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692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692B1
KR102030692B1 KR1020130045638A KR20130045638A KR102030692B1 KR 102030692 B1 KR102030692 B1 KR 102030692B1 KR 1020130045638 A KR1020130045638 A KR 1020130045638A KR 20130045638 A KR20130045638 A KR 20130045638A KR 102030692 B1 KR102030692 B1 KR 102030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ousing
tray
mobile termina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7079A (ko
Inventor
박병덕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5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692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12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utilizing a push bar for manipulation by hand in order to eject the inserted card
    • G06K13/081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utilizing a push bar for manipulation by hand in order to eject the inserted card the push bar comprising a pivotable push butt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31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slide, carriage or dra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7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automatically by insertion of rigid printed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장착되는 트레이 및 상기 하우징과 트레이가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트레이 사이에 형성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에 적용될 수 있는 소켓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이동 단말기의 하드웨어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에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인테페이스부는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하며, 메모리 카드 포트나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포트들이 장착될 경우 구성품들 간 조립 공차에 의하여 부품의 피로도가 증가하거나 소음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부품 간의 이격을 줄여 단말기 본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켓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소켓 모듈 및 상기 소켓 모듈에 장착되는 식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 모듈은,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식별 모듈이 안착되는 트레이 및 상기 하우징과 트레이가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트레이 사이에 형성되는 밀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켓 모듈은 제1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레버 및 상기 제1 레버의 일단에 접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레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벽 및 상기 제1 레버로부터 상기 돌출벽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서 제1 레버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 및 상기 내면과 대면하는 제1 레버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와 맞물리는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는 상기 내면에서 제1 레버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는 양 단이 상기 제1 레버에 고정되고 탄성을 갖도록 굴곡을 가지며 휘어지는 띠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벽 및 상기 제1 레버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굴곡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레버는 양 단이 하우징의 경계벽에 접하고, 중앙부가 상기 돌출벽을 향하여 휘어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계벽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및 제2 경계벽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제1 및 제2 경계벽 사이에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소켓 하우징 또는 레버에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여, 소켓의 분리를 원활하게 함과 더불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모듈을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켓 모듈의 분리도.
도 5a는 도 3의 V-V 라인을 따라 바라본 소켓 모듈의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소켓 모듈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도 5a의 Ⅵ-Ⅵ 라인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
도 6b는 도 5b의 Ⅵ-Ⅵ 라인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3의 Ⅶ-Ⅶ 라인을 따라 바라본 소켓 모듈의 실시예들.
도 8은 트레이(500)가 트레이홈(B)에 인입된 상태(a) 및 인출된 상태(b)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트레이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100)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 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방위,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151)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 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및 플래시를 갖는 임의의 휴대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O(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으로 불릴 수 있다)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반대되는 면을 덮는 배터리 커버(103)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과 상기 배터리 커버(103) 사이에 배치되는 리어 케이스(10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 및 상기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 신호입력부(120) 및 전면 카메라부(121)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한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으로 칭하기로 한다. 터치스크린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있으면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된다.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151)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a에 의하면, 터치스크린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상기 제1 음향 출력부(152)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카메라부(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카메라부(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2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입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키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지며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230)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종료, 스크롤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에는 사이드키(132), 인터페이스부(170) 및 음향입력부(122) 등이 배치된다.
사이드키(132)는 조작유닛으로 통칭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키(132)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사이드키(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키(132)에 의하여, 영상입력부의 제어,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음향입력부(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전원공급부(190), 후면 카메라부(121')가 배치된다.
상기 후면 카메라부(121')에 인접하게 플래쉬(123)가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3)는 상기 후면 카메라부(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춘다.
