100 installed in the top top opening 22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200, the cavity 113 is formed at the top position of the top cover module 100 and the top An air outlet 5 is formed between the cover module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200. And further provides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condensate on the top cover module.

Description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 및 공기조절장치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and air conditioner

본 출원은 2015년 9월 11일에 중국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가 201510579382.2이고 발명명칭이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 및 공기조절장치"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모든 내용을 인용하는 방식으로 본 출원에 도입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the priority of the Chinese patent application filed with the Chinese Patent Office on September 11, 2015, the application number of 201510579382.2, and the name of the invention is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and air conditioner", and cites all its contents. It is introduced in this application in a way.

기술분야Field of technology

본 발명은 공기조절장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조절장치의 상단덮개모듈 및 상기 상단덮개모듈이 장착된 공기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echnical field of th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top cover module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top cover module.

공기조절장치, 예를 들어 에어컨 또는 공기정화기는 일반적으로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포함하고 기존의 공기조절장치의 상단덮개는 대부분 고정된 패널모양이고 공기배출구는 일반적으로 공기조절장치의 측벽에 설치되며 외관이 딱딱하고 아름답지 못하며 공기조절장치에 의하여 형성된 기류 온도와 외부 환경중의 공기 온도 사이에 온도 차이가 존재할 경우, 공기배출구 주변에 쉽게 응축물이 형성되고 응축물이 떨어져서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게 되며 사용자의 사용감을 하강시킨다.An air conditioner, such as an air conditioner or air purifier, generally includes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The top cover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s mostly a fixed panel, and the air outlet is generally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air conditioner. If the appearance is hard and beautiful, and there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flow temperature formed by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ir temperature in the external environment, condensate is easily formed around the air outlet, and the condensate falls off, making the user uncomfortable. Lower user experience.

기존의 공기조절장치의 공기배출구의 크기는 고정된 것이고 그릴의 회전을 통하여 공기배출구의 바람의 크기와 방향을 조절하고 구조가 복잡하다. 그리고 공기배출구를 닫는 별도의 문 구조가 필요하여 제어 과정과 전반 구조가 모두 복잡하다.The size of the air outlet of the existing air conditioner is fixed and the structure of the air outlet is complicated by adjusting the size and direction of the win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grille. In addition, a separate door structure for closing the air outlet is required, and thus both the control process and the overall structure are complicated.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245578호(2013.12.09)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3-245578 (2013.12.09)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공기배출구 주변의 응축물의 생성을 유효하게 줄일 수 있는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 및 대응되는 공기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and a corresponding air conditioner that can effectively reduce the production of condensate around the air outle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르면, 공기조절장치 본체의 상단 꼭대기 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덮개모듈의 상단 위치에 공동(cavity)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덮개모듈과 상기 본체의 상단 사이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vity is formed in the top top opening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and a cavity is formed in the top position of the top cover module, and an air outlet is formed between the top cover module and the top of the body. The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is provided.

상기 공동이 밀폐형 공동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red that the cavity is a hermetic cavity.

상기 상단덮개모듈이 상단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덮개는 상부덮개와 상하단이 개구된 원통형의 안내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안내커버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커버의 상단개구를 봉쇄하고 상기 공동이 상기 상부덮개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p cover module includes a top cover, the top cover includes a cylindrical guide cover of the upper cover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the upper cover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guide cover to seal the top opening of the guide cover Preferably, the cavity is formed in the top cover.

상기 공동에 장식구조 및/또는 표시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decorative structure and / or a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the cavity.

상기 상단덮개모듈의 반경방향 가장자리 위치에 가열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heating device is installed at a radial edge position of the top cover module.

상기 상부덮개가 상부덮개 상부패널과 상부덮개 하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 상부패널과 상부덮개 하부패널은 서로 스냅결합되고 그 내부에 상기 공동이 형성되는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부덮개 상부패널과 상부덮개 하부패널은 별도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upper cover includes an upper cover upper panel and an upper cover lower panel, and the upper cover upper panel and the upper cover lower panel are snap-coupled with each other, and the cavity is formed therein, and the upper cover upper panel and The upper cover lower panel is preferably formed separately or integrally.

상기 안내커버의 상단은 경사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안내커버의 상단은 뒤쪽이 앞쪽보다 높고 상기 상부덮개는 경사지게 놓여진 상태이고 뒤쪽이 앞쪽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end of the guide cover is preferably formed in an inclined shape, the upper end of the guide cover is higher than the front, the upper cover is preferably inclined and the rear is higher than the front.

상기 안내커버 측벽의 종방향 단면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나팔 모양이고 나팔 모양의 큰단부 개구는 공기조절장치의 상단에 위치하고 소단부 개구는 상기 본체 상단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guide cover is a trumpet shape gradually widen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 trumpet-shaped large end opening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small end opening is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top of the main body. desirable.

상기 상단덮개가 상하 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op cover is movable up and down.

상기 안내커버내의 상기 상부덮개 하측에 위치하는 공동에 상기 상단덮개를 구동하여 승강시키는 승강기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n elevating mechanism is installed in the cavity located below the upper cover in the guide cover to drive and lift the upper cover.

