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886B1 - 커피 머신의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분배되는 커피 분말이 홀더컵 상에 균일한 밀도로 수용되도록 보조하는 보조 홀더 - Google Patents

커피 머신의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분배되는 커피 분말이 홀더컵 상에 균일한 밀도로 수용되도록 보조하는 보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886B1
KR102034886B1 KR1020170136704A KR20170136704A KR102034886B1 KR 102034886 B1 KR102034886 B1 KR 102034886B1 KR 1020170136704 A KR1020170136704 A KR 1020170136704A KR 20170136704 A KR20170136704 A KR 20170136704A KR 102034886 B1 KR102034886 B1 KR 102034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offee
coffee powder
cup
hold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367A (ko
Inventor
김인근
양원석
Original Assignee
김인근
양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근, 양원석 filed Critical 김인근
Priority to KR1020170136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886B1/ko
Priority to PCT/KR2018/012021 priority patent/WO2019078549A1/ko
Publication of KR2019004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분쇄된 커피 분말이 홀더컵 상에 균일한 밀도로 수용되도록 보조하는 보조 홀더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몸체의 하부에 상기 홀더컵의 상부 디스크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분배되는 커피 분말이 유입되는 분배구가 상기 몸체의 상면을 기준으로 일 영역에 편심된 위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홀더컵에 체결된 상기 몸체가 회전조작 될 때, 편심된 상기 분배구로부터 배출되는 커피 분말이 상기 홀더컵에 원주 방향으로 분배되어 균일한 밀도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피 머신의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분배되는 커피 분말이 홀더컵 상에 균일한 밀도로 수용되도록 보조하는 보조 홀더{A GRINDER OF A COFFEE MACHINE-AN AUXILIARY HOLDER WHICH ASSISTS THE COFFEE POWDER DISPENSED FROM THE DISPENSER TO BE RECEIVED AT A UNIFORM DENSITY ON THE HOLDER CUP}
본 발명은 커피 머신의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분배되는 커피 분말이 정량 수용되는 홀더컵에 체결되어, 홀더컵 상에 커피 분말이 균일한 밀도로 채워지도록 보조하는 보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커피란 커피나무에서 생두를 수확하여, 가공 공정을 거쳐 볶은 후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원두를 섞어 추출하여 음용하는 기호 음료이다. 커피의 추출 과정은 로스팅 된 원두를 추출기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분쇄하고 물을 이용해 용해시켜 뽑아내는 과정을 의미한다. 좋은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신선한 원두, 적정한 분쇄, 정확한 추출시간 등이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커피 머신은 원두가 최종적인 한 잔의 에스프레소 커피로 재탄생되는 로스팅, 블렌딩 등 일련의 복잡하고 까다로운 과정을 수행하는 기계로서, 인간이 개발한 다양한 커피 추출도구들 중에서도 가장 과학적이고 경제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커피 머신이라는 용어는 최종적인 커피 액상의 추출까지 모든 과정을 수행하는 기계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서,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와 분쇄된 커피 분말이 적절한 향과 세기를 갖도록 정량으로 수용되는 홀더컵을 포함할 수 있다. 커피 고유의 맛은 원두의 종류에 따라 좌우됨은 당연하나, 같은 종류의 원두일지라도 그라인딩 된 분말의 입자 크기 또는 액상 추출시 홀더컵에 수용된 분말의 밀도와 균일성이 분말로부터 용출된 커피의 일관된 맛과 진하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현재 널리 보급된 커피숍에서는 하나 이상의 커피 머신을 필수적으로 보유한다. 바리스타 또는 일반 고용 직원은 커피 머신을 사용하여 고객의 주문 접수와 함께 즉석에서 커피를 추출한다.
