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341B1 - Target confirmation system of shooting range comprising target moving railroad - Google Patents

Target confirmation system of shooting range comprising target moving railro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341B1
KR102031341B1 KR1020180011897A KR20180011897A KR102031341B1 KR 102031341 B1 KR102031341 B1 KR 102031341B1 KR 1020180011897 A KR1020180011897 A KR 1020180011897A KR 20180011897 A KR20180011897 A KR 20180011897A KR 102031341 B1 KR102031341 B1 KR 102031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moving frame
moving
shooting rang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8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2766A (en
Inventor
박만덕
박재형
Original Assignee
(자)만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만덕산업 filed Critical (자)만덕산업
Priority to KR1020180011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341B1/en
Publication of KR20190092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7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3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7/00Movable targets which are stationary when fired at
    • F41J7/02Movable targets which are stationary when fired at movable for che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1/00Target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3/00Bullet catchers

Abstract

본 발명은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에 의하면, 사격장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탄두 미회수에 따른 토양 중금속 오염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durability and stability of the shooting range, and to prevent the problem of soil heavy metal contamination due to the unwarranted warhead.

Description

표적 이동용 레일을 포함하는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 {Target confirmation system of shooting range comprising target moving railroad}Target confirmation system of shooting range comprising target moving railroad}

본 발명은 표적 이동용 레일을 포함하는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including a rail for moving a target.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와이어와 연동되어 모터에 의해 직선 운동을 수행하는 이동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표적 이동용 레일을 포함하는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including a rail for moving the target is formed with a moving frame interlocked with the wire to perform a linear motion by the motor.

영점 조준은 표준 사격장에서 정밀 사격을 통하여 소총 따위의 조준점과 탄착점이 일치하도록 가늠자와 가늠쇠를 조정하는 일을 의미하며, 영점 사격은 상기 영점 조준을 위한 사격을 의미한다. Zero aim means to adjust the scale and scale to match the aim point and the hit point of the rifle through precision shooting in the standard shooting range, and zero shooting means shooting for the aim aiming.

종래의 영점 사격장에서는 사수가 사격 전 사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고정 표적대로 걸어가서 표적지를 부착 한 후 사로에 도착하여 엎드려쏴 등의 사격 자세로 표적지에 대한 사격을 수행 한다. 사격 후에는 표적지의 회수를 위해 고정 표적대로 걸어가서 표적지를 회수하고 새로운 표적지를 부착하고 사로로 복귀한다. In the conventional zero shooting range, the shooter walks to a fixed target spaced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shooting lane, attaches the target, and arrives at the shooting lane to perform shooting on the target in a shooting position. After firing, walk to the fixed target to retrieve the target, retrieve the target, attach a new target and return to the captivity.

이와 같은 종래의 영점 사격 시스템에서는, 사수가 사로를 이탈하여 총기가 놓인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영점 사격의 소요 시간이 증대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존재 하였다. In such a conventional zero shooting system, when the shooter moves away from the target and moves to the front where the gun is placed,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a risk of safety accident and an increase in the time required for zero shooting.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 1987-0003597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1987-0003597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제공 받은 와이어와 연동된 표적 이동 레일을 포함하여, 사수가 직접 사격 후 도보로 걸어가는 일 없이 자동으로 사격 후 표적지를 회수할 수 있는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rget moving rail interlocked with a wire powered by a motor, and provides a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vering a target site after shooting, without a walker walking directly after shooting.

본 발명은 또한, 이동 프레임의 이동 안정성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의 와이어에 의한 이동시 발생할 수 있는 표적부의 훼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designed to effectively prevent the movement stability of the moving frame and damage to the target portion that may occur when moving by the wire of the moving frame.

