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676B1 -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676B1
KR102037676B1 KR1020170157043A KR20170157043A KR102037676B1 KR 102037676 B1 KR102037676 B1 KR 102037676B1 KR 1020170157043 A KR1020170157043 A KR 1020170157043A KR 20170157043 A KR20170157043 A KR 20170157043A KR 102037676 B1 KR102037676 B1 KR 102037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user
unit
measuring unit
mo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9432A (ko
Inventor
박세진
홍승희
김다미
서영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7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6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0476
    • A61B5/040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중인 사용자의 뇌졸중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거나 동작을 측정하여 보행중인 사용자의 뇌졸중의 발생을 판단하거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부착 또는 착용되어 보행중인 사용자의 뇌파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부,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뇌졸중 발생을 예측하는 뇌졸중 판단부 및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거나 뇌졸중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 사용자 또는 지정된 곳에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for stroke during walking}
본 발명은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보행중인 사용자의 뇌졸중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거나 동작을 측정하여 보행중인 사용자의 뇌졸중의 발생을 판단하거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Stroke)은 뇌혈류 이상으로 인해 갑작스레 유발되는 국소적인 신경학적 결손 증상을 통칭한다. 뇌졸중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전체 연령에 걸쳐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지만 주로 노년에 발생한다.
뇌는 상기한 뇌졸중과 같은 증상에 상당히 취약한 기관으로, 혈액 공급이 30초 동안 차단되면 조직의 허혈 상태로 대사 과정에 이상이 오기 시작하고, 1분 동안 중단되면 뇌세포의 기능이 마비되며, 5분간 중단되면 불가역성 변화로 신경세포의 괴사가 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뇌졸중을 예방하고, 뇌졸중의 발생시 긴급히 치료를 받아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65970호("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 2015.11.23., 이하 선행기술 1)에는 수면 중 사용자의 뇌졸중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 방식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신체 부위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움직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뇌졸중 여부를 판단한다.
선행기술 1은 수면 중 사용자의 뇌졸중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급작스런 뇌졸중의 발생으로 인한 사용자의 신체손상 또는 사망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지만, 단순히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 신뢰도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보다 낮고, 수면이 아닌 다른 상태, 특히 보행중인 사용자에게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65970호("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 2015.11.2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의 목적은, 보행 중인 사용자의 뇌졸중 여부를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통해 판단하여, 보다 정확하게 보행중인 사용자의 뇌졸중 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취득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용자의 뇌졸중을 예측할 수 있는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보행 중인 사용자의 뇌졸중 발생 여부를 사용자의 생체신호 뿐만 아니라 동작정보를 통해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부착 또는 착용되어 보행중인 사용자의 뇌파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부,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뇌졸중 발생을 예측하는 뇌졸중 판단부 및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거나 뇌졸중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 사용자 또는 지정된 곳에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와 사용자의 건강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보행중인 사용자의 생체신호의 기준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와 상기 기준범위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뇌졸중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뇌졸중의 발생 또는 예측된 이력을 저장하는 뇌졸중 이력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상기 뇌졸중 이력 저장부에 저장된 뇌졸중 발생 또는 예측 이력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준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부착 또는 착용되어 보행중인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정보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상기 동작정보 측정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정보 측정부는 사용자에 부착 또는 착용되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사용여부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상기 사용여부 판단부에서 상기 동작정보 측정부를 사용하고 있다고 측정되고, 상기 동작정보 측정부에서 사용자가 평소보다 큰 동작정보가 측정되거나, 평소보다 큰 동작정보가 측정된 후 동작정보가 측정되지 않으면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정보는 건강검진 이력, 건강검진 정보 또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뇌졸중의 발생했다고 판단하거나 뇌졸중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때, 하거나 예측되었을 때, 알림음을 출력하여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거나, 가족, 보호자 또는 응급의료센터를 포함하는 미리 지정된 곳에 미리 정해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파악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심리분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상기 