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936B1 - Assembling Drone - Google Patents

Assembling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936B1
KR102037936B1 KR1020180049691A KR20180049691A KR102037936B1 KR 102037936 B1 KR102037936 B1 KR 102037936B1 KR 1020180049691 A KR1020180049691 A KR 1020180049691A KR 20180049691 A KR20180049691 A KR 20180049691A KR 102037936 B1 KR102037936 B1 KR 102037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drone
groov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동석
Original Assignee
(주)스마트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트에어 filed Critical (주)스마트에어
Priority to KR1020180049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9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9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 Y02T50/62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ssembling drone includes: a main body frame comprising a square frame having a square border and a linear frame radially extended from each apex of the square frame; a mainboard having a PCB coupled onto the square frame; a plurality of motor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inear frame; a plurality of propellers coupled to a shaft of the motor; and a plurality of kits formed of a high elastic sponge material and capable of being assembled with each other. Accordingly, most components forming the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co-friendly and are capable of weight redu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to maintain stable posture during flight of the drone through a shape of an assembled portion.

Description

조립식 드론{Assembling Drone}Assembling Drone

본 발명은 조립식 드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을 구성하는 대부분이 가벼운 키트로 구성되고, 키트를 조립할시 돌출되는 부분이 드론의 비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드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efabricated dron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drone that is composed mostly of a light kit, the protruding portion when assembling the kit can improve the flight capability of the drone.

드론은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원격 조정에 의해 비행하거나 지정된 경로를 따라 자율적으로 비행하는 비행체로, 주로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운송 분야, 보안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개인적인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Drones are people that fly by remote control without autonomous boarding or autonomous along a designated route. These drones are mainly developed for military purposes, but recently, they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ransportation and security, and are also used for personal purposes.

드론은 의학 분야에서는 응급환자 탐지 및 수송용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기상 분야에서는 기상관측 및 태풍 등 기상변화 실시간 감시를 위해 활용되고 있고, 과학분야에서는 멸종동물의 지역적 분포 및 이동경로 확인, 지리적 특성 파악 및 정밀한 지도제작에 활용되며, 예술분야에서는 영화 및 방송 등의 촬영을 위해 활용되고, 정유분야에서는 송유관 파손점검, 해상석유시설관리에 활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의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Drones are used for the detection and transportation of emergency patients in the medical field, and for the real-time monitoring of meteorological changes such as meteorological observations and typhoons in the meteorological field, and in the scientific field for confirming the local distribution and movement route of extinct animals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It is used for grasping and precise mapping, and is used for film and broadcasting in the art field, and in the oil refining area, drones are being expanded in various fields such as oil pipeline damage inspection and offshore oil facilities management.

드론이 실생활에 밀접하게 도입됨에 따라 드론을 완구로 활용하여 교육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드론을 교육적인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반 사용자가 조립하기 쉽도록 개발되어야 하며, 즉 창의성을 키울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부품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드론이 개발되고 있다.As drones are introduced into real life, there are more and more cases of using drones as toys for educational purposes. In order to use the drone for educational purposes, it must be developed to be easily assembled by the general user, that is, a drone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arts to increase creativity.

그러나, 기존의 드론들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사출물로 형성된 부품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드론 본체의 무게가 무겁게 제작 때문에, 일반인들이 조작시 사고의 위험도 있으며 초급자들이 다루기에도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existing drones are made of a combination of parts formed of plastic or metal injection molding, and because the weight of the drone body is made heavy, there is a risk of accidents for the general public and difficult for beginners to handle.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한 드론용 부품으로 조립가능한 조립식 드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drone that can be assembled into a drone easy to assemble parts.

