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781B1 - Accessory - Google Patents

Accessory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781B1
KR102031781B1 KR1020190009654A KR20190009654A KR102031781B1 KR 102031781 B1 KR102031781 B1 KR 102031781B1 KR 1020190009654 A KR1020190009654 A KR 1020190009654A KR 20190009654 A KR20190009654 A KR 20190009654A KR 102031781 B1 KR102031781 B1 KR 102031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rea
sides
bending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6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형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쥬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쥬에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쥬에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781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75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in an oscillating wa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ory, which is rocked from side to side as well as before and after, and has a simple production process. The accessory is of disposed on both sides and an upper side of a support port (2) for supporting the accessory (1) and is that an arm part (4) is interposed between a frame body (3) having a recessed part (30) at both inside, wherein the arm part (4) comprises a protruding mounting area (41) from the support port (2), an upward bending area (42), an additional extending area (43), and a support shaft (44) bent downward. Moreover, the upward bending area (42) has bending elasticity, thereby achieving the subject.

Description

장신구{ACCESSORY}Jewelry {ACCESSORY}

본 발명은, 보석(jewelry)과 결합하고 또한 펜던트(pendant), 브로치(brooch), 반지와 같이 신체에 장착하며, 또한 요동 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장신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jewelry that is combined with jewelry and is attached to the body, such as pendants, broochs and rings, and also enables oscillation.

근래, 보석을 요동 가능하게 하는 장신구가 제안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jewelry which makes a jewelry rockable is proposed.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보석과 걸어맞추는 2개의 내측 링 및 신체에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2개의 외측 링을 채용하고, 내측 링과 외측 링이 번갈아 서로 돌입하는 상태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요동 자유자재의 상태를 실현하고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two inner rings engaging with jewelry and two outer rings enabling attachment to the body are employed, and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alternately connect with each other in a state of inrushing. This realizes the state of the swing free material.

그러나 이와 같은 접속 상태인 경우에는, 두 쌍의 링의 마찰에 의해서, 요동 상태의 계속이 불충분하다.However, in this connection state, the continuation of the rocking state is insufficient due to the friction of the two pairs of rings.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보석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구(支持具)를 양측 및 상측에서 둘러싼 상태에 있는 프레임체의 상기 양측의 영역 중, 지지구와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지지구와 프레임체 사이에 개재하는 아암부에 있어서, 하측으로 됨에 따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인 피봇모양으로 하는 지지축이, 상기 오목부의 하측면과 당접(abut)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양측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전후 방향의 요동 자유자재의 상태를 실현하고 있다.In patent document 2, the recessed part is provided in the inner side which opposes the support tool among the area | regions of the said both sides of the frame body in the state which enclosed the support tool which supports the jewel on both sides and the upper side, and supports and a frame In the arm part interposed between the sieves, the support shaft which becomes a pivot shape which becomes a shape which becomes a taper as it becomes a lower side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the said both sides by abutting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aid recessed part. A state of swinging freedom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realized.

이와 같은 구성인 경우에는, 요동이 특허문헌 1의 구성보다도 매우 지속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 우수하다.In the case of such a structure, rocking | fluctuation is excellent in the point which can be carried out very much more than the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1.

단, 특허문헌 2의 구성인 경우에는, 양측의 방향인 좌우 방향의 요동 상태를 실현할 수가 없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2, the rocking | fluctuation state of the left-right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of both sides cannot be realized.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번갈아 서로 끼워넣는 두 쌍의 내측 링과 외측 링의 제조라고 하는 번잡한 제조 공정을 필요 불가결로 하고 있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the complicated manufacturing process called manufacture of two pairs of inner rings and outer rings which alternately fit each other is made indispensable.