상기 상단덮개가 최하단 위치까지 이동하였을 경우, 상기 상단덮개는 상기 본체의 꼭대기 개구를 봉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top cover is moved to the lowest position, the top cover is preferably able to seal the top opening of the body.

상기 안내커버의 반경방향 내측과 상기 승강기구의 반경방향 외측에 승강기구 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커버의 소단부 개구가 상기 승강기구 케이스의 외벽에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is installed o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guide cover and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elevating mechanism, and the opening of the small end of the guide cover overlaps the outer wall of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상기 안내커버의 소단부 개구와 승강기구 케이스의 외벽 사이에 밀폐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a sealing ring is provided between the small end opening of the guide cover and the outer wall of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상기 안내커버의 소단부 개구에 반경방향 안쪽 가장자리가 설치되고 상기 밀폐링이 상기 반경방향 안쪽 가장자리의 반경방향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radially inner edge is provided at the small end opening of the guide cover and the sealing ring is installed at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radially inner edge.

상기 승강기구 케이스에 밀폐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밀폐구조는 환형으로 차례로 연결된 안내커버 밀폐부, 승강기구 케이스 밀폐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밀폐구조를 상기 승강기구 케이스에 고정시키고 상기 안내커버 밀폐부는 최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안내커버가 최상단까지 슬라이딩하였을 경우, 상기 안내커버 밀폐부와 승강기구 케이스 밀폐부는 상기 안내커버의 하단과 승강기구 케이스 사이의 밀폐를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sealing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and the sealing structure includes a guide cover sealing portion, an elevating mechanism case sealing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which are sequentially connected in an annular shape, and the fixing portion fixes the sealing structure to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and the When the guide cover seal is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and the guide cover slides to the top, the guide cover seal and the lift mechanism case seal are preferably realiz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guide cover and the lift mechanism case.

상기 승강기구 케이스는 분리되어 형성되고 서로 연결된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밀폐구조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includes a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which are formed separately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aling structure is preferably installed between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상기 밀폐구조는 차례로 연결된 하부 밀폐부, 고정부, 상부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 또는 상부 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밀폐구조를 고정시키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상부 밀폐부의 내벽에 따라 상하로 기밀성 슬라이딩을 할 수 있고,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하부 밀폐부의 내벽을 따라 상하로 기밀성 슬라이딩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aling structure includes a lower sealing part, a fixing part, and an upper sealing part which are connected in turn, and the fixing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case or the upper case to fix the sealing structure, and the upper case is disposed up and dow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upper sealing part.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tight sliding can be carried out, or the lower case can perform airtight sliding up and dow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lower sealing part.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르면, 상단덮개모듈과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단에 꼭대기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덮개모듈은 상기 꼭대기 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덮개모듈과 상기 본체의 상단 사이에 송풍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단과 상부덮개모듈의 반경방향 바깥쪽 가장자리 사이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공기조절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cover module and the main body, the top opening is form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is the top cover module is installed in the top opening and between the top cover module and the top of the main body It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passage is formed and an air vent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body and the radially outer edge of the upper cover module.

상기 꼭대기 개구와 상기 상단덮개모듈의 상단은 경사지게 설치되어 앞쪽이 낮고 뒤쪽이 높은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op opening and the top of the top cover module are inclined so that the front is low and the rear is high.

상기 송풍통로의 크기가 변경가능하고, 및/또는 상기 공기배출구의 크기가 변경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blow passage is changeable and / or the size of the air outlet is changeable.

본 출원에 있어서, 상단덮개모듈의 상단에 가까운 위치에 별도의 공동을 형성하고 이러한 공동을 설치함으로써 공기조절장치 내에서 발생되는 냉풍을 감소시킬 수 있고 심지어 공기조절장치 내에서 발생된 냉풍이 상단덮개모듈의 상단 위치로 들어가는 것을 피면할 수 있으며 상단덮개모듈 상부에 생성되는 응축물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공동 내에 가열장치를 설치하여 응축물의 생성을 진일보로 줄일 수 있다. 진일보로, 상기 공동 내에 장식구조 또는 표시장치를 설치하여 공기조절장치의 외관이 더욱 아름다워 지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더욱 쉽게 공기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by forming a separate cavity in the position close to the top of the top cover module and installing such a cavity can reduce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and even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top cover Entering the top position of the module can be avoided and condensate generated on the top cover module can be reduced efficiently.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generation of condensate by installing a heater in the cavity. Further, by installing a decorative structure or a display device in the cavity to make the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more beautiful and the user can more easily grasp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하기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장점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과 본체를 연결시킨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상단덮개가 상승 위치에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상단덮개가 상승 위치에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상단덮개가 하강 위치에 있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connecting the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and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upper cover is in the elevated position).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ver is in the raised position).
6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ver is in the lowered position).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로 표시한다. 도면이 명확하도록 각 부분을 비례에 맞추어 표시하지 않았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each figure,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For the sake of clarity, the parts are not shown to scale.

