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788B1 - Preparatiom method of polymer film and coextrusion film - Google Patents

Preparatiom method of polymer film and coextrusion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788B1
KR102031788B1 KR1020130169222A KR20130169222A KR102031788B1 KR 102031788 B1 KR102031788 B1 KR 102031788B1 KR 1020130169222 A KR1020130169222 A KR 1020130169222A KR 20130169222 A KR20130169222 A KR 20130169222A KR 102031788 B1 KR102031788 B1 KR 102031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m
polyamide
layer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2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9173A (en
Inventor
김윤조
김시민
최동현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9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788B1/en
Priority to EP20155354.2A priority patent/EP3689594B1/en
Priority to EP14877326.0A priority patent/EP3090873B1/en
Priority to CN201480076156.6A priority patent/CN106029376B/en
Priority to PCT/KR2014/013055 priority patent/WO2015102378A1/en
Priority to US15/107,519 priority patent/US10000002B2/en
Publication of KR20150079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1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7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60C5/12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 B60C5/14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with impervious liner or coating on the inner wall of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한 제1수지와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포함한 제2수지를 공압출하는 기재 필름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과,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한 제1수지층; 및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포함한 제2수지층을 함유한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공압출 필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film forming step of co-extrusion of a first resin including a polyamide-based resin and a second resin including a copolymer including a polyamide-based segment and a polyether-based segment. A first resin layer comprising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polyamide-based resin; And it relates to a coextrusion film comprising a base film containing a second resin layer comprising a copolymer comprising a polyamide segment and a poly-ether segment.

Description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공압출 필름{PREPARATIOM METHOD OF POLYMER FILM AND COEXTRUSION FILM}Manufacturing Method and Coextrusion Film of Polymer Film {PREPARATIOM METHOD OF POLYMER FILM AND COEXTRUSION FILM}

본 발명은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공압출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의 이너라이너로 사용되어 얇은 두께로도 우수한 기밀성을 구현하여 타이어를 경량화하고 자동차 연비의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타이어 제조 과정이나 자동차 주행 과정에서도 우수한 내구성 및 내피로특성과 함께 높은 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과, 얇은 두께로도 우수한 기밀성을 구현하여 타이어를 경량화하고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타이어 제조 과정이나 자동차 주행 과정에서도 우수한 내구성 및 내피로특성과 함께 높은 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ymer film and a coextrusion film, and more particularly, it is used as an inner liner of a tire to realize excellent airtightness even at a thin thickness, thereby making the tire lighter and improving automobile fuel economy, and producing a tire. In addition to the excellent durability and fatigue resistance in the process of driving a ca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mer film capable of securing high elasticity and excellent airtightness even at a thin thickness can reduce tire weight and improve fuel efficiency of a c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extrusion film for innerliner that can secure high elasticity with excellent durability and fatigue resistance even in a process or a car driving process.

타이어는 자동차의 하중을 지탱하고,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하며, 자동차의 구동력 또는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섬유/강철/고무의 복합체로서, 도 1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tires support the load of the vehicle, alleviate the impact from the road surface, and transmit the driving or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to the ground. In general, a tire is a composite of fiber / steel / rubber and generally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1.

트레드 (Tread) (1): 노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제동, 구동에 필요한 마찰력을 주고 내마모성이 양호 하여야 하며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어야 하고 발열이 적어야 한다. Tread (1): This part is to be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to provide the necessary frictional force for braking and driving, to have good abrasion resistance, to withstand external shocks, and to generate little heat.

보디 플라이(Body Ply) (또는 카커스(Carcass)) (6): 타이어 내부의 코오드 층으로, 하중을 지지하고 충격에 견디며 주행 중 굴신 운동에 대한 내피로성이 강해야 한다. Body Ply (or Carcass) (6): A layer of cord inside the tire, which must support loads, withstand impacts, and be resistant to fatigue during rolling.

벨트 (Belt) (5): 보디플라이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 철사(Steel Wire)로 구성되며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은 물론 트레드의 접지면을 넓게 유지하여 주행안정성을 우수하게 한다. Belt (5): Located between the body plies, consisting of steel wires in most cases to mitigate external shocks and maintain a wide tread ground to provide excellent driving stability.

사이드 월(Side Wall) (3): 숄더(2) 아래 부분부터 비드(9) 사이의 고무층을 말하며 내부의 보디 플라이(6)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Side Wall (3): refers to the rubber layer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shoulder (2) from the bead (9) and serves to protect the body ply (6) inside.

인너라이너(Inner Liner) (7): 튜브 대신 타이어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공기누출 방지하여 공기입 타이어를 가능케 한다. Inner Liner (7):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tire instead of the tube, it prevents air leakage to enable pneumatic tires.

비드(BEAD) (9): 철사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형태의 Wire Bundle로 타이어를 Rim에 안착하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BEAD (9): A square or hexagonal wire bundle with rubber coating on the wire that rests and secures the tire to the rim.

캡 플라이(CAP PLY) (4): 일부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벨트 위에 위치한 특수 코오드지로서, 주행 시 벨트의 움직임을 최소화 한다. CAP PLY (4): A special cord paper placed on the belt of some passenger radial tires that minimizes belt movement when driving.

에이펙스(APEX) (8): 비드의 분산을 최소화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여 비드를 보호하며 성형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삼각형태의 고무 충진재이다. APEX (8): A triangular rubber filler used to minimize the dispersion of beads, to mitigate external impacts, to protect the beads, and to prevent the ingress of air during molding.

최근에는 튜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내부에는 30 내지 40 psi 정도의 고압 공기가 주입된 튜브리스(tube-less) 타이어[또는 공기입 타이어]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데, 차량 운행 과정에서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커스 내층에 기밀성이 높은 이너라이너가 배치된다. Recently, tube-less tires (or pneumatic tires) in which 30 to 40 psi of high-pressure air is injected without using tubes are generally used. An airtight inner liner is disposed in the carcass inner layer to prevent leakage to the carcass.

이전에는 비교적 공기 투과성이 낮은 부틸 고무 또는 할로 부틸 고무 등의 고무 성분들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타이어 이너라이너가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이너라이너에서는 충분한 기밀성을 얻기 위해서 고무의 함량 또는 이너라이너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했다. 그러나, 상기 고무 성분의 함량 및 타이어 두께가 증가하면, 타이어 총중량이 늘어나고 자동차의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Previously, tire innerliners were used, with rubber components such as butyl rubber or halo butyl rubber, which had relatively low air permeability, and had to increase the rubber content or the thickness of the inner liner in order to obtain sufficient airtightness. . However, when the content of the rubber component and the tire thickness incre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otal tire weight increases and fuel economy of the vehicle decreases.

또한, 상기 고무 성분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내열성을 가져서, 고온 조건에 반복적인 변형이 일어나는 타이어의 가황 과정 또는 자동차의 운행과정에서 카커스 층의 내면 고무와 이너라이너 사이에 공기 포켓이 생기거나 이너라이너의 형태나 물성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고무 성분들을 타이어의 커커스층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가황제를 사용하거나 가황 공정을 적용하여야 했으며, 이에 의하여도 충분한 접착력이 확보되기는 어려웠다.In addition, the rubber components have relatively low heat resistance, such that air pockets are formed between the inner rubber and the inner liner of the carcass layer or the inner liner of the carcass layer during the vulcanization process of the tire, or the driving of the car, where repeated deformation occurs at high temperature conditions. There was a problem in changing form or physical properties. In addition, in order to couple the rubber components to the tire curker layer, a vulcanizing agent or a vulcanizing process had to be applied, and it was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adhesive force.

그러나, 이전에 알려진 어떠한 방법도 이너라이너의 두께 및 무게를 충분히 감소시키면서 우수한 공기 투과성 및 타이어의 성형성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전에 알려진 방법으로 얻어진 이너라이너는 고온의 반복적 성형이 이루어지는 타이어의 제조 과정 또는 반복적 변형이 일어나며 높은 열이 발생하는 자동차의 운행 과정 등에서 그 자체의 물성이 저하되거나 필름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나타났다.However, any previously known method has had a limit in maintaining excellent air permeability and tire formability while sufficiently reducing the thickness and weight of the innerliner. In addition, the innerliner obtained by the previously known method may be deteriorated in its physical properties or cracks in the film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tire that is repeatedly formed at a high temperature, or during the driving process of a vehicle in which high heat is generated. Many problems have appeared.

최근 유가 상승으로 인하여, 자동차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에코 타이어(친환경 타이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타이어 컴파운드의 변경 또는 트레드 디자인의 변화 등을 통하여 타이어의 중량을 줄이거나 접지 면적을 줄이는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나, 이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해서는, 주행 안정성이나 타이어의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타이어의 중량을 줄이고 자동차 연비를 향상시키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With the recent rise in oil prices, interest in eco tires (environmental tires), which can improve automobile fuel economy, has increased, and attempt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tire or reduce the ground area by changing tire compounds or changing tread design, etc. Has been. However, by the previously known methods,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in reducing the weight of tires and improving automobile fuel efficiency while improving driving stability and shape stability of tires.

본 발명은 얇은 두께로도 우수한 기밀성을 구현하여 타이어를 경량화하고 자동차 연비의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타이어 제조 과정이나 자동차 주행 과정에서도 우수한 내구성 및 내피로특성과 함께 높은 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a high airtightness even in a thin thicknes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tire and improve the fuel economy of the automobile, and also to produce a polymer film that can ensure high elasticity with excellent durability and fatigue resistance in the tire manufacturing process or automobile driving process It is to provide a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얇은 두께로도 우수한 기밀성을 구현하여 타이어를 경량화하고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타이어 제조 과정이나 자동차 주행 과정에서도 우수한 내구성 및 내피로특성과 함께 높은 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excellent airtightness even at a thin thickness to lighten the tires and improve the fuel economy of the car, and also to ensure high elasticity with excellent durability and fatigue resistance in the tire manufacturing process or automobile driving process It is to provide a coextrusion film for a lin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을 포함한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neumatic tire including the co-extrusion film for the inner liner.

본 발명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한 제1수지와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포함한 제2수지를 공압출하는 기재 필름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film forming step of co-extrusion of a first resin including a polyamide-based resin and a second resin including a copolymer including a polyamide-based segment and a polyether-based segment.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또한, 본 발명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한 제1수지층; 및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포함한 제2수지층을 함유한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resin layer containing a polyamide-based resin; And a base film including a second resin layer including a copolymer including a polyamide-based segment and a polyether-based segm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neumatic tire comprising the co-extrusion film for the inner liner.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 및 공기입 타이어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mer film, a coextrusion film for an inner liner, and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지칭하는 대상이나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서, 일정한 순서나 중요도 등을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한 해석 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an object or a component to which they refer, and are not limited to specifying a certain order or importance.

또한, '세그먼트'는 고분자 또는 화합물 내에서 동일한 화학 구조를 가지고 모여 있는 부분 또는 동일한 물성을 갖는 특정 부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세그먼트는 특정한 반복 단위 또는 이러한 특정 반복 단위가 모여 이루어지는 화학 구조일 수 있고, 또는 최종 반응 결과물에 포함되는 반응물(단량체, 올리고머, 고분자 등) 유래 부분 또는 잔기일 수 있다. In addition, "segment" means a part having the same chemical structure or a specific part having the same physical properties in the polymer or compound. For example, a segment may be a specific repeating unit or a chemical structure in which these specific repeating units are aggregated, or may be a moiety or moiety derived from a reactant (monomer, oligomer, polymer, etc.) included in the final reaction product.

또한, '잔기'는 화학 반응에 참여한 반응물이 최종 결과물 내에 포함되는 형태 또는 화학 구조를 의미하며, 상기 반응물로부터 유래한 화학 구조, 작용기, 반복 단위 등일 수 있다. In addition, "residue" means a form or chemical structure in which the reactants participating in the chemical reaction are included in the final result, and may be a chemical structure, a functional group, a repeating unit, and the like derived from the reactants.

또한, 알킬렌(alkylene)은 알케인(alkane)으로부터 유래한 2가의 작용기를 의미하며, 아릴렌(arylene)은 아렌(arene)에서 유래한 2가의 작용기를 의미하며, 아릴알킬렌(aryl alkylene)은 아렌(arene) 및 알케인(alkane)을 포함한 화합물에서 유래한 2가의 작용기를 의미한다.
In addition, alkylene refers to a divalent functional group derived from alkane, arylene refers to a divalent functional group derived from arene, and aryl alkylene Means a divalent functional group derived from a compound including arene and alkane.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한 제1수지와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포함한 제2수지를 공압출하는 기재 필름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ubstrate film forming step of co-extrusion a second resin including a first resin containing a polyamide-based resin and a copolymer comprising a polyamide-based segment and a polyether-based segment; It can be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film comprising a.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한 제1수지와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포함한 제2수지를 공압출하여 얻어지는 기재 필름을 타이어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으로 적용하면, 얇은 두께로도 우수한 기밀성을 구현하여 타이어를 경량화하고 자동차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타이어 제조 과정이나 자동차 주행 과정에서도 우수한 내구성 및 내피로특성과 함께 높은 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A base film obtained by coextrusion of a first resin including the polyamide resin and a second resin including a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 segment and a polyether segment is used as a polymer film for tire innerliner. When applied, it is possible to realize excellent airtightness even at a thin thickness to make tires lighter and improve fuel efficiency, and to secure high elasticity with excellent durability and fatigue resistance even during tire manufacturing or driving. Confirmed through and completed the invention.

