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547B1 -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547B1
KR102034547B1 KR1020170091375A KR20170091375A KR102034547B1 KR 102034547 B1 KR102034547 B1 KR 102034547B1 KR 1020170091375 A KR1020170091375 A KR 1020170091375A KR 20170091375 A KR20170091375 A KR 20170091375A KR 102034547 B1 KR102034547 B1 KR 102034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measuring unit
current measuring
traffic ligh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864A (ko
Inventor
신덕호
이준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91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5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3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trackside elements or system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ckside control system conditions
    • B61L27/008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12Visible signals
    • B61L5/18Light signals; Mechanisms associated therewith, e.g. blin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4Testing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는 철도신호기의 신호등과 각각 연결되어 신호등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신호등을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고장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RAILROAD SIGN FLAG}
본 발명은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 측정부를 이용하여 철도신호기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신호기는 위험을 방지하고 한정된 선로 상에 보다 많은 열차를 운행시키려는 목적으로 설치된다. 철도신호기는 기관사에게 진행, 정지, 주의, 감속 등과 같은 신호뿐만 아니라 주행 가능속도 및 진로 등의 운전조건을 지시하는 장치이다.
철도신호기에는 역 구내나 선로를 따라 설치되어 기관사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지상 신호기 및 육안으로는 지상에 설치된 신호를 식별하기 어려운 고속 구간 등에서 사용하는 차내 신호기가 있다.
이러한 철도신호기 중 4등 5현시 철도신호기는 4개 등의 조합으로 5가지 상태인 정지(R, 0kph), 경계(YY, 25kph), 주의(Y, 65kph), 감속(YG, 105kph), 진행(G, 선로최고속도)의 단계별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26154호(2007.06.01)의 '철도신호기의 오작동 방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철도신호기 제어회로는 등별 점등 여부를 전자연동장치 외부의 계전기로 구현하고, 해당 계전기의 동작상태를 전자연동장치 입력카드의 스위칭소자를 통해 입력하도록 중복회로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철도신호기 제어회로에서는 철도안전 국제표준에 따라 높은 수준의 안전설계가 반영되어야 하는 전자연동장치의 실제 입력이 계전기 동작성능에 종속되고, 계전기와 전자연동장치 입력카드 내부의 스위칭 소자 중복설계로 시스템의 고장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철도신호기 제어회로는 5현시 신호의 단계적 현시 전환에 대한 입력상태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여 소프트웨어 무결성 검사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단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전류 측정부를 이용하여 철도신호기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철도신호기의 신호현시 단계를 하드웨어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한,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는 철도신호기의 신호등과 각각 연결되어 신호등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신호등을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고장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류 측정부는 신호등과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류 측정부는 신호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중복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등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중복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장 감시부는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신호등 각각의 점등 상태를 인식하는 점등 상태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점등 상태 감시부는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신호등 각각의 전류가 기 설정된 신호등 점등 여부 인식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등 각각의 점등 상태를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장 감시부는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신호등의 점등 순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점등 순서에 따라 신호등의 점등 순서를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현시 상태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현시 상태 감시부는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신호등의 점등 순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등의 점등 순서가 기 설정된 설정 순서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등의 점등 순서를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는 철도신호기에 구비된 R 신호등, Y1 신호등, Y2 신호등 및 G 신호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중복 연결되어 R 신호등, Y1 신호등, Y2 신호등 및 G 신호등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R 신호등, Y1 신호등, Y2 신호등 및 G 신호등 각각의 고장을 검출하는 고장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류 측정부는 신호등과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류 측정부는 R 신호등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 측정부; R 신호등 및 Y1 신호등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 측정부; R 신호등, Y1 신호등 및 Y2 신호등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3 전류 측정부; 및 R 신호등, Y1 신호등, Y2 신호등 및 G 신호등을 통해 전류를 검출하는 제4 전류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장 감시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전류 측정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R 신호등, Y1 신호등, Y2 신호등 및 G 신호등 각각을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점등 상태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점등 상태 감시부는 상기 제1 전류 측정부 내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신호등 각각의 전류가 기 설정된 신호등 점등 여부 인식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등 각각을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점등 상태 감시부는 상기 제1 전류 측정부 내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의 오차가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이면 R 신호등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상기 