여기서, 본 출원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대하여 본체(200)의 바닥으로부터 상단덮개모듈(100)로 연장되는 방향을 상부로 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하부로 한다. 또한, 도 5중의 꼭대기 개구(22) 위치의 가장 낮은 부분이 처한 일측을 앞쪽으로 하고 위치의 가장 높은 부분이 처한 일측을 뒤쪽으로 한다. Here, the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00 to the upper cover module 100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in the present application to the upper side and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lower side. In addition, one side where the lowest part of the position of the top opening 22 in FIG. 5 faces in front, and one side where the highest part of the position faces in the back.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형 공기조절장치는 상단덮개모듈(100)과 본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200)에 공기흡입구(21)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200) 내부에 메인 공기통로와 바람발생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200)의 상단에 꼭대기 개구(22)가 형성되고, 본 출원중의 상단덮개모듈(100)은 상기 본체(200)의 상단의 꼭대기 개구(22)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200)의 상단과의 사이에 송풍통로(4)와 공기배출구(5)를 형성한다(도 4를 참조). As shown in FIG. 5, the vertical typ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upper cover module 100 and a main body 200, and an air inlet 21 is formed in the main body 200, and the main body inside the main body 200. Air passages and wind generators (not shown) are installed. The top opening 22 is form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200, and the top cover module 100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stalled at the top opening 22 at the top of the main body 200 and of the main body 200. A blow passage 4 and an air discharge port 5 are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upper end (see Fig. 4).

도 2,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의 상기 상단덮개모듈(100) 상단에 가까운 위치에 독립된 공동(113)이 형성되고, 상기 공동(113)은 밀폐형 공동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공동(113)은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의 바깥쪽 가장자리 내측을 통하여 공기조절장치 내에서 생성된 냉/열 기류, 특히 냉 기류와 유효하게 격리되어 상단덮개모듈(100)의 반경방향 바깥쪽 가장자리에서의 응축물의 생성을 유효하게 줄일 수 있다.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의 꼭대기는 앞이 낮고 뒤가 높은 모양이고, 즉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의 뒤쪽 높이는 앞쪽 높이를 초과하고 이것에 의하여 공기조절장치의 외관이 아름다워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단덮개모듈(100)의 꼭대기에 설치된 장치를 조작하거나 관찰하는데 편리하다.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의 측벽의 종방향 단면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나팔 모양이고 이러한 나팔 모양의 큰단부는 공기조절장치의 꼭대기에 위치하고 소단부, 즉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의 하단은 상기 본체(200)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and 4, an independent cavity 113 is formed at a position close to an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module 100 of the upper cover module 100, and the cavity 113 is preferably a closed cavity. Do. As a result, the cavity 113 is effectively isolated from the cold / heat air gen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in particular the cold air, through the inner side of the outer edge of the top cover module 100, and thus the radius of the top cover module 100. The production of condensate at the outer edge of the direction can be effectively reduced. The top of the top cover module 100 has a low front and a high back shape, that is, the rear height of the top cover module 100 exceeds the front height, thereby making the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beautiful as well as the top of the user. It is convenient to operate or observe the device installed on top of the cover module (100).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top cover module 100 is a trumpet shape gradually widen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such a trumpet-shaped large end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air conditioner, that is, the top cover module ( The lower end of the 10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200.

도 2,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중의 상단덮개는 상부덮개(11)와 안내커버(12)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커버(12)는 대체적으로 상하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이며 상기 상부덮개(11)는 상기 안내커버(12)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커버(12)의 상단개구를 봉쇄한다. 상기 상부덮개(11)는 상부덮개 상부패널(111)과 상부덮개 하부패널(112)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 상부패널(111)과 상부덮개 하부패널(112)은 서로 스냅결합되며 그 내부에 상기 공동(1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공동(113)이 밀폐형 공동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덮개(11)의 상단면 및 안내커버(12)가 상단 부분에 접근하여 공기조절장치 내부의 냉풍과 격리되여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에서 응축물이 형성되는 것을 유효하게 줄일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 상부패널(111)과 상부덮개 하부패널(112)은 별도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2 and 4, in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top cover of the top cover module 100 includes an upper cover 11 and a guide cover 12, and the guide cover 12 is generally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cylindrical and the upper cover 11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cover 12 to block the top opening of the guide cover 12. The upper cover 11 includes an upper cover upper panel 111 and an upper cover lower panel 112, and the upper cover upper panel 111 and the upper cover lower panel 112 are snap-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inside Preferably, the cavity 113 is formed, and the cavity 113 is preferably formed as a hermetic cavity. As a resul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1 and the guide cover 12 approach the upper portion and are isolated from the cold air inside the air conditioner,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the formation of condensate on the upper cover module 100. have. The upper cover upper panel 111 and the upper cover lower panel 112 may be formed separately or integrally.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동(113)중에 장식구조(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장식구조는 장식용 그림, 장식용 패턴, 장식용 조명 등 여러 가지 장식구조일 수 있고 세로형 공기조절장치 외관의 미감을 높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공동(113)내에 표시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장치는 스크린 또는 조명장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상부덮개(11)에서 관련되는 공기조절장치 작동 및/또는 설정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더욱 직관적으로 공기조절장치의 작동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동(113)이 밀폐형 공동으로 형성될 경우, 이러한 장식구조와 표시장치의 노화 또는 파손을 유효하게 줄일 수 있고 공기조절장치 내의 냉풍이 이러한 장식구조와 표시장치의 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공기조절장치에서 생성되는 냉풍 또는 열풍이 상기 상단덮개모듈 내부에 진입하여 상기 상부덮개(11)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조절장치 상단에서의 응축물 생성을 유효하게 줄일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a decorative structure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cavity 113, the decorative structure may be a variety of decorative structures, such as decorative pictures, decorative patterns, decorative lighting and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of the vertical air conditioner It can increase. Alternatively, a display device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cavity 113, and the display device may be a screen or a lighting devic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reby operating and / or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associated with the top cover 11. In addition, by displaying the setting information, the user can more intuitively understand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When the cavity 113 is formed as a hermetic cavit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aging or breakage of the decorative structure and the display device, and to reduce the influence of cold air in the air conditioner on the decorative structure and the display device structure. have.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d air or hot air generated by the air condition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upper cover module to enter the inside of the upper cover 11 and effectively reduce the generation of condensate at the top of the air conditioner. have.

