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791B1 - 고압 차단기의 동작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동작상태 확인과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고압 차단기의 동작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동작상태 확인과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791B1
KR102037791B1 KR1020190014723A KR20190014723A KR102037791B1 KR 102037791 B1 KR102037791 B1 KR 102037791B1 KR 1020190014723 A KR1020190014723 A KR 1020190014723A KR 20190014723 A KR20190014723 A KR 20190014723A KR 102037791 B1 KR102037791 B1 KR 102037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voltage circuit
battery pow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윈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윈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윈파워
Priority to KR1020190014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33Testing of the switching capacity of high-voltage circuit-breakers ; Testing of breaking capacity or related variables, e.g. post arc current or transient recovery voltage
    • G01R31/3333Apparatus, systems or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9Measuring internal impedance, internal conductance or related vari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한전과 철도 변전소 또는 고압의 전력을 수전 받는 대형 건물과 공장의 변전소에 많은 수의 고압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단기가 필요시 투입 또는 트립시 정격 시간동안 동작하여야 하고, 이러한 고압 차단기가 제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DC DC 충전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어야 한다.
변전소에 설치된 고압 차단기와 DC 축전지 전원이 정상인가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대상 기기를 부하에서 분리하고 휴대형 고압 차단기 분석기 (Portable Circuit Breaker Analyzer)를 설치하여 테스트하거나, 또한 DC 축전지 전원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휴대형 고압 차단기 분석기 (Portable Circuit Breaker Analyzer)를 설치 또는 휴대형 DC 축전지 진단기 (Portable Battery Tester)를 사용하여 전문 기술자가 테스트하여야 하므로 많은 금액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기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본 발명은 고압 차단기의 투입과 트립시 순간 저하된 전압과 순간 상승된 전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주 장치에 연결하여 파형을 측정하고, 또한 검출된 저하전압과 전류상승에서 DC전원의 임피던스를 실시간으로 산출한 후, 측정값과 및 분석값을 미리 입력한 이 메일 주소로 자동 전송하게 하여 상시 고압 차단기와 DC 축전지 전원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여 관련 설비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압 차단기의 동작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동작상태 확인과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장치{A device for measur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by measuring the operating voltage and current of the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and calculating the impedance of the backup battery power source}
본 발명은 고압 차단기의 투입 (close)과 트립 (trip)을 시키는 순간 상승 전류와 순간 저하 전압의 파형 및 작동시간을 측정하여 고압 차단기의 동작상태 확인하고, 순간 상승 전류와 순간 저하 전압의 크기에서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방법과 장치에 대한 것이다.
기존의 기술에서는 고압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고압 차단기에 휴대형 차단기 분석기 (Portable Circuit Breaker Analyzer)를 연결하여 투입 또는 트립 작동을 하여 고압 차단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 하고, 또한 DC 축전지 전원의 공급 상태를 확인하려면 DC 축전지 방전시험기 (Portable Battery Load Bank Tester)를 사용하여 별도로 방전시험을 하거나 휴대형 DC 축전지 진단기 (Portable Battery Tester)를 사용하여 각 셀에 대한 내부저항을 측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험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실시하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고압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dry-접점을 주 장치에 연결하고 또한 DC 축전지 전원에서 순간 전압과 전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주 장치에 연결한 후, 특정 차단기가 투입 (close) 또는 트립 (trip)시 모든 측정값은 주 장치에 내장된 알고리즘에 의해서 미리 입력된 값과 비교하여 고압 차단기와 DC 백업 축전지의 임피던스에서 정상여부를 평가한다. 측정값과 평가값을 미리 주 장치에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전송이 되므로 점검인력이 인위적으로 고압 차단기와 DC 축전지 전원을 테스트하지 않아도 차단기가 동작 시에는 항상 자동으로 이를 측정하여 평가하므로 관련 설비의 관리가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전과 철도 변전소 또는 고압의 전력을 수전 받는 대형 건물과 공장에서 설치된 변전소에는 많은 수의 고압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압 차단기가 필요시 투입 또는 트립시 정격 시간 내에 동작하여야 하고, 이러한 고압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DC 축전지 전원이 항상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어야 한다.