제2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초과하고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동일하면 Y1 신호등 및 Y2 신호등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1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제2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0A이고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동일하면 Y2 신호등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1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제2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0A이고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초과하면 Y2 신호등 및 G 신호등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1 전류 측정부 내지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0A이고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초과하면 G 신호등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점등 상태 감시부는 상기 제1 전류 측정부 내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가 아닌 상태,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상기 제2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 이하이고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동일하지 않은 상태, 상기 제1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제2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0A이 아니고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동일하지 않은 상태, 상기 제1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제2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0A이 아니고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 이하인 상태, 및 상기 제1 전류 측정부 내지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0A이 아니고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 이하인 상태이면, R 신호등, Y1 신호등, Y2 신호등 및 G 신호등 중 적어도 하나를 비정상 상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장 감시부는 상기 제1 전류 측정부 내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신호등의 점등 순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점등 순서에 따라 R 신호등, Y1 신호등, Y2 신호등 및 G 신호등의 점등 순서를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현시 상태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현시 상태 감시부는 상기 제1 전류 측정부 내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통해 신호등 각각의 점등 순서가 기 설정된 설정 순서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등의 점등 순서를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는 전류 센서를 이용하여 철도신호기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철도신호기의 신호현시 단계를 하드웨어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에서는 철도신호기의 각 신호등과 전류 측정부를 직렬로 연결하여 전류검지 회로의 등별 다중화가 불필요하고, 고장이 발생한 신호등을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는 철도신호기의 신호현시 단계를 벗어나는 오류 현시를 하드웨어적으로 감시함으로써, 열차 충돌 및 탈선 등과 같은 열차 사고에 직결되는 부정신호현시를 즉시 검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의 신호등 점등 상태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의 신호현시 단계를 검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는 출력 제어부(10), 전원부(20), 계전기(30), 전류 측정부(50), 고장 감시부(60) 및 경고부(70)를 포함한다.
먼저, 철도신호기(40)는 열차 사고 위험을 방지하고 한정된 선로 상에 보다 많은 열차를 운행시키려는 목적으로 설치된다. 철도신호기(40)는 역 구내나 선로를 따라 설치되며, 기관사에게 진행, 정지, 주의, 감속 등과 같은 신호뿐만 아니라 주행 가능속도 및 진로 등의 운전조건을 지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4등 5현시 철도신호기(40)를 예시로 설명한다. 4등 5현시 철도신호기(40)는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을 구비한다.
4등 5현시 철도신호기(40)는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을 조합하여 5가지 상태인 정지(R, 0kph), 경계(YY, 25kph), 주의(Y, 65kph), 감속(YG, 105kph), 진행(G, 선로최고속도)을 표출한다. 또한 4등 5현시 철도신호기(40)는 정지(R, 0kph), 경계(YY, 25kph), 주의(Y, 65kph), 감속(YG, 105kph), 진행(G, 선로최고속도)의 단계로 동작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4등 5현시 철도신호기(40)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등 3현시 철도신호기 및 3등 4현시 철도신호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출력 제어부(10)는 계전기(30)를 제어하여 철도신호기(4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출력 제어부(10)는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4개의 출력부를 포함한다. 각 출력부는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각각에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각 출력부는 이들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각각에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전원부(20)는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각각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0)는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각각에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계전기(30)는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각각에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된다. 계전기(30)는 출력 제어부(10)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부(2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한다.
즉, 계전기(30)는 제1 계전기(31), 제2 계전기(32), 제3 계전기(33) 및 제4 계전기(34)를 포함한다. 제1 계전기(31)는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전원부(2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R 신호등(41)에 인가하고, 제2 계전기(32)는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전원부(2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Y1 신호등(42)에 인가하며, 제3 계전기(33)는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전원부(2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Y2 신호등(43)에 인가하며, 제4 계전기(34)는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전원부(2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G 신호등(44)에 인가한다.
전류 측정부(50)는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과 직렬 연결되어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류 측정부(50)는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중복적으로 연결되어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중복적으로 측정한다.
전류 측정부(50)는 제1 전류 측정부(51), 제2 전류 측정부(52), 제3 전류 측정부(53) 및 제4 전류 측정부(54)를 포함한다.
