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134B1 -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와 연동된 내비게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와 연동된 내비게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134B1
KR102031134B1 KR1020170136087A KR20170136087A KR102031134B1 KR 102031134 B1 KR102031134 B1 KR 102031134B1 KR 1020170136087 A KR1020170136087 A KR 1020170136087A KR 20170136087 A KR20170136087 A KR 20170136087A KR 102031134 B1 KR102031134 B1 KR 102031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zone
safety zone
navigator
current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946A (ko
Inventor
박지호
한중희
최진옥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3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1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3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6Overview of the route on the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0Correct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내비게이터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의 주변에 존재하는 안전지대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map)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된 지도상에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매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공간정보 기반의 긴급 상황 발생 시 안전하게 대처까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더 발전된 재난/재해 알림/대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와 연동된 내비게이터 시스템{Method of navigating safety zone and navigator system associating therewith}
본 발명은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와 연동된 내비게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재난 시에 안전지대를 탐색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내비게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위치 결정의 기술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동체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위치 결정 기술로, 가장 대중화된 방법은 위성 항법 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이용한 위치 결정 기술이다. 위성 항법 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Compass Navigation System, Galileo Positioning Syste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선진국에서는 국민 소득 증가와 주 5일 근무가 정착으로 아웃도어와 켐핑 등 야외활동을 여가 생활로 즐기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2014년 국민 여가활동 조사에서 캠핑의 경우에는 여가활동 선호도 2순위로 캠핑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나, 캠핑을 안전하게 즐기기 위한 적합한 안전시설과 설비의 부재로 인하여 재난/재해사고 발생시 무방비 상태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야외활동 등을 위한 이동 시에 차량 등에서 또는 캠핑 장소 등에서 재난/재해사고 발생 시 주변의 안전지대로 대피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러한 안전지대로의 대피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제시된 바 없다.
한편, 야외활동 등을 위한 이동 시에 차량 등과 또는 캠핑 장소 등에서 이용자들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 단말 등에는 위성 항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 서비스가 이용가능하다. 이러한 위성 항법 시스템과 관련된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내비게이터 시스템은 재난 시에 안전지대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위성 항법 시스템과 관련된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내비게이터 시스템에서, 재난 시에 안전지대를 탐색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정 국가에서는 재난발생시 단시간에 넓은 지역으로 전파 할 수 있는 위성을 이용하는 재난방송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재난 발생 시에 위성 경보 시스템을 활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을 도시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재난/재해 발생시 상황을 알려주는데 목적이 있어 그 다음 단계인 재난/재해 대처에 대해서는 매뉴얼 숙지에 국한되어 있다. 이렇다보니 재난/재해 발생시 경험과 훈련 부족으로 인명과 재산의 피해가 커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의 특정 위치에 관계없이 재난발생시 대피 장소를 브로드캐스팅 등의 방법으로 알릴뿐이고, 특정 위치에 있는 사용자에게 특화된 재난 방송 시스템은 전혀 제시된 바가 없다. 또한, 특정 위치에 있는 사용자가 이동에 따라 위치가 변경된 경우, 이러한 변경된 위치를 고려한 재난 방송 시스템 또한 전혀 제시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목적은 1단계와 2단계의 재난/재해 알림 서비스와 대처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목적은 사용자의 특정 위치와 변경된 위치를 고려한 재난/재해 알림 서비스와 대처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내비게이터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의 주변에 존재하는 안전지대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map)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된 지도상에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매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공간정보 기반의 긴급 상황 발생 시 안전하게 대처까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더 발전된 재난/재해 알림/대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후보 안전지대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안전지대까지의 거리에 기반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상기 안전지대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전에 수신된 지도를 계속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복수의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들로부터 GNSS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방송위성의 방송 궤도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NSS 위성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GNSS 위성들의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 사이의 의사거리 관측치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 ― 상기 의사거리는 C/A (Coarse/Acquisition) 코드 기반 의사거리임 ―; 및 상기 보정된 의사거리 관측치와 상기 GNSS 신호에 대한 데이터 처리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송위성의 방송 궤도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NSS 위성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위성의 방송위성 위치를 입력하는 단계;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기준으로 안테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방송위성 위치와 상기 안테나 위치의 좌표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방송위성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방송위성에 대한 추적(tracking)을 위한 방위 및 고도 이동 각도를 각각 전자나침판 및 자이로스코프에서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방위 및 고도 이동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의 상하, 좌우 방향을 조향하여 상기 안테나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저잡음 블록(LNB: Low Noise Block)의 LNB 자동 스큐(Auto Skew) 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의 skew 각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버는, 정부기관 서버에 해당하는 제1 서버로부터 제1 안전지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내비게이터로부터 제2 