특허문헌 2의 경우에 있어서도, 아암부의 지지축을 프레임체의 양측에 있어서의 상기 내측의 오목부의 하측면에 당접시키기 위해서는, 오목부의 양 외측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이탈(揷脫) 자유자재의 스토퍼를 설치함과 동시에, 오목부의 하측에 연직 방향으로 삽입이탈 자유자재의 스토퍼를 설치한다고 하는 각별한 설계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 있어서 제조 공정이 번잡하다.Also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in order to contact the support shaft of an arm par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aid inner side recessed part in both sides of a frame body, the stopper of a free insertion-and-release stopper horizontally on both outer sides of a recessed part is provided. At the same tim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in that it requires a special design such that a stopper of free insertion and removal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low the recess.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226462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3-226462 일본 특허공보 제5960336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960336

본 발명은, 보석이 전후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고, 게다가 제조 공정이 심플한 장신구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This invention makes it a subject to provide the structure of the jewelry with which jewelry can rock not only back and front but also to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신체에의 장착 대상으로 되는 프레임체, 보석을 지지하는 지지구, 및 프레임체와 지지구 사이에 개재하는 아암부로 이루어지는 장신구로서, 프레임체는, 지지구의 양측 및 상측에 배치되고, 또한 당해 양측의 영역 중, 지지구와 마주보는 내측에서 아암부와 걸어맞추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고, 아암부는, 지지구의 양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설치되고, 또한 당해 돌출설치 영역의 소정 위치에서 상측으로 굴곡된 다음에 추가로 수평 방향 양측으로 연장설치되어 있고, 게다가 당해 연장설치 영역의 소정 위치에서 하방측으로 굴곡되고, 또한 오목부의 하측면과 당접하고 있는 지지축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당접 위치보다도 보석 및 지지구의 무게중심 쪽이 하측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이 굽힘 탄성을 구비하는 것에 기초하여, 보석 및 지지구가 상기 양측 방향으로 요동하고, 또한 상기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의 양측을 지지구측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연장설치 영역 및 상기 지지축이 상기 오목부 내에 삽입되어 있는 장신구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nament comprising a frame to be attached to the body, a support for supporting jewelry, and an arm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support. And recesses arranged on both sides and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and engaging with the arm part on the inside facing the supporter in the regions on both sides, and the arm part protrudes horizontally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er. A support shaft which is bent upwar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rotruding mounting region and further extended to both s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urther bent downwar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extending mounting region, an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At the same tim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jewelry and the support is set to the lower side than the contact position, On the basis that the bending region to the upper side has bending elasticity, the jewel and the support swing to both sides, and the elastically deforming both sides of the bending region to the upper side to the support side, so that the extended installation region And an ornament in which the support shaft is inserted into the recess.

상기 기본 구성에 기초하는 본원 발명은, 프레임체와 지지구 사이에 개재하는 아암부에 의해서, 지지구 및 보석은, 상기 당접 상태를 원인으로 해서 전후 방향으로 요동할 뿐만 아니라,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이 굽힘 탄성을 갖는 것을 원인으로 해서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도 가능해져, 보석의 역동적인 요동 상태를 향수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basic configuration, the arm and the jewelry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support not only cause the support and the jewelry to sw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due to the abutment state, but also to bend upward. It is also possible to sw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ue to having the bending elasticity, and thus to realize the dynamic swinging state of the gemstone.

게다가, 아암부의 지지축과 양측의 프레임체의 오목부의 하측면과의 당접을 실현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2의 경우와 같은 삽입이탈 자유자재의 스토퍼를 설치하지 않고,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을 내측, 즉 지지구측으로 탄성 변형시킨 다음에, 아암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연장설치 영역 및 지지축을 오목부 내에 삽입한다고 하는 심플한 제조 공정을 채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realize contact between the support shaft of the arm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frame body on both sides, the bending region to the upper side is provided without the stopper of the insertion and removal free material as in the case of Patent Literature 2. That is, after elastically deforming to the supporter side, the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of inserting the extension part area | reg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an arm part, and a support shaft in a recessed part can be employ | adopted.