평상시, 고압 차단기와 이를 동작시키는 DC 축전지 전원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가를 확인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다, 이를 하기 위해서는 해당 고압 차단기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부하전원을 예비 차단기로 우회로 공급한 후, 정전시킨 고압차단기에 휴대형 고압 차단기 분석기 (Portable Circuit Breaker Analyzer)를 연결하고 또는 DC 축전지에는 DC 축전지 방전 시험기(Portable Battery Load Bank Tester)를 설치한 후, 인위적으로 고압 차단기를 투입 또는 트립을 한 후, 측정값을 분석하여 고압 차단기에 대한 정상 동작 여부와 DC 축전지 전원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정전시킨 고압차단기에 휴대형 고압 차단기 분석기 (Portable Circuit Breaker Analyzer)를 설치한 후 고압 차단기와 DC 축전지 전원을 테스트하는 것은 현장에서 상시 근무 하는 인원이 직접 시행할 수 없으므로, 전문 인력이 휴대형 고압 차단기 분석기 (Portable Circuit Breaker Analyzer)를 현장에 설치하여 테스트하므로 과다한 비용이 지출이 되고 긴 시간이 소요되어서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적용하지 않고 있다.
DC 축전지 전원에는 별도의 DC 축전지 방전 시험기(Portable Battery Load Bank Tester)를 설치한 후 DC 축전지 전원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은 DC 축전지의 각 셀에 대한 내부저항, 각 셀에 대한 볼트 풀림 등을 점검할 수 있지만, 이것도 전문 인력이 휴대형 배터리 방전 시험기 (Portable Battery Load Bank Tester) 또는 휴대형 DC 축전지 테스터 (Portable battery Tester)를 사용하여 테스트하므로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서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적용을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로서, 고압 차단기의 투입과 트립 상태를 표시하는 dry-접점을 주 장치에 연결하고, 특정 고장 차단기가 투입과 트립시 순간 저하 전압과 순간 상승 전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주 장치에 연결하고, 특정 고압 차단기가 투입 또는 트립시 검출된 순간 저하 전압과 순간 상승 전류를 검출하여 미리 입력한 값과 비교하여 정상 동작 여부를 비교한 후 고압 차단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평가하고, 또한 검출된 DC 축전지 전원에서 순간 저하 전압과 순간 상승 전류에서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산출하여, 측정값과 분석값을 미리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자동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고압 차단기와 DC 축전지 전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관련 설비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위한 목적이 있다.
(특허문헌 0001) KR 특허 제0942188호 (2010.02.05) (특허문헌 0002) KR 특허공개 제2013-0099737호 (2013.09.06)
한전과 철도 변전소 또는 고압의 전력을 수전 받는 대형 건물과 공장의 변전소에는 많은 수의 고압 차단기는 선로 지락과 단락사고시, 전력계통사고 파급방지를 위해 고압 차단기가 신속하게 트립 동작을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고압 차단기가 필요시 정상 동작하기 위해서는 고압 차단기와 이의 동작에 필요한 DC 축전지 전원을 수시로 평가하는 시스템이 설치되어야 한다.
본 장치는 상기의 목적으로 고안된 것으로서, 주 장치에 3종류의 입력신호가 연결되어 있고, 측정값과 분석결과는 미리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자동 전송이 되도록 한다. 주 장치에 연결된 3종류의 입력회로는 고압 차단기의 동작 상태를 주 장치에 알리도록 고압 차단기의 예비 dry-접점과 DC 축전지 전원에 대한 전압을 측정과 DC 전류에 대한 전류를 홀-효과 (Hall-effect) CT로 측정하는 것이 있다.
