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03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energy storage system considering both long term and short term characteristic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energy storage system considering both long term and short term characterist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030B1
KR102029030B1 KR1020130116444A KR20130116444A KR102029030B1 KR 102029030 B1 KR102029030 B1 KR 102029030B1 KR 1020130116444 A KR1020130116444 A KR 1020130116444A KR 20130116444 A KR20130116444 A KR 20130116444A KR 102029030 B1 KR102029030 B1 KR 102029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ystem
power storage
control signal
mod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7138A (en
Inventor
전웅재
장병훈
김태균
김철우
신성식
한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30116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030B1/en
Publication of KR20150037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1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0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60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or generators via a high voltage DC link [HV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주기 및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력계통이 공급하는 전력을 충전 및 방전하는 전력저장시스템, 부하평준화제어 및 주파수추종제어 중 하나 이상의 제어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전력관리시스템, 상기 전력관리시스템이 사용하는 제어방법을 결정하고 상기 전력관리시스템이 생성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력저장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운전제어장치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저장시스템이 다양한 운전 상황에 대하여 보다 적절히 대처하게 할 수 있으며 전력저장시스템의 이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at considers both long and short cycle characteristics, one or mor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load leveling control and frequency tracking control to charge and discharge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ystem A power management system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ower storage system using a method, determining a control method used by the power management system,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power management system and receiving the power storag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torage system can cope with various driving situations more appropriately and can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power storage system.

Description

장주기 및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ENERGY STORAGE SYSTEM CONSIDERING BOTH LONG TERM AND SHORT TERM CHARACTERISTICS}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considering both long and short cycle characteristic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ENERGY STORAGE SYSTEM CONSIDERING BOTH LONG TERM AND SHORT TERM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장주기 및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저장시스템의 운전 모드에 따라 부하평준화를 위한 충방전 제어 방법 및 주파수추종을 위한 충방전 제어 방법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전력저장시스템의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장주기 및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onsidering both long and short cycle characteristics, and more particularly,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method and load for frequency track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for level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at considers both long and short cycle characteristics to control charge and discharge of a power storage system by selecting one or more discharge control methods.

환경 파괴와 자원 고갈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한 이후, 발전 과정에서 공해를 유발하지 않는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태양열 발전이나 풍력 발전, 조력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는 많은 경우, 발전되는 에너지의 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없으며, 자연 환경 및 기상 상황에 따라 시간적으로 발전되는 에너지의 양의 편차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Since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resource depletion have emerged as a serious problem,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that does not cause pollution during power generation. However, in many cases,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power, wind power and tidal power cannot arbitrarily control the amount of energy genera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energy generated in time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weather conditions. .

따라서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력저장시스템(Energy Saving System, ESS)의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전력저장시스템은 발전된 전력을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전력계통으로부터 잉여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저장한 뒤 전력계통이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전력이 부족한 경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전력계통으로 다시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energy saving system (ESS) capable of storing power and efficiently utilizing the stored power. The power storage system is a system that receives surplus power from the power system that supplies the generated power to the consumer, stores it in the battery, and supplies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back to the power system when the power system lacks the power supplied to the consumer.

이러한 전력저장시스템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전력계통의 에너지 수요의 주기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전력저장시스템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방법에는 전력계통의 장주기 특성 및 단주기 특성을 고려하는 방법이 있다. In order to control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such a power storage system, the periodicity of the energy demand of the power system must be considered. As a method of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ower storage system, there is a method of considering the long period characteristics and the short period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ystem.