본 발명은 친환경 소재로 제작되며 경량화가 가능한 드론용 부품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드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drone made of a drone part that is made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and capable of being lightweigh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창의력에 기반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드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drone that can be assembled in various forms based on the creativity of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모 형상의 테두리를 가지는 사각 프레임과 상기 사각 프레임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는 직선 프레임으로 구성된 본체 프레임, 상기 사각 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PCB가 형성된 메인보드, 상기 직선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모터, 상기 모터의 샤프트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프로펠러, 배터리 및 고탄력 스폰지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조립 가능한 복수개의 키트를 포함하는 드론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키트는, 상기 직선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모터를 감싸는 돌출부가 마련된 모터 지지대 조각과, 상기 메인보드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 지지대 조각에 고정되는 상판 지지대 조각과, 상기 상판 지지대 조각의 상부에 결합되며 타원형의 표면을 가지고 입체 형상을 갖는 몸체 바디와, 상기 몸체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배터리 케이스 조각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키트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 바디의 측면에는 상기 몸체 바디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부가 마련되며, 상기 끼움부는 곡면 형상의 표면을 가지고 상기 몸체 바디의 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frame consisting of a rectangular frame having a square-shaped border and a linear frame extending radially from each vertex of the rectangular frame, a main board having a PCB coupled to the rectangular frame, the linear frame A drone including a plurality of motor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coupled to a shaft of the motor, a plurality of kits formed of a battery and a high-elastic sponge material and assembled to each other. Whil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motor support piece provided with a protrusion surrounding the motor, the top support piece provided on the main board and fixed to the motor support piece, and coupled to the top of the top support piece has an oval surface Body body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the body And a battery case piec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to fix the battery. At least one fitting portion forming the body body is provided at a side of the body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kit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part has a curved surfac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ir flowing along the side of the body body.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는 일정 깊이로 파여진 제1 홈부가 마련되고, 내측에는 일정 깊이로 파여진 제2 홈부가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모터의 가로, 세로 방향에 대응되는 제3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홈부에 안착되어 상기 모터를 가리도록 결합되는 모터 지지대 고정 조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 지지대 조각은 상기 제2 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3 홈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first groove portion which is dug to a predetermined depth is provid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a second groove portion which is dug in a predetermined depth is provided in an inner side, and a third groove portion corresponding to a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of the motor is provided in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motor support fixing piece seated on the first groove and coupled to cover the motor, wherein the upper plate support piec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econd groove, and the motor is surrounded by the third groove. This is characterized by.

여기서, 상기 모터 지지대 조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날개 확장 조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날개 확장 조각은 일정 각도로 휘어진 곡면 프레임과 상기 곡면 프레임의 중심에 마련된 제4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지지대 조각의 단부에 형성된 제1 끼움부가 상기 제4 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further comprising a wing extension piece coupled to the end of the motor support piece, the wing extension piece includes a curved frame bent at an angle and a fourth groov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urved frame, The first fitting portion formed at the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fourth groove.

그리고, 상기 몸체 바디는 복수개의 걸림부가 마련된 하부 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둘레를 따라 벽을 형성하는 측부 바디, 상기 측부 바디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측부 바디에는 상기 걸림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바디의 둘레에는 상기 측부 바디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제5 홈부에 삽입되는 제2 끼움부와 상기 측부 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제3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body includes a low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a side body forming a wall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lower body, and an upper bod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ide body, wherein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ortion is located on the side body.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dy, and a second fitting portion inserted into a fifth groove portion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side body and a third fitting portion fitted into a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body are formed around the upper body. Can be formed.