만약 설치된 많은 고압 차단기 중에서 특정 번호의 차단기가 투입 또는 트립시, 투입 코일 (close coil) 또는 트립 코일 (trip coil)은 DC 축전지 전원으로 구동이 되므로, DC 축전지 전원에서 순간 전압이 발생되고 동시에 순간 전류 상승이 발생하면 주 장지에서 이를 검출하여 미리 입력된 값과 비교하여 동작된 고압 차단기가 정상 동작하였는지에 대한 평가한 후 미리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자동 전송하게 함으로써, 현장에 설치된 고압 차단기와 DC 축전지 전원의 정상 동작 여부를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변전소에 설치된 고압 차단기가 투입 또는 트립시 DC 축전지 전원에 의해 고압 차단기의 내부에 장착된 투입 코일 (close coil) 또는 트립 코일 (trip coil)이 동작한다. 이 때 고압 차단기의 동작 시 측정된 DC 축전지 전원에서 순간 전압 저하 파형과 순간 전류 상승 파형을 측정하여 미리 입력된 값과 비교하면 동작한 고압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는지 또는 동작에 필요한 전압 저하가 크거나 전류의 상승이 크면 고압 차단기의 기계적 또는 전기적 결함에 의한 것일 수 있으므로 별도의 예방점검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는 순간 저하된 전압과 순간 상승한 전류를 측정한 후 (전압 ÷ 전류 = 임피던스) 의 계산식에 적용하면 고압 차단기가 동작시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이것은 만약 2Vdc 셀이 55개로 구성된 110Vdc 축전지 전원에서 전체 임피던스는 “각 셀의 내부저항 + 각 셀의 볼트 접촉면 저항 + 전원선의 도체저항과 볼트 결선 저항의 직렬 저항의 합”이므로 만약 산출된 임피던스가 크다면 특정 개소에서 문제가 있다는 것이므로 별도의 점검으로 이를 개선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고압 차단기와 연결되어 동작상태를 평가하고, DC 축전지와 연결되어 DC 축전지의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 전압변화와 순간 전류변화를 측정하는 주 장치; 상기 주 장치에서의 측정값과 파형, 분석결과를 이메일 전송하는 TCP/IP 포트; 가 설치되어, 상기 주 장치가 n개 설치된 고압 차단기에서 특정 번호의 고압 차단기가 투입 또는 트립 작동시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 상승전류와 저하전압 및 지속시간을 측정한 후 미리 입력된 값과 비교하여 고압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평가하고,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 상승전류와 저하전압에서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 차단기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투입 코일 또는 트립 코일이 동작하면,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 저하된 전압과 순간 상승된 전류가 주 장치에서 측정된 후, 미리 입력된 값과 지속시간을 비교하여 고압 차단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주 장치는 측정된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전압과 순간전류 파형에서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순간전압의 크기 ÷ 순간전류의 크기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장치를 변전소에 설치하면 현장에 설치된 고압 차단기가 동작시 마다 DC 축전지 전원의 전압파형과 전류파형 및 동작시간을 측정하여 고압 차단기와 DC 축전지 전원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는지를 평가하여 결과를 지정된 이메일로 전송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설비의 유지보수비가 절감이 되고 상시 실시간 점검으로 관련 설비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현재 기술에서는 고압 차단기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대상 고압 차단기를 휴전시키고 도 4, 5, 6에서와 같이 같은 휴대형 차단 시험기 (Portable Circuit Breaker Analyzer)를 전문 기술자가 설치한 후 테스트하고 분석을 하여야 하므로 많은 금액 비용이 지출되어야 하므로 대부분의 현장에서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DC 축전지 전원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도 도 6와 같이 휴대형 DC 축전지 방전 시험기 (Portable Battery Load Bank Tester)를 설치하여 방전시키면서 DC 축전지의 셀 전압과 전류 및 각 셀에 대한 내부저항을 측정하여 DC 축전지 전원이 정상인가를 확인하거나 부동충전 상태에서 또는 휴대형 DC 축전지 진단기 (Portable Battery Tester)을 사용하여 각 셀에 대한 내부저항을 측정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전문 기술자가 고가의 측정기를 설치하여 측정하므로 많은 금액의 비용 지출되어야 하므로 대부분의 현장에서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휴대형 차단 시험기 (Portable Circuit Breaker Aanlyzer)와 휴대형 DC 축전지 방전 시험기 (Portable Battery Load Bank Tester)를 설치 또는 휴대형 DC 축전지 진단기 (Portable Battery Tester)를 사용하지 않고, 고압 차단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보조 dry-접점과 DC 축전지 전원의 전압과 전류를 상시 측정하는 별도의 주 장치에 연결하여 설치된 모든 고압 차단기에서 투입 또는 트립 동작시 순간 저하된 전압과 순간 상승된 전류 및 지속시간을 측정하여 동작상태를 분석한 후 결과를 자동으로 이메일로 전송하게 함으로서 관련 설비를 실시간으로 점검하도록 하여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설비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 고압 차단기의 동작상태와 DC 축전지의 DC 축전지 전원 공급 상태를 평가하는 주 장치
도 2. 주 장치의 순서도
도 3. 차단기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한 전류와 전압 파형
도 4. 고압 차단기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Circuit Breaker Tester 결선도
도 5. Circuit Breaker Tester로 고압 차단기를 테스트하는 사진
도 6. Battery 방전 시험기로 battery 충전상태를 테스트하는 사진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표도이다. (1)은 고압 차단기의 동작상태와 DC 축전지 전원의 상태를 평가하는 주 장치이다. (1)의 주 장치에 입력되는 측정값은 3종류가 있다.