심리분석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심리정보를 활용하여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보행 중인 사용자의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 또는 예측하고 이를 사용자, 주변 사람 또는 인근 병원에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뇌졸중 발생을 예방하고, 뇌졸중 발생시 신속히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뇌졸중의 발생 예측을 사용자의 생체신호, 동작정보, 건강검진 이력, 예측되는 심리 상태를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므로, 뇌졸중 발생 여부 및 발생 예측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생체신호 측정부와 동작정보 측정부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에게 측정되는 생체신호를 이용한 뇌졸중의 발생 또는 뇌졸중의 예측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이용한 뇌졸중의 발생을 판단하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구체적으로 보행중인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기준으로 뇌졸중의 발생여부 판단 및 예측하고, 보행중인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기준으로 뇌졸중의 발생을 판단하는 과정으로 나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들에 관하여 설명한 후, 본 발명의 각각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생체신호 측정부(100), 뇌졸중 판단부(200), 데이터베이스(300), 알림부(400), 뇌졸중 이력 저장부(500) 및 동작정보 측정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부(100)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착용하는 각종 웨어러블 기기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각종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부착형 전극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2에는 생체신호 측정부(100)의 대표적인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신호 측정부(100)는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도록 뇌파전극(110)이 내측에 설치된 모자 또는 가슴에 부착하여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심전도전극(120)을 포함하는 장치(예를 들어 의복)일 수 있다. 단, 도 2에 도시된 뇌파전극(110)을 포함하는 모자와 심전도전극(120)을 포함하는 장치는 생체신호 측정부(100)의 일예일 뿐으로, 본 발명의 생체신호 측정부(100)는 도 2에 도시된 장치 이외에도 근전도, 심박수, 혈압, 체온 및 피부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생체신호 측정부(100)는 각각의 장치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해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뇌파로 대표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뇌졸중 발생 또는 발생이 예측될 경우 사용자의 뇌파를 비롯한 각종 생체신호가 변화하기 때문으로, 생체신호 측정부(100)는 사용자의 뇌파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며, 후술할 뇌졸중 판단부(200)에서는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근거로 뇌졸중의 발생을 판단하거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뇌졸중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은 선행기술 1처럼 사용자의 움직임만을 이용하여 뇌졸중의 발생여부를 간접적으로 판단하는 방식보다 직접적인 방식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보다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스마트밴드(110) 및 뇌파전극(120)은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사용자에게 부착되어 사용되는 생체신호 측정부(100)의 예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생체신호 측정부(100)는 이 외에도 사용자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비접촉식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접촉식 생체신호 측정장치란 사용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사용자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를 측정하는 것으로, 비접촉식으로 동작하는 심박수/호흡수 측정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 가능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졸중 판단부(200)는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근거로 뇌졸중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뇌졸중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으며, 후술할 동작정보 측정부(600)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근거로 뇌졸중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뇌졸중 판단부(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구성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임베디드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 형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300)는 사용자의 건강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일종의 네트워크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서버(Server)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건강정보는 대표적으로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지속적으로 측정되어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생체신호별 이력(주기적(예를 들어 1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뇌파정보)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생체신호 측정부(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마다 데이터베이스(300)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는 다른 건강정보로는, 개개인의 건강검진을 관리하는 건강보험공단과 같은 기관에서 지속적으로 입력받는 건강검진 이력일 수 있으며, 건강검진 이력의 경우 사용자의 성명, 나이, 가족병력과 같은 개인정보부터 검진날짜, 해당 건강검진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는 또 다른 건강정보로는, 사용자의 측정 뇌파(EMR)가 있을 수 있다. 사용자의 측정 뇌파(EMR)는, 사용자가 뇌졸중이 발생한 이력이 있어 해당 뇌졸중의 치료과정 중 별도로 뇌파를 측정한 경우의 뇌파정보이다, 즉,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뇌파는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뇌파뿐만 아니라, 치료과정에서 측정된 뇌파측정이력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부(400)는 뇌졸중 판단부(200)에서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거나, 뇌졸중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 이를 사용자 또는 지정된 곳에 알린다.
