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079B1 - Multi light device for dental - Google Patents
Multi light device for dent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8079B1 KR102028079B1 KR1020190002420A KR20190002420A KR102028079B1 KR 102028079 B1 KR102028079 B1 KR 102028079B1 KR 1020190002420 A KR1020190002420 A KR 1020190002420A KR 20190002420 A KR20190002420 A KR 20190002420A KR 102028079 B1 KR102028079 B1 KR 1020280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rotating body
- light
- emitting member
- fun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3—Apparatus for curing resins by radiation
- A61C19/004—Hand-held apparatus, e.g. gu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하나의 제품으로 큐어링기능, 프라그 진단, 치아크랙 진단, 치아색정보 감지, 구강암 진단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multi-light generating device, more specifically, a dental multi-optical light that can implement various functions such as a curing function, plaque diagnosis, tooth crack diagnosis, tooth color information detection, oral cancer diagnosis as a single product It relates to a generator.
치과치료 또는 치과 기공분야에서는 치과의 치료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광발생장비가 사용된다. In the field of dental treatment or dental pore, various kinds of light generating equipment are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dental treatment.
광발생장비는 사용되는 치아 관찰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의 발광부재가 사용된다. 일례로, 광중합성 물질을 경화하는 큐어링라이트 기능을 수행하는 460nm LED, 치아우식/크랙 진단 기능을 갖는 백색 LED, 프라그 진단기능을 갖는 405nm LED, 구강암 진단 기능을 갖는 구강암 진단용 LED가 사용될 수 있다. As the light generating device, light emitting members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are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ooth observation. For example, a 460 nm LED performing a curing light function to cure the photopolymerizable material, a white LED having a dental caries / crack diagnosis function, a 405 nm LED having a plag diagnosis function, and an oral cancer diagnosis LED having an oral cancer diagnosis function may be used. .
이에 따라 치과에서는 서로 다른 파장의 LED가 구비된 복수개의 광발생장비를 모두 비치하고, 환자의 상황에 맞는 광발생장비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dentist has a plurality of light generating devices equipped with LEDs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and selects and uses a light generating device suitable for a patient's situation.
따라서, 복수개의 광발생장비를 모두 비치해야 하므로 기기구매비용이 증가되고, 진료 또는 시술시마다 해당 상황에 맞는 광발생장비를 선택해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Therefore, since a plurality of light generating equipment must be provided, the purchase cost of the device is increased, and there is a hassle of selecting and using the light generating equipment suitable for the situation at each treatment or procedur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dental multi-photon device that can implement a variety of functions in one product.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는, 전방에 팁결합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회전체수용공간(111)이 구비되고, 하부에 회전체가압노출공(113)이 상기 회전체수용공간(111)과 연통되게 일정면적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후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배터리(180)가 수용되는 손잡이(120)와; 상기 본체(110)의 회전체수용공간(111)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회전체가압노출공(113)에 의해 외부로 일정 면적이 노출되고, 전방에 치아에 대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가 구비된 회전체(130)와; 상기 회전체수용공간(111)에 상기 회전체(130)의 후면과 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130)의 회전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170)와; 상기 팁결합공(115)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광을 외부로 안내하는 광안내관(140)과; 상기 회전체(130)가 회전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170)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 중 상기 광안내관(140)과 동축상에 위치된 선택 발광부재가 감지되면, 상기 본체(110)가 상기 선택 발광부재의 기능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는 큐어링라이트 기능을 수행하는 460nm LED, 치아우식/크랙 진단 기능을 갖는 백색 LED, 치아색정보를 읽어들이는 컬러센서와 백색LED의 조합, 프라그 진단기능을 갖는 405nm LED, 구강암 진단 기능을 갖는 구강암 진단용 LED 중 두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dental multi-photon generator. In the dental multi-light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tip coupling hole is formed at the front, and a rotat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체(130)의 전방은 상기 광안내관(140)을 향하게 위치되고, 상기 회전체(130)의 후방에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위치표시센서(136a,136b,136c,136d)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170)는 상기 광안내관(140)의 내벽면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체(130)의 회전시에 상기 위치감지센서(170)에 감지하는 위치표시센서(136a,136b,136c,136d)에 대응되는 발광부재를 선택 발광부재로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ront of the rotat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는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60)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 중 선택 발광부재의 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165)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 각각이 구동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19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감지센서(170)가 상기 선택 발광부재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선택 발광부재에 해당되는 구동 프로그램으로 상기 입력부(160)와 상기 표시부(165)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는 회전체에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발광부재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표시부와 입력부가 선택된 발광부재에 대응되는 기능으로 동작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큐어링라이트를 이용하여 큐어링라이트 기능, 프라그 진단 기능, 치아색정보 감지 기능, 치아크랙 진단 기능의 네 가지 서로 다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Dental multi light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to perform different functions on the rotating body and the user to operate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member selected by the display unit and the input unit by rotating the rotating body do. Accordingly, four different functions, such as a curing light function, a plag diagnosis function, a tooth color information detection function, and a tooth crack diagnosis function,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using one curing light.
