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543B1 - 위루관 - Google Patents

위루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543B1
KR102033543B1 KR1020180098657A KR20180098657A KR102033543B1 KR 102033543 B1 KR102033543 B1 KR 102033543B1 KR 1020180098657 A KR1020180098657 A KR 1020180098657A KR 20180098657 A KR20180098657 A KR 20180098657A KR 102033543 B1 KR102033543 B1 KR 102033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ire
fluid
tubular body
gastric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훈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8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15Gastrostomy feeding-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3Means for fixing the tube inside the body, e.g. balloons, retai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53Means for fixing the tube outside of the body, e.g. by a special shape, by fixing it to the skin
    • A61J15/0061Means for fixing the tube outside of the body, e.g. by a special shape, by fixing it to the skin fixing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n the tube, i.e. tube protruding the fix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루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 음식 섭취가 어려워 장기간 관을 통해 음식 섭취가 필요한 환자의 신체에 시술하여 음식물 투여 섭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위루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루관{GASTROSTOMY TUBE}
본 발명은 위루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 음식 섭취가 어려워 장기간 관을 통해 음식 섭취가 필요한 환자의 신체에 시술하여 음식물 투여 섭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위루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루관(GASTROSTOMY TUBE)은 연하곤란 환자 또는 약물로 치료가 안되고 폐 흡인이 자주 동반되는 위 식도 역류 환자 또는 식도 폐쇄증 환자 등 구강 음식 섭취가 어려워 장기간 관을 통해 음식 섭취가 필요한 환자에서 시술하여 음식물 투여 섭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체(11)를 말한다.
예컨대, 식도가 막혔을 때는 식도를 통하여 음식물을 섭취하지 못하기 때문에 식도가 막힌 환자의 위 내부로 음식물을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위루관을 시술하여 필요한 음식물을 섭취하게 된다.
특히, 위루관은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입으로 먹거나 마시는 것을 하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는데, 아이가 잘 빨거나 삼키지 못할 때, 혹은 만성적인 질병을 앓고 있을 때 음식물과 유동식, 그리고 칼로리 섭취를 하도록 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또한 위루관은 경구 섭취장애와 동반되는 숨막힘(Choking)과 흡인(Aspiration)을 줄여준다(흡인이란 음식물과 유동식이 폐로 넘어가는 것이며, 이는 폐렴과 만성적인 폐 손상의 원인이 되며 이것이 반복되는 경우는 아기에게 치명적).
이러한 문제들을 가진 아이들에게 위루를 통한 영양섭취는 아이의 성장과, 치유 그리고 발달에 도움을 준다.
상기한 위루관은 자체 형상 유지력을 갖는 경질재로 이루어지고 전방으로 음식물이 공급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을 갖고 꼬리형상과 같이 꾜여지게 형성된 도관과, 상기한 도관의 끝단부에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이 도관으로 음식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위루관이 위벽에 시술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위벽과 복벽에 구멍을 각각 형성하고, 위루관의 도관에 일정한 크기의 힘을 가하여 일자형상으로 펴준 상태에서 상기한 구멍으로 삽입하여, 도관이 일정한 길이만큼 위 내부로 삽입한 후 도관에 가한 힘을 해제하면 도관의 자체 형상 유지력에 의하여 위 내부에서 꼬여진 상태로 되며, 복벽의 외부에 위치한 도관에 끈을 연결하고 상기한 끈을 복벽에 고정하여 도관을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위루관의 도관이 자체 형상 유지력을 갖는 경질재로 이루어지고 전방으로 음식물이 공급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을 갖고 꼬리형상과 같이 꼬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관이 삽입되는 위벽에 심한 거부감을 주게 되고, 도관이 삽입되는 위벽 또는 복벽의 구멍에 간극이 발생되므로 위벽 또는 복벽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위루관의 시술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루관의 도관이 위벽 또는 복벽의 고정된 부위의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위루관이 위벽 또는 복벽의 구멍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최근 사용되는 위루관으로는 Malecot 위루와 Balloon 위루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상기 Malecot 위루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텍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위 속에서 작은 열린 바구니 같은 모양의 부드러운 벌브가 있다. 상기 벌브는 튜브가 제 자리에 있도록 도와주며 이러한 벌브와 바구니모양의 구조는 위 속에서 뻑뻑한 액체가 쉽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나, 잡아당기면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간이 경과 하거나 환자의 유동에 의해 천공부위와 유격이 발생하고 이러한 유격진 부분으로 위액이나 투여된 음식물이 흘러나와 피부를 손상시키거나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Balloon 위루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선단이 위 속에 위치한 상태에서 벌룬에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려 위벽에 고정시키고, 외부의 고정디스크를 복부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Balloon 위루 역시 시간이 경과 하거나 환자의 유동에 의해 천공부위와 유격이 발생하고 이러한 유격진 부분으로 위액이나 투여된 음식물이 흘러나와 피부를 손상시키거나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위루관과 관련된 선행 문헌의 예는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25758호(명칭 : 위루관)
