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971B1 - Built-in type umbrella storage in vehicle - Google Patents

Built-in type umbrella storage in vehicle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971B1
KR102031971B1 KR1020180133665A KR20180133665A KR102031971B1 KR 102031971 B1 KR102031971 B1 KR 102031971B1 KR 1020180133665 A KR1020180133665 A KR 1020180133665A KR 20180133665 A KR20180133665 A KR 20180133665A KR 102031971 B1 KR102031971 B1 KR 102031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mbrella
storage space
vehic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6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진규
최철진
Original Assignee
송진규
최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규, 최철진 filed Critical 송진규
Priority to KR1020180133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9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971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2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at the sides, e.g. on running-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type umbrella storage in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built-in type umbrella storage in a vehicle, wherein a rectangular storage space opened outwards is formed in an outer panel of a side sill of a vehicle, and a door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nd operates by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door. Therefore, an umbrella can be stably stored.

Description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BUILT-IN TYPE UMBRELLA STORAGE IN VEHICLE}Car built-in umbrella storage device {BUILT-IN TYPE UMBRELLA STORAGE IN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사이드 실의 아웃패널 내부에 외측으로 개방된 장방형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자동차 도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도어를 구비하여 우산을 안정적으로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mounted umbrella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rectangular storage space open to the outside inside the outer panel of the side seal of the vehicle, and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nd in conjunction with the car do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built-in umbrella storage device capable of stably storing and storing an umbrella by operating a door.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에 장착된 엔진을 동력원으로 노상을 주행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장치로서, 영업용뿐만 아니라 개인용으로 가정 주부나 학생 등에게 까지 보급되어 거의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현대인들의 필수품 중 하나이다.In general, a car is a device that transports people or cargo by driving a roadbed using an engine mounted on a vehicle body as a power source. Among automobiles, it is widely used to housewives and students, not only for business, but also for personal use. One.

이러한 자동차는 탑승자의 편의성 증진 차원에서 끊임없이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주행시뿐만 아니라 주정차 후 탑승자가 승·하차시에도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우산 보관장치(함)를 들 수 있다. Such vehicles have been constantly developed in order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provide convenience not only at the time of driving but also when the passenger gets on and off after stopping. One of them is an umbrella storage device.

자동차에 설치된 우산 보관장치의 일례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18632호(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2094호(이하, 선행문헌2'라 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6474호(이하, '선행문헌3'이라 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3365호(이하, '선행문헌4'라 함) 등에서 제안되었다. An example of an umbrella storage device installed in a car is Korean Utility Model Utility Model No. 20-1998-0186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ceding Document 1'), and Korean Utility Model Utility Model No. 20-1998-00209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6647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3'),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336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4').

상기한 선행문헌1 내지 4에서 제안된 우산 보관장치들은 자동차 도어의 내측에 우산 보관장치(보관함)를 설치하여 우산을 보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제안하였으나, 우산 보관장치가 실내에 설치됨에 따라 젖은 우산에서 흘러나오는 물로 인해 자동차 실내가 젖어 실내를 오염시키는 등 위생적인 문제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우산 보관장치로 배출된 물을 별도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Umbrella storage devices proposed in the above-described prior documents 1 to 4 proposed a technique for storing an umbrella by installing an umbrella storage device (storage) on the inside of the car door, wet umbrella as the umbrella storage device is installed indoors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car was not only causing hygiene problems such as contaminating the interior of the car, but also inconvenient in use because the water discharged by the umbrella storage device had to be treated separately.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8202호(이하, '선행문헌5'라 함)에서는 상기한 선행문헌1 내지 4에서와 같이 우산 보관장치를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의 실외 외측에 설치하여 상기한 선행문헌1 내지 4에서 문제가 되었던 젖은 우산에서 흘러나오는 물로 인한 실내 오염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4482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5') is not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umbrella storage device as in the prior documents 1 to 4, the outside of the vehicle outside It wa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indoor pollution due to water flowing from the wet umbrella, which was a problem in the above-described prior documents 1 to 4.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5에서 제안된 우산 보관장치는 자동차의 실외 스템 브라켓트 상에 설치된 스템 내부에 우산을 보관하는 구조로, 우산 보관장치가 자동차 실외 외측, 즉 실외 스템 브라켓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스템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주행 중 바람의 영향으로 인해 자동차 연비가 저하되는 등의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였다. However, the umbrella storage device proposed in the prior document 5 is a structure for storing the umbrella inside the stem installed on the outdoor stem bracket of the vehicle, the umbrella storage device is the outside of the vehicle outside, that is, inside the stem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outdoor stem bracket As it is installed in the car, th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is reduc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wind while driving.