응축물 생성을 진일보로 줄이기 위하여,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의 반경방향 가장자리 위치에 가열장치(115)가 설치되고 상기 가열장치(115)는 전열선 등 통상적인 가열구조일 수 있고 상단덮개모듈(100)의 가장자리에 정체된 응축물을 유효하게 제거하여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장치(115)는 상기 상부덮개 상부패널(111)의 내측의 반경방향 가장자리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In order to further reduce the generation of condensate, the heating device 115 is installed at the radial edge position of the top cover module 100 and the heating device 115 may be a conventional heating structure such as a heating wire and the top cover module ( The condensate stagnated at the edge of 100 can be effectively removed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heating device 115 may be installed at a radial edge position of an inner side of the upper cover upper panel 111.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커버(12) 측벽의 종방향 단면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나팔 모양이고 이러한 나팔 모양의 큰단부 개구는 공기조절장치의 꼭대기에 위치하고 소단부 개구는 상기 본체(200)의 상단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안내커버(12)의 상단은 경사 모양으로 형성되고 뒤쪽이 앞쪽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상기 상부덮개(11)는 경사지게 놓여진 상태이고, 구체적으로는 뒤쪽이 높고 앞쪽이 낮은 상태이다. 이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쉽게 상기 상부덮개 상부패널(111)상의 장식용 패턴 또는 표시 정보를 볼 수 있게 되고 세로형 공기조절장치의 외관의 미감을 높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200)의 상단에 장착용 패드(23)가 설치되고 본 출원중의 상단덮개모듈(100)의 하단은 상기 장착용 패드(23)에 고정되어 연결된다. 1 to 3, in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longitudinal cross s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guide cover 12 is a trumpet shape that gradually widen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is trumpet-shaped large end opening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small end opening is loca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top of the main body 200. The upper end of the guide cover 12 is preferably formed in an inclined shape and the rear is formed higher than the front. At the same time, the upper cover 11 is in an inclined state, specifically, the rear is high and the front is low.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see the decorative pattern or the display information on the upper cover upper panel 111 and may enhance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of the vertical air conditioner. Specifically, the mounting pad 23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200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ver module 100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ixedly connected to the mounting pad 2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통로(4)는 상기 안내커버(12) 측벽과 상기 본체(200) 상단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송풍통로(4)의 개도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중의 상단덮개는 승강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안내커버(12)내의 상기 상부덮개(11) 하측에 위치하는 공동(121)에 승강기구(13)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구(13)는 기어 래크 구조 또는 나사 나사축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승강기구(13)에 의하여 상기 안내커버(12)에 따라 상기 상부덮개(11)가 함께 상기 세로형 공기조절장치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송풍통로(4)의 외부 개구, 즉 상기 세로형 공기조절장치의 공기배출구(5)의 크기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고 세로형 공기조절장치의 공기배출량 및 배출 방향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서로다른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구(5)가 상기 본체(20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커버(12)와 상부덮개(11)가 최하단 위치로 이동하였을 경우, 상기 상부덮개(11)는 상기 본체(200)의 꼭대기 개구(22)를 덮고 상기 본체(200)의 꼭대기 개구(22)를 봉쇄할 수 있다(도 6을 참조). 세로형 공기조절장치가 비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상단덮개를 하강시켜 상단덮개를 상기 꼭대기 개구(22)를 덮음으로써 공기조절장치의 외관이 전체적으로 더욱 완벽해지고 먼지, 기타 이물질 등이 공기조절장치 내부로 진입하여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심지어 공기조절장치의 정상 작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사용 상태일 경우, 공기조절장치 공기배출구의 크기를 수시로 조절하여 서로다른 송풍 속도 및 방향을 형성하여 자연 바람을 모방한 쾨적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송풍통로(4)가 종방향 설치 상태임으로 기류가 상기 본체(200)내에서 상부로 상기 송풍통로(4)를 통과하여 주변환경에 부유한 이물질이 공기조절장치 내부에 떨어지지 않고 상기 송풍통로(4)로 배출되는 기류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구(5)에서 조향되어 높은 곳의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고 사용자의 몸에 직접 배출되지 않아 사용자의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air passage 4 is formed between the side wall of the guide cover 12 and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200. In order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air passage 4,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top cover of the top cover module 100 is a structure capable of lifting. The lifting mechanism 13 is installed in the cavity 121 positioned below the upper cover 11 in the guide cover 12, and the lifting mechanism 13 may have a gear rack structure or a screw screw shaft structure. By the elevating mechanism 13, the upper cover 11 may mov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rtical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guide cover 12. The outside opening, that is, the size of the air outlet 5 of the vertical air conditioner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air discharge amount 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vertical air conditioner can be easily adjusted and can satisfy different requirements. The air outlet 5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200. In the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guide cover 12 and the upper cover 11 is moved to the lowermost position, the upper cover 11 covers the top opening 22 of the main body 200 and the main body 200. The top opening 22 of can be sealed (see FIG. 6). When the vertical air conditioner is not in use, the top cover is lowered to cover the top opening 22 so that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is more complete, and dust, other foreign matter, etc. are inside the air conditioner. To avoid contaminating the environment or even affect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When in use, the size of the air conditioner air outlet can be adjusted from time to time to form different blowing speeds and directions to form a suitable air flow that mimics natural wind, and the blow passage 4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stalled state, the airflow passes through the blowing passage 4 upwardly in the main body 200, so that foreign matters floating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o not fall into the air