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659B1 -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659B1
KR102027659B1 KR1020170181909A KR20170181909A KR102027659B1 KR 102027659 B1 KR102027659 B1 KR 102027659B1 KR 1020170181909 A KR1020170181909 A KR 1020170181909A KR 20170181909 A KR20170181909 A KR 20170181909A KR 102027659 B1 KR102027659 B1 KR 102027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ryption
module
control system
drone
encryp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858A (ko
Inventor
홍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트로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트로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트로그
Priority to KR102017018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6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41Countermeasures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66Active attacks involving interception, injection, modification, spoofing of data unit addresses, e.g. hijacking, packet injection or TCP sequence number atta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dditional secure or trusted devices, e.g. TPM, smartcard, USB or software to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기에서 해킹 및 스푸핑을 방지하기 위해 동작하는 암호화 모듈에 암호화키를 전달하는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어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 신호를 미리 설정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재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재암호화된 제어 정보 신호를 변조하여 무인기로 전송하는 지상 제어시스템; 비행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 신호를 미리 설정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재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재암호된 비행 정보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무인기; 및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의 암호화 모듈과, 무인기의 암호화 모듈과 무선 데이터 통신포맷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상기 접속된 지상 제어시스템의 암호화 모듈과 무인기의 암호화 모듈에 미리 설정된 임의의 암호화 생성키를 전송하는 암호화키 생성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인기와 지상 제어 시스템에 설치된 암호화 모듈과의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암호화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NCRYPTION KEY OF UNMANNED AERIAL VEHICLE}
본 발명은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기에서 해킹 및 스푸핑을 방지하기 위해 동작하는 암호화 모듈에 암호화키를 전달하는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국내 및 해외의 무인기(드론) 이용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활용되는 분야가 다양해짐에 따라 무인기 비행의 안전수칙 및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무인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조종사 없이 무선 전파의 유도에 의해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군사용 드론을 총칭하는 것으로, 2010년대를 전후로 군사적 용도 외에 다양한 민간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상 제어 시스템과 무인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상 시스템(10)에서 무인기(20)로 명령 또는 제어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업 링크(up link)와, 상기 무인기(20)에서 상기 지상 시스템(10)으로 상기 무인기(20) 및 탑재 장치의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다운 링크(down link)를 통해 무선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상 시스템(10)은 상기 무인기(20)으로 전송해야 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정보의 암호화를 수행하는 지상 제어부(11)와, 상기 암호화된 제어 정보를 변조하여 상기 무인기(20)로 전송하는 지상 통신 디바이스(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인기(20)는 상기 지상 시스템(10)으로 전송해야 하는 상기 무인기(20)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정보의 암호화를 수행하는 비행 제어(22)와, 상기 암호화된 상태 정보를 변조하여 상기 지상 시스템(10)으로 전송하는 비행 통신 디바이스(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상 통신 디바이스(12)와 비행 통신 디바이스(21)는 각각 암호화된 신호를 변조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반대로 암호화되고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여 원하는 신호로 복조하게 된다.
그러나 비행 조종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무선 주파수 대역은 통상적인 Wi-Fi와 같은 802.11b/g/n를 사용하고 있어 무선 보안에 대한 취약점이 그대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무인기는 자체적으로 보안 설계가 미약하여 악의적 이용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무인기와 조종/제어 장치 간의 무선 신호를 스니핑(sniffing)하거나, 정상 사용자의 조종/제어 장치와 무인기 간의 통신을 강제로 단절하고 무단 장비로 접속하도록 하여 무인기의 동작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는 위험성 등이 존재한다.