이에, 사용 후 우산을 우산 보관장치에 보관하는 과정에서 우산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자동차의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주행 중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자동차 연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우산 보관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Therefore,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umbrella in the umbrella storage device after use, it effectively discharges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umbrella to the outside to prevent the interior of the car is polluted, while minimizing the influence of wind while driving to reduce the automobile fuel econom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a new structure of umbrella storage device that can be prevented.

KR 20-1998-018632 U, 1998. 07. 06.KR 20-1998-018632 U, 1998. 07. 06. KR 20-1998-002094 U, 1998. 03. 30.KR 20-1998-002094 U, 1998. 03. 30. KR 10-0366474 B1, 2002. 12. 16.KR 10-0366474 B1, December 16, 2002. KR 10-0448202 B1, 2004. 09. 01.KR 10-0448202 B1, 2004. 09. 01. KR 20-0333365 Y1, 2003. 11. 06.KR 20-0333365 Y1, 2003. 11. 06.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실내가 아닌 실외에 설치하여 사용 후 보관 과정에서 우산에서 흘러나오는 물로 인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우산에서 흘러나와 내부에 채워진 물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한편, 주행 중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자동차 연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installed in the outdoor rather than the interior of the car to prevent the interior from being polluted by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umbrella during the storage process after use, while flowing out from the umbrella insid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t-in umbrella storage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discharging the water filled in the outside, while minimizing the influence of the wind while driving to prevent the reduction of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하측에 구비된 자동차 사이드 실의 아웃패널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아웃패널의 외측으로 개방 형성되고, 내부에 우산이 수납 보관되는 수납공간;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아웃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및 상기 자동차 도어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in the outer panel of the vehicle side seal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r door, the opening is formed to the outside of the out panel, the storage is stored inside the umbrella space;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out panel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n associa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자동차 도어의 일측부에 고정된 고정부재; 상기 아웃패널의 내부에 설치된 롤러; 상기 도어의 측부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인입되어 상기 도어를 잠금하는 고정핀;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타측부가 상기 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고정핀에 고정되어 상기 자동차 도어의 개방시 상기 도어의 결합공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고정핀을 잡아당겨 상기 도어의 결합공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시키는 와이어; 및 상기 고정핀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도어의 결합공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includes a fixing member fix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door; A roller installed inside the out panel; A fixing pin which is inserted into a coupling hole formed at a side of the door to lock the door; One end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fixing pin via the roller to pull the fixing pin introduc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door when opening the automobile door, the coupling hole of the door A wire drawn out from the outside;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pression spring for retracting the fixing pin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of the door.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부에는 내부에 수납되는 우산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drain hole for drain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umbrella stored therein to the outside.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 보관된 우산을 배출하는 우산 자동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산 자동 배출수단은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부에 고정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를 중심으로 좌우 회동하고, 상부에 우산이 안치되는 안치대;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부에 고정되어 상기 안치대의 일측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대; 및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부로 출몰하여 상기 안치대의 타측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대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패널에는 상기 수납공간과 자동차의 실내를 연통시키는 우산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부에는 상기 우산 배출공을 개폐하는 내측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대는 전동 실린더로서, 상기 내측도어와 연동하여 동작하여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automatic umbrella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umbrella stored in the storage space, the automatic umbrella discharging means is a pedestal fixed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Rotating left and right centering around the pedestal, the mounting stand is placed on the upper umbrella; A fixed stand fixed to a bottom of the storage space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one side of the seat; And a lift table that stands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rest area, wherein the out panel has an umbrella discharge hole for communicating the storage space with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an inside of the umbrella discharge hole. An inne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is provided, and the lifting table is an electric cylinder, and may move up and down by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inner doo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실내가 아닌 실외에 설치하여 사용 후 보관 과정에서 우산에서 흘러나오는 물로 인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우산에서 흘러나와 내부에 채워진 물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한편, 주행 중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자동차 연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installed in the outdoor rather than the interior of the car to prevent the interior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umbrella in the storage process after use, the water flowed out from the umbrella and filled inside to the outside While effectively discharging,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mpact of the wind while driving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fuel economy of the ca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개폐 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아웃패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아웃패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도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도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자동 배출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우산 자동 배출수단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vehicle-mounted umbrell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built-in vehicle storage umbrella shown in Figure 1;
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to expla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shown in FIG.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n out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doo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utomatic umbrella discharge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utomatic umbrella discharging means shown in FIG.
11 is a view showing a vehicle-mounted umbrell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vehicle-mounted umbrella storage device shown in FIG.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n automobile built-in umbrell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let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letely provid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 known technique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the terms used (discus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In addition, compon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 'includes (or includes)'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원형 점선은 우산 보관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n automobile built-in umbrell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lar dotted line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umbrella storage device is ope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10)는 자동차(V)의 사이드 실(1)의 외측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이드 실(1)의 아웃패널(1a) 내부에 외측으로 개방된 장방형의 수납공간(10a)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vehicle-mounted umbrella storage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seal 1 of the vehicle (V). Preferably, it includes a rectangular storage space 10a open to the outside in the outer panel 1a of the side seal 1.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built-in umbrella storage device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납공간(10a)은 아웃패널(1a)의 상부와 외측부를 절삭 가공하여 아웃패널(1a)의 내측에 아웃패널(1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한다. 1 and 2, the storage space 10a is formed by cutting the upper and outer portions of the outer panel 1a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anel 1a inside the outer panel 1a. .