conditioner and are discharged to the blowing passage 4 according to the airflow. Steering at the air outlet (5) is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of the high place and can not be directly discharged to the user's body can improve the user experienc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커버(12)의 반경방향 내측의 상기 공동(121) 주변에 승강기구 케이스(14)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커버(12)의 소단부 개구는 상기 승강기구 케이스(14)의 외벽에 겹쳐지며, 상기 안내커버(12)의 소단부 개구와 승강기구 케이스(14)의 외벽 사이에 밀폐링(12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밀폐링(120)은 상기 안내커버(12)의 소단부 개구에 고정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안내커버가 상하로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공동(121)을 포함한 상기 안내커버(12) 내부의 공동이 외부와 기밀성있게 격리되어 공기조절장치 내부에서 형성된 냉 기류 또는 열 기류와 격리되어 상기 공기조절장치 내부에서 형성된 냉 기류 또는 열 기류가 상기 공동(121)내로 들어갈 수 없게 되고 이러한 냉 기류 또는 열 기류가 승강기구(13)내의 모터, 리드 스위치 등 모터 부품에 영향을 주고 승강기구(13)의 정상적인 작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피면한다. As shown in FIG. 2, a lift mechanism case 14 is installed around the cavity 121 i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guide cover 12, and the opening of the small end of the guide cover 12 is the lift mechanism case. Overlaid on the outer wall of (14),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ring 120 is provided between the small end opening of the guide cover 12 and the outer wall of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14, the sealing ring 120 is It may be fixed to the small end opening of the guide cover 12, whereby when the guide cover slides up and down, the cavity inside the guide cover 12 including the cavity 121 is hermetically isolated from the outside It is isolated from the cold or hot air flow formed in the air conditioner, and thus the cold or hot air flow formed in the air conditioner cannot enter the cavity 121, and the cold or hot air flows in the elevating mechanism 13. Motor, leads It affects the engine parts, such as value and blooms to affect normal operation of the lift mechanism (13).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 케이스(14)에 밀폐구조(143)가 설치된다. 상기 밀폐구조(143)는 환형으로 차례로 연결된 안내커버 밀폐부(1431), 승강기구 케이스 밀폐부(1432), 고정부(143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433)는 상기 밀폐구조(143)를 상기 승강기구 케이스(14)에 고정시킨다. 상기 안내커버 밀폐부(1431)는 최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밀폐구조(143)의 하단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커버(12)는 소단부 개구에 반경방향 안쪽 가장자리(12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반경방향 안쪽 가장자리(122)는 상기 안내커버(12)의 내부로 연장되고 이러한 상황하에서 상기 밀폐링(120)은 상기 반경방향 안쪽 가장자리(122)의 반경방향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안내커버(12)가 상기 승강기구(13)의 구동하에 최상단 위치에 슬랑이딩하였을 경우, 상기 반경방향 안쪽 가장자리(122)의 상단면은 상기 안내커버 밀폐부(1431)에 접촉되어 상기 안내커버(12) 내부의 공간을 진일보로 봉쇄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 케이스 밀폐부(1432)는 상기 밀폐구조(143)의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커버 밀폐부(1431)와 승강기구 케이스 밀폐부(1432)는 함께 상기 안내커버(12)의 하단과 승강기구 케이스(14) 사이를 봉쇄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in a preferred embodiment, a sealing structure 143 is provided in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14. The sealing structure 143 includes a guide cover sealing part 1431, an elevating mechanism case sealing part 1432, and a fixing part 1433, which are sequentially connected in an annular shape, and the fixing part 1433 defines the sealing structure 143. It is fixed to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14). The guide cover sealing part 1431 is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preferably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structure (143). The guide cover 12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adially inner edge 122 in the small end opening, the radially inner edge 122 extends into the interior of the guide cover 12 and the seal under such circumstances. Ring 120 is installed radially inward of the radially inner edge 122. When the guide cover 12 is slan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under the driving of the elevating mechanism 13,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radially inner edge 122 contacts the guide cover sealing part 1431 to guide the guide. The space inside the cover 12 may be further sealed off.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sealing part 1432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sealing structure 143 and the guide cover sealing part 1431 and the lifting mechanism case sealing part 1432 together with the lower end of the guide cover 12 and the elevator The old case 14 is sealed off.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 케이스(14)는 분리되어 형성되고 서로 연결된 하부 케이스(141)와 상부 케이스(142)를 포함하며 상기 밀폐구조(143)는 상기 하부 케이스(141)와 상부 케이스(14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141)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42)는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142)의 상단이 상기 상부덮개(11)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부덮개(11)는 안내커버(12)에 고정 연결되며 이것에 의하여 승강기구 케이스(14)내에 설치된 승강기구(13)는 상기 상부 케이스(142)를 구동시켜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덮개(11)와 안내커버(1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송풍통로(4)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공기조절장치가 작동중에는 상기 상단덮개를 상승시켜 상기 송풍통로(4)와 공기배출구(5)를 개방하고 공기조절장치가 중단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상단덮개를 하강시켜 상기 공기배출구(5)를 닫고 상기 송풍통로(4)를 닫을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lifting mechanism case 14 includes a lower case 141 and an upper case 142 which are formed separately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aling structure 143 is the lower case 141 and the upper case. Installed between the 142 is fixed to the lower case (141). The upper case 142 is connected to the upper cover module 100,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se 142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ver 11, the upper cover 11 is guide The elevating mechanism 13 installed in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14 by being fixedly connected to the cover 12 drives the upper case 142 to move up and down to allow the upper cover 11 and the guide cover 12 to be moved. It can move up and down and adjust the size of the blow passage (4), and while the air conditioner is in operation to raise the top cover to open the blow passage (4) and the air outlet (5) and the air regulator When stopped, the upper cover can be lowered to close the air outlet 5 and close the air passage 4.