본 발명은 나아가, 탄두의 미회수에 따른 토양 중금속 오염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designed to prevent the problem of soil heavy metal contamination due to the unrecovered warhead.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써,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relates to a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사로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표적부; 상기 표적부를 고정시키는 표적 고정틀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이동 프레임; 레일 롤러를 매개로 상기 이동 프레임이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지면에 형성되어 있는 표적 이동용 레일;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와이어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표적 이동용 레일 상의 어느 한 위치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부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제거하는 리미트를 포함한다.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rget portion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captive; A moving frame having a plurality of target fixing frames for fixing the target portion and connected by a wire to linearly move; A target moving rail formed on the ground such that the moving frame can be linearly moved through a rail roller; And a motor unit for providing power to the wire to move the moving frame. When the moving frame passes any position on the target moving rail, it includes a limit for removing the power provided by the motor unit.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9 내지 12 개의 표적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may consist of 9 to 12 target portions.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표적 이동용 레일 상에 이동시, 표적부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무게 지지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moving frame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support area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target portion when moving on the target moving rail.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후면 위치하는 와이어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wire roller located to the rear of the moving fram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상기 와이어 롤러 및 상기 모터부를 매개로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와이어가 연결되어 형성된 와이어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may include a wire chain formed by connecting wires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moving frame via the wire roller and the motor unit, respectively.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리미트는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표적 이동용 레일 전체 길이 기준 60% 내지 80%에 해당하는 레일 영역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부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제거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limit may remove the power provided by the motor unit when the moving frame passes through the rail area corresponding to 60% to 80% of the total length of the target moving rail.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사격 진행 상황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 및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ing frame and the motor unit in accordance with the shooting progress.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상기 표적부의 후단에 위치하여, 탄두를 회수하도록 설계된 탄두 회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warhead recovery unit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target portion, designed to recover the warhead.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탄두 회수부는 적어도 하나의 우레탄층; 적어도 하나의 목재층; 적어도 하나의 토사층; 및 적어도 하나의 탄성 블록층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warhead recovery unit at least one urethane layer; At least one wood layer; At least one soil layer; And at least one elastic block layer.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에 의하면, 사수가 직접 도보로 걸어가 자신의 표적을 가져올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사격 후 발생할 수 있는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영점 사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hooter does not need to walk directly to bring his target, it is possible to prevent human accidents that may occur after shooting and to ensure the stability of zero shooting.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에 의하면, 레일을 이용하여 표적지를 이동하는 사격장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이동 부재의 손상 및 표적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moving member and damage to the target portion, which may commonly occur in the shooting range using the rail to move the target.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에 의하면, 사격에 따른 탄두가 표적지의 후단부의 소정 영역에서 이탈하여 발생할 수 있는 탄두 미회수 문제 및 그에 따른 토양 중금속 오염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warhead uncollected problems and soil heavy metal contamination problems that may occur due to the warhead due to the shooting is separated from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rear end of the target site.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적 이동용 레일을 포함하는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에 대한 일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의 이동 프레임 및 표적 이동용 레일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가 각각 모터부와 와이어 롤러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롤러 및 모터부를 매개로 이동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와이어가 연결되어 형성된 와이어 체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미트의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including a rail for moving a targ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moving frame and the target moving rail of the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4 is a view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the state in which the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otor unit and the wire roller, respectively.
5 is a view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the wire chain formed by connecting the wire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moving frame, respectively, via the wire roller and the mot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form of a lim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 및 예시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xamples.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to select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s of the simple ter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to the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nsist"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은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에 따르면, 사수가 직접 표적지를 회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격 시스템의 안정성 및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고, 표적부 자동 회수 시 발생할 수 있는 표적부의 훼손이나 이동 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두의 추가 이탈에 따른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ooter does not need to directly recover the target site, it is possible to secure stability and speed of the shooting system, and damage to the target unit or damage to the moving frame that may occur during automatic recovery of the target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and to effectively prevent accidents due to the additional departure of warhead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적 이동용 레일을 포함하는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에 대한 일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사로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표적부(100); 상기 표적부(100)를 고정시키는 표적 고정틀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와이어(20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이동 프레임(300); 롤러를 매개로 상기 이동 프레임(300)이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지면에 형성되어 있는 표적 이동용 레일(400); 및 상기 이동 프레임(300)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와이어(200)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00); 상기 이동 프레임(300)이 상기 표적 이동용 레일(400) 상의 어느 한 위치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부(500)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제거하는 리미트(60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표적 고정틀이 3개 또는 4개로 이루어져 있는 이동 프레임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프레임의 표적 고정틀의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사격장 내 사로의 수, 작업자의 설계 방식 등에 따라 이동 프레임 내 표적 고정틀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including a rail for moving a targ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rget portion 100 that is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captive; A moving frame 300 having a plurality of target fixing frames for fixing the target portion 100 and connected by wires 200 to linearly move; A target moving rail 400 formed on the ground such that the moving frame 300 can linearly move through a roller; And a motor unit 500 for providing power to the wire 200 to move the moving frame 300. When the moving frame 300 passes any position on the target moving rail 400, it includes a limit 600 for removing the power provided by the motor unit 500. Figure 1 shows a moving frame consisting of three or four target fixing frame by way of example, the number of the target fixing frame of the mov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number of shooting in the shooting range, the design scheme of the operator The number of target fixing frames in the moving frame may vary.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또한, 사격 진행 상황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 및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표적부(100)의 후단에 위치하여 탄두를 회수하도록 설계된 탄두 회수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800 for controlling the moving frame and the motor unit in accordance with the shooting progress, further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target unit 100 warhead It may further include a warhead recovery unit 700 designed to recover.