아웃패널(1a)은 자동차 도어(2)의 하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실(1)의 일부로서, 자동차 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도 자동차 도어(2)에 가리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다. The outer panel 1a is a part of the side seal 1 provided below the automobile door 2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covering the automobile door 2 even when the automobile door 2 is closed.

아웃패널(1a)의 외측면에는 수납공간(10a)을 개폐하기 위해 도어(11)가 설치된다.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anel 1a is provided with a door 11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10a.

도 2와 같이, 도어(11)는 아웃패널(1a)의 외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납공간(10a)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이러한 도어(11)는 일례로 대략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단부가 회동부재(111)에 의해 아웃패널(1a)의 외측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아웃패널(1a)의 외측 상부에 결합된다. As illustrated in FIG. 2, the door 11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anel 1a to open or close the storage space 10a. The door 11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substantially 'cross-section' shape, the low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lower portion of the outer panel 1a by the rotating member 111, a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panel ( Coupled to the outer top of 1a).

도어(11)는 주행시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연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납공간(10a)을 밀폐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외측면이 아웃패널(1a)의 외측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수납공간(10a)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동부재(111)는 도어(11)의 외측면이 아닌 내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door 11 has a storage space such that the outer surface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anel 1a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11 is installed to seal the storage space 10a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the wind while driving and to prevent the fuel economy from being lowered. It is preferable to insert and install into the inside of 10a. At this time, the rotation member 111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11, not the outer side.