안전지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1 안전지대 및 상기 제2 안전지대에 대한 주소를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안전지대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2 안전지대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안전지대를 선정하고, 상기 안전지대를 분류하고, 상기 안전지대에 관한 속성 및 관계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안전지대 및 상기 정의된 안전지대에 관한 속성 및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내비게이터를 위한 안전지대 DB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현재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에 대한 요청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상기 서버로부터 WiFi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제1 지도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WiFi망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하나 이상의 제2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대략적인 제2 지도, 이들 간의 제2 이동 경로 정보, 및 상기 제2 안전지대의 상세 정보를 위성 통신망 또는 위성 방송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이동 경로 정보, 및 상기 상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안전지대 위치 중 최적의 안전지대에 해당하는 제3 안전지대를 선택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지도 및 상기 제2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상기 제3 안전지대 위치와 이들 간의 제3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안전지대 내비게이터 시스템은,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의 주변에 존재하는 안전지대 위치를 검색하는 제어부;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map)를 상기 제어부가 다운로드하도록 제어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다운로드된 지도상에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매핑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간정보 기반의 긴급 상황 발생 시 안전하게 대피장소까지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더 발전된 재난/재해 알림/대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긴급 상황 발생 시 빠르고 정확한 대처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재난 발생 시에 위성 경보 시스템을 활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GNSS 위성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안전지대 DB 생성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내비게이터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 위치 기반 안전지대 길안내 기술과 안전지대 매핑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도우미 내비게이터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블록"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와 연동된 내비게이터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치(기기) 또는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 관계는 설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응용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 단계들의 순서는 설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응용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은 내비게이터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S100), 상기 현재 위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 상기 현재 위치 기반 안전지대 거리 계산 단계(S300), 및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상기 안전지대를 검색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또한,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은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map)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지도상에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매핑하여 표시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현재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S200)된 경우, 상기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후보 안전지대까지의 거리를 계산(S300)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보 안전지대까지의 거리를 계산(S300)하기 위해, 안전지대 DB로부터 안전지대 속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보 안전지대까지의 거리에 기반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상기 안전지대를 검색(S400)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현재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S200)된 경우, 이전에 수신된 지도를 계속해서 표시(S500)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은, 현재 위치 전송을 통한 지도 요청 단계(S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에 대한 요청을 이동 통신망(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재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상기 서버로부터 WiFi망 (제2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통신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응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동일한 통신망일 수 있다. 또한, 응용에 따라 수신되는 정보 중 중요한 정보인 상기 안전지대 위치에 관한 정보는 복수의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고, 나머지 정보는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전지대 위치에 관한 정보는 이동 통신망 (제1 통신망)과 WiFi망 (제2통신망)을 통해 모두 수신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안전지대 위치에 관한 정보는 이동 통신망 (제1 통신망)과 WiFi망 (제2통신망) 중 이용가능한 통신망과 위성 통신망/위성 방송망 (제3 통신망)을 통해 모두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재난/재해의 정도가 심각하여, 이동 통신망 (제1 통신망)과 WiFi망 (제2통신망)이 부분적/전체적으로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요청 및/또는 응답이 전송 및/또는 수신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제1 지도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WiFi망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지 않은 경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요청 및/또는 응답이 전송 및/또는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다르므로, 위성 통신망/방송망을 통해 모든 사용자들에 대한 현재 위치부터 목표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는 어려운 점은 있다. 하지만, 재해/재난 상황에서 목표 위치(안전지대)는 대부분 공통되거나 또는 몇몇 지역으로 한정되므로 위성 방송망을 통해 브로드캐스트(방송)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자신의 현재 위치와 위성 방송망을 통해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안전지대 이동경로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즉,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하나 이상의 제2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대략적인 제2 지도, 이들 간의 제2 이동 경로 정보, 및 상기 제2 안전지대의 상세 정보를 위성 통신망 또는 위성 방송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에 대한 내비게이터에서의 요청은 여전히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내비게이터의 요청 없이도 서버가 브로드캐스트(방송)하고, 내비게이터는 이동 경로 정보 수신 후 자신의 위치에 기반하여 이동경로 지도를 재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이동 경로 정보, 및 상기 상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안전지대 위치 중 최적의 안전지대에 해당하는 제3 안전지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제2 지도 및 상기 제2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상기 제3 안전지대 위치와 이들 간의 제3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중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S1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복수의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들로부터 GNSS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10)를 수행한다. 