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518B1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518B1
KR102030518B1 KR1020170178606A KR20170178606A KR102030518B1 KR 102030518 B1 KR102030518 B1 KR 102030518B1 KR 1020170178606 A KR1020170178606 A KR 1020170178606A KR 20170178606 A KR20170178606 A KR 20170178606A KR 102030518 B1 KR102030518 B1 KR 102030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nknotes
bills
withdrawal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6640A (en
Inventor
김경수
황진용
오혜빈
서영대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8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518B1/en
Publication of KR20190076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6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5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Abstract

지폐류 입출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폐류의 투입 및 수취를 위해 제공되는 입출금구부; 상기 입출금구부를 통해 투입된 지폐류를 분리하는 분리부와, 출금을 위해 반송되는 지폐류를 집적하는 집적부를 포함하는 분리집적부; 상기 입출금구부와 상기 분리집적부 사이를 왕복 이동하며, 내부에 상기 지폐류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트레이 유닛; 및 상기 분리부와 상기 집적부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분리부의 분리 작업시 상기 트레이 유닛에 수용된 지폐류를 가압하고, 상기 집적부의 집적시 상부면에 지폐류가 적재되도록 제공되는 푸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폐류 입출금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apparatus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provided for the input and receipt of bills; A separation and integration unit including a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the banknotes introduced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port unit, and an integration unit for accumulating the banknotes conveyed for withdrawal; A tray unit reciprocating between the entrance / exit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the tray unit being provided to accommodate the bills therein; And a push provided to reciprocate between the separating part and the accumulating part, pressurizing the bills contained in the tray unit during the separating operation of the separating part, and providing the bills to be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ccumulating part. Banknotes and withdrawals device, including a plate may be provided.

Description

지폐류 입출금장치{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이를 구비한 자동 지폐류 입출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and withdraw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banknote and withdrawal device having a tray.

일반적으로 자동 입출금기(ATM, Automatic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generally provide unattended financial services such as cash and check deposits and deposits by credit card or bankbook without the need for bank employe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t is an automated device.

최근,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자동 입출금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자동 입출금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 입금기 및 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 들어 자동 입출금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use of automatic teller machines is expanding not only in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banks, but also in convenience stores, department stores, and public places. Automatic teller machines can be divided into withdrawal machines, deposit machines and withdrawal machine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withdrawals. Recently, automatic teller machine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ash withdrawal and withdrawal of checks, bank accounts, payment of giro fees, ticket releases.

자동 입출금기 중에는 현금, 수표와 같은 지폐류를 투입받아 자동으로 수납 처리하는 기기도 있다. 이러한 자동 입출금기는 투입된 지폐류에 대해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정상적인 경우에만 수납 처리하게 되는데, 외부에서 입출금구부를 통해 투입된 지폐류를 번들 형태로 이송시키면서, 해당 지폐류를 스캐닝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획득된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지폐류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 다음, 이상이 없는 경우에만 최종 수납 처리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지폐류를 반출 처리하게 된다.Some automatic teller machines accept bills, such as cash and checks, and automatically store and process them.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checks the authenticity of the inserted banknotes and stores them only in the normal case. The information is transferred through a method such as scanning the corresponding banknotes while transferring the banknotes inserted through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in a bundle form. Acquire. In addition, after confirming the authenticity of the bills using the obtained information, the final storing process only if there is no abnormality, and if there is an abnormality, the bills are carried out.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 입출금기는 지폐류가 입출금구부에 투입되면 이 지폐류를 번들화하는 별도의 클램핑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입출금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 지폐류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되기 때문에 지폐 정렬이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또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 거리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 conventional automatic teller machine requires a separate clamping process for bundling the bills when the bills are inserted in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slots, and thus th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bills are transferred through a conveyor belt. Because of this, the banknote alignment has to be made precisel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ying distance is long by the conveyor belt.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77439호 (2014. 06. 24 공개)Korean Laid-Open Patent No. 10-2014-0077439 (Published June 24, 2014)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출금구부를 통해 투입된 지폐류를 트레이에 수용한 상태로 분리부까지 이동시킴으로써 번들화되지 않은 지폐류의 입출금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지폐류 입출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nknote withdrawal device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withdrawal and withdrawal of unbundled banknotes by moving to the separation unit while receiving the banknotes put through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in the tr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폐류의 투입 및 수취를 위해 제공되는 입출금구부; 상기 입출금구부를 통해 투입된 지폐류를 분리하는 분리부와, 출금을 위해 반송되는 지폐류를 집적하는 집적부를 포함하는 분리집적부; 상기 입출금구부와 상기 분리집적부 사이를 왕복 이동하며, 내부에 상기 지폐류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트레이 유닛; 및 상기 분리부와 상기 집적부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분리부의 분리 작업시 상기 트레이 유닛에 수용된 지폐류를 가압하고, 상기 집적부의 집적시 상부면에 지폐류가 적재되도록 제공되는 푸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폐류 입출금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provided for the input and receipt of bills; A separation and integration unit including a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the banknotes introduced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port unit, and an integration unit for accumulating the banknotes conveyed for withdrawal; A tray unit reciprocating between the entrance / exit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the tray unit being provided to accommodate the bills therein; And a push provided to reciprocate between the separating part and the accumulating part, pressurizing the bills contained in the tray unit during the separating operation of the separating part, and providing the bills to be stack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ccumulating part.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including a plate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트레이 유닛은, 상기 분리부와 대향되는 벽면 및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지폐류가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분리부와 대향되는 상기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셔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부는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지폐류가 상기 분리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상승하여 지폐류가 통과할 수 있는 갭을 형성시키리 수 있다. Here, the tray unit, the wall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facing the separating portion is formed in an open structure, the main body accommodates the bills therein; And a shutter unit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opposite to the separating unit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wherein the shutter unit is lifted from the main body so that the banknote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re discharged through the separating unit so that the banknotes can pass. Can form gaps.