도어(11)는 도어 개폐 수단(12)을 통해 자동차 도어(2)의 개방과 연동하여 개방된다. The door 11 is opened in cooperation with the opening of the vehicle door 2 through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12.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개폐 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illustrated in FIG. 1.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도어 개폐 수단(12)은 자동차 도어(2)의 일측부에 고정된 고정부재(121)와, 아웃패널(1a)의 내부에 설치된 롤러(122)와, 도어(11)의 측부에 형성된 결합공(11a)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켜 도어(11)를 잠금하는 고정핀(123)과, 일단부가 고정부재(121)에 고정되고 타측부가 롤러(122)를 경유하여 고정핀(123)에 고정되어 자동차 도어(2)의 회동에 따라 도어(11)의 결합공(11a)의 내부로 인입된 고정핀(123)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와이어(124)와, 고정핀(123)을 탄성 가압하여 도어(11)의 결합공(11a)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압축 스프링(125)을 포함한다. 1 to 3,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12 includes a fixing member 121 fixed to one side of the automobile door 2, a roller 122 installed inside the out panel 1a, and a door ( 11, the fixing pin 123 for entering or withdrawing the engaging hole (11a) formed in the side of the lock to lock the door 11, one end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121, the other side via the roller 122 A wire 124 fixed to the fixing pin 123 to draw the fixing pin 123 drawn into the coupling hole 11a of the door 11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automobile door 2; Compression spring 125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123 to lead into the coupling hole (11a) of the door (1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와 같이, 자동차 도어(2)가 닫혀진 상태에서 압축 스프링(125)에 의해 고정핀(123)은 도어(11)의 결합공(11a)으로 인입되어 도어(11)와 아웃패널(1a)의 측부가 고정핀(12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도어(11)가 닫힘 상태로 유지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xing pin 123 is introduced into the coupling hole 11a of the door 11 by the compression spring 125 in the state in which the automobile door 2 is closed, and thus the door 11 and the out panel. The sides of 1a are interconnected by the fixing pins 123 so that the door 11 is kept closed.

이런 상태에서, 자동차 도어(2)가 개방되면, 자동차 도어(2)의 회동에 의해 고정부재(121)에 의해 와이어(124)가 잡아 당겨지고, 이에 따라 와이어(124)의 타단부에 고정된 고정핀(123)이 압축 스프링(125)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도어(11)의 결합공(11a)으로부터 인출되어 도어(11)의 잠금이 해제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automobile door 2 is opened, the wire 124 is pulled by the fixing member 121 by the rotation of the automobile door 2, and thu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124. The fixing pin 123 is drawn out from the coupling hole 11a of the door 11 by a force that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125 to release the lock of the door 11.

이후, 도어(11)는 고정핀(123)이 도어(11)로부터 인출되어 잠금이 해제되어 개방된다. Thereafter, the door 11 is opened by the fixing pin 123 being drawn out of the door 11 to release the lock.

이후, 발이나 손을 이용하여 도어(11)를 닫은 상태에서 자동차 도어(2)를 닫으면, 고정핀(123)에 가해지는 와이어(124)의 인장력이 해제되어 고정핀(123)은 도어(11)의 결합공(11a)으로 인입되어 다시 고정핀(123)을 잠금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Then, when closing the car door 2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11 is closed using a foot or hand, the tension force of the wire 124 applied to the fixing pin 123 is released, so that the fixing pin 123 is the door 11. I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a) of the) to maintain the fixing pin 123 in a locked state again.

한편, 도 3에는 도어(11)가 운전자 도어(앞 도어) 연동하여 개방되도록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전술한 도어 개폐 수단과 동일한 방법으로 운전자 도어뿐만 아니라 뒷 도어와 연동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앞 도어와 뒷 도어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이와 연동하여 도어(11)가 개방되어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FIG. 3 illustrates that the door 11 is opened by interlocking with the driver door (front door), this is an example. The door 11 may be installed to interlock with the rear door as well as the driver door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 Through this, when any one of the front door and the rear door is opened, the door 11 is opened in conjunction with this to provide convenienc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아웃패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아웃패널(3a)에는 수납공간(10a)의 바닥부에 배수공(D)이 형성된다. 배수공(D)은 수납공간(10a)의 내부에 수납되는 우산(2)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5, the drainage hole D is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a in the out panel 3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in hole (D) is for drain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umbrella (2)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0a) to the outside, one or more may be installed.