장주기 특성, 즉 일일 주기상 전력계통의 부하의 변동을 고려하는 방법은 일일 주기상 전력계통 부하의 평준화를 목표로 하는 부하평준화 제어이다. 또한 단주기 특성, 즉 전력계통상 공급되는 교류 전류의 주파수를 고려하는 방법은 상기 교류 전류의 주파수에 따라 전력저장시스템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주파수추종 제어이다.The method of considering the long period characteristics, that is, the variation of the load of the daily power system, is a load leveling control which aims to equalize the daily power system load. In addition, the method of considering the short-period characteristics, i.e., the frequency of the alternating current supplied to the power system, is a frequency tracking control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ower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alternating current.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1430호 (2001.07.28 공개, 발명의 명칭 : 에너지 저장 시스템)가 있다.Related prior art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71430 (published on July 28, 2001, the name of the invention: 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전력계통의 장주기 특성과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장주기 특성을 고려하는 부하평준화를 위한 충방전 제어 방법 및 단주기 특성을 고려하는 주파수추종을 위한 충방전 제어 방법을 전력저장시스템의 운전 모드에 따라 선택하여 적용하고 다양한 운전 상황에 대하여 보다 적절하게 대처하며 전력저장시스템의 이용도를 향상시키는, 장주기 및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both the long and short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ystem, and the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method for load leveling considering the long cycle characteristics and the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method for frequency tracking considering the short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torage syste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at considers both long and short cycle characteristics, which are select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more appropriately cope with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and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power storage system. There is thi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장주기 및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는 전력계통이 공급하는 전력을 충전 및 방전하는 전력저장시스템, 부하평준화제어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력저장시스템의 충방전 출력 및 1일 충방전 스케줄을 나타내는 제1 제어신호와, 주파수추종제어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력저장시스템의 충방전 출력을 나타내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전력관리시스템 및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 방법에 의해 전력저장시스템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3 제어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생성하고 전력저장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운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device considering both long and short cyc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storage system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ystem, the 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controlled by the load leveling control A power management system for generating a first control signal indicative of a discharge output and a daily charge / discharge schedule, and a second control signal indicative of a charge / discharge output of a power storage system controlled by frequency tracking control; An operation control unit which determines a control method and generates a thir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ower storage system by the determined control metho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to the power stor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에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전력관리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력계통의 전송 주파수와,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입력부,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선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3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the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from the power management system,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power system and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the power storage system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ng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and generating the thir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third control signal to the power storage system. .

본 발명에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의 충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의 운전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운전 모드, 상기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 및 상기 충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controller determines the operation mod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the operation mode,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and the state of charge Selecting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storage system based on.

본 발명에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충전을 지시하고 있으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1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충전 또는 방전을 지시하지 않고 있으며 상기 충전 상태가 완충 상태에 가까우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2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가 방전을 지시하고 있으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3 모드로 판단하며,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충전 또는 방전을 지시하지 않고 있으며 상기 충전 상태가 방전 상태에 가까우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4 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if the first control signal instructs charging, the operation mode determines the first mode, the first control signal does not instruct charging or discharging and the state of charge is fully buffered If it is close to the state,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as the second mode, if the first control signal is instructed to discharge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to the third mode, the first control signal does not indicate the charge or discharge And when the charged state is close to the discharged state, determining the driving mode as the fourth mode.

본 발명에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운전 상태가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하락하고 있고 상기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충전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방전 출력으로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방전하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when the driving state is the first mode,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rapidly falling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he charging state is charged abov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generating a third control signal to discharge the power storage system at a discharge output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본 발명에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운전 상태가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상승하고 있고 상기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충전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충전 출력과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충전 출력을 합한 충전 출력으로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충전하되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정격출력 이상으로 충전하지 않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when the driving state is the first mode,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rapidly rising abov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he charging state is charged below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Generating a third control signal such that the power storage system is charged with a charging output that is a sum of the charging output indicat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charging output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but the power storage system does not charge above the rated output.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운전 상태가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하락하고 있을 때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방전 출력으로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방전하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ing state is the second mode, the power storage system to the discharge output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frequency is rapidly falling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 thir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so as to discharge this.

본 발명에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운전 상태가 제3 모드인 경우, 상기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하락하고 있고 상기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충전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방전 출력과 상기 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방전 출력을 합한 방전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방전하되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정격출력 이상으로 방전하지 않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state is the third mode, the operation control unit,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rapidly falling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he charging state is charged abov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Generating a third control signal such that the power storage system is discharged by the sum of the discharge output indicat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discharge output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and the power storage system does not discharge above the rated output.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운전 상태가 제3 모드인 경우, 상기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상승하고 있고 상기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충전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충전 출력으로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충전하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ing state is the third mode, when the driving rate is rapidly rising abov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and the charging state is charged below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generating a third control signal to charge the power storage system with the charging output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본 발명에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운전 상태가 제4 모드인 경우, 상기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상승하고 있을 때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충전 출력으로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충전하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when the driving state is the fourth mode,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rapidly rising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tored the power to the charge output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Generate a third control signal to charge the system.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장주기 및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방법은 운전제어부가 전력관리시스템으로부터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운전제어부가 전력계통의 전송 주파수를 감지하고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을 판단하는 단계, 운전제어부가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운전제어부가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의 충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의 운전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운전제어부가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method considering both long and short cycle characteristics,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receives a first control signal and a second control signal from a power management system,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ystem. Detecting a transmission frequency and determining a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cts a charging stat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charging stat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storage system and determining, by the operation controller, a control method of controlling the power storage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장주기 및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방법에서, 상기 운전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충전을 지시하고 있으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1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충전 또는 방전을 지시하지 않고 있으며 상기 충전 상태가 완충 상태에 가까우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2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가 방전을 지시하고 있으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3 모드로 판단하며,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충전 또는 방전을 지시하지 않고 있으며 상기 충전 상태가 방전 상태에 가까우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4 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method considering both the long period and the short perio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if the first control signal instructs charging,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as the first mode If the first control signal does not indicate charging or discharging and the state of charge is close to a buffer state,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as a second mode, and if the first control signal indicates discharging, the operation mode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mode, and if the first control signal does not indicate a charge or discharge and the state of charge is close to the discharge state, the operation mo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th mode.