도 1a, 도 1b, 도 1c는 기본 구성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1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a는 프레임체, 지지구, 아암부로 이루어지는 전체 구성에 대해, 지지구의 양측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b는 지지구가 보석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 대해, 상기 좌우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c는 지지구가 보석을 지지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아암부와의 일체 형성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원륜(円輪)형상의 지지구에 대해, 좌우 및 상하에 배치된 원륜 형상의 프레임체를 채용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a는 프레임체, 지지구, 아암부로 이루어지는 전체 구성에 대해, 상기 좌우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b는 지지구 및 지지구로부터 양측으로 돌출설치된 아암부와의 일체 형성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아암부의 모든 단면이 원형이며, 게다가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이 상측으로 됨에 따라 단면적을 크게 설정한 실시형태로서, 도 3a는 아암부의 전측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3b는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 및 지지축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c는 돌출설치 영역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d는 수평 방향의 연장설치 영역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아암부의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에 있어서,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며, 게다가 좌우 방향의 변보다도 전후 방향의 변 쪽이 긴 실시형태로서, 도 4a는 좌우 방향 외측으로부터의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b는 수평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아암부의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에 있어서,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며, 게다가 좌우 방향의 변보다도 전후 방향의 변 쪽이 길고, 또한 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을 상측으로 됨에 따라 단면적을 크게 설정하고 있는 실시형태로서, 도 5a는 좌우 방향 외측으로부터의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5b는 수평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A, 1B, and 1C show an example of the embodiment in the basic configuration, and FIG. 1A is cut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ich is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 with respect to the entir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frame, the support, and the arm portion. 1B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n the case of cut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tool supports the jewelry, and FIG. 1C shows a case where the support tool does not support the jewelry. The perspective view of the integral formation state with the arm part of this is shown.
Fig. 2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circular-wheel-shaped frame body i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shaped support, and Fig. 2A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rame, the support, and the arm portion. The side sectional drawing at the time of cut | disconnecting in the said left-right direction is shown, and FIG. 2B shows the perspective view of the integrated state with the support part and the arm part protruding to both sides from the support part.
Fig. 3 is an embodiment in which all cross sections of the arm portion are circular, and the cross-sectional area is set to be larger as the bent region to the upper side becomes upper side. Fig. 3A shows a side view from the front side direction of the arm portion, and Fig. 3B shows the upper side. The cross s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a bending area | region and a support shaft is shown, FIG. 3C shows sectional draw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a protrusion installation area, and FIG. 3D shows sectional drawing in the vertical installation area of a horizontal direction.
FIG. 4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ross section is rectangular in shape in the bent region to the upper side of the arm portion, and the side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FIG. 4A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left-right direction outside. 4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5 i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the bent region to the upper side of the arm portion, and the s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similarly to the case of FIG. 3, the bent region to the upper side becomes the upper side. Accordingly, a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s set large, FIG. 5A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FIG. 5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처음에, 도 1에 입각해서, 본원의 장신구의 기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basic structure of the ornament of this applica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FIG.

상기 기본 구성은,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체에의 장착 또는 손바닥에 의한 파지 대상으로 되는 프레임체(3), 보석(1)을 목시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구(2), 및 프레임체(3)와 지지구(2) 사이에 개재하는 아암부(4)로 이루어지는 장신구로서, 프레임체(3)는, 지지구(2)의 양측 및 상측에 배치되고, 또한 당해 양측의 영역 중, 지지구(2)와 마주보는 내측에서 아암부(4)와 걸어맞추는 오목부(3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A, the basic configuration includes a frame 3 to be attached to a body or a gripping object by a palm, a support 2 for supporting the jewelry 1 in a visually visible state, and a frame body. As a trinket made of the arm part 4 interposed between (3) and the support tool 2, the frame body 3 is arrange | positioned at both sides and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tool 2, and in the area | region of the said both sides, The recessed part 30 which engages with the arm part 4 in the inner side facing the support tool 2 is provided.