고압 차단기의 정상/비정상 동작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dry-접점으로 연결 (2),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 전압변화를 측정하는 연결 (3), 및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 전류변화를 측정하는 연결 (4)이 있다, 그리고 주 장치 (1)에는 상기 DC 축전지 전원의 전압과 전류 관련 측정값과 파형 및 분석결과를 미리 입력된 이메일 주소로 자동 전송하는 TCP/IP 포트 (5)가 있다.
고압 차단기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투입 코일 (close coil) 또는 트립 코일 (trip coil)이 동작하면,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 저하된 전압과 순간 상승된 전류가 주 장치 (1)에서 측정된 후, 미리 입력된 값과 비교하여 전압과 전류의 크기가 같은지 또는 다른지를 비교하고 지속시간을 비교하여 동작된 고압 차단기가 정상 동작하였는지 또는 비정상 동작을 하였는지에 대한 평가결과와 측정값은 보고서 형태로 사전에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자동으로 전송을 하므로, 고압 차단기와 DC 축전지 전원의 관리자는 별도의 테스트를 하지 않고서도 관련 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은 주 장치 (1)가 고압 차단기와 연결되어 동작상태를 평가하고, DC 축전지와 연결되어 DC 축전지의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 전압변화와 순간 전류변화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주 장치 (1)는 n개 설치된 고압 차단기에서 특정 번호의 고압 차단기가 투입 또는 트립 작동시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 상승전류와 저하전압 및 지속시간을 측정한 후 미리 입력된 값과 비교하여 고압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평가한다.
또한 상기 주 장치 (1)는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 상승전류와 저하전압에서 임피던스를 산출한다. 즉 순간 저하된 전압과 순간 상승한 전류를 측정한 후 (전압 ÷ 전류 = 임피던스) 의 계산식에 적용하면 고압 차단기가 동작시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TCP/IP 포트 (5)는 상기 주 장치 (1)에서의 측정값과 파형, 분석결과를 이메일 전송하도록 설치된다.
도 2는 본 특허의 순서도이다.
순서도는 회로부 (11)가 Battery의 DC 예비전원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계산 회로부 (12)는 전압과 전류 관련 측정값에 대해 계산하며, 기준값 입력부 (13)는 차단기에 대한 기준값을 입력하고, 측정값 비교부 (14)는 기준값에 대해 측정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차단기 투입/트립 상태를 알 수 있도록 차단기의 예비 dry-접점을 연결 (15)하고, 고압 차단기의 동작 특성 그래프를 출력하며, 투입 또는 트립시 상승전류와 저하전압 및 동작시간을 측정하여 표시한다.
또한 출력부 (16)는 측정값에 따라 고압 차단기와 DC 축전지 전원의 상태를 보고서 형식으로 표시하고, 고압 차단기 투입 또는 트립시, TCP/IP 포트에 의해 미리 지정된 이메일에 자동으로 전송 (17)한다.
즉 본 발명은 고압 차단기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투입 코일 또는 트립 코일이 동작하면,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 저하된 전압과 순간 상승된 전류가 주 장치에서 측정된 후, 미리 입력된 값과 지속시간을 비교하여 고압 차단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평가한다.
도 3은 측정된 전압과 전류에 대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주 장치가 측정된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전압과 순간전류 파형에서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순간전압의 크기 ÷ 순간전류의 크기로 산출한다.