알림부(400)는 음성 또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되거나 예측되었을 경우 적절한 알림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거나 주변사람들에게 CPR가 같은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도움을 요청할 수 있고, 지정된 곳(예를 들어 가족 또는 병원의 응급실)과 같은 곳에 메시지를 보내도록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졸중 이력 저장부(500)는 일종의 데이터베이스로, 뇌졸중 판단부(200)에서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거나, 뇌졸중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 발생/예측 이력이 저장되고, 뇌졸중 판단부(200)로 해당 이력을 송신한다. 뇌졸중 판단부(200)는 뇌졸중 판단부(200)에서 송신된 뇌졸중 발생/예측 이력을 수신하여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뇌졸중 이력 저장부(500)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Fine-tuning하여 뇌졸중 판단부(200)에서 사용자의 뇌졸중 발생여부 판단 및 예측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정보 측정부(600)는 사용자에게 부착 또는 착용되어 보행중인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측정한다.
도 2에는 동작정보 측정부(600)의 일예로써, 스마트워치/스마트밴드가 도시되어 있다. 스마트워치/밴드로 구현되는 동작정보 측정부(600)에는 자이로센서 또는 가속도센서가 내장되어, 보행중인 사용자의 보행속도나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동작정보 측정부(600)는 도 2에 도시된 보행중인 사용자의 보행속도나 자세를 알 수 있는 스마트워치/밴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모자 또는 의복에 설치되는 충격센서, 의복에 설치되는 압력센서 또는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에 설치된 족압센서일 수 있다. 특히 모자는 일반적으로 쓰는 방향이 정해져 있으므로, 모자에 자이로센서가 내장되었을 경우 자이로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 용이하며, 사용자의 신발에 설치된 족압센서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족압은 사용자가 현재 보행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직접적인 근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한 구성들 외에도, 심리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심리분석부는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분석해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파악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한다. 심리분석부는 생체신호 측정부(100)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송신 및 저장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생체신호 측정부(100)와 동일한 장치에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측정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하는 연구는 최근들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의 대표적인 예로 "뇌전도와 심박변이를 이용한 감성 분석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전기환 외 4명,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제15권 제10호, 2010.10)에서는 뇌전도와 심박변이 패턴을 분석하여 평온, 집중, 긴장 우울 등의 감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이 외에도 피부전도도와 같은 기타 생체신호를 사용하여 인간의 감성을 분류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100)로 측정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이용해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여 뇌졸중 판단부(200)에서 사용자의 뇌졸중 발생 여부를 판단하거나 발생을 예측할 때,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감정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어 뇌졸중 발생 예측에 사용된 사용자의 생체신호는, 상기 뇌졸중 판단부(200)에서 사용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기저장된 건강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제1시점 이후의 제2시점에서 상기 뇌졸중 판단부(200)에서 뇌졸중 발생을 예측할 때 사용되는 기저장된 사용자의 건강정보는 제1시점에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100)가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구성끼리 통신하기 위한 통신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망은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를 뇌졸중 판단부(200)로 송신하거나 동작정보 측정부(600)에서 측정된 동작 정보를 뇌졸중 판단부(300)로 송신할 때 송신 매체 역할을 하며, 상기한 생체신호 측정부(100) 또는 동작정보 측정부(600) 외에도 본 발명의 구성들끼리 송신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통신망은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망 또는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신망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이들을 연결하는 코어망(미도시)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은 단말과 직접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망으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와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를 집중화된 DU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과 같은 다른 통신망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 및 코어망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은 인터넷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망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생체신호 측정부(100), 동작정보 측정부(600), 뇌졸중 판단부(200), 데이터베이스(300), 알림부(400) 및 뇌졸중 이력 저장부(500)가 상호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건강 진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예측하는 동작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뇌졸중 판단부(200)가 동작하여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측정되는 신호를 통해 뇌졸중의 발생을 판단하거나 예측하는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졸중 판단부(200)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뇌졸중 이력 저장부(500)에 저장된 뇌졸중 이력을 수신한 후, 생체신호의 기준범위를 설정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측정되는 다양한 종류의 생체신호 중 일예로써 혈압의 기준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며, 뇌졸중 판단부(200)는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수신한 건강정보와 뇌졸중 이력 저장부(5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뇌졸중 이력을 근거로 사용자의 혈압의 기준범위의 하한선인 Min과 상한선인 Max를 설정한다.
