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173B1 - 과일 포장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과일 포장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173B1
KR102027173B1 KR1020190074065A KR20190074065A KR102027173B1 KR 102027173 B1 KR102027173 B1 KR 102027173B1 KR 1020190074065 A KR1020190074065 A KR 1020190074065A KR 20190074065 A KR20190074065 A KR 20190074065A KR 102027173 B1 KR102027173 B1 KR 102027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stick
type air
air cell
wrapp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종
Original Assignee
이민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종 filed Critical 이민종
Priority to KR1020190074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1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folded-up around all sides of the contents from a portion on which the contents are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잘린 원추형 형태의 상부 포장지(100); 및 상부 포장지의 하부에서 상부 포장지(100)와 함께 과일을 포장하기 위한 상부가 잘린 원추형 형태의 하부 포장지(200)를 포함하고, 상부 포장지(100)은 포장 용지(50), 상기 포장 용지(50)에 설치된 제1 및 제2 스틱형 에어셀(10, 40)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틱형 에어셀(10, 40) 사이의 제1 공기 구멍(20)을 포함하고, 하부 포장지(200)은 포장 용지(250), 상기 포장 용지(250)에 설치된 제3 및 제4 스틱형 에어셀(231, 232), 상기 제1 및 제2 스틱형 에어셀(231, 231) 사이의 제2 공기 구멍(233) 및 홈(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형 에어셀(40)은 포장 용지(50)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포장지(200)의 홈(220)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일 포장용 케이스{Case for Packaging Fruits}
본 발명은 과일을 포장하여 담기 위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한라봉, 복숭아, 사과, 배, 과일와 같은 과일들은 판매를 위하여 산지에서 판매점까지 여러 단계의 유통 경로를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여러 단계의 유통 경로를 거친 후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과일들은 각 단계별로 과육이 손상될 수 있는 많은 위험 요소를 지니게 되며, 종래의 상자 단위로 포장되어 유통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상자에 많은 양의 과일이 포장되므로 과일과 과일들이 서로 접촉되며 운반과정에서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과육이 손상되는 빈도가 높았다.
보관 및 운반 중에 서로 접촉하거나 부딪히는 경우에, 접촉 또는 부딪힌 부위가 손상되어 과일의 상품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복숭아, 사과, 배 및 한라봉과 같은 과일들은 포장될 때 과일들이 직접적으로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종이나 완충재(난좌) 등으로 감싸진 상태로 포장된다.
이와 같이, 과일을 용기에 담는 경우 숙련된 근로자에 의존하게 되어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며 숙련된 근로자에 따라 과일이 용기에 담겨지는 상태가 상이하여 일관성이 없게 된다.
공개 실용 신안 제20-2019-0000738호 (2019.03.22) 등록 실용 신안 제20-0480047-0000호 (2016.03.31)
본 발명은 멜론, 사과의 속 포장용 케이스를 제작하여 과일의 안정성, 포장의 용이성, 포장용 케이스의 재활용률의 상승, 유통의 편이성을 추구하고자 한다.
상기 속 포장용 케이스는 외부 용기의 사이즈에 맞추어 제작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과일 각각이 하나의 포장지에 놓여지도록 하여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포장지는 덮개용 부분과 깔개용 부분을 포함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덮개용 부분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깔개용 부분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서로 맞추어 과일을 포장하고자 한다.
또한, 포장지에는 공기가 채워져 있는 스틱형 에어셀을 구비하도록 하여 포장지 안의 과일이 외부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포장지에 공기 구멍을 구비하도록 하여 포장지 안으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과일을 신선하게 보관하고자 한다.
덮개용의 상부 부분에 개구가 형성되어 과일의 꼭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과일의 종류에 따라 포장지 형태, 에어셀의 크기, 비닐의 두께, 중간 구멍의 크기와 모양을 변형하여 과일의 종류에 맞추어 포장 방법을 달리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부가 잘린 원추형 형태의 상부 포장지(100); 및 상부 포장지의 하부에서 상부 포장지(100)와 함께 과일을 포장하기 위한 상부가 잘린 원추형 형태의 하부 포장지(200)를 포함하고, 상부 포장지(100)은 포장 용지(50), 상기 포장 용지(50)에 설치된 제1 및 제2 스틱형 에어셀(10, 40)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틱형 에어셀(10, 40) 사이의 제1 공기 구멍(20)을 포함하고, 하부 포장지(200)은 포장 용지(250), 상기 포장 용지(250)에 설치된 제3 및 제4 스틱형 에어셀(231, 232), 상기 제1 및 제2 스틱형 에어셀(231, 231) 사이의 제2 공기 구멍(233) 및 홈(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형 에어셀(40)은 포장 용지(50)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포장지(200)의 홈(220)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공기 구멍(20)은 타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스틱형 에어셀(10, 40)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3개의 