게다가, 도 1a, 도 1b,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부(4)는, 지지구(2)의 양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설치되고, 또한 당해 돌출설치 영역(41)의 소정 위치에서 상측으로 굴곡된 다음에 또 수평 방향 양측으로 연장설치되어 있으며, 게다가 당해 연장설치 영역(43)의 소정 위치에서 하방측으로 굴곡되고, 또한 오목부(30)의 하측면과 당접하고 있는 지지축(44)을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to FIG. 1A, FIG. 1B, FIG. 1C, the arm part 4 protru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tool 2, and is upper side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aid protruding installation area 41. FIG. And the support shaft 44 which extends to both s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further bent downwar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extension area 43 and abuts against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ss 30. To form.

지지구(2)의 양측 및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프레임체(3)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만곡된 역 V자형의 형상뿐만 아니라,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구(2)의 하측까지 연장설치된 원륜 형상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프레임체(3)의 형상은 상기 각 도면의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rame body 3 disposed on both sides and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2 is not only the curved inverted V-shape as shown in FIG. 1A but als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er 2 as shown in FIG. 2A. It is also possible to employ a circular wheel shape which is extended up to the shape, but the shape of the frame body 3 is not limited only to the case of each said figure.

도 1b, 도 1c는, 전방에 돌출설치부(21)를 갖고, 또한 후방의 바닥부에 구멍을 갖는 용기모양의 지지구(2)를 나타내고, 도 2b는 전측에 고정부(留部)(22)를 갖는 지지구(2)의 형상을 나타내지만, 지지구(2)의 형상은 상기 각 도면의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석(1)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는 여러 가지 형상을 채용할 수가 있다.1B and 1C show a container-like support 2 having a protruding portion 21 at the front and a hole at the bottom at the rear thereof, and FIG. 2B is a fixed portion (front side) Although the shape of the supporter 2 which has 22) is shown, the shape of the supporter 2 is not limited only to the said each figure, The various shapes which support the jewelry 1 in a stable state are employable. There is a number.

도 1c는 판모양체로 이루어지는 아암부(4)를 나타내고, 도 2a, 도 2b는 단면이 원형인 아암부(4)를 나타내지만, 아암부(4)의 단면 형상은 상기 각 도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FIG. 1C shows the arm part 4 which consists of plate-shaped bodies, FIG. 2A and FIG. 2B show the arm part 4 which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rm part 4 is not limited only to each said figure. no.

상기 기본 구성의 아암부(4)는, 특허문헌 2 발명의 아암부(4)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입각하고 있지만,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42)이 굽힘 탄성을 갖고 있는 점에 있어서, 특허문헌 2 발명의 아암부(4)와 상위하다.Although the arm part 4 of the said basic structure is based on the structure fundamentally the same as the arm part 4 of patent document 2 invention, in the point which the bending area | region 42 to an upper side has bending elasticity, it is patent Document 2 is different from the arm portion 4 of the invention.

즉, 상기 기본 구성에 있어서는, 아암부(4)의 지지축(44)이 프레임체의 오목부(30)의 하측면과 당접하는 것에 의해서, 특허문헌 2 발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으로 요동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굽힘 탄성에 의해서 좌우 방향의 요동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한편, 특허문헌 2 발명의 경우에는, 아암부(4)를 프레임체의 오목부(30)에 삽입하기 위해서, 오목부(30)의 양 외측 및 양 하측에 삽입이탈 자유자재의 스토퍼를 설치하는 것을 필요 불가결로 하고 있는데 반해, 본원 발명의 경우에는, 아암부(4)의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42)을 지지축(44)측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서 아암부(4)의 지지축(44) 및 추가적인 연장설치 영역(43)을 오목부(30)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여, 심플한 제조 공정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은, 효과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That is, in the said basic structure, when the support shaft 44 of the arm part 4 abut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30 of a frame body, it swings back and forth similarly to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invention. In addition, the bending elasticity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fluctuatio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in the case of Patent Literature 2 invention, in order to insert the arm portion 4 into the recessed portion 30 of the frame body, the recessed portion While it is indispensable to provide a stopper of insertion and removal freedom at both outer and lower sides of the 30,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area 42 above the arm portion 4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By bending elastically in the direction of the (44) side, the support shaft 44 and the additional extension area | region 43 of the arm part 4 can be inserted in the recessed part 30, and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It is already explained while being able to realize Same as one.