상기 제조되는 고분자 필름은 타이어의 이너라이너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고분자 필름은 공기입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용 필름일 수 있다. The prepared polymer film may be used as an inner liner of a tire, and the polymer film may be an inner liner film of a pneumatic tire.

상기 제1수지와 제2수지를 공압출함에 따라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및 응력에 대해 필름에 가해지는 전개 속도를 분산시켜주고, 완충 효과를 줄 수 있으며, 공압출층간 얽힘(Entanglement)현상을 유도하여 필름두께 방향으로도 외부 응력 및 충격을 분산시켜 주어 필름의 인성(Toughness)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are co-extruded, the spreading speed applied to the film can be dispersed, the buffering effect can be dispersed, and the entanglement between co-extrusion layers can be solved. By inducing and dispersing external stress and impact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can improve the toughness and durability of the film.

상기 기재 필름은 2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한 제1수지로부터 구현되는 높은 기밀성과 함께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포함한 제2수지로부터 발현되는 엘라스토머적 성질을 함께 가질 수 있다. The base film may have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two or more layers, and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may be formed together with a high airtightness implemented from the first resin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resin. It may have an elastomeric property expressed from the second resin including the copolymer.

구체적으로, 상기 일 구현예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공되는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은 우수한 기밀성, 예를 들어 동일 두께에서 타이어에 일반적으로 사용 되는 부틸고무 등에 비해 10 내지 30 배 정도의 기밀성을 나타내면서도, 그리 높지 않은 모듈러스를 나타내어 고온에서 필름의 강직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고온에서 결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lymer film for innerliner provid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mbodiment shows excellent airtightness, for example, about 10 to 30 times the airtightness compared to butyl rubber generally used in tires at the same thickness, and the like. It can exhibit a modulus that is not high and can suppress the rise of the stiffness of the film at a high temperature and can prevent crystallization at a high temperatur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재 필름은 상기 제1수지와 제2수지를 공압출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지 및 제2수지를 각각 하나 이상 사용하여 공압출함으로서 2층 이상의 적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 필름 형성 단계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수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수지를 공압출하여 적어도 2층 이상을 포함한 복층 구조의 기재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ase film may be formed by co-extrusion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and co-extrusion using one or more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to form a laminated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can do. That is, in the forming of the base film,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irst resin an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econd resins may be coextruded to form a base film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two layers.

즉, 상기 기재 필름 형성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수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수지를 공압출하여 적어도 2층 이상을 포함한 복층 구조의 기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forming of the base film may further include co-extrud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irst resin an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econd resins to form a base film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two layers.

구체적으로, 상기 일 구현예의 제조 방법에서 얻어지는 기재 필름은, 상기 제1수지로부터 형성되는 제1수지층과 상기 제2수지로부터 형성되는 제2수지층이 적층된 2층 구조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수지로부터 형성되는 제1수지층의 양면에 상기 제2수지로부터 형성되는 2개의 제2수지층들이 각각 적층된 3층 구조일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제2수지로부터 형성되는 제2수지층의 양면에 상기 제1수지로부터 형성되는 2개의 제1수지층들이 각각 적층된 3층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재 필름은 상기 제1수지로부터 형성되는 제1수지층과 상기 제2수지로부터 형성되는 제2수지층을 각각 2층 이상 포함하는 복층 구조일 수도 있다. Specifically, the base film obtain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mbodiment may have a two-layer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resin layer formed from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layer formed from the second resin are laminated. The second resin layer may be a three-layered structure in which two second resin layers formed from the second resin are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first resin layer formed from the first resin, on the contrary, and a second resin layer formed from the second resin. It may have a three-layer structure in which two first resin layers formed from the first resin on each side of the stack. The base film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two or more layers of a first resin layer formed from the first resin and a second resin layer formed from the second resin.

상기 제1수지층 및 제2수지층 각각이 0.1㎛ 내지 300㎛, 또는 1㎛ 내지 250㎛, 또는 2㎛ 내지 20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수지층 및 제2수지층을 포함하는 상기 기재 필름은 0.2 ㎛ 내지 3,000㎛, 또는 2 ㎛ 내지 2,500㎛, 4 ㎛ 내지 2,000㎛. 또는40 ㎛ 내지 40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0.1 μm to 300 μm, or 1 μm to 250 μm, or 2 μm to 200 μm. The base film including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has a thickness of 0.2 μm to 3,000 μm, or 2 μm to 2,500 μm, and 4 μm to 2,000 μm. Or 40 μm to 400 μm.

또한, 상기 기재 필름 형성 단계는 상기 제1수지 및 상기 제2수지를 각각 1종류 이상 사용하여 적어도 2층 이상을 포함한 복층 구조의 기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orming of the base film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base film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two layers by using one or more types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이 경우, 상기 1종류 이상의 상기 제2수지에 비하여 상기 제1수지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더 많이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지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이 상기 2종의 제2수지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각각에 비하여 5중량% 내지 85중량%, 또는 10중량% 내지 85중량%, 또는 25중량% 내지 80중량% 클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resin may include more polyamide-based resins than the one or more types of the second resins, and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s in the first resins may be 5 wt% to 85 wt%, alternatively 10 wt% to 85 wt%, or 25 wt% to 80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second resin, respectively.

예를 들어, 상기 제1수지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및 상기 제2수지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간의 차이가 5중량% 내지 85중량% 범위 내에서, 상기 제1수지는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5 중량% 내지 100중량% 또는 30 내지 100중량%와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 0중량% 내지 95중량% 또는 0 중량% 내지 70중량%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지는 상기 폴라아마이드계 수지 0중량% 내지 95중량% 또는 0 내지 80중량%; 및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 5중량% 내지 100중량% 또는20 중량% 내지 10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수지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은 상기 2종의 제2수지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각각에 비하여 5중량% 내지 85중량%, 또는 10중량% 내지 85중량%, 또는 25중량% 내지 80중량% 클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first resin and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second resin is within the range of 5% by weight to 85% by weight. The first resin is 5 wt% to 100 wt% of the polyamide resin, or 30 wt% to 100 wt%, and 0 wt% to 95 wt% of the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 segment and the polyether segment. 0 wt% to 70 wt%, and the second resin includes 0 wt% to 95 wt% or 0 to 80 wt% of the polyamide resin; And 5 wt% to 100 wt% or 20 wt% to 100 wt% of the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That is,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first resin is 5% to 85% by weight, or 10% by weight, compared to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two second resins, respectively. % To 85% by weight, or 25% to 80% by weight can be large.

한편, 상기 기재 필름 형성 단계는 상기 제1수지와 상기 제1수지에 비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덜 포함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제2수지를 공압출하여 적어도 2층 이상을 포함한 복층 구조의 기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forming the base film is a multi-layered base film comprising at least two layers by co-extrusion of at least one or more types of second resins containing less polyamide-based resin than the first resin and the first resin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forming.

즉, 1종류의 제1수지와 상기 제1수지에 비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덜 포함하는(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더 많이 포함) 적어도 1종류 이상, 또는 2종류 이상의 제2수지를 공합출 함으로서 2층 이상의 복층 구조를 갖는 기재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at least 1 containing less polyamide-based resins (including more copolymers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segments and polyether-based segments) than one kind of the first resin and the first resin. The base film which has a multi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can be formed by carrying out the co-extrusion of 2 or more types or 2 or more types of 2nd resin.

한편, 상기 제1수지와 상기 제2수지를 공압출 하는 과정은 200℃ 내지 300℃, 또는 230 ℃내지 29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공압출 온도는 폴리아마이드계 화합물의 융점보다는 높아야 하지만, 너무 높으면 탄화 또는 분해가 일어나 필름의 물성이 저해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수지에 포함되는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 간의 내부 응집이 일어나거나 배향이 발생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는데 불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coextrusion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200 ℃ to 300 ℃, or 230 ℃ to 290 ℃. The coextrusion temperature should b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amide-based compound, but if it is too high, carbonization or decomposition may occur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lm may be inhibited, and internal aggregation or orientation may occur between the polyether-based segments included in the second resin. This can be disadvantageous for producing unstretched films.

상기 공압출 과정에서는 상술한 제1수지 및 제2수지를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통상적으로 알려진 공압출 방법 및 장치를 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출기(extruder) 또는 원료 주입부와 상기 압출기 또는 원료 주입부에서 이송된 원료가 용융 상태에서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는 조합부(combining adaptor)를 포함하는 공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공압출기는 상기 기재 필름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1수지 및 제2수지의 숫자에 맞추어 2개 이상의 압출기 또는 원료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o-extrusion process, a conventionally known co-extrusion method and apparatus may be used without any limitation except that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resins are used. For example, a coextruder including an extruder or a raw material injection unit and a combining adapter in which raw materials transferred from the extruder or raw material injection unit are laminated in a plurality of layers in a molten state may be used. The coextruder may include two or more extruders or raw material injection par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base film.

상기 구현예의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공압출은 복층 구조의 기재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피드 블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 블록을 사용함에 따라서, 상기 압출기 또는 원료 주입부에서 주입되는 상기 제1수지 및 제2수지 또는 이들의 용융물을 복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되는 기재 필름 또한 복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피드 블록에서 형성된 복층구조가 연속하여 다이를 거쳐 토출됨으로써 복층 구조의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ymer film of the above embodiment, the coextrusion may use a feed block capable of forming a base film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s the feed block is used,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or a melt thereof thereof injected from the extruder or the raw material injection part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and the base film thus manufactured may also be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The multilayer structure formed in the feed block may be continuously discharged through a die to form a multilayer structure film.

도 2에는 상기 피드 블록을 사용하여 복층 구조의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피드 블록은 고분자 수지 또는 플라스틱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면 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2 schematically shows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structure film using the feed block. The feed block can be used without any limitation as long as it is known that the feed block can be used in a polymer resin or a plastic product.

예를 들어, 상기 피드 블록 내에서는 압출기로부터 폴리머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용융 폴리머들이 개별적인 흐름을 유지할 수 있는 폴리머 유로(Flow-Path)가 있으며, 상기 피드 블록은 일정한 층 두께비로 용융 흐름을 형성한 후 개별 용융흐름을 합쳐주는 역할을 하는 용융흐름 분배기(Melt-Distribu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흐름 분배기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각각의 용융 폴리머가 형성되는 층의 두께비를 변화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feed block, there is a polymer flow path through which an inflow pipe from which an polymer is introduced from an extruder and a molten polymer can maintain a separate flow. The feed block may include a melt flow distributor (Melt-Distributor) that serves to combine the individual melt flows after forming the melt flow in a constant layer thickness ratio. By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melt flow distributors it is possible to vary the thickness ratio of the layers on which each molten polymer is formed.

구체적으로, 압출기로부터 용융된 폴리머들이 개별적인 폴리머 유입관 및 유로(Polymer path)를 통해 피드 블록내로 주입된 후, 용융흐름 분배기(Melt-Distributor)에 의해 일정한 두께비를 가지는 적층구조의 폴리머 흐름을 형성한 후, 다이(Die)를 통해 압출되면서 피드 블록내에서 형성된 층구조의 기재 필름을 형성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molten polymers from the extruder are injected into the feed block through individual polymer inflow pipes and polymer paths, and then a melt flow distributor forms a polymer flow having a uniform thickness ratio by using a melt-distributor. Thereafter, it is extruded through a die to form a layered base film formed in the feed block.

다만, 상기 구현예의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 가능한 피드 블록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이 상기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분자 수지를 용융하여 성형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피드 블록은 큰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However, the specific details of the feed block that can be us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ymer film of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tent, the feed block known to be used in the process of melting and molding the polymer resin can be used without great limitation Do.

상기 기재 필름 형성 단계는 상기 공압출된 결과물을 적층하여 기재 필름을 다층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압출된 결과물은 2층 이상의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공압출된 결과물을 소정의 두께비로 분할한 이후에 다시 적층함으로서 4층 이상의 복층 구조를 갖도록 다층화 할 수 있다. The forming of the base film may further include stacking the coextruded result to multilayer the base film. The coextruded result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and the coextruded result may be multi-layered to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f four or more layers by dividing the coextruded result into a predetermined thickness ratio and then stacking again.

상기 공압출된 결과물을 적층하여 기재 필름을 다층화하는 단계에서 사용 가능한 장치나 방법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3과 같은 층 분리장치(interfacial surface generator, 또는 계면 발생 장치) 등의 장치를 통하여 공압출된 결과물을 1회 이상 적층하여 다층화 할 수 있다. The apparatus or method which can be used in the step of stacking the coextruded result to multiply the base film is not limited to a large number, and for example, an apparatus such as an interfacial surface generator or an interface generator as shown in FIG. 3. The coextruded result through can be laminated one or more times to be multi-layered.

