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054B1 -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054B1
KR102035054B1 KR1020180041590A KR20180041590A KR102035054B1 KR 102035054 B1 KR102035054 B1 KR 102035054B1 KR 1020180041590 A KR1020180041590 A KR 1020180041590A KR 20180041590 A KR20180041590 A KR 20180041590A KR 102035054 B1 KR102035054 B1 KR 102035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display
protection member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367A (ko
Inventor
석진호
김한성
정재용
이숭원
Original Assignee
(주)화이트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이트스톤 filed Critical (주)화이트스톤
Priority to KR1020180041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05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는, 스마트 기기가 배치되는 본체; 본체에 마련되어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부착시키는 보호부재 부착 유닛; 및 본체에 마련되어 스마트 기기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경화시키는 경화 유닛을 포함하고, 보호부재 부착 유닛은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로 가압하여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방법{DISPLAY PROTECTOR ADHERING APPARATUS USING A WEIGHT FOR A SMART DEVICE AND ITS ADHERING METHOD}
본 발명은,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하중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부착한 후 경화시키는 작업을 하나의 장치에서 할 수 있는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기기(Mobile / Tablet)는 고가의 제품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에 플랫(Flat) 또는 2.5D, 3D 커버 글래스(Cover Glass)를 적용하여 터치 패널(Touch Panel)을 보호하고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커버 글래스는 물리적 충격 또는 낙하 등의 요인에 의하여 손상 또는 파손될 위험이 높다.
커버 글래스가 손상 또는 파손되어 수리할 경우 스마트 기기의 약 30~40% 수준의 비용이 소요되며, 수리를 위하여 적게는 2시간 내지 2일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외관이 좋지 않으며, 표면이 날카로워 부상 및 동작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기기의 커버 글래스가 손상 또는 파손될 경우 고가의 수리 비용으로 인하여 전술한 불편함, 위험성을 감수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스크래치 등의 적은 손상은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일반 소비자도 손쉽게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손쉽게 보호 글래스나 보호 필름을 부착할 수 있는 개선책이 요구된다.
또한 스마트 기기의 대리점 등 도소매업자의 경우 스마트 기기의 판매 시 보호 글래스나 보호 필름 등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서비스로 부착시켜주는 경우가 많아 수요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도 요구된다.
특히 하나의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부착함과 아울러 경화 작업을 할 수 있는 새로운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22755호(주식회사 화이트스톤) 2016. 03. 02.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하중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부착한 후 경화시키는 작업을 하나의 장치에서 할 수 있는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부착시키는 보호부재 부착 유닛;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에 부착된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경화시키는 경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 부착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로 가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 부착 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보호부재 부착 바디; 상기 본체의 상면부와 마주보는 영역의 상기 보호부재 부착 바디에 마련되는 부착 패드; 및 상기 본체의 상면부와 마주보는 영역의 상기 부착 패드에 마련되는 복수의 가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 패드는 고무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압 부재는 폐루프를 이루는 바 형상을 가지되 각각의 가압 부재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 부착 유닛은, 상기 보호부재 부착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보호부재 부착 바디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 유닛은, 경화 바디; 상기 경화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자외선을 포함하는 열매체를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경화부; 및 상기 경화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경화 바디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얼라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면부에 배치되며 개구된 중앙부에 상기 스마트 기기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의 상면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의 지지 부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복수의 스마트 기기 얼라인부;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 기기 얼라인부와 이격 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보호부재 얼라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리프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호부재 지지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 부착 유닛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해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눌러주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면부에 배치되며 개구된 중앙부에 상기 스마트 기기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의 상면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의 지지 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구된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에 적어도 하나가 접촉되는 복수의 얼라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에 