도 3의 위 그림에서 정상 동작 전압과 전류 파형에서 계산된 DC 축전지 임피던스는 50mΩ이고 고압 차단기 동작시간이 10msec이다. 그러나 아래 왼쪽 그림에서와 같이 고압 차단기 동작시간이 15msec로 지연동작으로 측정되거나, 또는 아래 오른쪽 그림에서와 같이 DC 축전지 전원의 DC 축전지 임피던스가 68mΩ으로 과다하게 산출되면, 아래 그림들의 고압 차단기는 위 그림과 비교하여 비정상 동작으로 평가가 되므로 해당 고압 차단기는 별도의 예방점검을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장치를 설치하면 고압 차단기가 동작하는 즉시 실시간으로 정상 동작 또는 비정상 동작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설비의 관리측면에서 매우 편리하다.
도 4과 도 5는 현재의 기술에서 고압 차단기의 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휴대형 차단 시험기 (Portable Circuit Breaker Analyzer)를 정전시킨 고압 차단기에 연결한 구성도이다.
이와 같은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상 고압 차단기에 연결된 전력을 차단한 후 전문 기술자가 휴대형 차단 시험기 (Portable Circuit Breaker Aanlyzer)를 고압 차단기에 연결한 후 테스트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현장에 상시 근무하는 일반 전기 기술자가 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시험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전문 기술자의 출장비와 휴대형 차단 시험기 (Portable Circuit Breaker Aanlyzer)를 임대하는 비용이 많이 소요가 되므로 현재 대부분의 고압 차단기 설치장소에서는 고압 차단기를 테스트를 하지 않고 있다.
도 6은 휴대형 DC 축전지 방전 시험기 (Portable Battery Load Bank Tester)를 설치한 후 방전시키면서 DC 축전지 전원의 상태를 테스트하는 사진이다.
이와 같은 테스트를 하면 DC 축전지 전원의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고 각 셀의 내부저항과 각 셀의 볼트 풀림 여부 및 부하에서부터 직렬로 결선된 전체 DC 축전지 전원에서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지만 휴대형 DC 축전지 방전 시험기 (Portable Battery Load Bank Tester)를 임대하고 전문 기술자에게 의뢰하여 테스트를 함에 따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7은 휴대형 DC 축전지 진단기 (Portable Battery Tester)로서 DC 축전지를 방전하지 않고 부동충전상태에서 각 셀의 내부저항과 볼트 접합부의 접촉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휴대형 DC 축전지 진단기 (Portable Battery Tester)이 고가이므로 모든 현장에서 구매하여 사용할 수 없고 숙달된 기술자가 측정을 하고 분석을 하여야 정확한 측정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적용하기 곤란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 고압 차단기의 동작상태와 DC 축전지의 DC 축전지 전원 공급 상태를 평가하는 주 장치
2: 고압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dry-접점으로 연결
3: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 전압변화를 측정하는 연결
4: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 전류변화를 측정하는 연결
5: 측정값과 파형, 분석결과를 이 메일 전송하는 TCP/IP 포트
11: Battery의 DC 예비전원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는 회로부
12: 측정값에 대한 계산 회로부
13: 차단기에 대한 기준 값 입력부
14: 기준 값에 대한 측정값 비교부
15: 차단기 투입/트립 상태를 알 수 있도록 차단기의 예비 dry-접점을 연결
16: 출력부
17: 고압 차단기 투입 또는 트립시, 미리 지정된 이 메일에 자동으로 전송

Claims (3)

  1. 고압 차단기와 연결되어 동작상태를 평가하고, DC 축전지와 연결되어 DC 축전지의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 전압변화와 순간 전류변화를 측정하는 주 장치;
    상기 주 장치에서의 측정값과 파형, 분석결과를 이메일 전송하는 TCP/IP 포트; 가 설치되어,
    상기 주 장치가 n개 설치된 고압 차단기에서 특정 번호의 고압 차단기가 투입 또는 트립 작동시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 상승전류와 저하전압 및 지속시간을 측정한 후 미리 입력된 값과 비교하여 고압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평가하고,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 상승전류와 저하전압에서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차단기의 동작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동작상태 확인과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장치는 측정된 DC 축전지 전원의 순간전압과 순간전류 파형에서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순간전압의 크기 ÷ 순간전류의 크기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차단기의 동작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동작상태 확인과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장치.
