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909B1 -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909B1
KR102029909B1 KR1020180089929A KR20180089929A KR102029909B1 KR 102029909 B1 KR102029909 B1 KR 102029909B1 KR 1020180089929 A KR1020180089929 A KR 1020180089929A KR 20180089929 A KR20180089929 A KR 20180089929A KR 102029909 B1 KR102029909 B1 KR 102029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ype
natural
tree
bu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응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마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마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마음
Priority to KR1020180089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을 통해 수목장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1), 회원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 회원가입시에 회원의 신상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3), 상기 단계(S3)에서 입력된 회원의 주소와 연락처, 생년월일 등을 비롯한 정보와 함께 수목장 절차를 위한 수목장 당사자에 대한 신상정보를 회원정보 DB에 저장하고 회원 ID를 발급하는 단계(S4), 수목장 계약을 신청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5), 수목장 계약 신청시에 수목장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S6), 종교를 선택하여(S10) 해당 종교에서의 위패 문구를 제시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위패를 제작하는 단계(S11), 상기 선택된 조건에 따른 수목장 실행을 위한 비용에 대하여 결제하는 단계(S13)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S13)에서 결제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계약 신청 단계(S5) 앞으로 접속되어 선택사항들을 수정하거나 계약을 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이용자가 직접 수목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선호하는 지역과 수목장의 형태와 함께 장묘목 및 위패를 미리 선택하여 준비할 수 있도록 하여 자연장에 의한 장례를 간편하게 치를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의 만족도와 편의성이 향상되고, 분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관리자는 인터넷을 통해 접수와 장묘목 및 위패 준비를 미리 할 수 있어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WOOD FOR GREEN FUNERALS}
본 발명은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상담, 추모목의 선정 및 계약을 할 수 있고, 화장에서 수목장의 전반적인 장례절차를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이용자 편의성의 향상 및 운영자의 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유교적인 관습으로 매장을 이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자연환경 훼손 및 국토잠식을 지양하고 친환경적인 장묘방식인 수목장을 권장하고 있으며, 많은 국민들 또한 이에 대하여 지지하고 있고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장사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제3호에 "자연장(自然葬)이란 화장한 유골의 골분(骨粉)을 수목·화초·잔디 등의 밑이나 주변에 묻어 장사"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동법 제10에는 "자연장을 하는 자는 화장한 유골을 묻기에 적합하도록 분골해야 하고, 유골을 분골하여 용기에 담아 묻는 경우 그 용기는 생화학적으로 분해가 가능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에서 진행하는 장묘 서비스는 장례식장, 장례용품 판매소, 장례정보 제공업체, 장례절차 진행업체 등의 장례와 관련된 분야가 각각 분할되어 있었고, 많은 경우 고인이 사망한 뒤에 급하게 장묘 서비스를 신청함에 따라 많은 어려움과 함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41367호(공개일자 2006년05월12일)에는 수목의 주변에 유골을 매장하는 수목장묘로 조성되는 수목장림의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수목장림을 조성하는 각 수목장묘에 관한 각종 정보(수목장묘 현황, 분양현황, 분양조건, 효력기간, 의전실 사용 및 예약현황 등)를 등록 관리 및 검색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각종정보를 공유하는 행정기관의 기관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각종정보 및 견적조회와 의전실 예약을 실시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림 운영시스템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수목장과 관련하여 선택가능한 장묘목을 비롯하여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보다 충실하게 제공하지 못하여 이용자의 불만과 불편을 주는 경우가 잦은 문제가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41367호(공개일자 2006년05월12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넷을 통해 지역과 수목장의 형태, 고인의 종교를 감안한 위패와 문구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하고 관리자의 수목장 운영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접속가능한 수목장 서버를 포함하는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목장 서버는,
