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885B1 -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885B1
KR102033885B1 KR1020120149294A KR20120149294A KR102033885B1 KR 102033885 B1 KR102033885 B1 KR 102033885B1 KR 1020120149294 A KR1020120149294 A KR 1020120149294A KR 20120149294 A KR20120149294 A KR 20120149294A KR 102033885 B1 KR102033885 B1 KR 102033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frequency
frequency modulated
modulated signal
external system
signal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9996A (ko
Inventor
이정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885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mplitude modu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6Remotely controlled electronic signs other than 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부에서 이용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외부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시스템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의 주파수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영상 출력을 위해 패널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이용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에서 전송되어온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들 각각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의 상호 작용에 의한 노이즈를 분석하여, 노이즈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 공급될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로 선택하기 위한 외부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펄스 주파수 변조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될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 중,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는 양산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 및 대화면 구현의 장점으로 인해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 중,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는 응답속도가 1ms 이하로서 고속의 응답속도를 가지며, 소비 전력이 낮고, 자체 발광이므로 시야각에 문제가 없어서, 차세대 표시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장치에서 다양한 전압 또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법에 적용되는 일실시예 도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이하, 간단히 '표시장치'라 함)는, 영상이 출력되는 패널, 상기 패널로 스캔신호 및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입력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장치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레벨의 전압을 생성한다.
상기 전원공급부에는 PFM Boost 블록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PFM Boost 블록은 주어진 입력전압을 변환(Change)시켜, 다른 전압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PFM boost 블록은, 주파수를 반복 및 변조하여 파워(Power)를 생성하고 있으며, 상기 PFM boost 블럭에는 상기 PFM 신호(PFM Frequency)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 PFM boost 블럭에서 이용되는 상기 PFM 신호는, 펄스 주파수 변조(PFM : Pulse Frequency Modulation) 방식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방식은, 경부하에서 효율설 향상을 위해 DC/DC 전압 컨버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위칭방법이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원공급부는, 표시장치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레벨의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PFM 신호를 이용하고 있으며, 상기 PFM 신호는 펄스 주파수 변조 방식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이다.
종래의 표시장치에서, 상기 PFM 신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생성되는 내부 오실레이터 주파수(Internal Oscillator)를 분할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피클럭(PCLK)을 분할하여 생성되고 있다.
즉, 상기 표시장치의 제조자는, 상기 내부 오실레이터 주파수를 이용하거나, 피클럭(PCLK)을 이용하여 상기 PFM 신호를 생성하고 있다.
상기 내부 오실레이터 주파수를 이용하는 경우, 제조자가 분할 비율을 결정한 후, 파라미터((Parameter)의 벨류(Value)를 선택하면, 상기 PFM 신호(PFM Frequency)에 대한 설정이 완료된다.
상기 피클럭(PCLK)을 이용하는 경우, 제조자가 상기 PCLK의 분할 비율을 결정한 후, 파라미터의 벨류를 선택하면, 상기 PFM 신호에 대한 설정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내부 오실레이터 주파수와 상기 PCLK을 모두 이용하여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상기 PFM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는, 상기 내부 오실레이터 주파수에 대한 설정값(OSC=1)과, 상기 PCLK에 대한 설정값(OSC=0)을 조합하여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상기 PFM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표를 이용하는 경우, 8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상기 PFM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표시장치는, 스마트폰 또는 핸드폰과 같이,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주파수는, 상기 전자제품의 특성에 맞게 설정된 것으로서, 변경되지 않는다.
상기 PFM 신호는 상기 표시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레벨의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고, 상기 무선 주파수는 상기 표시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외부 시스템에서 외부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표시장치에서, 상기 PFM 신호와 상기 무선 주파수가 동시에 이용되는 경우, 전자파 장애(EMI :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와 같은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상기 PFM 신호는 상기 무선 주파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주파수를 갖도록 설정된다.
종래에는, 상기 표시장치의 제조자가 상기 PFM 신호를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파라미터의 벨류들을 수동으로 변경해 가며, 상기 PFM 신호를 설정하였으며, 설정된 PFM 신호와 상기 무선 주파수의 상호 작용에 의한 EMI 등의 노이즈를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한 후, 노이즈가 가장 적게 발생되는 PFM 신호를 상기 표시장치에 설정하였다.
