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483B1 - 튜브 번들 반응기 - Google Patents

튜브 번들 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483B1
KR102029483B1 KR1020130147037A KR20130147037A KR102029483B1 KR 102029483 B1 KR102029483 B1 KR 102029483B1 KR 1020130147037 A KR1020130147037 A KR 1020130147037A KR 20130147037 A KR20130147037 A KR 20130147037A KR 102029483 B1 KR102029483 B1 KR 102029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as
reaction
gas discharg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456A (ko
Inventor
만프레트 레르
안드레아스 골드만
볼프강 슈스터
Original Assignee
만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filed Critical 만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40070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in tube reactors; the solid particles being arranged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8Details of the reactor or of the particulate material; Processes to increase or to retard the rate of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in tube reactors; the solid particles being arranged in tubes
    • B01J8/067Heating or cooling the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7/00Compounds having —CHO groups
    • C07C47/2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H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7/2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H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only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unsaturation
    • C07C47/22Acryaldehyde; Methacryaldehy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7/0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7/02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only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unsaturation
    • C07C57/03Monocarboxylic acids
    • C07C57/04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796Details of the reactor or of the particulate material
    • B01J2208/00823Mixing elements
    • B01J2208/00831Stationary elements
    • B01J2208/00849Stationary elements outside the bed, e.g.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796Details of the reactor or of the particulate material
    • B01J2208/00938Flow distribu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245Avoiding undesirable reactions or side-effe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매 기상 반응을 실시하기 위한 튜브 번들 반응기(1)에 관한 것으로, 작동시 촉매제로 채워지고 반응 가스(10)가 관류하는 반응 튜브(3) 번들(2)을 포함하고, 반응 튜브(3)의 가스 유입측 또는 가스 배출측 단부에 밀봉 연결된 가스 유입측 및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4)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베이스를 통해 반응 튜브(3)는 가스 유입 챔버 또는 가스 배출 챔버(7) 내로 통하고, 튜브 번들(2)을 둘러싸고 튜브 베이스(4)에 밀봉 연결됨으로써 상기 튜브 베이스와 함께, 작동 시 반응 튜브가 열 전달 매체로 세척되는 재킷 챔버(12)를 형성하는 반응기 재킷(5)을 포함하고, 이 경우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4)는 튜브 번들(2)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튜브 베이스 섹션(16)과 튜브 번들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튜브 베이스 섹션(17)을 포함하고, 이 경우 가스 배출 챔버(7) 내에 제 1 튜브 베이스 섹션(16)에 대해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18)과 상기 제 2 튜브 베이스 섹션(17)에 대해 정렬되고 무효 공간(20)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이 제공되고, 튜브 번들 반응기는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8)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8)는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18)으로부터 반응 튜브(3)에서 배출되는 반응 가스(10)의 부분 유동을 무효 공간(20) 내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튜브 번들 반응기{TUBE BUNDLE REACTOR}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튜브 번들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튜브 번들 반응기들은 예를 들어 US 7,544,836 B2호 및 WO 2008/009466 A1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들에서는 재킷 챔버 내의 튜브- 또는 튜브 번들이 없는 영역에 대해 정렬된, 가스 배출 챔버의 섹션들에 변위체들을 배치하는 것이 제안된다. 변위체는 반응 튜브로부터 배출되는 반응 가스가 거기에서 반응 가스 메인 유동 옆에 있는, 가스 배출 챔버의 무효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본 출원과 관련해서 "무효 공간"이란 반응 튜브로부터 배출되는 반응 가스가 유동 안내 장치에 의하지 않고 수용될 수 있는, 유동 경로 옆에 있는 가스 배출 챔버의 섹션이고, 상기 무효 공간 내에 규정되지 않은 유동비가 존재하기 때문에, 반응 가스는 그곳에서 더 오래 체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부반응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가스 배출 챔버의 상기와 같은 무효 공간에서 반응 튜브로부터 배출된 반응 가스의 바람직하지 않은 부반응을 저지하는 것이다.