마련된 수용홈에 스마트 기기를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배치한 후 보호부재 부착 유닛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가압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된 경화 유닛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로 이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보호부재 부착 유닛의 자체 하중으로 디스플레이에 부착함과 아울러 경화 유닛으로 경화할 수 있어 하나의 기기에서 부착 자업과 경화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화 유닛이 본체에 마련되므로 휴대성과 보관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체에 마련되는 얼라인 유닛으로 스마트 기기의 얼라인을 편리하게 맞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얼라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얼라인 유닛과 그 중앙에 스마트 기기가 배치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보호부재 부착 유닛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부착시키기 위해 보호부재 부착 유닛이 얼라인 유닛에 접촉되도록 회전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경화시키기 위해 경화 유닛이 얼라인 유닛에 접촉되도록 회전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얼라인 유닛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얼라인 유닛에 적용된 보호부재 지지핀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는 보호 글래스나 보호 필름를 포함하고, 평면 표시영역뿐만 아니라 곡면 표시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가장자리가 굴곡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얼라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얼라인 유닛과 그 중앙에 스마트 기기가 배치된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보호부재 부착 유닛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부착시키기 위해 보호부재 부착 유닛이 얼라인 유닛에 접촉되도록 회전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경화시키기 위해 경화 유닛이 얼라인 유닛에 접촉되도록 회전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1)는, 스마트 기기가 배치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상면부에 배치되어 본체(100)의 수용홈(111)에 수용된 스마트 기기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얼라인 유닛(200)과, 본체(100)에 마련되어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부착시키는 보호부재 부착 유닛(300)과, 본체(100)에 마련되어 스마트 기기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경화시키는 경화 유닛(400)를 구비한다.
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와,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보호부재 부착 유닛(3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지지대(120)와, 한 쌍의 제1 지지대(120)와 이격 배치되도록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경화 유닛(4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지지대(130)를 포함한다.
본체(100)의 베이스 바디(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에는 스마트 기기(S)가 수용되는 수용홈(111)이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0)의 한 쌍의 제1 지지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1)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1 지지대(120)의 내벽에는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고, 이 결합홈에는 보호부재 부착 유닛(300)의 연결 바디(340)에 마련된 한 쌍의 연결축(341)이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0)의 한 쌍의 제2 지지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지지대(120)와 서로 마주 보도록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2 지지대(130)의 내벽에는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고, 이 결합홈에는 경화 유닛(400)의 커넥터 바디(430)에 마련된 한 쌍의 커넥터 축(431)이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얼라인 유닛(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수용홈(111)에 수용된 스마트 기기의 얼라인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얼라인 유닛(2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에 배치되며 개구된 중앙부에 스마트 기기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10)를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의 지지 부재(220)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개구된 내벽에 마련되어 스마트 기기에 적어도 하나가 접촉되는 복수의 얼라인 부재(230)를 포함한다.
얼라인 유닛(200)의 복수의 지지 부재(22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가 평면 상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4개의 저면부 가장자리에 각각 한 쌍식 총 8개가 마련될 수 있다.
얼라인 유닛(200)의 복수의 얼라인 부재(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개구된 상측부와 하측부에 각각 한 쌍식 총 4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얼라인 부재(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내벽에서 중앙부로 돌출되는 삼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호부재 부착 유닛(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지지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에 하중을 가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스마트 기기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보호부재 부착 유닛(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지지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보호부재 부착 바디(310)와,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와 마주보는 영역의 보호부재 부착 바디(310)에 마련되는 부착 패드(320)와,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와 마주보는 영역의 부착 패드(320)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로 가압시키는 복수의 가압 부재(330)와, 보호부재 부착 바디(310)에 마련되어 보호부재 부착 바디(310)를 한 쌍의 제1 지지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 바디(340)를 포함한다.