이때, 수신되는 GNSS 신호를 통해 L1 반송파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C/A (Coarse/Acquisition) 코드, 궤도력, 상태 정보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법은, 방송위성의 방송 궤도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NSS 위성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S120), 상기 GNSS 위성들의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 사이의 의사거리 관측치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S130), 및 상기 보정된 의사거리 관측치와 상기 GNSS 신호에 대한 데이터 처리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S140)를 수행한다. 의사거리 관측치 오차 보정 단계(S130)와 관련하여, C/A 코드 기반 의사거리 관측치에 대해 위성 시계 오차, 전리층 지연, 대류층 모델 기반 지연량 등을 감안하여 오차가 보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차가 보정된 의사거리 관측치가 획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중 GNSS 위성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S12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GNSS 위성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위성의 방송 궤도력 정보를 이용하여, GNSS 위성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방송위성의 방송위성 위치를 입력하는 단계(S121), 및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기준으로 안테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방송위성 위치와 상기 안테나 위치의 좌표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S122)를 수행한다. 이때, 방송위성 위치 입력은 WGS84 타원체를 기준으로 할 수 있고, 좌표변환은 측지 좌표를 ECEF(Earth Centered Earth Fixed)로 변환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위치 위치 좌표와 안테나 위치 좌표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안테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방송위성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계산하는 단계(S123)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GNSS 위성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방송위성에 대한 추적(tracking)을 위한 방위 및 고도 이동 각도를 각각 전자나침판 및 자이로스코프에서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S124)를 수행한다. 이때, 전자나침판은 안테나의 방위각을 계산하기 위해, 자이로스코프는 수평면 기준 안테나의 경사각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계산된 방위 및 고도 이동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의 상하, 좌우 방향을 조향하여 상기 안테나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조정하는 단계(S125), 및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저잡음 블록(LNB: Low Noise Block)의 LNB 자동 스큐(Auto Skew) 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의 skew 각도를 조정하는 단계(S126)를 더 수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서버가 안전지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류하고 안전지대 DB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자.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안전지대 DB 생성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안전지대 DB 생성 방법은, 정부기관 서버에 해당하는 제1 서버로부터 제1 안전지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610), 사용자의 내비게이터로부터 제2 안전지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620)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안전지대 및 상기 제2 안전지대에 대한 주소를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S630), 및 상기 제1 안전지대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2 안전지대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안전지대를 선정하고, 상기 안전지대를 분류하고, 상기 안전지대에 관한 속성 및 관계를 정의하는 단계(S640)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분류된 안전지대 및 상기 정의된 안전지대에 관한 속성 및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내비게이터를 위한 안전지대 DB를 생성하는 단계(S650)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안전지대 내비게이터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이와 관련하여, 안전지대 내비게이터 시스템은 차량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차량 내 사용자의 이동 단말 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에서 기술된 내용은 안전지대 내비게이터 시스템에 대해서도 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내비게이터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지대 내비게이터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송수신부(120), 디스플레이(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한다. 한편, 안전지대 내비게이터 시스템(100)은 외부 서버(200)로부터 안전지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의 주변에 존재하는 안전지대 위치를 검색한다. 또한, 송수신부(120)는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map)를 상기 제어부(110)가 다운로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상기 다운로드된 지도상에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매핑하여 표시한다. 한편, 메모리(140)는 상기 다운로드된 지도(map) 및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위성(20)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위치에 특정한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동 통신망 등을 통해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후보 안전지대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후보 안전지대까지의 거리에 기반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상기 안전지대를 검색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전에 수신된 지도를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송수신부(120)는 복수의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들(20)로부터 GNS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방송위성의 방송 궤도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NSS 위성들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GNSS 위성들의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 사이의 의사거리 관측치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사거리는 C/A (Coarse/Acquisition) 코드 기반 의사거리이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보정된 의사거리 관측치와 상기 GNSS 신호에 대한 데이터 처리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방송위성의 방송 궤도력 정보를 이용하여, GNSS 위성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제어부(110)와 송수신부(120)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부(120)는 위성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방송위성의 방송위성 위치 정보를 검색(또는 수신)하고,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기준으로 안테나(121)의 위치를 계산하고, 방송위성 위치와 상기 안테나(121)의 위치의 좌표 변환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안테나(121)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방송위성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계산하고, 상기 방송위성에 대한 추적(tracking)을 위한 방위 및 고도 이동 각도를 각각 전자나침판 및 자이로스코프에서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계산된 방위 및 고도 이동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121)의 상하, 좌우 방향을 조향하여 상기 안테나(121)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안테나(121)에 연결된 저잡음 블록(LNB: Low Noise Block)의 LNB 자동 스큐(Auto Skew) 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의 skew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안전지대 내비게이터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 위치 기반 안전지대 길안내 기술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 위치 기반 안전지대 길안내 기술과 안전지대 매핑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먼저, 현 위치 기반 안전지대 길안내 기술은 안전지대 매핑(mapping) 알고리즘과 GNSS 기반 현 위치 연속 추적 알고리즘과 연계하여 지도 업체에서 제공하는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안전지대 길안내 기술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대피소 DB, 구호시설 DB, 병원 DB, 지도 DB 등 안전지대 DB로부터의 안전지대에 대한 정보와 GNSS 기반 현재 위치를 이용한다. 