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564B1 -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 균류의 동정방법 - Google Patents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 균류의 동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564B1
KR102028564B1 KR1020180158385A KR20180158385A KR102028564B1 KR 102028564 B1 KR102028564 B1 KR 102028564B1 KR 1020180158385 A KR1020180158385 A KR 1020180158385A KR 20180158385 A KR20180158385 A KR 20180158385A KR 102028564 B1 KR102028564 B1 KR 102028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rsa
mass charge
charge ratio
sample
specific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석
김정민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564B1/ko
Priority to PCT/KR2019/015063 priority patent/WO20201224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03General methods of protein analysis not limited to specific proteins or families of proteins
    • G01N33/6848Methods of protein analysis involving mass spectrometry
    • G01N33/6851Methods of protein analysis involving laser desorption ionisation mass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6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the ionisation of gases, e.g. aerosols; by investigating electric discharges, e.g. emission of cathode
    • G01N27/622Ion mobility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19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bacteria
    • G01N2333/30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bacteria from Micrococcaceae (F)
    • G01N2333/31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bacteria from Micrococcaceae (F) from Staphylococcus (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MRSA)을 항생제 내성검사 수행 없이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동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중 민감도가 높은 값 2개 또는 3개를 포함하는 시료를 선별하고, 이 중에서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구균(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 MSSA) 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을 갖는 시료를 제외하는 동정 방법과, 단계적으로 질량전하비율 값을 갖는 시료를 선별하고, 그룹을 이용하는 동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 균류의 동정방법{A method of identific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using MALDI-TOF mass spectrometer}
본 발명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MRSA)을 항생제 내성검사 수행 없이 질량분석기, 바람직하게는 말디-토프 질량분석기(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 MALDI-TOF MS)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동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색포도구균은 인체에 질병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병원균주로 인간의 피부에 상재하는 균이다. 황색포도구균은 그람(Gram) 양성균으로서, 군집을 형성하는 형태의 구균(coccus)에 속한다. 아포는 형성하지 않으며, 조건 혐기성균(Facultative anaerobes)으로 분류된다.
1961년 메티실린 내성인 황색포도구균이 발견된 후,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구균(MRSA) 감염은 임상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MRSA는 mecA (methicillin resistance determinant A) 유전자를 외부로부터 획득하여 베타 락탐(β-lactam) 계열 항균제와 친화력이 떨어지는 penicillin-binding protein 2a(PBP2a)를 발현시켜 항균제 작용이 억제된다. 최근 보고에 의하면 메티실린 내성이 PBP2a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기전이 관여 하는 것이 밝혀졌지만, 여전히 mecA 유전자와 PBP2a가 중요시 되고 있다. 임상에서 메티실린 내성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자동화 기계에 의한 생화학적 검사 혹은 PCR을 통한 mecA 유전자 검출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질량 분석기(Mass spectrometer)를 통한 단백질 분석을 이용한 미생물의 동정은 신속하고 정확성이 필요한 미생물 동정에 적합하다. 질량 분석기는 기본적으로 이온화 부분, 분석기 부분, 검출기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용하는 이온화 부분, 분석기부분의 종류에 따라 질량 분석기를 구분할 수 있다.
말디-토프 질량 분석기를 이용한 질량 분석법은 최근 임상검사실에서 미생물 동정 검사방법으로 보편화되고 있다. 말디-토프 질량 분석기를 이용한 미생물 동정은 복잡한 전처리 없이 균체를 직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동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한 균종 당 불과 5분 정도이다. 말디-토프 질량 분석기는 2,000에서 20,000 Da 사이의 질량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패턴의 세균 펩타이드 혹은 단백 스펙트럼으로 균을 동정한다. 메티실린 내성이 PBP2a 단백에 기인하므로 직접적으로 이를 검출할 수 있다면 정확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겠지만, 76 kDa의 큰 질량 때문에 말디-토프 질량 분석기를 이용한 직접적인 검출은 불가능하다.
