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046B1 -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046B1
KR102028046B1 KR1020180068882A KR20180068882A KR102028046B1 KR 102028046 B1 KR102028046 B1 KR 102028046B1 KR 1020180068882 A KR1020180068882 A KR 1020180068882A KR 20180068882 A KR20180068882 A KR 20180068882A KR 102028046 B1 KR102028046 B1 KR 102028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ata
well
information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호
하사니 라자
Original Assignee
(주)한성중공업
레그넘 에너지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중공업, 레그넘 에너지 엘티디 filed Critical (주)한성중공업
Priority to KR1020180068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046B1/ko
Priority to PCT/KR2019/007161 priority patent/WO201924051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는, 입력된 유정 현장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후의 각 처리모듈로 전달하는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유정 현장의 종류, 현장에서 측정된 압력, 펌프 스트로크, 오일 및 생산수의 탱크 수위 등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처리 및 표시(출력)하는 현장 정보 처리모듈(20);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유정 현장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처리하고 표시(출력)하는 현장 위치정보 처리모듈(30);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유정 현장의 오일생산정의 상황정보를 추출하고 처리 및 표시(출력)하는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처리모듈(40);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유정 현장의 생산수주입정의 상황정보를 추출하고 처리 및 표시(출력)하는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처리모듈(50);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유정 현장의 배터리의 상황정보를 추출하고 처리 및 표시(출력)하는 배터리 상황정보 처리모듈(6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oil and gas well}
본 발명은 유정 또는 가스정(oil or gas well)(이하, '유가스정')의 운영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가스정(생산수주입정 포함)의 운용상태나 각종 계측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에 기반한 모니터링 툴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SCADA 표준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데이터로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은 고객의 요구조건에 맞춰 개발하기에는 너무 힘들고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SCADA 기반의 프로그램에서 보고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도 고객이 원하는 대로 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SCADA 전용 프로그램 구입비용이 별도로 필요하다.
한편, SCADA에 대비되는 PC 기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고객이 원하는 방향을 적극적으로 추종하는 고객 맞춤형 툴 개발이 가능하며,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성능(performance)을 얻을 수 있다. 고객의 요구대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매우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고객 니즈에 Flexible하게 대응 가능한 장점이 있다.
고가의 SCADA 프로그램이 아닌 PC 기반의 프로그램으로 유가스정 모니터링 툴을 제작함으로써 SCADA 프로그램의 많은 단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C 기반의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입력된 유가스정 현장 데이터로부터 유가스정 현장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처리 및 출력하는 유가스정 현장 정보 처리모듈; 입력된 유가스정 현장 위치데이터로부터 유가스정 현장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처리하고 출력하는 유가스정 현장 위치정보 처리모듈; 입력된 오일생산정 데이터로부터 유가스정 현장의 오일생산정의 상황정보를 추출하고 처리 및 출력하는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처리모듈; 입력된 생산수주입정 데이터로부터 유가스정 현장의 생산수주입정의 상황정보를 추출하고 처리 및 출력하는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처리모듈; 입력된 배터리 데이터로부터 유가스정 현장의 배터리의 상황정보를 추출하고 처리 및 출력하는 배터리 상황정보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유가스정 현장에 적어도 한 대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가스정의 운전상태와 각종 데이터를 인식하고 적의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된 유가스정 현장 데이터, 유가스정 현장 위치데이터, 오일생산정 데이터, 생산수주입정 데이터, 입력된 배터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가스정 현장정보 처리모듈은 유가스정 현장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가스정 현장 데이터 수신부, 유가스정 현장 관련 데이터로부터 유가스정 현장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유가스정 현장정보의 출력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유가스정 현장정보 처리부, 상기 처리된 유가스정 현장정보를 출력하는 유가스정 현장정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가스정 현장정보 출력부는 유가스정 현장의 분류 항목, 유가스정 현장의 압력 항목, 펌프 스트로크 항목, 탱크 수위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가스정 현장 위치정보 처리모듈은 유가스정 현장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는 유가스정 현장 위치데이터 수신부, 수신된 상기 유가스정 현장 위치데이터에서 유가스정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유가스정 현장 위치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유가스정 현장 위치정보를 전자지도에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유가스정 현장 위치정보가 속하는 지역의 전자지도를 불러오는 지역 지도 호출부, 상기 추출된 유가스정 현장 위치정보를 상기 호출된 지역 지도에 적용하여 유가스정 현장의 위치가 포함된 현장 지도를 생성하는 유가스정 현장 지도 생성부, 생성된 유가스정 현장 지도를 출력하는 유가스정 현장 지도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가스정 현장지도 출력부에서는 상기 유가스정 현장 지도는 지역지도 상에 유가스정의 현장 위치가 표시되어서 출력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처리모듈은 오일생산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오일생산정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오일생산정 관련 데이터로부터 오일생산정의 상황정보를 추출하는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추출부, 상기 오일생산정 데이터 및 상기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처리부, 처리된 오일생산정 상황정보를 출력하는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출력부는 오일생산정의 운용상태 항목, 압력 항목, 펌프 스트로크 항목, 탱크 수위 항목, 현장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처리모듈은 생산수주입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생산수주입정 데이터 수신부, 상기 생산수주입정 관련 데이터로부터 생산수주입정의 상황정보를 추출하는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추출부, 상기 생산수주입정 데이터 및 