상기 층분리 장치는 공압출된 적층물이 유입되는 적층물 도입부(Inlet), 적층물을 분할하는 채널(Channel) 및 분할된 적층물을 다시 적층시키는 적층부(Stacking par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층분리 장치로 유입된 적층물의 구조가 채널(Channel)에 의해 분할된 후, 적층부에서 다시 적층됨으로 인해 다층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층분리 장치에 도입되는 공압출된 적층물의 층수(Layer갯수) 및 채널(Channel)수에 따라 최종 다층화된 적층물의 층수를 조절할 수 있다. The layer separation apparatus may include a stack inlet into which the coextruded stack flows, a channel for dividing the stack, and a stacking part for stacking the divided stack again. Since the structure of the stack introduced into the layer separation apparatus is divided by a channel, the stack is stacked again in the stacking unit, thereby enabling multilayering. The number of layers of the final multilayered stack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yers and the number of channels of the coextruded stack introduced into the layer separation apparatus.

예를 들어, 층분리 장치에 유입되는 공압출된 적층물이 3층 구조이며, 층분리 장치의 채널(Channel)이 2개이면, 상부 채널과 하부 채널로 3층 구조의 적층물이 각각 분리된후, 적층부에서 상부 채널의 3층 적층물과 하부 채널의 3층 적층물이 함께 적층되어 6층 구조의 적층물을 형성하게 되며, 연속하여 층분리 장치를 하나 더 적용하게 하면 최종적으로 12층의 적층물을 형성하게 된다. For example, if the coextruded laminate flowing into the delamination apparatus has a three-layer structure, and the channel of the delamination apparatus has two channels, the three-layer laminate is separated into an upper channel and a lower channel, respectively. Then, in the stacking portion, the three-layer stack of the upper channel and the three-layer stack of the lower channel are stacked together to form a stack of six-layer structure. It will form a stack of.

다만, 상기 구현예의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 가능한 층분리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이 상기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분자 수지를 용융하여 성형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층분리 장치는 큰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However, the details of the layer separation apparatus that can be used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ymer film of the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contents, and the layer separation apparatus known to be used in the process of melting and molding the polymer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vailable

상기 기재 필름 형성 단계는 상기 공압출된 결과물 또는 상기 다층화된 공압출 결과물을 필름 형태로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출 과정에서는, 고분자 수지의 압출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압출 다이는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기재 필름의 두께를 보다 균일하게 하거나 또는 기재 필름에 배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T형 다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orming of the base film may include extruding the coextruded product or the multilayered coextrusion product into a film form. In the extrusion process, an extrusion die known to be used for extrusion of a polymer resin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but a T-type die may be used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more uniform or to prevent orientation of the base film. Preference is given to using.

한편, 상기 형성되는 기재 필름은 미연신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이 미연신 필름의 형태인 경우에는, 낮은 모듈러스 및 높은 변형률을 갖게 되어 높은 팽창이 발생하는 타이어 성형공정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미연신 필름에서는 결정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반복되는 변형에 의해서도 크랙 등과 같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연신 필름은 특정 방향으로의 배향 및 물성의 편차가 크지 않기 때문에 균일한 물성을 갖는 이너라이너를 얻을 수 있다. Meanwhile, the formed base film may be an unstretched film. When the base film is in the form of an unstretched film, it has a low modulus and a high strain rate and can be suitably applied to a tire forming process in which high expansion occurs. In addition, since crystallization hardly occurs in the unstretched film, damage such as cracks can be prevented even by repeated deformation. In addition, since the unstretched film does not have a large variation in orient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in a specific direction, an inner liner having uniform physical properties can be obtained.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 필름 형성 단계는, 상기 제1수지 및 제2수지의 공압출 결과물을 기계 방향(MD : Machine Direction) 또는 횡방향(TD; Transverse direction)으로 연신시키지 않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조되는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은 공압출 미연신 기재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orming of the base film may be performed so as not to stretch the coextrusion result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in a machine direction (MD) or a transverse direction (TD). Accordingly, the polymer film for the inner liner manufactured may include a coextruded unstretched base film.

상기 제1수지 및 제2수지의 공압출 결과물을 냉각하여 0.2 ㎛ 내지 3,000㎛, 또는 2 ㎛ 내지 2,500㎛, 또는 4 ㎛ 내지 2,000㎛ 두께의 필름 형태의 기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공압출 단계에서 얻어지는 용융 압출물은 소정의 온도로 냉각되면서 균일한 두께를 갖는 필름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oling the coextruded product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to form a base film in the form of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0.2 μm to 3,000 μm, or 2 μm to 2,500 μm, or 4 μm to 2,000 μm. have. The melt extrudate obtained in the coextrusion step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to a film having a uniform thickness while being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상기 냉각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장치나 방법이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공압출 과정의 결과물을 상온에서 냉각하거나 5℃ 내지 40℃의 온도로 유지되는 냉각부에서 고화시킬 수 있다. The specific apparatus or method that can be used in the cooling proces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he result of the coextrusion process may be cooled at room temperature or solidified in a cooling unit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5 ° C to 40 ° C.

한편, 상기 기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압출기 토출량과 다이의 폭 또는 갭, 그리고 냉각롤의 권취 속도등을 조합하여 토출되는 용융 수지 시트의 두께를 조절하거나, Air Knife 와 Air nozzle, Vacuum장치 및 정전기 Edge Pinning 장치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밀착 시켜 냉각 시킴으로써 기재 필름의 두께를 0.2 ㎛ 내지 3,000㎛, 또는 2 ㎛ 내지 2,500㎛, 또는 4 ㎛ 내지 2,000㎛으로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ep of forming the base film,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molten resin sheet discharged by combining the extruder discharge amount, the width or gap of the die, the winding speed of the cooling roll, or the like, the air knife and air nozzle, vacuum apparatus and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may be adjusted to 0.2 μm to 3,000 μm, or 2 μm to 2,500 μm, or 4 μm to 2,000 μm by cooling by uniformly adhering and cooling using an electrostatic edge pinning device.

한편, 상기 구현예의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제1수지가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만을 필수적인 성분으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수지가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만을 필수적인 성분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ymer film of the embodiment, the first resin may include only the polyamide resin as an essential component, the second resin is the polyamide segment and poly-ether (poly-ether) Only the copolymer including the system segment may be included as an essential component.

또한, 상기 제1수지는 상술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에 추가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esin may further include a copolymer including a polyamide segment and a polyether segment in addition to the polyamide resin described above.

상기 제2수지는 상술한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에 추가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esin may further include a polyamide-based resin in addition to the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그리고, 상기 제1수지는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지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수지에 비하여 상기 제1수지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resin further comprises a copolymer including a polyamide-based segment and a polyether-based segment, and the second resin further includes a polyamide-based resin, In comparison, the first resin may include more polyamide-based resin.

상술한 제1수지와 상술한 제2수지를 공압출함에 따라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로부터 구현되는 높은 기밀성과 함께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로부터 발현되는 엘라스토머적 성질을 함께 가질 수 있다. As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described above are co-extruded, they are expressed from a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with high airtightness realized from the polyamide-based resin. It can have a combination of elastomeric properties.

한편, 상기 제1수지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및 상기 제2수지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간의 차이가 5중량% 내지 85중량%, 또는 10중량% 내지 85중량%, 또는 25중량% 내지 80중량%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first resin and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second resin is 5% to 85% by weight, or 10% to 85% by weight Weight percent, or 25 weight percent to 80 weight percent.

상기 제1수지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및 상기 제2수지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간의 차이가 5중량% 내지 85중량% 범위이면, 상기 구현예의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공되는 공압출 필름은 보다 높은 기밀도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제1수지 및 제2수지에 포함되는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의 함량이 적정 범위로 조절됨에 따라서 상기 공압출 필름이 높은 성형성 및 탄성 등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first resin and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second resin is in the range of 5% by weight to 85% by weight, the polymer film of the embodiment The coextruded film provid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may have a higher airtightness and durability,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ent of the poly-ether segment contained in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is adjusted to an appropriate range. Therefore, the coextrusion film may have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moldability and elasticity.

구체적으로, 상기 제1수지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및 상기 제2수지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간의 차이가 5중량% 내지 85중량% 범위 내에서, 상기 제1수지는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5 중량% 내지 100중량% 또는 30 내지 100중량%와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 0중량% 내지 95중량% 또는 0 중량% 내지 70중량%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지는 상기 폴라아마이드계 수지 0중량% 내지 95중량% 또는 0 내지 80중량%; 및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 5중량% 내지 100중량% 또는20 중량% 내지 10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first resin and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second resin is within the range of 5% to 85% by weight, The first resin is 5% to 100% by weigh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or 0 to 95% by weight of the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Or 0 wt% to 70 wt%, and the second resin includes 0 wt% to 95 wt% or 0 wt% to 80 wt% of the polyamide resin; And 5 wt% to 100 wt% or 20 wt% to 100 wt% of the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제1수지로부터 형성되는 제1수지층의 양면에 상기 제2수지로부터 형성되는 제2수지층 2개가 각각 적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3개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기재 필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성된 3개층의 적층 구조가 반복하여 적층됨으로서 3개층 초과의 복층 구조를 갖는 기재 필름층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ymer film of the embodiment, two second resin layers formed from the second resin may be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esin layer formed from the first resin, and thus, three layers may be laminated. A base film layer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can be formed. In addition, since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three layers formed is repeatedly stacked, a base film lay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of more than three layers may be formed.

이와 같이 제조되는 3개층 또는 그 이상의 적층 구조를 갖는 기재 필름층을 포함한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이 공기입 타이어에 적용되면, 상기 2개의 제2수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1수지층으로 인하여 보다 높은 기밀성이 달성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2개의 제2수지층이 보다 높은 탄성 및 낮은 모듈러스 특성을 확보하게 하여 상기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이 그리 높지 않은 모듈러스를 나타낼 수 있으며 고온에서 상기 필름의 강직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고온에서 결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polymer film for innerliner including a base film layer having three or more laminated structures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a pneumatic tire, it is higher due to the first resin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two second resin layers. While airtightness can be achieved, the two second resin layers can ensure higher elasticity and low modulus characteristics, so that the polymer film for the innerliner may exhibit a not very high modulus, and the rigidity of the film increases at high temperatures. It can suppress and crystallize at high temperature.

한편, 상기 제1수지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2수지에 포함되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2.5 내지 4.0 또는 3.0 내지 3.8의 상대점도(황산96% 용액)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상대점도가 2.5미만일 경우에는 인성(toughness) 저하로 인하여 충분한 신율이 확보되지 않아 타이어 제조시나 자동차 운행시 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 열에 대한 결정화 속도가 빨라져 기재 필름의 강직화(Brittleness) 현상 제어를 통한 결정화 지연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상대 점도가 4.0초과일 경우에는 제조되는 기재 필름의 모듈러스 또는 점도가 불필요하게 높아질 수 있고, 제조 공정의 효율 및 경제성 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타이어 이너라이너가 적절한 성형성 또는 탄성을 갖기 어려울 수 있고,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 및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와의 혼용성이 저하되어 기재 필름의 물성 불균일을 야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lyamide-based resin included in the first resin or the second resin may have a relative viscosity (96% solution of sulfuric acid) of 2.5 to 4.0 or 3.0 to 3.8. When the relative viscosity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s less than 2.5, sufficient elongation may not be secured due to a decrease in toughness, which may cause damage during tire manufacturing or driving a vehicle, and speed up crystallization of heat to increase rigidity of the base film. Brittleness) The effect of delaying crystallization through phenomenon control can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When the relative viscosity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s more than 4.0, the modulus or viscosity of the substrate film to be manufactured may be unnecessarily high, and the efficiency and economic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be lowered, and the tire innerliner may have appropriate moldability or It may be difficult to have elasticity, and the compatibility with the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may be deteriorated, which may cause physical property unevenness of the base film.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상대 점도는 상온에서 황산 96% 용액을 사용하여 측정한 상대 점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시편(예를 들어, 0.025g 의 시편)을 상이한 농도로 황산 96% 용액에 녹여서 2이상의 측정용 용액을 제조한 후(예를 들어,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시편을 0.25g/dL, 0.10g/dL, 0.05 g/dL의 농도가 되도록 96% 황산에 녹여서 3개의 측정용 용액 제작), 25℃에서 점도관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용 용액의 상대 점도(예를 들어, 황산 96%용액의 점도관 통과시간에 대한 상기 측정용 용액의 평균 통과 시간의 비율)를 구할 수 있다.The relative viscosity of the polyamide-based resin refers to the relative viscosity measured using a 96% sulfuric acid solution at room temperature. Specifically, a sample of a certain polyamide-based resin (for example, 0.025 g of specimen) is dissolved in 96% sulfuric acid solution at different concentrations to prepare two or more measurement solutions (for example, a polyamide-based resin specimen). Dissolve in 96% sulfuric acid to make concentrations of 0.25 g / dL, 0.10 g / dL, and 0.05 g / dL, and make three measuring solutions), and the relative viscosity of the measuring solution using a viscosity tube at 25 ° C. (for example, , The ratio of the average passage time of the measurement solution to the viscosity tube passage time of 96% sulfuric acid solution can be obtained.