그리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 조각은 상기 배터리의 측면을 감싸는 한쌍의 측면 고정 조각과, 상기 배터리의 상면을 덮으면서 상기 측면 고정 조각의 상부면을 연결하는 상면 고정 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 고정 조각의 상단부에는 곡면 형상을 갖는 제4 끼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4 끼움부는 상기 측면 고정 조각에 마련된 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The battery case piece includes a pair of side fixing pieces surrounding the side of the battery, and an upper surface fixing piec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ixing piece while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fixing piece. The fourth fitting portion having a curved shape is provided, and the fourth fitting portion may be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groove provided in the side fixing pie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드론을 구성하는 조각 중에서 본체 프레임을 제외한 대다수의 부품을 고탄력 스폰지 재질로 하여 부드러운 질감과 미감이 표출될 수 있으며, 환경 친화적이면서 경량화가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of the parts constituting the drone except for the main frame may be made of a high elastic sponge material, and the soft texture and aesthetic appearance may be expressed, and the environment may be light and lightweight.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조각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어린이의 두뇌 발육을 자극하고 개발할 수 있으며, 과학과 공학에 대한 호기심을 일깨울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imulate and develop the brain development of the child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each piece, and can arouse curiosity about science and engineering.

그리고, 본 발명은 각각의 조각들을 끼워맞추어 드론을 제작할 시 특히 몸체부에 포함되는 조각들은 조립되는 부위에 유선형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드론의 비행 중 전진과 후진 및 방향전환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manufacturing the drone by fitting the respective pieces, in particular, the pieces included in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a streamlined protrusion on the assembled portion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during the forward, backward and direction of the drone flight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결합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을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art of a prefab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dure for assembling the prefab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의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hereto.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결합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art of the assembled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조립식 드론은 도 1과 같이 키트 또는 패키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필수 키트들은 고탄력 스폰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탄력 스폰지 재질은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는 소재로 특정 방향으로 휘어져도 부러짐이 발생하지 않으며 본래의 모습으로 쉽게 돌아오는 성질을 가지며, 이루고 있는 물질은 부식이나 오염이 일어나지 않는 친환경 소재에 해당된다. Prefabricated dr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kit or a package as shown in Figure 1, the essential kits may be formed of a high elastic sponge material. The high elastic sponge material is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that can be flexed freely, even if it is bent in a specific direction, no breakage occurs, and has a property of easily returning to its original shape. do.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을 완성하는데 필요한 필수 부품들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드론은 본체 프레임(110), 메인보드(120), 배터리(130), 복수개의 모터(140), 복수개의 프로펠러(150), 복수개의 키트(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necessary components needed to complete a prefab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The prefabricated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frame 110, a main board 120, a battery 130, a plurality of motors 140, a plurality of propellers 150, and a plurality of kits 200. .

그리고, 복수개의 키트(200)는 모터 지지대 조각(210), 날개 확장부 조각(220), 모터 지지대 고정 조각(230), 상판 지지대 조각(240), 몸체 조각(250, 260, 270), 배터리 케이스 조각(280, 29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kits 200 includes a motor support piece 210, a wing extension piece 220, a motor support fixing piece 230, a top support piece 240, a body piece 250, 260, 270, and a battery. And case pieces 280 and 290.

상기 복수개의 키트(200)는 고탄력 스폰지 재질의 판에 디자인되어 사용자가 판으로부터 뜯어낼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거나, 뜯어진 상태의 키트들로 제공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kits 200 may be designed in a plate of high elastic sponge material and provided in a form that a user can remove from the plate, or may be provided in kits in a torn state.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을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2 to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dure for assembling the prefab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 프레임(110)은 네모 형상의 테두리를 가지는 사각 프레임(113)과, 상기 사각 프레임(113)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는 직선 프레임(1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2, the main body frame 110 may include a rectangular frame 113 having a square border and a straight frame 111 extending radially from each vertex of the rectangular frame 113. have.

상기 사각 프레임(11)에는 사각 형태의 메인보드(113)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사각 프레임(11)은 메인보드(120)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하고자 하는 날개의 개수에 따라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는 4개의 날개를 가지는 드론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며, 설명하는 각각의 구성은 4개의 직선 프레임(111) 상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quare frame 11 may be seated and fixed to the main board 113 of the square shape, the square frame 11 may b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board 120, the wings of the It may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An embodiment is described by taking a drone having four wings as an example, and each configuration to be described may be identically formed on four linear frames 111.