또한 상기 셔터부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셔터부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상기 분리부와 대향되는 상기 벽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칼럼부; 및 상기 칼럼부 사이에 위치되며, 개방 구조로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utter unit may include a column unit form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spaced apar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utter unit and covering a part of the wall surface facing the separation unit; And an opening disposed between the column parts and formed in an open structure.

또한 상기 푸시 플레이트는, 상기 칼럼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분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하부면을 통해 상기 지폐류를 가압하고 상부면에 상기 지폐류가 적재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sh plate is located outside the column portion, the frame port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paration unit; And a support extending from the frame portion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pressing the banknotes through a lower surface, and loading the banknotes on the upper surface.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에 상기 지폐류가 적재될 때 상기 푸시 플레이트는 하강하여 상기 지지대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에 적재된 상기 지폐류는 상기 트레이 유닛이 상기 입출금구부 쪽으로 이동될 때 상기 칼럼부에 의해 밀려서 상기 트레이 유닛의 내부에 투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anknotes are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the push plate is configured to be lowered so that th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the banknote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is the tray unit is the entrance and exit s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be pushed by the column portion when moved toward the inside of the tray unit.

또한 상기 트레이 유닛은, 상기 지폐류의 입, 출금시 상기 입출금구부의 선단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y unit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urther forward than the tip of the entry and exit port portion when the bank notes, incoming and withdrawn.

또한 상기 칼럼부의 상부에는 상기 트레이 유닛의 이동시 수용된 상기 지폐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스크린부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creen portion extending inward of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bills received when the tray unit is moved.

또한 상기 트레이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tray unit.

또한 상기 분리부에서 분리된 지폐류 중에서 입금이 불가한 리젝트권에 대해서 상기 집적부로 반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vey to the accumulator the reject ticket which can not be deposited among the bills separated by the separator.

또한 상기 집적부에는 지폐류가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적재되도록 상기 지폐류를 안내하는 스택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ack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stack guide for guiding the bills so that the bills are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 plat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입출금구부를 통해 투입된 지폐류가 트레이에 수용되어 분리부까지 안전하게 이송되므로 지폐류를 번들화하는 클램핑 과정이 불필요하고 입출금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s introduced through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is accommodated in the tray and safely transported to the separation unit, so there is no need for a clamping process for bundling the banknotes and the convenience of deposit and withdrawal is increased.

또한, 트레이를 통하여 지폐류를 이송할 때 트레이의 일측 상부에 마련된 스크린부를 통해 이송 중인 지폐류가 트레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ills are transferred through the tray, the bills being transferred through the screen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ray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ray.