일반적인 영점 사격장에서는 사수가 직접 도보 이동하여 표적지를 표적 고정틀에 부착한 후 사격을 수행하고, 사격이 종료된 후 상기 표적지를 회수하여 자신의 영점 사격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에 따르면 전술한 구성들을 통해 사수의 도보 이동 없이 사격이 시작 되기 전 및 종료된 후 자동으로 표적지를 부착 및 회수할 수 있어, 사격의 신속성 및 안정성이 도모된다.In a general zero shooting range, the shooter moves directly on the target frame, attaches the target to the target fixing frame, and performs shooting, and after the shooting is finished, the target location can be recovered to check his zero shooting result. However, according to the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ttach and retrieve the target site before and after the shooting is started without the walking movement of the shooter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reby improving the speed and stability of the shooting. .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표적부를 포함한다. 표적부는 일반적인 영점 사격장에서 이용되는 표적지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표적부는 표적지를 포괄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고, 재질은 우레탄 합판, 기타 플라스틱 합판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rget portion. The target is attached to a target used for a general zero shooting range. The target portion has a region that can cover the target site, the material may be a urethane plywood, other plastic plywood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표적부는 표적 고정틀에 고정된다. 상기 표적 고정틀은, 예를 들면, 소정 두께의 나무 합판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적 고정틀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cm 내지 25c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target portion is fixed to the target fixing frame. The target fixing frame may be, for example, a wooden plywood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target fixing frame may be, for example, within the range of 10 cm to 25 c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의 이동 프레임은 표적부를 고정시키는 표적 고정틀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사수 방향 또는 사수 방향의 반대 반향으로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The moving frame of the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target fixing frames for fixing the target portion, and is connected by wires so as to linearly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hooter direction or the shooter direction.

이동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적 고정틀을 포함하고, 상기 표적 고정틀 내에 표적부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 프레임의 구조 및 크기는 영점 사격장의 규모나 사로의 수 또는 표적부 묶음 설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moving frame includes at least one target holder, and a target portion is formed in the target holder. The structure and size of the moving frame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zero shooting range, the number of traps or the design of the target bundle.

하나의 예시에서, 사격장이 10개의 사로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상기 이동 프레임은 3개 또는 4개의 표적 고정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표적 고정틀에는 표적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one example, when the shooting range is composed of 10 caps, the moving frame may be composed of three or four target frame, the target frame may be formed with a target portion.

보다 구체적인 예시에서, 사격장이 10개의 사로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이동 프레임은 4개의 표적 고정틀로 이루어져 있는 제 1 이동 프레임, 각각 3개의 표적 고정틀로 이루어져 있는 제 2 및 제 3 이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In a more specific example, when the shooting range is composed of ten shooters, the moving frame may include a first moving frame consisting of four target fixing frames, and a second and third moving frame each consisting of three target fixing frames. .

다른 예시에서, 사격장이 12개의 사로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상기 이동 프레임은 4개의 표적 고정틀로 이루어져 있는 제 1 내지 제 3 이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when the shooting range consists of 12 yarns, the moving frame may include first to third moving frames consisting of four target fixing frames.

상기와 같이 이동 프레임 내 복수의 표적 고정틀을 형성하는 경우, 개별적으로 표적 고정틀을 배치하고 이를 레일 상에 이동시키는 자동 사격장 시스템 대비 이동 프레임과 같은 표적지 이동 매체 수단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증대 시킬 수 있다. When forming a plurality of target fixing frame in the moving fram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and safety of the target moving medium means, such as the moving frame compared to the automatic shooting range system to place the target fixing frame and move it on the rail individually.

