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630B1 -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 - Google Patents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630B1
KR102034630B1 KR1020190068000A KR20190068000A KR102034630B1 KR 102034630 B1 KR102034630 B1 KR 102034630B1 KR 1020190068000 A KR1020190068000 A KR 1020190068000A KR 20190068000 A KR20190068000 A KR 20190068000A KR 102034630 B1 KR102034630 B1 KR 102034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exercise
attached
stretch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수
Original Assignee
김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수 filed Critical 김준수
Priority to KR1020190068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5A single apparatus used for either upper or lower limbs, i.e. with a set of support elements driven either by the upper or the lower limb or limbs
    • A63B23/03558Compound apparatus having multiple stations allowing an user to exercise different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를 설치하여 비나 햇볕에 의한 사용상의 불편함이 해소되도록 하면서 다양한 운동 기구 및 스트레칭 기구를 설치하여 전신 운동과 스트레칭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는 지면에서 이격되게 설치되는 루프(10)와, 상기 루프(1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손지압부(20)와, 상기 손지압부(20)의 일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옆구리스트레칭부(30)와, 상기 옆구리스트레칭부(30)의 일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제1 팔운동부(40)와, 상기 제1 팔운동부(40)의 일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제1 다리운동부(50)와, 상기 제1 다리운동부(50)의 일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좌우스트레칭부(60)와, 상기 좌우스트레칭부(60)의 일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상체운동부(70)와, 상기 상체운동부(70)의 일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제2 팔운동부(80)와, 상기 제2 팔운동부(80)의 일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등지압벤치부(90)와, 상기 등지압벤치부(90)의 ??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제2 다리운동부(100)와, 상기 제1 팔운동부(40)와 제1 다리운동부(50)의 사이로 지면에 설치되는 안내판부(1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OUTDOOR COMPLEX EXERCISE AND STRETCHING EQUIPMENT}
본 발명은 야외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야외용 운동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루프를 설치하여 비나 햇볕에 의한 사용상의 불편함이 해소되도록 하면서 다양한 운동 기구 및 스트레칭 기구를 설치하여 전신 운동과 스트레칭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제적 문화적 환경 조건에 의해 건강 및 몸매 관리에 관하여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고 이를 위해 규칙적으로 운동 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혼잡한 도시에서 운동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매우 한정적이고,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오염을 의식하여 실외에서 운동을 하지 않고 실내에서 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실내 등 협소한 공간에서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운동기구로 벤치 프레스, 런닝머신, 헬스 자전거 등 각종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가 출시되고 있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실내뿐만 아니라 아파트 단지의 놀이터 주변, 체육공원, 등산로, 휴양림 등에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가 설치되어, 사용자들은 각자의 운동 능력에 따라 상체 또는 하체, 허리, 복부 등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는 최근 비약적인 발달로 인하여 성인뿐만 아니라 어린이 또는 노약자들도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 구조 및 이에 대응하는 기능성 구조의 운동기구가 출시되고 있고 더불어 운동 분야도 세분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야외 운동 기구나 운동 설비는 야외에 설치되는 특성상 비나 햇볕을 적절히 가리지 못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야외 운동 기구는 설치된 종류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아 신체의 특정 부위에 국한된 운동만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 범위와 활용성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267352호 "야외용 운동 기구"(2013.05.2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루프를 설치하여 비나 햇볕에 의한 사용상의 불편함이 해소되도록 하면서 다양한 운동 기구 및 스트레칭 기구를 설치하여 전신 운동과 스트레칭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는, 사각으로 구획된 지면의 네 모서리 부위에 수직으로 기둥이 설치되고, 비나 햇볕을 가리도록 상기 기둥의 상단에 폐쇄되게 설치되는 루프와; 상기 루프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고, 손바닥으로 눌러서 지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손지압부와; 상기 손지압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루프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며, 옆구리 젖히면서 옆구리 스트레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옆구리스트레칭부와; 상기 옆구리스트레칭부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루프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며, 팔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팔운동부와; 상기 제1 팔운동부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루프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며, 앉은 상태로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다리운동부와; 상기 제1 