본 발명에 따른 장주기 및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방법에서, 상기 제어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 모드, 상기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 및 상기 충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방법을 결정하되, 상기 결정된 제어방법에 의해 전력저장시스템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3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method considering both long and short perio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ing of the control method, the control method based on the operation mode,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and the state of charge And determining, but generating,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a thir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ower storage system by the determined control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계통의 장주기 특성과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장주기 특성을 고려하는 부하평준화를 위한 충방전 제어 방법 및 단주기 특성을 고려하는 주파수추종을 위한 충방전 제어 방법을 전력저장시스템의 운전 모드에 따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전력저장시스템이 다양한 운전 상황에 대하여 보다 적절히 대처하게 할 수 있으며 전력저장시스템의 이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long period characteristics and the short period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ystem, the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method for load leveling considering the long period characteristics and the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method for frequency tracking considering the short period characteristics Since it can be select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system, the power storage system can be appropriately coped with various operating situations, and the utilization of the power storage system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주기 및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전력저장시스템의 운전 모드별로 전력저장시스템의 충방전 제어 방법의 결정 규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주기 및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제어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wer storage system considering both long and short cyc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cision rule of a charge / discharge control method of a power storage system for each operation mod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torage system considering both long and short perio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주기 및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onsidering both long and short cyc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주기 및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apparatus considering both long and short cyc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주기 및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는 전력관리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PMS)(100), 운전 제어 장치(200) 및 전력저장시스템(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apparatus considering both long and short cyc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management system (PMS) 100 and an operation control apparatus 200. ) And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전력관리시스템(100)은 부하평준화제어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충방전 출력을 나타내는 제1 제어신호 및 주파수추종제어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충방전 출력을 나타내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한다.The power management system 100 represents the first control signal indicating the charge / discharge output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controlled by the load leveling control and the charge / discharge output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controlled by the frequency tracking control. Generate a second control signal.

전력관리시스템(100)은 전력계통으로부터 입력받은 부하 예측 데이터 및 전력 저장 시스템의 충전 상태에 근거하여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부하평준화부(110) 및 전력계통으로부터 입력받은 전력계통의 전송 주파수 및 전력 저장 시스템의 충전 상태에 근거하여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추종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ower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load leveling unit 110 that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based on load prediction data received from the power system and a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and a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power system received from the power system. And a frequency follower 120 generating a secon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방법에는 전력계통의 장주기 특성을 고려하는 부하평준화제어와 전력계통의 단주기 특성을 고려하는 주파수추종제어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includes load leveling control considering the long period characteristic of the power system and frequency following control considering the short period characteristic of the power system.

여기에서 부하평준화부(110)는 부하평준화제어를 수행한다.Here, the load leveling unit 110 performs load leveling control.

부하평준화제어는 전력계통의 장주기 특성, 즉 일일 주기상 전력계통 부하 변동을 고려하여 전력계통의 부하의 평준화를 목표로 하는 제어 방법이다. 부하평준화제어는 전력 계통으로부터 입력받은 전력 부하에 대한 예측 데이터에 근거하여, 전력 부하가 낮은 시간대에 전력저장시스템(300)이 충전하도록 제어하고, 전력 부하가 높은 시간대에 전력저장시스템(300)이 방전하도록 제어하여, 일일 주기상 전력계통의 부하가 평준화되도록 제어한다.The load leveling control is a control method that aims to equalize the load of the power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long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ystem, that is, the change of the power system load on a daily cycle. The load leveling control is performed to control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to charge in a time when the power load is low based on the predicted data on the power load received from the power system, and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in the time when the power load is high. By controlling to discharge, it is controlled to equalize the load of the power system on a daily cycle.

주파수추종부(120)는 주파수추종제어를 수행한다.The frequency tracking unit 120 performs frequency tracking control.