상기 제1수지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2수지에 포함되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2.5 내지 4.0의 상대점도(황산96% 용액)를 갖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종류의 큰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구체적인 종류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46,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10, 나일론 612, 나일론 6/66의 공중합체, 나일론 6/66/610 공중합체, 나일론 MXD6, 나일론 6T, 나일론 6/6T 공중합체, 나일론 66/PP 공중합체 및 나일론 66/PPS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N-알콕시알킬화물, 예를 들어 6-나일론의 메톡시메틸화물, 6-610-나일론의 메톡시메틸화물 또는 612-나일론의 메톡시메틸화물을 들 수 있다. The polyamide-based resin contained in the first resin or the second resin may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kind as long as it has a relative viscosity of 2.5 to 4.0 (96% sulfuric acid solution).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clude nylon 6, nylon 66, nylon 46, nylon 11, nylon 12, nylon 610, nylon 612, nylon 6/66 copolymer, nylon 6/66/610 copolymer, nylon MXD6, nylon 6T, nylon 6 / 6T copolymers, nylon 66 / PP copolymers and nylon 66 / PPS copolymers; Or N-alkoxyalkylates thereof, for example, methoxymethylate of 6-nylon, methoxymethylate of 6-610-nylon or methoxymethylate of 612-nylon.

또한, 상기 제1수지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2수지에 포함되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상이한 2종 이상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마이드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yamide-based resin contained in the first resin or the second resin may include a polyamide-based copolymer including two or more different repeating units.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공중합체는 상이한 2종 이상의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공중합체의 반복 단위 중 적어도 1종이 하기 화학식1의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lyamide-based copolymer may include two or more different repeating units, and at least one of the repeating units of the polyamide-based copolymer may include a repeating unit of Formula 1 below.

[화학식1][Formula 1]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1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1

그리고,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1의 반복 단위 이외로 하기 화학식2 또는 화학식3의 반복 단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yamide-based copolymer may further include repeating units of the following Formula 2 or Formula 3 in addition to the repeating units of Formula 1.

[화학식2][Formula 2]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2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2

상기 화학식2에서, R1은 탄소수 2 내지 4 또는 탄소수 6 내지 15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아릴알킬렌기이다. In Formula 2, R 1 is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ene group having 2 to 4 carbon atoms or 6 to 15 carbon atoms,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ary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Alkylene group.

[화학식3][Formula 3]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3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3

상기 화학식3에서, R2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이고, R3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아릴알킬렌기이다.In Formula 3, R 2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R 3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C7-C20 linear or branched arylalkylene group.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2의 반복 단위 0.5 중량% 내지 20중량% 또는 1 내지 18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lyamide-based copolymer may include 0.5 wt% to 20 wt% or 1 to 18 wt% of the repeating unit of Formula 2.

또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3의 반복 단위 0.5 중량% 내지 20중량% 또는 1 내지 18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amide-based copolymer may include 0.5 to 20% by weight or 1 to 18% by weight of the repeating unit of Formula 3.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공중합체는 2종 이상의 단량체를 사용하여 합성할 수 있으며,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아마이드계 고분자를 공중합하여 얻어질 수 있다.The polyamide-based copolymer may be synthesized using two or more kinds of monomers, or may be obtained by copolymerizing two or more kinds of polyamide-based polymers.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공중합체는 카프로락탐(ε-Caprolactam)에 추가하여 2-Azetidinone, 2-Pirrolidone, δ-Valerolactam, 1-Aza-2-Cyclooctanone, 2-Azacyclononanone, 10-Aminodecanoic acid, 11-Aminoundecanoic acid , Laurolactam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단량체로 하여 합성될 수 있으며, 디카르복실산과 디아민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lyamide-based copolymer is 2-Azetidinone, 2-Pirrolidone, δ-Valerolactam, 1-Aza-2-Cyclooctanone, 2-Azacyclononanone, 10-Aminodecanoic acid, 11 in addition to caprolactam -Aminoundecanoic acid, Laurolactam or a mixture thereof can be synthesized as a monomer, and can be synthesized using a dicarboxylic acid and a diamine compound selectively.

상기 사용 가능한 카르복실산으로는 Malonic acid, Succinic acid, Glutaric acid, Adipic acid, Pimelic acid, Suberic acid, Azelaic acid, Sebacic acid, Dodecanedioic acid, Isophtalic acid, Terephtalic aci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가능한 디아민 화합물로는 1,4-Diaminobutane, 1,5-Diaminopentane, Hexametylene diamine, 1,7-Diaminoheptane, 1,8-Diaminooctane, 1,10-Decanediamine, m-Xylene diami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The usable carboxylic acid may include Malonic acid, Succinic acid, Glutaric acid, Adipic acid, Pimelic acid, Suberic acid, Azelaic acid, Sebacic acid, Dodecanedioic acid, Isophtalic acid, Terephtalic acid, or mixtures thereof. In addition, the usable diamine compounds include 1,4-Diaminobutane, 1,5-Diaminopentane, Hexametylene diamine, 1,7-Diaminoheptane, 1,8-Diaminooctane, 1,10-Decanediamine, m-Xylene diamine or mixtures thereof Can be mentioned.

또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1의 반복 단위를 포함한 고분자와 상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3의 반복 단위를 포함한 고분자를 공중합함으로서도 합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amide-based copolymer may be synthesized by copolymerizing a polymer including a repeating unit of Formula 1 and a polymer including a repeating unit of Formula 2 or Formula 3.

한편, 상기 제1수지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2수지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는 50,000 내지 500,000, 또는 70,000 내지 250,000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미만이면, 제조되는 기재 필름이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에 사용하기 충분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고,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0초과이면, 고온으로 가열시 기재 필름의 모듈러스 또는 결정화도가 과하게 증가하여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으로서 가져야 할 탄성 또는 탄성회복율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Meanwhile, the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included in the first resin or the second resin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0 to 500,000, or 70,000 to 250,000. have.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is less than 50,000, the substrate film to be produced may not secure sufficient mechanical properties for use in the polymer film for innerliner, and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is more than 500,000, it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As the modulus or crystallinity of the base substrate film is excessively increased,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elasticity or elastic recovery rate to have as the polymer film for innerliner.

상기 공중합체의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는 하기 화학식 11 또는 화학식12의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lyamide-based segment of the copolymer may include a repeating unit of Formula 11 or Formula 12 below.

[화학식11][Formula 11]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4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4

상기 화학식11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아릴알킬렌기이다. In Formula 11, R 1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a linear or branched arylalkylene group having 7 to 20 carbon atoms.

[화학식12][Formula 12]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5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5

상기 화학식12에서, R2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기이고, R3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arylene)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아릴알킬렌기이다. In Formula 12, R 2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or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R 3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rylene groups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straight or branched arylalkylene groups having 7 to 20 carbon atoms.

한편, 상기 공중합체의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는 알킬렌 옥사이드(alkylene oxide, '-Akyl-O-') 그룹을 포함하는 반복 단위를 의미하며, 중합 반응에 참여하는 폴리에테르계 수지 또는 이의 전구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olyether segment of the copolymer refers to a repeating unit including an alkylene oxide ('-Akyl-O-') group, and is formed from a polyether resin or a precursor thereof that participates in a polymerization reaction. Can be.

상기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수지 또는 이의 유도체에 포함될 수 있는 주요 반복 단위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수지의 말단이 아민기, 카르복실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으로 치환된, 바람직하게는 아민기로 치환된 유도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디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 디아민,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디아민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폴리에테르계 수지에 포함되는 주요 반복 단위일 수 있다. The polyether segment may be a main repeating unit that may be included in a polyalkylene glycol resin or a derivative thereof. In this case, the polyalkylene glycol derivative may have an amine group, a carboxyl group, or an isocyanate group at the terminal of the polyalkylene glycol resin. It may be a derivative substituted with, preferably substituted with an amine group. Preferably, the polyether segment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polytetramethylene glycol, polyoxyethylene diamine, polyoxypropylene diamine, polyoxytetramethylene diamine, and copolymers thereof. It may be a main repeating unit included in the polyether resin.

또한, 상기 공중합체의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는 하기 화학식 13의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yether segment of the copolymer may include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3.

[화학식13][Formula 13]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6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6

상기 화학식13에서, R5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이고,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고, R6 및 R7은 서로 같거나 다를수 있고, 각각 직접결합, -O-, -NH-, -COO- 또는 -CONH- 이다. In Formula 13, R 5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n is an integer of 1 to 100, R 6 and R 7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a direct bond, -O- , -NH-, -COO- or -CONH-.

상기 제조 방법에서 얻어지는 기재 필름 중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의 총 함량이 2 내지 40중량%, 또는 3내지 30중량%, 또는 4 내지 20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의 함량이 기재 필름 전체 중 2중량%미만이면, 상기 기재 필름 또는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의 모듈러스가 높아져서 타이어의 성형성이 저하되거나, 반복적인 변형에 따른 물성 저하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의 함량이 기재 필름 전체 중40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의 기밀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접착제에 대한 반응성이 저하되어 이너라이너가 카커스 층에 용이하게 접착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기재 필름의 탄성이 증가하여 균일한 필름을 제조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The total content of the polyether segment in the base film obtain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may be 2 to 40% by weight, or 3 to 30% by weight, or 4 to 20%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polyether-based segment is less than 2% by weight of the entire base film, the modulus of the base film or the polymer film for the inner liner is increased to reduce the moldability of the tire or to significantly decrease the physical properties due to repeated deformation. have. When the content of the polyether-based segment exceeds 40% by weight of the entire base film, the airtightness of the polymer film for the inner liner may be lowered, the reactivity to the adhesive is lowered, the inner liner is easily adhered to the carcass layer The following may be difficult, and the elasticity of the base film may be increased, and thus it may not be easy to prepare a uniform film.

상술한 기재 필름 중 상기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의 함량비[2 중량% 내지 40중량%]가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를 소정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content ratio [2 wt% to 40 wt%] of the polyether segment in the base film is maintained, the copolymer may include the polyamide segment and the polyether segment in a predetermined weight ratio. Can be.

예를 들어,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 및 상기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를 1:9 내지 9:1, 또는 2:8 내지 8:2, 또는 3:7 내지 7: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may include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in a range of 1: 9 to 9: 1, or 2: 8 to 8: 2, or It may be included in the weight ratio of 3: 7 to 7: 3.

또한, 상술한 기재 필름 중 상기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의 함량비[2 중량% 내지 40중량%, 또는 4 내지 20중량%가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수지 및 제2수지를 9:1 내지 1:9, 또는 8:2 내지 2:8의 중량비로 사용하여 공압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in the range of the content ratio [2% by weight to 40% by weight, or 4 to 20% by weight of the polyether-based segment in the above-described base film, from 9: 1 to 9: It can be coextruded using a weight ratio of 1: 9 or 8: 2 to 2: 8.

또한, 상기 제1수지가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제2수지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제조되는 기재 필름 중 상기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의 함량비[2 중량% 내지 40중량%, 또는 4 내지 20중량%]가 유지되도록 제1수지 및 제2수지의 사용 중량비를 조절하여 공압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first resin further comprises a copolymer including a polyamide-based segment and a polyether-based segment, or the second resin further comprises a polyamide-based resin, The content ratio [2% by weight to 40% by weight, or 4 to 20% by weight] of the polyether-based segment in the base film may be coextruded by adjusting the use weight ratio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한편, 상기 제1수지 및 제2수지 각각은 내열제, 가교제 및 산화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상기 제1수지 및 제2수지 각각에 0.001 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sins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eat resistant agent, a crosslinking agent, and an antioxidant. Such additives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1% by weight to 10% by weight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sins.

또한,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포함한 접착층은,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상기 기재 필름층의 일 표면에 도포함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 필름을 상기 기재 필름층의 일면에 라미네이트 시킴으로서도 형성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n adhesive layer including a resorcinol-formalin-latex (RFL) adhesive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The adhesive layer including the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may be formed by coating a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layer, and the resorcinol- It can also be formed by laminating an adhesive film comprising a 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layer.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접착층의 형성 단계는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상기 형성된 기재 필름의 일 표면 또는 양 표면 상에 코팅한 후, 건조하는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형성되는 접착층은 0.1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는 레소시놀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2 내지 32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 및 라텍스 68 내지 98 중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의 구체적인 성분 등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Preferably, the forming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performed by coating a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formed base film and then drying. The formed adhesiv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0.1 to 20 ㎛, preferably 0.1 to 10 ㎛. The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may be 2 to 32% by weight, preferably 10 to 20% by weight and latex 68 to 98% by weight, preferably 80 to 80%, of a condensate of resorcinol and formaldehyde. 90 weight percent. More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components of the resorcinol-formalin-latex (RFL) adhesive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한 제1수지층; 및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포함한 제2수지층을 함유한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rst resin layer containing a polyamide-based resin; And a base film including a second resin layer including a copolymer including a polyamide-based segment and a polyether-based segment.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한 제1수지와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포함한 제2수지를 공압출하면 상기 제1수지층 및 제2수지층을 함유한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resin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resin and the second resin including the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are coextruded,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coextrusion film for innerliner containing the base film containing a 2nd resin layer can be manufactured.