일부 MRSA가 질량전하비율(m/z) 값 2415을 갖는 PSM-mec 단백질을 발현하여 말디-토프 질량 분석기로 동정이 가능하지만 이는 전체 MRSA의 약 36% 밖에 동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나머지 64%의 MRSA를 동정할 수 있는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단일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을 이용한 동정방법이 아닌, 하기와 같이 이를 조합하고 선별하여 동정하는 방법과, 단계적으로 질량전하비율 값을 이용하여 선별하고, 그룹을 나누어 동정하는 방법의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 양상은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MRSA) 균류의 동정 방법으로서, 시료를 타겟 플레이트 위에 점적하는 단계; 매트릭스 용액을 상기 타겟 플레이트에 처리한 후 건조시켜 질량분석기(Mass Spectrometer : MS)로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시료의 질량전하비율(m/z) 값에서 하나 이상의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RSA 동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일 양상은 시료의 질량전하비율(m/z) 값이 2415(PSM-mec)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RSA 동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 균류의 동정 방법으로서, 시료를 타겟 플레이트 위에 점적하는 단계; 매트릭스 용액을 상기 타겟 플레이트에 처리한 후 건조시켜 질량분석기(MS)로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시료의 질량전하비율(m/z) 값에서 1975, 2116, 2134, 2205, 2275, 2415, 2593, 2877, 3891, 4607, 6593, 및 9217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RSA 동정 방법을 제공한다.
용어 'MRSA'는 베타 락탐 (β-lactam)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황색포도구균을 의미한다. 항생제 내성이란 미생물이 항생제에 노출되어도 생존할 수 있는 약제 내성을 의미한다.
용어 '동정'이란 대상 미생물의 종을 판별하여 어떠한 특성이 있고 어디에 속하는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상기 질량 분석기는 말디-토프 질량 분석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말디-토프 질량 분석기는 지지체를 이용하여 고체 시료를 이온화하는 원리에 의하여 시료를 이온화 시킬 수 있다. 분석기는 ESI또는 LDI를 통해 이온화된 펩타이드를 질량 분석기 안에 가두고 질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토프 (time of flight mass analyzer : TOF) 방식을 통해 질량을 측정할 수 있다.
용어 내지 단위 '질량전하비율 값(m/z)'은 모든 질량분석기에 쓰이는 이론적 부분으로써, 뉴턴의 제2 열역학 법칙과 로렌츠의 역학 법칙에 근거한다. 이 두 이론으로부터 주어진 전기장과 자기장에 대해, 이온의 운동이 그 이온의 질량과 전하량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러한 질량과 전하량의 비를 의미한다.
질량전하비율 값을 확인한다는 것은 질량 분석기를 통해서 검출된 시료의 질량전하비율 값과 동정 목적이 되는 균류의 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을 상호 비교하는 것을 의미한다.
질량전하비율은 그 오차범위(m/z)가 ±4, ±3, ±2.5, ±2, ±1.5, ±0.5, ±0.1, 및 ±0.01 이내일 수 있다.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m/z)은 1975, 2116, 2134, 2205, 2275, 2415, 2593, 2877, 3891, 4607, 6593, 및 9217일 수 있다. 상기 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은 소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2415는 2415.3에서 반올림된 것일 수 있다.
용어 '시료'는 시험, 검사, 및 분석 등의 대상이 되는 물질이나 생물을 의미한다.
상기 방법에서 시료를 타겟 플레이트 위에 점적하는 단계는 아무런 전처리 없이 타겟 플레이트 위에 직접 점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시료의 점적 이후, 상기 플레이트를 건조시키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trifluoro acetic acid:TFA)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다시 상기 플레이트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시료의 질량전하비율 값이 상기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시료는 MRSA 균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시료의 질량전하비율 값에서 1975, 2116, 2134, 2205, 2275, 2415, 2593, 2877, 3891, 4607, 6593, 및 9217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의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은 1975, 2116, 2134, 2205, 2275, 2415, 2593, 2877, 3891, 4607, 6593, 및 9217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민감도가 높은 질량전하비율 값일 수 있다.