전술한 방식의 튜브 번들 반응기에서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가 반응 튜브로부터 배출된 반응 가스의 부분 유동을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의 밖으로 무효 공간 내로 안내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치에 의해 반응 튜브로부터 배출되는 반응 가스의 부분 유동은 가스 배출 챔버의 무효 공간으로 안내되고, 상기 무효 공간은 반응 가스-메인 유동에 의해 관류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그곳으로 안내된 부분 유동은 떨어져 있는 이러한 무효 공간을 세척하고, 반응 가스가 거기에서 오래 체류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저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는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으로부터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 내로 연장되고, 상기 유동 안내 장치는, 반응 튜브로부터 배출되는 반응 가스의 부분 유동을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으로부터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으로 안내하도록 연장된다. 이로 인해 의도하는 원하는 부분 유동이 반응 가스 메인 유동으로부터 분기되어 무효 공간 내로 우회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제 2 튜브 베이스 섹션은 튜브 번들과 반응기 재킷의 내벽 사이의 환형 튜브 베이스 섹션이고,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는, 반응 가스를 가장 외측에 있는 반응 튜브로부터 환형 튜브 베이스 섹션에 대해 정렬된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의 무효 공간 내로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가스 배출 챔버의 가장자리 섹션이 효과적으로 세척되고, 동시에 유동 안내 장치의 크기는 비교적 작고, 가스 배출 챔버의 훨씬 큰 최대 영역은 부품 없이 지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의 중앙에 튜브 번들이 없는 튜브 베이스 섹션을 포함하는 튜브 번들 반응기에서 유동 안내 장치는, 반응 가스를 가장 내측에 있는 반응 튜브로부터 튜브 번들이 없는 중앙 튜브 베이스 섹션에 대해 정렬된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의 무효 공간 내로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반응 가스-메인 유동 옆에 있는, 가스 배출 챔버의 중앙 무효 공간이 효과적으로 세척되고, 이때 반응 가스-메인 유동의 훨씬 많은 최대 부분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는 유동 안내 박판으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매우 저렴한데, 그 이유는 제조 및 조립 비용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동 안내 박판은 다공성으로 형성되므로, 유동 안내 박판에 부딪히는 반응 가스의 일부는 유동 안내 박판을 통해 스며들고, 일부는 무효 공간 내로 안내된다. 이로써 반응 가스-메인 유동은 한층 덜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메인 유동은 유동 안내 박판을 통해 스며들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는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에만 배치될 수 있고, 무효 공간 옆에 및 적어도 상기 무효 공간의 높이에서 반응 튜브-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무효 공간의 높이에 가스 유입구들을 갖는 평면 구조물일 수 있고, 상기 개구들의 개방 횡단면은 각각, 최저 유동 속도가 주어지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튜브 번들에 대해 정렬된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은 완전히 부품 없이 유지된다.
평면 구조물은 바람직하게 튜브로서 형성되고, 튜브 번들이 없는 중앙 튜브 베이스 섹션에 대해 정렬된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로부터 가스 배출관 내로 연장되고, 상기 가스 배출관은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를 커버하는 반응기 후드 내에 배치된다. 이로써 평면 구조물은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는 가스 배출 챔버의 벽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는 상기 튜브 베이스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반응기 후드는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를 커버하고, 상기 반응기 후드는 가스 배출 챔버의 벽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는 반응기 후드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가스 배출 챔버 내의 다른 부품들의 경우에 각각의 특성에 따라 2개의 해결 방법은 유동 안내 장치를 위한 간단한 고정 가능성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번들 반응기는 (메트)아크롤레인의 제조 및 (메트)아크릴산의 제조를 위해 이용된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도면을 참고로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번들 반응기의, 가스 배출 챔버를 포함하는 부분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번들 반응기의 제 2 실시예를 도 1과 유사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번들 반응기의 제 3 실시예를 도 1과 유사하게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 안내 장치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유동 안내 장치를 수직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
도 5a는 도 5b의 라인 Va-Va을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동 안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 4a와 유사하게 도시한 도면.
도 5b는 장착 상태에서 도 5a의 유동 안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번들 반응기의 제 4 실시예를 도 1과 유사하게 도시한 도면.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번들 반응기(1)의 실시예들은 반응 튜브들(3)의 번들(2), (도시되지 않은) 가스 유입측 및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4), 반응기 재킷(5), (도시되지 않은) 가스 유입측 및 가스 배출측 반응기 후드(6) 및, 유동 안내 장치(8)를 구비한 가스 배출 챔버(7)를 포함한다.