공기조절장치는 작동 과정, 특히 냉동 작동과정에 공기배출구 부근에 응축물이 쉽게 발생하고 심지어 물방울이 떨어져 사용자의 사용 체험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본 출원에 있어서 상단덮개모듈의 상단에 독립된 공동을 형성하고 이러한 공동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조절장치 내에서 생성되는 냉풍을 줄이고 진일보로 공기조절장치 내에서 생성된 냉풍이 상단덮개모듈의 상단에 가까운 위치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단덮개모듈 상측에서 생성되는 응축물을 유효하게 줄이고, 또한 공동 내에 가열장치를 설치하여 응축물의 생성을 진일보로 줄일 수 있다. 진일보로, 상기 공동 내에 장식구조 또는 표시장치를 설치하여 공기조절장치의 외관이 더욱 아름다워지고 사용자가 쉽게 공기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The air conditioner is easy to produce condensate near the air outlet during the operation process, especially during the refrigeration operation and even drops of water, which affects the user's experience. In the present application, an independent cavity is formed at the top of the top cover module. And by forming such a cavity to reduce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and further prevent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to enter the position close to the top of the top cover module and is generated from the top cover module Effectively reducing the condensate and further reducing the production of condensate by installing a heater in the cavity. Further, by installing a decorative structure or a display device in the cavity, the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becomes more beautiful and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마지막으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이고 실시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설명에 기반하여 기타 방식의 변화 또는 변경을 가져올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는 모든 실시형태를 설명할 필 수 없고 모두 설명할 필요도 없다. 이로부터 얻은 자명한 변화 또는 변경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Finally, the above examples are merely examples for clearly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embodiments.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changes or variations may be made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not necessary to describe all the embodiments here, and it is not necessary to describe all the embodiments. Obv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obtained therefrom are also included 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9)