상기 이동 프레임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태의 철재 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 프레임의 형상이나 모양 철재 빔의 세부적인 구조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The moving frame may have, for example, a rectangular steel beam structure. However,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hape of the moving frame or the shape of the steel beam can be easi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이동 프레임은 또한, 상기 표적 이동용 레일 상에 이동시, 표적부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무게 지지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frame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support area that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target unit when moving on the target moving rail.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의 이동 프레임(300)은 표적부(100)가 형성되어 있는 표적 고정틀 사이에 표적부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무게 지지 영역(3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 지지 영역은 표적 이동용 레일 상에 이동 프레임의 급격한 속도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이동 프레임의 레일 이탈을 예방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표적부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5, the moving frame 300 of the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ight support area (Prevention)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target portion between the target fixing frame in which the target portion 100 is formed ( 303). The weight support region may prevent the rail from leaving the moving frame, which may occur due to the rapid speed change of the moving frame on the target moving rail, and ultimately prevent the movement of the target part.

상기 무게 지지 영역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석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무게 지지 영역의 역할, 구체적으로 이동 프레임 및 표적부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정 무게를 가진 부재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The weight support region may be, for example, a rectangular st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weight support region is a member having an appropriate weight, the weight support region may serve as a weight support region, specifically, to prevent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and the target unit. The ki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이동 프레임은 표적 이동용 레일 상에서 레일 롤러를 매개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The moving frame may linearly move on a target moving rail via a rail roller.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의 이동 프레임 및 표적 이동용 레일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moving frame and the target moving rail of the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2 및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적부(100)를 고정시키는 표적 고정틀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이동 프레임(300)은 레일 롤러(401)를 매개로 지면에 형성되어 있는 표적 이동용 레일(400) 상에서 사수 방향 또는 사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moving frame 3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arget fixing frame for fixing the target portion 100 is a target moving rail formed on the ground via the rail roller 401 ( 400 may be linearly moved in a shooter direction or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hooter direction.

상기 이동 프레임의 직선 운동은, 와이어에 의해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는 이동 프레임에 특정 부위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제어부의 동작에 따라 이동 프레임을 사수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시킬 수 있다.The linear motion of the moving frame is performed by a wire. More specifically, the wire may be connected to a specific part of the moving frame to linearly move the moving frame in the shooter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와이어는, 와이어 롤러 및 모터부와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The wire may be linked with the wire roller and the motor unit.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의 와이어가 각각 모터부(500) 및 와이어 롤러(700)에 연동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의 와이어의 어느 일단은 모터부(500)에 연동되어 있고, 다른 일단은 와이어 롤러(700)에 연동되어 있다. 상기에서 「와이어가 모터부와 와이어 롤러에 연동되어 있다」는 것은 후술하는 와이어 롤러에 와이어가 롤링되고, 모터부 내의 롤러를 통해 와이어가 롤링되어 전체적으로 후술하는 와이어 체인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4 is a view in which the wire of the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inked to the motor unit 500 and the wire roller 70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 4, one end of the wire of the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inked to the motor unit 500, the other end is linked to the wire roller 700. In the above description, "wire is interlocked with a motor part and a wire roller" means a state in which a wire is rolled on a wire roller to be described later, and a wire is rolled through a roller in the motor part to form a wire chain described later as a whole. Can be.

즉,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상기 와이어 롤러 및 상기 모터부를 매개로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와이어가 연결되어 형성된 와이어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 chain formed by connecting wires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moving frame via the wire roller and the motor unit, respectively.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롤러 및 모터부를 매개로 이동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와이어가 연결되어 형성된 와이어 체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the wire chain formed by connecting the wire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moving frame, respectively, via the wire roller and the mot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의 와이어(200)는 각각 와이어 롤러(700) 및 모터부(600)에 롤링되고, 이동 프레임(300)의 전면(301) 및 후면(302)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와이어 체인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와이어 체인을 통해, 이동 프레임은 사수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터부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 체인은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이동 프레임은 사수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wire 200 of the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lled to the wire roller 700 and the motor unit 600, respectively, and the front surface 301 and the moving frame 300.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back side 302, from which a wire chain can be formed. In addition, through the wire chain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frame can perform a linear motion in the shooter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wire chain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unit, so that the moving frame can perform a linear motion in the shooter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롤러를 매개로 상기 이동 프레임이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지면에 형성되어 있는 표적 이동용 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표적 이동용 레일은 이동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표적부와 상응하여 지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표적 이동용 레일의 수는 사격장 내 사로의 수와 동일하다.The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 for moving a target formed on the ground so that the moving frame can be linearly moved through a roller. The target moving rail is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frame and is formed on the groun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arget portion. Therefore, the number of rails for moving the target is equal to the number of slopes in the shooting range.