이에 따라 목적지 경로 검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 기준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안전지대 매핑 알고리즘은 지도정보업체 서버로부터 지도 레이어와 레이어 속성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지도 위에 현재 위치 및 안전지도를 가시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도우미 내비게이터의 구현 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도우미 내비게이터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도우미 내비게이터는 안전 도우미 내비게이터 연동 프로토콜을 통해 주변 대피소 정보와 소요시간, 및 경로 안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안전도우미 내비게이터는 도 8과 같이 사용자의 이동 단말 내에 구현되거나, 또는 차량 내의 내비게이션에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안전도우미 내비게이터는 댁 내 스마트 TV에도 구현되거나, 또는 스마트 TV와도 연동 프로토콜을 통해 연동될 수 있다. 안전도우미 내비게이터는 주변 대피소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현되며, 대피소 정보 및 이동 소요시간을 디스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안전도우미 내비게이터는 이동 단말이나 차량 내비게이터 등을 통해 목적지까지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간정보 기반의 긴급 상황 발생 시 안전하게 대피장소까지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더 발전된 재난/재해 알림/대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긴급 상황 발생 시 빠르고 정확한 대처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controller)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안전지대 내비게이터 시스템
110: 제어부
120: 송수신부
130: 디스플레이
140: 메모리
200: 서버

Claims (8)

  1.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내비게이터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의 주변에 존재하는 안전지대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map)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된 지도상에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매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에 대한 요청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상기 서버로부터 WiFi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안전지대 위치에 관한 정보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망, 상기 WiFi망 및 위성 방송망을 통해 수신하고,
    재난에 기인하여 상기 WiFi망과 상기 이동 통신망이 이용 가능하지 않아,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제1 지도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WiFi망 및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하나 이상의 제2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대략적인 제2 지도, 이들 간의 제2 이동 경로 정보, 및 상기 제2 안전지대의 상세 정보를 상기 내비게이터에 의한 요청 없이 상기 위성 방송망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형태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위성 방송망을 통해서만 상기 제2 안전지대의 위치와 상기 제2 안전지대의 상세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이동 경로 정보, 및 상기 상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안전지대 위치 중 최적의 안전지대에 해당하는 제3 안전지대를 선택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지도 및 상기 제2 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상기 제3 안전지대의 위치와 이들 간의 제3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기준으로 안테나 위치를 계산하고, 방송위성 위치와 상기 안테나 위치의 좌표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방송위성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계산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안테나의 상하, 좌우 방향을 조향하여 상기 안테나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조정하고, 상기 안테나의 skew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방송위성으로부터 상기 제2 안전지대의 위치와 상기 제2 안전지대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는,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현재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후보 안전지대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안전지대까지의 거리에 기반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상기 안전지대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전에 수신된 지도를 계속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복수의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들로부터 GNSS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방송위성의 방송 궤도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NSS 위성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GNSS 위성들의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 사이의 의사거리 관측치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 ― 상기 의사거리는 C/A (Coarse/Acquisition) 코드 기반 의사거리임 ―; 및
    상기 보정된 의사거리 관측치와 상기 GNSS 신호에 대한 데이터 처리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위성의 방송 궤도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NSS 위성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위성의 방송위성 위치를 입력하는 단계;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기준으로 안테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방송위성 위치와 상기 안테나 위치의 좌표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방송위성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방송위성에 대한 추적(tracking)을 위한 방위 및 고도 이동 각도를 각각 전자나침판 및 자이로스코프에서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방위 및 고도 이동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의 상하, 좌우 방향을 조향하여 상기 안테나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저잡음 블록(LNB: Low Noise Block)의 LNB 자동 스큐(Auto Skew) 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의 skew 각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정부기관 서버에 해당하는 제1 서버로부터 제1 안전지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내비게이터로부터 제2 안전지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1 안전지대 및 상기 제2 안전지대에 대한 주소를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안전지대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2 안전지대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안전지대를 선정하고, 상기 안전지대를 분류하고, 상기 안전지대에 관한 속성 및 관계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안전지대 및 상기 정의된 안전지대에 관한 속성 및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내비게이터를 위한 안전지대 DB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6. 삭제