또한, 굽힘 탄성을 갖는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42)에 적합한 소재로서는, 은, 백금(platinum), 놋쇠(眞鍮)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장식 효과도 발휘하고, 또한 겸용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Moreover, as a raw material suitable for the upper bending area | region 42 which has bending elasticity, silver, platinum, brass, and mixtures thereof are preferable in order to exhibit a decorative effect, and to use also.

상기 기본 구성에 있어서는, 지지축(44)이 양측의 오목부(30)의 하측면과 접속하는 위치보다도 보석(1) 및 지지구(2)의 무게중심 쪽이 하측인 것으로 인해, 안정된 요동 상태를 계속할 수가 있다.In the above basic configuration,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jewelry 1 and the support 2 is lower than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shaft 44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s of the recesses 30 on both sides, the stable swing state is achieved. You can continue.

아암부(4)의 지지축(44)은, 도 1a, 도 1c 및 도 2a,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측의 지지축(44)이 하방으로 됨에 따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는 피봇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형태, 및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측의 지지축(44)이 원기둥모양이며, 선단이 만곡된 구면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형태를 채용할 수가 있다.As shown in Figs. 1A, 1C, and 2A, 2B, the support shaft 44 of the arm portion 4 has a pivot that becomes tapered as the support shafts 44 on both sides are moved downward. 3A and 3B, the embodiment characterized in that both the support shafts 44 are cylindrical, and the front-end is curved spherical shape can be employ | adopted as shown to FIG. 3A, FIG. 3B. .

상기 피봇모양의 실시형태인 경우에는, 지지축(44)의 선단과 프레임체의 오목부(30) 하측면의 당접 면적이 매우 작기 때문에, 쌍방 간의 마찰 저항이 적어, 안정된 요동 상태를 지속할 수가 있다.In the case of the pivot-shaped embodiment,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ip of the support shaft 44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30 of the frame body is very small,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both is small and a stable rocking state can be maintained. have.

상기 구면모양의 실시형태인 경우에 있어서도, 요동 시에, 구면이 하측면에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적은 마찰 저항에 의한 요동 상태를 지속할 수 있으며, 게다가 지지축(44)의 선단에 있어서의 마모가 적다고 하는 기술상의 이점을 발휘할 수가 있다.Even in the case of the spherical embodiment described above, since the spherical surface can rotate on the lower side at the time of oscillation, the oscillation state can be maintained similarly with a small frictional resistance, and at the tip of the support shaft 44 The technical advantage that there is little abrasion can be exhibited.

아암부(4)에 있어서, 굽힘 탄성을 갖는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42)과 지지구(2)로부터의 돌출설치 영역(41) 및 수평 방향으로의 연장설치 영역(43)과 지지축(44)을 다른 소재를 채용하고, 쌍방을 접속하는 구성, 구체적으로는, 쌍방의 소재로서 금속을 채용한 다음에 상호 용접하는 구성은, 당연히 채용 가능하다.In the arm part 4, the bending area | region 42 upper side which has bending elasticity, the protrusion installation area | region 41 from the support tool 2, and the extension installation area | region 43 and the support shaft 4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 structure in which both materia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 particular, a structure in which metals are used as both materials and then welded together can be adopted.