제1 전류 측정부(51)는 R 신호등(41)과 직렬 연결되어 R 신호등(41)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 제2 전류 측정부(52)는 R 신호등(41)과 Y1 신호등(42)과 직렬 연결되어 R 신호등(41)과 Y1 신호등(42)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 제3 전류 측정부(53)는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및 Y2 신호등(43)과 직렬 연결되어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및 Y2 신호등(43)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 제4 전류 측정부(54)는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과 직렬 연결되어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
이에 따라, R 신호등(41)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제1 내지 제4 전류 측정부(54)에서 모두 측정되며, Y1 신호등(42)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제2 내지 제3 전류 측정부(53)에서 모두 측정되며, Y2 신호등(43)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제3 내지 제4 전류 측정부(54)에서 모두 측정되며, G 신호등(44)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제4 전류 측정부(54)에서 측정된다.
고장 감시부(60)는 전류 측정부(50)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의 점등 여부를 인식하고, 이들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각각이 비정상 상태인지를 인식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전류 측정부(51)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제1 전류라 하고, 제2 전류 측정부(52)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제2 전류라 하며,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제3 전류라 하며,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제4 전류라 한다.
고장 감시부(60)는 점등 상태 감시부(61) 및 현시 상태 감시부(62)를 포함한다.
점등 상태 감시부(61)는 전류 측정부(50)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기 설정된 신호등 점등 여부 인식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등 각각의 점등 상태를 인식한다. 점등 상태 감시부(61)는 제1 전류 측정부(51)에 의해 측정된 제1 전류, 제2 전류 측정부(52)에 의해 측정된 제2 전류,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 및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4 전류를 이용하여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각각의 점등 상태를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한다.
즉, 점등 상태 감시부(61)는 제1 전류 측정부(51) 내지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1 내지 제4 전류의 오차가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이면 R 신호등(41)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한다.
점등 상태 감시부(61)는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가 제2 전류 측정부(52)에 의해 측정된 제2 전류를 초과하고,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와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4 전류가 동일하면 Y1 신호등(42) 및 Y2 신호등(43)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한다.
점등 상태 감시부(61)는 제1 전류 측정부(51)에 의해 측정된 전류와 제2 전류 측정부(52)에 의해 측정된 제2 전류가 0A이고,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와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4 전류가 동일하면 Y2 신호등(43)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한다.
점등 상태 감시부(61)는 제1 전류 측정부(51)에 의해 측정된 제1 전류와 제2 전류 측정부(52)에 의해 측정된 제2 전류가 0A이고,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4 전류가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를 초과하면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한다.
점등 상태 감시부(61)는 제1 전류 측정부(51)에 측정된 제1 전류와 제2 전류 측정부(52)에 의해 측정된 제2 전류 및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가 0A이고,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4 전류가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를 초과하면 G 신호등(44)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한다.
또한, 점등 상태 감시부(61)는 제1 전류 측정부(51) 내지 제5 전류 측정부(50)에 의해 측정된 제1 내지 제5 전류가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이 점등되기 위한 5가지의 상태에 포함되지 않으면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 오류로 인식한다.
즉, 점등 상태 감시부(61)는 제1 전류 측정부(51) 내지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1 내지 제4 전류의 오차가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가 아닌 상태,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가 제2 전류 측정부(52)에 의해 측정된 제2 전류 이하이고 제3 전류 측정부(53)와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와 제4 전류가 동일하지 않는 상태, 제1 전류 측정부(51)와 제2 전류 측정부(52)에 의해 측정된 제1 전류와 제2 전류가 0A가 아니고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와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4 전류가 동일하지 않는 상태, 제1 전류 측정부(51)와 제2 전류 측정부(52)에 의해 측정된 제1 전류와 제2 전류가 0A가 아니고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4 전류가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 이하인 상태, 및 제1 전류 측정부(51) 내지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1 전류 내지 제3 전류가 0A가 아니고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4 전류가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 이하인 상태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면,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인식한다.
현시 상태 감시부(62)는 제1 전류 측정부(51) 내지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전류를 이용하여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의 점등 순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점등 순서에 따라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의 점등 순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인식한다.
즉, 현시 상태 감시부(62)는 제1 전류 측정부(51) 내지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1 내지 제4 전류를 통해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의 점등 순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점등 순서가 기 설정된 설정 순서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등의 점등 순서 오류를 검출한다.
