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523B1 - 균열 치유형 방수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균열 치유형 방수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523B1
KR102035523B1 KR1020190027931A KR20190027931A KR102035523B1 KR 102035523 B1 KR102035523 B1 KR 102035523B1 KR 1020190027931 A KR1020190027931 A KR 1020190027931A KR 20190027931 A KR20190027931 A KR 20190027931A KR 102035523 B1 KR102035523 B1 KR 102035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parts
phosphate
c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진
김춘상
Original Assignee
세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움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7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4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07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salts or salty compositions, e.g. for salt glazing
    • C04B41/501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salts or salty compositions, e.g. for salt glazing containing phosphorus in the anion, e.g.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5Water proofers or repel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케이트 화합물, 발수성 화합물, 계면활성제, 인산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치유형 방수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균열 치유형 방수제 조성물{Crack healing type waterproofing a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모체에 침투하여 콘크리트의 균열을 치유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균열치유형 방수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건조수축과 균열수축 현상에 의한 균열이 발생되며, 이러한 균열로 방수성능이 필요한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되게 된다. 또한 방수성능이 없는 콘크리트의 경우 콘크리트 내부에 물이 침투하여 동결융해가 발생되고 각종 자연환경과 인공적 작업에 의한 염해, 중성화, 화학적 침식 등 다양한 열화요인이 발생된다.
종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폭시, 우레탄 방수 등 다양한 특허기술들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71910호에서는 a) 수계 에폭시 수지, b) 폴리아민계 경화제, c) 음이온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d)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a) 수계 에폭시 수지 10 ~ 45 중량%; b) 폴리아민계 경화제 10 ~ 35 중량%; c) 음이온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 5.5 중량%; 및 d) 물 15 ~ 79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방수제 조성물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모체인 콘크리트와 열팽창계수가 달라 시공 후 장시간 경과되면 접착면의 부착강도가 저하되어 방수층이 파괴되는 단점 있으며, 균열을 회복하지 않는 이상 균열이 확장되어 결국 최종적인 방수 성능을 발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71910호
이에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방수성능 향상과 동시에 균열을 치유하여 장기적인 측면에서 방수성능 저하의 근본적인 원인인 균열을 치유하고 균열 진행을 억제하는 균열 치유형 방수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균열 치유형 방수제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이라함)은 실리케이트 화합물, 발수성 화합물, 계면활성제, 인산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발수성 화합물은, 고급지방산과 암모니아수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결과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인산염은, 인산용액과 탄산칼슘을 반응시켜 제조된 인산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증점제, 폴리포스포릭엑시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콘크리트에 침투되어 콘크리트 균열을 치유하고 균열치유를 통한 방수성능 확보 및 균열의 추가 진행을 억제하여 방수성능의 사후 유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투수율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흡수율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시간경과에 따른 균열치유 성능을 나타내는 사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 예 및 실험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리케이트 화합물, 발수성 화합물, 계면활성제, 인산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방수성능을 위해 실리케이트 화합물이 주제로 사용되는 바, 상기 실리케이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Na2O·SiO2, Li2O·SiO2가 적용됨이 타당하다.
상기 실리케이트 화합물은 평균입경이 0.1㎛의 실리케이트 규산염 혼합액을 사용하되 Na와 Li 규산염의 비율은 50:50 내지 90:10 질량% 범위내에서 혼합 제조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실리케이트 화합물은 콘트리트의 Ca(OH)2와 반응하여 고분자의 실리콘 망상구조(-(Si-O-Si)n-)를 형성하여 방수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복합 사용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제품 침투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콘크리트 내부에 제품 침투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디메치콘 코폴리올,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실리콘 인산 에스테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실리케이트계 화합물과 발수성 화합물의 1액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ethyleneoxide계, diethanolamine계, sorbitol계, glycerine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중 상기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하기 (a)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실리콘 인산 에스테르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유화안정성이 높은 sorbitol계 계면활성제 중 하기 (b)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TWEEN-60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계 계면활성제는 2:1내지 5:1 중량% 범위 내에서 혼합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Figure 112019025061233-pat00001
상기 발수성 화합물은, 고급지방산과 암모니아수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결과물인 염기성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급지방산은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중 올레인산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결과물은 올레인산을 암모니아수와 혼합하여 100℃에서 약 60분을 가열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올레인산과 암모니아수의 비율은 3:7 내지 5:5 중량%로 혼합 반응 시키는 것이 타당하다.