문헌 2 :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9901호(명칭 : 위루튜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구강 음식 섭취가 어려워 장기간 관을 통해 음식 섭취가 필요한 환자의 신체에 시술하여 음식물 투여 섭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위루관이 위벽에 견고히 밀착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쉽게 탈리되지 않도록 하며, 위 내부로의 삽입 및 인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 개선된 위루관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복벽과 위벽을 관통하여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음식물의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관체(11); 상기 관체(11)의 선단 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결부위(12a)와 비절결부위(12b)로 이루어져, 관체(11) 선단이 타측 방향으로 끌어 당겨졌을 때, 비절결부위(12b) 중간 부분이 접히면서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체내고정부(12); 상기 비절결부위(12b)의 위벽과 대응되는 면 부분에 고정되어, 유체가 주입되면 팽창하여 위벽에 대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천공부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부(13); 상기 관체(11)의 타측 방향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체내고정부(12)가 위벽에 작용하는 상태에서 복벽 외부에 대해 가압하여 고정력을 제공하는 체외고정부(14); 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관체(11) 선단부의 밀폐된 내측 단에 와이어(W)의 일측 단이 연결되고, 와이어(W) 타측 단은 관체(11) 타측으로 연장되어 권취수단(15)에 의해 권취되면서 상기 관체(11) 선단부를 끌어 당겨 체내고정부를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관체(11) 선단부의 밀폐된 내측 단에 와이어(W)의 일측 단이 연결되고, 와이어(W) 타측 단은 관체(11)와 체내고정부(12) 경계의 내측 부분에 연결되어, 와이어(W)의 묶음에 의해 상기 관체(11) 선단부가 타측 방향으로 끌어 당겨져 체내고정부(12)를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체내고정부(12)는 관체(11)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절결부위(12a); 상기 절결부위(12a) 사이에 로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밀유지부(13)가 고정되는 면을 제공하는 비절결부위(12b);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비절결부위(12b)의 내측 중간은 절곡을 유도하는 절곡홈 또는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기밀유지부(13)는 유체의 주입에 의해 팽창하면서 체내고정부(12)를 구성하는 절결부위(12a)를 벌리면서 비절결부위(12b)가 방사상으로 펼쳐지면서 확장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기밀유지부(13)는 수축 시 체내고정부(12) 측으로 밀착되고, 유체 주입 시 원형 튜브 형태로 팽창하도록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체외고정부(14)는 관체(11) 중 착용자의 복벽 외측 외주면에 마찰력을 가지며 마련되어, 슬라이드 위치에 따라 복벽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 또는 해제하는 고정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권취수단(15)은 관체(11)의 타측 단 외부면에 고정되어, 회전을 통해 와이어(W)의 선단을 끌어당겨 권취하거나, 버튼 조작에 의해 권취된 와이어(W)를 언코일시키는 보아 다이얼(Boa dia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복벽과 위벽을 관통하여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음식물의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관체(11)의 체내 선단 부분에 체내고정부(12)와 기밀유지부(13)를 복합적으로 마련하여, 유체가 주입되면 상기 기밀유지부(13)가 팽창하여 위벽에 대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천공부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관체(11)의 선단 부분이 와이어(W)에 의해 타측(외측) 방향으로 끌어 당겨졌을 때, 상기 체내고정부(12)가 방사상으로 확장하면서 기밀유지부(13)를 위벽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기밀유지부(13)의 형체를 견고히 유지시킴으로써, 위루관(10)이 위를 포함한 신체 외부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상기 체내고정부(12)가 방사상으로 확장하면서 기밀유지부(13)를 위벽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기밀유지부(13)가 위벽에 형성된 천공부의 기밀을 견고히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권취수단(15)인 보아 다이얼이 회전을 통해 와이어(W)의 선단을 끌어당겨 권취하거나, 버튼 조작에 의해 권취된 와이어(W)를 언코일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W)의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위루관(10) 전체의 신체에 대한 장착 및 탈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체(11) 선단부의 밀폐된 내측 단에 와이어(W)의 일측 단을 연결시키고, 와이어(W) 타측 단은 관체(11)와 체내고정부(12) 경계의 내측 부분에 연결시켜, 상기 와이어(W)의 묶음에 의해 상기 관체(11) 선단부가 타측 방향으로 끌어 당겨져 체내고정부(12)를 확장시키고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W)가 관체(11) 내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위루관(10)이 