상기 플래쉬(224)와 인접하게 거울(22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울은 사용자가 상기 후면 카메라부(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상기 후면 카메라부(121')은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카메라부(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상기 전면 카메라부(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부(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상기 후면 카메라부(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및 후면 카메라부(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는 적어도 하나의 소켓(200)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소켓(200)에는 식별 모듈(51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식별 모듈에는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USIM) 및 미니 유심보다 크기가 작은 마이크로 유심(Micro 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Micro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켓이 장착되는 홀을 개폐하도록 케이스(102)에는 홀 커버(300a)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모듈(300)을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켓 모듈(300)의 분리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소켓 모듈(300)은 상부 하우징(310), 하부 하우징(320), 레버(410,420) 및 트레이(500) 등을 포함한다.
레버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제1 방향(DR1)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레버(410)와, 제1 레버(410)로부터 받는 힘을 트레이에 전달하는 제2 레버(420)를 포함한다.
제1 레버(410)는 제1 방향(DR1)로 길이가 연장되는 몸체부(411), 몸체부(411)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제2 방향(DR2)로 연장되는 머리부(412), 몸체부(411)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제2 방향(DR2)로 연장되는 받침부(413) 및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414) 등을 포함한다.
제2 레버(420)는 중앙부에 회전축이 결합되는 힌지홀(421), 중앙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22) 및 상기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423) 등을 포함한다.
제1 레버(410)의 받침부(413)와 제2 레버(420)의 제1 연장부(422)는 서로 접하여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1 레버(410)의 조작에 의하여 제2 레버(420)가 회전하며 트레이(500)를 하우징(300) 외부로 인출시킨다. 트레이(500)가 하우징(300)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 하우징(310)은 제1 내지 제3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탈 방지부(311)는 식별 모듈(510)이 제1 방향(DR1)으로 이탈하는 것 및 물리적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이탈 방지부(312) 및 제3 이탈 방지부(313)는 식별 모듈(510)이 트레이홈(B)의 어느 한 쪽으로 치우지지 않도록 트레이(500)의 양 측에 각각 힘을 가한다. 제1 내지 제3 이탈 방지부는 일단이 상부 하우징(310)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은 자유단을 이룬다. 상기 타단은 트레이(500)에 접하도록 트레이(500)를 향하여 굽은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하부 하우징(320)은 회로기판(182)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320)에는 식별 모듈(510)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극단자(321)가 포함된다. 전극단자(321)는 회로기판(182)에 존재하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극단자(321)는 일단이 하부 하우징(3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위쪽을 향하도록 굴곡을 이룰 수 있다.
하부 하우징(320)에는 제1 레버(410)가 배치되는 레버홈(A) 및 트레이(500)가 배치되는 트레이홈(B)이 형성된다.
레버홈(A)과 트레이홈(B) 사이에는 두 영역을 구획하는 돌출벽(32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벽(322)은 제1 돌출벽(322a) 및 제2 돌출벽(3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벽(322a)과 제2 돌출벽(322b) 사이에는 돌출부(414)와 맞물리는 맞물림 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320)에는 돌출벽(322)과 대면하는 경계벽(323)이 존재할 수 있다. 돌출벽(322)과 경계벽(323) 사이에 레버홈(A)이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320)에는 제2 레버(420)의 힌지홀(421)에 삽입되는 돌기(324)가 형성된다. 돌기(324)는 하부 하우징(3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힌지홀(421)에 결합된다. 돌기(324)는 제2 레버(420)가 제1 레버(410)으로부터 힘을 받아 회전할 때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 역할을 한다. 제2 레버(420)가 회전하여 트레이(500)가 인출되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위에서는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여기서 상부 및 하부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된 것으로 서로 상하가 바뀔 수 있다. 상부 하우징(301)과 하부 하우징(302)이 결합되어 일면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레버와 하우징(300) 사이에는 밀착부가 형성되어 레버와 하우징이 서로 부딪쳐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버(410)의 돌출부(414)와 돌출벽(322)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밀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밀착부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는 도 3의 V-V 라인을 따라 바라본 소켓 모듈(200)의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소켓 모듈(200)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도 5a의 Ⅵ-Ⅵ 라인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 도 6b는 도 5b의 Ⅵ-Ⅵ 라인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면, 하우징(300)의 일면에는 제1 레버의 몸체부(411)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314)가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00)과 제1 레버를 밀착시키는 밀착부는 하우징(300)의 일면에 형성되는 돌기(31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돌기(314)는 상부 하우징(310)에서 돌출되어 있지만 상기 돌기(314)는 하부 하우징(320)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300)에는 트레이(500)를 인출시키기 위한 레버가 장착되며, 레버 장착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레버와 하우징(30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즉, 기존의 경우, 상부 하우징(301)과 레버(303) 사이에는 설계상 약 0.06mm의 간극이 형성되며 이 간극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사용시 레버가 유동하게 된다. 레버의 유동에 의하여 단말기 이용시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소음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상기 돌기(314)는 레버 장착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레버 미사용시 레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하우징(300)에 돌기가 형성됨으로 인해 단말기 진동시 레버가 하우징(300)에 부딪치는 소음을 방지한다.