혼합비율이 3:7 미만에서는 발수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혼합비율이 5:5 초과하는 경우 올레인산이 암모니아수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
상기 인산염은 인산용액과 탄산칼슘을 반응시켜 제조된 인산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인산염이 콘크리트 표면에 깊게 침투되어 균열이 치유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인산칼슘은 탄산칼슘을 인산용액에 서서히 용해하여 제조되는데, 인산용액 55 내지 90중량%에 탄산칼슘 10 내지 45중량%를 서서히 용해시켜 제조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조성들 외에도 증점제와 폴리포스포릭엑시드[Poly(phosphoric acid)]가 더 배합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증점제가 첨가되어 균열부분에 상기 인산칼슘 등이 침투되도록 하면서 부착력을 강화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증점제에 의해 사후적으로 균열부분에 충진된 페이스트가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열치유능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증점제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그런데 증점제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착강도 등은 향상되나 충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조성들 외에도 폴리포스포릭엑시드가 더 첨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폴리포스포릭엑시드는 수용성 고분자로서 첨가되는 것으로 수성 성분의 폴리머 에멀젼을 통해 피막기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즉 물에 상기 폴리포스포릭엑시드가 분산된 상태에서 도포 등이 되어 수분증발에 따라 폴리머 필름을 형성시킴으로써 입자 표면으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시킨다.
즉 이러한 폴리포스포릭엑시드에 의해 수분증발을 방지함으로써 모세관현상에 의한 균열 등을 제어하여 강도보상의 기능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며 수분증발에 의한 유동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토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리케이트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발수성 화합물 1 내지 10중량부, 계면활성제 0.5 내지 2중량부, 인산염 1 내지 20중량부, 증점제 0.5 내지 1중량부, 폴리포스포릭엑시드 0.1 내지 0.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실험예를 설명한다.
실험 1(투수율)
기존 시멘트 모르타르 배합을 적용하여 물-시멘트비 65%, 시멘트와 모래의 중량비 1:2의 시료를 제조하여 KS F 4930에 의거 투수율 실험을 실시 하였으며, 투수량은 기준배합 22.5g, 본 발명의 조성물 0.2g으로 측정되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리케이트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발수성 화합물 10중량부, 계면활성제 1중량부, 인산염 10중량부, 증점제 1중량부, 폴리포스포릭엑시드 0.2중량부가 포함되도록 배합하였다.
실험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수비는 기준(Plain) 0.8% 및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된 시료(개발) 0.01%로 나타났으며, 이는 투수비 제한인 0.1 이하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 (흡수율)
흡수율 시험은 도포량에 따른 흡수율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 투수성을 시험한 시편과 동일한 시편으로 KS F 4930 흡수비 시험을 실시하였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준 0.5보다 낮은 흡수비를 나타내어 기준에 모두 만족하는 결과로 나타났으며, 도포량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3 (균열치유 성능)
실험 1에서의 시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하고 미세공극 및 미세균열에 대한 치유능을 실험 하였으며 그 결과가 도 3에 도시되고 있는 바, 도포후 시간경과에 따라 육안으로 미세공극 및 미세균열의 치유능이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4)

  1. 실리케이트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발수성 화합물 1 내지 10중량부, 계면활성제 0.5 내지 2중량부, 인산염 1 내지 20중량부, 증점제 0.5 내지 1중량부, 폴리포스포릭엑시드 0.1 내지 0.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하되,
    상기 폴리포스포릭엑시드는,
    수용성 고분자로 수성 성분의 폴리머 에멀젼을 통해 피막기능을 부여하여 폴리포스포릭엑시드가 분산된 상태에서 도포되어 수분 증발에 따라 폴리머 필름을 형성시킴으로써 입자 표면으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치유형 방수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성 화합물은, 고급지방산과 암모니아수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결과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치유형 방수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은, 인산용액과 탄산칼슘을 반응시켜 제조된 인산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치유형 방수제 조성물.