상기 사각 프레임(113)에서 연장형성된 직선 프레임(111)에는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12)에는 모터(14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140)에 구비된 샤프트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홀(112)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홀(112)을 통해 하방향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프로펠러(150)가 결합될 수 있다. A hole 112 may be formed in the straight frame 111 extending from the rectangular frame 113. A motor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112, and a shaft provided in the motor 140 may be coupled to the hole 112 in a state of protruding downward, and the shaft may include the hole ( Propeller 150 may be coupled in a downwardly exposed state through 112.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직선 프레임(111)의 상면에는 모터 지지대 조각(21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지지대 조각(210)은 상기 직선 프레임(111)의 상면에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212), 상기 모터(140)를 감싸도록 마련된 돌출부(213)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213)의 상부에는 일정 깊이로 파여진 제1 홈부(214)가 마련되고, 내측에는 일정 깊이로 파여진 제2 홈부(215)가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모터(140)의 가로, 세로 방향에 대응되는 제3 홈부(21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212)의 단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제1 끼움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motor support piece 210 may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traight frame 111. The motor support piece 210 includes a lower frame 212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near frame 111, a protrusion 213 provided to surround the motor 14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213. The first groove portion 214, which is dug to a predetermined depth, is provided,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215 that is dug to a predetermined depth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and the third groo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motor 140 is provided below. 211 may be provided. In addition, a first fitting portion 216 protruding downward may b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lower frame 212.

상기 모터 지지대 조각(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12)이 직선 프레임(111)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직선 프레임(111)의 내측으로 마련된 홈에 끼워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모터(140)들의 상부에 각각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motor support piece 210 may be fitted into a groove provided inward of the linear frame 111 while the lower frame 212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near frame 111, as shown in FIG. Each of them can be seated and fixed on top of each other.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 지지대 조각(210)에 마련된 제1 홈부(214)에는 모터 지지대 고정 조각(2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지지대 고정 조각(230)은 상기 돌출부(213)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하방향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13)에 형성된 제1 홈부(214)에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213)와 상기 모터 지지대 조각(210)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motor support fixing piece 2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groove 214 provided in the motor support piece 210. The motor support fixing piece 230 has the same shape as the protrusion 213, and a groove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to fit the first groove 214 formed in the protrusion 213, and the protrusion 213. ) And the motor support piece 210 may be fix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모터 지지대 조각(210)에 마련된 상기 제1 끼움부(216)에는 날개 확장 조각(22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날개 확장 조각(220)은 일정 각도로 휘어진 곡면 프레임(221)과 상기 곡면 프레임(221)의 중심에 마련된 제4 홈부(2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lade extension piece 22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portion 216 provided in the motor support piece 210. The wing extension piece 220 may include a curved frame 221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fourth groove 222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urved frame 221.

상기 곡면 프레임(221)은 드론의 비행 중 날개 역할을 하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휘어져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곡면 프레임(221)은 드론의 중심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urved frame 221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serve as a wing during the flight of the drone, as shown in the four curved frame 221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center of the drone.