주파수추종제어는 전력계통의 단주기 특성, 즉 전력계통이 공급하는 교류 전원의 전력 전송 주파수의 변화 추이를 추적하여 전송 주파수가 상승하면 전력저장시스템(300)이 충전하도록 제어하고, 전송 주파수가 하강하면 전력저장시스템(300)이 방전하도록 제어하여, 전력계통에 걸리는 급격한 부하의 변동에 대응하도록 제어한다.Frequency tracking control tracks the short-cycl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ystem, that is, changes in the power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AC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ystem, and controls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to charge when the transmission frequency rises, and the transmission frequency falls. When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is controlled to discharge,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is controlled to respond to a sudden change in the load on the power system.

전력저장시스템(300)을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는 전력저장시스템(300)이 충전할 것인가 방전할 것인가의 여부, 전력저장시스템이 충방전하는 전력의 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charges or discharges, and the capacity of electric power charged and discharged by the power storage system. can do.

장주기 특성을 고려하는 제1 제어신호는 이에 더하여 1일 동안 부하가 평준화되도록 전력저장시스템(300)이 충방전하는 스케줄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signal considering the long period characteristic may further include a schedule in which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charges and discharges so that the load is leveled for one day.

단주기 특성을 고려하는 제2 제어신호는 이에 더하여 전송 주파수 또는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signal considering the short period characteristic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frequency or a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전력저장시스템(300)은 전력계통이 공급하는 전력을 충전 및 방전한다.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charges and discharges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ystem.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저장시스템(300)은 전력계통이 공급하는 전력에 대한 수요가 적은 경우 전력을 충전하였다가, 전력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경우 충전한 전력을 방전하여 저장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charges the power when the demand for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ystem is low, and discharges the charged power when the demand for the power is high to efficiently use the stored power. To help.

운전제어부(200)는 전력저장시스템(300)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어 방법에 의해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3 제어신호를, 제1 및 제2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생성하고 전력저장시스템(300)으로 출력한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200 determines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and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by the determined control method. Generated based on the signal and output to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운전제어부(200)는 전력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전력계통의 전송 주파수와, 전력저장시스템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입력부(210), 전력저장시스템(300)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선택하고 제1 및 제2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220) 및 제3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출력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200 receives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from the power management system 100, an input unit 210 for sens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power system, and the charging stat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and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Selects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trol panel and generates a thir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and an output unit 230 for outputting a third control signal to the power stor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이 때, 운전제어부(200)는 제1 제어신호 및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충전 상태에 근거하여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운전 모드를 판단하고, 운전 모드, 전력계통의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 및 충전 상태에 근거하여 전력저장시스템(300)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선택한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0 determines the operation mod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the operation mode,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pow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is selected based on the state of charge.

이 때, 운전제어부(200)는 전력계통으로부터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을 입력받을 수도 있고, 전력계통으로부터 입력받은 전송 주파수를 시간에 대하여 미분하여 전송 주파수를 산출할 수도 있으며, 전력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의 제2 제어신호를 통해 전송 주파수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0 may receive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from the power system, may calculate the transmission frequency by differentiat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received from the power system with respect to time, from the power management system 100 The transmission frequency may be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운전제어부(200)는 제1 제어신호가 충전을 지시하고 있으면 운전 모드를 제1 모드로 판단하고, 제1 제어신호가 충전 또는 방전을 지시하지 않고 있으며 충전 상태가 완충 상태에 가까우면 운전 모드를 제2 모드로 판단하고, 제1 제어신호가 방전을 지시하고 있으면 운전 모드를 제3 모드로 판단하며, 제1 제어신호가 충전 또는 방전을 지시하지 않고 있으며 충전 상태가 방전 상태에 가까우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4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The driving controller 200 determines the driving mode as the first mode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nstructs charging, and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does not instruct charging or discharging and the charging state is close to a buffer state, the driving mode 200 determines the driving mode.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as the third mode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ndicates the discharge and the operation is determined as the third mode.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does not indicate the charge or the discharge and the charge state is close to the discharge state, the operation is determined. The mode may be determined as the fourth mode.

즉, 제1 모드는 전력저장시스템(300)의 1일 충전 스케줄 중에서 충전 상태 완방으로부터 완충까지 충전을 진행하는 상태이고, 제2 모드는 충전 상태가 완충된 상태에서 더 이상 충전을 하지 않는 상태이며, 제3 모드는 충전된 전력을 전력 계통으로 방전하는 상태이고, 제4 모드는 충전되었던 전력을 완전히 방전하여 더 이상 방전을 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That is, the first mode is a stat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from the full charge state to the full charge state in the daily charging schedul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and the second mode is a state in which the state of charge is no longer charged in the fully charged state. The third mode may be a state in which charged power is discharged to the power system, and the fourth mode may be in a state in which it is no longer possible to discharge the charged power completely.