단, 도 1a, 도 1c 및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부(4)를 1개의 소재에 의해서 형성하고, 또한 양측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돌출설치 영역(41) 및 연장설치 영역(43)의 단면적을, 굽힘 탄성을 갖고 있는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42)의 단면적보다도 크게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접합이 불필요하다고 하는 심플한 공정에 의해서, 본원 발명의 아암부(4)를 제조할 수가 있다.However, as shown to FIG. 1A, FIG. 1C, and FIG. 2A, the arm part 4 is formed of one raw material, and the horizontal protruding installation area 41 and the extended installation area 43 on both sides are provided.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oss section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ent region 42 having the bending elasticity, the arm portion 4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a simple step that the joining is unnecessary. .

아암부(4)의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42)에 있어서는, 동일한 단면적에 의한 실시형태도 당연히 채용 가능하다.In the bending area | region 42 upper side of the arm part 4, embodiment by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is also employable naturally.

그러나 지지구(2) 및 보석(1)이 요동하는 경우에, 당해 요동에 수반하는 굽힘 모멘트는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42)이 상측으로 됨에 따라 큰 상태에 있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support 2 and the gemstone 1 swing, the bending moment accompanying the swing is in a large state as the bent region 42 upwards.

이와 같은 굽힘 모멘트의 변화를 감안하여,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42)이 상측으로 됨에 따라 단면적을 크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형태인 경우에는, 굽힘 모멘트의 증가에 대응해서 단면적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설정에 의해서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42)의 굽힘 변형에 기초하는 피로를 분산하고 또한 균일 상태로 할 수가 있다.In consideration of such a change in the bending moment, as shown in FIGS. 3A and 3B,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set large as the bending region 42 to the upper side becomes upper. The cross sectional area is also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the moment, and by such a setting, fatigue based on bending deformation of the bending region 42 to the upper side can be dispersed and made uniform.

도 4a, 도 4b 및 도 5a, 도 5b는, 어느 것이나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42)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 단면이 직사각형이며, 또한 돌출설치 방향인 좌우 방향의 변보다도 당해 변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의 변 쪽이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a, 도 4b는,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42)의 단면적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도 5a, 도 5b는,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42)의 단면적이 상측으로 됨에 따라 크게 설정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4A, 4B, 5A, and 5B have a horizontal cross section in the curved region 42 upward in all,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sides are more than the s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ch are rectangular and protruding directions. 4A and 4B show the case wher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ending area | region 42 to the upper side does not change, and FIG. 5A and 5B show the upper side The embodiment which was set large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ending area | region 42 of this becomes upper side is shown.

이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 단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변의 길이를 좌우 방향의 변의 길이보다도 크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좌우 방향의 요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좌우 방향의 굽힘 변형을 원인으로 하는 피로의 정도를 완화할 수가 있다.In this way, in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by setting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degree of fatigue caused by the left and right bending deformation caused by the left and right swings is alleviated. You can do it.

게다가, 도 4a, 도 4b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같이, 상측으로 됨에 따라 단면적을 크게 설정한 경우에는, 굽힘 모멘트가 상측으로 됨에 따라 커지는 것에 적응할 수 있고,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In addition,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A and 4B,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is set to be larger as the upper side is set, it can be adapted to increase as the bending moment becomes upper side, which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A and 3B. You can get the effect.

이하,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Hereinafter, it demonstrates according to an Example.

[실시예]EXAMPLE

실시예는, 아암부(4)에 있어서, 지지구(2)의 양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설치된 영역(41)이 굽힘 탄성을 갖고 있고, 또한 아암부(4)가 보석(1) 및 지지구(2)의 중량을 지지한 경우, 당해 돌출설치 영역(41)이 수평 방향을 나타내도록 돌출설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embodiment, in the arm part 4, the area 41 which protrudes horizontally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part 2 has bending elasticity, and the arm part 4 has the jewel 1 and the support tool. When supporting the weight of (2), it is characterized by setting the protrusion direction so that the said protrusion area 41 may show a horizontal direction.