상기 돌기(314)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는 제1 레버의 몸체부(411)와 접촉하여 탄성 압축되며 몸체부(411)에 복원력을 가한다.
탄성부재는 고무나 플라스틱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띠 형태의 금속판이 굽어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411)의 일면에는 가이드홈(415)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415)은 몸체부(411)의 진행방향(DR1)으로 길이가 연장되며, 돌기(314)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돌기(314)와 가이드홈(415)은 서로 맞물려 상대이동한다. 돌기(314)가 가이드홈(415)에 맞물리기 때문에 제1 레버는 돌기의 돌출 방향 뿐 아니라 돌출 방향과 수직인 방향(도 4의 DR2)으로도 유동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314)는 상부 하우징(310)에서 하부 하우징(320)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제1 연장부의 일단에서 하우징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기는 T자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미도시). 가이드홈은 상기 돌기에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즉, 몸체부에는 T자 형태의 홈이 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에는 서로 대면하도록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411)의 일면에 접하는 제1 돌기와 반대면에 접하는 제2 돌기에 의하여 몸체부(411)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
몸체부(411)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돌기에 각각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들에는 각각의 돌기가 맞물려 몸체부(411)가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b 및 도 6b를 참조하면, 몸체부(411)에는 하우징(300)에 접하도록 돌출되는 돌기(41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411)에 형성되는 돌기(416)에 의하여 제1 레버와 하우징이 밀착된다.
상기 돌기(416)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는 몸체부(411)에 접하여 탄성 압축되고, 몸체부(411)에 복원력을 가한다. 탄성부재는 고무나 플라스틱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띠 형태의 금속판이 굽어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돌기(416)는 하우징(310)의 내면에 접하여 탄성 변형된다. 돌기의 일단(416a)은 몸체부(411)에 고정되고 타단(416b)은 일단(416a)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몸체부(411)에 고정된다.
일단(416a)과 타단(416b) 사이에는 굴곡을 가지며 돌출되는 접촉부(416c)가 존재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접촉부(416c)는 상부 하우징(310)에 접하여 탄성 변형된다. 제1 레버의 몸체부(411)가 레버홈(A)의 외부로 인출되었을 경우 돌기(416)는 중심부가 돌출된 곡면을 이룬다. 제1 레버가 레버홈(A)에 장착되면 접촉부(416c)가 상부 하우징(310)에 접하여 탄성 변형되고, 접촉부와 상부 하우징(310)이 접하는 면접이 증가한다. 탄성 변형된 접촉부(416c)는 상부 하우징(310)에 힘을 가하여 몸체부(411)를 하부 하우징(320)에 밀착시킨다.
즉, 제1 레버가 하우징(300) 밖으로 인출되었을 때는 돌기(416)가 곡면을 이루고, 제1 레버가 하우징(300) 안으로 인입될 경우 탄성 압축되며 하우징(300)의 내면에 접하는 면이 확장된다. 돌기(416)는 복원력에 의하여 제1 레버를 아래로 밀어낸다. 복원력에 의하여 제1 레버의 하면은 하부 하우징(320)에 밀착되고 제1 레버의 상하 방향 유동이 제한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3의 Ⅶ-Ⅶ 라인을 따라 바라본 소켓 모듈(300)의 단면도로서, 제1 레버(410)의 측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실시예들이다.