수목장 서버 각각의 구성 부분에 대한 운용 DB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각 구성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수목장 서버 제어부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접속자에게 수목장을 홍보하기 위한 홍보자료와 수목장에 식재되어 있는 수목, 화초 및 잔디의 종류와 연령, 영상, 위패와 문구 등의 정보 등을 저장하는 수목장 정보 DB와,
수목장 계약자의 계약시 선택된 조건에 따라 수목장 정보 DB에 저장된 수목이나 화초 또는 잔디, 수목장 형태, 위패 등에 대한 정보들에서 추출된 선택 정보들로부터 해당 조건에 대응된 수목장의 시뮬레이션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연산제어부와,
수목장과 관련된 서비스를 수요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수요자와, 수목장과 연계되는 장례물품 공급자, 화장장 등과 같은 협력사들이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도록 하는 통신제어부와,
회원으로 등록시 입력한 수목장 당사자와 이력과 병력을 포함한 성명, 출생지, 주소, 생년월일, 사망일 등의 신상 명세 내용과 회원 신상 명세 내용과 연락처 등 수목장 절차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DB,
화장장, 장례 절차에 필요한 물품 공급자, 타지역의 제휴관계의 수목장 업체 정보를 저장하는 협력사 DB 및
추후 방문시에 해당 수목이나 화초 등에 대한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선택된 수목, 화초 및 위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회원 ID에 대응된 고유 태그 ID가 기록되어 부착되는 RFID 태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목장 운영 및 관리 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수목장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1),
회원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
회원가입시에 회원의 신상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3),
상기 단계(S3)에서 입력된 회원의 주소와 연락처, 생년월일 등을 비롯한 정보와 함께 수목장 절차를 위한 수목장 당사자에 대한 신상정보를 회원정보 DB(105)에 저장하고 회원 ID를 발급하는 단계(S4),
수목장 계약을 신청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5),
수목장 계약 신청시에 수목장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S6),
종교를 선택하여(S10) 해당 종교에서의 위패 문구를 제시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위패를 제작하는 단계(S11),
상기 선택된 조건에 따른 수목장 실행을 위한 비용에 대하여 결제하는 단계(S13)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S13)에서 결제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계약 신청 단계(S5) 앞으로 접속되어 선택사항들을 수정하거나 계약을 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목장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S6)에서, 수목장 형태는 개인형(S61), 부부형(S621)과 2인 이상의 가족형(S622)과 같은 특수형(S62), 또는 여러 사람들이 공동의 수목이나 화초 또는 잔디에 묻히도록 하는 공동형(S63) 중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계(S61,S62,S621,S622,S63)들에 이어서 유골분을 수목 밑이나 주변에 묻는 수목형(S7), 화초 밑이나 주변에 묻는 화초형(S8) 및 잔디형(S9) 중에서 선택하도록 한다.
선택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완성시의 수목장 상태에 대한 영상이 시뮬레이션 연산제어부에서 생성되어 제공하는 단계(S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후 방문시에 해당 수목이나 화초 등에 대한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선택된 수목이나 화초 등에 회원 ID에 대응된 고유 태그 ID가 기록된 RFID 태그가 위패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11)에서 제작되는 위패에는 고인을 기념할 수 있도록 유골 일부를 고온으로 용융하여 응고시켜 형성되는 "메모리얼스톤"을 봉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이용자가 직접 수목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선호하는 지역과 수목장의 형태와 함께 장묘목 및 위패를 미리 선택하여 준비할 수 있도록 하여 자연장에 의한 장례를 간편하게 치를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의 만족도와 편의성이 향상되고, 분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관리자는 인터넷을 통해 접수와 장묘목 및 위패 준비를 미리 할 수 있어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목장 운영 및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수목형 예시도.
도 4는 공동형 수목형의 예시도.
도 5는 잔디형 예시도.
도 6은 기독교 방식의 위패의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불교 방식의 위패의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수목장"의 용어는 「장사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제3호에 명시된 "자연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은 수목장 서버(100)를 포함하며, 상기 수목장 서버(100)는 수목장 서버 제어부(107)와, 수목장 정보 DB(102), 시뮬레이션 연산제어부(103), 통신제어부(104), 회원정보 DB(105), 협력사 DB(106) 및 운용 DB(101)를 포함한다.