한편, 바리스타는 커피를 만드는 전문가로서, 좋은 원두를 선택하고 커피 머신을 완벽하게 활용하여 고객의 입맛에 최대한 만족을 주는 커피를 만드는 일을 한다. 바리스타는 커피 머신에 대한 사용 경험도가 뛰어난 전문 직종으로 분류되며, 그라인딩 된 커피 분말로부터 일관된 커피의 맛을 추출할 수 있어야 한다. 보다 상세하게, 커피 머신은 설정에 따라 홀더컵에 정량의 커피 분말을 분배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그럼에도 커피 머신의 사용자에 따라 커피의 맛이 달라지는 까닭은 홀더컵 상에 수용된 커피 분말의 균일한 밀도를 형성시키는 레벨링 기술에 사용자의 주관적 기술을 요하기 때문이다. 커피의 부드러운 맛과 일관성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홀더컵에 수용된 커피 분말이 균일한 밀도로 유지되면서 상부면이 편평하게 레벨링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러한 레벨링의 수행과정 이후,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커피 맛의 진하기를 결정하는 분말의 압착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바리스타의 경우, 커피 머신의 충분한 숙련을 통해 홀더컵에 수용된 커피 분말을 소정의 세기로 가압하는 압착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홀더컵을 적절히 흔들어서 분말의 간격을 조절한 후, 손(hand)으로 커피 분말의 상면을 일관되게 커팅하는 레벨링 작업을 실시한다. 이러한, 레벨링의 과정으로 커피 분말의 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후, 별도의 압착 기구로 분말을 가압하여 커피를 진하게 용출하거나 또는 가압하지 않은 상태로 연한 커피를 용출한다.
별도의 압착 기구로 커피 분말을 가압하는 작업과 구분하기 위하여, 압착 과정이 수행되기 전에 커피 분말을 분배하여 손(hand)으로 커피 분말을 커팅하는 상기의 방법을 본 명세서에서는 핸드 레벨링으로 약칭한다. 바리스타가 수행하는 핸드 레벨링은 홀더컵 내에 수용된 커피 분말 사이의 간격이 균일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특정 영역에 분말이 밀집되지 않으면서 커피가 용출될 수 있기에 일관되고 고급스러운 맛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광범위하게 보급된 프랜차이즈 커피숍에서는 인건비의 특성상 모든 프랜차이즈 마다 바리스타를 고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하여, 별도로 커피 용출의 레벨링 기술을 숙련하지 못한 종업원들은 홀더컵 내에 커피 분말이 불균일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커피 분말을 압착하여 커피의 맛을 일관되게 용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커피 레벨링 및 용출 과정을 도 1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커피 분말 레벨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a)과정을 참조하면, 그라인딩 머신(2)은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 분말(21)을 홀더컵(5)에 설정된 정량으로 분배한다. 이후, 도 1의 (b)과정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핸드 레벨링 기술을 숙련하지 못한 종업원들은 커피 분말이 분배된 홀더컵(5)을 단순히 압착 장치(3)를 사용하여 가압함으로써, 홀더컵(5)에 수용된 커피 분말(21) 상면이 편평하게 다지게 된다. 커피 분말의 압착이 완료되면 도 1의 (c)과정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컵(5)을 커피 용출기에 결합하여 커피 용액(11)을 추출한다.
한편, 도 1의 (a)에서 그라인더 머신(2)으로부터 홀더컵(5)에 커피 분말이 분출될 때 커피 분말은 홀더컵(5)의 특정 영역에 밀집되어 적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압착 장치(3)의 스탬핑 전에 홀더컵(5)의 커피 분말(21)이 고르게 적층된 상태가 아닌 점을 고려하면, 이 상황에서 스탬핑시 커피 분말이 특정 영역에 밀집되어 밀도가 불균일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커피 용액이 용출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관련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6-0033109호는 커피 분말을 일정하게 압착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 또한 가압 방식의 스탬핑 이전에 핸드 레벨링이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의 해결수단을 제시하지는 못한다.