보호부재 부착 유닛(300)의 보호부재 부착 바디(310)는, 스마트 기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되 스마트 기기 보다 더 큰 사이즈로 마련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가압하기 위해 미리 계산된 하중 값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호부재 부착 유닛(300)의 부착 패드(320)는, 탄성을 갖도록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보호부재 부착 유닛(300)의 복수의 가압 부재(3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루프를 이루는 바 형상을 가지되 각각의 가압 부재(330)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가압 부재(330)는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보호부재 부착 유닛(300)의 연결 바디(340)는, 일측부에 마련된 한 쌍의 연결축(341)이 한 쌍의 제1 지지대(12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보호부재 부착 유닛(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보호부재 부착 바디(310)와 한 쌍의 연결축(341)을 갖는 연결 바디(340)와 평면상 사각형 형상을 갖는 탄성 부재(350)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탄성 부재(350)는 고무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보호부재 부착 유닛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해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눌러주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경화 유닛(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지지대(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디스플레이에 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경화 유닛(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 바디(410)와, 경화 바디(410)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경화시키는 경화부(420)와, 경화 바디(410)에 마련되어 경화 바디(410)를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커넥터 바디(430)를 포함한다.
경화 유닛(400)의 경화 바디(4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경화 바디(410)는 베이스 바디(110)에 수용된 스마트 기기(S)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어, 경화 과정 중에 자외선이나 열이 경화 바디(41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화 유닛(400)의 경화부(420)는, 경화 바디(410)에 마련된 공간부에 결합 되어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경화부(420)는 UV(자외선)를 이용하거나 열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UV를 이용하는 경우 경화 바디(410)의 내부에 UV 램프를 마련할 수 있고, 열을 이용하는 경우 경화 바디(410)의 내부에 히팅 코일 등의 가열 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경화부(420)의 작동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는 외부 전원을 이용할 수도 있고, 경화 바디(410) 또는 본체(100)에 마련된 배터리 등의 저장 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받을 수도 있다.
경화 유닛(400)의 커넥터 바디(430)는, 경화 바디(410)를 한 쌍의 제2 지지대(130)에 연결시켜 경화 바디(410)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커넥터 바디(4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경화 바디(410)에 연결되고 타측부에는 한 쌍의 제2 지지대(130)에 끼워 맞춤 결합 되는 한 쌍의 커넥터 축(431)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경화 유닛(400)은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본체(100)와 같이 보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부착 후에 바로 경화 작업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술한 도면을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부착 및 경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에 스마트 기기(S)가 수용되도록 배치한 후 베이스 바디(110)에 얼라인 유닛(200)을 배치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배치한 후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얼라인을 조정한다.
그 후에,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에 점착 조성물을 떨어트린 후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에 배치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점착 조성물은 전술한 경화부(420)에 의해 광 중합 또는 열 중합 방식으로 경화될 수 있고, 자외선(UV) 중합성 올리고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중합성 올리고머는 변성아크릴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계 올리고머, 에폭시계 올리고머, 우레탄계 올리고머, 폴리에테르계 올리고머, 폴리아크릴계 올리고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 에테르계 화합물, 아민류 화합물,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a-hydroxy ketone)계 화합물,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계 화합물, 아크릴 포스파인 옥사이드파 (acyl phosphineoxide)계 화합물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보호부재 부착 유닛(300)을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상면부를 가압한다.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보호부재가 부착되면 보호부재 부착 유닛(300)을 원 위치로 이동시킨 후 경화 바디(410)를 스마트 기기(S)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마트 기기(S)를 덮는다.