따라서, 치과에서 여러종류의 광발생장비를 구매할 필요가 없으며, 손가락으로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기능을 변경시킬 수 있어 편리한 사용이 가능해진다.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urchase several kinds of light generating equipment at the dentist, and the function can be changed by a simple operation of rotating the rotating body with a finger, thereby enabling convenient use.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의 외부 구성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의 회전체의 전방기판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의 사용과정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이다.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dental multi-ligh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different angles,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dental multi-ligh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ntal multi-ligh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ront configuration of the front substrate of the rotating body of the dental multi-ligh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using the dental multi-ligh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xample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100)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100)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dental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후단에 결합된 손잡이(120)와,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가 결합된 회전체(130)와, 본체(110)의 전방에 결합되어 발광부재(132,133,134,135)에서 발생된 광을 외부로 안내하는 광안내관(140)과, 본체(110)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입력부(160)와 본체(110)에 구비되어 현재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100)의 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165)와,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 중 광안내관(140)과 동축상에 위치된 선택 발광부재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170)와, 선택 발광부재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80)와, 위치감지센서(170)에서 감지된 선택 발광부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dental
본체(110)는 회전체(130)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며, 선단에 광안내관(140)이 결합되고 후단에 손잡이(120)가 결합된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30)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체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회전체가압노출공(113)이 회전체수용공간(111)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된다. The
본체(110)는 내부에 제어부(190)를 수용하며, 입력부(160)와 표시부(165)가 제어부(190)와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지지한다. The
회전체수용공간(111)은 회전체(130)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회전체가압노출공(113)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수용공간(111)과 연통되게 일정 면적 형성되어 회전체(130)가 외부로 노출된다. The rotating
사용자는 회전체가압노출공(113)을 통해 노출된 회전체(130)를 손으로 가압하여 회전체(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손잡이(1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회전체가압노출공(1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회전체(130)를 가압하여 회전체(130)를 본체(110) 내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The user may press the rotating
본체(110)의 선단에는 팁결합공(115)이 관통형성된다. 팁결합공(115)에는 광안내관(140)과 연결된 커넥팅팁(150)이 결합된다.