종래의 커피 용출 과정의 문제점을 정리하면, 커피 레벨링을 고려하지 못한 가압으로 인한 커피 용출은 커피 고유의 맛을 일관되게 유지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홀더컵(5)에 수용된 커피 분말을 가압하는 레벨링의 경우, 사용자의 누르는 힘의 세기에 따라서 분말의 밀도가 달라지거나, 누르는 힘의 세기가 동일할 지라도 초기에 불균일하게 홀더컵 상에 커피 분말이 수용되어 압착시 밀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커피는 그라인더로부터 분쇄되어 토출될 시 원심력을 사용해 좁은 토출구를 빠져나와 불균일한 밀도로 홀더컵에 담겨진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는 홀더컵의 중앙에 산처럼 쌓이거나, 특정 영역에 쏠린 형태로 분말이 적층된다. 따라서, 홀더컵 내에 적층된 커피 분말의 밀도를 균일하게 해주는 평탄화 작업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다. 이러한 평탄화 또는 핸드 레벨링이 없이 압착 도구로 스탬핑을 수행하면 커피 밀도가 불균일한 상태로 압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약 9 Bar의 강한 압력으로 추출되는 에스프레소 머신에서 추출 시 밀도의 불균일로 인하여 밀도가 약한 부분이 먼저 무너지며 채널링이 발생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커피 추출을 야기한다. 상기의 불균일한 압착으로 인한 용액 추출은 음용시 불쾌한 맛으로 나타나며, 이 맛의 차이는 진함과 연함의 농도를 비롯하여 커피 향미가 효율적으로 추출된 맛있는 커피를 음용하기 원하는 소비자의 선호도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바리스타가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핸드 레벨링을 목적하고자, 종래의 레벨링 도구는 일정 부분 선 압착을 하여 밀도를 퍼트리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이 경우 또한 커피 분말이 많이 쌓인 곳은 밀도가 높고, 적게 쌓인 곳은 밀도가 낮은 채로 압착이 진행되는 한계가 있다. 상기의 경우, 숙련된 바리스타는 핸드 레벨링으로 압착을 최소화 하며 홀더컵 전체에 걸쳐 고르게 커피 분말을 분배하는 기술을 보유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레벨링 시 커피 분말을 가압(선 압착)하지 않되, 분배 및 레벨링을 누구나 쉽고 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보조 홀더를 고안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33109호
본 발명은 커피 분말을 가압 또는 압착하지 않되, 커피 분말을 홀더컵에 균일한 밀도로 분배하여 레벨링 과정을 수행하는 보조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분쇄된 커피 분말이 홀더컵 상에 균일한 밀도로 수용되도록 보조하는 보조 홀더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몸체의 하부에 상기 홀더컵의 상부 디스크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분배되는 커피 분말이 유입되는 분배구가 상기 몸체의 상면을 기준으로 일 영역에 편심된 위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홀더컵에 체결된 상기 몸체가 회전조작 될 때, 편심된 상기 분배구로부터 배출되는 커피 분말이 상기 홀더컵에 원주 방향으로 분배되어 균일한 밀도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배구는 상기 몸체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상면의 원위부로 갈수록 체적이 넓게 개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배구는 상기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상면의 원위부로 갈수록 체적이 넓어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배구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갈수록 관통된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하면의 일 영역에 위치한 상기 분배구의 관통면보다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둔턱을 갖는 커팅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팅부는, 상기 분배구의 관통면과 접하는 상기 둔턱의 일 영역이 상기 분배구 방향으로 비스듬히 구배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컵에 체결된 상기 몸체의 회전조작으로 상기 경사면이 상기 홀더컵에 정량 수용된 커피 분말의 상면을 편평하게 레벨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면은 상기 분배구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이 나선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상면의 내경이 하면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비대칭 원통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컵에 보조 홀더가 체결된 상태로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커피 분말을 분배받되, 이 경우 보조 홀더의 부채꼴 형상의 분배구로 인하여 보조 홀더가 회전조작 시 홀더컵의 특정 영역에 커피 분말이 밀집되지 않고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분배된다. 또한, 보조 홀더의 하면에 형성된 커팅부에 의해서 회전조작시 분배와 동시에 커피 분말의 상면이 편평하게 레벨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피 분말의 가압 및 압착 과정 없이 핸드 레벨링과 유사한 커피 레벨링이 가능하여, 바리스타와 같은 고도의 숙련이 없는 초보자도 원두 고유의 맛을 일관되게 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피 분말 레벨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의 사시도를 도시한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의 분배구를 나타낸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의 체결부와 커팅부를 나타낸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의 레벨링 원리를 나타낸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를 사용한 실험례로서, 보조 홀더로 추출한 커피의 평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10)의 사시도를 도시한 모습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조 홀더(10)는 몸체(15) 상에 분배구(101), 체결부(103), 및 커팅부(105)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10)는 커피 머신(1)의 그라인더-디스펜서(2)로부터 분쇄된 커피 분말(21)을 홀더컵(5) 상에 균일한 밀도로 수용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커피 머신(1)은 원두를 분쇄하여 정량 분배하는 그라인더-디스펜서(2)를 포함하는 용어이며, 분쇄된 커피 분말로부터 커피 용액을 추출하는 장치를 모두 총칭할 수 있다. 그라인더-디스펜서(2)는 커피 용액을 추출하는 머신 내에 내장되어도 무방하고, 용액을 추출하는 커피 머신과는 별도의 기기로서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10)는 커피숍과 같은 커피 전문 매장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사용되어도 무방한 것으로 원두 가루를 분쇄하는 장비와, 분쇄된 원두 가루에 용액을 추출하는 기계에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는 보조 기구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보조 홀더(10)가 연동되어 사용되는 기작을 이해시키기 위한 목적으로서 그라인더-디스펜서(2)의 장치를 정의하였으나, 다른 형태의 커피 분쇄 장비와 연동되어도 무방하며, 커피 분말 형태로 보급된 제품으로부터 커피 분말이 수작업으로 홀더컵(5)에 분배되어도 무방하다.