반응 튜브들(3)은 수직으로 연장되고, 튜브 축선(9)이 도시된다. 편의상 12개의 반응 튜브들(3)만이 도시된다. 반응 튜브들(3)의 실제 개수는 훨씬 많을 수 있고, 30,000개 이상일 수 있다.
반응 튜브들(3)은 반응기 작동 시 촉매 물질로 채워질 수 있고, 반응 가스(10)에 의해 관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반응 가스(10)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유동한다.
반응 튜브들(3)의 단부들은 튜브 베이스(4)의 관통 보어에서 밀봉 용접되고, (도시되지 않은) 가스 유입 챔버 또는 가스 배출 챔버(7) 내로 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반응 튜브(3)의 하단부는 상기 반응 튜브의 가스 배출측 단부이고, 상기 단부로부터 반응이 완료된 반응 가스(10)가 가스 배출 챔버(7) 내로 유동한다.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4)는 가스 배출측 반응기 후드(6)로 커버되고, 상기 반응기 후드는 반응기 재킷(5) 및/또는 튜브 베이스(4)에 밀봉 연결된다. 반응기 후드는 피크 영역에 가스 배출관(11)을 갖는다.
가스 배출측 반응기 후드(6)와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4)는 가스 배출 챔버(7)의 벽을 형성한다.
반응기 재킷(5)은 튜브 번들(2)을 둘러싸고, 튜브 베이스(4)에 밀봉 용접된다. 반응기 재킷(5)은 튜브 베이스(4)와 함께 재킷 챔버(12)를 제한하고, 상기 재킷 챔버에서 반응 튜브(3)는 반응기의 작동 중에 열 전달 매체에 의해 세척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튜브 번들(2)은 반응기-길이방향 축선(13) 둘레에 환형으로, 가장 내측 반응 튜브들(3a) 사이의 튜브 또는 튜브 번들이 없는 중앙 재킷 챔버 섹션(14)과 경우에 따라서 방사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있는 반응 튜브들(3b)과 반응기 재킷(5)의 내벽 사이의 튜브 또는 튜브 번들이 없는 외부 환형 챔버(15)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4)는 (및 가스 유입측 튜브 베이스도) 튜브 번들(2)이 배치된, 이하에서 제 1 튜브 베이스 섹션(16)이라고도 하는 튜브 베이스 섹션(16)과 이하에서 제 2 튜브 베이스 섹션(17)이라고도 하는 튜브 번들이 없는 튜브 베이스 섹션(17)을 포함한다.
가스 배출 챔버(7)는 제 1 튜브 베이스 섹션(16)에 대해 정렬된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18)과 제 2 튜브 베이스 섹션(17)에 대해 정렬된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을 포함한다.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은 소위 무효 공간(20)을 갖고, 상기 무효 공간은 유동 경로 옆에 배치되고, 상기 무효 공간에 반응 튜브(3)로부터 배출되는 반응 가스(10)가 유동 안내 장치(8)에 의하지 않고 수용될 수 있다. 무효 공간(20) 내에 규정되지 않은 유동비가 존재하므로, 반응 가스(10)가 거기에서 더 오래 체류할 수 있고, 그 결과 바람직하지 않은 부반응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동 안내 박판으로서 형성된 유동 안내 장치(8)는 튜브 또는 튜브 번들이 없는 중앙 재킷 챔버 섹션(14) 아래에 및 상응하게 튜브 번들이 없는 중앙 튜브 베이스 섹션(17) 아래에 배치된, 즉 상기 섹션에 대해 정렬된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가장 내측의 2개의 반응 튜브(3, 3a)의 가스 배출측 단부 아래에까지, 즉 튜브 번들(2) 아래에 배치된, 즉 제 1 튜브 베이스 섹션(16)에 대해 정렬된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18) 내로 연장된다.