또 GPS 스푸핑(spoofing) 또는 GPS 방해 재밍(jamming)을 시도하거나, 무인기 내부에 저장된 정보가 암호화되지 않았을 경우 무인기 내에 저장된 촬영 사진 및 영상 등을 유출하거나 도청 공격을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암호화 장치가 적용된 지상 제어 시스템과 무인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상 시스템(30)은 제어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 신호를 제공하는 지상 제어부(31)와, 상기 지상 제어부(31)와 직렬 연결되어 상기 제어 정보의 암호 신호를 재암호화하는 암호화 디바이스(32)와, 상기 재암호화된 신호를 변조하여 무인기(40)로 전송하는 모뎀(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인기(40)는 무인기의 상태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 신호를 제공하는 비행 제어부(43)와, 상기 비행 제어부(43)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상태 정보의 암호 신호를 재암호화하는 암호화 디바이스(42)와, 상기 재암호화된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지상 시스템(30)으로 전송하는 모뎀(41)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암호화 디바이스가 암호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암호화키 생성장치로부터 암호화키를 제공받아야 하지만, 상기 암호화키를 암호화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상기 암호화 디바이스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고, 케이블을 직접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인기에 설치되는 암호화 디바이스는 무인기의 구조상 암호화 디바이스의 연결 해제와 케이블의 연결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67195호(발명의 명칭: 드론 침입 탐지 및 제어 장치 방법)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인기에서 해킹 및 스푸핑을 방지하기 위해 동작하는 암호화 모듈에 암호화키를 전달하는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어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 신호를 미리 설정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재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재암호화된 제어 정보 신호를 변조하여 무인기로 전송하는 지상 제어시스템; 비행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 신호를 미리 설정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재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재암호된 비행 정보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무인기; 및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의 암호화 모듈과, 무인기의 암호화 모듈과 무선 데이터 통신포맷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상기 접속된 지상 제어시스템의 암호화 모듈과 무인기의 암호화 모듈에 미리 설정된 임의의 암호화 생성키를 전송하는 암호화키 생성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은 상기 지상 제어 시스템의 암호화 모듈 및 무인기의 암호화 모듈과 접속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상기 지상 제어 시스템의 암호화 모듈 및 무인기의 암호화 모듈로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암호화키 생성부; 및 상기 암호화키 생성부에서 생성된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상기 지상 제어 시스템의 암호화 모듈 및 무인기의 암호화 모듈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지상 제어 시스템의 암호화 모듈 및 무인기의 암호화 모듈과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통신, 지그비 통신, NFC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은 임베디드 단말기, 암호화키 생성 프로그램을 저장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암호화키 생성모듈이 지상 제어시스템의 암호화 모듈 및 무인기의 암호화 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임의의 무선통신 포맷으로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이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의 암호화 모듈 및 무인기의 암호화 모듈을 인증하는 단계; c)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이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접속된 지상 상기 제어시스템의 암호화 모듈 및 무인기의 암호화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의 암호화 모듈 및 무인기의 암호화 모듈이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에서 전송하는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c)단계의 암호화 생성키 정보는 미리 저장된 키 정보이거나 또는 암호화 키 생성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키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인기와 지상 제어 시스템에 설치된 암호화 모듈과의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암호화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상 제어 시스템과 무인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암호화 장치가 적용된 지상 제어 시스템과 무인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의 암호화 모듈과 암호화키 생성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의 암호화키 전송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의 암호화키 전송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의 암호화 모듈과 암호화키 생성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의 암호화키 전송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의 암호화키 전송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은 지상 제어시스템(100)과, 무인기(200)와,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100)은 무인기(200)와 통신하여 상기 무인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제어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 신호를 출력하는 지상 제어모듈(110)과, 상기 암호 신호를 미리 설정된 암호화 생성키를 이용하여 재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120)과, 상기 재암호화된 제어 정보 신호를 변조하여 무인기(200)로 전송하는 RF 모뎀(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상 제어모듈(110)은 무인기(200)의 제어 정보를 임의의 암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상기 제어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 신호를 암호화 모듈(120)로 제공한다.