상기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중 하나의 출력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처리부, 처리된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를 출력하는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출력부는 생산수주입정의 운용상태 항목, 압력 항목, 펌프 스트로크 항목, 탱크 수위 항목, 현장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상황정보 처리모듈은 배터리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배터리 데이터 수신부, 상기 배터리 관련 데이터로부터 배터리의 상황정보를 추출하는 배터리 상황정보 추출부, 상기 배터리 관련 데이터 및 상기 배터리 상황정보 중 하나의 출력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배터리 상황정보 처리부, 상기 처리된 배터리 상황정보를 출력하는 배터리 상황정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상황정보 출력부는 생산수주입정의 운용상태 항목, 압력 항목, 펌프 스트로크 항목, 탱크 수위 항목, 현장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가스정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 현장 영상 데이터로부터 현장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현장정보의 출력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현장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가스정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현장정보 추출 단계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유가스정 현장의 운전여부, 압력, 펌프의 스트로크, 탱크의 수위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소개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차후에 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 맞춤형의 유가스정 모니터링 툴 구성 및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설계가 용이하고, 유가스정 모니터링 툴 사업화시에 경쟁력 우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저 입장에서는 다수의 유가스정에 대한 종합적인 운영 상태 및 정보 관리, 특히, 영상 데이터의 관리 및 표시를 PC 기반의 모니터링 툴로써 간편하게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정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 개요도이다.
도 2는 현장정보 처리모듈(2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현장 위치정보 처리모듈(3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현장정보 처리모듈(20)의 현장정보 표시부(28) 그리고 현장 위치정보 처리모듈(30)의 현장지도 표시부(38)를 실제로 구현한 유저인터페이스(UI)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처리모듈(4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표시부(48)의 실제 구현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10은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표시부(48)의 확장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도 7은 도 6의 좌측 정보선택메뉴(104)에서 오일생산정 데이터(well data)를 선택시에 나타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도 8은 도 6의 정보선택메뉴(104)에서 압력 데이터(pressure)를 선택시에 나타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도 9는 도 6의 정보선택메뉴(104)에서 생산량 데이터(pressure)를 선택시에 나타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도 10은 도 6의 정보선택메뉴(104)에서 데이터 표(data table)를 선택시에 나타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1은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처리모듈(5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2는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표시부(58)의 실제 구현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배터리 상황정보 처리모듈(6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4는 배터리 상황정보 표시부(68)의 실제 구현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의 대상을 유정(oil well)으로 구체화한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가스정(gas well)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유정(oil well) 모니터링에는 오일생산정(oil production well) 모니터링, 생산수주입정(produced water injection well) 모니터링, 배터리(battery) 모니터링이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예 설명에서 사용된 '유정 현장'(또는 '현장')이라는 용어는 오일생산정, 생산수주입정, 배터리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이들 오일생산정, 생산수주입정, 배터리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요소들임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정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 개요도이다. 이 유정 모니터링 장치는 유정 현장에 설치되어 현장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될 수도 있고, 현장과 통신망으로 연결된 원격지에 설치되어 관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정 모니터링 장치는,
- 입력된 유정 현장 데이터(다양한 항목의 계측데이터, 현장 운용상태 데이터, 현장 사진, 동영상 등)를 처리하여 이후의 각 처리모듈로 전달하는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
-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유정 현장의 종류, 현장에서 측정된 압력, 펌프 스트로크, 오일 및 생산수의 탱크 수위 등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처리 및 표시(출력)하는 현장 정보 처리모듈(20);
-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유정 현장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처리하고 표시(출력)하는 현장 위치정보 처리모듈(30);
-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유정 현장의 오일생산정의 상황정보를 추출하고 처리 및 표시(출력)하는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처리모듈(40);
-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유정 현장의 생산수주입정의 상황정보를 추출하고 처리 및 표시(출력)하는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처리모듈(50);
-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유정 현장의 배터리의 상황정보를 추출하고 처리 및 표시(출력)하는 배터리 상황정보 처리모듈(60)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데이터 입력처리모듈(10)은 입력된 현장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각 정보처리모듈(20~60)로 적정하게 배포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 입력되는 데이터는 유정 현장의 위치(지도에서의 위경도 좌표 또는 행정구역 등), 유정 현장의 운전상태, 생산량, 처리량, 현장에서의 케이싱압력(casing pressure)과 배관압력(tubing pressure), 펌프의 스트로크(pump stroke), 탱크의 수위(tank level), 현장 영상(정지화면, 동영상) 등이다. 이외에 각 현장(오일생산정, 생산수주입정, 배터리) 별로 다른 여러 데이터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데이터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현장에서 또는 원격지 감시 사이트에서 직접 입력될 수도 있고, 현장에 있는 장비(들)로부터 계측되어 전기신호로 전송된 계측데이터일 수 있고, 또는 각 유정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현장 영상이 전기신호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현장정보 처리모듈(20)의 세부 구성도이다.