즉, 종래에는 최적화된 PFM 신호가 수동으로 검색되어 설정되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시뮬레이션 등이 요구되었기 때문에, Side effects 검토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부에서 이용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외부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시스템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의 주파수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영상 출력을 위해 패널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이용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에서 전송되어온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들 각각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의 상호 작용에 의한 노이즈를 분석하여, 노이즈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 공급될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로 선택하기 위한 외부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구동방법은, 외부 시스템이, 테스트시작 제어신호를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시스템이,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에서 전송되어온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들 각각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의 상호 작용에 의한 노이즈를 분석하는 단계; 노이즈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가 추출된 경우, 추출된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가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에서 지속적으로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설정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 시스템이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원공급부가, 상기 설정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변조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이 출력되는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부에서 이용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외부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시스템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무선 주파수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노이즈가 최소 또는 적절한 값을 갖도록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노이즈가 최소화된 표시장치가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장치에서 다양한 전압 또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법에 적용되는 일실시예 도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구동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해 노이즈가 개선되는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은, 외부 통신망과의 무선통신에 이용되는 무선신호(RF신호)와, 표시장치에서 이용될 전원의 생성에 이용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Pulse Frequency Modulation 신호)(이하, 간단히 'PFM신호'라 함)가, 최소 또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전자파 장애 노이즈(EM Noise)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은, 상기 PFM신호를 자동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PFM신호를 상기 무선신호와 자동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여, 전자파 장애 노이즈를 최소로 발생시키거나 또는 전자파 장애 노이즈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PFM신호를 선택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선택된 상기 PFM신호는 상기 전원공급부로 공급되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이용될 다양한 구동전압들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이용된다.
본 발명을 통해 선택된 상기 PFM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다양한 구동전압들을 생성하는 과정에 이용된다. 또한, 상기 PFM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가 외부 통신망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때, 상기 무선신호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파 장애(EMI) 노이즈를 최소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출력을 위해 패널(100)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500), 상기 구동부(5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공급부(700), 상기 전원공급부(700)에서 이용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PFM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이하, 간단히 'PFM신호 생성부'라 함)(710)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710)에서 전송되어온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들 각각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의 상호 작용에 의한 노이즈를 분석하여, 노이즈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PFM신호)를,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710)에서 생성되어 상기 전원공급부(700)로 공급될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로 선택하기 위한 외부 시스템(900)을 포함한다.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 및 상기 전원공급부(700)는, 메인보드(600)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시스템(900)은 외부 시스템 보드(800)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메인보드(600)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 등을 통해 상기 패널(100) 및 상기 외부 시스템 보드(800)와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 등을 통해 상기 외부 시스템(9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상기 패널(100)은,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패널이 될 수도 있으며, 액정이 형성되어 있는 액정패널이 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패널(100)은 현재 이용되고 있는 모든 종류의 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도, 유기발광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및 그 이외의 다양한 종류의 표시장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액정표시장치가 본 발명의 일예로서 설명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패널(100)이 액정패널인 경우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상기 패널(100)이 액정패널인 경우, 상기 패널의 하부 유리기판에는, 다수의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 데이터라인들과 교차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교차부들에 형성되는 다수의 TFT들(Thin FilmTransistor), 픽셀에 데이터전압을 충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픽셀전극(화소전극)들 및 픽셀전극과 함께 액정층에 충전된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터치전극이 형성되며,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액정패널(100)의 상부 유리기판에는 블랙매트릭스(BM)와 컬러필터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유리기판과 상기 상부 유리기판 사이에는 액정이 충전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액정패널의 액정모드는, TN 모드, VA 모드, IPS 모드, FFS 모드뿐 아니라 어떠한 종류의 액정모드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등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패널(100)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라인으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 상기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라인으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 및 게이트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0)를 구성하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집적회로(IC)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어온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게이트라인에 스캔신호가 공급되는 1수평기간마다 1수평라인분의 상기 데이터전압을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한다.
즉,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감마전압 발생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감마전압들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데이터라인으로 출력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쉬프트 레지스터부, 래치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AC) 및 출력버퍼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제어신호들(SSC, SSP 등)을 이용하여 샘플링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래치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된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Data)를 래치하고 있다가,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AC)로 동시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는 상기 래치부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영상데이터들을 동시에 정극성 또는 부극성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어온 극성제어신호(POL)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들을 정극성 또는 부극성의 데이터 전압(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들로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는 고준위구동전압(VDD)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출력버퍼는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 전송되어온 정극성 또는 부극성의 데이터전압을,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어온 소스출력인에이블신호(SOE)에 따라, 상기 패널의 데이터라인(DL)들로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어온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를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에 따라 쉬프트시켜, 순차적으로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온 전압(Von)을 갖는 스캔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 즉, 수직동기신호(Vsync), 수평동기신호(H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드라이브 IC(200)들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CS)와 데이터 구동부(300)들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들로 전송될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영상데이터(Input RGB)를 상기 액정패널(100)의 구조 및 특성에 맞게 정렬시켜, 정렬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에는, 데이터 정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타이밍 신호들, 즉, 수직동기신호(Vsync), 수평동기신호(Hsync) 및 데이터인에이블신호(DE) 등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CS)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신호들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에는, 제어신호 생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에서 발생되는 게이트 제어신호(GCS)들로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게이트 스타트신호(VST), 게이트 클럭(GCLK) 등이 있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에서 발생되는 데이터 제어신호들에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소스 쉬프트 클럭신호(SSC), 소스 출력 이네이블 신호(SOE), 극성제어신호(POL) 등이 포함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제어신호들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에서 생성된 PFM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전원공급부(700)는, 상기 구동부(5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한다.