이러한 배수공(D)에는 자동차 주행시 바퀴의 회전력으로 인해 튀어 오르는 이물질이나 물 등이 수납공간(10a)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얇은 메쉬망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The drain hole (D)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thin mesh net so that foreign matters or water, etc. that spring up due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heel when driving the car does not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storage space (10a).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아웃패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아웃패널(4a)에는 수납공간(10a)의 바닥부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S)을 갖도록 형성되고, 도어(11)와 근접한 수납공간(10a)의 바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D)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납공간(10a)의 내부에 수납되는 우산(U)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바닥부의 경사면(S)을 따라 수납공간(10a)의 외측부로 흐른 후 배수공(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As shown in FIG. 6, the outer panel 4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10a and is adjacent to the door 11. At least one drain hole (D)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Accordingly,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umbrella U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0a flows to the outer side of the storage space 10a along the inclined surface S of the bottom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 D. .

이와 같이, 수납공간(10a)의 바닥부를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수납공간(10a)의 내부에 수납되는 우산(U)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수납공간(10a)의 바닥부 외측으로 집수되어 배수 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자동차 주행시 바퀴의 회전력으로 인해 튀어 오르는 이물질 등이나 물 등이 배수공(D)을 통해 유입된다 하더라도, 수납공간(10a)의 바닥부 외측으로 유입됨에 따라 청소 및 제거가 용이하여 별도로 이물질 등이나 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메시망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As such,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10a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so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umbrella U stored inside the storage space 10a is collected outside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0a and drained. In addition to improving efficiency, even if foreign matters or water, etc., which spring up due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heels while driving, are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hole D, they are easily cleaned and removed as they flow outside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0a.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mesh network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or water.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도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도어(21)는 자동차 주행시 주행방향으로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ㄱ'자 형상이 아닌 유선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door 2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wind in the driving direction when driving a vehicle. It may be made of a streamlined structure rather than a-shap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도어(21)는 자동차의 주행방향으로 전방측과 후방측에 통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자동차의 주행 중 공기 중 일부가 통공을 통해 도어(21)를 관통하여 빠져나감으로써 공기의 저항을 최소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통공은 수납공간(10a)의 내부에 수납되는 우산과 간섭되지 않도록 수납공간(10a)의 내부에 수납되는 우산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oor 2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formed through the through (not shown) in the front and rear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rough which some of the air dur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through the through The resistance of the air may be minimized by passing through the door 21. 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mbrella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storage space (10a)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umbrella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storage space (10a).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도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도어(31)는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도어 개폐 수단(12)에 의해 도어(31)의 잠금이 해제되면,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10a)의 바닥부로부터 경사지게 설치된다. 8 is a view illustrating a doo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door 31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b', When the door 31 is unlocked by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12, the door 31 is inclined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0a so as to be automatically opened by its own weight.

그리고, 도어(31)의 외측면에는 도어(31)의 자동 개폐를 돕기 위해 외측 상부에 중량체(311)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중량체(311)는 도어(3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착탈 가능하도록 자성체, 예를 들면,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3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weight body 311 on the outer upper portion to help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31, in this case, the weight body 311 is integral with the door 31 It may be formed or made of a magnetic material, for example a magnet, to be detachable.