상기 표적 이동용 레일 상에는 레일 롤러가 형성되어 있고, 이동 프레임은 상기 레일 롤러를 매개로 표적 이동용 레일 상에서 직선운동 할 수 있다.A rail roller is formed on the target movement rail, and the movement frame may linearly move on the target movement rail via the rail roller.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이동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해 와이어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부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할 수 있고, 소정의 롤러를 포함하여 와이어의 롤링 및 와이어 체인의 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는 제어부의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The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unit for providing power to the wire for moving the moving fram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motor unit may be loca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ground, and may include a predetermined roller to roll the wire and form a wire chain. The motor unit may be electr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표적 이동용 레일 상의 어느 한 위치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부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제거하는 리미트를 포함한다. The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mit for removing power provided by the motor unit when the moving frame passes any position on the target moving rail.

일반적인 자동 표적 확인 사격장 시스템에서는, 이동 수단의 잦은 이동에 의해 표적부의 세부 위치나 방향 또는 이동 수단 자체의 손상이 야기될 수 있다. 상기 손상은 자동 표적 확인 시스템 내 이동 수단의 속도 문제에 기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적지를 부착 또는 회수하기 위한 이동 수단의 속도가 사로의 근방 및 사로의 끝단에서는 저감되어야 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 시스템 내에 구비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 내에 이동 수단의 속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리미트를 필수 구성으로 채택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In a typical automatic target identification shooting range system, frequent movement of the moving means may cause damage to the detailed position or direction of the target portion or the moving means itself. The damage may be due to the speed problem of the means of movement in the automatic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Specifically, the speed of the moving means for attaching or retrieving the target site should be reduced in the vicinity of the cap and at the end of the cap, since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it specifically is not provided in the syste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attempted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adopting, as an essential configuration, a limit capable of variabl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ving means in the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미트는 이동 프레임이 표적 이동용 레일의 어느 위치를 통과하는 경우, 모터부에 제공하는 동력을 제거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이동 프레임의 속도를 가변 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im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the power provided to the motor unit when the moving frame passes through any position of the target moving rail, thereby ultimately serving to change the speed of the moving fram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미트는, 와이어와 연결되어 표적 이동용 레일 상에서 직선 운동을 수행하는 이동 프레임의 속도를 사수 부근에서 저감 시키기 위해, 레일 상의 특정 위치에 존재하여 모터부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제거한다는 것은 리미트가 모터부에 제공되는 전기를 차단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limit, in order to reduce the speed of the moving frame connected to the wire to perform a linear movement on the target moving rail near the shooter, to remove the power provided by the motor unit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rail Can be performed. Removing the power provided by the motor unit may mean that the limit cuts off the electricity provided to the motor unit.

상기 리미트는 소위 전기 리미트 스위치라 불리우는 종류의 것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리미트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300)이 레일 상의 특정 위치를 통과하는 순간, 리미트(600)의 전기 제어부(601)를 터치함으로써, 모터부에 제공되는 전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limi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 type of so-called electric limit switch, for example, the limit may be, as shown in Figure 6, the moment the moving frame 300 passes a specific position on the rail, By touching the electrical control unit 601 of the limit 600, it can be used that can serve to cut off the electricity provided to the motor uni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리미트는, 레일의 특정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리미트는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표적 이동용 레일 전체 길이 기준 60% 내지 80%에 해당하는 레일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레일 영역은, 사로의 끝단을 기준으로 60% 내지 80%에 해당하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사수 부근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미트는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표적 이동용 레일 전체 길이 기준 60% 내지 80%에 해당하는 레일 영역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부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제거할 수 있다. The limit may be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rail. In one example, the limit may be located in the rail region where the moving frame corresponds to 60% to 80% of the total length of the rail for moving the target. The rail region may mean an area corresponding to 60% to 80% of the end of the cap, and may refer to a shooter vicinity. Therefore, the limit may remove power provided by the motor unit when the moving frame passes through a rail area corresponding to 60% to 80% of the total length of the target moving rail.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전술한 리미트의 구성을 통해, 이동 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amage to the moving frame and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사격 진행 상황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 및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모터부의 동력 부여 및 모터부의 동력 부여에 따른 이동 프레임의 이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ing frame and the motor unit in accordance with the shooting progress.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according to the power of the motor unit and the power of the motor unit.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또한, 탄두 회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두 회수부는 표적부의 수단에 위치하여 탄두를 회수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rhead recovery unit. The warhead recovery unit may be designed to recover the warhead by being located at the means of the target unit.