손잡이(120)는 본체(110)의 후단에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한다. 손잡이(120)의 내부에는 배터리(180)가 수용된다. The
회전체(130)는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광안내관(140)을 통해 외부로 조사될 발광부재(132,133,134,135)의 종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회전체(130)는 본체(110)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는 원통형태로 형성된다. The rotating
회전체(130)의 선단에는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가 결합된 전방기판(131)이 구비되고, 후단에는 전방기판(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방기판(136)이 구비된다. A
전방기판(131)에 구비될 수 있는 발광부재(132,133,134,135)는 큐어링라이트 기능을 수행하는 460nm LED, 치아크랙 진단 기능을 갖는 백색 LED, 치아색정보를 읽어들이는 컬러센서와 백색LED의 조합, 프라그 진단기능을 갖는 405nm LED, 구강암 진단 기능을 갖는 구강암 진단용 LED일 수 있다. Th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기판(131)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기판(131)에는 제1발광부재(132), 제2발광부재(133), 제3발광부재(134) 및 제4발광부재(135)가 90도 간격으로 4개가 구비된다. 제1발광부재(132)는 큐어링라이트에 사용되는 460nm LED로 구비되고, 제2발광부재(133)는 프라그 진단기능을 갖는 405nm LED로 구비되고, 제3발광부재(134)는 치아의 색정보를 감지하는 컬러센서와 백색 LED가 조합되어 구비되고, 제4발광부재(135)는 치아의 크랙을 진단하는 백색 LED로 구비된다.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ront configuration of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4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가 90도 간격으로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서로 종류가 다른 3개 또는 6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가 120도 또는 60도 간격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ur
후방기판(136)에는 전방기판(131)에 구비된 네 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네 개의 위치표시센서(136a,136b,136c,136d)가 구비된다. 제1위치표시센서(136a)는 제1발광부재(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위치표시센서(136b)는 제2발광부재(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위치표시센서(136c)는 제3발광부재(1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위치표시센서(136d)는 제4발광부재(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이 때, 후방기판(136)에는 전원공급라인(미도시)이 연결되고,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네 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 중 어느 하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칭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power supply lin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광안내관(140)은 커넥팅팁(150)에 의해 본체(110)의 선단에 결합되어 네 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 중 어느 하나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치아로 안내한다. 광안내관(140)은 fiber optic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입력부(160)는 본체(1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인가받는다. 표시부(165)는 입력부(160)의 일측에 구비되어 현재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발광부재(132,133,134,135)에 의한 기능을 표시한다. 이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The
위치감지센서(1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회전체수용공간(111)에서 회전체(130)의 후방기판(136)과 맞닿는 영역에 구비되어 회전체(130)의 회전에 의한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의 위치를 감지한다. As shown in FIG. 3, the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감지센서(170)는 회전체(130)의 회전에 의해 광안내관(140)과 동축상으로 위치되는 위치표시센서(136a,136b,136c,136d)를 감지한다. As shown in FIGS. 3 and 6, the
즉, 사용자가 회전체(130)를 회전시켰을 때, 4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 중 위치감지센서(170)에 감지되는 하나의 발광부재를 감지하고, 이를 선택 발광부재로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That is, when the user rotates the
일례로, 회전체(130)가 회전되고 제2위치표시센서(136b)가 위치감지센서(170)에 감지되면 제2위치표시센서(136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발광부재(133)가 선택 발광부재가 된다. For example, when the
여기서, 복수개의 위치표시센서(136a,136b,136c,136d)와 위치감지센서(170)는 마그네틱 센서로 구비되거나, 포토 커플러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plurality of
제어부(190)는 위치감지센서(170)에 의해 감지된 선택 발광부재의 기능으로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100)가 동작되도록 입력부(160)와 표시부(165) 및 배터리(180)를 제어한다. The
제어부(190)는 네 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구동 프로그램(A)이 저장된 저장부(191)를 포함한다. 제어부(190)는 위치감지센서(170)에서 감지된 선택 발광부재의 기능에 맞게 입력부(160)와 표시부(165)가 동작되도록 구동 프로그램(A)을 구동시킨다. The
일례로, 사용자가 회전체(130)를 회전시키고, 위치감지센서(170)에서 감지한 선택 발광부재가 제4발광부재(135)인 경우,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100)가 치아크랙 진단기능을 수행하도록 입력부(160)와 표시부(165)에 치아크랙 진단 구동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이에 따라 입력부(160)는 치아크랙 진단과 관련된 입력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표시부(165)는 치아크랙 진단과 관련된 UI를 표시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rotates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100)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 process of using the dental
도 1에 도시된 바와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100)가 준비되면, 사용자는 환자의 치아를 진료 또는 치료할 목적에 따라 회전체(130)를 회전시킨다. 사용자는 손잡이(1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회전체(130)를 회전시킨다. When the dental