이러한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은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한 제1수지층로부터 구현되는 높은 기밀성과 함께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포함한 제2수지층로부터 발현되는 엘라스토머적 성질을 함께 가질 수 있다. The coextruded film for the inner liner may include a second water including a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together with high airtightness implemented from the first resin layer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resin. It may have the elastomeric properties expressed from the strata.

이에 따라, 상기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은 얇은 두께로도 우수한 기밀성을 구현하여 타이어를 경량화하고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타이어 제조 과정이나 자동차 주행 과정에서도 우수한 내구성 및 내피로특성과 함께 높은 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현예의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은 우수한 기밀성, 예를 들어 동일 두께에서 타이어에 일반적으로 사용 되는 부틸고무 등에 비해 10 내지 20 배 정도의 기밀성을 나타내면서도, 그리 높지 않은 모듈러스를 나타내어 고온에서 필름의 강직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고온에서 결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extrusion film for the inner liner realizes excellent airtightness even at a thin thicknes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ire weight and improve fuel efficiency of a vehicle, and have high elasticity as well as excellent durability and fatigue resistance in a tire manufacturing process or a vehicle driving process. Can be secured. Specifically, the co-extruded film for the inner liner of the embodiment has excellent airtightness, for example, 10 to 20 times the airtightness compared to butyl rubber generally used in tires at the same thickness, but not very high modulus to show a high temperature The increase in the rigidity of the film can be suppressed and the crystallization at high temperature can be prevented.

상기 기재 필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수지층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수지층를 포함하는 2층 이상의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base film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resin layer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resin layers.

상기 제1수지층과 제2수지층을 포함하는 기재 필름을 포함함에 따라서, 상기 구현예의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은 보다 향상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높은 탄성 및 낮은 모듈러스 특성을 가질 수 있다. As the base film including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is included, the coextrusion film for the innerliner of the embodiment may have high elasticity and low modulus characteristics while ensuring improved airtightness.

특히,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및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함께 포함하는 동등한 두께의 고분자 필름에 비하여, 상기 구현예의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이 보다 높은 기밀도와 함께 향상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extrusion film for innerliner of the above embodiment is more effective than the polymer film of the same thickness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resin and the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together. Improved durability can be achieved with high airtightness.

상기 제1수지층은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만을 필수적인 성분으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수지층은 상기 공중합체만을 필수적인 성분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The first resin layer may include only the polyamide-based resin as an essential component, and the second resin layer may include only the copolymer as an essential component.

또한, 상기 제1수지층은 상술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에 추가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sin layer may further include a copolymer including a polyamide-based segment and a polyether-based segment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polyamide-based resin.

상기 제2수지층은 상술한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에 추가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resin layer may further include a polyamide resin in addition to the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 segment and the polyether segment.

그리고, 상기 제1수지층은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지층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수지층에 비하여 상기 제1수지층이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resin layer further includes a copolymer including a polyamide-based segment and a polyether-based segment, and the second resin layer further includes a polyamide-based resin. Compared with the ground layer, the first resin layer may include more polyamide-based resin.

한편, 상기 제1수지층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및 상기 제2수지층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간의 차이가 5중량% 내지 85중량%, 또는 10중량% 내지 85중량%, 또는 25중량% 내지 80중량%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second resin layer is 5% to 85% by weight, or 10% by weight To 85% by weight, or 25% to 80% by weight.

상기 제1수지층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및 상기 제2수지층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간의 차이가 상기 범위이면, 상기 구현예의 공압출 필름이 보다 높은 기밀도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제1수지층 및 제2수지층에 포함되는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의 함량이 적정 범위로 조절됨에 따라서 상기 공압출 필름이 높은 성형성 및 탄성 등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second resin layer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coextrusion film of the embodiment may have a higher airtightness. The coextruded film may have high moldability and elasticity as the content of the polyether-based segment included in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is adjusted to an appropriate range.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상기 제1수지층은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5 중량% 내지 100중량% 또는 30 내지 100중량%와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 0중량% 내지 95중량% 또는 0 중량% 내지 70중량%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지층은 상기 폴라아마이드계 수지 0중량% 내지 95중량% 또는 0 내지 80중량%; 및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 5중량% 내지 100중량% 또는20 중량% 내지 10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resin layer is 5% to 100% by weigh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or 30 to 100% by weight and 0% by weight of the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polyether-based segment To 95% by weight or 0% to 70% by weight. In addition, the second resin layer is 0% to 95% or 0 to 80% by weight of the polyamide resin; And 5 wt% to 100 wt% or 20 wt% to 100 wt% of the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한편, 상기 기재 필름은 상기 제1수지층과 상기 제1수지층에 비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덜 포함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제2수지층을 포함하는 2층 이상의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film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types of second resin layers containing less polyamide-based resin than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first resin layer.

즉, 상술한 바와 같이, 1종류의 제1수지와 상기 제1수지에 비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덜 포함하는(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더 많이 포함) 적어도 1종류 이상, 또는 2종류 이상의 제2수지를 공합출 함으로서 2층 이상의 복층 구조를 갖는 기재 필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제1수지층과 상기 제1수지층에 비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덜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제2수지층을 포함하는 기재 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copolymer further includes one kind of the first resin and less polyamide-based resin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than the first resin). It is possible to form a base film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by co-extracting at least one or more kinds or two or more kinds of second resins, and thus, compared with one first resin layer and the first resin layer. A base film including one or more second resin layers containing less polyamide-based resin may be formed.

한편, 상기 기재 필름 중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의 총 함량이 2 내지 40중량%, 또는 3내지 30중량%, 또는 4 내지 20중량%일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 중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의 총 함량은 기재 필름 전체 중량에 대한 상기 제2수지층 및 제1수지층에 포함될 수 있는 공중합체 중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의 중량의 합의 비율로서 구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otal content of the polyether segment in the base film may be 2 to 40% by weight, or 3 to 30% by weight, or 4 to 20% by weight. The total content of the polyether-based segments in the base film is a ratio of the sum of the weights of the polyether-based segments in the copolymer which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resin layer and the first resin layer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base film. Can be saved.

상기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의 함량이 기재 필름 전체 중 2중량%미만이면, 상기 기재 필름 또는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의 모듈러스가 높아져서 타이어의 성형성이 저하되거나, 반복적인 변형에 따른 물성 저하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의 함량이 기재 필름 전체 중40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의 기밀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접착제에 대한 반응성이 저하되어 이너라이너가 카커스 층에 용이하게 접착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기재 필름의 탄성이 증가하여 균일한 필름을 제조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If the content of the polyether-based segment is less than 2% by weight of the entire base film, the modulus of the base film or the inner liner polymer film is increased to reduce the moldability of the tire or to significantly decrease the physical properties due to repeated deformation. have. When the content of the polyether-based segment exceeds 40% by weight of the entire base film, the airtightness of the polymer film for the inner liner may be lowered, the reactivity to the adhesive is lowered, the inner liner is easily adhered to the carcass layer The following may be difficult, and the elasticity of the base film may be increased, and thus it may not be easy to prepare a uniform film.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공압출 필름에서는 상기 제1수지층의 양면에 상기 제2수지층 2개가 각각 적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3개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기재 필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성된 3개층의 적층 구조가 반복하여 적층됨으로서 3개층 초과의 복층 구조를 갖는 기재 필름층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extrusion film of the embodiment, two second resin layers may be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first resin layer, and thus a base film layer having a three-layer laminated structure may be formed. In addition, since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three layers formed is repeatedly stacked, a base film lay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of more than three layers may be formed.

이와 같이 제조되는 3개층 또는 그 이상의 적층 구조를 갖는 기재 필름층을 포함한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이 공기입 타이어에 적용되면, 상기 2개의 제2수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1수지층으로 인하여 보다 높은 기밀성이 달성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2개의 제2수지층이 보다 높은 탄성 및 낮은 모듈러스 특성을 확보하게 하여 상기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이 그리 높지 않은 모듈러스를 나타낼 수 있으며 고온에서 상기 필름의 강직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고온에서 결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polymer film for innerliner including a base film layer having three or more laminated structures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a pneumatic tire, it is higher due to the first resin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two second resin layers. While airtightness can be achieved, the two second resin layers can ensure higher elasticity and low modulus characteristics, so that the polymer film for the innerliner may exhibit a not very high modulus, and the rigidity of the film increases at high temperatures. It can suppress and crystallize at high temperature.

상기 제1수지층에 포함되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와 상기 제2수지층에 포함되는 공중합체가 공압출 과정에서 화학적 반응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수지층과 제2수지층은 가교 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수지층과 제2수지층 사이에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와 상기 공중합체 간의 가교 반응물이 포함된 계면층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olyamide-based resin included in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copolymer included in the second resin layer may chemically react in the coextrusion process, and thus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may be crosslinked. An interfacial layer including a crosslinking reaction between the polyamide-based resin and the copolymer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상기 제1수지층 및 제2수지층 각각이 0.1㎛ 내지 300㎛, 또는 1㎛ 내지 250㎛, 또는 2㎛ 내지 2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수지층 및 제2수지층을 포함하는 상기 기재 필름은 0.2 ㎛ 내지 3,000㎛, 또는 2 ㎛ 내지 2,500㎛, 또는 4 ㎛ 내지 2,000㎛, 또는40 ㎛ 내지 40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0.1 μm to 300 μm, or 1 μm to 250 μm, or 2 μm to 200 μm. The base film including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0.2 μm to 3,000 μm, or 2 μm to 2,500 μm, or 4 μm to 2,000 μm, or 40 μm to 400 μm.

상기 제1수지층에 포함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2수지층에 포함될 수 있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2.5 내지 4.0의 상대점도(황산96% 용액)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라이마이드계 수지의 상대 점도와 구체적인 종류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polyamide-based resin that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resin layer or optionally included in the second resin layer may have a relative viscosity of 2.5 to 4.0 (96% sulfuric acid solution). The content regarding the relative viscosity and specific types of the polyimide-based resin is as described above.

상기 제2수지층에 포함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수지층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는 50,000 내지 5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The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 segment and the polyether segment, which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resin layer or optionally included in the first resin lay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0 to 500,000. have. More specific information 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is as described above.

상기 제1수지층 및 제2수지층 각각은 내열제, 가교제 및 산화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상기 제1수지층 및 제2수지층 각각에 0.001 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eat resistant agent, a crosslinking agent, and an antioxidant. Such an additiv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1% by weight to 10% by weight in each of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상기 기재 필름이 실질적으로 연신되지 않은 미연신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이 미연신 필름의 형태인 경우에는, 낮은 모듈러스 및 높은 변형률을 갖게 되어 높은 팽창이 발생하는 타이어 성형공정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미연신 필름에서는 결정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반복되는 변형에 의해서도 크랙 등과 같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정 방향으로의 배향 및 물성의 편차가 크지 않기 때문에 균일한 물성을 갖는 이너라이너를 얻을 수 있다. The base film may be an unstretched film that is not substantially stretched. When the base film is in the form of an unstretched film, it has a low modulus and a high strain rate and can be suitably applied to a tire forming process in which high expansion occurs. In addition, since the crystallization phenomenon hardly occurs in the unstretched film, damage such as cracks can be prevented even by repeated deformation, and the inner liner having uniform physical properties because the variation in the orient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in a specific direction is not large. Can be obtained.

한편, 상기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은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extrusion film for the inner liner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including a resorcinol-formalin-latex (RFL) adhesive.

상기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층은 상기 기재 필름 및 타이어 카커스 층에 대해서도 우수한 접착력 및 접착 유지 성능을 가지며, 이에 따라 타이어의 제조 과정 또는 운행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열 또는 반복적 변형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과 카커스 층간 계면의 파단을 방지하여 상기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이 충분한 내피로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The adhesive layer including the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has excellent adhesion and adhesion retention performance to the base film and the tire carcass layer, and thus, heat generated during tire manufacturing or driving Alternatively, the inner liner polymer film may have sufficient fatigue resistance by preventing fracture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inner liner polymer film and the carcass layer caused by repeated deformation.

상술한 접착층의 주요 특성은 특정한 조성을 갖는 특정의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포함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전의 이너라이너용 접착제로는 고무 타입의 타이검 등이 사용되었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가황 공정이 필요하였다. 이에 반하여, 상기 접착층은 특정 조성의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포함하여, 상기 기재 필름에 대하여 높은 반응성 및 접착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두께를 그리 늘리지 않고도 고온 가열 조건에서 압착하여 상기 기재 필름과 타이어 카커스 층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어의 경량화 및 자동차 연비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고, 타이어 제조 과정 또는 자동차 운행 과정에서의 반복되는 변형 등에도 카커스 층과 이너라이너층 또는 상기 기재 필름과 접착층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층은 타이어 제조 과정이나 자동차 운행 과정에서 가해질 수 있는 물리/화학적 변형에 대해서도 높은 내피로 특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고온 조건의 제조 과정이나 장기간 기계적 변형이 가해지는 자동차 운행 과정 중에도 접착력 또는 다른 물성의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The main properties of the adhesive layer described above appear to be due to the inclusion of certain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s having a specific composition. As the adhesive for the inner liner, a rubber type tie gum or the like was used, and thus an additional vulcanization process was required. In contrast, the adhesive layer includes a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having a specific composition, and has high reactivity and adhesion to the base film, and is compressed under high temperature heating conditions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The base film and the tire carcass layer may be firmly bond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tire and to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the automobile, and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separating the carcass layer and the inner liner layer or the base film and the adhesive layer even during repeated deformation in the tire manufacturing process or the automobile driving process. Can be.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layer may exhibit high fatigue resistance against physical and chemical deformations that may be applied during tire manufacturing or driving, the adhesive force may be applied eve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or during the driving of a vehicle in which mechanical deformation is applied for a long time. The degradation of other physical properties can be minimized.