여기서, 설정 순서는 R 신호등(41) 점등, Y1 신호등(42)과 Y2 신호등(43) 점등, Y1 신호등(42) 점등, Y1 신호등(42)과 G 신호등(44) 점등, 및 G 신호등(44) 점등 순이다.
따라서, 현시 상태 감시부(62)는 검출된 점등 순서가 R 신호등(41) 점등, Y1 신호등(42)과 Y2 신호등(43) 점등, Y1 신호등(42) 점등, Y1 신호등(42)과 G 신호등(44) 점등, 및 G 신호등(44) 점등 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점등 순서가 R 신호등(41) 점등, Y1 신호등(42)과 Y2 신호등(43) 점등, Y1 신호등(42) 점등, Y1 신호등(42)과 G 신호등(44) 점등, 및 G 신호등(44) 점등 순이 아니면, 점등 순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인식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의 신호등 점등 상태 인식 과정을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의 신호등 점등 상태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먼저 출력 제어부(10)는 제1 계전기(31) 내지 제4 계전기(3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제1 계전기(31) 내지 제4 계전기(3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턴온되고, 전원부(20)로부터 제1 계전기(31) 내지 제4 계전기(3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원이 인가된다.
전원부(20)로부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각각은 선택적으로 점등되고, 이때 제1 전류 측정부(51) 내지 제4 전류 측정부(54)는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S100).
이 경우, 고장 감시부(60)의 점등 상태 감시부(61)는 제1 전류 측정부(51) 내지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1 내지 제4 전류의 오차가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이면 R 신호등(41)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한다(S120,S122).
점등 상태 감시부(61)는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가 제2 전류 측정부(52)에 의해 측정된 제2 전류를 초과하고,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와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4 전류가 동일하면 Y1 신호등(42) 및 Y2 신호등(43)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한다(S130,S132) .
점등 상태 감시부(61)는 제1 전류 측정부(51)에 의해 측정된 전류와 제2 전류 측정부(52)에 의해 측정된 제2 전류가 0A이고,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와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4 전류가 동일하면 Y2 신호등(43)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한다(S140,S142).
점등 상태 감시부(61)는 제1 전류 측정부(51)에 의해 측정된 제1 전류와 제2 전류 측정부(52)에 의해 측정된 제2 전류가 0A이고,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4 전류가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를 초과하면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한다(S150,S152).
점등 상태 감시부(61)는 제1 전류 측정부(51)에 측정된 제1 전류와 제2 전류 측정부(52)에 의해 측정된 제2 전류 및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가 0A이고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4 전류가 제3 전류 측정부(53)에 의해 측정된 제3 전류를 초과하면 G 신호등(44)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한다(S160,S162).
또한, 점등 상태 감시부(61)는 제1 전류 측정부(51) 내지 제5 전류 측정부(50)에 의해 측정된 제1 내지 제5 전류가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이 점등되기 위한 5가지의 상태(S120 내지 S162)에 포함되지 않으면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중 적어도 하나의 점등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인식한다(S170).
이 경우, 점등 상태 감시부(6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전류 측정부(51) 내지 제5 전류 측정부(50)에 의해 측정된 제1 내지 제5 전류가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이 점등되기 위한 5가지의 상태(S120 내지 S162)에 포함되지 않으면 경고부(70)를 제어하여 점등 상태가 비정상 상태임을 경고부(70)를 통해 경고한다(S18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의 신호현시 단계를 검증하는 과정을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의 신호현시 단계를 검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출력 제어부(10)는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이 기 설정된 점등 순서에 따라 점등되도록, 제1 계전기(31) 내지 제4 계전기(3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제1 계전기(31) 내지 제4 계전기(3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턴온되고, 전원부(20)로부터 제1 계전기(31) 내지 제4 계전기(3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원이 인가된다.
전원부(20)로부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각각은 선택적으로 점등되고, 이때 제1 전류 측정부(51) 내지 제4 전류 측정부(54)는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S200).
고장 감시부(60)의 현시 상태 감시부(62)는 제1 전류 측정부(51) 내지 제4 전류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제1 전류 내지 제4 전류를 통해 R 신호등(41), Y1 신호등(42), Y2 신호등(43) 및 G 신호등(44)의 점등 순서를 검출 및 저장한다(S210).