현장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현장 데이터 수신부(22)가 포함되어 있다. 현장 관련 데이터는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유정 현장의 운전상태, 생산량, 처리량, 현장에서의 압력, 펌프 스트로크, 탱크 수위, 현장 영상 등이다.
이러한 현장 관련 데이터로부터 현장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24)가 있다. 현장정보 추출부(24)는 수신된 데이터에서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해야 할 경우(예를 들어, 데이터 입력이 현장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입수된 경우. 그러나 이 경우에 한정되지는 않음)에 수신 데이터로부터 필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수신한 현장 데이터가 현장의 운전 상태를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인 경우에, 이 영상을 단순히 시각적 정보로만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 영상(사진, 동영상 모두 포함. 이하, 동일)을 분석하여 현재 이 현장이 운전중인지 대기중인지, 오일 생산중인지 생산수 주입중인지 등의 현장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현장정보 추출). 또한, 압력게이지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는 압력게이지의 지침바늘 위치를 인식하여 촬영 시점에서의 압력값을 현장정보로서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펌프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펌프의 왕복운동인 스트로크값을 추출할 수 있고, 탱크 영상 또는 탱크 게이지 영상으로부터 해당 탱크의 수위값을 인식할 수 있다. 이렇게 카메라로 촬영된 현장 영상에서 유의미한 현장정보를 추출하는 데 있어서, 딥러닝, SVM 등의 기계학습 기술(machine learning)을 활용하면 훨씬 효과적인 정보 추출이 가능하다. 물론, 기계학습이 아니라 적절한 알고리즘의 영상처리기술(image processing)로써도 소기의 추출 성과를 얻을 수 있다. 현장정보 추출부(24)에서는 이러한 촬영 영상 데이터의 경우에만 정보 추출을 하는 것은 아니다. 오퍼레이터가 현장 관련 데이터값을 직접 입력한 경우 또는 현장 장비(들)로부터 신호전송된 계측데이터인 경우에도, 이들 데이터로부터 다른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는 이 필요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현장정보의 표시를 위하여 이 현장정보를 처리하는 현장정보 처리부(26)가 포함된다. 현장정보 처리부(26)는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전달받은 현장 데이터 및/또는 이 현장 데이터에서 추출된 현장정보의 표시를 위하여 데이터 포맷의 변환, 데이터의 가공, 소정 알고리즘이나 공식에 의한 수치 계산, 그래픽화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처리된 현장정보를 표시하는 현장정보 표시부(28)가 있다. 처리된 현장정보를 소정의 유저인터페이스(UI) 화면을 통하여 표시하거나 소정의 형식(가령, 보고서)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표시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상에 나타내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문서 인쇄, 데이터 출력, 알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유저에게 정보값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하는 일례를 조금 있다가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현장 위치정보 처리모듈(30)의 세부 구성도이다.
현장 위치데이터 수신부(31) - 상기 데이터 입력처리모듈(10)로 입력된 유정 현장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현장 위치데이터는, 위경도 좌표, 행정구역(주소, 건물번호, 우편번호 등), 카메라로 촬영된 현장 영상 등이 포함된다.