마지막으로 경화부(420)를 작동시켜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에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얼라인 유닛(50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개구 되고 개구 된 중앙부에 스마트 기기(S)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10)를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의 지지 부재(220)와,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내벽에 마련되어 스마트 기기(S)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복수의 스마트 기기 얼라인부(240)와, 복수의 스마트 기기 얼라인부(240)와 이격 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내벽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보호부재 얼라인부(250)와,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리프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호부재 지지핀(26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상면부 일측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 결합부(211)가 마련되고, 보호부재 결합부(211)에는 보호부재 지지핀(260)이 분리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보호부재 결합부(2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상면부에 돌출 블록을 마련하고 이 돌출 블록에 보호부재 지지핀(26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 지도록 홈을 형성하여 마련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 얼라인부(2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개구 된 내벽에 복수 개로 이격 마련되어 스마트 기기(S)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마트 기기 얼라인부(24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내벽에 4개가 마련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내벽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중앙부로 돌출된 직사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스마트 기기 얼라인부(240)로 스마트 기기(S)의 측벽을 터치하여 스마트 기기(S)의 얼라인을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스마트 기기 얼라인부(2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그 상측부에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고, 그 하측부에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호부재 얼라인부(2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내벽에 복수 개로 이격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얼라인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보호부재 얼라인부(250)는, 도 9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 얼라인부(240)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며, 이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가 스마트 기기(S)의 상면부에 부착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보호부재 얼라인부(2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중앙부로 돌출된 삼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가장자리를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얼라인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보호부재 얼라인부(25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그 상측부에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고, 그 하측부에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호부재 지지핀(26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 결합부(211)에 끼워 맞춤 결합되며, 스마트 기기(S)로부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일측부를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보호부재 지지핀(260)은, 도 10의 (b)에 도시된 보호부재 결합부(211)에 결합되는 결합 영역과 이 결합 영역에 연장 마련되어 사용자의 손잡이로 제공되는 손잡이 영역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 기기(S)에 얼라인 유닛(200a)을 부착한 후 곡면 또는 평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보호부재 지지핀(260)에 거치한다.
다음으로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점착 조성물을 떨어트린 후 보호부재 지지핀(260)을 보호부재 결합부(211)로부터 분리하여 일측부가 지지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로 하강시킨다.
그 다음으로 보호부재 부착 유닛(300)을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상면부를 가압한다.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보호부재가 부착되면 보호부재 부착 유닛(300)을 원 위치로 이동시킨 후 경화 바디(410)를 스마트 기기(S)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마트 기기(S)를 덮는다.
마지막으로 경화 유닛(400)을 작동시켜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스마트 기기(S)의 디스플레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보호부재 부착 유닛의 자체 하중으로 디스플레이에 부착함과 아울러 경화 유닛으로 경화할 수 있어 하나의 기기에서 부착 작업과 경화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화 유닛이 본체에 마련되므로 휴대성과 보관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체에 마련되는 얼라인 유닛으로 스마트 기기의 얼라인을 편리하게 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100 : 본체
110 : 베이스 바디
111 : 수용홈
120 : 제1 지지대
130 : 제2 지지대
200 : 얼라인 유닛
210 : 베이스 플레이트
211 : 보호부재 결합부
220 : 지지 부재
230 : 얼라인 부재
240 : 스마트 기기 얼라인부
250 : 보호부재 얼라인부
260 : 보호부재 지지핀
300 : 보호부재 부착 유닛
310 : 보호부재 부착 바디
320 : 부착 패드
330 : 가압 부재
340 : 연결 바디
341 : 연결축
350 : 탄성 부재
400 : 경화 유닛
410 : 경화 바디
420 : 경화부
430 : 커넥터 바디
431 : 커넥터 축
S : 스마트 기기

Claims (12)

  1. 스마트 기기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부착시키는 보호부재 부착 유닛;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에 부착된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경화시키는 경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 부착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로 가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부착시키고,
    상기 보호부재 부착 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보호부재 부착 바디, 상기 본체의 상면부와 마주보는 영역의 상기 보호부재 부착 바디에 마련되는 부착 패드 및 상기 본체의 상면부와 마주보는 영역의 상기 부착 패드에 마련되는 복수의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 패드는 고무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 부재는 폐루프를 이루는 바 형상을 가지되 각각의 가압 부재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 부착 유닛은,
    상기 보호부재 부착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보호부재 부착 바디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 바디를 더 포함하는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 유닛은,
    경화 바디;
    상기 경화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자외선을 포함하는 열매체를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경화부; 및
    상기 경화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경화 바디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커넥터 바디를 포함하는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얼라인 유닛을 더 포함하는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면부에 배치되며 개구된 중앙부에 상기 스마트 기기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의 상면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의 지지 부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복수의 스마트 기기 얼라인부;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 기기 얼라인부와 이격 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의 얼라인을 조정하는 보호부재 얼라인부를 포함하는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리프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호부재 지지핀을 더 포함하는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10. 삭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면부에 배치되며 개구된 중앙부에 상기 스마트 기기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의 상면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의 지지 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구된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에 적어도 하나가 접촉되는 복수의 얼라인 부재를 포함하는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12. 본체에 마련된 수용홈에 스마트 기기를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배치한 후 보호부재 부착 유닛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가압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된 경화 유닛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로 이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 부착 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보호부재 부착 바디, 상기 본체의 상면부와 마주보는 영역의 상기 보호부재 부착 바디에 마련되는 부착 패드 및 상기 본체의 상면부와 마주보는 영역의 상기 부착 패드에 마련되는 복수의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방법.