또한, 입, 출금시 트레이가 입출금구부의 선단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기 때문에 입출금 셔터 내부로 자신의 손이 들어가는 것을 꺼리는 고객의 우려를 해소함과 동시에 트레이의 내부를 더 잘 볼 수 있도록 하여 지폐류의 투입과 수취가 보다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ray protrudes further forward than the tip of the entrance / exit opening at the time of entry and withdrawal, it relieves the customer's reluctance to enter his / her hand into the entry / exit shutter and at the same time allows the inside of the tray to be better seen. It has the advantage of easier input and receiv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장치의 입금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장치에서 분리 작업이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장치에서 집적 작업이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장치에서 트레이 유닛과 푸시 플레이트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푸시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셔터부가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푸시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적재된 지폐류가 칼럼부에 의해 트레이 유닛에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트레이를 구비한 자동 입출기의 출금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nknote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deposit state of the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g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y unit and the push plate in the banknote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ush plate is separated from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hutter uni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FIG. 6.
8 and 9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ocess that the bill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 plate is accommodated in the tray unit by the column portion.
10 is a view showing a withdrawal stat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provided with another tra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several aspects of the patentable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form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Should b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장치(10)는 크게 입출금구부(100), 분리부(200)와 집적부(300)를 포함하는 분리집적부(250), 트레이 유닛(400) 및 푸시 플레이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separate unit 250, including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100, the separation unit 200 and the accumulation unit 3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ray unit 400 and a push plate 5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위에서 나열된 구성들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이들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이들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다른 구성(예컨대, 상기 구성요소와 반송로를 통해 연결되어 지폐류를 감별하는 감별부와 지폐류를 일시보관하는 일시 보관부와 지폐류를 저장하는 수납카세트 등 자동 입출금기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공지기술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act tha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listed components does not mean that they consist only of these components, but basically includes these components. In addition, other components (eg, the components and the bills connected through the conveyance path) It is meant to include a well-known technology known in automatic teller machines, such as a discriminating unit for discriminating the kinds of goods and a temporary storage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the bills and a storage cassette for storing the bills), but for the known technolog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since it may be blurred.

도 2에서 보듯이 입출금구부(100)는 자동 입출금기(10)에서 지폐나 수표와 같은 종이 매체(이하, "지폐류(1)"라고 한다)를 투입 또는 수취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으로서, 입금 또는 출금시 고객의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자동 입출금기(10)의 전방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deposit and withdrawal outlet unit 100 is a configuration provided to insert or receive a paper medium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per money 1”) such as a bill or a check in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10, and deposit or When withdrawal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10 that can be easily reached by the customer's hand.

입출금구부(100)에는 지폐류(1)가 자동 입출금기(10)의 내부로 투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입출금 셔터(110)가 구비될 수 있다. 입출금 셔터(110)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The deposit and withdrawal outlet part 100 may be provided with a deposit and withdrawal shutter 110 so that the bill (1) is introduced into or discharged into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10). The deposit and withdrawal shutter 110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n external control signal.

또한, 입출금구부(100)의 상부에는 고객이 입출금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1)가 제공될 수 있다. 도면 부호 12와 13은 금고(12)와 벽(wall; 13)을 각각 나타낸 것으로서, 입출금구부(100)는 벽(13) 위에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upper portions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1 that allows the customer to visually check the deposit and withdrawal status. Reference numerals 12 and 13 denote the safe 12 and the wall 13, respectively, and the entrance / exit part 100 may be provided on the wall 13.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집적부(250)는 분리부(200)와 집적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eparation accumulator 250 may include a separation unit 200 and an integration unit 300.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분리부(200)는 입출금구부(100)를 통해 투입된 지폐류(1)의 반송을 위해 투입된 지폐류를 분리할 수 있다. 분리부(200)는 트레이 유닛(400)에 수용된 지폐류(1)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낱장 분리하여 다른 곳으로 이송할 수 있다. Looking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3, the separation unit 200 may separate the banknotes introduced for the conveyance of the banknotes 1 introduced through the entry and exit port 100. The separating unit 200 may selectively separate the bills 1 accommodated in the tray unit 400 and transfer them to other places.