  7. 삭제
  8. 안전지대 내비게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의 주변에 존재하는 안전지대 위치를 검색하는 제어부;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map)를 상기 제어부가 다운로드하도록 제어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다운로드된 지도상에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매핑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운로드된 지도상에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매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에 대한 요청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상기 서버로부터 WiFi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안전지대 위치에 관한 정보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망, 상기 WiFi망 및 위성 방송망을 통해 수신하고,
    재난에 기인하여 상기 WiFi망과 상기 이동 통신망이 이용 가능하지 않아,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상기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제1 지도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WiFi망 및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하나 이상의 제2 안전지대 위치를 포함하는 대략적인 제2 지도, 이들 간의 제2 이동 경로 정보, 및 상기 제2 안전지대의 상세 정보를 상기 내비게이터에 의한 요청 없이 상기 위성 방송망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형태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위성 방송망을 통해서만 상기 제2 안전지대의 위치와 상기 제2 안전지대의 상세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이동 경로 정보, 및 상기 상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안전지대 위치 중 최적의 안전지대에 해당하는 제3 안전지대를 선택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지도 및 상기 제2 이동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변경된 현재 위치와 상기 제3 안전지대의 위치와 이들 간의 제3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비게이터의 현재 위치를 판단 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기준으로 안테나 위치를 계산하고, 방송위성 위치와 상기 안테나 위치의 좌표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방송위성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계산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안테나의 상하, 좌우 방향을 조향하여 상기 안테나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조정하고, 상기 안테나의 skew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방송위성으로부터 상기 제2 안전지대의 위치와 상기 제2 안전지대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는, 안전지대 내비게이터 시스템.
KR1020170136087A 2017-10-19 2017-10-19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와 연동된 내비게이터 시스템 KR102031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087A KR102031134B1 (ko) 2017-10-19 2017-10-19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와 연동된 내비게이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087A KR102031134B1 (ko) 2017-10-19 2017-10-19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와 연동된 내비게이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946A KR20190043946A (ko) 2019-04-29
KR102031134B1 true KR102031134B1 (ko) 2019-10-11

Family

ID=6628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087A KR102031134B1 (ko) 2017-10-19 2017-10-19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와 연동된 내비게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1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9828A (ja) * 2012-05-14 2013-11-28 Secom Co Ltd 避難情報提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83509A1 (en) * 2005-11-08 2007-05-09 The European GNSS Supervisory Authority Method for providing assistance data to a mobile station of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KR20140093840A (ko) * 2013-01-18 2014-07-29 (주)서울엠에스 재난용 대피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752677B1 (ko) * 2015-12-18 2017-07-1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방송위성 추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9828A (ja) * 2012-05-14 2013-11-28 Secom Co Ltd 避難情報提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946A (ko)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ureldin et al. Fundamentals of inertial navigation, satellite-based positioning and their integration
US10613231B2 (en) Portable GNSS survey system
US757752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initial position in a navigation system
US80323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tricting the use of position determining devices to defined regions
US9281559B2 (en) Method for directed antenna alignment through augmented reality
US20070109185A1 (en) Providing GPS pseudo-ranges
US200300086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l orientation of a GPS capable wireless device
US7386392B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condition specific alerts
CN101329395B (zh) 处理外部修正信息及修正位置测量结果的方法与相关装置
JP2010530958A (ja) 絶対位置決めモード及び相対位置決めモードを含む位置決め装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732295B2 (en) Positioning and navigation receiver with a confidence index
MXPA05011340A (es) Sistema y metodo de localizacion.
EP2560024B1 (en) Satellite-based positioning method
US115259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fix estimation using two or more antennas
AU20072168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horization to use corrections provided by an RTK base station
KR100953471B1 (ko) 실내지도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구비하는지도정보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1200751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Virtual Wide Area GNSS Reference Network
US20050131639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US10908300B2 (en) Navigation method, navigation device and navigation system
KR20090034699A (ko) 원격 표적의 좌표 측정 장치 및 방법
JP4109684B2 (ja) 移動局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2031134B1 (ko) 안전지대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와 연동된 내비게이터 시스템
US201300574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position information of portable terminal in multi-path zone
JP2008298607A (ja) Gps受信装置
WO2019162877A1 (en)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corr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