도 2는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운전 모드별로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충방전 제어 방법의 결정 규칙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cision rule of a charge / discharge control method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for each operation mod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운전제어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한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운전 모드에 따라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충방전을 부하평준화제어, 주파수추종제어 또는 양자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The operation controller 200 controls whether charge / dis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is controlled by load leveling control, frequency following control, or a combination of both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Determin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어 방법은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운전 모드, 전력 계통의 전력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 및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충전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As shown in FIG. 2, this control metho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the rate of change of the power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power system, and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운전제어부(200)는, 운전 상태가 제1 모드인 경우,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하락하고 있고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충전되어 있어서 충전 상태가 방전에 적정할 때, 주파수추종제어에 의해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운전에어부(200)는 제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방전 출력으로 전력저장시스템(300)이 방전하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driving state is in the first mode, the driving controller 200 rapidly decreases the frequency variation rate abov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he charging state is charged abov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o that the charging state is suitable for discharge. Charge and dis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may be controlled by the frequency tracking control. In this case, the driving air unit 200 may generate a third control signal such that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discharges the discharge output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운전제어부(200)는, 운전 상태가 제1 모드인 경우,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상승하고 있고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충전되어 있어서 충전 상태가 충전에 적정할 때, 부하평준화제어 및 주파수추종제어를 동시에 사용하여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운전에어부(200)는 제1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충전 출력과 제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충전 출력을 합한 충전 출력으로 전력저장시스템(300)이 충전하되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정격출력 이상으로 충전하지 않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driving state is the first mode, the driving controller 200 is rapidly rising above the preset reference value and the charging state is charged below the preset reference value so that the charging state is suitable for charging. Charge and dis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may be controlled by simultaneously using the load leveling control and the frequency tracking control. At this time, the driving air unit 200 is charged by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with the charge output of the charge output indicat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charge output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 power storage system is rated output The third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so as not to be charged above.

운전제어부(200)는, 운전 상태가 제1 모드인 경우, 주파수가 급속하게 하락하고 있지만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치 미만이어서 방전에 부적정하거나, 주파수가 급속하게 상승하고 있지만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이어서 충전에 부적정한 경우 전력저장시스템(300)이 충방전을 하지 않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driving state is in the first mode, the driving controller 200 may be in a state where the frequency is rapidly decreasing, but the charging state is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and thus the driving control unit 200 is not suitable for discharge, or the frequency is rising rapidly, but the charging state is high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Subsequently, when it is not suitable for charging,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may generate a third control signal so as not to charge and discharge.

운전제어부(200)는, 운전 상태가 제2 모드인 경우,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하락하고 있을 때, 제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방전 출력으로 전력저장시스템(300)이 방전하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driving state is the second mode, the driving controller 200 discharges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to the discharge output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frequency is rapidly falling abov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third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to make it.

운전제어부(200)는, 운전 상태가 제2 모드인 경우, 주파수가 급속하게 상승하고 있는 경우 전력저장시스템(300)이 충방전을 하지 않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driving controller 200 may generate a third control signal so that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does not charge or discharge when the frequency is rapidly rising when the driving state is the second mode.

운전제어부는(200)는, 운전 상태가 제3 모드인 경우,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하락하고 있고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충전되어 있어서 충전 상태가 방전에 적정할 때, 부하평준화제어 및 주파수추종제어를 동시에 사용하여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방전 출력과 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방전 출력을 합한 방전 출력에 의하여 전력저장시스템(300)이 방전하되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정격출력 이상으로 방전하지 않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잇다.When the driving state is in the third mode, the driving controller 200 rapidly decreases the frequency variation rate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charging state is charged abov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charging state is suitable for discharge. Charge and dis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may be controlled by using load leveling control and frequency tracking control simultaneously. At this time,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is discharged by the discharge output of the sum of the discharge output indicat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discharge output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and the third power supply system 300 does not discharge above the rated output.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운전제어부(200)는, 운전 상태가 제3 모드인 경우,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상승하고 있고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충전되어 있어 충전 상태가 충전에 적정할 때, 제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충전 출력으로 전력저장시스템(300)이 충전하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driving state is in the third mode, the driving controller 200 is rapidly rising above the preset reference value and the charging state is charged below the preset reference value, and the charging state is suitable for charging. The third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to charge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with the charging output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운전제어부(200)는, 운전 상태가 제3 모드인 경우, 주파수가 급속하게 하락하고 있지만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치 미만이어서 방전에 부적정하거나, 주파수가 급속하게 상승하고 있지만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이어서 충전에 부적정한 경우 전력저장시스템(300)이 충방전을 하지 않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driving state is in the third mode, the driving controller 200 may have a rapidly decreasing frequency, but may be inadequate for discharge because the state of charg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the frequency may increase rapidly, but the state of charge may exceed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ubsequently, when it is not suitable for charging,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may generate a third control signal so as not to charge and discharge.