수목장 서버 제어부(107)는 수목장 서버(100) 각각의 구성 부분에 대한 운용 DB(101)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각 구성 부분을 제어하며, 수목장 정보 DB(102)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접속자에게 수목장을 홍보하기 위한 홍보자료와, 수목장에 식재되어 있는 수목, 화초 및 잔디의 종류와 연령, 영상, 위패와 문구 등의 정보 등을 저장하고, 시뮬레이션 연산제어부(103)는 수목장 계약자의 계약시 선택된 조건, 즉 수목이나 화초 또는 잔디, 수목장 형태, 위패 등에 대한 정보에 따라 수목장 정보 DB(102)에서 추출된 정보들로부터 해당 조건에 대응된 수목장의 시뮬레이션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통신제어부(104)는 수목장과 관련된 서비스를 수요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수요자와, 수목장과 연계되는 장례물품 공급자, 화장장 등과 같은 협력사들이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회원정보 DB(105)는 접속자가 회원으로 등록시 입력한 수목장 당사자와 이력과 병력을 포함한 성명, 출생지, 주소, 생년월일, 사망일 등의 신상 명세 내용과 회원 신상 명세 내용과 연락처 등 수목장 절차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며, 협력사 DB(106)는 화장장, 장례 절차에 필요한 물품 공급자, 타지역의 제휴관계의 수목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인의 유족이 추후 방문시에 해당 수목이나 화초 등에 대한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선택된 수목, 화초 및 위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회원 ID에 대응된 고유 태그 ID가 기록되어 부착되는 RFID 태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흐름도에 도시된 단계들의 방법에 따라 실행된다.
수목장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인터넷을 통해 수목장 서버에 접속하면(단계 S1), 회원가입 여부를 확인하고(단계 S2), 회원가입을 하지 않더라도 웹서핑(단계S21)을 통해 수목장의 안내를 비롯한 홍보 자료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회원가입시에는 회원의 신상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단계 S3).
상기 단계(S3)에서는 회원의 주소와 연락처, 생년월일 등을 비롯한 정보와 함께 수목장 절차를 위한 수목장 당사자에 대한 신상정보도 함게 입력하도록 하고, 해당 정보가 입력되면, 그 정보를 회원정보 DB(105)에 저장하고 회원 ID를 발급한다(단계 S4).
그런 다음, 수목장 계약을 신청할 것인지를 확인하고(단계 S5), 계약 신청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목장에 대해 웹서핑을 할 수 있게 한다(단계 S51).
수목장 계약 신청시에 수목장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S6)에서는, 수목장 형태는 개인형(S61), 부부형(S621)과 2인 이상의 가족형(S622)과 같은 특수형(S62), 또는 여러 사람들이 공동의 수목이나 화초 또는 잔디에 묻히도록 하는 공동형(S63)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고, 이어서 유골분을 수목 밑이나 주변에 묻는 수목형(S7), 화초 밑이나 주변에 묻는 화초형(S8) 및 잔디형(S9)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며, 수목형의 경우 수목의 종류, 예를들어 소나무, 주목, 전나무, 향나무, 왕벚나무, 백목련, 라일락 등과 같이 다양한 장묘목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고(S71), 화초형에서도 백철쭉, 황매화, 연산홍과 같은 다년생 화초들 중에서 선택하도록 한다(단계 S81).
상기 단계(S7)에서의 수목형의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수목형은 또한 가족형이나 도 4와 같이 공동형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상기한 잔디형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잔디형은 종교단체의 자연장지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위패를 제작하는 단계(S11)에서 종교를 선택하여(S10) 해당 종교에서의 위패 문구를 제시하여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고인을 기리는 짧은 문구를 계약자가 입력토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위패는 2개를 제작하여 수목장에 전시하고 회원 개인이 고인을 기념하기 위해 보관하여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단계들에서 선택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완성시의 수목장 상태에 대한 영상이 시뮬레이션 연산제어부(103)에서 생성되어 제공되는(단계 S12) 것이 바람직하다.
