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131B1 -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131B1
KR102038131B1 KR1020170115466A KR20170115466A KR102038131B1 KR 102038131 B1 KR102038131 B1 KR 102038131B1 KR 1020170115466 A KR1020170115466 A KR 1020170115466A KR 20170115466 A KR20170115466 A KR 20170115466A KR 102038131 B1 KR102038131 B1 KR 102038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ler
controller
vehicle
logic
software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620A (ko
Inventor
장경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7011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1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10Requirements analysis; Specifica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은, 자동차 고객사 서버로부터 차량 제어를 위해 차량 내 구비된 각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기에 대한 소프트웨어 설계 요구사항이 기재된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를 수신받는 통신부; 및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를 위한 차량용 제어기 코드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NG SOFTWARE DESIGN OF A VEHICLE CONTROLLER}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제어기의 사양서에서 사양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코딩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계식 제어방식에서 전자식 제어방식으로 대체되면서 시작된 자동차 전자화는 급속도로 성장하였다. 따라서 차량개발에 있어 소프트웨어 개발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이에, 소프트웨어 품질 경쟁력은 곧 신차품질에 직결되므로 많은 자동차 고객사(OEM) 들은 고 신뢰성 차량용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기 위해 많은 노력과 투자를 하고 있다.
한편, 자동차 업계의 특성상 제어기 개발업체에서 자동차 고객사에게 제품을 납품 시 소프트웨어의 소스코드를 공개하지 않고 바이너리 이미지 형태로 실제 제어기에 탑재하여 납품한다. 그러므로 자동차 고객사에서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품질을 직접 확인할 수 없게 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에 대한 사양서(Specification)를 개발하여 업체에 배포하고 업체로부터 시험성적서(Test Report)를 제공받아 그 결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고객사의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는 MS Word 파일의 형태로 각 설계 업체에 제공된다. 이때, 차량용 제어기의 로직(State Chart)들은 MS Visio 파일 형태로 첨부되어 있고 매개변수(parameters) 값들은 테이블의 형태로 작성되어 있다.
이때, 자동차 고객사의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를 입수한 각 설계 업체에서는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 내의 차량용 제어기의 로직에 대한 소프트웨어 설계 과정을 수동으로 진행한다. 차량용 제어기의 로직에 대한 소프트웨어 설계 과정은 단순 반복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 과정을 수동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다수의 휴먼에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9620호(공개일 : 2003.08.27.공개)인 "전장 사양표 구성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자동차 고객사로부터 입력된 차량용 제어기의 사양서에서 사양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차량용 제어기의 로직으로부터 자동으로 코딩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는, 자동차 고객사 서버로부터 차량 제어를 위해 차량 내 구비된 각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기에 대한 소프트웨어 설계 요구사항이 기재된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를 수신받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를 위한 차량용 제어기 코드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로직(State Chart) 및 상기 차량용 제어기 로직에 주어지는 매개변수(parameters)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차량용 제어기 로직 및 매개변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제어기 로직에 입력되는 입력(Input) 신호 및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출력(Output) 신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차량용 제어기 로직 중 코드를 생성할 차량용 제어기 로직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한 차량용 제어기 로직으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방법은, 제어부가 자동차 고객사 서버로부터 차량 제어를 위해 차량 내 구비된 각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기에 대한 소프트웨어 설계 요구사항이 기재된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추출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를 위한 차량용 제어기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로직(State Chart) 및 상기 차량용 제어기 로직에 주어지는 매개변수(parameters)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용 제어기 로직 및 매개변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제어기 로직에 입력되는 입력(Input) 신호 및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출력(Output)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용 제어기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차량용 제어기 로직 중 코드를 생성할 차량용 제어기 로직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한 차량용 제어기 로직으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은 자동차 고객사로부터 입력된 차량용 제어기의 사양서에서 사양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차량용 제어기의 로직으로부터 자동으로 코딩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휴먼 에러가 없는 코드를 생성할 수 있어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드 생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기존에 개발자가 수동 코딩 할 때에 비해 개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는, 통신부(100), 제어부(200) 및 저장부(300)를 포함한다.
한편, 실제 차량개발에 있어 제어기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는 차량 전체 시스템을 이루는 주요 4개 도메인 즉, 파워트레인, 샤시, 바디, 인포테인먼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도메인 간의 연계 기능으로 인한 시스템의 복잡성에 따라 유기적으로 제어 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상 설계가 이루어지며, 또한 차량 운행에 있어 중요한 안전기능들이 유기적으로 협조 제어 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상 설계가 이루어진다.
4개 도메인을 고려한 종합적인 설계, 즉 시스템간의 교차개발(진동, 성능, 연비, 충돌, 편의, 제동)이 수행될 수 있다. 차량 내 전자시스템의 복잡한 제어기 간의 통신 및 연계기능으로 인하여 수차례 소프트웨어 개발과 변경이 요구된다.