용어 '민감도(sensitivity)'란 시료에 MRSA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검사 결과상 포함하는 것으로 나올 확률을 의미한다.
용어 '특이도(specificity)'란 시료에 MRSA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 경우, 검사 결과상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나올 확률을 의미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시료의 질량전하비율 값이 상기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중 1975와 2275, 1975와 2415, 및 1975, 2275 및 2415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시료는 MRSA 균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시료에서 2085, 2193, 2233, 2303, 2340, 2631, 2669, 2748, 2767, 3035, 및 550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구균 (MSSA) 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S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m/z)은 2085, 2193, 2233, 2303, 2340, 2631, 2669, 2748, 2767, 3035, 및 5507일 수 있다. 상기 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은 소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구균'이란 베타 락탐 항생제에 감수성을 나타내는 황색포도구균을 의미한다. 항생제 감수성이란 어떤 병원균이 특정 항생제에 의해 죽거나 억제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상기 방법은 시료의 질량전하비율 값이 상기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중 1975, 2275 및 2415을 포함하고, 상기 시료가 MS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2631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시료는 MRSA 균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일 양상은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 균류의 동정 방법으로서, 시료를 타겟 플레이트 위에 점적하는 단계; 매트릭스 용액을 상기 타겟 플레이트에 처리한 후 건조시켜 질량분석기로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시료의 질량전하비율(m/z) 값이 1975, 2116, 2134, 2205, 2275, 2415, 2593, 2877, 3891, 4607, 6593, 및 9217로 이루어지는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중 2415을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RSA 동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시료가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2415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시료는 MRSA 균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시료가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2415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시료의 질량전하비율 값이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중 5539을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시료가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중 5539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시료가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중 5073을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시료가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중 5073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시료는 MRSA 균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시료가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중 5073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시료는 MRSA 균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MRSA 균류는 MRSA SCCmec type IV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MRSA SCCmec type IV 균류는 MRSA에 속하는 균류로서, MRSA의 다양한 분류 형태 중 하나에 속할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MRSA는 SCCmec type II일 수 있다. 지역사회 감염의 경우 SCCmec type IV일 수 있다. 상기 MRSA SCCmec type IV는 다른 타입의 MRSA에 비하여 다양한 항생제에 감수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시료가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중 5539는 포함하지만, 5073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시료는 MRSA 균류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시료가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중 2415와 5539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시료에서 2085, 2193, 2233, 2303, 2340, 2631, 2767, 3035, 및 550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MS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시료가 상기 MS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시료는 MRSA 균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시료가 상기 MS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시료는 MRSA 균류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MRSA 동정방법은 단일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을 확인하는 것이 아닌, 이를 조합한 두개 내지 세개의 질량전하비율 값을 갖는 시료를 선별하여 동정함으로써, 종래의 동정 방법 보다 민감도가 크게 상승한 동정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 따른 MRSA 동정방법은 단일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을 확인하는 것이 아닌, 단계적으로 특정 질량전하비율 값을 갖는 시료를 선별하고, 그룹을 나누어 동정하는 방법의 발명을 제공한다.