다리운동부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루프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며, 앉은 상태로 상체를 좌우로 움직여 스트레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스트레칭부와; 상기 좌우스트레칭부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루프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며, 상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상체운동부와; 상기 상체운동부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루프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며, 팔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팔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상기 손지압부는, 상호 이격되게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수직봉과, 상기 제1 수직봉의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고 단차지게 형성되는 수평단차봉과, 상기 수평단차봉의 상면에 하단이 부착되고 단차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압판과, 상기 지압판의 일측으로 상기 제1 수직봉의 전면에 부착되는 제1 손잡이와, 상기 제1 수직봉의 하단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제1 수평봉을, 포함하고, 상기 옆구리스트레칭부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지주와, 상기 제1 지주의 내측에 양단이 부착되고 상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 반원봉과, 상기 제1 지주의 외측에 양단이 부착되고 상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반원봉보다 높게 구비되는 제2 반원봉과, 상기 제1 반원봉과 제2 반원봉의 하부로 지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1 좌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상기 제1 팔운동부는, 상호 이격되게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수직봉과, 상기 제2 수직봉의 사이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원통과, 상기 회전원통의 외주면에 볼록하게 돌출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손잡이와, 상기 회전원통의 일측으로 상기 제2 수직봉의 전면에 부착되는 제2 손잡이와, 상기 제2 수직봉의 하단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제2 수평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운동부는, 지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2 좌석과, 상기 제2 좌석의 전면에 엘자형으로 부착되는 엘자부재와, 상기 엘자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가 양발로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쌍의 페달과, 상기 페달의 양측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지주와, 상기 제2 지주의 전면에 돌출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돌출손잡이와, 상기 제2 지주의 상단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제3 수평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상기 좌우스트레칭부는, 지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3 좌석과, 상기 제3 좌석의 양측면과 배면 둘레로 라운드지게 구비되고 양단이 상기 제3 좌석에 부착되는 라운드바와, 상기 라운드바와 상기 제3 좌석의 배면 사이에 상하로 부착되는 배면지지봉과, 상기 제3 좌석의 상부로 상기 배면지지봉의 전면에 부착되는 허리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운동부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지주와, 상기 제3 지주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경사봉과, 상기 경사봉의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수평손잡이와, 상기 제3 지주의 전면에 돌출되게 부착되는 제3 손잡이와, 상기 제3 지주의 하단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제4 수평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팔운동부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4 지주와, 상기 제4 지주의 전면에 돌출되게 부착되는 돌출지지대와, 상기 돌출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쌍의 회전페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는, 상기 루프의 내측 중앙 부위로 지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벤치와, 상기 벤치의 등받이 부위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압봉을 포함하는 등지압벤치부와; 상기 등지압벤치부의 일측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두 쌍의 제5 지주와, 한 쌍의 상기 제5 지주의 내측에 각각 부착되는 내측손잡이봉과, 상기 내측손잡이봉의 사이로 지면에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고 사용자가 밟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발판부를 포함하는 제2 다리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는, 상기 제1 팔운동부와 제1 다리운동부의 사이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6 지주와, 상기 제6 지주의 사이에 부착되고 시설의 이용 안내문이 표시되는 안내판과, 상기 제6 지주의 전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제4 손잡이를 포함하는 안내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루프를 설치하여 비나 햇볕에 의한 사용상의 불편함이 해소되고, 다양한 운동 기구 및 스트레칭 기구를 설치하여 전신 운동과 스트레칭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사용범위와 활용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개략적인 전체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개략적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개략적인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개략적인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손지압부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손지압부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손지압부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옆구리스트레칭부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옆구리스트레칭부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옆구리스트레칭부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제1 