이에 따라, 도어 개폐 수단(12)에 의해 도어(31)의 잠금이 해제되면, 중량체(311)에 의해 도어(31)의 무게중심은 외측, 즉 도어(31)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쏠리게 되어 별도의 동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도어(31)를 개방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door 31 is unlocked by the door opening / closing means 12,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31 is pulled outward by the weight body 311, that 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31 is opened. The door 31 can be easily opened without using a separate power uni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10)는 수납공간(10a)의 내부에 수납 보관된 우산(U)을 도어(11)를 개방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자동차의 내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우산 배출 수단(13, 도 9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ehicle-mounted umbrella storage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umbrella U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storage space (10a)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automatically without opening the door (11) Umbrella for discharging means 13 may be further includ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자동 배출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automatic umbrella discharge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자동 배출수단(13)은 시소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수납공간(10a)의 바닥부에 고정된 받침대(131)와, 받침대(131)를 중심으로 좌우 회동하고 상부에 우산(U)이 안치되는 안치대(132)와, 수납공간(10a)의 바닥부에 고정되어 안치대(132)의 일측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대(133)와, 수납공간(10a)의 바닥부로 출몰하여 안치대(132)의 타측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대(13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automatic umbrella discharging means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eesaw principle, and rotates left and right around the pedestal 131 and the pedestal 131 fixed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0a. And a support 132 on which an umbrella U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a fixing stand 133 fixed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0a to support one lower side of the support 132, and a storage space 10a. Raising and lowering to the bottom of the platform includes a platform 134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rest 132.

그리고, 아웃패널(5a)에는 수납공간(10a)과 자동차 실내를 연통시키는 우산 배출공(51a)이 형성되어 있고, 아웃패널(5a)의 내측부(자동차 실내에 접하는 측부)에는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우산 배출공(51a)을 개폐하는 내측도어(51b)가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an umbrella discharge hole 51a is formed in the out panel 5a to communicate the storage space 10a with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the umbrella is slid up and down on the inner side (side contac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of the out panel 5a. The inner door 51b which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hole 51a is provided.

승강대(134)는 전동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측도어(51b)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도어(51b)가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내측도어(51b)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에 구비된 리미트 스위치(미도시)가 동작하고, 이를 통해 전원이 상기 전동 실린더로 공급되어 실린더 로드인 승강대(134)를 하강시킨다. The lifting platform 134 may be formed of an electric cylinder, and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inner door 51b. For example, when the inner door 51b slides upward, a limit switch (not shown) provided in a movement path in which the inner door 51b moves,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cylinder through the cylinder The rod-in platform 134 is lowered.

우산 배출공(51a)에는 젖은 우산(U)에서 배출되는 물이 내측도어(51b) 개방시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물 유입 방지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umbrella discharge hole 51a, a water inflow prevention jaw (not shown) may be formed to block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et umbrella U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when the inner door 51b is opened.

내측도어(51b)는 수동 또는 전동방식으로 자동차의 대시보드에 설치된 동작 버튼을 통해 자동으로 개폐할 수도 있다. The inner door 51b may be opened or closed automatically through an operation button installed on a dashboard of a vehicle in a manual or electric manner.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우산 자동 배출수단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automatic umbrella discharging means shown in FIG.

도 10을 참조하면, 수납공간(10a)에 구비된 안치대(132)에 우산(U)이 안치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내측도어(51b)를 개방하면, 내측도어(51b)와 연동하여 전동 실린더로 이루어진 승강대(134)(실린더 로드)가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치대(132)는 하강하는 승강대(134)로 인해 받침대(131)를 중심으로 타측(우측)으로 기울어져 안치대(132)에 안치된 우산(U)은 우산 배출공(51a)으로 미끄러지듯이 배출된다. Referring to FIG. 10, when the occupant opens the inner door 51b in a state where the umbrella U is placed in the support 132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10a, the passenger may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inner door 51b. The lifting platform 134 (cylinder rod) made of cylinders is lowered. Accordingly, the stand 132 is inclined toward the other side (right)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131 due to the lifting platform 134 descending, the umbrella U placed in the stand 132 is an umbrella discharge hole 51a. It is discharged as if slid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우산 보관장치(10)의 도어(11)는 자동차 도어(2) 이외에, 서보 모터 등을 통해 운전석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11 of the vehicle interior umbrella storage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e driver's seat via a servo motor, in addition to the car door (2).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n automobile built-in umbrell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obile built-in umbrella storage device shown in FIG. 11.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20)는 앞 도어 쪽뿐만 아니라 뒷 도어 쪽 아웃패널(1a)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11 and 12, the vehicle-mounted umbrella storage device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extend to the rear door side out panel (1a) as well as the front door side.