현장 위치정보 추출부(32) - 수신된 상기 현장 위치데이터에서 유의미한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즉, 현장 위치데이터가 행정구역상의 번지수인 경우에 이 번지수 데이터로부터 현장의 위치정보(전자지도에 표시 가능한 x, y 좌표 또는 픽셀 위치 등)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경우의 예를 들면, 입력 데이터가 현장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인 경우, 이 영상에 담겨 있는 간판이나 표지석 등에 기재된 번지수를 인식하여 해당 현장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지역 지도 호출부(34) - 상기 추출된 현장 위치정보를 전자지도에 결합 또는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현장 위치정보가 속하는 지역의 전자지도를 외부 시스템(가령, 전자지도 제공 포털, 관공서 등) 또는 전자지도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33)에서 호출한다(fetch).
현장 지도 생성부(36) - 상기 추출된 현장 위치정보를 상기 호출된 해당 지역의 지도에 결합하여 유정현장의 위치가 표시된 현장 지도를 생성한다.
현장 지도 표시부(38) - 생성된 현장 지도를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하거나 기타 다른 방식으로 출력한다.
도 4는 상술한 현장정보 처리모듈(20)의 현장정보 표시부(28) 그리고 상술한 현장 위치정보 처리모듈(30)의 현장지도 표시부(38)를 실제로 구현한 유저인터페이스(UI) 화면의 예시도이다.
왼쪽 아래에 현장정보 처리모듈(20)의 현장정보 표시부(28)가 표 형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각 유정 현장(5-26, 12-26, 2/8-27, 9-27, 8-27로 명명되었음)이 각각 오일생산정(oil well)인지 생산수주입정(injection)인지 배터리(battery)인지 나타내는 분류 항목(Classification), 각 현장의 압력 항목(Casing Pressure 및 Tubing Pressure), 펌프 스트로크 항목(Pump Stroke), 오일(oil) 및 생산수(water)의 탱크 수위 항목(Tank Level)이 마련되어 각 유정마다 각 항목별로 데이터값이 표시된다. 바람직하게, 이들 표시 정보는 각 현장 데이터의 신규 입력 및 처리에 의한 변경에 따라 자동으로 업데이트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현장지도 표시부(38)에는 지역지도(90) 상에 왼쪽 위부터 10-27, 9-27, 12-26, 2/8-27, 05-26, 8-27의 순서로 현장 위치(92)가 돗트로 표시되어 현장 지도로써 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이들 각 현장 위치(92) 돗트를 클릭하면 해당 현장에 대한 세부 정보를 보여주거나 해당 현장에 연계된 처리모듈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현장정보 표시부(28)와 현장지도 표시부(38)를 하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으로 통합하여 구현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처리모듈(40)의 세부 구성도이다.
오일생산정 데이터 수신부(42) - 데이터 입력처리모듈(10)로부터 오일생산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오일생산정 관련 데이터에는 오퍼레이터가 입력하거나 오일생산정의 장비들로부터 신호전송된 계측데이터와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오일생산정 관련 데이터는 오일생산정의 운전상태, 생산량, 처리량, 압력, 펌프 스트로크, 탱크 수위, 현장 영상이 포함된다.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추출부(44) - 오일생산정 관련 데이터로부터 오일생산정의 상황정보를 추출한다. 이는,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수신된 데이터에서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해야 할 경우(예를 들어, 데이터 입력이 현장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입수된 경우. 그러나 이 경우에 한정되지는 않음)에 수신 데이터로부터 필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수신한 현장 데이터가 현장의 운전 상태를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인 경우에(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음), 이 영상으로부터 오일생산정의 현재 상황 정보(운전중 여부, 오일 생산량, 펌프 스트로크, 압력값, 탱크 수위 등)를 추출하는 것이다.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처리부(46) -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전달받은 오일생산정 데이터 및/또는 이 데이터에서 추출된 오일생산정 상황정보의 표시를 위하여 데이터 포맷의 변환, 데이터의 가공, 소정 알고리즘이나 공식에 의한 수치 계산, 그래픽화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표시부(48) - 처리된 오일생산정 상황정보를 소정의 유저인터페이스(UI) 화면을 통하여 표시하거나 소정의 형식(가령, 보고서)으로 출력한다. 앞에서도 언급한 것과 같이, 여기서 '표시'라는 용어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상에 나타내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문서 인쇄, 데이터 출력, 알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유저에게 정보값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도 6은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표시부(48)의 실제 구현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왼쪽 위 부분에 특정 오일 생산정('Well 102/08-27-T16-R11W4'로 명명되어 있음)에 관련된 상황정보 표(94)가 위치한다. 즉, 분류 항목(Classification), 운용상태 항목(Status), 압력 항목(Pressure), 펌프 스트로크 항목(Pump Stroke), 오일 및 생산수의 탱크 수위 항목(Tank Level)과, 각 항목에서의 최대 허용값(Max. Allowance)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이들 표시 정보는 각 오일생산정 데이터의 신규 입력 및 처리에 의한 변경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 업데이트되게 할 수 있다.