팔운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제1 팔운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제1 팔운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제1 다리운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제1 다리운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제1 다라운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좌우스트레칭부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좌우스트레칭부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좌우스트레칭부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상체운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상체운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상체운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제2 팔운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제2 팔운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제2 팔운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등지압벤치부와 제2 다리운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등지압벤치부와 제2 다리운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등지압벤치부와 제2 다리운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제2 다리운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안내판부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안내판부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는 지면에서 이격되게 설치되는 루프(10)와, 상기 루프(1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손지압부(20)와, 상기 손지압부(20)의 일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옆구리스트레칭부(30)와, 상기 옆구리스트레칭부(30)의 일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제1 팔운동부(40)와, 상기 제1 팔운동부(40)의 일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제1 다리운동부(50)와, 상기 제1 다리운동부(50)의 일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좌우스트레칭부(60)와, 상기 좌우스트레칭부(60)의 일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상체운동부(70)와, 상기 상체운동부(70)의 일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제2 팔운동부(80)와, 상기 제2 팔운동부(80)의 일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등지압벤치부(90)와, 상기 등지압벤치부(90)의 ??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제2 다리운동부(100)와, 상기 제1 팔운동부(40)와 제1 다리운동부(50)의 사이로 지면에 설치되는 안내판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루프(10)는 사각으로 구획된 지면의 네 모서리 부위에 수직으로 기둥(11)이 설치되고 상기 기둥(11)의 상단에 폐쇄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운동이나 스트레칭 중에 비나 햇볕을 가려 운동자가 손쉽게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손지압부(20)는 상기 루프(10)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손바닥으로 눌러서 지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손지압부(20)는 상호 이격되게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수직봉(21)과, 상기 제1 수직봉(21)의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고 단차지게 형성되는 수평단차봉(22)과, 상기 수평단차봉(22)의 상면에 하단이 부착되고 단차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압판(23)과, 상기 지압판(23)의 일측으로 상기 제1 수직봉(21)의 전면에 부착되는 제1 손잡이(24)와, 상기 제1 수직봉(21)의 하단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제1 수평봉(2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직봉(21)은 상기 수평단차봉(22)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수평단차봉(22)은 상기 지압판(23)이 단차지게 즉 높이차를 가지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지압판(23)은 사용자가 자신의 손바닥을 밀착시켜 지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손잡이(24)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고서 자신의 몸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수평봉(25)은 상기 제1 수직봉(21)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옆구리스트레칭부(30)는 상기 손지압부(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루프(10)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옆구리 젖히면서 옆구리 스트레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옆구리스트레칭부(30)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지주(31)와, 상기 제1 지주(31)의 내측에 양단이 부착되고 상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 반원봉(32)과, 상기 제1 지주(31)의 외측에 양단이 부착되고 상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반원봉(32)보다 높게 구비되는 제2 반원봉(33)과, 상기 제1 반원봉(32)과 제2 반원봉(33)의 하부로 지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1 좌석(3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옆구리스트레칭부(30)는 상기 제1 반원봉(32)과 제2 반원봉(33)이 상기 제1 지주(31)의 사이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자가 상기 제1 좌석(34)에 착석하고 사용자의 팔을 상부로 뻗어 상기 제1 반원봉(32)이나 상기 제2 반원봉(33)을 손으로 잡은 상태로 옆구리를 좌우로 비틀어 스트레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팔운동부(40)는 상기 옆구리스트레칭부(30)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루프(10)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팔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제1 팔운동부(40)는 상호 이격되게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수직봉(41)과, 상기 제2 수직봉(41)의 사이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원통(42)과, 상기 회전원통(42)의 외주면에 볼록하게 