도 5를 참조하면, 드론의 중앙부에 배치된 메인보드(120)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보드(120)를 덮는 상판 지지대 조각(24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판 지지대 조각(240)은 상기 메인보드를 덮는 상면 플레이트(241)와, 상기 상면 플레이트(241)의 외주면에서 상기 모터 지지대 조각(210)을 향해 돌출된 연장부(243)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 플레이트(241)의 중심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바 형태의 제3 홈부(242)가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top support piece 240 covering the main board 120 may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ard 120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drone. The upper support piece 240 is composed of an upper plate 241 covering the main board, an extension portion 243 protruding toward the motor support piece 210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late 241, A third groove 242 having a bar shape may be provided at a cent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241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연장부(243)는 상기 모터 지지대 조각(210)의 돌출부(213)에 형성된 제2 홈부(215)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extension part 243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into the second groove part 215 formed in the protrusion part 213 of the motor support piece 210.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 지지대 조각(240)의 상부에 결합되는 몸체 바디가 도시되어 있다. 몸체 바디는 복수개의 걸림부(251, 252, 253)가 마련된 하부 바디(250)와 상기 하부 바디(250)와 결합되는 측부 바디(2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부 바디(270)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 바디(250)의 걸림부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바디(250)의 둘레를 감싸는 띠 형상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부 바디(270)의 측면 상부에는 바 형태로 뚫려진 제5 홈부(271)가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re is shown a body body coupled to the top of the top support piece 240. The body body may include a lower body 25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parts 251, 252, and 253 and a side body 270 coupled to the lower body 250. The lower side of the side body 270 is formed with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of the lower body 250, it may be formed in a strip-shaped pieces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body 250. A fifth groove 271 drilled in a bar shape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side body 270.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측부 바디(270)의 상면에 결합되어 몸체 바디를 구성하는 상부 바디(26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부 바디(260)의 둘레에는 상기 측부 바디(270)에 형성된 제5 홈부(271)에 삽입되는 제2 끼움부(262)와 상기 측부 바디(270)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제3 끼움부(263)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n upper body 260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ide body 270 to form a body body is illustrated. A third fitting portion 262 inserted into a fifth groove portion 271 formed in the side body 270 and a third portion fitted into a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ide body 270 are formed around the upper body 260. The fitting portion 263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상부 바디(260)의 상면에는 배터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배터리 케이스 조각(28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케이스 조각(280)은 한쌍의 측면 고정 조각(281)과 상기 측면 고정 조각(281)의 상부면을 막는 상면 고정 조각(282)을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60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case piece 280 for fixing the battery, the battery case piece 280 is a pair of side fixing pieces (281) and the side fixing pieces ( Top fixing pieces 282 that block the top surface of 281.

상기 상면 고정 조각(282)의 단부에는 곡면 형상을 갖는 제4 끼움부(283)가 마련되며, 상기 제4 끼움부(283)는 상기 측면 고정 조각(281)을 상방향에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A fourth fitting portion 283 having a curved shape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fixing piece 282, and the fourth fitting portion 283 serves to fix the side fixing piece 281 in the upward direction. .

도 8에는 조립된 몸체 바디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부 바디(260)와 측부 바디(270)가 결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측부 바디(270)의 측면에는 상기 상부 바디(27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2 끼움부(262)와 제3 끼움부(263)가 돌출될 수 있다. 8 shows the assembled body body,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body 260 and the side body 270 is combined. The second fitting portion 262 and the third fitting portion 263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body 270 may protrude from side surfaces of the side body 270.

상기 제2 끼움부(262)와 제3 끼움부(263)는 측부 바디(270)에 형성된 홈의 폭에 비해, 홈에서 돌출되는 부분은 더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되는 부분은 곡면 형상, 예를 들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끼움부(262)와 제3 끼움부(263)의 돌출된 부분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드론에 대해서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이며, 돌출된 부분은 여러가지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돌출된 부분은 드론의 비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모양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드론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The second fitting portion 262 and the third fitting portion 263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formed in the side body 270, and the protruding portion may have a curved surface. It may be shaped, for example semicircular. In the embodiment, the protrusion of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second fitting portion 262 and the third fitting portion 263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but this is just one example, and the protruding portions may be modified in various shapes. have. That is,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applied in various shapes to improve the flightability of the drone,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size and weight of the drone.

본 발명에서 몸체 바디를 이루는 조각들은 모두 고탄력 스폰지 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끼움부(262)와 제3 끼움부(263)를 홈에 삽입시 단부의 모양이 변형되어도 삽입된 후에는 본래의 모양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본체 바디의 형상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날개 확장 조각(220)에 마련된 제1 끼움부(216)와 배터리 케이스 조각(280)에 마련된 제4 끼움부(283)의 경우에도 해당될 수 있다. Since the pieces constituting the body body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made of a material of high elastic sponge material, the second fitting portion 262 and the third fitting portion 263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even when the shape of the end is deformed. Since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the shape of the body body can be firmly fixed without a separate adhesive. This may also be the case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216 provided in the wing extension piece 220 and the fourth fitting portion 283 provided in the battery case piece 280.