운전제어부(200)는, 운전 상태가 제4 모드인 경우,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상승하고 있을 때 제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충전 출력으로 전력저장시스템(300)이 충전하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driving state is the fourth mode, the driving controller 200 may charge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with the charging output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frequency is rapidly rising above the preset reference value. The third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운전제어부(200)는, 운전 상태가 제4 모드인 경우, 주파수가 급속하게 하락하고 있는 경우 전력저장시스템(300)이 충방전을 하지 않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driving controller 200 may generate a third control signal so that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does not charge or discharge when the frequency is rapidly decreasing when the driving state is the fourth mode.

운전제어부(200)는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범위 이상으로 급속하게 상승하거나 하강하지 않는 경우, 즉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준치 범위 내인 경우, 전력저장시스템(300)이 부하병준화제어로 충방전하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제어부(200)는 제1제어신호를 제3 제어신호로 그대로 전력저장시스템(3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frequency does not rise or fall rapidly above the preset reference range, that is,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frequency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0 is configured to charge and discharge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with the load parallelization controller. 3 Control signal can be generated. In this case, the operation controller 200 may transfer the first control signal as the third control signal to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as it i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주기 및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제어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torage system considering both long and short cyc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운전제어부(200)는 입력부(210)를 통하여 전력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S100).First,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0 receives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from the power management system 100 through the input unit 210 (S100).

이어서, 운전제어부(200)는 입력부(210)를 통하여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충전 상태를 감지한다(S110). Subsequently, the operation controller 200 detects the charging stat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through the input unit 210 (S110).

이후, 운전제어부(200)는 입력부(210)를 통하여 전력계통의 전력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을 판단한다(S120). Thereafter, the operation controller 200 determines the rate of change of the power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power system through the input unit 210 (S120).

이 때, 운전제어부(200)는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을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고, 전송 주파수를 입력받아 시간에 대해 미분하여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을 산출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controller 200 may directly receive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or may calculate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by differentiating with respect to time by receiv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또한 운전제어부(200)는 전송 주파수 또는 그 변동율을 전력 계통으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고, 전력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제2 제어신호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ler 200 may directly receive the transmission frequency or the rate of change thereof from the power system, or may receive an input from the power management system 100 through a second control signal.

이어서, 운전제어부(200)는 제1 제어신호 및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충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의 운전 모드를 판단한다(S130).Subsequently, the operation controller 200 determines an operation mod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S130).

이 때, 운전제어부(200)는 제1 제어신호가 충전을 지시하고 있으면 운전 모드를 제1 모드로 판단하고, 제1 제어신호가 충전 또는 방전을 지시하지 않고 있으며 충전 상태가 완충 상태에 가까우면 운전 모드를 제2 모드로 판단하고, 제1 제어신호가 방전을 지시하고 있으면 운전 모드를 제3 모드로 판단하며, 제1 제어신호가 충전 또는 방전을 지시하지 않고 있으며 충전 상태가 방전 상태에 가까우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4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controller 200 determines the driving mode as the first mode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nstructs charging, and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does not instruct charging or discharging and the charging state is close to a buffer state.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as the second mode, and if the first control signal indicates discharge,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as the third mode, the first control signal does not indicate charging or discharging, and the state of charge is close to the discharge state. The driving mode may be determined as the fourth mode.

즉, 제1 모드는 전력저장시스템(300)의 1일 충전 스케줄 중에서 충전 상태 완방으로부터 완충까지 충전을 진행하는 상태이고, 제2 모드는 충전 상태가 완충된 상태에서 더 이상 충전을 하지 않는 상태이며, 제3 모드는 충전된 전력을 전력 계통으로 방전하는 상태이고, 제4 모드는 충전되었던 전력을 완전히 방전하여 더 이상 방전을 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That is, the first mode is a stat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from the full charge state to the full charge state in the daily charging schedul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and the second mode is a state in which the state of charge is no longer charged in the fully charged state. The third mode may be a state in which charged power is discharged to the power system, and the fourth mode may be in a state in which it is no longer possible to discharge the charged power completely.

이후, 운전제어부(200)는 전력저장시스템(300)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결정하고(S140) 프로세스를 종료한다.Thereafter, the operation controller 200 determines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S140) and ends the process.

이 때, 운전제어부(200)는 결정된 제어방법에 의해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3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controller 200 may generate a thir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harge and dis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based on the determined control method,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

또한, 운전제어부(200)는 운전 모드,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 및 충전 상태에 근거하여 제어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ler 200 may determine the control method based on the driving mode,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and the state of charge.