이 경우, 현시 상태 감시부(62)는 점등 순서가 기 설정된 설정 순서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즉, 현시 상태 감시부(62)는 점등 순서가 R 신호등(41) 점등, Y1 신호등(42)과 Y2 신호등(43) 점등, Y1 신호등(42) 점등, Y1 신호등(42)과 G 신호등(44) 점등, 및 G 신호등(44) 점등 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점등 순서가 R 신호등(41) 점등, Y1 신호등(42)과 Y2 신호등(43) 점등, Y1 신호등(42) 점등, Y1 신호등(42)과 G 신호등(44) 점등, 및 G 신호등(44) 점등 순이면, 점등 순서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인식한다(S230).
반면에, 현시 상태 감시부(62)는 점등 순서가 R 신호등(41) 점등, Y1 신호등(42)과 Y2 신호등(43) 점등, Y1 신호등(42) 점등, Y1 신호등(42)과 G 신호등(44) 점등, 및 G 신호등(44) 점등 순이 아니면 점등 순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고(S240), 경고부(70)를 통해 점등 순서가 비정상 상태인을 경고한다(S25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는 전류 센서를 이용하여 철도신호기(40)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철도신호기(40)의 신호현시 단계를 하드웨어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는 철도신호기의 각 신호등과 전류 측정부를 직렬로 연결하여 전류검지 회로의 등별 다중화가 불필요하고, 고장이 발생한 신호등을 선별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는 철도신호기의 신호현시 단계를 벗어나는 오류 현시를 하드웨어적으로 감시함으로써, 열차 충돌 및 탈선 등과 같은 열차 사고에 직결되는 부정신호현시를 즉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출력 제어부 20: 전원부
30: 계전기 31: 제1 계전기
32: 제2 계전기 33: 제3 계전기
34: 제4 계전기 40: 철도신호기
41: R 신호등 42: Y1 신호등
43: Y2 신호등 44: G 신호등
50: 전류 측정부 51: 제1 전류 측정부
52: 제2 전류 측정부 53: 제3 전류 측정부
54: 제4 전류 측정부 60: 고장 감시부
61: 점등 상태 감시부 62: 현시 상태 감시부
70: 경고부

Claims (16)

  1. 철도신호기의 신호등과 각각 연결되어 신호등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신호등을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고장 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측정부는 신호등과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전류 측정부는 신호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중복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등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중복적으로 측정하며,
    상기 전류 측정부는 R 신호등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 측정부; R 신호등 및 Y1 신호등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 측정부; R 신호등, Y1 신호등 및 Y2 신호등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3 전류 측정부; 및 R 신호등, Y1 신호등, Y2 신호등 및 G 신호등을 통해 전류를 측정하는 제4 전류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감시부는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신호등 각각의 점등 상태를 인식하는 점등 상태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 상태 감시부는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신호등 각각의 전류가 기 설정된 신호등 점등 여부 인식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등 각각의 점등 상태를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감시부는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신호등의 점등 순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점등 순서에 따라 신호등의 점등 순서를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현시 상태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시 상태 감시부는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신호등의 점등 순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등의 점등 순서가 기 설정된 설정 순서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등의 점등 순서를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8. 철도신호기에 구비된 R 신호등, Y1 신호등, Y2 신호등 및 G 신호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중복 연결되어 R 신호등, Y1 신호등, Y2 신호등 및 G 신호등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R 신호등, Y1 신호등, Y2 신호등 및 G 신호등 각각의 고장을 검출하는 고장 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측정부는 신호등과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전류 측정부는 R 신호등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 측정부; R 신호등 및 Y1 신호등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 측정부; R 신호등, Y1 신호등 및 Y2 신호등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3 전류 측정부; 및 R 신호등, Y1 신호등, Y2 신호등 및 G 신호등을 통해 전류를 측정하는 제4 전류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감시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전류 측정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R 신호등, Y1 신호등, Y2 신호등 및 G 신호등 각각을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점등 상태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 상태 감시부는 상기 제1 전류 측정부 내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신호등 각각의 전류가 기 설정된 신호등 점등 여부 인식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등 각각을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 상태 감시부는
    상기 제1 전류 측정부 내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의 오차가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이면 R 신호등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상기 제2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초과하고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동일하면 Y1 신호등 및 Y2 신호등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1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제2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0A이고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동일하면 Y2 신호등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1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제2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0A이고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초과하면 Y2 신호등 및 G 신호등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1 전류 측정부 내지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0A이고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초과하면 G 신호등이 점등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 상태 감시부는