돌출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손잡이(43)와, 상기 회전원통(42)의 일측으로 상기 제2 수직봉(41)의 전면에 부착되는 제2 손잡이(44)와, 상기 제2 수직봉(41)의 하단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제2 수평봉(45)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팔운동부(40)는 상기 제2 수직봉(41)의 사이에 상기 회전원통(4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사용자가 상기 회전손잡이(43)를 잡고 상기 회전원통(42)을 돌리면서 팔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손잡이(44)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고서 자신의 몸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수평봉(45)은 상기 제2 수직봉(41)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다리운동부(50)는 상기 제1 팔운동부(40)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루프(10)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앉은 상태로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다리운동부(50)는 지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2 좌석(51)과, 상기 제2 좌석(51)의 전면에 엘자형으로 부착되는 엘자부재(52)와, 상기 엘자부재(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가 양발로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쌍의 페달(53)과, 상기 페달(53)의 양측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지주(54)와, 상기 제2 지주(54)의 전면에 돌출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돌출손잡이(55)와, 상기 제2 지주(54)의 상단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제3 수평봉(56)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다리운동부(50)는 사용자가 상기 제2 좌석(51)에 착석한 상태로 양발을 상기 페달(53)에 올리고 상기 페달(53)을 회전시켜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지주(54)는 상기 돌출손잡이(55)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돌출손잡이(55)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손으로 잡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제3 수평봉(56)은 상기 제2 지주(5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스트레칭부(60)는 상기 제1 다리운동부(50)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루프(10)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앉은 상태로 상체를 좌우로 움직여 스트레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좌우스트레칭부(60)는 지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3 좌석(61)과, 상기 제3 좌석(61)의 양측면과 배면 둘레로 라운드지게 구비되고 양단이 상기 제3 좌석(61)에 부착되는 라운드바(62)와, 상기 라운드바(62)와 상기 제3 좌석(61)의 배면 사이에 상하로 부착되는 배면지지봉(63)과, 상기 제3 좌석(61)의 상부로 상기 배면지지봉(63)의 전면에 부착되는 허리지지대(64)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스트레칭부(60)는 사용자가 상기 제3 좌석(61)에 착석한 상태로 손으로 라운드바(62)를 잡고 상체를 좌우로 기울려 스트레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배면지지봉(63)은 상기 허리지지대(6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허리지지대(64)는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체운동부(70)는 상기 좌우스트레칭부(60)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루프(10)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상체운동부(70)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지주(71)와, 상기 제3 지주(71)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경사봉(72)과, 상기 경사봉(72)의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수평손잡이(73)와, 상기 제3 지주(71)의 전면에 돌출되게 부착되는 제3 손잡이(74)와, 상기 제3 지주(71)의 하단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제4 수평봉(75)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상체운동부(70)는 상기 제3 지주(71)에 부착된 상기 경사봉(72)에 구비되는 상기 수평손잡이(73) 중의 하나를 사용자가 팔을 뻗어서 손으로 잡고서 상체를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3 손잡이(74)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고서 자신의 몸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4 수평봉(75)은 상기 제3 지주(71)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팔운동부(80)는 상기 상체운동부(70)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루프(10)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팔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2 팔운동부(80)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4 지주(81)와, 상기 제4 지주(81)의 전면에 돌출되게 부착되는 돌출지지대(82)와, 상기 돌출지지대(8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쌍의 회전페달(83)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팔운동부(80)는 사용자가 회전페달(83)을 손으로 잡고서 회전시키면서 팔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지지대(82)는 상기 회전페달(83)이 상기 제4 지주(81)의 전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등지압벤치부(90)는 상기 루프(10)의 내측 중앙 부위로 지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벤치(91)와, 상기 벤치(91)의 등받이 부위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압봉(9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등지압벤치부(90)는 사용자가 상기 벤치(91)에 앉아서 쉴 수 있도록 하면서 쉬는 동안에 상기 지압봉(92)을 통해 등 부위에 대한 지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다리운동부(100)는 상기 등지압벤치부(90)의 일측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두 쌍의 제5 지주(101)와, 한 쌍의 상기 제5 지주(101)의 내측에 각각 부착되는 내측손잡이봉(102)과, 상기 내측손잡이봉(102)의 사이로 지면에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고 사용자가 