상기 전원공급부(7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가변시키기 위한 PWM(pulsewidth modulation)부, 상기 PWM부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라인으로 출력될 게이트하이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게이트하이전압 생성부, 상기 PWM부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라인으로 출력될 게이트로우전압(VGL)을 생성하기 위한 게이트로우전압 생성부 및 상기 PWM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 공급될 구동전압(VDD)을 생성하기 위한 구동전압 생성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원공급부(700)는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에서 생성된 PFM신호를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구동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공급부(700)는 다양한 종류의 DC/DC 컨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는 상기 전원공급부(700) 또는 상기 구동부(500)에서 이용될 상기 PFM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는, 상기 전원공급부(7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700)는 집적회로(IC)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 역시, 상기 집적회로(IC)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는, 상기 전원공급부(700) 또는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 또는 개별적으로 상기 메인 보드(600)에 형성되어 있는 오실레이터에서 생성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PFM신호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는,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 상기 전원공급부(700) 또는 개별적으로 상기 메인 보드(600)에 형성되어 있는 클럭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피클럭(PCLK)을 이용하여 상기 PFM신호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PFM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는 상기 외부 시스템(900)으로부터, 테스트시작 제어신호 또는 재발송 제어신호가 전송될 때에만,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상기 PFM신호를 자동적으로 생성한다.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는 상기 외부 시스템(900)으로부터, 설정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정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된 PFM신호를, 지속적으로 생성하도록 셋팅된다.
이를 위해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와 상기 외부 시스템(900)에는 통신인터페이스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PFM신호가 셋팅되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가 구동되면,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는, 상기 PFM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원공급부(700) 또는 상기 구동부(500)로 전송한다.
즉,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는,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에서 생성 가능한 모든 PFM신호를, 상기 테스트시작 제어신호 및 상기 재발송 제어신호에 따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시스템(900)으로 전송하며, 상기 외부 시스템(900)이 상기 PFM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최종적으로 선택하면, 최종적으로 선택된 PFM신호만을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면,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는 상기에서 최종적으로 선택된 PFM신호만을 생성하여, 상기 전원공급부(700) 또는 상기 구동부(500)로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외부 시스템(900)은,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710)에서 전송되어온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들 각각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의 상호 작용에 의한 노이즈를 분석하여, 노이즈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PFM신호)를,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710)에서 생성되어 상기 전원공급부(700)로 공급될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로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스마트폰 또는 핸드폰, 테블릿PC 등과 같이,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스마트폰을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가 스마트폰인 경우, 상기 외부 시스템(900)은, 외부 통신망과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메인 칩이 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칩으로 동작하는 상기 외부 시스템(900)은 상기 패널에서 표시될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입력영상데이터를 상기 구동부(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외부 시스템(900)은 스마트폰의 실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으며, 영상 출력과 관련된 입력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5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700),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 상기 구동부(500) 및 상기 패널(100)은, 상기 입력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패널(100)로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외부 시스템(900)은, 상기 테스트시작 제어신호, 재발송 제어신호 및 설정 제어신호를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로 전송하며,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에서 전송되어온 PFM신호 및 상기 외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 간의 전자파 장애(EMI) 노이즈를 분석한다.
상기 외부 시스템(900)은 상기 PFM신호들 중, 상기 전자파 장애(EMI) 노이즈를 최소로 만들거나, 또는 상기 전자파 장애 노이즈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PFM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PFM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설정 제어신호를 상기 PFM신호 생성부(7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구동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해 노이즈가 개선되는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a)는 노이즈가 개선되기 전의 저주파 대역과 고주파 대역을 나타낸 것이며, (b)는 노이즈가 개선된 이후의 저주파 대역과 고주파 대역을 나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구동방법은, 상기 외부 시스템(900)이, 테스트시작 제어신호를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710)로 전송하는 단계(S402), 상기 외부 시스템(900)이,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710)에서 전송되어온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들 각각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의 상호 작용에 의한 노이즈를 분석하는 단계(S404); 노이즈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가 추출된 경우, 추출된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가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710)에서 지속적으로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설정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 시스템(900)이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710)로 전송하는 단계(S406); 및 상기 전원공급부(700)가, 상기 설정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710)에서 생성된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이 출력되는 상기 패널(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S408)를 포함한다.