유동 안내 박판(8)은 2개의 섹션들(21, 22)을 포함한다. 제 1 섹션(21)은 반응 튜브(3) 또는 반응기(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유동 안내 박판(8)의 제 2 섹션(22)은 제 1 섹션(21)으로부터 튜브 베이스(4)로 기울어져 연장되고,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동 안내 박판(8)의 제 1 섹션(21)으로부터 튜브 베이스(4)를 향해 위로 연장된다. 따라서 방사방향으로 가장 내측의 2개의 반응 튜브(3, 3a)로부터 배출되는 반응 가스(10)는 유동 안내 박판(8)의 제 2 섹션(22)을 따라서 상기 제 2 가스 배출 섹션(19) 내로 그리고 거기에서 무효 공간(20) 내로 유동하고, 상기 무효 공간은 튜브 번들이 없는 중앙 재킷 챔버 섹션(14) 또는 제 2 튜브 베이스 섹션(17)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튜브 베이스 섹션에 인접한다.
유동 안내 박판(8)은 고정 장치(25), 예를 들어 바아, 튜브, 트러스트에 의해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4)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추가로 제 2 유동 안내 박판(8a)이 제공되고, 상기 제 2 유동 안내 박판은 튜브 또는 튜브 번들이 없는 환형 챔버(15) 아래에 - 즉 상응하게 튜브 번들이 없는 환형 튜브 베이스 섹션(17) 아래에 - 배치된 또는 상기 섹션에 대해 정렬된 다른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으로부터 튜브 번들(2)에 대해 정렬된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18) 내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유동 안내 박판(8a)은 방사방향 외측에 있는 반응 튜브(3b)의 가스 배출측 단부 아래에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 2 유동 안내 박판(8a)도 2개의 섹션(23, 24)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 중에 제 1 섹션(23)은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에서 반응 튜브(3) 또는 반응기(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 섹션(24)은 제 1 섹션(23)에 연결되고 튜브 베이스(4)를 향해 기울어져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18) 내로, 방사방향 외측에 있는 반응 튜브(3b) 아래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반응 튜브(3b)로부터 배출되는 반응 가스(10)는 상기 유동 안내 박판(8a)의 제 2 섹션(24)을 따라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18)으로부터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 내로 안내된다.
제 2 유동 안내 박판(8a)도 중앙에 배치된 제 1 유동 안내 박판과 유사한 고정 수단에 의해 튜브 베이스(4)에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앙 유동 안내 박판(8)은 다공성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 유동 안내 박판은 홀(26) 또는 가스 투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홀 또는 영역을 통해 반응 가스(10)의 일부는 유동 안내 박판(8)을 지나 유동할 수 있으므로, 2개의 가장 내측 반응 튜브(3, 3a)로부터 배출되는 반응 가스(10)의 부분 유동만이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18)으로부터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 내로 유동한다.
또한, 튜브 베이스(4)를 향한 상기 유동 안내 박판의 측면에 안내 박판(27)이 배치된다.
또한, 제 2 유동 안내 박판(8a)도 다공성으로 형성되므로, 방사방향 외측에 있는 반응 튜브(3b)로부터 배출되는 반응 가스(10)의 각각의 부분 유동들은 제 2 유동 안내 박판(8a)을 지나 유동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가스 배출측 반응기 후드(6)는 맨홀(28)을 포함하고, 상기 맨홀을 통해 설치 기술자가 가스 배출 챔버(7) 내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거기에서 조립- 또는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3은 도 1과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이 경우 중앙에 배치된 유동 안내 박판(8)은 고정 장치(29)에 의해 반응기 후드(6)에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고정 장치(29)는 예를 들어 4-레그로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반응 가스(10)는 장애 없이 고정 장치(29)를 통해 가스 배출관(11)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동 안내 박판(8)의 제 1 및 제 2 섹션 사이의 이행부(30)는 아치로 구현된다. 아치 반경은, 반응 가스(10)의 유동에 바람직한 편향이 제공되도록 선택된다.
도 4a 및 도 4b에는 유동 안내 장치(8)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고, 상기 유동 안내 장치는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 내에 배치되고, 상기 섹션은 튜브 번들이 없는 중앙 튜브 베이스 섹션(17)에 대해 정렬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동 안내 장치(8)는 튜브로서 형성되고, 상기 튜브는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4)를 향한 단부에서 횡단면인 파형인 깔때기(31)처럼 확장되거나 또는 가장자리가 구부러진다. 확장된 튜브 단부(31)는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 내의 무효 공간(20)의 높이에 배치된다. 튜브 베이스(4)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32)는 사전 설정된 길이 만큼 튜브 베이스(4)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면으로 연장된다.