뇌졸중 판단부(200)가 데이터베이스(100)에 기저장된 건강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은 건강정보에 포함되는 건강검진 이력 또는 측정된 생체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정상 상태일 때의 생체신호들의 범위의 평균을 내거나, 건강검진 정보에 검진을 담당한 주차의가 권장한 생체신호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뇌졸중 판단부(200)는 기준범위를 설정한 후, 생체신호 측정부(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된 생체신호, 즉 현재 혈압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된 혈압이 기준범위 내에 포함되지는 여부를 판단한다.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혈압이 상기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 뇌졸중 판단부(200)는 사용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알림부(400)를 동작시킨 후 뇌졸중 발생 이력을 뇌졸중 이력 저장부(500)에 뇌졸중 발생 이력을 저장한다.
뇌졸중 판단부(200)에서 사용자의 뇌졸중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준범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뇌졸중 판단부(200)는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사용자의 혈압이 기준범위에 포함될 경우, 기준범위를 초기의 90% 수준으로 감축하여, 측정된 혈압이 90% 수준으로 감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측정된 혈압이 기분범위의 90% 수준으로 감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뇌졸중 발생이 예측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뇌졸중 발생이 예측될 경우 뇌졸중 판단부(200)는 알림부(400)를 동작시킨 후, 뇌졸중 발생예측 이력을 뇌졸중 이력 저장부(500)에 저장할 수 있다. 알림부(400)의 동작은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미리 정해진 메시지를 지정된 곳에 송신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 실시예에서 뇌졸중 판단부(200)는 기준범위를 90%, 80%와 같이 순차적으로 줄여나가면서 일정 수준까지 감축된 기준범위로 사용자의 뇌졸중의 발생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알림부(400)의 경우,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사용자의 혈압이 기준범위의 100%, 90%, 80% 각각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서로 다른 경고음 또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부(400)는 1단계인 기준범위의 100%를 초과했을 경우에는 "비상"과 같이 현재 응급처치가 필요하다는 경고음 또는 긴급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측정된 혈압이 기준범위의 90%이상, 100%이내일 경우 "위험"과 같이 사용자 또는 주변사람들에게 경고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측정된 혈압이 기준범위의 80%이상 90%이내일 경우 "주의"와 같은 경고음 또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단, 출력되는 경고음 또는 메시지에는 동시간대 사용자의 생체신호들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준범위의 100%, 90%, 80%는 하나의 예로써, 다양한 범위가 있을 수 있고 혈압 외에도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다양한 생체신호들이 적용될 수 있다.
알림부(400)에서 출력하는 알림음의 경우, 각 단계별로 적절한 응급처치 방법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태가 "비상"일 때에는 주변의 사람들이 CPR과 같은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CPR의 방법에 대한 방법이 "비상" 알림음과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400)에서 출력하는 알림음의 세기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차등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의"의 출력값이 상기 알림부(400)에서 출력되는 알림음의 최대 출력값의 60%가 될 수 있으며, "위험"의 경우 80%, "비상"의 경우 100%가 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400)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보호자, 가족 또는 응급의료센터에 송신할 때 사용자의 위치를 함께 송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가 착용하는 생체신호 측정부(100) 또는 동작정보 측정부(600)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GPS와 같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정보를 이용하여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실시예]
상기한 생체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은 뇌졸중의 발생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발생을 예측하는 본 발명의 동작 실시예다. 이하 설명할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이용한 방식은 뇌졸중의 발생여부만을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생체신호를 이용하는 방식과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뇌졸중 판단부(200)가 동작정보 측정부(600)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근거로 뇌졸중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서 사용되는 동작정보 측정부(600)는 흉부/복부 내부 둘레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의복(상의)으로, 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값을 통해 사용자의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먼저, 동작정보 측정부(600)를 이용한 보행중인 사용자의 뇌졸중 발생여부 판단하는 것은 뇌졸중이 발생한 사용자는 넘어진다는 것을 전제한다. 일반적으로 뇌졸중이 발생한 사용자는 의식을 잃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보행중인 사용자의 경우 주변에 지지할 것이 마땅치 않으므로 의식을 잃으면서 바닥에 쓰러지기 때문이다.