밟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발판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다리운동부(100)는 사용자가 상기 내측손잡이봉(102)을 잡고서 상기 발판부(103)를 이동하면서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안내판부(110)는 상기 제1 팔운동부(40)와 제1 다리운동부(50)의 사이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6 지주(111)와, 상기 제6 지주(111)의 사이에 부착되고 시설의 이용 안내문이 표시되는 안내판(112)과, 상기 제6 지주(111)의 전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제4 손잡이(113)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판부(110)는 사용자가 운동 기구 및 스트레칭 기구에 대한 설명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인지할 수 있도록 사용 설명을 상기 안내판(112)에 게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4 손잡이(113)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서 몸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루프
11 : 기둥
20 : 손지압부
21 : 제1 수직봉 22 : 수평단차봉
23 : 지압판 24 : 제1 손잡이
25 : 제1 수평봉
30 : 옆구리스트레칭부
31 : 제1 지주 32 : 제1 반원봉
33 : 제2 반원봉 34 : 제1 좌석
40 : 제1 팔운동부
41 : 제2 수직봉 42 : 회전원통
43 : 회전손잡이 44 : 제2 손잡이
45 : 제2 수평봉
50 : 제1 다리운동부
51 : 제2 좌석 52 : 엘자부재
53 : 페달 54 : 제2 지주
55 : 돌출손잡이 56 : 제3 수평봉
60 : 좌우스트레칭부
61 : 제3 좌석 62 : 라운드바
63 : 배면지지봉 64 : 허리지지대
70 : 상체운동부
71 : 제3 지주 72 : 경사봉
73 : 수평손잡이 74 : 제3 손잡이
75 : 제4 수평봉
80 : 제2 팔운동부
81 : 제4 지주 82 : 돌출지지대
83 : 회전페달
90 : 등지압벤치부
91 : 벤치 92 : 지압봉
100 : 제2 다리운동부
101 : 제5 지주 102 : 내측손잡이봉
103 : 발판부
110 : 안내판부
111 : 제6 지주 112 : 안내판
113 : 제4 손잡이

Claims (6)

  1. 사각으로 구획된 지면의 네 모서리 부위에 수직으로 기둥(11)이 설치되고, 비나 햇볕을 가리도록 상기 기둥(11)의 상단에 폐쇄되게 설치되는 루프(10)와;
    상기 루프(10)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고, 손바닥으로 눌러서 지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손지압부(20)와;
    상기 손지압부(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루프(10)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며, 옆구리 젖히면서 옆구리 스트레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옆구리스트레칭부(30)와;
    상기 옆구리스트레칭부(30)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루프(10)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며, 팔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팔운동부(40)와;
    상기 제1 팔운동부(40)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루프(10)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며, 앉은 상태로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다리운동부(50)와;
    상기 제1 다리운동부(50)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루프(10)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며, 앉은 상태로 상체를 좌우로 움직여 스트레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스트레칭부(60)와;
    상기 좌우스트레칭부(60)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루프(10)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며, 상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상체운동부(70)와;
    상기 상체운동부(70)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루프(10)의 내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며, 팔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팔운동부(80)를; 포함하고,
    상기 손지압부(20)는,
    상호 이격되게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수직봉(21)과,
    상기 제1 수직봉(21)의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고 단차지게 형성되는 수평단차봉(22)과,
    상기 수평단차봉(22)의 상면에 하단이 부착되고 단차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압판(23)과,
    상기 지압판(23)의 일측으로 상기 제1 수직봉(21)의 전면에 부착되는 제1 손잡이(24)와,
    상기 제1 수직봉(21)의 하단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제1 수평봉(25)을, 포함하고,
    상기 옆구리스트레칭부(30)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지주(31)와,
    상기 제1 지주(31)의 내측에 양단이 부착되고 상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 반원봉(32)과,
    상기 제1 지주(31)의 외측에 양단이 부착되고 상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반원봉(32)보다 높게 구비되는 제2 반원봉(33)과,
    상기 제1 반원봉(32)과 제2 반원봉(33)의 하부로 지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1 좌석(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팔운동부(40)는,
    상호 이격되게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수직봉(41)과,
    상기 제2 수직봉(41)의 사이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원통(42)과,
    상기 회전원통(42)의 외주면에 볼록하게 돌출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손잡이(43)와,
    상기 회전원통(42)의 일측으로 상기 제2 수직봉(41)의 전면에 부착되는 제2 손잡이(44)와,
    상기 제2 수직봉(41)의 하단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제2 수평봉(45)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운동부(50)는,
    지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2 좌석(51)과,
    상기 제2 좌석(51)의 전면에 엘자형으로 부착되는 엘자부재(52)와,
    상기 엘자부재(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가 양발로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쌍의 페달(53)과,
    상기 페달(53)의 양측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지주(54)와,
    상기 제2 지주(54)의 전면에 돌출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돌출손잡이(55)와,