신체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위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밀유지부(13) 내부로 유체가 주입/배출되는 유체경로(11a)를 관체(11)의 내경 또는 외경에 마련함으로써, 음식물 투여경로와 유체 주입경로가 구분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음식물 투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W)가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 유도경로(11b)를 관체(11)의 내경에 마련함으로써, 투여되는 음식물이 와이어(W)에 잔류하여 변질되는 것을 방지 내지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음식물 투여가 더욱더 위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절결부위(12b)의 내측 중간 부분에 절곡홈(12c) 또는 슬릿을 형성하여, 상기 절곡홈(12c) 또는 슬릿 부분에서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이를 중심으로 비절결부위(12b)가 수직에 가깝게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밀유지부(13)에 대한 정확한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위루관의 예를 도시한 사진
도 2는 종래 위루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이 위벽과 복부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위루관(10)은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벽과 위벽을 관통하여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음식물의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관체(11); 상기 관체(11)의 선단 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결부위(12a)와 비절결부위(12b)(12b)로 이루어져, 관체(11) 선단이 타측 방향으로 끌어 당겨졌을 때, 비절결부위(12b) 중간 부분이 접히면서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체내고정부(12); 상기 비절결부위(12b)의 위벽과 대응되는 면 부분에 고정되어, 유체가 주입되면 팽창하여 위벽에 대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위벽 천공부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부(13); 상기 관체(11)의 타측 방향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체내고정부(12)가 위벽에 작용하는 상태에서 복벽 외부에 대해 가압하여 고정력을 제공하는 체외고정부(14);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관체(11)는 유연성 튜브일 수 있으며, 일측 선단부가 밀폐된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관체(11)의 타측 단에는 음식물 투여 부위와 투여를 단속하는 밸브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체(11) 선단부의 밀폐된 내측 단에는 와이어(W)의 일측 단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W) 타측 단은 관체(11) 타측으로 연장 인출된 것일 수 있으며(도3 참조), 상기 관체(11) 타측 단에 마련되는 권취수단(15)에 의해 권취되면서 상기 관체(11)의 선단 부분을 끌어당겨 체내고정부(12)를 확장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체(11) 선단부의 밀폐된 내측 단에 와이어(W)의 일측 단이 연결되고 와이어(W) 타측 단은 관체(11)와 체내고정부(12)의 경계 부분에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도 4 참조), 상기 와이어(W)의 묶음에 의해 상기 체내고정부(12)를 끌어당겨 확장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체(11)는 기밀유지부(13) 내부로 유체가 주입/배출되는 유체경로가 내경 또는 외경에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체(11)는 와이어(W)가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 유도경로(11b)가 내경에 마련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체내고정부(12)는 관체(11)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절결부위(12a); 상기 절결부위(12a) 사이에 로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밀유지부(13)가 고정되는 면을 제공하는 비절결부위(12b);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절결부위(12b)의 내측 중간은 절곡을 유도하는 절곡홈(12c) 또는 슬릿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기밀유지부(13)는 체내고정부(12)가 절곡된 후 위벽에 대응되는 외부면에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는 튜브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밀유지부(13)는 체내고정부(12)에 열 융착 또는 접착을 통해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유지부(13)는 유체의 주입에 의해 팽창하면서 체내고정부(12)를 구성하는 절결부위(12a)를 벌리면서 비절결부위(12b)가 방사상으로 펼쳐지면서 확장되도록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유지부(13)는 수축 시 체내고정부(12) 측으로 밀착되고, 유체 주입 시 원형 튜브 형태로 팽창하도록 성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유지부(13)는 관체(11)를 따라 형성된 유체경로의 선단과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체외고정부(14)는 관체(11) 중 착용자의 복벽 외측 외주면에 마찰력을 가지며 마련되어, 슬라이드 위치에 따라 복벽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 또는 해제하는 고정수단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체외고정부(14)는 원형의 실리콘 블록 또는 링이거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원형 판체인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구조 개선된 위루관(10)으로서, 복벽과 위벽을 관통하여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음식물의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관체(11)의 체내 선단 부분에 체내고정부(12)와 기밀유지부(13)를 복합적으로 마련하여, 유체가 주입되면 상기 기밀유지부(13)가 팽창하여 위벽에 