즉,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운전 모드,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 및 충전 상태에 근거하여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충전 및 방전의 여부 및 충방전시의 충방전 출력의 산출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based on the operation mode,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and the state of charge, whether or not the charge and dis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is charged and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charge / discharge output during charge / discharge Can be determined.

이 때, 충방전 출력은 주파수추종 제어, 부하평준화 제어 및 양자의 조합을 사용하여 산출되도록 결정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산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harge / discharge output may be determined to be calculated using frequency tracking control, load leveling control, and a combination of both, and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장주기 특성과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장주기 특성을 고려하는 부하평준화를 위한 충방전 제어 방법 및 단주기 특성을 고려하는 주파수추종을 위한 충방전 제어 방법을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운전 모드에 따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전력저장시스템(300)이 다양한 운전 상황에 대하여 보다 적절히 대처하게 할 수 있으며 전력저장시스템(300)의 이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long period characteristics and the short period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the charging / discharging control method for the load leveling considering the long period characteristics and the charging for the frequency tracking considering the short period characteristics Since the discharge control method may be select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may be more appropriately coped with various operating situations, and the us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300 may also be applied. Can improv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0 : 전력관리시스템
110 : 부하평준화부
120 : 주파수추종부
200 : 운전제어장치
210 : 입력부
220 : 제어부
230 : 출력부
300 : 전력저장시스템
100: power management system
110: load leveling unit
120: frequency follower
200: operation control device
210: input unit
220: control unit
230: output unit
300: power storage system

Claims (13)

전력계통이 공급하는 전력을 충전 및 방전하는 전력저장시스템;
부하평준화제어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력저장시스템의 충방전 출력 및 1일 충방전 스케줄을 나타내는 제1 제어신호와, 주파수추종제어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력저장시스템의 충방전 출력을 나타내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전력관리시스템; 및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 방법에 의해 전력저장시스템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3 제어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생성하고 전력저장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운전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A power storage system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ystem;
Generating a first control signal representing the charge / discharge output and the daily charge / discharge schedul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controlled by the load leveling control, and a second control signal representing the charge / discharge output of the power storage system controlled by the frequency tracking control. A power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storage system is determined, and a thir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ower storage system is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by the determined control method. 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device including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outputt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전력관리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력계통의 전송 주파수와,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입력부;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 방법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3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from the power management system, detect a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power system, and a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A controller which determines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storage system and generates the thir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by the determined control method; And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third control signal to the power storag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의 충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의 운전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운전 모드, 상기 전력계통의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 및 상기 충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control unit,
The operation mod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is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and the power storage system is based on the operation mode,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power system, and the state of charge. 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충전을 지시하고 있으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1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충전 또는 방전을 지시하지 않고 있으며 상기 충전 상태가 완충 상태에 가까우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2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가 방전을 지시하고 있으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3 모드로 판단하며,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충전 또는 방전을 지시하지 않고 있으며 상기 충전 상태가 방전 상태에 가까우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4 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If the first control signal indicates charging,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as the first mode. If the first control signal does not indicate charging or discharging and the charging state is close to a buffer state, the operation mode is removed. If it is determined in the second mode, and the first control signal indicates discharge,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as the third mode, and the first control signal does not indicate charging or discharging, and the charging state is close to the discharge state. And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as a fourth mod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운전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하락하고 있고 상기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충전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방전 출력으로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방전하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first mode,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rapidly falling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he state of charge is charged abov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second control signal indicates a discharge output. And a third control signal for discharging the power storage syste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운전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상승하고 있고 상기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충전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충전 출력과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충전 출력을 합한 충전 출력으로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충전하되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정격출력 이상으로 충전하지 않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When the driving mode is the first mode, the charging output indicat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rapidly rising abov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he charging state is charged below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third control signal so that the power storage system is charged with the charge output summed with the charge output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but the power storage system does not charge above the rated output. Devi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운전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하락하고 있을 때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방전 출력으로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방전하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mode,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rapidly falling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 third control signal is discharged so that the power storage system discharges the discharge output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운전 모드가 제3 모드인 경우, 상기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하락하고 있고 상기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충전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방전 출력과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방전 출력을 합한 방전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방전하되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정격출력 이상으로 방전하지 않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When the driving mode is the third mode, the discharge output indicat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rapidly falling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he state of charge is charged abov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perating the power storage system, wherein the third power storage system generates a third control signal so that the power storage system discharges the discharge power by the sum of the discharge outputs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but the power storage system does not discharge above the rated output. controll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운전 모드가 제3 모드인 경우, 상기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상승하고 있고 상기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충전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충전 출력으로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충전하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When the driving mode is the third mode,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rapidly rising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he charging state is charged below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second control signal indicates a charging output. And a third control signal to charge the power storage syste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운전 모드가 제4 모드인 경우, 상기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급속하게 상승하고 있을 때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충전 출력으로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이 충전하도록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fourth mode,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rapidly rising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 third control signal is charged so that the power storage system charges the charging output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Power storage system operation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운전제어부가 전력관리시스템으로부터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운전제어부가 전력계통의 전송 주파수를 감지하고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을 판단하는 단계;
운전제어부가 전력저장시스템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운전제어부가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의 충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의 운전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운전제어부가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방법.
Receiving, by the operation controller,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from the power management system;
Detecting, by the operation controller, a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power system and determining a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Detecting, by the operation controller, the charging stat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And
Determining, by an operation controller, an operation mod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a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age system; And
And a driving control unit determining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storage system.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충전을 지시하고 있으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1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충전 또는 방전을 지시하지 않고 있으며 상기 충전 상태가 완충 상태에 가까우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2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가 방전을 지시하고 있으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3 모드로 판단하며,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충전 또는 방전을 지시하지 않고 있으며 상기 충전 상태가 방전 상태에 가까우면 상기 운전 모드를 제4 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determining of the driving mode,
If the first control signal indicates charging,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as the first mode. If the first control signal does not indicate charging or discharging and the charging state is close to a buffer state, the operation mode is removed. If it is determined in the second mode, and the first control signal indicates discharge,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as the third mode, and the first control signal does not indicate charging or discharging, and the charging state is close to the discharge state. And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as a fourth mod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 모드, 상기 전송 주파수의 변동율 및 상기 충전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방법을 결정하되, 상기 결정된 제어방법에 의해 전력저장시스템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3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Determining the control method,
The control method is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on mode,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and the state of charge, wherein the third control signal controls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ower storage system by the determined control method, wherei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And generating the secon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KR1020130116444A 2013-09-30 2013-09-3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energy storage system considering both long term and short term characteristics KR102029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444A KR102029030B1 (en) 2013-09-30 2013-09-3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energy storage system considering both long term and short term characterist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444A KR102029030B1 (en) 2013-09-30 2013-09-3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energy storage system considering both long term and short term characterist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138A KR20150037138A (en) 2015-04-08
KR102029030B1 true KR102029030B1 (en) 2019-11-08