상기 암호화 모듈(120)은 상기 지상 제어모듈(110)과 연결되어 상기 암호 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저장된 암호화 생성키를 이용하여 재암호화한 재암호 신호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데이터 통신부(121)와, 암호화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121)는 암호화키 생성모듈(300)과 미리 설정된 인증과정을 수행한 다음 접속하고, 접속된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로부터 재암호 신호 생성에 필요한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수신하여 암호화부(122)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부(121)는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통신, 지그비 통신, NFC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키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암호화부(122)는 지상 제어모듈(110)에서 제공되는 암호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된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이용하여 재암호화하고, 재암호화한 신호는 RF 모뎀(130)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암호화부(122)는 데이터 통신부(121)로부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의 접속이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에서 전송되는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RF 모뎀(130)은 암호화 모듈(120)에서 제공하는 재암호 신호를 변조하여 무인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무인기(200)는 지상 제어시스템(100)과 통신하여 상기 무인기(200)의 비행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비행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 신호를 출력하는 비행 제어모듈(230)과, 미리 설정된 암호화 생성키를 이용하여 재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220)과, 상기 재암호된 비행 정보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RF 모뎀(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 모뎀(210)은 암호화 모듈(220)에서 제공하는 재암호 신호를 변조하여 지상 제어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상기 암호화 모듈(220)은 비행 제어모듈(230)과 연결되어 비행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 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저장된 암호화 생성키를 이용하여 재암호화하고, 재암호한 신호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데이터 통신부(221)와, 암호화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221)는 암호화키 생성모듈(300)과 미리 설정된 인증과정을 수행한 다음 접속하고, 접속된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로부터 재암호 신호 생성에 필요한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수신하여 암호화부(222)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부(221)는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통신, 지그비 통신, NFC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키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암호화부(222)는 비행 제어모듈(230)에서 제공되는 비행 정보의 암호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된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이용하여 재암호화하고, 상기 재암호화한 신호를 RF 모뎀(210)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암호화부(222)는 데이터 통신부(221)를 통해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의 접속이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에서 전송되는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비행 제어모듈(230)은 무인기(200)의 비행 정보를 임의의 암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암호화한 비행 정보의 암호 신호를 암호화 모듈(220)로 제공한다.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은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과,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과 무선 데이터 통신포맷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상기 접속된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과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에 미리 설정된 임의의 암호화 생성키를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암호화키 생성부(310)와 데이터 통신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은 임베디드 단말기, 암호화키 생성 프로그램을 저장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암호화키 생성부(310)는 상기 지상 제어 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과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된 상기 지상 제어 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로 임의의 암호화키 생성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한 암호화 생성키 정보 또는 미리 저장된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320)는 암호화키 생성부(310)에서 생성된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상기 지상 제어 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부(320)는 상기 지상 제어 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과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통신, 지그비 통신, NFC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전송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의 암호화키 전송방법을 설명한다.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이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과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과 임의의 무선통신 포맷으로 접속(S100, S200)한다.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은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과 동시에 접속할 수도 있고,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과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 중 어느 하나와 각각 접속할 수도 있다.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은 접속된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과 각각 미리 설정된 인증과정을 수행(S110, S210)한다.
상기 S110 단계 및 S210 단계에서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은 미리 저장된 인증정보를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로 전송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에서 전송되는 임의의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은 인증을 완료했는지 판단(S120)한 다음, 인증이 완료되면, 미리 저장된 암호화 생성키 정보 또는 미리 저장된 암호화키 생성 프로그램에서 생성한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접속된 지상 상기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로 전송(S130, S230)한다.
상기 S130 단계 및 S230 단계에서 전송된 암호화 생성키 정보는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에서 각각 수신하여 저장(S140, S240)한다.