    상기 제2 지주(54)의 상단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제3 수평봉(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스트레칭부(60)는,
    지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3 좌석(61)과,
    상기 제3 좌석(61)의 양측면과 배면 둘레로 라운드지게 구비되고 양단이 상기 제3 좌석(61)에 부착되는 라운드바(62)와,
    상기 라운드바(62)와 상기 제3 좌석(61)의 배면 사이에 상하로 부착되는 배면지지봉(63)과,
    상기 제3 좌석(61)의 상부로 상기 배면지지봉(63)의 전면에 부착되는 허리지지대(64)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운동부(70)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지주(71)와,
    상기 제3 지주(71)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경사봉(72)과,
    상기 경사봉(72)의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수평손잡이(73)와,
    상기 제3 지주(71)의 전면에 돌출되게 부착되는 제3 손잡이(74)와,
    상기 제3 지주(71)의 하단 사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제4 수평봉(75)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팔운동부(80)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4 지주(81)와,
    상기 제4 지주(81)의 전면에 돌출되게 부착되는 돌출지지대(82)와,
    상기 돌출지지대(8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쌍의 회전페달(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는,
    상기 루프(10)의 내측 중앙 부위로 지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벤치(91)와, 상기 벤치(91)의 등받이 부위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압봉(92)을 포함하는 등지압벤치부(90)와;
    상기 등지압벤치부(90)의 일측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두 쌍의 제5 지주(101)와, 한 쌍의 상기 제5 지주(101)의 내측에 각각 부착되는 내측손잡이봉(102)과, 상기 내측손잡이봉(102)의 사이로 지면에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고 사용자가 밟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발판부(103)를 포함하는 제2 다리운동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는,
    상기 제1 팔운동부(40)와 제1 다리운동부(50)의 사이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6 지주(111)와, 상기 제6 지주(111)의 사이에 부착되고 시설의 이용 안내문이 표시되는 안내판(112)과, 상기 제6 지주(111)의 전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제4 손잡이(113)를 포함하는 안내판부(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
KR1020190068000A 2019-06-10 2019-06-10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 KR102034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00A KR102034630B1 (ko) 2019-06-10 2019-06-10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00A KR102034630B1 (ko) 2019-06-10 2019-06-10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630B1 true KR102034630B1 (ko) 2019-10-21

Family

ID=6846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000A KR102034630B1 (ko) 2019-06-10 2019-06-10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63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977Y1 (ko) * 2003-10-31 2004-01-24 윤인수 지압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KR100487745B1 (ko) * 2002-07-04 2005-05-06 표옥근 다목적운동구
KR200424832Y1 (ko) * 2006-06-05 2006-08-25 한각수 광고수단이 장치된 2인용 허리돌리기 운동기구
KR100718349B1 (ko) * 2006-04-03 2007-05-18 황인철 근육이완 및 관절유연성 운동기구
KR20100110240A (ko) * 2009-04-02 2010-10-12 이금선 운동기구용 기둥부를 가진 파고라
KR101267352B1 (ko) 2013-02-18 2013-05-27 유한회사 형후 야외용 다목적 운동기구
KR101476371B1 (ko) * 2013-11-22 2014-12-24 주식회사 재운 휴식공간을 갖는 야외용 운동기구
KR20170003645U (ko) * 2016-04-12 2017-10-20 주식회사 비바스포츠 다기능 팔 회전 손잡이 운동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745B1 (ko) * 2002-07-04 2005-05-06 표옥근 다목적운동구
KR200338977Y1 (ko) * 2003-10-31 2004-01-24 윤인수 지압기능을 갖는 운동기구
KR100718349B1 (ko) * 2006-04-03 2007-05-18 황인철 근육이완 및 관절유연성 운동기구
KR200424832Y1 (ko) * 2006-06-05 2006-08-25 한각수 광고수단이 장치된 2인용 허리돌리기 운동기구
KR20100110240A (ko) * 2009-04-02 2010-10-12 이금선 운동기구용 기둥부를 가진 파고라
KR101267352B1 (ko) 2013-02-18 2013-05-27 유한회사 형후 야외용 다목적 운동기구
KR101476371B1 (ko) * 2013-11-22 2014-12-24 주식회사 재운 휴식공간을 갖는 야외용 운동기구
KR20170003645U (ko) * 2016-04-12 2017-10-20 주식회사 비바스포츠 다기능 팔 회전 손잡이 운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76594U (zh) 一种健身办公两用电脑椅
CN201959484U (zh) 多功能健身椅
CA2956530A1 (en) Exercise devices and systems
US20090054210A1 (en) Station for Gymnastics in Water
KR102034630B1 (ko) 야외용 복합 운동 및 스트레칭 설비
KR101476371B1 (ko) 휴식공간을 갖는 야외용 운동기구
CN106540410A (zh) 一种中老年人家庭健身一体机
CN202355774U (zh) 一种改进的健身车
CN105582644A (zh) 臂力推压练习器
CN209828117U (zh) 一种新型坐推器
CN104056427B (zh) 折叠便携倒立跑步健身器
KR200466305Y1 (ko) 회전형 운동기구
KR101472218B1 (ko) 종합 운동기구
CN103083863A (zh) 一种改进的健身车
CN202199032U (zh) 带有仰卧起坐功能的跑步机
CN111714837A (zh) 一种老年健身用多功能健身机构及其使用方法
CN206252786U (zh) 一种中老年人家庭健身一体机
CN211885116U (zh) 一种便于学生热身的装置
CN216497245U (zh) 拉伸综合增高训练器
TWM465941U (zh) 肢體復健器
KR200489544Y1 (ko)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CN212730373U (zh) 一种公共体育训练用腰部按摩装置
CN204447141U (zh) 多功能健身器
CN215195255U (zh) 家用多功能健身器
CN210384724U (zh) 一种适用人群广的体育健身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