뿐만 아니라, 상기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는 라텍스와 고무간의 가교 결합이 가능하여 접착 성능을 발현하며, 물리적으로 라텍스 중합물이기 때문에 경화도가 낮아 고무와 같이 유연한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레소시놀-포르말린 중합물의 메티롤 말단기와 기재 필름간의 화학결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기재 필름에 상기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적용하게 되면, 충분한 접착 성능과 함께 높은 성형성 및 탄성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s are capable of crosslinking between latex and rubber, thereby exhibiting adhesive performance, and because they are physically latex polymers, have low curing properties and thus have flexible properties such as rubber. , Chemical bonding between the metirol end of the lesosinol-formalin polymer and the base film is possible. Accordingly, when the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is applied to the base film, high moldability and elasticity may be realized together with sufficient adhesive performance.

상기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는 레소시놀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2 내지 32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 및 라텍스 68 내지 98 중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may be 2 to 32% by weight, preferably 10 to 20% by weight and latex 68 to 98% by weight, preferably 80 to 80%, of a condensate of resorcinol and formaldehyde. 90 weight percent.

상기 레소시놀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은 레소시놀과 포름알데히드를 1:0.3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2.5의 몰비로 혼합한 후 축합 반응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소시놀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은 우수한 접착력을 위한 화학반응 측면에서 전체 접착층 총량에 대하여 2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적정한 내피로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32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The condensate of resorcinol and formaldehyde may be obtained by mixing the resorcinol and formaldehyde in a molar ratio of 1: 0.3 to 1: 3.0, preferably 1: 0.5 to 1: 2.5, and then condensation reaction. In addition, the condensate of the resorcinol and formaldehyde may be included in more than 2%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amount of the adhesive layer in terms of chemical reaction for excellent adhesion, and may be included in less than 32% by weight in order to secure proper fatigue resistance properties. have.

상기 라텍스는 천연고무 라텍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라텍스, 클로로프렌 고무라텍스 및 스티렌/부타디엔/비닐피리딘 고무라텍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상기 라텍스는 소재의 유연성과 고무와의 효과적인 가교 반응을 위해 전체 접착층 총량에 대하여 68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기재필름과의 화학반응과 접착층의 강성을 위해 98 중량% 이하로 포함된다. The latex may be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tural rubber latex, styrene / butadiene rubber latex, acrylonitrile / butadiene rubber latex, chloroprene rubber latex and styrene / butadiene / vinylpyridine rubber latex. The latex may be included in more than 68%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amount of the adhesive layer for the flexibility of the material and the effective crosslinking reaction with the rubber, it is included in 98% by weight or less for the chemical reaction with the base film and the rigidity of the adhesive layer.

또한, 상기 접착층은 레소시놀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및 라텍스와 함께, 표면장력 조절제, 내열제, 소포제, 및 필러 등의 첨가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중 표면장력 조절제는 접착층의 균일한 도포를 위해 적용하지만, 과량 투입시 접착력 하락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 접착층 총량에 대하여 2 중량% 이하 또는 0.0001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또는 0.0001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면장력 조절제는 술폰산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황산에스테르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카르복시산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인산에스테르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플루오르계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폴리실록산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additives such as a surface tension modifier, a heat resistant agent, an antifoaming agent, and a filler, together with a condensate and latex of resorcinol and formaldehyde. At this time, the surface tension modifier of the additive is applied for uniform application of the adhesive layer, but may cause a problem of the adhesive force drop when the excessive input, it is less than 2% by weight or 0.0001 to 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adhesive layer, preferably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wt% or less or 0.0001 to 0.5 wt%. In this case, the surface tension modifiers sulfonate anionic surfactant, sulfate ester salt anionic surfactant, carboxylate anionic surfactant, phosphate ester salt anionic surfactant, fluorine-based surfactant, silicone-based surfactant and polysiloxane-based surfactant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n be used.

상기 접착층은 0.1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7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 ㎛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의 일 표면 또는 양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 두께는 너무 얇으면 타이어 팽창시 접착층 자체가 더욱 얇아질 수 있고, 카커스층 및 기재필름 사이의 가교 접착력이 낮아질 수 있으며, 접착층 일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피로 특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이 너무 두꺼우면 접착층에서의 계면 분리가 일어나 피로 특성이 떨어질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0.1 to 20 μm, preferably 0.1 to 10 μm, more preferably 0.2 to 7 μm, even more preferably 0.3 to 5 μm, and one surface of the coextrusion film for innerliner. Or on both surfaces. If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too thin, the adhesive layer itself may be thinner when the tire is inflated, the crosslinking adhesive force between the carcass layer and the base film may be lowered, and stress may be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adhesive layer, thereby reducing fatigu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when the adhesive layer is too thick, interfacial separation may occur in the adhesive layer, thereby reducing fatigue characteristics.

그리고, 타이어의 카커스 층에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을 접착시키기 위하여 기재 필름의 일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다층의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을 적용하는 경우 혹은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이 비드부를 감싸는 등의 타이어 성형 방법 및 구조설계에 따라 양면에 고무와 접착이 필요한 경우 기재 필름의 양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in order to adhere the polymer film for innerliner to the carcass layer of the tire, it is common to form an adhesive layer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but in the case of applying a multilayer polymer film for innerliner or the polymer film for innerliner According to the tire forming method and structural design such as wrapping, it is preferable to form an adhesive layer on both sides of the base film when rubber and adhesion are required on both sides.

한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pneumatic tire including the co-extrusion film for the inner liner may be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은 얇은 두께로도 우수한 기밀성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공기입 타이어는 이전에 알려진 공기입 타이어에 비하여 경량화되어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bove-described coextrusion film for innerliner can realize excellent airtightness even with a thin thickness, the pneumatic tire can be lighter than the previously known pneumatic tire to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the automobile.

뿐만 아니라, 상기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은 높은 탄성 및 내구성을 확보하여 고온의 조건에서 큰 변형이 이루어지는 타이어 제조 과정이나 반복적인 변형이 계속적으로 가해지는 자동차 주행 과정에서도 필름 자체가 결정화 되거나 필름 내부에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공기입 타이어는 높은 주행 안정성 및 형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extruded film for the inner liner ensures high elasticity and durability, so that the film itself crystallizes or the inside of the film even during a tire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a large deformation is made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or a vehicle driving process in which repeated deformation is continuously applied. The occurrence of damage such as cracks can be prevented, and accordingly, the pneumatic tire can secure high running stability and shape stability.

상기 공기입 타이어는 상술한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을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통상적으로 알려진 공기입 타이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pneumatic tire may have a structure of a commonly known pneumatic tire except for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extrusion film for the inner liner.

예를 들어, 상기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연속된 한 쌍의 숄더부; 상기 숄더부 각각에 연속된 한 쌍의 사이드월부; 상기 사이드월부 각각에 연속된 한 쌍의 비드부; 상기 트레드부, 숄더부, 사이드월부 및 비드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바디 플라이부; 상기 트레드부 내측면과 바디 플라이부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벨트부 및 캡플라이부; 및 상기 바디 플라이부 내측에 결합된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neumatic tire is a tread portion; A pair of shoulder parts each connected to both sides about the tread part; A pair of sidewall portions continuous to each of the shoulder portions; A pair of bead portions continuous to each of the sidewall portions; A body fly part formed inside the tread part, the shoulder part, the side wall part, and the bead part; A belt portion and a cap fly portion sequentially stacked between the tread portion inner surface and the body fly portion; And it may include a co-extrusion film for the inner liner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fly.

본 발명에 따르면, 얇은 두께로도 우수한 기밀성을 구현하여 타이어를 경량화하고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타이어 제조 과정이나 자동차 주행 과정에서도 우수한 내구성 및 내피로특성과 함께 높은 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과, 상기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제조 방법 및 상기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을 포함한 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excellent airtightness even at a thin thickness to lighten the tire and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the car, and to secure high elasticity with excellent durability and fatigue resistance in the tire manufacturing process or the driving process of the car. A pneumatic tire including a co-extrusion film for a liner, a manufacturing method capable of providing the co-extrusion film for the inner liner, and the co-extrusion film for the inner liner may be provided.

상기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을 사용하면, 타이어 컴파운드의 변경 또는 트레드 디자인의 변화 없이도 타이어 전체 중량을 낮추어서 자동차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자동차 주행 안정성이나 타이어의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using the co-extrusion film for the innerlin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vehicle fuel efficiency by reducing the overall tire weight without changing the tire compound or the tread design, and improve the vehicle running stability or the shape stability of the tire.

도1은 공기입 타이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피드 블록을 사용하여 복층 구조의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3은 실시예에서 사용한 층 분리장치(interfacial surface generator)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 pneumatic tire.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structure film using a feed block in the embodiment.
Fig. 3 schematically shows an interfacial surface generator used in the embodiment.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vention is explain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to illustrate the invention, bu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 실시예Example : : 이너라이너용For inner liner 고분자 필름의 제조] Preparation of Polymer Film]

<< 실시예1Example 1 >>

(1) 기재 필름의 제조 (1) Production of base film

ε-카프로 락탐으로부터 제조된 3.6의 상대점도(황산 96% 용액)를 갖는 나일론 6수지와 아민기 말단의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주쇄로 하는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 및 ε-카프로락탐으로부터 유래한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중량평균분자량 110,000의 공중합체(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의 중량비는 1:3)를 6: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1수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3.6의 상대점도(황산 96% 용액)를 갖는 나일론 6수지와 상기 중량평균분자량 110,000의 공중합체를 4: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2수지를 제조하였다.prepared from ε-caprolactam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110,000 comprising a nylon 6 resin having a relative viscosity of 3.6% solution (96% sulfuric acid solution) and a polyether-based segment having a polypropylene oxide at the end of the amine group and a polyamide-based segment derived from ε-caprolactam The first resin was prepared by mixing a copolymer of (polyether-based segment: polyamide-based segment weight ratio of 1: 3) in a weight ratio of 6: 4. In addition, a second resin was prepared by mixing a nylon 6 resin having a relative viscosity (3.6% solution of sulfuric acid) of 3.6 and the copolymer having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10,000 in a weight ratio of 4: 6.

상기 제1수지 및 제2수지를 각각 건조한 후, 2대의 압출기 및 3층 구조의 피드 블럭(Feed Block)을 이용하여 기재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제1압출기에는 제1 수지층(B층)을 구성하는 원료인 상기 제1수지를 투입하여 255℃에서 압출하였으며, 제 2압출기에는 제2수지층(A층)을 구성하는 원료인 상기 제2수지를 투입하여 260℃에서 압출하였다.After drying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respectively, a base film was manufactured by using two extruders and a feed block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and a first resin layer (B layer) was formed in the first extruder. The first resin, which is a raw material, was added and extruded at 255 ° C, and the second extruder, which was a raw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resin layer (A layer), was extruded at 260 ° C.

도2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다층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압출 다이 상부에 3층 구조의 피드 블럭(Feed Block)을 설치하였으며, 제1 수지층(B층)이 내층(Core-Layer)을 형성하고, 제 2수지층(A층)이 표층(Skin-Layer)을 형성하는 3층 구조의 다층 필름의 용융수지 흐름[제2 수지층(A층)/제1수지층(B층)/제2수지층(A층)]을 제조하였다.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ure 2, to form a multi-layer structure, a three-layer feed block (Feed Block) was installed on the extrusion die, the first resin layer (B layer) forms an inner layer (Core-Layer) Melt flow of the multilayer film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resin layer (A layer) forms a surface layer (Skin-Layer) [second resin layer (A layer) / first resin layer (B layer) / agent 2 resin layer (A layer)] was produced.

상기와 같은 구조 및 조성으로 형성된 다층 필름의 용융수지 흐름을 T형 다이(다이 갭[Die Gap]- 1.5 mm) 를 통하여 압출하고, 20℃로 조절되는 냉각롤 표면에 Air Knife를 사용하여 용융 수지를 균일한 두께의 필름상으로 냉각 고화시켜 15m/min의 속도로 100㎛의 두께를 갖는 3층 구조의 미연신 기재 필름을 얻었다. 이때, 하나의 제2수지층(A층)이 전체 기재 필름 두께의 10%를 차지하였고, 제1수지층(B층)이 전체 기재필름 두께에 있어서 80%를 차지하였다.
The molten resin flow of the multilayer film formed with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is extruded through a T-type die (die gap [1.5 mm]), and molten resin is used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roll controlled at 20 ° C. using air knife. Was cooled and solidified into a film of uniform thickness to obtain a three-layer unstretched ba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at a speed of 15 m / min. At this time, one second resin layer (A layer) accounted for 10% of the total base film thickness, and the first resin layer (B layer) occupied 80% of the total base film thickness.