결제단계(단계 S13)에서 상기 선택된 조건에 따른 수목장 진행 절차에 대한 비용에 대하여 결제가 완료되면 계약 내용을 저장하고 계약자에게 사본을 제공하고, 결제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계약 신청 단계(S5) 앞으로 접속되어 선택사항들을 수정하거나 계약을 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 우리나라 장례 문화가 자연장(수목장)이 가장 선호되고 있는 현실이지만, 자연장은 고인의 유골이 짧은 시간 내에 자연으로 회귀 되어 없어지기 때문에 추모 할 수 있는 대상물이 존재하지 아니하여 유가족의 상실감이 큰 문제점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상기 단계(S11)에서 제작되는 위패는 도 6과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인을 기리는 문구와 함께 머리카락이나 유골분 사리, 고인의 생전 말씀이나 영상을 담은 USB와 같은 기타 작은 소품을 수용하도록 함과 함께 고인의 사진을 부착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위패 제작시, 위패에 수용되는 고인을 기리기 위한 유골분 사리는, 대부분의 유골은 자연장을 하고 일부 유골로 기념할 수 있는 소위 "메모리얼스톤"을 만들어서 위패에 봉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메모리얼스톤"의 제작은 위패 제작에 패키지 형태로 제작되도록 계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얼스톤"은 고인의 골분 중 일부를 고온으로 용융하여 응고시킴으로써 소위 사리와 같은 형태로 얻어지며, 이로써, 수목장의 취지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 최소한의 대상물을 마련하여 위패에 봉안하는 복합장지모델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모리얼스톤은 목걸이, 반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위에서 선택된 수목과 화초 및 잔디의 위치 정보가 회원 DB에 저장되어 추후 방문시에 해당 수목이나 화초 등에 대한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수목이나 화초 등에 회원 ID에 대응된 고유 태그 ID가 기록된 RFID 태그가 위패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망시 유족들이 자연장에 의한 장례 절차를 간편하게 치를 수 있도록 이용될 수 있다.
100 : 수목장 서버 101 : 운용 DB
102 : 수목장 정보 DB 103 : 시뮬레이션 연산제어부
104 : 통신제어부 105 : 회원정보 DB
106 : 협력사 DB 107 : 수목장 서버 제어부

Claims (7)

  1. 삭제
  2. 인터넷을 통해 수목장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1),
    회원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
    회원가입시에 회원의 신상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3),
    상기 단계(S3)에서 입력된 회원의 주소와 연락처, 생년월일 등을 비롯한 정보와 함께 수목장 절차를 위한 수목장 당사자에 대한 신상정보를 회원정보 DB에 저장하고 회원 ID를 발급하는 단계(S4),
    수목장 계약을 신청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5),
    수목장 계약 신청시에 수목장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S6),
    종교를 선택하여(S10) 해당 종교에서의 위패 문구를 제시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위패를 제작하는 단계(S11),
    상기 위패는 2개를 제작하여 수목장에 전시하고 회원 개인이 고인을 기념하기 위해 보관하여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선택된 조건에 따른 수목장 실행을 위한 비용에 대하여 결제하는 단계(S13)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S13)에서 결제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계약 신청 단계(S5) 앞으로 접속되어 선택사항들을 수정하거나 계약을 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단계(S11)에서 제작되는 위패에는 고인을 기념할 수 있도록 유골 일부를 고온으로 용융하여 응고시켜 형성되는 "메모리얼스톤"을 봉안하도록 하고, 회원 ID에 대응된 고유 태그 ID가 기록된 RFID 태그가 상기 위패에 부착되는 것이며,
    상기 수목장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S6)에서, 수목장 형태는 개인형(S61), 부부형(S621)과 2인 이상의 가족형(S622)과 같은 특수형(S62), 또는 여러 사람들이 공동의 수목이나 화초 또는 잔디에 묻히도록 하는 공동형(S63)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S61,S62,S621,S622,S63)들에 이어서 유골분을 수목 밑이나 주변에 묻는 수목형(S7), 화초 밑이나 주변에 묻는 화초형(S8) 및 잔디형(S9)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며,