이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아래 부분에는 상기 상황정보 표(94)의 정보값을 그림으로(pictorial) 표현하여 보여주고 있다. 왼쪽에는 펌프 스트로크 값을 펌프 장치의 그림(96)과 함께 표시하고, 차례로 케이싱 압력(casing pressure)과 배관 압력(tubing pressure) 값을 케이싱 및 배관 그림(98)과 함께 표시하고, 이어서, 오일 탱크 수위, 생산수 탱크 수위, 부피, 오일 생산량 자료를 탱크 그림(100)과 함께 표시하고 있다(만일 탱크가 없는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지시자(가령, ×)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오른쪽 위 부분에는 오일생산정 현장에서 촬영되어 입력된 영상(사진 및/또는 동영상)(102)이 표시된다. 이들 현장 영상(102)은 시간에 따른 팝업 방식 또는 로테이션 방식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표시부(48)는 도 6에서 확장되어 도 7~10과 같은 여러 페이지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은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표시부(48)의 메인 화면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좌측변에 본 오일생산정의 상황정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선택해서 볼 수 있도록 정보선택 메뉴(10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메뉴에는 오일생산정 데이터(well data), 압력 데이터(pressure), 생산량 데이터(pressure), 데이터 표(data table) 항목이 포함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좌측 정보선택메뉴(104)에서 오일생산정 데이터(well data)를 선택시에 나타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다. 오일생산정에 관한 상세한 데이터값이 표시되며, 데이터값의 직접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계가능하다(106번 박스). 또한, 로그자료나 파일 등을 업로드하는 버튼(108)이 우측 아래에 있고, 보기(View) 버튼(109)도 그 옆에 마련되어 있다. 보기(View) 버튼(109)을 누르면 해당 보기의 대상이 되는 항목의 매우 상세한 정보가 팝업창(110)으로 표시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정보선택메뉴(104)에서 압력 데이터(pressure)를 선택시에 나타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본 오일생산정에서의 압력 자료를 그래프로 도시한다. 이 그래프에서, 기간을 나타내는 x축은 기간이 변동가능하게 설계할 수 있고, 압력을 나타내는 y축은 Pa 단위 또는 psdi 단위로 변동가능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정보선택메뉴(104)에서 생산량 데이터(pressure)를 선택시에 나타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다. 기간을 나타내는 x측과 생산량을 나타내는 y축에 기간별로 생산량이 그래프로 도시된다. 여기서도 x축은 기간이 변동가능하게 설계할 수 있고, y축은 m3 단위 또는 배럴 단위로 변동가능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정보선택메뉴(104)에서 데이터 표(data table)를 선택시에 나타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다. 이 화면은 전체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중앙부에 종합 데이터 테이블(106)이 있는데, 각 라인에 현장 전송 사진, 동영상 기준으로 값이 표시되고 있다. 이들 표시되는 값들은 다른 페이지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에도 연동되어 표시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10 화면의 위에는 보고서 생성 버튼(108)이 있다. 매일, 주간, 월간 보고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그 오른쪽에는 압력표시 그래프 버튼(110), 생산량 그래프 버튼(112), 생산량 요약(summary) 버튼(114)이 있다. 이들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자료가 팝업창(115)으로 표시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11은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처리모듈(50)의 세부 구성도이다.
생산수주입정 데이터 수신부(52) - 데이터 입력처리모듈(10)로부터 생산수주입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생산수주입정 관련 데이터에는 오퍼레이터가 입력하거나 생산수주입정의 장비들로부터 신호전송된 계측데이터와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생산수주입정 관련 데이터는 생산수주입정의 운전상태, 생산량, 처리량, 압력, 펌프 스트로크, 탱크 수위, 현장 영상이 포함된다.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추출부(54) - 생산수주입정 관련 데이터로부터 생산수주입정의 상황정보를 추출한다. 이는,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수신된 데이터에서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해야 할 경우(예를 들어, 데이터 입력이 현장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입수된 경우. 그러나 이 경우에 한정되지는 않음)에 수신 데이터로부터 필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수신한 현장 데이터가 현장의 운전 상태를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인 경우에(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음), 이 영상으로부터 생산수주입정의 현재 상황 정보(운전중 여부, 생산수 주입량, 펌프 스트로크, 압력값, 탱크 수위 등)를 추출하는 것이다.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처리부(56) -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전달받은 생산수주입정 데이터 및/또는 이 데이터에서 추출된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의 표시를 위하여 데이터 포맷의 변환, 데이터의 가공, 소정 알고리즘이나 공식에 의한 수치 계산, 그래픽화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표시부(58) - 처리된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를 소정의 유저인터페이스(UI) 화면을 통하여 표시하거나 소정의 형식(가령, 보고서)으로 출력한다.