분리부(200)는 지폐류(1)를 분리하기 위하여 픽업 롤러(210), 피드 롤러(220), 게이트 롤러(230) 등 다수의 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분리부(200)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에 해당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separation unit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such as a pickup roller 210, a feed roller 220, a gate roller 230, and the like, in order to separate the banknotes 1. Since it corresponds to a well-known technique, further description is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집적부(300)는 분리부(20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분리부(200)에서 분리된 지폐류(1)의 일부 또는 출금을 위해 반송되는 지폐류(1)를 집적할 수 있다. 즉, 집적부(300)는 분리부(200)에서 분리된 지폐류(1) 중 감별부(미도시)를 통과하면서 이상 지폐류 등으로 감별되어 입금이 불가한 리젝트(reject)된 지폐류(리젝트권)를 반송받아 임시로 저장하거나 수납카세트(미도시)에서 고객에게 출금되기 위해 인출된 지폐류가 집적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accumulation unit 300 may be located above the separation unit 200, and the bills 1 conveyed for withdrawal or withdrawal of a portion of the banknotes 1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unit 200. ) Can be integrated. That is, the accumulator 300 passes through a discriminating unit (not shown) among the banknotes 1 separated by the separating unit 200, is discriminated as abnormal banknotes, etc., and rejected banknotes that cannot be deposited. It is configured to accumulate the bills withdrawn (receipt ticket) to be withdrawn to be temporarily stored or withdrawn to the customer in the storage cassette (not shown).

집적부(300)는 피드 롤러(310)와, 이에 접촉되어 그 사이로 지폐류(1)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320)와, 가이드 롤러(320)와 동일한 축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탄성 시트가 부착된 스택 롤러(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cumulation unit 300 is coupled to the feed roller 310, the guide roller 320 for contacting and transporting the bills 1 therebetween, the same axis as the guide roller 320 and a plurality of elastic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t may include a stack roller 330 to which the sheet is attached.

또한, 집적부(300)에는 지폐류가 푸시 플레이트(500)의 상부면에 적재되도록 지폐류(1)를 안내하는 스택 가이드(34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택 가이드(340)는 집적부(300) 측의 상부에 고정되며 푸시 플레이트(500) 쪽으로 하향 경사지거나 절곡되어 집적부(300)를 통과한 지폐류(1)가 스택 가이드(340)에 의하여 푸시 플레이트(500)의 상부면에 적재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tacking unit 340 may be installed at the accumulator 300 to guide the bills 1 so that the bills are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 plate 500. The stack guide 340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accumulator 300 side, and the banknotes 1 which are inclined downward or bent toward the push plate 500 and passed through the accumulator 300 are pushed by the stack guide 340.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500 is to be loaded.

또한 트레이 유닛(400)은 입금 또는 출금되는 지폐류(1)를 내부에 수용하여 일시 저장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유닛(400)은 입출금구부(100)와 분리집적부(250) 사이의 경로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y unit 400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temporarily storing the bills (1) to be deposited or withdrawn therein, and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tray unit 400 and the deposit and withdrawal opening 100 The path between the separating and collecting units 250 may be reciprocated.

참고로, 도 1은 트레이 유닛(400)에 지폐류(1)가 전혀 수용되지 않고 트레이 유닛(400)이 분리부(200) 측에 위치해 있는 입금 대기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고객의 입금 요청시 트레이 유닛(400)이 입출금구부(100) 쪽으로 이동하여 트레이 유닛(400)에 입금이 필요한 지폐류(1)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트레이 유닛(400)이 다시 분리부(200) 쪽으로 이동하여 지폐류(1)의 분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For reference, FIG. 1 illustrates a payment waiting state in which the bills 1 are not accommodated in the tray unit 400 and the tray unit 400 is located at the separation unit 200 side, and FIG. The tray unit 400 moves to the entrance / exit unit 100 upon request to show a state in which the bills 1 needing to be deposited are accommodated in the tray unit 400, and FIG. 3 shows that the tray unit 400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unit ( Moving to 200)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bill (1).

이와 같이, 트레이 유닛(400)은 입금 또는 출금되는 지폐류(1)를 내부에 수용하여 입출금구부(100)와 분리부(200) 사이의 경로를 왕복 이동하며 지폐류(1)를 이송할 수 있다.As such, the tray unit 400 accommodates the banknotes 1 to be deposited or withdrawn therein, and transfers the banknotes 1 by reciprocating the path between the deposit and withdrawal outlet part 100 and the separating part 200. hav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이 지폐류(1)를 입, 출금할 때 지폐류(1)의 투입이나 수취를 위하여 고객의 손이 입출금구부(1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레이 유닛(400)은 입출금구부(100)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벽면(13)보다 전방으로 소정 길이(d)만큼 더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when the customer enters or withdraws the bills 1, the tray for preventing the customer's hand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outlet 100 for the input or receipt of the bills 1. The unit 400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urther fo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d than the wall surface 13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entrance / exit part 100.