도 1은 그룹을 이용한 동정 방법의 개략도로서, R은 MRSA, S는 MSSA, 각 분기점은 각 기재된 질량전하비율 값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각 종결점은 동결 내지 결정된 MRSA와 MSSA의 비율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황색포도구균의 배양
본 발명에서는 황색포도구균 균혈증 환자의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황색포도구균 (Staphylococcus aureus)을 이용한다. mecA 유전자 발현여부에 따라 MRSA로 확인된 208개 균주와 MSSA로 확인된 116개 균주를 각 배양하였다. 각 균주는 강동성심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서 분리된 균주를 사용하였으며 5 % 혈액이 첨가 된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참고예 2. MRSA 및 MSSA-특이 질량전하비율(m/z) 값 탐색
참고예 1.에서 배양된 MRSA 균주의 단일 집락(colony)을 이쑤시개에 묻혀 말디-토프 타겟 플레이트에 점적하였다. 점적 후, 타겟 플레이트를 상온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이후, 4 %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 TFA ) 1 ul 첨가하였다. 첨가 후 다시 상온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 매트릭스용액(Matrix solution) 1 ul를 타겟 플레이트에 점적된 단일 집락 위에 첨가하고, 다시 상온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이후 말디-토프 질량 분석기(Bruker사, 독일)로 분석하였다.
각 균주의 스펙트럼을 검출하고, 바이오뉴머릭 소프트웨어(BioNumerics software, plied Maths, a BioM
Figure 112018123617407-pat00001
erieux사)로 MRSA 및 MSSA 특이적 질량전하비율의 피크(peak)를 탐색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통계적으로 검출된 MRSA 및 MSSA-특이 질량전하비율(bio marker)은 아래 [표 1]과 같다(오차범위: ± 4 m/z 이내).
[표 1]
Figure 112018123617407-pat00002
그 결과, 상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m/z) 값은 1975(1974.7), 2116 (2115.8, type Ⅱ), 2134 (2133.7, type Ⅱ), 2205(2204.9), 2275(2275.1), 2415(2411.3), 2593 (2592.8, type Ⅱ), 2877(2877.1), 3891(3891.1), 4607(4606.7), 6593(6593.0), 및 9217(9216.8)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값임을 확인하였고, 각 측정 값은 오차범위(±4) 이내였다.
또한, MSSA-특이 질량전하비율 (m/z) 값은 2085(2084.8), 2193(2192.9), 2233(2233.3), 2303(2302.6), 2340(2340.5), 2631(2630.7), 2669(2668.5), 2748(2748.4), 2767(2766.9), 3035(3034.6), 및 5507(5506.9)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값임을 확인하였다. 각 측정 값은 오차범위(±4) 이내였다.
실시예 1. 질량전하비율의 조합을 이용한 MRSA의 동정방법
상기 [표 1]에서 제시하는 질량전하비율 값 중, 민감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2개 또는 3개를 갖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즉, 질량전하비율 1975 (민감도 52.4%)와 2275 (민감도 45.7%)를 포함하는 균주, 1975와 2415 (민감도 36.5%)를 포함하는 균주, 1975, 2275 및 2415를 포함하는 균주를 선택하였다. 이 중, MS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중 특이도가 가장 높은 2085(특이도 99%)를 포함하는 균주를 선별하여 이를 제외하고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의 균류와 개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률 및 음성예측률을 산정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MS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중 민감도가 높은 2631을 갖는 균주를 제외한 후, 다시 균주의 균류와 개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률 및 음성예측률을 산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112018123617407-pat00003
상기 결과에 의하면,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중 1975, 2275, 및 2415을 갖는 시료에서, MS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2631을 갖는 시료를 제외한 경우, 전체 MRSA 208개의 균주 중 162개의 균주를 MRSA를 동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78%의 민감도로 MRSA를 검출할 수 있고, 단일 질량전하비율 값으로만 동정할 경우에 비하여 상당히 증가하였다.
비교예 1. 단일 질량전하비율만 갖는 균주에서 제외한 경우,
상기 [표 1]에서 제시하는 질량전하비율 값 중, 민감도가 가장 높다고 판단되는 질량전하비율 값 1975를 갖는 균주를 선택하고, 이 중, MS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2085(2084.8), 2233(2233.3), 2631(2630.7), 및 2303(2302.6)를 갖는 균주를 제외하여 선별한다. 선별된 균주의 균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률 및 음성예측률은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Figure 112018123617407-pat00004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민감도가 가장 높은 질량전하비율 값 1975를 갖는 균주 중, MSSA-특이 질량전하비율을 가진 균주를 제외한 경우, 특이도는 90 이상으로 높아졌지만 민감도는 52로 동일하거나 51로 소폭 감소하였다.