즉, 자동차 고객사에서는 차량 제어를 위해 차량 내 구비된 각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기에 대한 소프트웨어 설계 요구사항이 기재된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를 제공한다. 이때, 요구사항은 시스템 설계의 기반, 구현의 정확성을 판단하는 기준, 시험 시 테스트 케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자동차 고객사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는 개발자가 수동으로 진행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 고객사에서 제공하는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에 대하여 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자동으로 코드를 생성해 내는 개발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부(100)는 자동차 고객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자동차 고객사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통신부(100)는 자동차 고객사 서버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를 수신받아 저장부(300)에 저장하는 동시에 제어부(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자동차 고객사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의 형식이 정상적인지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의 형식이 정상적인지 확인하지만, 제어부(200)가 저장부(300)에 저장된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의 기준 형식과 수신된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의 형식을 비교하여 정상적인 형식인지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데이터추출부(210), 신호추출부(220) 및 코드생성부(230)를 포함하여 자동차 고객사로부터 수신받은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추출부(210)는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다. 즉, 데이터추출부(210)는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로직(State Chart)을 추출하고, 차량용 제어기 로직에 주어지는 매개변수(parameters) 값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 매개변수 값들은 테이블의 형태로 작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는 MS Word 파일을 이용하고,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 내 차량용 제어기 로직은 Visio 파일을 이용하여 첨부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추출 결과 차량용 제어기 로직에 대한 데이터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파라미터 값들에 대한 데이터와, 코드 생성을 위해 구문 해석을 하는 파서(parser)를 위한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데이터추출부(210)를 통해 데이터를 추출한 후, 차량용 제어기로직 및 매개변수 값의 추출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사양이 정상적으로 추출되었는지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확인 및 수정이 끝나면 제어부(200)는 데이터 추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양이 정상적으로 추출되었는지 확인하고, 수정이 완료되었음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미도시) 또는 인터페이스(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사양이 정상적으로 추출되었는지 확인하고 수정하고 있으나, 정상적인 사양에 대한 기준 데이터가 저장부(300)에 미리 저장되어, 제어부(200)가 사양이 정상적으로 추출되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신호추출부(220)는 데이터 추출이 완료되면, 차량용 제어기 로직 및 매개변수 값에 기초하여 입력(Input) 신호 및 출력(Output) 신호를 추출한다. 즉, 신호추출부(220)는 차량용 제어기 로직 및 매개변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제어기 로직에 입력되는 입력(Input) 신호 및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출력(Output)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차량용 제어기 로직의 형식이 맞는지 확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제어기 로직의 형식 또한 올바른 형식에 대한 기준 데이터가 저장부(300)에 미리 저장되어, 제어부(200)가 차량용 제어기 로직의 형식이 맞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코드생성부(230)는 신호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차량용 제어기 로직 중 코드를 생성할 차량용 제어기 로직과 그 외의 차량용 제어기 로직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한 차량용 제어기 로직으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코드를 생성한다. 이때, 최종적으로 소스(Source) 및 헤더(Header) 파일이 추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코드생성부(230)는 C#, Powershell, Python 등의 언어를 이용하여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나, 프로그래밍 언어는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 고객사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에 대해 모델링을 한 후에 코드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바로 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짧은 시간 안에 많은 라인의 코드를 생성할 수 있고, 기존에 개발자가 수동 코딩 할 때에 비해 현저하게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휴먼 에러가 감소함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방법은, 먼저 제어부(200)가 자동차 고객사 서버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를 수신받는다(S100).
이때, 제어부(200)는 자동차 고객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100)를 통해 자동차 고객사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자동차 고객사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가 수신되면, 사용자는 자동차 고객사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의 형식이 정상적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의 형식이 정상적인지 확인하지만, 제어부(200)가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의 형식을 확인하여 정상적인 형식인지 판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00)는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다(S200).
즉, 제어부(200)는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로직(State Chart) 및 차량용 제어기 로직에 주어지는 매개변수(parameters)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매개변수 값은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에 테이블 형태로 작성되어 있으며, 제어부(200)는 차량용 제어기 로직에 대한 데이터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파라미터 값들에 대한 데이터와, 코드 생성을 위해 구문 해석을 하는 파서(parser)를 위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200)는 차량용 제어기 로직 및 매개변수 값의 추출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S300).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사양이 정상적으로 추출되었는지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확인 및 수정이 끝나면 제어부(200)는 데이터 추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양이 정상적으로 추출되었는지 확인하고, 수정이 완료되었음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미도시) 또는 인터페이스(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사양이 정상적으로 추출되었는지 확인하고 수정하고 있으나, 정상적인 사양에 대한 기준 데이터가 저장부(300)에 미리 저장되어, 제어부(200)가 사양이 정상적으로 추출되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추출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S200단계로 회귀하여 데이터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S300단계에서 데이터 추출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200)는 차량용 제어기 로직 및 매개변수 값에 기초하여 입력(Input) 신호 및 출력(Output) 신호를 추출한다(S400).