보조 홀더(10)는 커피 분말이 홀더컵(5)에 분배되기 전 홀더컵(5)의 상부에 체결되어 사용된다. 보조 홀더(10)는 홀더컵(5)의 상부에 몸체(15)가 결합된 상태로 상부에 개구된 분배구(101)를 통해 커피 분말을 홀더컵(5)으로 유입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별도의 선압착 과정이 수반되지 않고, 보조 홀더(10)를 회전시킴으로써 홀더컵(5)에 수용된 커피 분말의 레벨링 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드 레벨링과 같은 별도의 숙련기술이 없더라도 보조 홀더(10)를 회동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커피 레벨링이 가능하다. 이하 보조 홀더(1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몸체(15)는 소정의 높이(H)를 갖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몸체(15)의 높이(H)는 홀더컵(5)에 수용되는 커피 분말의 정량과 관련도가 높다. 후술하게 될 몸체(15)의 분배구(101)는 일부의 영역에만 개구 형성되므로, 홀더컵(5)에 체결된 보조 홀더(10)에 유입된 커피 분말은 홀더컵(5)의 일부의 영역에만 채워지도록 흐르되, 남은 양의 커피 분말은 몸체(15)의 높이(H)만큼 분배구(101)에 쌓이게 된다. 이후, 이 분배구(101)에 쌓여있는 커피 분말은 몸체(15)가 회전됨으로써 홀더컵(5)의 다른 영역에 순차적으로 커피 분말을 적층시키게 된다. 따라서, 분배구(101)가 형성하는 체적은 홀더컵(5)에 수용시킬 정량의 커피 분말의 양과 관련이 있으며, 분배구(101)의 체적은 몸체(15)의 높이(H)와 관련된다. 몸체(15)의 높이(H)는 홀더컵(5)의 종류에 따라, 설계된 정량 만큼 커피 분말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몸체(15)는 상면의 내경(R1)이 하면의 내경(R2)보다 크게 형성된 비대칭 원통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비대칭 원통형상은 보조 홀더(10)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하며, 분배구(101)의 체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분배구(101)는 그라인더-디스펜서(2)로부터 분쇄된 커피 분말(21)이 유입되는 통공을 지칭하는 구성으로서, 몸체(15)의 상면을 기준으로 일 영역에 편심된 위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분배구(101)는 몸체(15)의 상면에 중심부가 아닌 일 영역에 비대칭 형상으로 개구됨에 주의한다. 이러한 분배구(101)의 형상은 회동시 커피 분말을 균일하게 홀더컵(5)에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10)의 분배구(101)를 나타낸 모습이다.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개구된 분배구(101)의 영역을 역상하여 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분배구(101)는 몸체(15)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상면의 원위부로 갈수록 체적이 넓게 개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배구(101)의 특징은 홀더컵(15)에 보조 홀더(10)가 체결되었을 시, 홀더컵(15)의 중앙으로 분출되는 커피 분말의 양보다 홀더컵(15)의 원위부로 분출되는 커피 분말의 양이 많아짐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10)는 회전 조작으로 커피 분말을 분배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분배구(101)가 몸체(15) 상면의 중심에 체적이 넓게 형성되거나, 상면의 중심과 상면의 원위부의 체적이 같다면 커피 분말이 홀더컵(15)에 회동되어 분배될 때 홀더컵(15)의 중앙에 커피 분말이 집중되어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압착없이 커피 분말을 고르게 분배할 수 있도록 분배구(101)의 체적은 원위부를 향할수록 넓어지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일 실시예로, 분배구(101)는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상면의 원위부로 갈수록 체적이 넓어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배구(101)는 몸체(15)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갈수록 관통된 내경(r1, r2)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면의 분배구(101)는 r1의 내경을 갖고 하면의 내경은 r2의 내경을 갖는다. 이 때 분배구(101)의 r1은 r2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다. 하면측 분배구(101)의 내경(r2)이 상면의 내경(r1)보다 상대적으로 작음에 따라, 상부에 적층된 다량의 커피 분말이 하부에 적측된 소량의 커피 분말을 가압하여 커피 분말이 막히지 않고 일정한 속도로 홀더컵(15)에 분출될 수 있도록 한다.