이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구(2) 및 보석(1)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의 요동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case of such an embodiment, the support tool 2 and the jewelry 1 can realize not only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but also the up-down direction fluctuation.

게다가, 돌출설치 영역(41)에 있어서의 단면적을 지지구(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크게 설정하고 있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상기 돌출설치 영역(41)에 있어서의 굽힘 모멘트가 지지구(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큰 것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굽힘 변형에 기초하는 피로를 분산하고 또한 균일화한다고 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In addition, when adop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protruding region 41 is set larger as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2 is adopted, the bending moment in the protruding region 41 is the support 2. As it moves away from the front side, it becomes possible to cope with a large one, and can exhibit the effect of disperse | distributing and homogenizing fatigue based on bending deformation similarly to embodiment shown to FIG. 3A and FIG. 3B.

본원 발명은, 펜던트, 브로치, 반지 등의 장신구를 단지 전후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의 요동도 가능하게 하는 장신구를 심플한 공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고, 장신구의 분야에 있어서 다대한 이용 가치를 발휘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jewelry, such as pendants, brooches, rings, and the like, as well as the front-back direction, and also the oscilla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by a simple process, and can exhibit a great use value in the field of jewelry. have.

1: 보석
2: 지지구
21: 돌출설치부
22: 고정부
3: 프레임체
30: 프레임체의 오목부
4: 아암부
41: 돌출설치 영역
42: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
43: 수평 방향으로의 연장설치 영역
44: 지지축
1: jewelry
2: support
21: protrusion mounting part
22: fixing part
3: frame
30: recess of frame
4: arm
41: protrusion mounting area
42: bending area upward
43: extension are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44: support shaft

Claims (8)

신체에의 장착 대상으로 되는 프레임체, 보석을 지지하는 지지구, 및 프레임체와 지지구 사이에 개재하는 아암부로 이루어지는 장신구로서, 프레임체는, 지지구의 양측 및 상측에 배치되고, 또한 당해 양측의 영역 중, 지지구와 마주보는 내측에서 아암부와 걸어맞추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고, 아암부는, 지지구의 양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설치되고, 또한 당해 돌출설치 영역의 소정 위치에서 상측으로 굴곡된 다음에 또 수평 방향 양측으로 연장설치되어 있고, 게다가 당해 연장설치 영역의 소정 위치에서 하방측으로 굴곡되고, 또한 오목부의 하측면과 당접하고 있는 지지축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당접 위치보다도 보석 및 지지구의 무게중심 쪽이 하측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이 굽힘 탄성을 구비하는 것에 기초하여, 보석 및 지지구가 상기 양측 방향으로 요동하고, 또한 상기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의 양측을 지지구측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연장설치 영역 및 상기 지지축이 상기 오목부 내에 삽입되어 있는 장신구.As a jewelery comprising a frame to be attached to the body, a support for supporting jewelry, and an arm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support, the frame is disposed on both sides and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Among the regions, a recess is provided which engages with the arm portion from the inner side facing the support, and the arm portion is protruded horizontally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and is also bent upwar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It extends to both s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lso forms a support shaft which is bent downward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extension area and abuts against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ss,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jewelry and the support is larger than the contact position. Is set to the lower 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bending region to the upper side is based on the bending elasticity By the way, the jewelry and the support swing in both the directions and the elastically deform both sides of the bending area to the upper side to the support side, whereby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support shaft are inserted into the recess. . 제 1 항에 있어서,
양측의 지지축이 하방으로 됨에 따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는 피봇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of claim 1,
As the support shafts on both sides are downward, the orna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vot shape becomes a tapered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양측의 지지축이 원기둥모양이며, 선단이 만곡된 구면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of claim 1,
Ornaments on both sides are cylindrical, and the orna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p is curved spherical.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암부를 1개의 소재에 의해서 형성하고, 또한 양측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돌출설치 영역 및 연장설치 영역의 단면적을,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의 단면적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rm part is formed of one raw material,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rizontally protruding installation area | region and the extension installation area | region on both sides is set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ending area | region to the upper sid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이 상측으로 됨에 따라 단면적을 크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jewel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 sectional area is set to be large as the bending region toward the upper side becomes upp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측으로의 굴곡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 단면이 직사각형이며,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설치 방향의 변보다도 당해 변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의 변 쪽이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in the bending area | region to the upper side is rectangular, and the side of the front-back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aid side is longer than the side of the protrusion installation direc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ornament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암부에 있어서, 지지구의 양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설치된 영역이 굽힘 탄성을 갖고 있고, 또한 아암부가 보석 및 지지구의 중량을 지지한 경우, 당해 돌출설치 영역이 수평 방향을 나타내도록 돌출설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n the arm part, when the area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has bending elasticity, and the arm part supports the weight of the jewelry and the support, the protruding installation direction is set so that the protruding installation area shows the horizontal direction. Ornaments characterized in that.
제 7 항에 있어서,
돌출설치 영역에 있어서의 단면적을 지지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크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 orna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 sectional area in the protruding portion is set larger as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is increased.
KR1020190009654A 2018-04-18 2019-01-25 Accessory KR10203178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79795A JP6426317B1 (en) 2018-04-18 2018-04-18 Accessories
JPJP-P-2018-079795 2018-04-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781B1 true KR102031781B1 (en) 2019-10-14