공기조절장치 본체(200)의 상단 꼭대기 개구(22)에 설치되는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100)에 있어서,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의 상단 위치에 공동(113)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덮개모듈(100)과 상기 본체(200)의 상단 사이에 공기배출구(5)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의 반경방향 가장자리 위치에 가열장치(115)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이 상단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덮개는 상부덮개(11)와 상하단이 개구된 원통형의 안내커버(1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덮개(11)는 상기 안내커버(12)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커버(12)의 상단개구를 봉쇄하고 상기 공동(113)이 상기 상부덮개(11)내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커버(12)내의 상기 상부덮개(11) 하측에 위치하는 공동(121)에 상기 상부덮개(11) 및 안내커버(12)를 구동하여 승강시키는 승강기구가 설치되어 공기조절장치가 사용 상태인 경우, 상기 공기배출구(5)의 크기를 수시로 조절하며,
상기 안내커버(12)의 반경방향 내측과 상기 승강기구의 반경방향 외측에 승강기구 케이스(14)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커버(12)의 소단부 개구가 상기 승강기구 케이스(14)의 외벽에 겹쳐지고,
상기 승강기구 케이스(14)에 밀폐구조(143)가 설치되고 상기 밀폐구조(143)는 환형으로 차례로 연결된 안내커버 밀폐부(1431), 승강기구 케이스 밀폐부(1432), 고정부(143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433)는 상기 밀폐구조(143)를 상기 승강기구 케이스(14)에 고정시키고 상기 안내커버 밀폐부(1431)는 최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안내커버(12)가 최상단까지 슬라이딩하였을 경우, 상기 안내커버 밀폐부(1431)와 상기 승강기구 케이스 밀폐부(1432)는 상기 안내커버(12)의 하단과 상기 승강기구 케이스(14) 사이의 밀폐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
In the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100 installed in the top top opening 22 of the air conditioner body 200,
A cavity 113 is formed at an upper position of the upper cover module 100, and an air outlet 5 is formed between the upper cover module 100 and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200.
The heating device 115 is installed at the radial edge position of the top cover module 100,
The top cover module 100 includes a top cover, the top cover includes a top cover 11 and a cylindrical guide cover 12 of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opened, and the top cover 11 is the guide cover 12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eal to close the top opening of the guide cover 12 and the cavity 113 is formed in the upper cover 11,
A lift mechanism for driving the upper cover 11 and the guide cover 12 to move up and down is installed in the cavity 121 positioned below the upper cover 11 in the guide cover 12, so that the air conditioner is in use. In the case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air outlet (5) from time to time,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14 is installed i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guide cover 12 and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elevating mechanism, and the small end opening of the guide cover 12 overlaps the outer wall of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14. ,
A sealing structure 143 is installed on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14, and the sealing structure 143 includes a guide cover sealing portion 1431, an elevating mechanism case sealing portion 1432, and a fixing portion 1433 which are sequentially connected in an annular shape. The fixing part 1433 fixes the sealing structure 143 to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14, and the guide cover sealing part 1431 is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and the guide cover 12 slides to the uppermost part. In this case, the guide cover sealing part 1431 and the lifting mechanism case sealing part 1432 are air-conditio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guide cover 12 and the lifting mechanism case 14. Device top cover mod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동(113)이 밀폐형 공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ir cavity upper co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vity 113 is a hermetic cavity.
삭제delete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공동(113)에 장식구조가 설치되거나, 표시장치가 설치되거나, 장식구조와 표시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ecoration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cavity 113,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the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orative structure and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11)가 상부덮개 상부패널(111)과 상부덮개 하부패널(112)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 상부패널(111)과 상부덮개 하부패널(112)은 서로 스냅결합되고 그 내부에 상기 공동(11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덮개 상부패널(111)과 상부덮개 하부패널(112)은 별도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cover 11 includes an upper cover upper panel 111 and the upper cover lower panel 112, the upper cover upper panel 111 and the upper cover lower panel 112 is snapped to each other and therein The cavity 113 is formed, the upper cover upper panel 111 and the upper cover lower panel 112 is formed separately or integrally the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커버(12)의 상단은 경사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커버(12)의 상단은 뒤쪽이 앞쪽보다 높고 상기 상부덮개(11)는 경사지게 놓여진 상태이고 뒤쪽이 앞쪽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end of the guide cover 12 is formed in an inclined shape, the upper end of the guide cover 1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is higher than the front and the upper cover 11 is inclined and the rear is higher than the front.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커버(12) 측벽의 종방향 단면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나팔 모양이고 나팔 모양의 큰단부 개구는 공기조절장치의 상단에 위치하고 소단부 개구는 상기 본체(200) 상단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guide cover 12 is a trumpet shape gradually widen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 trumpet-shaped large end opening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small end opening is at the top of the main body 200. Air regulator upper co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close 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11) 및 안내커버(12)가 상하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cover 11 and the guide cover 12 is an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up and down.
삭제delet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11) 및 안내커버(12)가 최하단 위치까지 이동하였을 경우, 상기 상부덮개(11) 및 안내커버(12)는 상기 본체(200)의 꼭대기 개구(22)를 봉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n the upper cover 11 and the guide cover 12 is moved to the lowest position, the upper cover 11 and the guide cover 12 can seal the top opening 22 of the main body 200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커버(12)의 소단부 개구와 상기 승강기구 케이스(14)의 외벽 사이에 밀폐링(1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ring 120 is installed between the small end opening of the guide cover 12 and the outer wall of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안내커버(12)의 소단부 개구에 반경방향 안쪽 가장자리(122)가 설치되고 상기 밀폐링(120)이 상기 반경방향 안쪽 가장자리(122)의 반경방향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ally inner edge 122 is installed in the small end opening of the guide cover 12 and the sealing ring 120 is installed radially inward of the radially inner edge 122. Top cover modul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 케이스(14)는 분리되어 형성되고 서로 연결된 하부 케이스(141)와 상부 케이스(142)를 포함하며, 상기 밀폐구조(143)는 상기 하부 케이스(141)와 상부 케이스(142)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장치 상단덮개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mechanism case 14 includes a lower case 141 and an upper case 142 that are separately form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aling structure 143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case 141 and the upper case 142. Air regulator top cov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상단덮개모듈(100)과 본체(200)를 포함하는 공기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은 청구항 1, 2, 5 내지 8, 10, 12, 13, 15 중의 임의의 한 항에 기재된 상단덮개모듈이고, 상기 본체(200)의 상단에 꼭대기 개구(22)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은 상기 꼭대기 개구(22)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덮개모듈(100)과 상기 본체(200)의 상단 사이에 송풍통로(4)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200)의 상단과 상부덮개모듈(100)의 반경방향 바깥쪽 가장자리 사이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장치.
In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top cover module 100 and the main body 200,
The top cover module 100 is the top cover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to 8, 10, 12, 13, 15, the top opening 22 is form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200 The top cover module 100 is formed in the top opening 22 and a ventilation passage 4 is formed between the top cover module 100 and the top of the main body 200 and Ai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outlet is formed between the outer edge of the upper and upper cover module 100 in the radial direction.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 개구(22)와 상기 상단덮개모듈(100)의 상단은 경사지게 설치되어 앞쪽이 낮고 뒤쪽이 높은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The top opening (22) and the top of the top cover module 100 is installed inclined so that the front is low,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 shape.
청구항 16 또는 17에 있어서,
상기 송풍통로(4)의 크기가 변경가능하거나, 상기 공기배출구(5)의 크기가 변경가능하거나, 상기 송풍통로(4)의 크기와 상기 공기배출구(5)의 크기가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or 17,
The size of the blower passage (4) is changeable, the size of the air outlet (5) is changeable, the size of the blower passage (4) and the size of the air outlet (5)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geable Air conditioner.
삭제delete
KR1020187008885A 2015-09-11 2016-09-06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and air conditioner KR10203928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579382.2 2015-09-11
CN201510579382.2A CN105115134B (en) 2015-09-11 2015-09-11 Conditioner cap assembly and conditioner
PCT/CN2016/098202 WO2017041694A1 (en) 2015-09-11 2016-09-06 Top cover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adjustment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adjustmen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854A KR20180048854A (en) 2018-05-10
KR102039283B1 true KR102039283B1 (en) 2019-11-26