대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천공부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관체(11)의 선단 부분이 와이어(W)에 의해 타측(외측) 방향으로 끌어 당겨졌을 때, 상기 체내고정부(12)가 방사상으로 확장하면서 기밀유지부(13)를 위벽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기밀유지부(13)의 형체를 견고히 유지시킴으로써, 위루관(10)이 위를 포함한 신체 외부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체(11)는 유연성 튜브로서, 일측 선단부가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되면, 상기 와이어(W)의 일측 단이 고정될 부위(도 3 및 도 4 참조)를 제공할 수도 있고, 별도의 도구(예 : 갈고리)를 인입시켜 끌어당길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관체(11)의 타측 단에는 음식물 투여 부위와 투여를 단속하는 밸브가 연결되어, 음식물이 일정량 만큼씩 투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체(11) 선단부의 밀폐된 내측 단에는 와이어(W)의 일측 단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W) 타측 단은 관체(11) 타측으로 연장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도3 참조),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상기 관체(11) 타측 단에 마련되는 권취수단(15)에 의해 와이어(W)가 권취되면, 상기 관체(11)의 선단 부분이 끌어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체내고정부(12)가 확장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와이어(W)의 타측 단이 외부로 인출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도구를 관체(11) 내부로 인입시켜 와이어(W)를 끌어당기지 않고, 손쉽게 인출된 와이어(W) 선단을 끌어당겨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관체(11) 선단부의 밀폐된 내측 단에 와이어(W)의 일측 단이 연결되고 와이어(W) 타측 단이 관체(11)와 체내고정부(12)의 경계 부분에 연결 고정되는 것도 바람직한데(도 4 참조), 별도의 도구를 관체(11) 내로 인입시켜 상기 와이어(W)를 묶음으로써, 상기 관체(11)의 선단 부분이 끌어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체내고정부(12)가 확장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체(11) 선단부의 밀폐된 내측 단에 와이어(W)의 일측 단을 연결시키고, 와이어(W) 타측 단은 관체(11)와 체내고정부(12) 경계의 내측 부분에 연결시켜, 상기 와이어(W)의 묶음에 의해 상기 관체(11) 선단부가 타측 방향으로 끌어 당겨져 체내고정부(12)를 확장시키고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W)가 관체(11) 내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위루관(10)이 신체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위생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관체(11)는 기밀유지부(13) 내부로 유체가 주입/배출되는 유체경로(11a)가 내경 또는 외경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유체 예컨대, 공기가 주입되면 이를 기밀유지부(13)로 유도하여, 상기 기밀유지부(13)가 공기 충진에 의해 팽창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기밀유지부(13) 내부로 유체가 주입/배출되는 유체경로(11a)를 관체(11)의 내경 또는 외경에 마련함으로써, 음식물 투여경로와 유체 주입경로가 구분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음식물 투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체(11)에는 와이어(W)가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 유도경로(11b)가 내경에 마련되어, 음식물 투여경로와 유체 주입경로가 구분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음식물 투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체내고정부(12)는 관체(11)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절결부위(12a); 상기 절결부위(12a) 사이에 로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밀유지부(13)가 고정되는 면을 제공하는 비절결부위(12b);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에서, 절결부위(12a)는 방사상으로 확장시 벌어지면서 음식물이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하게 되고, 비절결부위(12b)는 방사상으로 확장되면서 위벽을 압박할 수 있는 면적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상기 체내고정부(12)가 방사상으로 확장하면서 기밀유지부(13)를 위벽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기밀유지부(13)가 위벽에 형성된 천공부의 기밀을 견고히 유지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비절결부위(12b)의 내측 중간은 절곡을 유도하는 절곡홈(12c) 또는 슬릿이 형성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비절결부위(12b)의 내측 중간 부분에 절곡홈(12c) 또는 슬릿이 형성될 경우, 정확한 위치에서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수직에 가깝게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밀유지부(13)에 대한 정확한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기밀유지부(13)는 체내고정부(12)가 절곡된 후 위벽에 대응되는 외부면에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는 튜브로서, 상기 체내고정부(12)에 열 융착 또는 접착을 통해 고정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기밀유지부(13)는 유체의 주입에 의해 팽창하면서 체내고정부(12)를 구성하는 절결부위(12a)를 벌리면서 비절결부위(12b)가 방사상으로 펼쳐져 확장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것에 의해서 와이어(W) 없이도 체내고정부(12)를 자동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기밀유지부(13)가 수축 시 체내고정부(12) 측으로 밀착되고, 유체 주입 시 원형 튜브 형태로 팽창하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체외고정부(14)는 관체(11) 중 착용자의 복벽 외측 외주면에 마찰력을 가지며 마련되어, 슬라이드 위치에 따라 복벽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 