KR1020180041590A 2018-04-10 2018-04-10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방법 KR102035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590A KR102035054B1 (ko) 2018-04-10 2018-04-10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590A KR102035054B1 (ko) 2018-04-10 2018-04-10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367A KR20190118367A (ko) 2019-10-18
KR102035054B1 true KR102035054B1 (ko) 2019-11-08

Family

ID=6846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590A KR102035054B1 (ko) 2018-04-10 2018-04-10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0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252Y1 (ko) 2011-03-03 2012-09-04 노종현 보호필름 접합구
US20160288471A1 (en) 2013-08-08 2016-10-06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Applicator Machin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758768B1 (ko) 2016-02-03 2017-07-18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터치스크린 패널용 보호시트 부착기
KR101833257B1 (ko) 2017-01-10 2018-04-13 김지안 모바일기기의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화면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3542A (ko) * 2012-01-13 2013-07-23 김승수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부착기
KR20160022755A (ko) 2014-08-20 2016-03-02 서경림 모바일 단말기의 보호부재 부착케이스
KR101938515B1 (ko) * 2016-07-19 2019-01-15 (주)화이트스톤 곡면 커버 보호필름, 이의 부착장치 및 이의 부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252Y1 (ko) 2011-03-03 2012-09-04 노종현 보호필름 접합구
US20160288471A1 (en) 2013-08-08 2016-10-06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Applicator Machin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758768B1 (ko) 2016-02-03 2017-07-18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터치스크린 패널용 보호시트 부착기
KR101833257B1 (ko) 2017-01-10 2018-04-13 김지안 모바일기기의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화면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367A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83016B (zh) 智能设备的液晶显示器保护部件粘贴装置和粘贴方法
KR101027219B1 (ko)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CA1070999A (en) Optical waveguide coupler employing deformed shape fiber-optic core coupling portion
JP6186452B2 (ja) 基板積層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8016655A (zh) 一种手机盖板贴合模具及其工艺
JP2009109855A (ja) 保護板一体型表示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2035054B1 (ko) 하중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방법
CN109920328A (zh) 显示设备和对显示设备进行返工的方法
US20200338804A1 (en) Protective film for a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the protective film
KR20200017320A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부착장치
KR101759321B1 (ko) 휴대폰 어셈블리 케이스
KR20170042424A (ko) 열성형 방법 및 열성형 장치
JP7054941B2 (ja) 保護部材取り付け装置及び保護部材取り付け方法
CN209812145U (zh) 一种用于激光拆屏机的夹具和遮盖条
KR20190007982A (ko) 스마트 기기의 액정화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CN108518394B (zh) 触摸条按压工装
US20210213671A1 (en) Process and device for installation of a screen protector on a smartphone, tablet or related accessories
CN207352895U (zh) 一种高强度显示屏边框
CN214986345U (zh) 一种贴膜定位器
KR102341789B1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슬라이딩 부착장치
CN218958601U (zh) 一种无线感应共享充电宝
CN207937918U (zh) 一种平板电脑外壳
JP7054940B2 (ja) 保護部材取り付け装置及び保護部材取り付け方法
KR20210127467A (ko)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보호부재 자동부착장치
US11833738B2 (en) Display protector attaching apparatus for sma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