Family

ID=5303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444A KR102029030B1 (en) 2013-09-30 2013-09-3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energy storage system considering both long term and short term characteristic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0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644B1 (en) 2016-03-29 2023-06-21 엘에스일렉트릭(주) Hybrid power storage apparatus
KR102181774B1 (en) * 2019-04-01 2020-11-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ower plant linked multi-purpose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11799817B (en) 2019-04-01 2024-05-10 斗山重工业建设有限公司 Power station connection type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3563A (en) 2005-05-24 2006-12-07 Meidensha Corp Load following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by various type of distributed power suppl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776B1 (en) * 2012-03-08 2017-08-2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Frequency Contr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3563A (en) 2005-05-24 2006-12-07 Meidensha Corp Load following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by various type of distributed power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138A (en)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1720B2 (en) Supply-demand balance controller
JP5925554B2 (en)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9496725B2 (en) Power control apparatus, method,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and storage battery unit
JP6790833B2 (en) Storage battery control system, storage batter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800597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nergy flow between different energy storage devices
KR101529294B1 (e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controlling energy storage system
KR101566296B1 (en) Frequency Control System in Power System
JP2014033539A (en) Power controller, method, and program
EP32612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e of an energy storage device from a renewable energy source
JP6369065B2 (en) Distributed power system controller, power conditioner, distributed power system, and distributed power system control method
JP201653370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charge of secondary battery
KR1020290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energy storage system considering both long term and short term characteristics
JP2015198555A (en) Power control method, power control unit, and power control system
KR20150125087A (en) Vehicle type battery charger for charging with optimum efficiency, and method thereof
KR20200005862A (en)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energy storage system having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US9450417B2 (en) Method for efficiency-driven operation of dispatchable sources and storage units in energy systems
EP326121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erformance parameters of an energy storage device
US20220161687A1 (en) Energy system control
JP2013537027A (en) Method for charging the battery
KR102016731B1 (en)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KR20180029251A (en) Power storage systems and power conditioners
JP5995804B2 (en) Storage system management device and control target value determination method
US20170005483A1 (en) Battery Control Apparatus
JP2021010204A (en) Power supply system
JP6082565B2 (en) Distributed pow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