도 12는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표시부(58)의 실제 구현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왼쪽 위 부분에 특정 생산수주입정('Well 12-26-T16-R11W4'로 명명되어 있음)에 관련된 상황정보 표(116)가 위치한다. 즉, 분류 항목(Classification), 운용상태 항목(Status), 압력 항목(Pressure), 펌프 스트로크 항목(Pump Stroke), 오일 및 생산수의 탱크 수위 항목(Tank Level)과, 각 항목에서의 최대 허용값(Max. Allowance)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생산수 주입정이므로 압력과 펌프 스트로크는 해당 사항이 없다(N/A: NOT APPLIED). 바람직하게, 이들 표시 정보는 각 현장 데이터의 신규 입력 및 처리에 의한 변경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 업데이트되게 할 수 있다.
이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아래 부분에는 상기 상황정보 표(116)의 정보값을 그림으로(pictorial) 표현하여 보여주고 있다. 왼쪽에는 오일 탱크 수위, 생산수 탱크 수위, 부피, 생산수 주입량 자료를 탱크 그림(118)과 함께 표시하고 있다(만일 탱크가 없는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지시자(가령, ×)를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그 오른쪽에는 케이싱 압력(casing pressure)과 배관 압력(tubing pressure) 값을 케이싱 및 배관 그림(120과 함께 표시하고 있다.
또한 이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오른쪽 위 부분에는 본 생산수주입정 현장 영상(사진 및/또는 동영상)(122)이 표시된다. 이들 현장 영상(122)은 시간에 따른 팝업 방식 또는 로테이션 방식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표시부(58)도 도 6의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표시부(48)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과 유사하게 그 좌측변에 본 생산수주입정의 상황정보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를 선택해서 볼 수 있도록 정보선택메뉴(124)가 마련되어, 생산수주입정 데이터(well data), 압력 데이터(pressure), 생산량 데이터(pressure), 데이터 표(data table) 항목을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각 항목을 표시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7~10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배터리 상황정보 처리모듈(60)의 세부 구성도이다.
배터리 데이터 수신부(62) - 데이터 입력처리모듈(10)로부터 배터리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배터리 관련 데이터에는 오퍼레이터가 입력하거나 배터리의 장비들로부터 신호전송된 계측데이터와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관련 데이터는 배터리의 운전상태, 생산량, 처리량, 압력, 펌프 스트로크, 탱크 수위, 현장 영상이 포함된다.
배터리 상황정보 추출부(64) - 배터리 관련 데이터로부터 배터리의 상황정보를 추출한다. 이는,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수신된 데이터에서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해야 할 경우(예를 들어, 데이터 입력이 현장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입수된 경우. 그러나 이 경우에 한정되지는 않음)에 수신 데이터로부터 필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수신한 현장 데이터가 현장의 운전 상태를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인 경우에(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음), 이 영상으로부터 배터리의 현재 상황 정보(운전중 여부, 처리량, 펌프 스트로크, 압력값, 탱크 수위 등)를 추출하는 것이다.
배터리 상황정보 처리부(66) - 데이터입력 처리모듈(10)로부터 전달받은 배터리 데이터 및/또는 이 데이터에서 추출된 배터리 상황정보의 표시를 위하여 데이터 포맷의 변환, 데이터의 가공, 소정 알고리즘이나 공식에 의한 수치 계산, 그래픽화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배터리 상황정보 표시부(68) - 처리된 배터리 상황정보를 소정의 유저인터페이스(UI) 화면을 통하여 표시하거나 소정의 형식(가령, 보고서)으로 출력한다.