튜브 베이스(4)로부터 떨어져 있는 튜브 단부(32)의 횡단면 치수는, 상기 튜브 단부가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 내에만 - 즉, 반응 튜브(3a)의 가장 내측 링(33) 내에 -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그와 달리, 확장된 튜브 단부(31)는 튜브 번들(2) 아래에 배치된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18) 내로 연장되므로, 반응 튜브(3)로부터 배출되는 반응 가스(10)는 튜브 확장부(31)의 내측면(34)을 따라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 내로 안내되고, 이 경우 파형 확장부를 통해 거기에서 부딪히는 반응 가스(10)는 무효 공간(20) 내로 주입된다.
유동 안내 장치(8)는 다수의 부분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확장되지 않은 튜브 섹션(32)은 시중의 튜브일 수 있고, 확장된 섹션(31)은 아치형으로 커팅된 박판 스트립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스트립의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에지는 깔때기의 형성을 위해 모아져 서로 결합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별 유동 안내 튜브들(35)은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으로부터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18) 내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동 안내 튜브들(35)은 성형으로 반응기-종축선(13)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연장된다. 유동 안내 튜브들(35)은 튜브 번들이 없는 중앙 튜브 베이스 섹션(17)에 대해 정렬된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에서 반응기-종축선(13)에 대해 동심으로 연장되는 튜브 홀더(36)의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유동 안내 튜브들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반응 튜브(3a, 3)의 가장 내측의 2개의 열 아래까지 연장되고, 거기에서 자유 단부는 튜브 종축선에 대해 비스듬하게 커팅되므로, 반응 가스(10)를 위한 가능한 한 큰 횡단면을 갖는 유입구(37)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유동 안내 튜브(35)는 자유 단부 근처에서 휘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유브의 유입구(37)는 튜브 베이스(4)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고, 따라서 유동 안내 튜브(35) 내로 반응 가스(10)의 유입이 쉬워질 수 있다.
유동 안내 튜브(35) 내로 유동하는 반응 가스(10)의 양을 늘리기 위해, 유입구에 깔때기가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깔때기는 튜브 베이스(4)를 향해 개방되거나, 또는 유동 안내 튜브(35)는 도 5a에 예시적으로 우측 유동 안내 튜브에 도시된 것처럼 분기될 수도 있다(38).
이로 인해 수집- 분배 기능은 유사하면서 튜브 홀더(36)에 직접 고정된 유동 안내 튜브들(35)의 개수의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무효 공간(20)의 영역에서 유동 안내 튜브들(35)은 튜브 베이스(4)를 향한 측면에 가스 배출구(39)를 갖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반응 가스(10)를 유동 안내 튜브(35)로부터 무효 공간(20) 내로 배출한다. 경우에 따라서 측면 또는 하부 가스 배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중앙 튜브 홀더(36) 상의 유동 안내 튜브들(35)의 고정 위치에서 상기 튜브 홀더는 유동 안내 튜브들(35)의 내부 횡단면 내에 마찬가지로 가스 배출구(40)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반응 가스(10)가 튜브 홀더(36)의 내측으로 유동한다. 이러한 경우에 튜브 홀더(36)는 한편으로는 다수의 가스 배출구(41)를 갖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반응 가스(10)가 튜브 홀더(36)로부터 가스 배출 챔버(7) 내로 유동한다.
튜브 홀더(36)는 튜브 베이스(4)에 예를 들어 용접, 납땜, 리벳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도 6에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에만 유동 안내 장치(8)가 배치된 실시예가 도시되고, 이 경우 상기 섹션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튜브 번들이 없는 중앙 튜브 베이스 섹션(17)에 대해 정렬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동 안내 장치(8)는 유동 안내 튜브로서 형성되고, 상기 튜브는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4)로부터 가스 배출관(11)까지 연장되고, 상기 가스 배출관은 반응기 후드(6)에 고정되고, 반응기-종축선(13)에 대해 동축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유동 안내 튜브(8)도 상기 가스 배출관(11) 내로 연장된다.
반응기 후드(6)는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4)를 커버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단부에 플랜지 연결에 의해 밀봉 연결된다.