동작정보 측정부(600)에서 사용자가 쓰러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먼저 동작정보 측정부(600)에 포함되는 사용여부 판단부에서 동작정보 측정부(600)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부터 판단할 필요가 있다. 사용여부 판단부에서 사용자가 동작정보 측정부(600)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의 일예로써, 정전식 센서를 이용하여 동작정보 측정부(600)가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맞닿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사용여부 판단부에서 사용자가 동작정보 측정부(600)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 뇌졸중 판단부(200)는 압력센서로부터 기준치 이상의 압력이 측정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뇌졸중이 발생했을 경우 지면에 쓰러진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흉부 또는 복부 둘레 중 일부는 지면과 맞닿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복 상의 복부/흉부의 둘레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압력센서 중 일부에서는 기준치 이상의 압력이 측정될 수 있고, 따라서 뇌졸중 판단부(200)는 사용자가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알림부(400)를 동작시킨 후, 뇌졸중 발생이력을 뇌졸중 이력 저장부(50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정보 측정부(600)의 압력센서를 이용하는 실시예 이외에도, 뇌졸중 판단부(200)은 스마트워치/밴드에 포함되는 자이로센서 또는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보행중인 사용자의 속도가 일정시간 이상 0으로 측정되고,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누워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동작정보 측정부(600)가 충격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일정량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었을 때, 뇌졸중 판단부(200)가 사용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동작정보 측정부(600)가 신발에 설치된 족압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일정 정도 이상의 족압이 일정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으면 뇌졸중 판단부(200)는 사용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압력센서, 스마트워치/스마트밴드, 충격센서 모두 측정값이 갑자기 커지거나, 커진 후 0으로 측정되는 경우이다. 즉, 뇌졸중 판단부(200)는 동작정보 측정부(600)에서 측정값이 갑자기 커지고, 이후 측정값이 0으로 측정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동작정보 측정부(600)는 상기한 압력센서, 스마트워치/스마트밴드, 충격센서 외에도 사용자가 소장 또는 착용하는 장치에 포함되는 진동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진동센서는 사용자의 뇌전증 현상을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했을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경련이 일어나는 뇌전증이 함께 오게 된다. 따라서 진동센서는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보행할 때 발생하는 진동 외에 뇌졸중이 발생했을 때, 뇌전증에 의한 진동을 측정하여, 이를 뇌졸중 판단부(200)로 송신할 수 있다. 뇌전증, 즉 경련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은 보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보다 주기가 짧고, 진폭이 작을 수 있기 때문에 뇌졸중 판단부(200)는 보행중인 사용자에게 측정되는 진동보다 주기가 짧고 진폭이 작은 진동이 측정될 경우, 사용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동작 실시예에서는 각각 사용자의 생체신호와 동작정보를 별개로 판단하여 뇌졸중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뇌졸중 발생을 예측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생체신호를 이용하는 방식과 동작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이 혼용함으로써 각각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살리도록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동작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이 수행되면, 데이터베이스(300)에는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비롯한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된다. 본 발명에 의한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정보를 항목별로 분류하고, 이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분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정보를 날짜, 시간, 지역, 생체 신호별로 분류하여 제공하거나 시각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한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한 사용자에게 적용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 개개인의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정보가 모여 상위 데이터베이스를 이룰 수 있으며, 중앙 정부, 지자체 또는 기업에서는 이를 활용 또는 근거로 뇌졸중 관련 정책을 시행하거나 뇌졸중 환자들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생체신호 측정부
110 : 뇌파전극
120 : 심전도전극
200 : 뇌졸중 판단부
300 : 데이터베이스
400 : 알림부
500 : 뇌졸중 이력 저장부
600 : 동작정보 측정부

Claims (9)

  1. 사용자의 뇌파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부;
    사용자에게 부착 또는 착용되어 보행중인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정보 측정부;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 상기 동작정보 측정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뇌졸중 발생을 예측하는 뇌졸중 판단부; 및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거나 뇌졸중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 사용자 또는 지정된 곳에 알리는 알림부;