즉, 본 발명의 조립식 드론은 몸체 바디를 이루는 조각들이 서로 끼워맞춰지는 복수개의 키트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키트는 고탄력성을 가지는 소재이므로 폭이 좁은 홈으로 결합시에 변형이 이루어진 후 삽입되어 본래의 형상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드론 자체의 형상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각각의 키트를 이루는 고탄력성 소재는 기존의 드론을 이루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사출물에 비해 무게가 가벼우며, 각각의 키트는 추가적인 결합 부품 없이 서로 결합되어 드론의 동체를 이룰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드론에 비해 현저히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other words, the prefabricated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kits, the pieces forming the body body is fitted with each other, each kit is inserted after the deformation is made at the time of coupling into a narrow groove because the material has a high elasticity By returning to its original shape, the shape of the drone itself can be maintained firmly. The high-elastic material of each kit is lighter in weight than the plastic or metal injection moldings of conventional drones, and each kit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drone fuselage without additional coupling parts.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weight.

또한, 각각의 키트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돌출부는 드론의 비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형상을 가지므로 드론의 비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장점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s provided in the parts to be combined in the process of combining each kit has a shape for improving the flightability of the drone may have an additional advantage to improve the flightability of the drone.

도 9를 참조하면, 도 5에 개시된 상판 지지대 조각(240) 상면에 몸체 바디를 결합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조립식 드론의 최종적인 완성품이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body body is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top support piece 240 disclosed in FIG. 5, showing the final finished product of the prefabricated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조립식 드론에서, 특히 상기 제2 끼움부(262)와 제3 끼움부(263)는 드론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몸체 바디(265) 측면의 둘레를 따라 곡면 형상으로 돌출되는 영역을 가진다. 즉, 제2 끼움부(262)와 제3 끼움부(263)는 인접하는 조각과의 결합을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드론의 비행 중 전진과 후진 및 방향전환시 몸체 바디의 측면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In the assembled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second fitting portion 262 and the third fitting portion 263 have areas protruding in a curved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of the body body 265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drone. That is, the second fitting portion 262 and the third fitting portion 263 may be provided for coupling with the adjacent pieces, and the air flowing to the side of the body body during forward, backward, and redirection during flight of the drone. It may be arranged to control the flow.

본 발명의 조립식 드론에서 몸체 바디(265)는 위에서 보았을 때 타원형의 상부 표면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곡률 반경이 작은 영역이 드론의 이동방향이 될 수 있다. In the assembled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body 265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elliptical upper surface when viewed from above, and a region having a small radius of curvature may be a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drone.

드론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2 끼움부(262)와 제3 끼움부(263)가 보조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드론은 전진과 후진 주행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fitting portion 262 and the third fitting portion 263 may serve to control the flow of air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drone, the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able posture when driving forward and backward. I can keep it.

본 발명의 조립식 드론은 상업용이 아닌 교육용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정밀한 방향 전환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용이하게 완제품을 조립할 수 있고, 쉽고 빠르게 드론의 비행을 시도해 볼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Prefabricated dr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for educational purposes, not commercial, it does not provide precise redirection, but it is easy to assemble the finished product easily, and can easily and quickly try to fly the dron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its preferred embodiments, which are merely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do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not possible that are not illustrated abo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differences relating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will hav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10: 본체 프레임
120: 메인 보드
130: 배터리
140: 모터
150: 프로펠러
200: 키트
210: 모터 지지대 조작
220: 날개 확장 조각
230: 모터 지지대 고정 조각
240: 상판 지지대 조각
250: 하부 바디
260: 상부 바디
270: 측부 바디
265: 몸체 바디
280: 배터리 케이스 조각
110: body frame
120: main board
130: battery
140: motor
150: propeller
200: kit
210: motor support operation
220: wing extension piece
230: motor support fixing piece
240: top support pieces
250: lower body
260: upper body
270: side body
265: body body
280: battery case piece