도 14는 배터리 상황정보 표시부(68)의 실제 구현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왼쪽 위 부분에 특정 배터리('Battery 08-27-T16-R11W4'로 명명되어 있음)에 관련된 상황정보 표(126)가 위치한다. 즉, 분류 항목(Classification), 운용상태 항목(Status), 압력 항목(Pressure), 펌프 스트로크 항목(Pump Stroke), 오일 및 생산수의 탱크 수위 항목(Tank Level)과, 각 항목에서의 최대 허용값(Max. Allowance)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배터리이므로 압력과 펌프 스트로크는 해당 사항이 없다(N/A: NOT APPLIED). 바람직하게, 상황정보 표(126)의 표시 정보는 각 현장 데이터의 신규 입력 및 처리에 의한 변경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 업데이트되게 할 수 있다.
이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아래 부분에는 상기 상황정보 표(126)의 정보값을 그림으로(pictorial) 표현하여 보여주고 있다. 왼쪽에는 배터리 운용에 관련된 자료들을 유체분리기(Liquid Separator) 그림(128)과 함께 표시하고 있고, 이어서, 오일탱크와 생산수탱크 그림(130)과 함께 각 탱크의 운전 현황과 탱크 수위를 표시하고 있다. 가장 오른쪽에는 생산수의 흐름(wtr disposal)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오른쪽 위 부분에는 본 배터리 현장의 영상(사진 및/또는 동영상)(134)이 표시된다. 이들 현장 영상(134)은 시간에 따른 팝업 방식 또는 로테이션 방식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의 배터리 상황정보 표시부(68)도 도 6의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표시부(48)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과 유사하게 그 좌측변에 본 배터리의 상황정보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를 선택해서 볼 수 있도록 정보선택메뉴(136)가 마련되어, 배터리 데이터(battery data), 압력 데이터(pressure), 생산량 데이터(pressure), 데이터 표(data table) 항목을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도 각 항목을 표시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7~10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입력된 유가스정 현장 데이터로부터 유가스정 현장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처리 및 출력하는 유가스정 현장 정보 처리모듈;
    입력된 유가스정 현장 위치데이터로부터 유가스정 현장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처리하고 출력하는 유가스정 현장 위치정보 처리모듈;
    입력된 오일생산정 데이터로부터 유가스정 현장의 오일생산정의 상황정보를 추출하고 처리 및 출력하는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처리모듈;
    입력된 생산수주입정 데이터로부터 유가스정 현장의 생산수주입정의 상황정보를 추출하고 처리 및 출력하는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처리모듈;
    입력된 배터리 데이터로부터 유가스정 현장의 배터리의 상황정보를 추출하고 처리 및 출력하는 배터리 상황정보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입력된 유가스정 현장 데이터, 유가스정 현장 위치데이터, 오일생산정 데이터, 생산수주입정 데이터, 입력된 배터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포함하는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유가스정 현장정보 처리모듈은
    유가스정 현장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가스정 현장 데이터 수신부,
    유가스정 현장 관련 데이터로부터 유가스정 현장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유가스정 현장정보의 출력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유가스정 현장정보 처리부,
    상기 처리된 유가스정 현장정보를 출력하는 유가스정 현장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유가스정 현장정보 출력부는
    유가스정 현장의 분류 항목, 유가스정 현장의 압력 항목, 펌프 스트로크 항목, 탱크 수위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유가스정 현장 위치정보 처리모듈은
    유가스정 현장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는 유가스정 현장 위치데이터 수신부,
    수신된 상기 유가스정 현장 위치데이터에서 유가스정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유가스정 현장 위치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유가스정 현장 위치정보를 전자지도에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유가스정 현장 위치정보가 속하는 지역의 전자지도를 불러오는 지역 지도 호출부,
    상기 추출된 유가스정 현장 위치정보를 상기 호출된 지역 지도에 적용하여 유가스정 현장의 위치가 포함된 현장 지도를 생성하는 유가스정 현장 지도 생성부,
    생성된 유가스정 현장 지도를 출력하는 유가스정 현장 지도 출력부를 포함하는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유가스정 현장지도 출력부는
    상기 유가스정 현장 지도는 지역지도 상에 유가스정의 현장 위치가 표시되어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처리모듈은
    오일생산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오일생산정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오일생산정 관련 데이터로부터 오일생산정의 상황정보를 추출하는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추출부,
    상기 오일생산정 데이터 및 상기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처리부,
    처리된 오일생산정 상황정보를 출력하는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오일생산정 상황정보 출력부는
    오일생산정의 운용상태 항목, 압력 항목, 펌프 스트로크 항목, 탱크 수위 항목, 현장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처리모듈은
    생산수주입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생산수주입정 데이터 수신부,
    상기 생산수주입정 관련 데이터로부터 생산수주입정의 상황정보를 추출하는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추출부,
    상기 생산수주입정 데이터 및 상기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중 하나의 출력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처리부,
    처리된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를 출력하는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생산수주입정 상황정보 출력부는
    생산수주입정의 운용상태 항목, 압력 항목, 펌프 스트로크 항목, 탱크 수위 항목, 현장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배터리 상황정보 처리모듈은