유동 안내 튜브(8)는 길이방향으로 전체 길이와 가스 유입구(42) 둘레의 전체 원주를 갖고, 상기 가스 유입구를 통해 반응 가스(10)가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18)으로부터 유동 안내 튜브(8) 내로 유입된다. 유동 안내 튜브(8)에서 반응 가스(10)는 가스 배출관(11)으로 유동한다.
가스 유입구들(42)의 크기는, 반응 가스(10)가 최저 관류 속도로 상기 가스 유입구를 지나 무효 공간(20) 내로 유동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가스 유입구들(42)의 크기는 튜브 베이스(4)로부터 가스 배출관(11)을 향해 감소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반응 가스(10)는 살수기 형태로 유동 안내 튜브(8) 내로 유입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무효 공간(20)을 세척한다.
유동 안내 튜브(8)는 축방향으로 및/또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튜브 베이스(4)에 고정된다.
또한, 반응기 후드(6)에 맨홀(28) 또는 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여기를 통해 설치 기술자가 반응기 후드(6)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유동 안내 튜브(8)에서 조립 작업 및/또는 수리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번들 반응기(1)에서 반응 가스(10)가 더 긴 시간 체류할 수 있고 따라서 추가 반응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은 부산물이 발생할 수 있는 무효 공간(20)이 효율적으로 세척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체류 시간과 부산물이 방지된다.
1 튜브 번들 반응기
2 튜브 번들
3 반응 튜브
4 튜브 베이스
5 반응기 재킷
6 반응기 후드
7 가스 배출 챔버
8 유동 안내 장치
10 반응 가스
16 제 1 튜브 베이스 섹션
17 제 2 튜브 베이스 섹션
18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
19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
20 무효 공간
42 가스 유입구

Claims (11)

  1. 촉매 기상 반응을 실시하기 위한 튜브 번들 반응기로서,
    - 작동시 촉매제로 채워지고 반응 가스가 관류하는 반응 튜브 번들을 포함하고,
    - 반응 튜브의 가스 유입측 또는 가스 배출측 단부에 밀봉 연결된 가스 유입측 및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베이스를 통해 상기 반응 튜브는 가스 유입 챔버 또는 가스 배출 챔버 내로 통하고,
    - 튜브 번들을 둘러싸고 튜브 베이스에 밀봉 연결됨으로써 상기 튜브 베이스와 함께, 작동 시 반응 튜브가 열 전달 매체로 세척되는 재킷 챔버를 형성하는 반응기 재킷을 포함하고,
    -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는 튜브 번들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튜브 베이스 섹션과 튜브 번들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튜브 베이스 섹션을 포함하고,
    - 가스 배출 챔버 내에 상기 제 1 튜브 베이스 섹션에 대해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과 상기 제 2 튜브 베이스 섹션에 대해 정렬되고 무효 공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이 제공되고,
    - 상기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를 포함하는 튜브 번들 반응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8)는, 반응 튜브(3)로부터 배출되는 반응 가스(10)의 부분 유동을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18)의 밖으로 무효 공간(20) 내로 안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8)는 상기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으로부터 상기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18) 내로 연장되고, 상기 유동 안내 장치(8)는, 상기 반응 튜브(3)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반응 가스(10)의 부분 유동을 상기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18)으로부터 상기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 내로 안내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번들 반응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튜브 베이스 섹션(17)은 튜브 번들(2)과 반응기 재킷(5)의 내벽 사이의 환형 튜브 베이스 섹션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8)는, 상기 반응 가스(10)를 가장 외측에 있는 반응 튜브(3b)로부터 상기 환형 튜브 베이스 섹션(17)에 대해 정렬된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 내의 무효 공간(20) 내로 안내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번들 반응기.
  4.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4)의 중앙에 튜브 번들이 없는 튜브 베이스 섹션(17)이 형성되고, 유동 안내 장치(8)는 상기 반응 가스(10)를 가장 내측에 있는 반응 튜브(3b)로부터 상기 튜브 번들이 없는 중앙 튜브 베이스 섹션(17)에 대해 정렬된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 내의 무효 공간(20) 내로 안내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번들 반응기.