    상기 제1 전류 측정부 내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가 아닌 상태,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상기 제2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 이하이고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동일하지 않은 상태, 상기 제1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제2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0A이 아니고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동일하지 않은 상태, 상기 제1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제2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0A이 아니고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 이하인 상태, 및 상기 제1 전류 측정부 내지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0A이 아니고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상기 제3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 이하인 상태이면, R 신호등, Y1 신호등, Y2 신호등 및 G 신호등 중 적어도 하나를 비정상 상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감시부는 상기 제1 전류 측정부 내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신호등의 점등 순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점등 순서에 따라 R 신호등, Y1 신호등, Y2 신호등 및 G 신호등의 점등 순서를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현시 상태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시 상태 감시부는 상기 제1 전류 측정부 내지 상기 제4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통해 신호등 각각의 점등 순서가 기 설정된 설정 순서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등의 점등 순서를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KR1020170091375A 2017-07-19 2017-07-19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KR102034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375A KR102034547B1 (ko) 2017-07-19 2017-07-19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375A KR102034547B1 (ko) 2017-07-19 2017-07-19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864A KR20190009864A (ko) 2019-01-30
KR102034547B1 true KR102034547B1 (ko) 2019-10-22

Family

ID=65276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375A KR102034547B1 (ko) 2017-07-19 2017-07-19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5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686A (ja) 1999-01-29 2000-08-11 Sankosha:Kk Ledを発光源に用いた多灯形色灯信号機の故障検知装置
JP2008090343A (ja) * 2006-09-29 2008-04-17 Sumitomo Electric Ind Ltd 交通信号制御機
JP2008126779A (ja) * 2006-11-18 2008-06-05 Kyosan Electric Mfg Co Ltd 信号灯制御装置
JP2011225162A (ja) 2010-04-22 2011-11-10 Sankosha Co Ltd 多灯型色灯信号機の半断線又は全断線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686A (ja) 1999-01-29 2000-08-11 Sankosha:Kk Ledを発光源に用いた多灯形色灯信号機の故障検知装置
JP2008090343A (ja) * 2006-09-29 2008-04-17 Sumitomo Electric Ind Ltd 交通信号制御機
JP2008126779A (ja) * 2006-11-18 2008-06-05 Kyosan Electric Mfg Co Ltd 信号灯制御装置
JP2011225162A (ja) 2010-04-22 2011-11-10 Sankosha Co Ltd 多灯型色灯信号機の半断線又は全断線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864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2335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US98623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rack circuits
US2008029644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erifying the operation of a railroad gate
CN110281976B (zh) 一种计轴系统
US10124720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forced light up of brake lights
US3838271A (en) Failure detection for highway grade crossing signal systems
KR100756269B1 (ko)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99067B1 (ko) 이상표시 램프를 구비한 교통신호 제어장치의 lsu
KR102034547B1 (ko) 철도신호기 감시 장치
CN102350952B (zh) 汽车安全气囊监控系统、安全气囊监控方法以及汽车
AU2009249806B2 (en) Device for the detection of the occupied or free state of a track section
US20190185034A1 (en) Monitoring system, wayside led signal, and method for monitoring a wayside led signal
EP3067246B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bility of a signal connection
JP4822809B2 (ja) 信号システム
KR101201357B1 (ko) 열차의 이중 도어제어장치
KR100580870B1 (ko) 에이티피 시스템을 이용한 건널목 상태정보 전송장치 및방법
CN212556287U (zh) 铁路对象控制器和铁路对象控制器系统
KR101326551B1 (ko) 방향지시등 오조작 경고장치
AU2015100292A4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bility of a signal connection
KR102026702B1 (ko) 철도신호의 신호검지장치
KR200435597Y1 (ko)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KR102132360B1 (ko) 철도신호기의 오작동 방지장치
KR101318350B1 (ko) 철도차량 신호어김방지장치 및 제어방법
JP5284139B2 (ja) 列車検知装置の故障検知装置
KR200371748Y1 (ko) 에이티피 시스템을 이용한 건널목 상태정보 전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