또는 해제하는 고정수단으로서, 원형의 실리콘 블록 또는 링이거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원형 판체를 실시예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벽에 가압력을 제공하면서 그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체이면 만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위루관(10)의 사용 상태를 도 4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루관(10) 선단부를 복부와 위벽을 관통하여 위 내부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밀유지부(13) 내부로 유체를 주입하여 팽창시키고, 상기 와이어(W)를 끌어당겨 체내고정부(12)를 확장시켜, 상기 기밀유지부(13)를 위벽에 견고히 가압 밀착시키거나, 상기 위루관(10) 선단부를 복부와 위벽을 관통하여 위 내부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W)를 끌어당겨 체내고정부(12)를 확장시키고, 상기 기밀유지부(13) 내부로 유체를 주입하여 팽창시켜, 상기 기밀유지부(13)가 위벽에 견고히 가압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와이어(W)가 관체(11) 선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끌어당길 수도 있으나,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W)가 관체(11) 선단에 고정되지 않고 별도의 걸고리를 인입시켜 관체(11) 선단부를 끌어 당기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상기 기밀유지부(13)가 위벽에 견고히 밀착되면,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부 외부에 위치한 관체(11) 외경에 끼워진 체외고정부(14)를 슬라이드시켜 복부 외면(복벽)에 밀착시킨 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밀유지부(13)와 체외고정부(14) 사이에 위벽과 복부가 위치하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기밀유지부(13)와 체외고정부(14)의 가압력에 의해 관체(11)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위루관(10)이 고정되면, 상기 관체(11)를 통해 음식물을 투여하거나 약물을 투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권취수단(15)과 관련하여서는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체(11)의 타측 단 외부면에 고정되어, 회전을 통해 와이어(W)의 선단을 끌어당겨 권취하거나, 버튼 조작에 의해 권취된 와이어(W)를 언코일시키는 보아 다이얼을 적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보아 다이얼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가 권취되는 다이얼이 본체에 스프링 탄성에 의해 반발하면서 축설되고, 반발위치에 일방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권취수단(15)인 보아 다이얼이 회전을 통해 와이어(W)의 선단을 끌어당겨 권취하거나, 버튼 조작에 의해 권취된 와이어(W)를 언코일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W)의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위루관(10) 전체의 신체에 대한 장착 및 탈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위루관 11 : 관체
11a : 유체경로 11b : 와이어 유도경로
12 : 체내고정부 12a : 절결부위
12b : 비절결부위 12c : 절곡홈
13 : 기밀유지부 14 : 체외고정부
15 : 권취수단 W : 와이어

Claims (16)

  1. 복벽과 위벽을 관통하여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음식물의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관체;
    상기 관체의 선단 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결부위와 비절결부위로 이루어져, 관체 선단이 타측 방향으로 끌어 당겨졌을 때, 비절결부위 중간 부분이 접히면서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체내고정부;
    상기 비절결부위의 위벽과 대응되는 면 부분에 고정되어, 유체가 주입되면 팽창하여 위벽에 대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천공부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부;
    상기 관체의 타측 방향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체내고정부가 위벽에 작용하는 상태에서 복벽 외부에 대해 가압하여 고정력을 제공하는 체외고정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으로,
    상기 관체는 와이어를 권취수단 방향으로 유도하는 와이어 유도경로가 내경에 마련되고,
    상기 권취수단은 관체의 타측 단 외부면에 고정되어, 회전을 통해 와이어의 선단을 끌어당겨 권취하거나 버튼 조작에 의해 권취된 와이어를 언코일시키는 보아 다이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위루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일측 선단부가 밀폐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위루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선단부가 밀폐되고, 선단부의 밀폐된 내측 단에 와이어의 일측 단이 연결되고, 와이어 타측 단은 관체 타측으로 연장되어 권취수단에 의해 권취되면서 상기 체내고정부를 끌어 당겨 확장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위루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선단부가 밀폐되고, 선단부의 밀폐된 내측 단에 와이어의 일측 단이 연결되고, 와이어 타측 단은 관체와 체내고정부 경계의 내측 부분에 연결되어, 와이어의 묶음에 의해 상기 관체 선단부가 타측 방향으로 끌어 당겨져 체내고정부를 확장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위루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기밀유지부 내부로 유체가 주입/배출되는 유체경로가 내경 또는 외경에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위루관.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내고정부는,
    관체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절결부위;
    상기 절결부위 사이에 로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밀유지부가 고정되는 면을 제공하는 비절결부위;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위루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비절결부위의 내측 중간은 절곡을 유도하는 절곡홈 또는 슬릿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위루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지부는,