(2) 접착제의 도포(2) application of adhesive

레조시놀과 포름알데히드를 1:2의 몰비로 혼합한 후, 축합 반응시켜 레소시놀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을 얻었다. 상기 레소시놀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12 중량%와 스티렌/부타디엔-1,3/비닐피리딘 라텍스 88 중량%를 혼합하여 농도 20%인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얻었다. Resorcinol and formaldehyde were mixed in a molar ratio of 1: 2, and then 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to obtain a condensate of resorcinol and formaldehyde. 12% by weight of the condensate of resorcinol and formaldehyde and 88% by weight of styrene / butadiene-1,3 / vinylpyridine latex were mixed to obtain a resorcinol-formalin-latex (RFL) adhesive having a concentration of 20%.

그리고, 이러한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얻어진 3층 구조의 미연신 기재 필름 상에 코팅하고 150 ℃에서 1분간 건조 및 반응시켜 3 ㎛의 두께의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Then, the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was coated on the obtained non-stretched base film of the three-layer structure by using a gravure coater, dried and reacted at 150 ° C. for 1 minute, and then th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3 μm Formed.

<< 실시예2Example 2 >>

(1) 기재 필름의 제조 (1) Production of base film

ε-카프로 락탐 95중량%와 2-아자사이클로노나논(2 -Azacyclononanone) 5중량%를 사용하여 합성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상대점도(황산 96% 용액) 3.8]와 아민기 말단의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주쇄로 하는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 및 ε-카프로락탐으로부터 유래한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00의 공중합체(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의 중량비는 1:4)를 7: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1수지를 제조하였다. Polyamide-based resin [relative viscosity (96% solution of sulfuric acid solution 3.8)] synthesized using 95% by weight of ε-caprolactam and 5% by weight of 2-azacyclononanone and polypropylene oxide at the amine group end A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including a polyether-based segment having a main chain and a polyamide-based segment derived from ε- caprolactam (the weight ratio of the polyether-based segment: polyamide-based segment is 1: 4) 7: Mixing at a weight ratio of 3 to prepare a first resin.

그리고,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상대점도(황산 96% 용액) 3.8]와 상기 중량평균분자량 100,000의 공중합체를 4: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2수지를 제조하였다.The second resin was prepared by mixing the polyamide-based resin (relative viscosity (96% solution of sulfuric acid) 3.8) and the copolymer having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at a weight ratio of 4: 6.

그리고,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 100,000의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하여 또 다른 하나의 제2수지로 사용하였다. The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was used alone as another second resin.

그리고, 상기 제1수지 및 상기 2종류의 제2수지를 사용하고, 3대의 압출기, 3층 구조의 피드 블럭(Feed Block) 및 2개의 연속적으로 연결된 2층 분리 장치(2 Channel interfacial surface generator)를 이용하여 기재 필름을 제조하였다. Then, using the first resin and the two kinds of second resins, three extruders, a three-layered feed block, and two serially connected two-channel separators (2 channel interfacial surface generators) are used. To prepare a base film.

구체적으로, 제1압출기에는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및 상기 중량평균분자량 100,000의 공중합체를 7:3의 중량비로 혼합한 제1수지를 건조한 후, 투입하고 255℃에서 압출하였으며, 제 2압출기에는 상기 또 다른 하나의 제2수지(중량평균 분자량 100,000의 공중합체)를 건조한 후 투입하고 260℃에서 압출하였으며, 제 3압출기에는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및 상기 중량평균분자량 100,000의 공중합체를 4:6의 중량비로 혼합한 제2수지를 건조한 후, 투입하고 260℃에서 압출하였다.Specifically, in the first extruder, after drying the first resin mixed with the polyamide-based resin and the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at a weight ratio of 7: 3, the mixture was introduced and extruded at 255 ° C. Another second resin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was dried and extruded at 260 ° C. The third extruder contained a 4: 6 copolymer of the polyamide-based resin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After drying the second resin mixed by weight ratio, it was added and extruded at 260 ℃.

상기 압출 이후, 다층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2층 분리 장치 상부에 설치된 3층 구조의 피드 블럭(Feeder-Block)에서, 상기 제1압출기에서 압출된 결과물로부터 내층(Core-Layer)을 형성하고(B층) 상기 제2압출기 및 제3압출기에서 압출된 결과물로부터 각각 표층(Skin-Layer)을 형성하여(A층 및 C층) 3층 구조를 갖는 용융수지 흐름을 형성하였다[A층/B층/C층]. After the extrusion, a core layer is formed from the resultant extruded by the first extruder in a feeder block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installed on the two-layer separation device to form a multilayer structure (B Layer) Skin layers (Skin-Layer) were formed from the resultant extruded in the second extruder and the third extruder (A layer and C layer) to form a molten resin stream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A layer / B layer / C floor].

피드블럭에서 형성된 “A층/B층/C층”의 3층 구조에 있어서 A층의 두께가 3층 구조의 전체 두께에 있어서 5%를 차지하고, B층의 두께가 3층 구조의 전체 두께에 있어서 85%를 차지하며, C층의 두께가 3층 구조의 전체 두께에 있어서 10%를 차지하도록 층 구조를 구성하였다.In the three-layer structure of “A layer / B layer / C layer” formed from the feed block, the thickness of the layer A accounts for 5%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three layer structure, and the thickness of the layer B is the total thickness of the three layer structure. Accounted for 85%, and the layer structure was constructed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C layer accounted for 1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three-layer structure.

연속하여 상기 3층 구조의 용융수지 흐름을 보다 얇은 두께로 다층화 시키기 위해 피드블록에 연속하여 연결된 2층 분리장치(2-Channel interfacial surface generator)를 이용하여 층을 분리하고 적층시켜 다층화 하였다. 즉, 피드블럭에서 형성된 “A층/B층/C층”의 3층 구조를 첫 번째 2층 분리장치(2-Channel interfacial surface generator)에 통과시켜 3층 구조를 분리 및 적층하여 6층 구조(“A/B/C/A/B/C”)로 다층화 시켰으며, 연속하여 두 번째 2층 분리장치(2-Channel interfacial surface generator)에 통과시켜 동일한 방법으로 6층 구조를 분리 및 적층하여 12층 구조 (“A/B/C/A/B/C/A/B/C/A/B/C”)를 형성시켰다. In order to successively multiply the melt flow of the three-layer structure to a thinner thickness, the layers were separated and stacked by using a 2-channel interfacial surface generator continuously connected to a feed block. That is, the three-layer structure of “A layer / B layer / C layer” formed from the feed block is passed through the first 2-channel interfacial surface generator to separate and stack the three layer structure to form a six layer structure ( Multi-layered with “A / B / C / A / B / C”), successively passed through a second 2-channel interfacial surface generator to separate and stack the six-layer structure in the same way. A layer structure (“A / B / C / A / B / C / A / B / C / A / B / C”) was formed.

상기와 같은 구조 및 조성으로 형성된 다층 필름의 용융수지 흐름을 T형 다이(다이 갭[Die Gap]- 1.5 mm) 를 통하여 압출하고, 18℃로 조절되는 냉각롤 표면에 Air Knife를 사용하여 용융 수지를 균일한 두께의 필름상으로 냉각 고화시켜 10 m/min의 속도로 100㎛의 두께를 갖는 다층 구조의 미연신 기재 필름을 얻었다.
The molten resin flow of the multilayer film formed with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is extruded through a T-type die (Die Gap-1.5 mm), and the molten resin is used by using an air knife on the surface of a cooling roll controlled at 18 ° C. Was cooled and solidified into a film with a uniform thickness to obtain an unstretched base film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at a rate of 10 m / min.

(2) 접착제의 도포 (2) application of adhesive

레조시놀과 포름알데히드를 1:2의 몰비로 혼합한 후, 축합 반응시켜 레소시놀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을 얻었다. 상기 레소시놀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15중량%와 스티렌/부타디엔-1,3/비닐피리딘 라텍스 85중량%를 혼합하여 농도 25%인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얻었다. Resorcinol and formaldehyde were mixed in a molar ratio of 1: 2, and then 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to obtain a condensate of resorcinol and formaldehyde. 15% by weight of the condensate of resorcinol and formaldehyde and 85% by weight of styrene / butadiene-1,3 / vinylpyridine latex were mixed to obtain a resorcinol-formalin-latex (RFL) adhesive having a concentration of 25%.

그리고, 이러한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얻어진 12층 구조의 미연신 기재 필름 상에 코팅하고 150 ℃에서 1분간 건조 및 반응시켜 5 ㎛두께의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In addition, the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was coated on the obtained non-stretched base film having a 12-layer structure using a gravure coater, dried and reacted at 150 ° C. for 1 minute to form an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 μm. Formed.

<<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

실험예1Experimental Example 1 : 내열 인성Heat resistance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기재 필름의 내열 인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The heat toughness of the base film obtained in the said Example was measured as follows.

상기 기재 필름을 23℃, 상대습도 50%조건에서 24시간 방치 후, 170℃ 열풍오븐에서 1시간 방치한 직후에 연속하여 100℃ 열풍오븐에서 1시간 방치한 직후, 23℃, 상대습도 50%환경하에서 상기 기재 필름의 시료장을 30mm 및 시료폭 30mm로 하고, 인장속도를 300mm/min로 하여 만능인장시험기(Instron社, Tensile test machine)를 이용하여 열처리된 기재 필름의 종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횡방향(TD; Transverse Direction)에 대한 파단 강도 및 파단 신율을 각각 10회 측정하여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한 8개 값에 대한 평균치를 구하였다.After leaving the substrate film at 23 ° C. and 50% relative humidity for 24 hours, immediately after being left at 170 ° C. hot air oven for 1 hour, immediately after being left at 100 ° C. hot air oven for 1 hour, at 23 ° C. and 50% relative humidity environment. The length of the substrate film heat treated using a universal tensile tester (Tensile test machine, Instron, Inc.) at a sample length of 30 mm and a sample width of 30 mm and a tensile speed of 300 mm / min under )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in 10) and transverse directions (TD) were measured 10 times, respectively, and averaged over 8 values except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상기 열처리시 외부 환경에 의한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인장시험용 시편은 열처리전에 측정에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열처리 후, 물성의 변화를 최소화하였으며, 열처리후 15분 이내에 측정을 완료하였다.In order to minimize the deviation caus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during the heat treatment, the tensile test specimen was cut to the size necessary for measurement before heat treatment, after the heat treatment to minimize the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and the measurement was completed within 15 minutes after the heat treatment.

상기 열처리후 기재 필름의 파단 강도 및 파단 신율 값을 이용하여 하기 일반식1과 같이 기재 필름의 종방향(MD) 및 횡방향(TD)에 대한 내열인성을 구하였다.After the heat treatment, the thermal toughness of the base film (MD)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D) of the base film was determined using the breaking strength and the breaking elongation value of the base film.

<일반식 1><Formula 1>

기재 필름 내열 인성(Toughness; MPa) = 파단 강도(MPa) x SQRT [파단신도(%)] Base Film Toughness (MPa) = Breaking Strength (MPa) x SQRT [Elongation at Break (%)]

(여기서, SQRT는 Square Root를 의미함.)
(SQRT stands for Square Root.)

실험예2Experimental Example 2 : 산소 투과도 실험: Oxygen Permeability Experiment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타이어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에 대해 ASTM D 1434 방법으로, Gas Transmission Rate Tester (Model BR-1/BT-2, Toyoseiki Seisaku-Sho사 제품)을 사용하여 25도 60RH% 분위기하에서 산소투과도를 측정하였다.
The polymer film for tire innerliner obtained in the above example was subjected to ASTM D 1434 method using a gas transmission rate tester (Model BR-1 / BT-2, manufactured by Toyoseiki Seisaku-Sho) in oxygen at 25 degrees 60 RH% atmosphere. Permeability was measured.

실험예3Experimental Example 3 : 성형의 용이성 측정 : Easy measurement of molding

상기 실시예의 타이어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을 적용하여 205R/65R16규격으로 타이어를 100본씩 제조하였다. 타이어 제조공정 중 그린타이어 제조 후, 제조 용이성 및 외관을 평가하였고 이후 가류 후 타이어의 최종 외관을 검사하였다.By applying the polymer film for tire inner liner of the above embodiment, 100 tires were manufactured in 205R / 65R16 specifications. After the production of the green tire during the tire manufacturing process, the ease of manufacture and appearance were evaluated, and the final appearance of the tire after vulcanization was then examined.

이때, 그린타이어 또는 가류 후의 타이어에 찌그러짐이 없고, 직경의 표준편차가 5%이내인 경우 '양호'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그린타이어 또는 가류 후의 타이어에 찌그러짐이 발생하여 타이어가 제대로 제작되지 않거나 타이어 내부의 이너라이너가 녹거나 찢어져 파손된 경우 또는 직경의 표준편차가 5%를 초과인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At this time, if the tire after the green tire or vulcanization is not crushe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diameter is within 5% was evaluated as 'good'. In addition, when the tire is not properly manufactured due to crushing of the tire after the green tire or the vulcanization, or the inner liner inside the tire is melted or torn or broken, the tire is evaluated as 'bad'.