즉, 실시예 1의 동정방법에 의할 경우, 민감도가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실시예 2. 그룹을 이용한 동정 방법
324개의 균주 (MRSA 208개, MSSA 116개) 중 [표 1]에서 19개(1번 내지 17번, 22번, 및 23번)의 질량전하비율 값 중 어느 하나의 값도 검출되지 않는 균주 29개를 판정 불가능으로서 배제하였다. 상기 19개의 질량전하비율 값 중 하나 이상이 검출되는 나머지 295개 균류 중, 질량전하비율 값 2415(2411.3)이 있는 77개의 균류를 동정하였다(종결점 1 : MRSA 균주 76개, MSSA 균주 1개).
질량전하비율 값 2415가 없는 나머지 218 균주 중, MRSA(SCCmec type IV)를 구별하고자, MRSA(SCCmec type IV)에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질량전하비율 값 5539(5539.7)이 검출된 균주 40개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류 중 MRSA(SCCmec type IV)를 한번 더 구별하기 위해 MRSA(SCCmec type IV)에 대해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질량전하비율 값 5073(5073.6)이 검출된 균주 23개를 선별하여 동정하였다(종결점 2 : MRSA 균주 14개, MSSA 균주 9개). 질량전하비율 값 5539는 검출되지만 5073은 검출되지 않는 17개의 균주를 MSSA로 동정하였다(종결점 3, MRSA 균주 4개, MSSA 균주 13개).
질량전하비율 값 5539가 검출되지 않은 균주 178개에서 MS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9개 ([표 1]에서 9번 내지 17번) 중 어느 하나라도 검출된 균주 73개는 MSSA로 동정하였다(종결점 4: MRSA 균주 4개, MSSA 균주 69개).  반면, 상기 9개 중 어느 하나도 검출되지 않은 균주 105개는 MRSA로 동정하였다(종결점 5: MRSA 98개, MSSA 균주 7개). 위와 같이 동정한 결과, MRSA 동정의 민감도는 전체 MRSA 196개 중 188개가 동정하여 95.9%, MSSA 동정의 민감도는 99개 중 82개를 동정하여 82.8%의 민감도를 보였다.
상술한 동정방법은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Claims (15)

  1.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MRSA) 균류의 동정 방법으로서,
    시료를 타겟 플레이트 위에 점적하는 단계;
    매트릭스 용액을 상기 타겟 플레이트에 처리한 후 건조시켜 말디-토프 질량 분석기(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 : MALDI-TOF MS)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시료의 질량전하비율(m/z) 값에서 1975 및 2275, 또는 1975 및 2415의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시료는 MRSA 균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RSA 동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료의 질량전하비율 값에서 2116, 2134, 2205, 2593, 2877, 3891, 4607, 6593, 및 921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료에서 2085, 2193, 2233, 2303, 2340, 2631, 2669, 2748, 2767, 3035, 및 550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구균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 MSSA) 특이 질량전하비율 값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료의 질량전하비율 값이 상기 MR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중 1975, 2275 및 2415을 포함하고, 상기 시료가 MSSA-특이 질량전하비율 값 2631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시료는 MRSA 균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인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158385A 2018-12-10 2018-12-10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 균류의 동정방법 KR102028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385A KR102028564B1 (ko) 2018-12-10 2018-12-10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 균류의 동정방법
PCT/KR2019/015063 WO2020122427A1 (ko) 2018-12-10 2019-11-07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 균류의 동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385A KR102028564B1 (ko) 2018-12-10 2018-12-10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 균류의 동정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829A Division KR102165834B1 (ko) 2019-07-16 2019-07-16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 균류의 동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564B1 true KR102028564B1 (ko) 2019-10-04

Family

ID=6820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385A KR102028564B1 (ko) 2018-12-10 2018-12-10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 균류의 동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8564B1 (ko)
WO (1) WO20201224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27A1 (ko) * 2018-12-10 2020-06-1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 균류의 동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2655B2 (en) 2020-08-28 2022-06-07 China Medical University Hospital Method of identific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TWI775205B (zh) * 2020-08-28 2022-08-21 中國醫藥大學附設醫院 鑑定抗甲氧西林金黃色葡萄球菌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1721A (ja) * 2013-12-23 2017-01-19 ブルーカー ダルトニッ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メシチリン耐性黄色ブドウ球菌(mrsa)の同定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17852D0 (en) * 1996-08-27 1996-10-09 Univ Manchester Metropolitan Micro-organism identification
DE102006021493B4 (de) * 2006-05-09 2010-04-01 Bruker Daltonik Gmbh Massenspektrometrische Messung mikrobieller Resistenzen