몸체(15)의 하부에는 체결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의 체결부(103)와 커팅부(105)를 나타낸 모습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의 하부 모습이고, 도 4b는 커팅부(105)가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보조 홀더의 하부 모습을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체결부(103)는 몸체(15)의 하부에 홀더컵(5)의 상부 디스크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영역을 지칭한다. 본 실시예로, 체결부(103)는 홀더컵(5)의 디스크가 삽입되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팅부(105)는 몸체(15)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커팅부(105)는 몸체(15)의 하면 일 영역에 위치한 분배구(101)의 관통면보다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둔턱(1051)을 갖는다. 이 경우, 몸체(15)의 하부 외주면과 둔턱(1051) 사이에 자연스럽게 골이 형성되고, 몸체(15)의 하부 외주면과 둔턱(1051)이 형성한 골이 전술한 체결부(103)가 될 수 있다.
커팅부(105)는 분배구(101)의 관통면과 접하는 둔턱(1051)의 일 영역이 분배구 방향으로 비스듬히 구배진 경사면(1053)으로 형성되어, 홀더컵(5)에 체결된 몸체(15)의 회전조작으로 경사면(1053)이 홀더컵(5)에 정량 수용된 커피 분말의 상면(C)을 편평하게 레벨링할 수 있다.
도 4b는 커팅부(105)가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보조 홀더(10)의 하부 모습을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면, 커팅부(105)의 경사면(1053)은 분배구(101)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홀더(10)가 회전함에 따라 홀더컵(5)의 원주면 방향으로 커피 분말을 분배할 때, 외측 방향으로 개구된 체적이 넓은 분배구(101) 특성상 홀더컵(5)의 외측에 다소 많은 커피 분말이 적층될 수 있다. 도 4b의 실시예와 같이 커팅부(105)의 경사면(1053)은 나선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측에 보다 많은 양이 체적된 커피 분말을 내측으로 분배함과 동시에 분발의 상면을 편평하게 커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10)의 레벨링 원리를 나타낸 모습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컵(5)에 체결된 몸체(15)가 회전조작 될 때, 편심된 분배구(101)로부터 배출되는 커피 분말(21)이 홀더컵(5)에 원주 방향으로 분배되어 균일한 밀도로 채워질 수 있다.