그리고, 사이드 실(1)의 빈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한편, 운전자 및 동승자 승하차시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차체 외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설치한다. In addition, while maximizing the empty space of the side seal 1, it is installed so as not to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exterior of the existing body in order to minimize discomfort when getting on and off the driver and passengers.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3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30)는 내부 수납공간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도어를 곡선으로 형성한다.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n automobile built-in umbrell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3, the built-in vehicle storage device 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ior. The door is curved to secure the space of the storage spac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 : 자동차 D : 배수공
U : 우산 1 : 사이드 실
1a, 3a, 4a, 5a : 아웃패널 2 : 자동차 도어
10, 20, 30 : 우산 보관장치 10a : 수납공간
11, 21, 31 : 도어 11a : 결합공
12 : 도어 개폐 수단 13 : 우산 배출 수단
51a : 우산 배출공 51b : 내측도어
111 : 회동부재 121 : 고정부재
122 : 롤러 123 : 고정핀
124 : 와이어 125 : 압축 스프링
131 : 받침대 132 : 안치대
133 : 고정대 134 : 승강대
311 : 중량체
V: Car D: Drainage
U: Umbrella 1: Side Seal
1a, 3a, 4a, 5a: Outer panel 2: Automobile door
10, 20, 30: umbrella storage device 10a: storage space
11, 21, 31: door 11a: coupling hole
12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13 umbrella discharge means
51a: umbrella outlet 51b: inner door
111: rotating member 121: fixing member
122: roller 123: fixing pin
124: wire 125: compression spring
131: pedestal 132: rest
133: fixed base 134: platform
311: weight

Claims (4)

자동차 도어의 하측에 구비된 자동차 사이드 실의 아웃패널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아웃패널의 외측으로 개방 형성되고, 내부에 우산이 수납 보관되는 수납공간;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아웃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상기 자동차 도어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 수단; 및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 보관된 우산을 배출하는 우산 자동 배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우산 자동 배출수단은,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부에 고정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를 중심으로 좌우 회동하고, 상부에 우산이 안치되는 안치대;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부에 고정되어 상기 안치대의 일측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대; 및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부로 출몰하여 상기 안치대의 타측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대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패널에는 상기 수납공간과 자동차의 실내를 연통시키는 우산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부에는 상기 우산 배출공을 개폐하는 내측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대는 전동 실린더로서, 상기 내측도어와 연동하여 동작하여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
A storage space which is formed inside the out panel of the vehicle side seal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door, is formed to be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out panel, and the umbrella is stored therein;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out panel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n association with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automobile door; And
Including an automatic umbrella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umbrella stored in the storage space,
The umbrella automatic discharge means,
A pedestal fixed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Rotating left and right centering around the pedestal, the mounting stand is placed on the upper umbrella;
A fixed stand fixed to a bottom of the storage space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one side of the seat; And
It includes a lifting platform to stan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to support the other side lower portion of the rest,
The outer panel is formed with an umbrella discharge hole for communicating the storage space and the interior of the car, the inner side is provided with an inne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mbrella discharge hole,
The lifting platform is an electric cylinder, and the built-in umbrella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inner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자동차 도어의 일측부에 고정된 고정부재;
상기 아웃패널의 내부에 설치된 롤러;
상기 도어의 측부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인입되어 상기 도어를 잠금하는 고정핀;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타측부가 상기 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고정핀에 고정되어 상기 자동차 도어의 개방시 상기 도어의 결합공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고정핀을 잡아당겨 상기 도어의 결합공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시키는 와이어; 및
상기 고정핀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도어의 결합공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형 우산 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A fixing member fix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door;
A roller installed inside the out panel;
A fixing pin which is inserted into a coupling hole formed at a side of the door to lock the door;
One end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fixing pin via the roller to pull the fixing pin introduc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door when opening the automobile door, the coupling hole of the door A wire drawn out from the outside; And
The built-in umbrella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pression spring for retracting the fixing pin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of the doo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33665A 2018-11-02 2018-11-02 Built-in type umbrella storage in vehicle KR1020319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65A KR102031971B1 (en) 2018-11-02 2018-11-02 Built-in type umbrella storage i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65A KR102031971B1 (en) 2018-11-02 2018-11-02 Built-in type umbrella storage in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971B1 true KR102031971B1 (en) 2019-10-14