기존의 경우, 제1 레버(410)의 일측으로 약 0.05mm의 간극이 존재한다. 즉, 제1 레버(410)의 양측으로 약 0.1mm의 간극이 존재하며, 이는 제1 레버의 유동을 야기시킨다.
도 7a를 참조하면, 하우징(300)은 레버홈(A)이나 트레이홈(B) 등을 제외하고는 내부가 채워져 있을 수 있다. 또는 하우징(300)의 내부에는 돌출벽(322)과 경계벽(323)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벽(322)과 경계벽(323) 사이에는 제1 레버가 배치되는 레버홈이 형성된다.
제1 레버(410)는 제1 방향(DR1)로 길이가 연장되는 몸체부(411), 몸체부(411)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제2 방향(DR2)로 연장되는 머리부(412), 몸체부(411)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제2 방향(DR2)로 연장되는 받침부(413) 및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414) 등을 포함한다.
머리부(412)는 몸체부(411)의 일단에서 트레이(500)를 향하여 휘어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12a)와 제1 연장부의 일단에서 제2 방향(DR2)으로 휘어서 연장되는 제2 연장부(412b)를 포함한다. 즉, 제1 연장부(412a)와 제2 연장부(412b)의 사이에는 트레이(500)와 대면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돌출부는 트레이(500)와 접하도록 형성되어 제1 레버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레버홈의 양측에는 서로 대면하는 돌기들(325,326)이 형성된다. 돌기들은 레버 몸체부(411)의 양 측면에 접하여 제1 레버의 유동을 방지한다. 돌기들(325,326)은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체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제1 레버가 레버홈의 어느 한 쪽으로 치우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제1 레버가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7b는 제1 레버(410)의 측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레버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돌출벽(322) 또는 경계벽(323)에 접하는 돌기(417)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돌기(417)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굴곡을 가지며 돌출되는 접촉부가 존재할 수 있다. 접촉부는 돌출벽(322)에 접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제1 레버의 몸체부(411)가 레버홈(A)의 외부로 인출되었을 경우 돌기(417)는 중심부가 돌출된 곡면을 이룬다. 제1 레버가 레버홈(A)에 인입되면 접촉부가 돌출벽(322)에 접하여 탄성 변형되고, 접촉부와 돌출벽(322)이 접하는 면적이 증가한다. 탄성 변형된 접촉부는 돌출벽(322)에 힘을 가하여 몸체부(411)를 경계벽(323)에 밀착시킨다. 따라서, 몸체부(411)가 좌우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돌기는 몸체부(411)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양측면의 돌기들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며, 몸체부(411)가 어느 한 측면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여 제1 레버(41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도 7c는 제1 레버(410)의 측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7c를 참조하면, 하우징(300)은 제1 돌출벽(322a), 제2 돌출벽(322b) 및 경계벽(323)을 포함하고, 제1 레버(410)는 제1 방향(DR1)로 길이가 연장되는 몸체부(411), 몸체부(411)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제2 방향(DR2)로 연장되는 머리부(412), 몸체부(411)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제2 방향(DR2)로 연장되는 받침부(413)를 포함한다.
제1 돌출벽(322a)과 제2 돌출벽(322b) 사이에는 맞물림 영역(C)이 형성된다.