도 5에서, 레벨링 원리의 보다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홀더컵(5)의 상부에 보조 홀더(10)를 홀더컵(5)과 이격하여 도시하였으나, 실제 사용례에서는 보조 홀더(1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103)를 통해 보조 홀더(10)가 홀더컵(5)에 결착될 것임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홀더(10)가 홀더컵(5)에 체결된 상태로 커피 분말(21)이 분배구(101)를 통해 유입된다. 이 경우, 커피 분말(21)은 홀더컵(5)의 정량에 맞는 양으로 보조 홀더(10)에 투입된다. 본 실시예로, 보조 홀더(10)가 고정된 초기상태에서 정량에 해당하는 커피 분말(21)이 모두 보조 홀더(10)에 투입된다. 이 경우, 보조 홀더(10)의 몸체(15) 높이(H)와 분배구(101)의 체적 설계로 보조 홀더(10)는 정량의 커피 분말(21)을 수용한다. 즉, 보조 홀더(10)에 정량이 투입된 커피 분말(21) 중 일부는 홀더컵(5)의 편심된 위치에 쌓이고, 홀더컵(5)으로 분출되지 못한 커피 분말(21)은 분배구(101) 상에 넘치지 않고 적층된다. 이후, 사용자가 보조 홀더(10)를 회동시키면 홀더컵(5)의 외주면을 따라 커피 분말(21)이 분출되면서, 커피 분말(21)이 홀더컵(5)의 특정 영역에 집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적층된다. 보조 홀더(10)의 충분한 회전으로 분배구(101)에 수용되었던 커피 분말(21)이 모두 분배되면, 회전조작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홀더컵(5)에 채워진 커피 분말의 상면을 커팅부(105)의 경사면(1053)이 편평하게 레벨링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10)를 사용한 실험례로서, 보조 홀더로 추출한 커피의 평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실험례 : 보조 홀더의 레벨링으로 추출된 커피의 맛 비교 평가
도 6의 실험에서는, 바리스타와 카페의 협력 하에 기존의 레벨링 도구인 OCD, 바리스타가 손으로 수행하는 핸드 레벨링,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10)를 사용하여 커피 맛의 중요한 지표인 TDS(Total Dissolved Solution)을 측정하는 실험을 각각 30회 진행하였다.
도 6의 결과 데이터에서, x축은 레벨링 도구의 종류를 나타내며, y축은 TDS 지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10)는 x축에서 arc로 표현되었고, 바리스타의 핸드 레벨링은 hand로 표현되었다. 도 6과 같이 Boxplot을 도시한 결과, 기존의 레벨링 도구인 OCD는 바리스타의 핸드 레벨링 및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10)와 확연한 맛의 차이와 넓은 편차(spread)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10)(arc)의 TDS 수치를 살펴보면, 종래의 OCD보다 TDS 편차가 작으면서, 바리스타의 핸드 레벨링과 유사한 수준의 수치까지 결과가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바리스타가 갖고 있는 핸드 레벨링의 숙련된 기술을 습득하지 못한 일반인일지라도, 커피 분말을 선압착 하지 않으면서 홀더컵(5)에 균일한 밀도의 커피 분말을 수용하여 일관된 맛의 커피 용액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홀더(10)는 핸드 레벨링시 커피 가루가 버려지게 되어 청소 및 관리가 어려운 단점 또한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커피 머신
2: 그라인더-디스펜서
3: 압착 장치
5: 홀더컵
11: 커피 용액
21: 커피 분말
10: 보조 홀더
101: 분배구
103: 체결부
105: 커팅부

Claims (7)

  1.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분쇄된 커피 분말이 홀더컵 상에 균일한 밀도로 수용되도록 보조하는 보조 홀더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몸체의 하부에 상기 홀더컵의 상부 디스크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분배되는 커피 분말이 유입되는 분배구가 상기 몸체의 상면을 기준으로 일 영역에 편심된 위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홀더컵에 체결된 상기 몸체가 회전조작 될 때, 편심된 상기 분배구로부터 배출되는 커피 분말이 상기 홀더컵에 원주 방향으로 분배되어 균일한 밀도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구는,
    상기 몸체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상면의 원위부로 갈수록 체적이 넓게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구는,
    상기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상면의 원위부로 갈수록 체적이 넓어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홀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구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갈수록 관통된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홀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하면의 일 영역에 위치한 상기 분배구의 관통면보다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둔턱을 갖는 커팅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팅부는,
    상기 분배구의 관통면과 접하는 상기 둔턱의 일 영역이 상기 분배구 방향으로 비스듬히 구배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컵에 체결된 상기 몸체의 회전조작으로 상기 경사면이 상기 홀더컵에 정량 수용된 커피 분말의 상면을 편평하게 레벨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홀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분배구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이 나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홀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면의 내경이 하면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비대칭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홀더.