Claims (5)

네모 형상의 테두리를 가지며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는 사각 프레임과 상기 사각 프레임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수평방향이며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는 직선 프레임으로 구성된 본체 프레임, 상기 사각 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PCB가 형성된 메인보드, 상기 직선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모터, 상기 모터의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직선 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프로펠러 및 고탄력 스폰지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조립 가능하면서 상기 사각 프레임과 상기 직선 프레임에 조립되는 복수개의 키트를 포함하는 드론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키트는,
상기 직선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모터를 감싸는 돌출부가 마련된 모터 지지대 조각과,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보드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 지지대 조각에 고정되는 상판 지지대 조각과, 상기 상판 지지대 조각의 상면에 결합되며 타원형의 표면을 가지고 입체 형상을 갖는 몸체 바디와, 상기 몸체 바디의 상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배터리 케이스 조각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키트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 바디의 측면에는 상기 몸체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부가 마련되며, 상기 끼움부는 곡면 형상의 표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조립식 드론.
Main frame formed of a main body frame composed of a rectangular frame having a rectangular frame arrang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a linear frame horizontally and radially extending from each vertex of the rectangular frame, and a PCB coupled to the rectangular frame And a plurality of motor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near frame, a plurality of propellers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a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near frame, and formed of a high elastic sponge material so as to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while being assembled to the square frame and the linear frame. A drone including a plurality of kits to be assembled,
The plurality of kits,
Whil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near frame, a motor support piece provided with a protrusion surrounding the motor, a top plate support piec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ard and fixed to the motor support piece relative to the ground, and the top support piece A body body coupled to the top surface and having an oval surface and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a battery case piece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body body and fixing a battery therein;
At least one fit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body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dy body in the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kit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tt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프레임에서 연장되는 상기 직선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돌출부의 상단에는 일정 깊이로 파여진 제1 홈부가 마련되고, 내측에는 일정 깊이로 파여진 제2 홈부가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모터의 가로, 세로 방향에 대응되는 제3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홈부에 안착되어 상기 모터를 가리도록 결합되는 모터 지지대 고정 조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 지지대 조각은 상기 제2 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3 홈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조립식 드론.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groove portion dug to a predetermined depth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protrusion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near frame extending from the rectangular frame, and a second groove portion dug to a predetermined depth is provided inside, and a lower portion of the motor is provided. A third groo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And a motor support fixing piece seated on the first groove and coupled to cover the motor, wherein the upper plate support piec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econd groove, and the motor is assembled by the third groove. dron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지지대 조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날개 확장 조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날개 확장 조각은 일정 각도로 휘어진 곡면 프레임과 상기 곡면 프레임의 중심에 마련된 제4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지지대 조각의 단부에 형성된 제1 끼움부가 상기 제4 홈부에 결합되는 조립식 드론.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wing extension piece coupled to the end of the motor support piece,
The wing extension piece includes a curved fram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fourth groove portion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urved frame, the first fitting portion formed in the end of the motor support piece is assembled prefabricated dr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바디는 복수개의 걸림부가 마련된 하부 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둘레를 따라 벽을 형성하는 측부 바디, 상기 측부 바디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하며,
성가 측부 바디에는 상기 걸림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바디의 둘레에는 상기 측부 바디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제5 홈부에 삽입되는 제2 끼움부와 상기 측부 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제3 끼움부가 형성되는 조립식 드론.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body includes a lower bod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and the side body to form a wall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body, the upper bod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body,
The choir side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engaging portion, the second body is inserted into the fifth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side body of the upper body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body A prefabricated drone in which a third fitting portion to be fitted into the groove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 조각은 상기 배터리의 측면을 감싸는 한쌍의 측면 고정 조각과, 상기 배터리의 상면을 덮으면서 상기 측면 고정 조각의 상부면을 연결하는 상면 고정 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 고정 조각의 상단부에는 곡면 형상을 갖는 제4 끼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4 끼움부는 상기 측면 고정 조각에 마련된 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조립식 드론.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case piece includes a pair of side fixing pieces surrounding the side of the battery, and a top fixing piec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ixing piece while covering the top surface of the battery,
The prefabricated drone of the upper surface fixing piece is provided with a fourth fitting portion having a curved shape, the fourth fitting portion is fitted into the groove provided in the side fixing piece.