  5. 삭제
  6. 촉매 기상 반응을 실시하기 위한 튜브 번들 반응기로서,
    - 작동시 촉매제로 채워지고 반응 가스가 관류하는 반응 튜브 번들을 포함하고,
    - 반응 튜브의 가스 유입측 또는 가스 배출측 단부에 밀봉 연결된 가스 유입측 및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베이스를 통해 상기 반응 튜브는 가스 유입 챔버 또는 가스 배출 챔버 내로 통하고,
    - 튜브 번들을 둘러싸고 튜브 베이스에 밀봉 연결됨으로써 상기 튜브 베이스와 함께, 작동 시 반응 튜브가 열 전달 매체로 세척되는 재킷 챔버를 형성하는 반응기 재킷을 포함하고,
    -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는 튜브 번들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튜브 베이스 섹션과 튜브 번들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튜브 베이스 섹션을 포함하고,
    - 가스 배출 챔버 내에 상기 제 1 튜브 베이스 섹션에 대해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과 상기 제 2 튜브 베이스 섹션에 대해 정렬되고 무효 공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이 제공되고,
    - 상기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를 포함하는 튜브 번들 반응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8)는, 반응 튜브(3)로부터 배출되는 반응 가스(10)의 부분 유동을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18)의 밖으로 무효 공간(20) 내로 안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8)는 유동 안내 박판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유동 안내 박판(8)은 다공성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유동 안내 박판(8)에 부딪히는 반응 가스(10)의 일부는 상기 유동 안내 박판(8)을 통해 스며들고, 일부는 상기 무효 공간(20) 내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번들 반응기.
  7. 촉매 기상 반응을 실시하기 위한 튜브 번들 반응기로서,
    - 작동시 촉매제로 채워지고 반응 가스가 관류하는 반응 튜브 번들을 포함하고,
    - 반응 튜브의 가스 유입측 또는 가스 배출측 단부에 밀봉 연결된 가스 유입측 및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베이스를 통해 상기 반응 튜브는 가스 유입 챔버 또는 가스 배출 챔버 내로 통하고,
    - 튜브 번들을 둘러싸고 튜브 베이스에 밀봉 연결됨으로써 상기 튜브 베이스와 함께, 작동 시 반응 튜브가 열 전달 매체로 세척되는 재킷 챔버를 형성하는 반응기 재킷을 포함하고,
    -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는 튜브 번들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튜브 베이스 섹션과 튜브 번들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튜브 베이스 섹션을 포함하고,
    - 가스 배출 챔버 내에 상기 제 1 튜브 베이스 섹션에 대해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과 상기 제 2 튜브 베이스 섹션에 대해 정렬되고 무효 공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이 제공되고,
    - 상기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를 포함하는 튜브 번들 반응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8)는, 반응 튜브(3)로부터 배출되는 반응 가스(10)의 부분 유동을 제 1 가스 배출 챔버 섹션(18)의 밖으로 무효 공간(20) 내로 안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8)는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에만 배치되고, 상기 무효 공간(20) 옆에 및 적어도 상기 무효 공간의 높이에서 반응 튜브-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상기 무효 공간(20)의 높이에 가스 유입구들(42)을 갖는 평면 구조물이고, 상기 유입구들의 개방 횡단면은 각각, 최저 관류 속도가 주어지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번들 반응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구조물은 튜브로서 형성되고, 상기 튜브 번들이 없는 중앙 튜브 베이스 섹션(17)에 대해 정렬된 제 2 가스 배출 챔버 섹션(19)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4)로부터 가스 배출관(11) 내로 연장되고, 상기 가스 배출관은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4)를 커버하는 반응기 후드(6)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번들 반응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4)는 가스 배출 챔버(7)의 벽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8)는 상기 튜브 베이스(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번들 반응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기 후드(6)가 상기 가스 배출측 튜브 베이스(4)를 커버하고 상기 가스 배출 챔버(7)의 벽을 형성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동 안내 장치(8)는 상기 반응기 후드(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번들 반응기.