    선택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완성시의 수목장 상태에 대한 영상이 시뮬레이션 연산제어부에서 생성되어 제공하는 단계(S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 운영 및 관리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89929A 2018-08-01 2018-08-01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29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929A KR102029909B1 (ko) 2018-08-01 2018-08-01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929A KR102029909B1 (ko) 2018-08-01 2018-08-01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909B1 true KR102029909B1 (ko) 2019-10-10

Family

ID=6820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929A KR102029909B1 (ko) 2018-08-01 2018-08-01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9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655Y1 (ko) * 2006-01-18 2006-03-29 (주)기억되는 사람들 개량 위패
KR20060041367A (ko) 2004-11-08 2006-05-12 김현복 수목장림 운영시스템
KR20080080250A (ko) * 2007-02-14 2008-09-03 심규원 정보화기반 수목장 관리 및 운영 시스템
KR100860365B1 (ko) * 2006-11-29 2008-09-26 성래경 수목장의 저변확대를 위한 회원제용 수목장 운용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367A (ko) 2004-11-08 2006-05-12 김현복 수목장림 운영시스템
KR200412655Y1 (ko) * 2006-01-18 2006-03-29 (주)기억되는 사람들 개량 위패
KR100860365B1 (ko) * 2006-11-29 2008-09-26 성래경 수목장의 저변확대를 위한 회원제용 수목장 운용방법 및시스템
KR20080080250A (ko) * 2007-02-14 2008-09-03 심규원 정보화기반 수목장 관리 및 운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lements et al. Cultural perspectives of death, grief, and bereavement
US20010032093A1 (en) Method to assist consumers to make death care arrangements on-line
EP3106588B1 (en) Systems for interment of cremation remains
Hockey et al. Landscapes of the dead? Natural burial and the materialization of absence
US7716796B2 (en) Method for incorporating cremation remains into a plant
Oliver Cultural influence in migrants' negotiation of death. The case of retired migrants in Spain
KR102029909B1 (ko) 수목장 운영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Marsh Rethinking the Law of the Dead
Brundrett Roman tomb gardens: the construction of sacred commemorative landscapes
Hockey et al. Temporalities of transience and the mortuary landscape: The example of natural burial
KR100860365B1 (ko) 수목장의 저변확대를 위한 회원제용 수목장 운용방법 및시스템
Bolt In the absence of a corpse: rituals for body donors in the Netherlands
Powell et al. ‘I Bury Boxes, Not Bodies’: Identity, Emotionality and Natural Burial
Grainger et al. Post-death burial and funeral practices in rural Alberta
JP2001265887A (ja) 葬儀形態提供装置、葬儀形態の提供方法及び記録媒体
KR20020079042A (ko) 인터넷을 이용한 장례 및 추모의 서비스방법
KR20160131383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수목장 이용자에 대한 장례 절차 및 추모에 대한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Derogongan et al. Funeraria and Modern Funeral Homes: Change, Modernity and Sustainability
Hockey Contemporary cultures of memorialization: Blending social inventiveness and conformity
Zejdlik et al. The evolution of American perspectives concerning treatment of the dead and the role of human decomposition facilities
Schade The Green Cemetery in America: Plant a Tree on Me
Rugg et al. A Typical Funeral
Hurren ‘Transforming Sorrow into a Thousand Flowers’: Refashioning a Midlands’ Celebration of Death from the 1890s
Lares et al. Funeral Services: The Silent Oligopoly: An Exploration of the Funeral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JP2007004760A (ja) 仏花配送供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