KR1020180049691A 2018-04-30 2018-04-30 Assembling Drone KR1020379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691A KR102037936B1 (en) 2018-04-30 2018-04-30 Assembling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691A KR102037936B1 (en) 2018-04-30 2018-04-30 Assembling Dr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936B1 true KR102037936B1 (en) 2019-10-29

Family

ID=6842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691A KR102037936B1 (en) 2018-04-30 2018-04-30 Assembling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9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039A (en) 2020-06-23 2021-12-30 김응기 Propeller unit for unmanned aerial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210U (en) * 2016-03-07 2017-09-15 장일형 Toy airplane
KR20170120802A (en) * 2016-04-22 2017-11-01 곽성욱 How to make a prefabricated drone kit made of wood
US20180368290A1 (en) * 2017-06-16 2018-12-20 Qualcomm Incorporated Multi-rotor aerial drone with vapor chamber
US20190016460A1 (en) * 2017-07-13 2019-01-17 Fat Shark Technology SEZC Unmanned aerial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210U (en) * 2016-03-07 2017-09-15 장일형 Toy airplane
KR20170120802A (en) * 2016-04-22 2017-11-01 곽성욱 How to make a prefabricated drone kit made of wood
US20180368290A1 (en) * 2017-06-16 2018-12-20 Qualcomm Incorporated Multi-rotor aerial drone with vapor chamber
US20190016460A1 (en) * 2017-07-13 2019-01-17 Fat Shark Technology SEZC Unmanned aerial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039A (en) 2020-06-23 2021-12-30 김응기 Propeller unit for unmanned aerial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100B2 (en) Magnetic toy apparatuses and methods
US9333438B2 (en) Block studying tool for infant
Dias et al. Swarm robotics: A perspective on the latest reviewed concepts and applications
AU2005310758A1 (en) Polyhedral toy
US11110364B2 (en) Motorized aquatic toy with articulated tail
KR102037936B1 (en) Assembling Drone
US20180229146A1 (en) Assembling toy block
KR20120094188A (en) A block toy used child
KR20170120802A (en) How to make a prefabricated drone kit made of wood
US20180250605A1 (en) Assembly toy
Michelson Novel approaches to miniature flight platforms
KR101336672B1 (en) Geometrical plaything and the connecting method thereof
Rosenblum et al. Sink and swim: kinematic evidence for lifting-body mechanisms in negatively buoyant electric rays Narcine brasiliensis
Zhou et al. Proactivity of fish and leadership of self-propelled robotic fish during interaction
RU169936U1 (en) Magnetic Constructor
KR101805392B1 (en) Component of drone, and drone using the same
Neely et al. Stingray-inspired robot with simply actuated intermediate motion
KR20220053940A (en) Wooden Chop Drone Kit
CN208903475U (en) Teaching aid
KR20200116604A (en) Drones that can be free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in blocks
JP3184404U (en) ornament
Masoomi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specialised biomimetic robot in multiple swimming gaits
JP2017535313A (en) Combination unit
CN212193165U (en) Three-wheeled robot for visitor creation education
CN212365252U (en) Walking robot for creating guest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