트레이 유닛(400)이 입출금구부(100)의 선단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기 때문에 고객의 손은 입출금 셔터(110)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보다 쉽게 지폐류(1)를 입금 또는 출금할 수 있다. Since the tray unit 400 protrudes further forward than the tip of the entrance / exit opening part 100, the customer's hand can deposit or withdraw the bills 1 more easily without entering the deposit / exit shutter 110.

이는 개폐 동작이 수행되는 입출금 셔터(110) 내부로 자신의 손이 들어가는 것을 꺼리는 고객의 감성적 측면을 고려한 것으로서 입출금시 트레이 유닛(400)이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손이 입출금 셔터(110)에 끼일 수도 있을 것이라는 고객의 우려를 해소함과 동시에 트레이 유닛(400)의 내부를 더 잘 볼 수 있도록 하여 지폐류(1)의 투입과 수취가 보다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emotional side of the customer who is reluctant to enter his or her hand in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shutter 110,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tray unit 400 protrudes further forward when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shutter 110, While eliminating the customer's concern that it may be caught in the at the same time, the inside of the tray unit 400 can be better see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put and receipt of the bills (1) more easily.

또한, 푸시 플레이트(500)는 분리부(200)와 집적부(300) 사이의 경로를 왕복 이동하는 구성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플레이트(500)는 분리부(200)와 집적부(300) 사이의 경로 내에서 필요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sh plate 500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the path between the separation unit 200 and the integration unit 300, as shown in Figures 2 to 4 push plate 500 is the separation unit 200 In the path between the and the integration unit 300 may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needed.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200)의 분리 작업시 푸시 플레이트(500)는 하부면을 통해 트레이 유닛(400)에 수용된 지폐류(1)를 가압하여 지폐류(1)의 분리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도울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separation unit 200 is separated, the push plate 500 presses the bills 1 accommodated in the tray unit 400 through the bottom surface to separate the bills 1. It can help you work more smoothly.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적부(300)의 집적 작업시 푸시 플레이트(500)는 그 상부면에 집적된 지폐류(1)를 적재하여 푸시 플레이트(500)의 상부면을 스택 공간(stack space)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push plate 500 stacks the banknotes 1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ccumulator 300 to stack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 plate 500. It can also be used as a spa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장치(10)는 트레이 유닛(400)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수단은 트레이 유닛(400)이 입출금구부(100)와 분리부(200) 사이의 경로를 왕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트레이 유닛(40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리드 스크류(미도시)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means (not shown) for moving the tray unit 400. The moving means is configured to provide power to the tray unit 400 so that the tray unit 400 can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path between the entry and exit unit 100 and the separation unit 200, and includes a lead screw having a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 Not shown) and the like.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트레이 유닛(400) 및 푸시 플레이트(500)의 각 구조와 유기적 견련 관계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the structures, the organic relationships, and the actions of the tray unit 400 and the push plate 500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플레이트(500)는 하강하게 되면 푸시 플레이트(500)의 일부분이 트레이 유닛(400)의 수용 공간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5, when the push plate 500 is lowered, a part of the push plate 500 may enter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tray unit 400.

이 상태에서 푸시 플레이트(500)의 하부면은 트레이 유닛(400)에 수용된 지폐류(1)를 가압하여 분리 작업을 도울 수 있고, 푸시 플레이트(500)의 상부면에는 집적부(300)를 통과한 지폐류(1)가 적재될 수도 있다.In this state, the lower surface of the push plate 500 may press the banknotes 1 accommodated in the tray unit 400 to help the separating opera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 plate 500 may pass through the accumulation unit 300. One banknote 1 may be stacked.

이러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유닛(400)은 본체(410) 및 셔터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such a structure, as illustrated in FIGS. 6 and 7, the tray unit 400 may include a main body 410 and a shutter unit 420.

본체(410)는 지폐류(1)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략 박스 형상을 토대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박스 형상에서 분리부(200)와 대향되는 벽면과 상부면이 각각 개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410 may be configured based on a substantially box shape to accommodate the bills 1, in which the wall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pposing the separating part 200 may be formed in an open structure. have.