Family

ID=6439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654A KR102031781B1 (en) 2018-04-18 2019-01-25 Accessor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26317B1 (en)
KR (1) KR10203178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0336A (en) 1982-09-30 1984-04-06 Toshiba Corp Detection system for coolant leakage
JP2013226462A (en) 2010-12-20 2013-11-07 Crossfor:Kk Personal ornament
JP2017070707A (en) * 2016-03-25 2017-04-13 株式会社ピース Accessor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0336B1 (en) * 2015-10-05 2016-08-02 株式会社ピース Jewelry
JP6141486B1 (en) * 2016-05-20 2017-06-07 永嶋 良一 Jewelry
US9888749B1 (en) * 2017-03-08 2018-02-13 Top Jewelry Co., Ltd. Accesso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0336A (en) 1982-09-30 1984-04-06 Toshiba Corp Detection system for coolant leakage
JP2013226462A (en) 2010-12-20 2013-11-07 Crossfor:Kk Personal ornament
JP5379324B2 (en) * 2010-12-20 2013-12-25 株式会社クロスフォー Jewelery
JP2017070707A (en) * 2016-03-25 2017-04-13 株式会社ピース Access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26317B1 (en) 2018-11-21
JP2019187488A (en)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642854U (en) Body adornment
WO2012086098A1 (en) Ornament
CN108937000A (en) A kind of jewelry device
JP5960336B1 (en) Jewelry
JP2015062491A (en) Personal ornament
US6681599B2 (en) Jewelry pendant
KR102031781B1 (en) Accessory
WO2013011698A1 (en) Accessory
JP3212476U (en) Jewelry
WO2019159911A1 (en) Accessory with swingable ornament
JP5819556B1 (en) Ornaments
JP5234455B2 (en) Jewelry
JP5461966B2 (en) Jewelry pendant
JP5173450B2 (en) Jewelry
JP6583977B1 (en) Jewelry
JP2013179955A (en) Accessory
JP2016041381A (en) Accessory
JP3204630B2 (en) Jewelry
JP3774815B2 (en) Jewelry pendant
KR102509320B1 (en) Accessories
JP2019154787A (en) Ring support structure
JP3206308U (en) Jewelery
CN216089237U (en) Finger ring with jewel capable of shaking
JP3228057U (en) Jewelery
JP5659398B1 (en) Jewel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