Family

ID=6817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665A KR102031971B1 (en) 2018-11-02 2018-11-02 Built-in type umbrella storage i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97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738A (en)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Car umbrella storage box
KR19980018632U (en) 1996-09-30 1998-07-06 양재신 Umbrella storage device for car door trim
KR100366474B1 (en) 1994-04-06 2003-04-10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Umbrella storage device installed in automobile
KR20030031675A (en) * 2001-10-15 2003-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folding headrest of automobile
KR200333365Y1 (en) 2003-06-30 2003-11-15 양근호 custody case of umbrella for cars
KR20040006856A (en) * 2002-07-16 2004-01-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 Umbrella Deposit Device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474B1 (en) 1994-04-06 2003-04-10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Umbrella storage device installed in automobile
KR970038738A (en)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Car umbrella storage box
KR19980018632U (en) 1996-09-30 1998-07-06 양재신 Umbrella storage device for car door trim
KR20030031675A (en) * 2001-10-15 2003-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folding headrest of automobile
KR20040006856A (en) * 2002-07-16 2004-01-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 Umbrella Deposit Device for A Vehicle
KR100448202B1 (en) 2002-07-16 2004-09-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 Umbrella Deposit Device for A Vehicle
KR200333365Y1 (en) 2003-06-30 2003-11-15 양근호 custody case of umbrella for ca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2543A (en) Horizontal auxiliary sleeper door
JP2003237372A (en) Vehicular roof device
KR102031971B1 (en) Built-in type umbrella storage in vehicle
CN106080488B (en) Multifunctional safe vehicle
CN111511594A (en) Motor vehicle with a movable roof and an interior accessible through a door opening
JP2005053315A (en) Rear section opening/closing structure for vehicle
CN205445258U (en) Be suitable for door safety opening device of taxi
KR20140079948A (en) Rain roof device for vehicle
KR102071711B1 (en) Umbrella storage for mounting vehicle
US7219949B1 (en) Motor vehicle door having a closure extending from a bottom thereof
CN204586725U (en) A kind of simple and easy toilet device
CN210026980U (en) Bus door structure
CN204586601U (en) A kind of radical occlusion device
KR100483793B1 (en) Tail gate closed device of automobile
KR100950895B1 (en) A car having a cabinet for umbrella
JP3749701B2 (en) Car
JPH10309992A (en) Umbrella case for automobile
KR20040074168A (en) Sunshade auto closing apparatus of automobile sunroof
JP3116078U (en) Rain guard for getting on and off vehicles
CN108049322A (en) A kind of retractable road deceleration strip
KR20120017589A (en) Bus having a rain shutoff apparatus
JP2007112253A (en) Umbrella opening/closing device for automobile
KR100794002B1 (en) Vehicle sunroof
CN204452632U (en) A kind of clean public transport compartment
JP3013732U (en) In-vehicle self-winding film curt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