즉, 본체(410)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기는 하되 분리부(200)와 나란하게 마주보는 쪽의 벽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면 역시 개방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본체(410)의 바닥면과 그 바닥면에 수직하게 세워지고 분리부(200)와 교차하는 방향에 있는 양측의 벽면이 존재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입출금시 입출금구부(100)의 선단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본체(410)의 전방측 벽면은 필요에 따라 존재할 수 있다.That is, the main body 410 is made of a box shape, but the wall surface of the side facing the separator 200 is open and the top surface is also open, so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of the main body 410 are open. It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wall surfaces on both side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and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separation unit 200 exist.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S. 5 to 7, the front side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410 that protrudes further forward than the front end of the entrance and exit port part 100 may be present as needed.

또한, 셔터부(420)는 본체(410)와 별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분리부(200)와 대향되는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본체(410)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utter 420 is configured to be separate from the main body 410 and may be installed on the main body 410 so as to be lifted up and down on a wall surface facing the separating part 200.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200)에 의한 분리 작업이 수행 중인 경우, 셔터부(420)가 본체(410)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상승되어 셔터부(420)의 하단부가 약간 개방됨으로써 셔터부(420) 하단부의 갭을 통해 본체(410)에 수용된 지폐류(1)가 본체(410) 밖으로 배출되어 분리부(200)에 의한 분리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eparation operation by the separating unit 200 is being performe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hutter unit 420 is raised from the main body 410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hutter unit 420 By slightly opening, the bills 1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410 through the gap in the lower end of the shutter unit 420 may be discharged out of the main body 410 to perform a separation operation by the separating unit 200.

여기서, 상기 셔터부(420)는 도 7에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칼럼부(421)와 개구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hutter 420 may include a column 421 and an opening 422 as shown in detail in FIG. 7.

칼럼부(421)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기둥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칼럼부(421)는 분리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본체(41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410)에서 개방된 상태로 놓여져 있는 분리부(200)의 대향 벽면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칼럼부(421)는 본체(410)에서 분리부(200)와 대향되는 벽면의 일부를 막을 수 있다. The column part 421 refers to a column form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column part 421 form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parating part 200, an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410 to be elevated. A portion of the opposing wall surface of the separating part 200 which is placed in the open state in the main body 410 may be covered. Therefore, the column part 421 may block a part of the wall surface of the body 410 facing the separation part 200.

여기서, 칼럼부(421)의 상부에는 트레이 유닛(400)의 이동시 트레이 유닛(400)에 수용된 지폐류(1)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크린부(421a)가 제공될 수 있다. 스크린부(421a)는 칼럼부(421)의 상부에서 본체(410)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구성이며, 트레이 유닛(400)이 이동할 때 트레이 유닛(400)에 수용된 지폐류(1)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린부(421a)는 지폐류(1)의 일측 단부에 걸림력을 제공할 수 있다. 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portion 421 may be provided with a screen portion 421a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bills 1 accommodated in the tray unit 400 when the tray unit 400 moves. The screen portion 421a is configur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portion 421 to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410, and when the tray unit 400 moves, the bills 1 accommodated in the tray unit 400 are blown. In order to prevent the screen portion 421a may provide a locking force to one end of the bill (1).

또한, 개구부(422)는 칼럼부(421) 사이에 위치하는 개방된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어떠한 구조물도 없는 개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구부(422)는 비록 어떠한 구조물도 없는 개방된 부위지만, 이 개구부(4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푸시 플레이트(500)와 연관되는 기술적 의미를 갖기 때문에 별도의 명칭과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지칭한다.In addition, the opening 422 refers to an open portion located between the column portions 421 and may be formed as an open structure without any structure. Although the opening 422 is an open area without any structure, the opening 422 has a technical meaning associated with the push plate 50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 separate name and reference numeral are used. Refers to.

한편, 푸시 플레이트(500)는 프레임부(510)와 지지대(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ush plate 5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rame portion 510 and the support 520.

프레임부(510)는 분리부(200)의 상부 중에서도 칼럼부(421)의 외측에 위치하며, 분리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frame part 510 is positioned outside the column part 421 among the upper parts of the separating part 200,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eam extending along the length of the separating part 200.