즉, 제어부(200)는 차량용 제어기 로직 및 매개변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제어기 로직에 입력되는 입력(Input) 신호 및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출력(Output)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차량용 제어기 로직의 형식이 맞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제어기 로직의 형식 또한 올바른 형식에 대한 기준 데이터가 저장부(300)에 미리 저장되어, 제어부(200)가 차량용 제어기 로직의 형식이 맞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00)는 차량용 제어기 로직으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코드를 생성한다(S500).
즉, 제어부(200)는 S200단계에서 추출된 차량용 제어기 로직 중 코드를 생성할 차량용 제어기 로직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한 차량용 제어기 로직으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은 자동차 고객사로부터 입력된 차량용 제어기의 사양서에서 사양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차량용 제어기의 로직으로부터 자동으로 코딩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휴먼 에러가 없는 코드를 생성할 수 있어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드 생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기존에 개발자가 수동 코딩 할 때에 비해 개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통신부
200 : 제어부
210 : 데이터추출부
220 : 신호추출부
230 : 코드생성부
300 : 저장부

Claims (8)

  1. 자동차 고객사 서버로부터 차량 제어를 위해 차량 내 구비된 각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기에 대한 소프트웨어 설계 요구사항이 기재된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를 수신받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를 위한 차량용 제어기 코드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로직(State Chart) 및 상기 차량용 제어기 로직에 주어지는 매개변수(parameters)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차량용 제어기 로직 및 매개변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제어기 로직에 입력되는 입력(Input) 신호 및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출력(Output) 신호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차량용 제어기 로직 중 코드를 생성할 차량용 제어기 로직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한 차량용 제어기 로직으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어부가 자동차 고객사 서버로부터 차량 제어를 위해 차량 내 구비된 각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기에 대한 소프트웨어 설계 요구사항이 기재된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추출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를 위한 차량용 제어기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로직(State Chart) 및 상기 차량용 제어기 로직에 주어지는 매개변수(parameters)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용 제어기 로직 및 매개변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제어기 로직에 입력되는 입력(Input) 신호 및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출력(Output)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용 제어기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차량용 제어기 로직 중 코드를 생성할 차량용 제어기 로직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한 차량용 제어기 로직으로부터 차량용 제어기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15466A 2017-09-08 2017-09-08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102038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466A KR102038131B1 (ko) 2017-09-08 2017-09-08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466A KR102038131B1 (ko) 2017-09-08 2017-09-08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733A Division KR20190122621A (ko) 2019-10-22 2019-10-22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1020190131734A Division KR20190122622A (ko) 2019-10-22 2019-10-22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1020190131735A Division KR20190122197A (ko) 2019-10-22 2019-10-22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1020190131736A Division KR20190122198A (ko) 2019-10-22 2019-10-22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1020190131737A Division KR20190122623A (ko) 2019-10-22 2019-10-22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1020190131732A Division KR20190123250A (ko) 2019-10-22 2019-10-22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620A KR20190028620A (ko) 2019-03-19
KR102038131B1 true KR102038131B1 (ko) 2019-10-31

Family

ID=6590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466A KR102038131B1 (ko) 2017-09-08 2017-09-08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1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7382B1 (ja) * 2019-09-23 2021-03-24 株式会社デンソークリエイト 設計支援ツー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0291A (ja) * 1998-07-06 2000-01-21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プログラム開発支援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303A (ko) * 2010-10-25 2012-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진단용 프로토콜을 이용한 사양 설정 계기판 및 그 사양 설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0291A (ja) * 1998-07-06 2000-01-21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プログラム開発支援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620A (ko) 201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1725A1 (en) Validator for validating conformity of a software configuration
US10423571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 real or virtual electronic control unit
KR20190123250A (ko)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US201201670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autosar meta file-based basic software properties
Eklund et al. Experience of introducing reference architectures in the development of automotive electronic systems
WO2023103712A1 (zh) Ecu升级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KR102038131B1 (ko)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20110023124A (ko)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 검증 장치 및 방법
CN111291443B (zh) 整车控制器软件的i/o模块模型自动生成方法、装置及设备
KR20190122622A (ko)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20190122197A (ko)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20190122621A (ko)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20190122198A (ko)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20190122623A (ko) 차량용 제어기 소프트웨어 설계 자동화 장치 및 방법
US20180113802A1 (en) Application simulator for a vehicle
US10429843B1 (en) Parametrizable automatic piloting system intended for an aircraft
Düser et al. Approaches for the homologation of automated driving
EP3926505B1 (en) Software inqui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software inquir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N105530288B (zh) 一种数据交互的方法
CN109765838B (zh) 可编程逻辑控制器组态文件的生成方法及装置
US1015706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icroprocessor
Franco et al. Model-based functional safety for the embedded software of automobile power window system
KR101731629B1 (ko) Circus로부터 go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onrad et al. Model-based design for safety critical automotive applications
Conrad et al. Towards a methodology for the design of hybrid systems in automotive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