일반적으로 표적부의 후단에는 모래 언덕부를 구성하여 탄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지만, 추후 모래 언덕부 내에서 탄두를 회수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모든 탄두를 회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회수하지 못한 탄두는 토양 중금속 오염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은 표적부의 후단에 탄두 회수부를 위치시켜 전술한 문제들을 극복하고자 하였다.In general, the rear end of the target portion constitutes a dune to prevent warheads from deviating, but it is time-consuming to recover the warhead in the dunes lat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recover all warheads. Unrecovered warheads can also cause soil heavy metal contamination. However, the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intended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placing the warhead recovery unit at the rear end of the target unit.

상기 탄두 회수부는, 복수의 재료가 개별층을 형성하고 있는 다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The warhead recovery unit may form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aterials form individual layers.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탄두 회수부는, 적어도 하나의 우레탄층; 적어도 하나의 목재층; 적어도 하나의 토사층; 및 적어도 하나의 탄성 블록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탄두 회수부는 전술한 층들 이외에 탄속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warhead recovery unit, at least one urethane layer; At least one wood layer; At least one soil layer; And at least one elastic block layer. Of course, the warhead recovery unit may further include another layer capable of performing the bullet speed buffer ac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layers.

이상과 같이 본 개시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개시는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100 : 표적부
200 : 와이어
300 ; 이동 프레임
301 : 이동 프레임 전면
302 : 이동 프레임 후면
303 : 무게 지지 영역
400 : 표적 이동용 레일
401 : 레일 롤러
500 : 모터부
600 : 리미트
601 : 전기 제어부
700 : 와이어 롤러
800 : 제어부
900 : 탄두 회수부
100: target portion
200: wire
300; Moving frame
301: moving frame front
302: moving frame rear
303: weight support area
400: rail for moving the target
401: Rail Roller
500: motor unit
600: limit
601: electrical control unit
700: Wire Roller
800: control unit
900 warhead recovery unit

Claims (9)

사로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표적부;
상기 표적부를 고정시키는 표적 고정틀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사수 방향 또는 사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와이어에 의해 연결 되어 있으며, 상기 표적 고정틀 사이에 상기 표적부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직사각형의 석재인 무게 지지 영역을 포함하는 이동 프레임;
레일 롤러를 매개로 상기 이동 프레임이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지면에 형성되어 있는 표적 이동용 레일;
상기 이동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와이어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표적 이동용 레일 상에서 직선 운동을 수행하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속도를 사수 부근에서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표적 이동용 레일 전체 길이 기준 60% 내지 80%에 해당하는 레일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표적 이동용 레일 전체 길이 기준 60% 내지 80%에 해당하는 레일 영역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부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제거하는 리미트; 및
상기 표적부의 후단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우레탄층, 적어도 하나의 목재층 및 적어도 하나의 토사층을 포함하여 탄두를 회수하도록 설계되는 탄두 회수부를 포함하는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
A target portion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captive;
A plurality of target fixing frame for fixing the target portion is formed, and is connected by a wire so as to be a linear movement in the shooter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hooter direction, the rectangular shape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target portion between the target fixing frame A moving frame comprising a weight support area that is stone;
A target moving rail formed on the ground such that the moving frame can be linearly moved through a rail roller;
A motor unit providing power to the wire to move the moving frame;
In order to reduce the speed of the moving frame performing linear motion on the target moving rail in the vicinity of the shooter, the moving frame is located in the rail area corresponding to 60% to 80% of the total length of the target moving rail. A limit for removing power provided by the motor unit when passing through a rail area corresponding to 60% to 80% of the total length of the moving rail; And
And a warhead recovery unit located at a rear end of the target portion and designed to recover the warhead including at least one urethane layer, at least one wood layer, and at least one soil layer.
제 1항에 있어서,
9 내지 12 개의 표적부로 이루어지는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Shooting range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consisting of 9 to 12 targe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의 후면 위치하는 와이어 롤러를 더 포함하는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 wire roller located in the rear of the moving fram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롤러 및 상기 모터부를 매개로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와이어가 연결되어 형성된 와이어 체인을 포함하는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including a wire chain formed by connecting the wires respectively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moving frame via the wire roller and the motor unit.
제 1항에 있어서,
사격 진행 상황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 및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사격장 표적 확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Shooting range target confirm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ing frame and the motor unit in accordance with the shooting progres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11897A 2018-01-31 2018-01-31 Target confirmation system of shooting range comprising target moving railroad KR1020313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897A KR102031341B1 (en) 2018-01-31 2018-01-31 Target confirmation system of shooting range comprising target moving railr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897A KR102031341B1 (en) 2018-01-31 2018-01-31 Target confirmation system of shooting range comprising target moving railro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766A KR20190092766A (en) 2019-08-08
KR102031341B1 true KR102031341B1 (en) 2019-10-11