또한, 지지대(520)는 프레임부(510)에서 개구부(422)를 통과하여 본체(4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520)는 복수의 개구부(422)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지대(520)는 프레임부(5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520 may extend from the frame portion 510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410 through the opening 422. Since the support 520 has a structu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openings 422, the support 520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the support 520 may be spac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rame part 510.

또한 지지대(520)의 하부면은 본체(410)에 수용된 지폐류(1)를 가압하여 분리부(200)의 분리 작업을 돕고, 지지대(520)의 상부면에는 집적부(300)를 통과한 지폐류(1)가 적재될 수 있다.(도 4 참조)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520 presses the bills (1)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410 to help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separation unit 200,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520 passed through the integration unit 300 Banknotes 1 may be stacked (see FIG. 4).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520)의 상부면에 집적부(300)를 통과한 지폐류(1)가 적재되는 경우, 푸시 플레이트(500)가 하강하여 지지대(520)는 칼럼부(421) 사이의 개구부(422)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지지대(520)는 본체(410)의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8, when the bills 1 passing through the accumulator 300 are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520, the push plate 500 is lowered so that the support 520 is a column part. Inserted into the opening 422 between the 421 so that the support 520 may be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410.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520)가 본체(410)의 수용 공간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지대(520)의 상부면에 적재된 지폐류(1)는 트레이 유닛(400)이 입출금구부(100) 쪽으로 이동할 때 칼럼부(421)에 의해 수용 공간 쪽으로 밀려서 트레이 유닛(400)의 내부(본체(410))에 투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9, the bills 1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520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520 is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410, the tray unit 400 is a cash inlet and outlet portion When moving toward the 100, the column unit 421 may be pushed toward the receiving space and introduced into the tray unit 400 (main body 410) to be accommodated.

이와 같이 트레이 유닛(400)에 수용된 지폐류(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유닛(400)에 의하여 입출금구부(100) 쪽으로 이송되어 고객에게 출금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ills 1 accommodated in the tray unit 400 may be transferred to the cash inlet / outlet part 100 by the tray unit 400 as shown in FIG. 10 and withdrawn to the customer.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using the preferabl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 described,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s not limited within the scope of this invention. Substitution and modification of the components are possible, which also belongs to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지폐류 10 : 자동 입출금기
100 : 입출금구부 110 : 입출금 셔터
200 : 분리부 250 : 분리집적부
300 : 집적부
400 : 트레이 유닛 410 : 본체
420 : 셔터부 421 : 칼럼부
421a : 스크린부 422 : 개구부
500 : 푸시 플레이트 510 : 프레임부
520 : 지지대
1: Bills 10: Automatic Teller Machine
100: deposit and withdrawal section 110: deposit and withdrawal shutter
200: separation unit 250: separation integration unit
300: integrated unit
400: tray unit 410: main body
420: shutter portion 421: column portion
421a: screen portion 422: opening portion
500: push plate 510: frame portion
520: support

Claims (10)