  11. 삭제
KR1020130147037A 2012-11-30 2013-11-29 튜브 번들 반응기 KR102029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23527.5 2012-11-30
DE102012023527.5A DE102012023527B4 (de) 2012-11-30 2012-11-30 Rohrbündelreak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456A KR20140070456A (ko) 2014-06-10
KR102029483B1 true KR102029483B1 (ko) 2019-11-08

Family

ID=5072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037A KR102029483B1 (ko) 2012-11-30 2013-11-29 튜브 번들 반응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29483B1 (ko)
CN (1) CN103846062B (ko)
DE (1) DE10201202352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3735A1 (de) 2018-06-08 2019-12-12 Man Energy Solutions Se Verfahren, Rohrbündelreaktor und Reaktorsystem zur Durchführung katalytischer Gasphasenreaktionen
CN109433116B (zh) * 2018-12-29 2024-02-13 常州瑞凯化工装备有限公司 用于强放热化学反应过程的管壳式轴向列管反应器
CN114963238B (zh) * 2022-04-18 2023-07-14 北京控制工程研究所 一种无毒单组元发动机反应室及装配方法
CN115155486B (zh) * 2022-05-18 2024-02-02 青岛伊森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化固定床等压进液树脂反应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38676A (zh) 2003-01-31 2006-02-22 曼德韦有限公司 用来进行催化气相反应的套管反应器及其运行方法
WO2008009466A1 (de) 2006-07-21 2008-01-24 Evonik Stockhause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crylsäure mit verminderter autoxidationsneigung
US20080045748A1 (en) * 2004-05-13 2008-02-2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Meth)Acrolein or (Meth)Acrylic Acid
CN101462033A (zh) 2007-12-20 2009-06-24 曼德韦有限公司 管束式反应器
CN101883628A (zh) 2007-12-24 2010-11-10 博里利斯技术有限公司 用于烯烃的催化聚合的包括防护装置的反应器系统、以及其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59016A (fr) * 1969-12-18 1971-04-30 Deggendorfer Werft Eisenbau Refroidisseur pour le passage d'une partie reglable d'un vehicule de chaleur maintenu en circulation dans un reacteur
EP0640385B1 (de) * 1993-08-26 1998-05-20 Sulzer Chemtech AG Packung mit katalytischen oder adsorbierenden Mitteln
DE10144857A1 (de) * 2001-09-12 2003-03-27 Deggendorfer Werft Eisenbau Reaktoranordnung für die Durchführung katalytischer Gasphasenreaktionen, insbesondere zur Gewinnung von Phthalsäureanhydri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38676A (zh) 2003-01-31 2006-02-22 曼德韦有限公司 用来进行催化气相反应的套管反应器及其运行方法
US20080045748A1 (en) * 2004-05-13 2008-02-2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Meth)Acrolein or (Meth)Acrylic Acid
WO2008009466A1 (de) 2006-07-21 2008-01-24 Evonik Stockhause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crylsäure mit verminderter autoxidationsneigung
CN101462033A (zh) 2007-12-20 2009-06-24 曼德韦有限公司 管束式反应器
CN101883628A (zh) 2007-12-24 2010-11-10 博里利斯技术有限公司 用于烯烃的催化聚合的包括防护装置的反应器系统、以及其方法和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023527B4 (de) 2020-08-06
KR20140070456A (ko) 2014-06-10
CN103846062A (zh) 2014-06-11
DE102012023527A1 (de) 2014-06-05
CN103846062B (zh)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33775C (en) Catalytic reactor with heat exchanger for exothermic and endothermic heterogeneous chemical reactions
US7055583B2 (en) Heat exchange unit for isothermal chemical reactors
KR102029483B1 (ko) 튜브 번들 반응기
US8158074B2 (en) Wall system for catalytic beds of synthesis reactors
CN101304803B (zh) 等温化学反应器
AU2002233290A1 (en) Catalytic reactor with heat exchanger for exothermic and endothermic heterogeneous chemical reactions
US7204301B2 (en) Multiservice heat exchange unit
CN107921396B (zh) 管式等温催化反应器
US10294114B2 (en) Ammonia converter comprising a tubular inner wall
US9266079B2 (en) Apparatus for retaining solid material in a radial flow reactor and method of making
RU2296748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мочевины
US7981271B2 (en) Pseudo-isothermal radial reactor
EP1279915A1 (en) Heat exchange unit, in particular for isothermal reactors
US4139413A (en) Blow-off device for limiting excess pressure in nuclear power plants, especially in boiling water nuclear power plants
WO2013042145A1 (en) Mounting and bending method of heat exchanging pipes in a methanol synthesis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