상기 노이즈를 분석하는 단계(S404)는, 다시, 다음과 같이 세분화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이즈를 분석하는 단계(S404)는, 첫째, 상기 테스트지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710)이 어느 하나의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둘째, 상기 외부 시스템(900)이,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와 상기 무선신호의 상호작용에 의한 노이즈를 분석하는 단계, 셋째, 상기 설정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까지, 상기 외부 시스템(900)이 또 다른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들에 대하여 상기 노이즈를 분석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또 다른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들에 의해 상기 노이즈를 분석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는, 다시, 상기 노이즈 분석결과, 상기 노이즈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 시스템이,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로 재발송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가 상기 재발송 제어신호에 따라 또 다른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시스템이 상기 또 다른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와, 상기 무선신호의 상호작용에 의한 노이즈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노이즈 분석 결과, 상기 노이즈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 시스템이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로 상기 재발송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파 장애 노이즈(EM Noise)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5의 (a) 및 (b)에서 그래프 내부에 가로로 형성된 줄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허용될 수 있는 노이즈의 기 설정된 범위를 표시한다고 할 때, 본 발명의 적용 전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노이즈들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 후에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노이즈들이 적게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액정패널 500 : 구동부
700 : 전원공급부 710 : PFM신호 생성부
900 : 외부 시스템 600 : 메인보드
800 : 외부 시스템 보드

Claims (10)

  1. 영상 출력을 위해 패널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테스트시작 제어신호 및 설정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이용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에서 전송되어온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들 각각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의 상호 작용에 의한 노이즈를 분석하여, 노이즈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가 추출된 경우 상기 추출된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가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에서 지속적으로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설정 제어신호를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로 전송하는 위한 외부 시스템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테스트시작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재발송 제어신호에 따라, 또 다른 주파수를 갖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설정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설정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된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상기 전원공급부로 공급될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시스템은,
    테스트시작 제어신호를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로 전송한 후에,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들 중에서, 상기 무선신호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노이즈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상기 전원공급부로 공급될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로 설정하도록 하는 설정 제어신호를,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시스템은,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로부터 전송되어온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로 재발송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재발송 제어신호에 따라, 또 다른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상기 설정 제어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외부 시스템이, 테스트시작 제어신호를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시스템이,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에서 전송되어온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들 각각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의 상호 작용에 의한 노이즈를 분석하는 단계;
    노이즈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가 추출된 경우, 추출된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가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에서 지속적으로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설정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 시스템이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원공급부가, 상기 설정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이 출력되는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구동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시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가 어느 하나의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시스템이,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와 상기 무선신호의 상호작용에 의한 노이즈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까지, 상기 외부 시스템이 또 다른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들에 대하여 상기 노이즈를 분석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구동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들에 의해 상기 노이즈를 분석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는,
    상기 노이즈 분석결과, 상기 노이즈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 시스템이,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로 재발송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가 상기 재발송 제어신호에 따라 또 다른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시스템이 상기 또 다른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와, 상기 무선신호의 상호작용에 의한 노이즈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노이즈 분석 결과, 상기 노이즈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 시스템이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로 상기 재발송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구동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시스템이, 상기 노이즈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시스템에 의해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로 전송된 재발송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에서 전송되어온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구동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구동부가, 상기 설정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이 출력되는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구동방법.
KR1020120149294A 2012-12-20 2012-12-20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33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294A KR102033885B1 (ko) 2012-12-20 2012-12-20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294A KR102033885B1 (ko) 2012-12-20 2012-12-20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996A KR20140079996A (ko) 2014-06-30
KR102033885B1 true KR102033885B1 (ko) 2019-10-17

Family

ID=5113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294A KR102033885B1 (ko) 2012-12-20 2012-12-20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8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314B1 (ko) * 2015-10-01 2022-08-12 티씨엘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817B1 (ko) * 2002-12-12 2009-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전원공급방법 및 장치
KR101276663B1 (ko) * 2007-02-28 2013-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구동회로부
KR101394432B1 (ko) * 2007-09-12 2014-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90125915A (ko) * 2008-06-03 2009-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195434B1 (ko) * 2011-01-31 2012-10-30 국방과학연구소 스펙트럼 스캔 기반 자동 주파수 변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996A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10752B (zh) 伽马电压调整方法及伽马电压调整系统
CN100511378C (zh) 背光驱动装置和使用其驱动背光的方法
CN102568413B (zh) 液晶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CN102572444B (zh) 对同步信号的同步方法和电路、背光驱动器及其驱动方法
CN103578443A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4680984A (zh) 背光单元和使用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器
US839564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2456335B (zh) 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2012013362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3460162A (zh) 电子设备和电子设备的控制方法
KR20140079084A (ko)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653006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소비전력 저감방법
KR20150078855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08133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625819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070205975A1 (en) Test system for tes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method thereof
KR2014008110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0777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33885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40082488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43625B1 (ko) 주파수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N102903720B (zh) 一种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其液晶显示装置
KR101735398B1 (ko)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78886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04851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