  4. 삭제
KR1020190027931A 2019-03-12 2019-03-12 균열 치유형 방수제 조성물 KR102035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931A KR102035523B1 (ko) 2019-03-12 2019-03-12 균열 치유형 방수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931A KR102035523B1 (ko) 2019-03-12 2019-03-12 균열 치유형 방수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523B1 true KR102035523B1 (ko) 2019-10-24

Family

ID=6842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931A KR102035523B1 (ko) 2019-03-12 2019-03-12 균열 치유형 방수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4467A (zh) * 2021-10-14 2021-12-07 深圳市欧名朗实业发展有限公司 无机水性渗透结晶型防水材料及其制备方法与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657A (ko) * 2006-09-07 2008-03-12 윤세근 액상형 구체 방수재
KR100971910B1 (ko) 2009-12-07 2010-07-26 (주) 수향방수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방수제 조성물
KR20100126736A (ko) * 2008-02-14 2010-12-02 도꾜 다이가꾸 시멘트 혼화재, 이것을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및 콘크리트
JP2013014453A (ja) * 2011-07-01 2013-01-24 Univ Of Tokyo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漏水を伴うひび割れ用補修材料及び該補修材料を用いた該ひび割れの補修方法
KR101921900B1 (ko) * 2018-05-04 2018-11-26 (주)세명티엠아이 고성능 친수성 pva 섬유와 천연 사이잘 섬유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머 모르타르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제어 단면 보수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657A (ko) * 2006-09-07 2008-03-12 윤세근 액상형 구체 방수재
KR20100126736A (ko) * 2008-02-14 2010-12-02 도꾜 다이가꾸 시멘트 혼화재, 이것을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및 콘크리트
KR100971910B1 (ko) 2009-12-07 2010-07-26 (주) 수향방수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방수제 조성물
JP2013014453A (ja) * 2011-07-01 2013-01-24 Univ Of Tokyo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漏水を伴うひび割れ用補修材料及び該補修材料を用いた該ひび割れの補修方法
KR101921900B1 (ko) * 2018-05-04 2018-11-26 (주)세명티엠아이 고성능 친수성 pva 섬유와 천연 사이잘 섬유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머 모르타르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제어 단면 보수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4467A (zh) * 2021-10-14 2021-12-07 深圳市欧名朗实业发展有限公司 无机水性渗透结晶型防水材料及其制备方法与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463B1 (ko) 유기규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및 그의 용도
US7163358B2 (en) Injection grouting
US11186523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uring concrete
US6262171B1 (en) Emulsions or organosilicon compounds for waterproofing building materials
JPH11199292A (ja) 団塊で疎水化される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該方法により得られるコンクリート混合物およびその使用
KR19990036700A (ko) 건재에 발수성을 부여하는 오르가노실리콘 화합물의 에멀젼
KR101166792B1 (ko) 단면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보수공법
KR102035523B1 (ko) 균열 치유형 방수제 조성물
KR20140063776A (ko) 실록산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EP1539652B1 (en) Injection grouting
EP4122902A1 (en) Cement composition and cured product thereof
KR10168500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침투성 코팅보호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침투성 코팅보호재
KR100394466B1 (ko) 침투성 물 흡수 방지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이용한 복합 방수시공방법
KR102337977B1 (ko) 지반차수 및 보강용 그라우팅 약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EP0398356B1 (en) Method of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a hardened cement-based mass
KR10136873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침투형 코팅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10647616B2 (en) Non-invasive repair and retrofitting of harden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KR100732234B1 (ko) 침투성 복합 방수제
US20230146623A1 (en) Precast concrete molded body
RU2746327C1 (ru) Инъекционный бентонитовый состав для гидроизоляции и укрепления природного грунта
KR102449813B1 (ko) 균열보수 성능을 갖는 표면강화제 조성물
Ganesh et al. Polymer modified mortar and concrete present status a review
KR102238136B1 (ko) 분말 방수제
JP6831508B2 (ja) コンクリートの補修方法
KR101734083B1 (ko) 액체 도포 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