몸체부(411)는 일 방향으로 굴곡을 갖도록 굽은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몸체부(411)는 경계벽(323)과 접하는 제1 접촉영역(411a) 및 제2 접촉영역(411c)을 포함한다. 제1 접촉영역(411a)은 받침부(413)와 연결되고, 제2 접촉영역(411c)은 머리부(412)와 연결된다. 제1 접촉영역(411a)과 제2 접촉영역(411c) 사이에는 굴곡을 갖고 돌출되어 경계벽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굴곡영역(411b)이 형성된다. 굴곡영역(411b)는 돌출벽(322)에 접하여 제1 레버(410)의 측방향 유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굴곡영역(411b)은 맞물림 영역(C)에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제1 돌출벽(322a)의 모서리(322a')에는 굴곡영역(411b)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빗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벽(322b)의 모서리(322b')에는 굴곡영역(411b)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빗면이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500)가 트레이홈(B)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레버의 굴곡영역(411b)는 맞물림 영역(C)에 맞물려서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유동이 제한된다(Ⅱ).
사용자가 머리부(412)에 제1 방향(DR1)으로 힘을 가하면 굴곡영역(411b)은 제1 돌출벽(322a)의 모서리(322a')에 접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 방향(DR2)으로 탄성 변형된다(Ⅰ).
즉, 트레이(500)를 트레이홈(B)에 삽입하거나 인출시킬 때 제1 레버(410)는 Ⅰ상태와 Ⅱ상태에서 사이에서 변형된다. 두 상태 모두 제1 레버가 제2 방향(DR2)으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다만, Ⅱ상태에서는 굴곡영역(411b)이 맞물림 영역(C)에 맞물려 고정되므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제1 레버가 의도치 않게 제1 방향(DR1)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8은 트레이(500)가 트레이홈(B)에 인입된 상태(a) 및 인출된 상태(b)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트레이홈(B)은 경계벽(323)과 돌출벽(322) 사이에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트레이(500)는 몰드(501)와, 프레임(502)과, 식별 모듈 안착부(503) 등을 포함한다.
몰드(501)는 트레이홈(B)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트레이홈(B) 입구에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몰드(501)는 프레임(502)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트레이홈(B)에 맞물린다.
프레임(502)은 트레이홈(B)의 크기보다 작게 제작되어 트레이홈으로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502)에는 식별 모듈이 전극단자에 접할 수 있도록 중앙에 홀(504)이 형성된다.
프레임(502)에는 식별 모듈이 안착되는 안착부(503)가 형성되며, 안착부는 홀(504)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안착부는 식별 모듈의 테두리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식별 모듈의 금속 단자는 홀(504)을 통해 노출된다.
도 8의 (a)는 트레이(500)가 트레이홈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트레이(500)가 삽입되며 트레이의 일단은 제2 레버의 제2 연장부(423)에 힘을 가한다. 제2 연장부(423)가 아래쪽으로 힘을 받아 제2 레버는 힌지홀(421)에 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레버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연장부(422)는 제1 레버의 받침부(413)에 위쪽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받침부가 위쪽 방향으로 힘을 받아 제1 레버는 위로 이동한다. 제1 레버의 돌출부(414) 돌출벽(322)과 접하여 제1 레버의 유동을 방지한다. 돌출부(414) 및 돌출벽(322)을 포함하는 밀착부는 상기 도 4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레버의 머리부(412)에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트레이(500)를 꺼낼 수 있다.
도 8의 (b)는 트레이가 트레이홈에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머리부(412)에 힘을 가하면 제1 레버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 레버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다시 말해, 제1 레버의 받침부(413)가 제1 연장부(422)에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고 제2 레버는 힌지홀(421)에 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레버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연장부(422)는 트레이의 일면에 위쪽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트레이(500)는 위쪽 방향으로 힘을 받아 트레이홈(B) 외부로 인출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트레이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의 (a)의 트레이(500)는 몰드(501)와, 프레임(502)과, 식별 모듈 안착부(503) 등을 포함한다.
프레임(502)에는 식별 모듈이 전극단자에 접할 수 있도록 홀(504)이 형성된다. 프레임(502)에는 식별 모듈이 안착되는 안착부(503)를 포함하고, 안착부는 홀(504)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홀(502)을 통해 식별 모듈의 컨택트 영역이 노출된다.