    배터리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배터리 데이터 수신부,
    상기 배터리 관련 데이터로부터 배터리의 상황정보를 추출하는 배터리 상황정보 추출부,
    상기 배터리 관련 데이터 및 상기 배터리 상황정보 중 하나의 출력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배터리 상황정보 처리부,
    상기 처리된 배터리 상황정보를 출력하는 배터리 상황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배터리 상황정보 출력부는
    생산수주입정의 운용상태 항목, 압력 항목, 펌프 스트로크 항목, 탱크 수위 항목, 현장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180068882A 2018-06-15 2018-06-15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028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882A KR102028046B1 (ko) 2018-06-15 2018-06-15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CT/KR2019/007161 WO2019240515A1 (ko) 2018-06-15 2019-06-13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882A KR102028046B1 (ko) 2018-06-15 2018-06-15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046B1 true KR102028046B1 (ko) 2019-10-02

Family

ID=6842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882A KR102028046B1 (ko) 2018-06-15 2018-06-15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8046B1 (ko)
WO (1) WO201924051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9548A1 (en) * 2020-11-19 2022-05-27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Interactiv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a mineral extraction system
US11824682B1 (en) 2023-01-27 2023-11-21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Can-open master redundancy in PLC-based contro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9366B (zh) * 2021-11-25 2023-08-11 四川轻化工大学 一种钻井环空液面监测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9570A (ja) * 2005-04-28 2006-11-09 Petroleum Energy Center 製油所監視システム
KR20100025941A (ko) * 2008-08-28 2010-03-10 (주)에이시에스 생산 관리 시스템
KR101706245B1 (ko) * 2015-09-14 2017-02-1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오일필드에서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생산량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4922A (ja) * 2013-03-12 2014-09-22 Panasonic Corp 施設検索装置、施設検索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9570A (ja) * 2005-04-28 2006-11-09 Petroleum Energy Center 製油所監視システム
KR20100025941A (ko) * 2008-08-28 2010-03-10 (주)에이시에스 생산 관리 시스템
KR101706245B1 (ko) * 2015-09-14 2017-02-1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오일필드에서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생산량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9548A1 (en) * 2020-11-19 2022-05-27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Interactiv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a mineral extraction system
GB2615928A (en) * 2020-11-19 2023-08-23 Schlumberger Technology Bv Interactiv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a mineral extraction system
US11824682B1 (en) 2023-01-27 2023-11-21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Can-open master redundancy in PLC-based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40515A1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046B1 (ko) 유가스정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977703B1 (ko) 단말의 촬영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CN111654635A (zh) 拍摄参数调节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3945129A (zh) 基于移动终端的拍照预览构图指导方法及系统
EP245848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8229418B (zh) 人体关键点检测方法和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和程序
CN102538974A (zh) 热像显示装置、热像显示系统和热像显示方法
CN106462567A (zh) 增强的数据视图
CN106776679A (zh) 盾构机掘进施工远程集中监控方法
US9904865B2 (en) Setting apparatus which sets a detection region for a detection process
CN105867612B (zh) 显示管理方法和关联计算机程序产品及电子设备
CN113158829A (zh) 一种基于EfficientDet网络的深度学习矿石大小测量方法及预警系统
CN115331002A (zh) 一种基于ar眼镜实现热力站故障远程处理方法
CN112101288A (zh) 安全帽佩戴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283347B (zh) 装配作业指导方法、装置、系统、服务器及可读存储介质
CN112130572A (zh) 一种基于穿戴式设备的机电设备养护单兵辅助方法及系统
KR101576445B1 (ko) 영상 신호를 이용한 이미지 평가 자동화 장치 및 방법
JP2020060923A (ja) 画像検索装置、画像検索システム、画像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808107B (zh) 图像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6484215B (zh) 管理移动终端的桌面的方法和装置
CN109634507B (zh) 一种可触控的电子地图控制方法及装置
McCann et al. CoastalImageLib: An open-source Python package for creating common coastal image products
CN103428433B (zh) 影像处理装置、影像处理系统和影像处理方法
CN111222468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人流检测方法及系统
KR20210026097A (ko) 사용자 인터랙티브 유가스정 현장 모니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