KR1020170136704A 2017-10-20 2017-10-20 커피 머신의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분배되는 커피 분말이 홀더컵 상에 균일한 밀도로 수용되도록 보조하는 보조 홀더 KR102034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704A KR102034886B1 (ko) 2017-10-20 2017-10-20 커피 머신의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분배되는 커피 분말이 홀더컵 상에 균일한 밀도로 수용되도록 보조하는 보조 홀더
PCT/KR2018/012021 WO2019078549A1 (ko) 2017-10-20 2018-10-12 커피 머신의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분배되는 커피 분말이 홀더컵 상에 균일한 밀도로 수용되도록 보조하는 보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704A KR102034886B1 (ko) 2017-10-20 2017-10-20 커피 머신의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분배되는 커피 분말이 홀더컵 상에 균일한 밀도로 수용되도록 보조하는 보조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367A KR20190044367A (ko) 2019-04-30
KR102034886B1 true KR102034886B1 (ko) 2019-10-21

Family

ID=6617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704A KR102034886B1 (ko) 2017-10-20 2017-10-20 커피 머신의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분배되는 커피 분말이 홀더컵 상에 균일한 밀도로 수용되도록 보조하는 보조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4886B1 (ko)
WO (1) WO20190785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4155A1 (en) * 2020-12-29 2022-07-07 De' Longhi Appliances S.R.L. A tool for adjusting the amount of powdered material contained in a vess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100B1 (ko) * 2016-08-10 2017-02-24 최선욱 레벨링 탬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3129A2 (en) * 2003-05-19 2004-12-02 Aroma Fresh, Llc Coffee brewer
KR20140083585A (ko) * 2012-12-26 2014-07-04 이준우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
ITVE20130029A1 (it) 2013-06-17 2014-12-18 Mazzer Luigi S R L Dispositivo di pressatura del caffe' in polvere nel portafiltro.-
CA2947493C (en) * 2014-05-07 2022-01-11 Procaffe' S.P.A. Automatic machine for preparing coffee
KR20150131723A (ko) * 2014-05-16 2015-11-25 주식회사 제이비에스 다수의 챔버 프레스를 구비한 회전식 다목적 커피 머신
KR20170099311A (ko) * 2016-02-23 2017-08-31 석 황 포타필터 바스켓내의 분쇄원두 수평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100B1 (ko) * 2016-08-10 2017-02-24 최선욱 레벨링 탬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RE045476 E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367A (ko) 2019-04-30
WO2019078549A1 (ko)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3953B (zh) 用於在活動過濾器內按壓一劑量的咖啡的設備
EP1204352B1 (en) Method utilizing delayed dilution, mixing and filtration for providing customized beverages on demand
US20140053734A1 (en) Device for producing hot beverages
US8601937B2 (en) Apparatus for making coffee
US7927642B2 (en) Method for making coffee with a crema layer
US9629497B2 (en) Beverage production method and devices
JPS61131196A (ja) 一又はそれ以上のコ−ヒ−の消費ユニツトをつくるための装置
CN107205579A (zh) 用于在含有冲泡产品的容器上穿孔的装置
KR102034886B1 (ko) 커피 머신의 그라인더-디스펜서로부터 분배되는 커피 분말이 홀더컵 상에 균일한 밀도로 수용되도록 보조하는 보조 홀더
US20090098253A1 (en) Single-use Food-Grade Plastic or Aluminium Cup System with Integral Pressed Ground Coffee for Placing in the Cavity of an Espresso Coffee Maker
US11234554B2 (en) Tool for removing compacted particle residue from a cylindrical container
EP2654530A1 (de) Verfahren zum dosieren von kaffeemehl
US20140060336A1 (en) Apparatus for Making Crema Coffee
EP3453293B1 (de) Kaffeeautomat mit geschmacksoptimierter getränkeausgabe
EP3562357B1 (en) Coffee brewing
EP3838081B1 (en) Machine and method for filling a filter with a dose of coffee powder
KR20060084961A (ko) 간편 탬퍼
KR102435168B1 (ko) 포타필터장치
KR102507386B1 (ko) 레벨링 툴
NL1041544B1 (en) Coffee brewing means for pre-filled coffee-pods
US11730309B2 (en) Method for brewing coffee
WO2023069457A1 (en) Filter basket tamper
WO2016087204A1 (en) Process for preparing a concentrated tea-based beverage
JP2022508178A (ja) コーヒーマシン、およびこのようなコーヒーマシン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
US8623436B2 (en) Coffee brew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