따라서, 지상 제어시스템과 무인기에 각각 설치된 암호화 모듈이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과 무인기 사이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암호화 생성키를 암호화 모듈에 설정 및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지상 제어시스템
110 : 지상 제어모듈
120 : 암호화 모듈
121 : 데이터 통신부
122 : 암호화부
130 : RF 모뎀
200 : 무인기
210 : RF 모뎀
220 : 암호화 모듈
221 : 데이터 통신부
222 : 암호화부
230 : 비행 제어모듈
300 : 암호화키 생성모듈
310 : 암호화키 생성부
320 : 데이터 통신부

Claims (6)

  1. 제어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 신호를 미리 설정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재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120)을 구비하고, 상기 재암호화된 제어 정보 신호를 변조하여 무인기(200)로 전송하는 지상 제어시스템(100);
    비행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 신호를 미리 설정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재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220)을 구비하고, 상기 재암호된 비행 정보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무인기(200); 및
    미리 저장된 인증정보를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에서 전송되는 임의의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지상 제어 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과 접속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상기 지상 제어 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로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암호화키 생성부(310)와, 상기 암호화키 생성부(310)에서 생성된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상기 지상 제어 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320)를 구비한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을 포함하는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320)는 상기 지상 제어 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과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통신, 지그비 통신, NFC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은 임베디드 단말기, 암호화키 생성 프로그램을 저장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
  5. a)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이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 중 적어도 하나와 임의의 무선통신 포맷으로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이 미리 저장된 인증정보를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로 전송하여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에서 전송되는 임의의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을 인증하는 단계;
    c)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이 미리 저장된 키 정보이거나 또는 암호화 키 생성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키 정보 중 어느 하나인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접속된 지상 상기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지상 제어시스템(100)의 암호화 모듈(120) 및 무인기(200)의 암호화 모듈(220)이 상기 암호화키 생성모듈(300)에서 전송하는 암호화 생성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방법.
  6. 삭제
KR1020170181909A 2017-12-28 2017-12-28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027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909A KR102027659B1 (ko) 2017-12-28 2017-12-28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909A KR102027659B1 (ko) 2017-12-28 2017-12-28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858A KR20190079858A (ko) 2019-07-08
KR102027659B1 true KR102027659B1 (ko) 2019-10-02

Family

ID=67256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909A KR102027659B1 (ko) 2017-12-28 2017-12-28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900B1 (ko) * 2020-09-01 2022-07-08 주식회사 티엔젠 무인이동체의 보안을 위한 암호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30771B1 (ko) * 2021-11-01 2024-01-29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비행체 제어 방법
CN114679267A (zh) * 2022-03-25 2022-06-28 合肥硅臻芯片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量子加密的无人机控制系统
KR102535470B1 (ko) * 2022-11-15 2023-05-26 국방과학연구소 무인기 공유데이터 배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940B1 (ko) * 2012-12-17 2014-07-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스푸핑을 방지하기 위한 암호화 장치 및 방법
KR20170067195A (ko) 2015-12-07 2017-06-16 한국정보보호시스템(주) 드론 침입 탐지 및 제어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왕기철, 이병선, 임광재, 안재영, "무인기 제어용 네트워크의 보안기술 동향", 20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2017.02.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858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659B1 (ko) 무인기의 암호화키 전송 시스템 및 방법
He et al. Communication secur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S10785040B2 (en) Secure communications
US20190103030A1 (en) Aerial vehicle identification beacon and reader system
US20170366360A9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ty and authentication of aircraft data transmissions
US9402182B1 (en) Automated distribution of logon credentials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vity of electronic flight bag (EFB)
KR102482902B1 (ko) 암호화 모듈용 비 접촉식 양자 암호화 키 생성 전달 장치
US20190116161A1 (en) Secur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multimedia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US10658864B2 (en) Multifunctional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its data transmission method
WO2019032162A2 (en) SECURE DRIVE AND BEACON SYSTEM FOR IDENTIFICATION OF PILOT AND REMOTE DRONE
Bunse et al. Security analysis of drone communication protocols
US201502368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interaction
Pirker et al. Global and secured uav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hardware-security
CN109152091B (zh) 一种可用于无人机集群控制的通信系统
Sentsov et al. Electronic methods to protect unmanned aerial vehicles from seizing control
CN109246695A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420940B1 (ko) 스푸핑을 방지하기 위한 암호화 장치 및 방법
CN115767519A (zh) 基于fpga的无人机数据链加解密方法、介质及设备
KR102365695B1 (ko) 속성기반 암호를 적용한 무인비행체계 보안통신 방법
CN103986736A (zh) 用于网络安保的通信接口及通信方法
KR102522599B1 (ko) 위치 기반 양방향 키 교환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0942672A (zh) 用于禁飞区的无人机管控系统及方法
US10285055B2 (en)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method, server device, and client device
US20240073684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bidirectional key agreement protoco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Horbakha Method of protection of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RPAS camer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