    체내고정부가 절곡된 후 위벽에 대응되는 외부면에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는 튜브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위루관.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지부는,
    체내고정부에 열 융착 또는 접착을 통해 고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위루관.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지부는,
    유체의 주입에 의해 팽창하면서 체내고정부를 구성하는 절결부위를 벌리면서 비절결부위가 방사상으로 펼쳐지면서 확장되도록 유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위루관.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지부는,
    수축 시 체내고정부 측으로 밀착되고, 유체 주입 시 원형 튜브 형태로 팽창하도록 성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위루관.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지부는,
    관체를 따라 형성된 유체경로의 선단과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위루관.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외고정부는,
    관체 중 착용자의 복벽 외측 외주면에 마찰력을 가지며 마련되어, 슬라이드 위치에 따라 복벽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 또는 해제하는 고정수단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위루관.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외고정부는,
    원형의 실리콘 블록 또는 링이거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원형 판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위루관.
  16. 삭제
KR1020180098657A 2018-08-23 2018-08-23 위루관 KR102033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657A KR102033543B1 (ko) 2018-08-23 2018-08-23 위루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657A KR102033543B1 (ko) 2018-08-23 2018-08-23 위루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543B1 true KR102033543B1 (ko) 2019-10-17

Family

ID=6842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657A KR102033543B1 (ko) 2018-08-23 2018-08-23 위루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5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0953A (en) * 1987-07-27 1989-07-25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Gastrostomy valve
KR20000025758A (ko) * 1998-10-14 2000-05-06 권병두 위루관
JP2011067251A (ja) * 2009-09-24 2011-04-07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臓器固定具および胃瘻カテーテルセ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0953A (en) * 1987-07-27 1989-07-25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Gastrostomy valve
KR20000025758A (ko) * 1998-10-14 2000-05-06 권병두 위루관
JP2011067251A (ja) * 2009-09-24 2011-04-07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臓器固定具および胃瘻カテーテルセ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2519A (en) Apparatus for placing a feeding tube in the stomach of the human or animal body
US7896848B2 (en) Ostomy tube device, ostomy placement kit and method for an ostomy tube placement
US8048062B2 (en) Catheter assembly and method for internally anchoring a catheter in a patient
JP5184512B2 (ja) 供給デバイスおよびボルスタ装置、ならびにその作成方法
US5037387A (en) Method of positioning an enteral feeding tube within a patient's body
US5248302A (en) Percutaneous obturatable internal anchoring device
CA2056085C (en) Package for initial placement of low profile gastrostomy device and method of placement
US4182342A (en) Naso-gastric feeding device and method of inserting same
JPS6323651A (ja) 内臓アンカー
JPH04303461A (ja) 胃瘻形成管
JP2003511161A (ja) ポリウレタン栄養補給管及び関連アダプター
US9078997B2 (en) Catheter assembly including coiled internal bolster
JPH10211259A (ja) 空腸用供給チューブ
US6960199B2 (en) Method for feeding with a tube
US20150182239A1 (en) Endoscopic fixation of a medical device using mucosal capture
US5100384A (en) Method and device for percutaneous intubation
JP5907746B2 (ja) ロープロファイルg−jフィーディング装置
WO2003049800A1 (fr) Trousse catheter pour ulcere gastrique
US20060229566A1 (en) Anticontamination cover
WO2019201095A1 (zh) 中消化道植入管道器械及其快速植入方法
EP0853937B1 (en) Gastrostomy tube device for enteral nutrition
KR102033543B1 (ko) 위루관
JP2021522047A (ja) 胃瘻管用のガイドワイヤ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US10537457B2 (en) Device for inserting an inflatable balloon
JP2003180840A (ja) 感染防止胃瘻造設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