FR2982367B1 (fr) * 2011-11-08 2013-12-27 Biomerieux Sa Procede de detection de l'hemolysine delta de staphylococcus aureus par spectrometrie de masse directement a partir d'une population bacterienne
KR102028564B1 (ko) * 2018-12-10 2019-10-0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 균류의 동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1721A (ja) * 2013-12-23 2017-01-19 ブルーカー ダルトニッ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メシチリン耐性黄色ブドウ球菌(mrsa)の同定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aus Ostergaard et al., 'Rapid first-line discrimination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aureus strains using MALDI-TOF MS', Int J Med Microbiol., 2015, Vol. 305, pp 838-847.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27A1 (ko) * 2018-12-10 2020-06-1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 균류의 동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2427A1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Direct identification of bacteria causing urinary tract infections by combining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with UF-1000i urine flow cytometry
Ferreira et al. Microorganisms direct identification from blood culture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Lartigue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for bacterial strain characterization
Dupont et al. Identification of clinical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isolated in microbiology laboratories,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and two automated systems
Harris et al. Rapid identification of staphylococci from prosthetic joint infections using MALDI-TOF mass-spectrometry
KR102028564B1 (ko)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 균류의 동정방법
Ueda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um (MALDI-TOF-MS)-based typing method to identify met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lones
Jamal et al. Real-time comparative evaluation of bioMerieux VITEK MS versus Bruker Microflex MS, two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systems, for identification of clinically significant bacteria
US20180312897A1 (en) Mass-spectrometric resistance determination by growth measurement
Richter et al. Evaluation of species-specific score cut-off values for various Staphylococcus species using a MALDI Biotyper-based identification
US11053533B2 (en) Identification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Martiny et al. Subtype determination of Blastocystis isolates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s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MS)
Ábrók et al. Combination of MALDI-TOF MS and PBP2′ latex agglutination assay for rapid MRSA detection
Bao et al.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a powerful tool for identification of Corynebacterium species
KR102165834B1 (ko)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 균류의 동정방법
Wei et al. Application of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in the screening of vanA-positive Enterococcus faecium
TWI775205B (zh) 鑑定抗甲氧西林金黃色葡萄球菌的方法
Karimi et al.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a new guide to infectious disease
Vasilyeva New opportunities to identify and type Staphylococcus spp. by using MALDI-TOF mass spectrometry
Abdelhamed et al. Serotype-identifying ions in Listeria monocytogenes using matrix-associa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Wilson et al. Test Agreement among biochemical methods, MALDI-TOF and 16S rRNA sequencing for the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Bovine Milk
US11352655B2 (en) Method of identific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Kim et al. Comparison of peaks in the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spectra of Staphylococcus aureus grown on various blood agar plates
Tan et al. Changes in protein profile in cecum of mouse with intestinal dysbacteriosis induced by ceftriaxone sodium
Al Laham Comparison of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VITEK-2 and ID32STAPH for Species Identification of Clinical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Isolated from Al Shifa Hospital in Gaza St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