    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정보 측정부는, 사용자에게 부착 또는 착용되어 사용자의 보행속도 및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 사용자의 흉부와 복부 둘레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압력센서, 및 사용자의 신발에 설치된 족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상기 동작정보 측정부에 포함되는 상기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를 통해 보행중인 사용자의 속도가 일정시간 이상 0으로 측정되고, 사용자가 넘어져있다고 판단되며, 상기 압력센서들 중 일부에서 기준치 이상의 압력이 측정되고, 상기 족압센서에서 일정 정도 이상의 족압이 일정시간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와 사용자의 건강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보행중인 사용자의 생체신호의 기준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와 상기 기준범위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뇌졸중 발생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뇌졸중의 발생 또는 예측된 이력을 저장하는 뇌졸중 이력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상기 뇌졸중 이력 저장부에 저장된 뇌졸중 발생 또는 예측 이력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준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부착 또는 착용되어 상기 동작정보 측정부가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여부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상기 사용여부 판단부에서 상기 동작정보 측정부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동작정보 측정부에서 사용자가 평소보다 큰 동작정보가 측정되거나, 평소보다 큰 동작정보가 측정된 후 동작정보가 측정되지 않으면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정보는
    건강검진 이력, 건강검진 정보 또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뇌졸중의 발생했다고 판단하거나 뇌졸중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때, 경보음을 출력하여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거나, 가족, 보호자 또는 응급의료센터를 포함하는 미리 지정된 곳에 미리 정해진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파악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심리분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상기 심리분석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심리정보를 활용하여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70157043A 2017-11-23 2017-11-23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37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043A KR102037676B1 (ko) 2017-11-23 2017-11-23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043A KR102037676B1 (ko) 2017-11-23 2017-11-23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432A KR20190059432A (ko) 2019-05-31
KR102037676B1 true KR102037676B1 (ko) 2019-10-29

Family

ID=66657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043A KR102037676B1 (ko) 2017-11-23 2017-11-23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6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4019A1 (en) * 2007-05-24 2008-11-27 Bao Tran Wireless stroke monitor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2783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WO2014143896A2 (en) * 2013-03-15 2014-09-18 Simon Adam J System and signatures for the multi-modal physiological stimulation and assessment of brain health
KR101565970B1 (ko) * 2014-05-13 2015-12-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2449869B1 (ko) * 2015-05-28 2022-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뇌파 센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KR102045366B1 (ko) * 2015-10-28 2019-12-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4019A1 (en) * 2007-05-24 2008-11-27 Bao Tran Wireless stroke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432A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4559B2 (en) Fall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3132739B1 (en) Enhancing vehicle system control
US11638563B2 (en) Predictive fall ev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631760B2 (en) Method for prediction, detection, monitoring, analysis and alerting of seizures and other potentially injurious or life-threatening states
US20180233018A1 (en) Fall prediction system including a beacon and method of using same
Costa et al. Integration of wearable solutions in aal environments with mobility support
US10786209B2 (en) Monitoring system for stroke
US20220248970A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80125386A1 (en) Brainwave sensor unit and brainwave measurement device using same
Leijdekkers et al. Personal heart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s to detect life threatening arrhythmias
US201603000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user behavior safety
US20210307649A1 (en) Fall prediction based on electroencephalography and gait analysis data
Sharma et al. Survey paper on sensors for body area network in health care
KR102114638B1 (ko) 수면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Asif et al. Applications of 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 A survey
Rajamohanan et al. Survey on smart health management using BLE and BLE beacons
KR20210073319A (ko) 응급 상황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 상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Guizani et al. IoT healthcare monitoring systems overview for elderly population
KR102037739B1 (ko)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Avvenuti et al. Non-intrusive patient monitoring of Alzheimer's disease subjects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2037676B1 (ko)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JP2023523610A (ja) 心電計を利用したリアルタイム多重モニタリング装置及び方法
KR102040700B1 (ko) 실시간 건강 진단 시스템
Ghatole et al. Role of Wireless Body Area Network in Remote Healthcare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