Family

ID=6761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897A KR102031341B1 (en) 2018-01-31 2018-01-31 Target confirmation system of shooting range comprising target moving railro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3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752B1 (en) 2019-12-18 2020-05-2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Smart shooting target system
KR102245643B1 (en) 2020-03-12 2021-04-2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Multi-target apparatus of rail movement type and smart shoo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769Y1 (en) * 2001-11-02 2002-02-09 배성면 Running taget moving system
KR101130748B1 (en) * 2010-05-19 2012-03-28 (주)에프티에스 A target device that both swiveling and transferring the target are possib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697A (en) * 1997-07-23 1999-02-12 Babcock Hitachi Kk Firing training device
KR101087283B1 (en) * 2008-12-24 2011-11-29 오인규 Device for collecting Bull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769Y1 (en) * 2001-11-02 2002-02-09 배성면 Running taget moving system
KR101130748B1 (en) * 2010-05-19 2012-03-28 (주)에프티에스 A target device that both swiveling and transferring the target are possi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766A (en)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341B1 (en) Target confirmation system of shooting range comprising target moving railroad
EP285133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icking vehicle
US8899216B2 (en) Machine for launching targets with improved contact surfaces
CN1955095B (en) Personnel protection device in a roll changer for a printing machine
US8858113B1 (en) Tire deflation device for puncturing one or more tires of a fleeing vehicle
US8795140B2 (en) Track start block for swimming
JP3250150B2 (en) Shooting training apparatus
US9840372B2 (en) Workpiece singulator with adjustable stair depth
DE102012005682B4 (en) Method for directing an active element by a shooter
US8931998B2 (en) Barrier collection system
DE112013001814T5 (en) Automatic trolley guidance
DE69523064T2 (en) METHOD AND DEVICE FOR USING A WARM HEAD STARTED BY A CARRIAGE PLANE TO COMBAT DESTINATIONS IDENTIFIED ALONG THE CARRIAGE OF THE CARRIAGE PLANE
WO2019012092A1 (en) Stunning device for automatically stunning slaughter animals
EP1036582A3 (en) Game system, game progress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ith a stored game program
MX9102762A (en) RETAINER FOR A PISTON HEAD SUB-ASSEMBLY AND METHOD FOR RETAINING THE PISTON HEAD SUB-ASSEMBLY.
US20190194888A1 (en) Vehicle Disablement System
ES2266682T3 (en) SHIELDED DEMANDED VEHICLE WITH TRANSPORTATION DEVICE.
EP1298409B1 (en) A system for launching a war head with a trajectory correction device for neutralisation of mines
DE10201311164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irectable weapon of a vehicle during firing exercises
US3744796A (en) Holder for mobile target
CA2041449A1 (en) Repairable guide bar for tree harvesters
US20050085308A1 (en) Rail positioning device for retractable bumper assembly
US9441338B2 (en) Snowplow blade
CN106794755A (en) Motor vehicles with improved recoverability
CA2949302C (en) Soil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