지폐류의 투입 및 수취를 위해 제공되는 입출금구부;
상기 입출금구부를 통해 투입된 지폐류를 분리하는 분리부와, 출금을 위해 반송되는 지폐류를 집적하는 집적부를 포함하는 분리집적부;
상기 입출금구부와 상기 분리집적부 사이를 왕복 이동하며, 내부에 상기 지폐류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트레이 유닛; 및
상기 분리부와 상기 집적부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분리부의 분리 작업시 상기 트레이 유닛에 수용된 지폐류를 가압하고, 상기 집적부의 집적시 상부면에 지폐류가 적재되도록 제공되는 푸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유닛은,
상기 분리부와 대향되는 벽면 및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지폐류가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분리부와 대향되는 상기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셔터부를 포함하는,
지폐류 입출금장치.
A deposit and withdrawal unit provided for inputting and receiving bills;
A separation and integration unit including a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the banknotes introduced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port unit, and an integration unit for accumulating the banknotes conveyed for withdrawal;
A tray unit reciprocating between the entrance / exit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the tray unit being provided to accommodate the bills therein; And
A push plate provided to reciprocate between the separating part and the accumulating part, pressurizes bills received in the tray unit during the separating operation of the separating part, and is provided to stack the bil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ccumulating part. Including;
The tray unit,
A main body having a wall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facing the separation part and having an open structure, and the banknotes are accommodated therein; And
And a shutter unit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opposite to the separating unit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지폐류가 상기 분리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상승하여 지폐류가 통과할 수 있는 갭을 형성시키는, 지폐류 입출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hutter unit forms a gap through which the banknotes can pass by rising from the main body such that the banknote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re discharged through the separating uni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셔터부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상기 분리부와 대향되는 상기 벽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칼럼부; 및
상기 칼럼부 사이에 위치되며, 개방 구조로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지폐류 입출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hutter unit,
A column part form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utter part and covering a part of the wall surface facing the separation part; And
Located between the column portion, including the opening formed in an open structure,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플레이트는,
상기 칼럼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분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하부면을 통해 상기 지폐류를 가압하고 상부면에 상기 지폐류가 적재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폐류 입출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ush plate,
A frame part positioned outside the column part and formed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separation part; And
The frame portion extend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opening,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and presses the bills through the lower surface and the support is loaded with the bills on the upper surface Banknotes, withdrawal device containing.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에 상기 지폐류가 적재될 때 상기 푸시 플레이트는 하강하여 상기 지지대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에 적재된 상기 지폐류는 상기 트레이 유닛이 상기 입출금구부 쪽으로 이동될 때 상기 칼럼부에 의해 밀려서 상기 트레이 유닛의 내부에 투입되도록 구성된, 지폐류 입출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n the banknotes are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is pushed down the plate is configured to insert the support into the opening,
And the banknote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re configured to be pushed by the column part and inserted into the tray unit when the tray unit is moved toward the entrance and exit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유닛은, 상기 지폐류의 입, 출금시 상기 입출금구부의 선단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지폐류 입출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y unit is configured to protrude further forward than the tip of the entry and exit portion of the bills, withdrawal, withdrawal of the bill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부의 상부에는 상기 트레이 유닛의 이동시 수용된 상기 지폐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스크린부가 제공되는, 지폐류 입출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portion is provided with a screen unit extending inward of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bills received when the tray unit is moved,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지폐류 입출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tray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에서 분리된 지폐류 중에서 입금이 불가한 리젝트권에 대해서 상기 집적부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입출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nknotes deposit and withdrawal apparatus of the banknotes separated by the separating part are conveyed to the accumulator for reject tickets which cannot be deposit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부에는 지폐류가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적재되도록 상기 지폐류를 안내하는 스택 가이드가 설치된, 지폐류 입출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acking unit is provided with a stack guide for guiding the bills so that the bills are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 plate.
KR1020170178606A 2017-12-22 2017-12-22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KR1020305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606A KR102030518B1 (en) 2017-12-22 2017-12-22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606A KR102030518B1 (en) 2017-12-22 2017-12-22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640A KR20190076640A (en) 2019-07-02
KR102030518B1 true KR102030518B1 (en) 2019-10-10

Family

ID=6725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606A KR102030518B1 (en) 2017-12-22 2017-12-22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51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9366A (en) * 2014-06-25 2016-01-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Paper sheet segregatedly-accumul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439A (en) 2012-12-14 2014-06-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KR20140085680A (en) * 2012-12-27 2014-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KR101557733B1 (en) * 2012-12-27 2015-10-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KR20140084535A (en) * 2012-12-27 2014-07-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9366A (en) * 2014-06-25 2016-01-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Paper sheet segregatedly-accumul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640A (en)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657B1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KR101502987B1 (en) Bill storage box and bill handling device
JP5795990B2 (en)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and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KR20120031931A (en) Paper money deposit/withdrawal machine
KR101830770B1 (en) A cassette for various kinds of banknotes having a movable bill stopper and the stacking method thereof
KR101046452B1 (en) Paper Sheet Separator
WO2014155645A1 (en) Paper-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KR20170112341A (en) A banknote recieving/dispensing cassette with variable stopper
WO2014155644A1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KR101508792B1 (en) Sheet feed route module in ATM
KR101965857B1 (en) Media separat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277757B2 (en) Banknote handling equipment
JP5789562B2 (en)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and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KR102030518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KR102399016B1 (en) An apparatus for receving and dispensing banknotes/checks in ATM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157693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KR20140139639A (en)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0244288A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JP4608770B2 (en) Automatic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KR101834498B1 (en) Media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 thereof
KR20150032545A (en) Financial device
JP6213141B2 (en) Media processing device
JP7424215B2 (en) Media processing equipment and cash handling equipment
JP2516660Y2 (en) Temporary stacking mechanism of banknote handling machine
JPH05324982A (en) Note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