회전체(130)가 회전되면, 위치감지센서(170)에 감지되는 위치표시센서(136a,136b,136c,136d)에 따라 표시부(165)에 해당 기능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부(165)에 표시되는 해당 기능을 보고 본인이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에 맞는 것인지 확인하고, 맞으면 회전체(130)의 회전을 멈추고 틀리면 회전체(130)를 추가로 회전시킨다. When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30)가 회전되고 제1위치표시센서(136a)가 위치감지센서(170)에 접촉되면 위치감지센서(170)는 광안내관(140)과 제1발광부재(132)가 동축상에 위치된 선택 발광부재로 감지한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위치감지센서(170)가 선택 발광부재로 제1발광부재(132)를 감지하면, 제어부(190)는 표시부(165)에 제1발광부재(132)의 기능에 대응되는 큐어링라이트 기능을 표시한다. When the
사용자는 입력부(160)를 통해 큐어링라이트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인가한다. 배터리(180)의 전원은 제1발광부재(132)로만 공급되고, 제1발광부재(132)가 발광된다. 제1발광부재(132)에서 발생된 460nm 파장의 광(L1)은 광안내관(140)을 따라 치아로 조사된다. The user applie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uring light through the
한편, 큐어링라이트 기능을 종류하고, 치아색정보를 인식해야하는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120)를 잡은 상태로 다시 회전체(130)를 회전시켜 제3위치표시센서(136c)가 위치감지센서(170)에 감지되도록 하여 제3발광부재(134)가 동작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ype of curing light function, and the teeth color information needs to be recognized, the user rotates the
이러한 방식에 의해 하나의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100)를 이용하여 큐어링라이트, 프라그 진단, 치아색정보 감지, 치아크랙 진단의 네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the four dental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는 회전체에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발광부재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표시부와 입력부가 선택된 발광부재에 대응되는 기능으로 동작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큐어링라이트를 이용하여 큐어링라이트 기능, 프라그 진단 기능, 치아색정보 감지 기능, 치아크랙 진단 기능의 네 가지 서로 다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ental multi-ligh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for performing different functions on the rotating body, and the display unit and the input unit are selected to the light emitting member selected by the user rotating the rotating body. It operates with the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ly, four different functions, such as a curing light function, a plag diagnosis function, a tooth color information detection function, and a tooth crack diagnosis function,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using one curing light.
따라서, 치과에서 여러종류의 광발생장비를 구매할 필요가 없으며, 손가락으로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기능을 변경시킬 수 있어 편리한 사용이 가능해진다.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urchase several kinds of light generating equipment at the dentist, and the function can be changed by a simple operation of rotating the rotating body with a finger, thereby enabling convenient us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mbodiments of the dental multi-photon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You will know well.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 110 : 본체
111 : 회전체수용공간 113 : 회전체가압노출공
115 : 팁결합공 120 : 손잡이
130 : 회전체 131 : 전방기판
132 : 제1발광부재 133 : 제2발광부재
134 : 제3발광부재 135 : 제4발광부재
136 : 후방기판 136a : 제1위치표시센서
136b : 제2위치표시센서 136c : 제3위치표시센서
136d : 제4위치표시센서 140 : 광안내관
150 : 커넥팅팁 160 : 입력부
165 : 표시부 170 : 위치감지센서
180 : 배터리 190 : 제어부
191 : 저장부
A : 구동프로그램100: dental multi-light generator 110: the main body
111: rotating body accommodating space 113: rotating body pressure exposure hole
115: tip coupling hole 120: handle
130: rotating body 131: front substrate
132: first light emitting member 133: second light emitting member
134: third light emitting member 135: fourth light emitting member
136:
136b: second
136d: fourth position indicating sensor 140: light guide tube
150: connecting tip 160: input unit
165: display unit 170: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battery 190: control unit
191: storage unit
A: Drive program
Claims (3)
상기 본체(110)의 후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배터리(180)가 수용되는 손잡이(120)와;
상기 본체(110)의 회전체수용공간(111)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회전체가압노출공(113)에 의해 외부로 일정 면적이 노출되고, 전방에 치아에 대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가 구비된 회전체(130)와;
상기 회전체수용공간(111)에 상기 회전체(130)의 후면과 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130)의 회전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170)와;
상기 팁결합공(115)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광을 외부로 안내하는 광안내관(140)과;