식별 모듈의 컨택트 영역은 안착부와 중첩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이 때, 컨택트 영역과 안착부가 접촉되어 단락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착부는 절연성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트레이(50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유리섬유(Glass fiber)가 혼합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트레이의 재질을 변경하여, 절연부재를 추가하거나 코팅하는 방식에 비해 제작 과정을 간소화하고 재료비를 절약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의 컨택트 영역이 확장될 경우, 전원 접촉부는 안착부(503)의 접촉영역(가)에 접한다. 일반적으로 트레이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접촉영역(가)에 전원 접촉부가 접하여 단락 불량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안착부는 제1 안착부(503a) 및 제2 안착부(503b)를 포함한다.
제1 안착부는 프레임(502)의 일측면에서 홈(504)을 향해 연장되고, 제2 안착부는 프레임(502)의 타측면에서 홈(504)을 향해 연장된다. 제2 안착부(503b)는 프레임의 전면 및 타측면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두면을 통해 연결되어 L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2 안착부는 전면부터 타측면까지 연장된 일체를 이루지만 꼭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제2 안착부는 중간에 단절된 구간을 포함할 수 있고, 타측면에만 형성되거나 전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안착부는 타측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된다. 즉, 접촉영역(가)의 외부에 형성된 일단으로부터 전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식별 모듈의 컨택트 역영이 안착부에 접하지 않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8)

  1.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소켓 모듈; 및
    상기 소켓 모듈에 장착되는 식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 모듈은,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개구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식별 모듈이 안착되는 트레이; 및
    상기 하우징과 트레이가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트레이 사이에 형성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서 제1 레버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 및
    상기 내면과 대면하는 제1 레버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와 맞물리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모듈은,
    제1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레버; 및
    상기 제1 레버의 일단에 접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벽; 및
    상기 제1 레버로부터 상기 돌출벽을 향하여 돌출되는 추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내면에서 제1 레버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양 단이 상기 제1 레버에 고정되고 탄성을 갖도록 굴곡을 가지며 휘어지는 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벽; 및
    상기 제1 레버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굴곡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레버는 양 단이 하우징의 경계벽에 접하고, 중앙부가 상기 돌출벽을 향하여 휘어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벽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및 제2 경계벽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제1 및 제2 경계벽 사이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30045638A 2013-04-24 2013-04-24 이동 단말기 KR102030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638A KR102030692B1 (ko) 2013-04-24 2013-04-24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638A KR102030692B1 (ko) 2013-04-24 2013-04-24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079A KR20140127079A (ko) 2014-11-03
KR102030692B1 true KR102030692B1 (ko) 2019-10-10

Family

ID=5245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638A KR102030692B1 (ko) 2013-04-24 2013-04-24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348B1 (ko) * 2018-10-16 2019-11-1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소켓
WO2023182608A1 (ko) * 2022-03-24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저장매체를 수용하는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438B2 (ja) * 1992-07-02 2001-06-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トナー用樹脂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11267U (zh) * 2011-04-29 2012-01-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438B2 (ja) * 1992-07-02 2001-06-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トナー用樹脂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079A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8393B2 (en) Mobile terminal
KR20100035059A (ko) 이동 단말기
KR20110027486A (ko) 이동 단말기
KR101901610B1 (ko) 이동 단말기
KR20100064936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83237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49089A (ko) 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기
KR102007225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015539A (ko) 이동 단말기
KR102030692B1 (ko) 이동 단말기
KR101804914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117892A (ko) 이동 단말기
KR101951415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127413A (ko) 휴대용 단말기
KR20110002613A (ko) 이동 단말기
KR101978203B1 (ko) 이동 단말기
KR102018546B1 (ko) 이동 단말기
KR101952172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91185A (ko) 이동 단말기
KR20120040826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917686B1 (ko) 이동 단말기
KR102053862B1 (ko) 이동 단말기
KR102056374B1 (ko) 이동 단말기
KR102117576B1 (ko) 이동 단말기
KR102076510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