상기 실시예의 타이어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을 적용하여 제조된 타이어 100본에 대해 양호한 외관을 가지는 타이어의 본수를 확인하여 성형용이성을 평가하였으며, 하기 일반식 2와 같이 성형용이성을 구하였다.With respect to 100 tires manufactured by applying the polymer film for tire innerliner of the above embodiment, the number of tires having a good appearance was confirmed to evaluate molding ease, and molding ease was obtained as in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2).

<일반식2><Formula 2>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7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7

실험예4Experimental Example 4 : 내구성 측정 실험Durability Measurement Experiment

FMVSS139 타이어 내구성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하중을 증가시키며 실험예 3에서 제조된 타이어의 내구성을 실험 평가하였다. 이러한 내구성 측정은 Step Load 방식으로 하중을 증가시키는 Endurance Test와 속도를 증가시키는 High Speed Test의 2가지 방법으로 실시하여 타이어내부의 크랙 유무를 확인하여 크랙이 없을 경우 '양호', 발생했을 경우 '불량'으로 표기 하였다.The FMVSS139 tire durability measurement method was used to increase the load and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the tire manufactured in Experimental Example 3. This durability measurement is performed by two methods, Endurance Test which increases the load by using the Step Load method and High Speed Test which increases the speed,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 crack inside the tire. '

상기 실험예 3의 방법으로 타이어의 최종 외관을 평가하여 외관이 ?英?한 타이어를 20본씩 선별하여 각각 10본씩 Endurance Test 및 High Speed Test를 진행하여 ?㈆? 발생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타이어 10본에 대해 내구성 측정후 ?㈆?발생이 없는 ?英?한 타이어의 본수로 하기 일반식 3와 같이 Endurance Test 및 High Speed Test에 따른 타이어의 내구성을 구하였다. By evaluating the final appearance of the tire by the method of Experimental Example 3, 20 tires were selected for each appearance, and each of the ten tires was subjected to an endurance test and a high speed test. After the durability measurement, ten tires were used as the number of tires without any occurrence of durability, and the tire durability according to Endurance Test and High Speed Test was calculated as in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3).

<일반식3> <Formula 3>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8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8

실험예5Experimental Example 5 : 공기압 유지 성능 측정 : Air pressure holding performance measurement

실험예 3에서 제조된 타이어를 ASTM F1112-06법을 이용하여 21℃온도에서 101.3kPa 압력하에서 하기 일반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90 일간 공기압 유지율(IPR: Internal Pressure Retention)을 측정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The tire produced in Experimental Example 3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internal pressure retention (IPR: Internal Pressure Retention) for 90 days as shown in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4) under the pressure of 101.3kPa at 21 ℃ temperature using ASTM F1112-06 method.

<일반식4>  <Formula 4>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9

Figure 112013121326788-pat00009

상기 실험예 1 내지 5의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The results of Experimental Examples 1 to 5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2Example 2 산소 투과도 [cc/(㎡·24hr·atm)]Oxygen Permeability [cc / (㎡ · 24hr · atm)] 5858 4545 기재필름
내열인성(MPa)
Base Film
Heat Toughness (MPa)
종방향(MD)Longitudinal direction (MD) 1,6521,652 1,5871,587
횡방향(TD)Transverse (TD) 1,3991,399 1,2501,250 성형 용이성(%)Moldability (%) 100100 9999 타이어 내구성
(%)
Tire durability
(%)
Endurance TestEndurance Test 100100 100100
High Speed TestHigh Speed Test 100100 100100 공기압 유지율(%)Air pressure retention rate (%) 97.197.1 97.897.8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이너라이너용 고분자 필름은 약 103㎛ 내지 105㎛의 두께에서도 60 cc/(㎡·24hr·atm) 이하의 산소 투과도를 나타내어 얇은 두께로도 우수한 기밀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우수한 성형성과 함께 타이어로 적용시 높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기재필름의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 1250 MPa 이상의 내열 인성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As shown in Table 1, the polymer film for innerliner obtained in the above embodiment exhibits an oxygen permeability of 60 cc / (m 2 · 24hr · atm) or less even at a thickness of about 103 μm to 105 μm, thereby providing excellent airtightness even at a thin thickness. It can be realized, it can be ensured high durability when applied to the tire with excellent moldability, and both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ase film can be confirmed that it can have a heat resistance of 1250 MPa or more.

Claims (35)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5중량% 내지 100중량%와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 0중량% 내지 95중량%를 포함한 제1수지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0중량% 내지 95중량% 및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 5중량% 내지 100중량%를 포함하는 제2수지를 공압출하는 기재 필름 형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지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및 상기 제2수지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간의 차이가 5중량% 내지 85중량%인, 타이어의 이너라이너로 사용되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First resin comprising 5% to 100% by weight of polyamide-based resin, 0% to 95% by weight of copolymer including polyamide-based segment and polyether-based segment, and 0% by weight of polyamide-based resin And a substrate film forming step of co-extruding a second resin including 5 wt% to 100 wt% of the copolymer including% to 95 wt% and a polyamide-based segment and a polyether-based seg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first resin (wt%) and the conten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second resin (wt%) is 5% to 85% by weight, used as an inner liner of the tire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fil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2.5내지 4.0의 상대점도(황산96% 용액)를 갖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olyamide-based resin has a relative viscosity (96% solution of sulfuric acid) of 2.5 to 4.0,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가 50,000 내지 5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polymer comprising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0 to 500,0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 형성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수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수지를 공압출하여 적어도 2층 이상을 포함한 복층 구조의 기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orming of the base film further includes forming a base film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two layers by co-extrus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irst resin and at least one or more second resin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 형성 단계는
상기 제1수지와 상기 제1수지에 비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덜 포함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제2수지를 공압출하여 2층 이상의 복층 구조의 기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film forming step
Co-extruding at least one or more types of second resins containing less polyamide-based resin than the first resin and the first resin to form a base film having a two-layer or more multilayer structure, the polymer film Manufacturing method.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출은 복층 구조의 기재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피드 블록을 사용하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said coextrusion uses the feed block which can form the base film of a multilayer structur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ymer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 형성 단계는 상기 공압출된 결과물을 적층하여 기재 필름을 다층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film forming step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acking the co-extruded result to multi-layer the base film,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출은 200℃ 내지 300℃에서 수행되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extrusion is carried out at 200 ° C to 300 ° C,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 형성 단계는, 상기 제1수지 및 제2수지의 공압출 결과물을 기계 방향(MD; Machine Direction) 또는 횡방향(TD; Transverse direction)으로 연신시키지 않도록 수행되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orming of the base film may be performed such that the coextrusion products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are not stretched in a machine direction (MD) or in a transverse direction (T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 및 제2수지의 공압출 결과물을 냉각하여 4㎛ 내지 2,000㎛ 두께의 필름 형태의 기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ooling the co-extrusion product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a base film in the form of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4 ㎛ to 2,000 ㎛,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 및 제2수지 각각은 내열제, 가교제 및 산화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eat resistant agent, a crosslinking agent and an antioxidant, wherein the polymer film produc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orming an adhesive layer comprising a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ase film,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film.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5중량% 내지 100중량%와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 0중량% 내지 95중량%를 포함한 제1수지층; 및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0중량% 내지 95중량% 및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 5중량% 내지 100중량%를 포함하는 제2수지층을 함유한 기재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지층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및 상기 제2수지층 중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함량(wt%) 간의 차이가 5중량% 내지 85중량%인,
이너라이너용 공압출 필름.
A first resin layer comprising 5 wt% to 100 wt% of a polyamide resin and 0 wt% to 95 wt% of a copolymer including a polyamide segment and a polyether segment; And a second resin layer comprising 0 wt% to 95 wt% of polyamide-based resin and 5 wt% to 100 wt% of a copolymer including a polyamide-based segment and a polyether-based segment. Inclu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content (wt%)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 the second resin layer is 5% to 85% by weight,
Coextrusion film for inner li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수지층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수지층를 포함하는 2층 이상의 복층 구조를 갖는, 공압출 필름.
The method of claim 19,
The base film has a two or more multilayer structure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resin layer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resin layer, co-extrusion film.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층 및 제2수지층 각각이 0.1㎛ 내지 300㎛의 두께를 갖는, 공압출 필름.
The method of claim 19,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each has a thickness of 0.1 ㎛ to 300 ㎛ coextrusion film.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층에 포함되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2.5 내지 4.0의 상대점도(황산96% 용액)를 갖는, 공압출 필름.
The method of claim 19,
The polyamide-based resin contained in the first resin layer has a relative viscosity (96% solution of sulfuric acid) of 2.5 to 4.0, the coextrusion film.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지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poly-ether)계 세그먼트를 포함한 공중합체가 50,000 내지 5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공압출 필름.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polymer including the polyamide-based segment and the polyether-based segment included in the second resin lay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0 to 500,0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 중 폴리에테르계 세그먼트의 총 함량이 2 내지 40중량%인, 공압출 필름
The method of claim 19,
Coextrusion film, wherein the total content of the polyether-based segment in the base film is 2 to 40% by weigh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상기 제1수지층과 상기 제1수지층에 비하여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덜 포함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제2수지층을 포함하는 2층 이상의 복층 구조를 갖는, 공압출 필름.
The method of claim 19,
The base film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types of second resin layers containing less polyamide-based resin than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first resin layer. The coextrusion film which has a multi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containing.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이 실질적으로 연신되지 않은 미연신 필름인, 공압출 필름.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extrusion film, wherein the base film is an unstretched film that is not substantially stretche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레조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공압출 필름.
The method of claim 19,
A co-extrusion film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ase film and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comprising a resorcinol-formalin-latex (RFL) -based adhesive.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0.1㎛ 내지 20 ㎛의 두께를 갖는, 공압출 필름.
33. The method of claim 32,
Th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0.1 ㎛ to 20 ㎛, co-extrusion film.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층 및 제2수지층 각각은 내열제, 가교제 및 산화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공압출 필름.
The method of claim 19,
Each of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eat resistant agent, a crosslinking agent, and an antioxidant.
제19항의 공압출 필름을 이너라이너로 포함한 공기입 타이어.
A pneumatic tire comprising the coextruded film of claim 19 as an inner liner.
KR1020130169222A 2013-12-31 2013-12-31 Preparatiom method of polymer film and coextrusion film KR1020317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222A KR102031788B1 (en) 2013-12-31 2013-12-31 Preparatiom method of polymer film and coextrusion film
EP20155354.2A EP3689594B1 (en) 2013-12-31 2014-12-30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mer film and co-extruded film
EP14877326.0A EP3090873B1 (en) 2013-12-31 2014-12-30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mer film and co-extruded film
CN201480076156.6A CN106029376B (en) 2013-12-31 2014-12-30 Manufacture the method and co-extrusion film of thin polymer film
PCT/KR2014/013055 WO2015102378A1 (en) 2013-12-31 2014-12-30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mer film and co-extruded film
US15/107,519 US10000002B2 (en) 2013-12-31 2014-12-30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mer film and co-extruded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222A KR102031788B1 (en) 2013-12-31 2013-12-31 Preparatiom method of polymer film and coextrusion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173A KR20150079173A (en) 2015-07-08
KR102031788B1 true KR102031788B1 (en) 2019-11-08

Family

ID=5379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222A KR102031788B1 (en) 2013-12-31 2013-12-31 Preparatiom method of polymer film and coextrusion fil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78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1325A1 (en) * 2011-10-04 2013-04-1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pneumatic tir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4793A (en) * 1990-12-21 1992-03-10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terfacial surfaces
KR20130035975A (en) * 2011-09-30 2013-04-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1325A1 (en) * 2011-10-04 2013-04-1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pneumatic ti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173A (en)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959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mer film and co-extruded film
KR102023166B1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3002603A2 (en) Film for tire inner 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475494B1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3002604A2 (en) Film for tire inner 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20002495A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3048207A2 (en) Film for tire inner l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3133666A1 (en) Film for tire inner liner, method for manufacturing film for tire inner liner, pneumatic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neumatic tire
KR102062816B1 (en) Polymer film
WO2014104864A1 (en) Cross-linked polymer, 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polymer film
KR20130035975A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293212B1 (en) Polymer film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KR101604276B1 (en) Multilayer body for preparing tire,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preparation method of pneumatic tire using the multilayer body
KR102031788B1 (en) Preparatiom method of polymer film and coextrusion film
KR101995475B1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27423B1 (en) Film for inner-liner
KR102031789B1 (en) Coextrusion film and preparatiom method of polymer film
KR102202591B1 (en) Coextrusion film
KR20130035978A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42802B1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neumatic tire, and preparation method of pneumatic tire
KR102123626B1 (en) Polymer film
KR20130009620A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02985B1 (en) Film for tire inner-l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40089010A (en) Conditioning method for tire inner liner film and preparation method of pneumatic tire
KR20170002897A (en) Polymer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