KR1020190014723A 2019-02-08 2019-02-08 고압 차단기의 동작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동작상태 확인과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장치 KR102037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723A KR102037791B1 (ko) 2019-02-08 2019-02-08 고압 차단기의 동작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동작상태 확인과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723A KR102037791B1 (ko) 2019-02-08 2019-02-08 고압 차단기의 동작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동작상태 확인과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791B1 true KR102037791B1 (ko) 2019-10-29

Family

ID=6842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723A KR102037791B1 (ko) 2019-02-08 2019-02-08 고압 차단기의 동작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동작상태 확인과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7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7609A1 (en) * 2004-09-10 2006-04-13 Bender Robert L System and method for circuit protector monitoring and management
JP2006343169A (ja) * 2005-06-08 2006-12-21 Koken:Kk 高圧負荷演算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90131932A (ko) * 2008-06-19 2009-12-3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고압차단기 자동시험장치
KR20120001300A (ko) * 2010-06-29 2012-01-04 한국전력공사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30099737A (ko) 2012-02-29 2013-09-06 한국철도공사 다기능 진공회로차단기 시험기
KR20130124826A (ko) * 2012-05-07 2013-11-15 주식회사 원방하이테크 활선 상태에서 차단기 동작 특성 진단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7609A1 (en) * 2004-09-10 2006-04-13 Bender Robert L System and method for circuit protector monitoring and management
JP2006343169A (ja) * 2005-06-08 2006-12-21 Koken:Kk 高圧負荷演算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90131932A (ko) * 2008-06-19 2009-12-3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고압차단기 자동시험장치
KR100942188B1 (ko) 2008-06-19 2010-02-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고압차단기 자동시험장치
KR20120001300A (ko) * 2010-06-29 2012-01-04 한국전력공사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30099737A (ko) 2012-02-29 2013-09-06 한국철도공사 다기능 진공회로차단기 시험기
KR20130124826A (ko) * 2012-05-07 2013-11-15 주식회사 원방하이테크 활선 상태에서 차단기 동작 특성 진단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ryulin et al. Method for cable lines insulation monitoring
Li et al. Method for voltage-sag-source detection by investigating slope of the system trajectory
KR101153296B1 (ko) 직류전원장치나 직류전원선로의 지락 및 누설전류 감시기능을 가지는 직류전원감시기
US20150077891A1 (en) Power supply monitoring system
US7791351B2 (en) Method for detecting electrical ground faults
US20140117912A1 (en) System For Detecting Internal Winding Faults Of A Synchronous Generator,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US109010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absence of voltage
US9568535B2 (en) Methods for detecting an open current transformer
EP3170012A1 (en) Method and system of fault detection and localisation in dc-systems
US11187750B2 (en) Method for detecting the state of an electrical protection appliance in an electrical installation and detection device implementing said method
KR20210068164A (ko) 전기자동차 충전기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2037791B1 (ko) 고압 차단기의 동작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동작상태 확인과 dc 축전지 전원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장치
JP6932964B2 (ja) 直流電源供給回路の断線判別装置及び配線判別装置
US11150291B1 (en) Functional reliability assessment for insulated power cable systems
Biryulin et al. System of cable lines insulation control
Lindskog et al. A data driven approach for monitoring puncture events in capacitor voltage transformers
KR101413788B1 (ko) 변압기 이상 진단 방법 및 장치
CN103245842B (zh) 10~35kV新装电气装置全系统模拟运行检测方法
CN111796159A (zh) 一种用于现场检测复合型排流器是否损坏的方法
KR101332714B1 (ko) 심각도 평가를 통한 몰드변압기 진단방법
JP7375398B2 (ja) 計器用変成器の二次側回路の電圧電流位相測定方法
KR101358049B1 (ko) 몰드변압기 진단 시스템
KR101722777B1 (ko) 지능화 지상 변압기
Jayantha et al. Field experience of generator stator insulation monitoring and failures in Sri Lanka
Baek et al. Circuit Breaker Diagnostic System Using Digital Substation I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