상기 회전체(130)가 회전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170)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 중 상기 광안내관(140)과 동축상에 위치된 선택 발광부재가 감지되면, 상기 본체(110)가 상기 선택 발광부재의 기능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는 큐어링라이트 기능을 수행하는 460nm LED, 치아크랙 진단 기능을 갖는 백색 LED, 치아색정보를 읽어들이는 컬러센서와 백색LED의 조합, 프라그 진단기능을 갖는 405nm LED, 구강암 진단 기능을 갖는 구강암 진단용 LED 중 두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
The tip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front, th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body accommodating space 111, the lower body is exposed to the rotating body pressure exposure hole 113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in communication with the rotating body accommodating space (111) Wow;
A handle 120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accommodating a battery 180 therein;
Rotatingly accommodated in the rotating body accommodating space 111 of the main body 110 is exposed to a predetermined area to the outside by the rotating body pressure exposure hole 113, each performing a different function for the teeth in front of each other A rotating body 13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132, 133, 134 and 135 for generating light of different wavelength bands;
A position detecting sensor 170 is provid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30 in the rotating body accommodating space 111 to detect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132, 133, 134 and 135 when the rotating body 130 is rotated. )Wow;
A light guide tube 140 coupled to the tip coupling hole 115 to guide the light generat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132, 133, 134, and 135 to the outside;
When the rotating body 130 is rotated and the selective light emitting member coaxial with the light guide tube 140 among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132, 133, 134 and 135 is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170, the main body ( A control unit 190 for controlling 110 to operate as a function of the selective light emitting member,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132, 133, 134, and 135 have a 460 nm LED that performs a curing light function, a white LED having a tooth crack diagnosis function, a combination of a color sensor and white LED that reads tooth color information, and a 405 nm LED having a plag diagnosis function. , Dental multi-photon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of the oral cancer diagnostic LED having a oral cancer diagnostic function.
상기 회전체(130)의 전방은 상기 광안내관(140)을 향하게 위치되고,
상기 회전체(130)의 후방에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위치표시센서(136a,136b,136c,136d)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170)는 상기 광안내관(140)에 동축상으로 상기 본체(110)의 내벽면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체(130)의 회전시에 상기 위치감지센서(170)와 직접 접촉되는 위치표시센서(136a,136b,136c,136d)에 대응되는 발광부재를 선택 발광부재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of the rotating body 130 is located to face the light guide tube 140,
The rear of the rotating body 1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 display sensors (136a, 136b, 136c, 136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132, 133, 134, 135), respectively.
The position sensor 170 is locat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coaxially to the light guide tube 140, the direct contact with the position sensor 170 when the rotating body 130 is rotated. Dental light emi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light emitt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isplay sensor (136a, 136b, 136c, 136d) as the selected light emitting member.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는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60)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 중 선택 발광부재의 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165)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32,133,134,135) 각각이 구동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19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감지센서(170)가 상기 선택 발광부재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선택 발광부재에 해당되는 구동 프로그램으로 상기 입력부(160)와 상기 표시부(165)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멀티 광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160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and a display unit 165 for displaying the function of the selected light emitting member among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132, 133, 134, and 135.
The controller 190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191 in which a driving program for driving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132, 133, 134, and 135 is stored.