Family

ID=5466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885A KR102039283B1 (en) 2015-09-11 2016-09-06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and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348927B1 (en)
KR (1) KR102039283B1 (en)
CN (1) CN105115134B (en)
WO (1) WO201704169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5134B (en) * 2015-09-11 2018-10-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Conditioner cap assembly and conditioner
CN106091316B (en) * 2016-06-01 2021-11-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ir outlet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CN106642618B (en) * 2017-01-11 2022-04-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Top air outlet device, air conditioner and motion control method of top air outlet device
DE102017120273A1 (en) * 2017-09-04 2019-03-07 Viessmann Werke Gmbh & Co Kg device
CN108709239B (en) * 2018-05-09 2021-05-2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Air guide component and cabinet air conditioner indoor unit with same
CN109027741A (en) * 2018-06-11 2018-12-18 太仓市金毅电子有限公司 desk lamp air purifier
GB2578616B (en) * 2018-11-01 2021-02-24 Dyson Technology Ltd A nozzle for a fan assembly
KR102315840B1 (en) * 2019-12-06 2021-10-21 (주)한국송풍기엔지니어링 Air purifier using outside ai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5578A (en) * 2012-05-24 2013-12-09 Sharp Corp Air blow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664A (en) * 2005-04-11 2006-10-16 주식회사 영일하이테크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control board
JP4747695B2 (en) * 2005-06-30 2011-08-17 株式会社トヨトミ Air conditioner drain tank structure
CN202281359U (en) * 2011-11-09 2012-06-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Top cover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the same
CN203362551U (en) * 2012-05-24 2013-12-25 夏普株式会社 Air delivery device and charged particle output device
KR102078274B1 (en) * 2013-01-03 2020-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CN203848408U (en) * 2014-04-29 2014-09-24 李庆福 Novel slope air outlet vertical air conditioner
CN203893380U (en) * 2014-06-17 2014-10-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Panel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CN104329786B (en) * 2014-09-18 2018-04-2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The head cover of air treatment system
CN104329734B (en) * 2014-09-18 2018-01-0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Air treatment system
CN105115134B (en) * 2015-09-11 2018-10-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Conditioner cap assembly and conditioner
CN205048684U (en) * 2015-09-11 2016-0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ir conditioning equipment top cap subassembly and air condition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5578A (en) * 2012-05-24 2013-12-09 Sharp Corp Air blow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15134B (en) 2018-10-19
CN105115134A (en) 2015-12-02
EP3348927B1 (en) 2023-04-26
WO2017041694A1 (en) 2017-03-16
EP3348927A1 (en) 2018-07-18
EP3348927A4 (en) 2019-04-17
KR20180048854A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283B1 (en) Air conditioner top cover module and air conditioner
KR102013833B1 (en) Head cover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for air conditioner
CN105222308B (en) Conditioner cap assembly and conditioner
EP1752713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145128B1 (en) Blower for Vehicles
US20170343235A1 (en) Ceiling cassette air conditioner
CN209341398U (en) The indoor unit of wall-mounted air conditioner
EP2199694B1 (en) Ceiling air conditioner
CN105115128B (en) A kind of air outlet structure of the apparatus of air conditioning
KR20090043232A (en) Air conditioner
CN105222227A (en) Floor air conditioner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100073121A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N103776094A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WO2017041697A1 (en) Air guide structure
CN103776096A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CN107036168A (en) Air deflection assemblies and circular ceiling machine
CN205048684U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top cap subassembly and air conditioning equipment
JP6164013B2 (en) Air conditioner
CN202835581U (en) Air conditioner indoor machin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CN106091111A (en) Wall hanging machine indoor set
CN205048685U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top cap subassembly and air conditioning equipment
CN105135651A (en) Top cover assembly of air condition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CN202835583U (en) Air conditioner indoor machin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CN205048682U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top cap subassembly and air conditioning equipment
CN205048683U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top cap subassembly and air condition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