When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170 detects the selective light emitting member,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input unit 160 and the display unit 165 to operate by a driv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selective light emitting member. Dental multi light genera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2420A KR102028079B1 (en) | 2019-01-08 | 2019-01-08 | Multi light device for dent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2420A KR102028079B1 (en) | 2019-01-08 | 2019-01-08 | Multi light device for dent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8079B1 true KR102028079B1 (en) | 2019-10-02 |
Family
ID=6842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2420A KR102028079B1 (en) | 2019-01-08 | 2019-01-08 | Multi light device for dent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807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94798A1 (en) | 2021-11-24 | 2023-06-01 | King's College London | Dental photo-curing devic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51902A (en) * | 2001-12-27 | 2002-09-06 | Mitsubishi Rayon Co Ltd | Optical fiber lighting device |
JP2005118132A (en) * | 2003-10-14 | 2005-05-12 | Olympus Corp | Restored tooth identification device |
KR20050080773A (en) * | 2004-02-11 | 2005-08-18 | 양원동 | Ultraviolet rays infrared rays a radiate light emitting diodes wire less curing light |
KR20090101768A (en) | 2008-03-24 | 2009-09-29 | (주)에스덴티 | Light curing device for dentistry wire or wireless power supplied |
KR101793255B1 (en) * | 2016-04-26 | 2017-11-02 | 주식회사 맥스덴탈 | Multi function light curing device to combine tip selectively |
JP6341640B2 (en) * | 2013-08-02 | 2018-06-13 | 株式会社吉田製作所 | Dental treatment tool with anomaly detection function |
KR101877421B1 (en) | 2017-03-09 | 2018-07-11 | 한국광기술원 | Light curing apparatus for dental clini |
-
2019
- 2019-01-08 KR KR1020190002420A patent/KR10202807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51902A (en) * | 2001-12-27 | 2002-09-06 | Mitsubishi Rayon Co Ltd | Optical fiber lighting device |
JP2005118132A (en) * | 2003-10-14 | 2005-05-12 | Olympus Corp | Restored tooth identification device |
KR20050080773A (en) * | 2004-02-11 | 2005-08-18 | 양원동 | Ultraviolet rays infrared rays a radiate light emitting diodes wire less curing light |
KR20090101768A (en) | 2008-03-24 | 2009-09-29 | (주)에스덴티 | Light curing device for dentistry wire or wireless power supplied |
JP6341640B2 (en) * | 2013-08-02 | 2018-06-13 | 株式会社吉田製作所 | Dental treatment tool with anomaly detection function |
KR101793255B1 (en) * | 2016-04-26 | 2017-11-02 | 주식회사 맥스덴탈 | Multi function light curing device to combine tip selectively |
KR101877421B1 (en) | 2017-03-09 | 2018-07-11 | 한국광기술원 | Light curing apparatus for dental clini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94798A1 (en) | 2021-11-24 | 2023-06-01 | King's College London | Dental photo-cur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31810B2 (en) | Dental irradiation device and system | |
CN100479736C (en) | Living body observing apparatus, intraoral imaging system, and medical treatment appliance | |
US10420577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issue thickness sensing | |
USRE32421E (en) |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an endoscope apparatus | |
JP2004237081A (en) |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 |
CN109843212A (en) | Modularization dental tool and Docking station | |
US20090118575A1 (en) | Endoscopic system, treatment section operation check instrument for the same, and treatment section operation check method | |
JP4731201B2 (en) | Dental equipment for examining visual characteristics of teeth | |
WO2008036644A1 (en) | Color measurement instrument | |
KR102028079B1 (en) | Multi light device for dental | |
CN107690295A (en) | Electric toothbrush, brush unit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electric toothbrush | |
US20220240767A1 (en) | Medical device inspection scope | |
WO2016153834A1 (en) | A dental imaging and illumination device | |
CN105072976A (en) | Device for endoscopic surgery | |
KR19980064273A (en) | Periodontal fascia measuring device | |
WO2015174365A1 (en) | Endoscopic system | |
AU2015226105A1 (en) | Dental system | |
CN112218587A (en) | Surgical handpiece including a visible light emitter an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identity of a surgical handpiece | |
NO882749L (en) | DENTAL-PROBE. | |
JP2011189037A (en) | Treatment unit | |
US6276933B1 (en) | Dental translucency analyzer and method | |
JP4755604B2 (en) | Dental hand instrument, dental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dental hand instrument | |
JP2003190189A (en) | Dental treatment system | |
JP7325081B2 (en) | Biological information collection sensor and biologic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 |
JP2011152192A (en) | Endosco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