파트(10a, 10b, 10c; 40a, 40b, 40c)로 나뉘어 지고, 상기 제1 공기 구멍(20)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파트(20a, 20b)로 나뉘어 지며, 상기 제3 및 제4 스틱형 에어셀(231, 232)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3개의 파트(231a, 231b, 231c; 232a, 232b, 232c)로 나뉘어 지고, 상기 제2 공기 구멍(233)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파트(232a, 232b)로 나뉘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스틱형 에어셀(10) 및 제2 스틱형 에어셀(40)은 각각 4개의 제1 내지 제4 파트(10a, 10b, 10d, 10e; 40a, 40b, 40d, 40e)로 분리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파트(10a, 10b; 40a, 40b)는 나란한 방향이나 제3 파트 및 제4 파트(10d, 10e; 40d, 40e)는 서로 마주 보는 형태로 상기 제1 및 제2 파트(10a, 10b; 40a, 40b)에 대해서는 비스듬하고, 상기 제4 파트(10e; 40e)가 상기 제3 파트(10d; 40d)에 비하여 길이가 길며, 제1 공기 구멍(20)은 타원형 형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파트(20a, 20b)로 분리되고, 제3 스틱형 에어셀(231) 및 제4 스틱형 에어셀(232)은 각각 4개의 제1 내지 제4 파트(231a, 231b, 231d, 231e; 232a, 232b, 232d, 232e)로 분리되고, 제1 및 제2 파트(231a, 231b; 232a, 232b)는 나란한 방향이나 제3 파트 및 제4 파트(231d, 231e; 232d, 232e)는 서로 마주 보는 형태로 상기 제1 및 제2 파트(231a, 231b; 232a, 232b)에 대해서는 비스듬하고, 상기 제4 파트(231e; 232e)가 상기 제3 파트(231d; 231d)에 비하여 길이가 길며, 제2 공기 구멍(233)은 타원형 형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파트(233a, 233b)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스틱형 에어셀(10)은 5개의 제1 내지 제5 파트 (10a, 10b, 10f, 10g, 10h)로 분리되고, 제2 스틱형 에어셀(40)은 4개의 제1 내지 제4 파트(40a, 40b, 40f, 40g)로 분리되고, 제1 스틱형 에어셀(10)에서 제1 내지 제3 파트(10a, 10b, 10f)는 원추형 상부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진행하고 제4 및 제5 파트(10g, 10h)는 서로 동일한 사이즈이면서 마주 보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3 파트(10a, 10b, 10f)에 대하여 일정한 각으로 기울어져 있고, 제2 스틱형 에어셀(40)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파트(40a, 40b, 40f, 40e)는 원추형 상부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 공기 구멍(20)은 타원형의 3개의 파트(20a, 20b, 20c)로 나뉘어지고, 제3 스틱형 에어셀(231)도 5개의 제1 내지 제5 파트(231a, 231b, 231f, 231g, 231h)로 분리되고, 제4 스틱형 에어셀(232)은 4개의 제1 내지 제4 파트(232a, 232b, 232f, 232g)로 분리되며, 제3 스틱형 에어셀(231)에서 제1 내지 제3 파트(231a, 231b, 231f)는 원추형 상부로 나란하게 진행하고, 제4 및 제5 파트(231g, 231h)는 서로 동일한 사이즈이면서 마주 보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내지 제3 파트(231a, 231b, 231f)에 대하여 일정한 각으로 기울어져 있고, 제4 스틱형 에어셀(232)는 4개의 나란한 제1 내지 제4 파트(232a, 232b, 232f, 232g)로 이루어져 있고, 제2 공기 구멍(233)은 타원형의 3개의 파트(233a, 233b, 233c)로 나뉘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지가 덮여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포장지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포장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과일이 포장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과일에 사용되는 덮개용 상부 포장지이다.
도 6는 도 4의 과일에 사용되는 깔개용 하부 포장지이다.
도 7 내지 9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과일이 포장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2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과일이 포장된 도면이다.
도 13 내지 15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과일이 포장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포장지(100) 및 하부 포장지(200)로 구성된다.
상부 포장지(100)에는 제1 스틱형 에어 셀(10) 및 제2 스틱형 에어 셀(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에어 셀(10)과 제2 에어 셀(40) 사이에는 제1 공기 구멍(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에어셀의 지름과 크기는 커질수록 포장지가 견딜수 있는 과실의 무게가 증가하고, 과피와 닿는 면적이 감소하며, 에어셀의 유연성이 감소하고, 보관 및 과포장율이 증가한다.
또한, 에어셀(10, 40) 비닐의 두께는 두꺼워질수록 견딜수 있는 과실의 무게가 증가하고 에어셀의 유연성이 감소하며 비용 단가가 증가한다.
에어셀 사이의 공기 구멍(20, 233)의 크기와 개수는 커질수록 에어셀의 유연성이 증가하고, 과실 보호 면적이 감소하며 많을수록 에어셀의 유연성이 증가한다.
또한, 1개의 에어셀 분리 개수는 많을수록 에어셀의 유연성이 증가하고 제작 단가 및 불량률이 증가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멜론과 같이 과실 무게가 크고 과피의 경도가 큰 과일에 관한 것으로 에어셀 지름은 크고 비닐은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어셀 중간의 구멍은 크게 하고 개수는 적게 하며 에어셀을 분리 개수를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6의 상부 포장지(100)에는 제1 스틱형 에어셀(10)과 제2 스틱형 에어셀(40)이 번갈아 가면서 위치한다.
상기 제1 스틱형 에어셀(10)과 제2 스틱형 에어셀(40) 사이에는 타원형 제1 공기 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틱형 에어셀(40)은 원뿔형을 이루는 포장 용지(50)의 바깥쪽 외주(50a)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하부 포장지(200)의 포장 용지(250)에 형성된 홈(220)에 끼워지면서 과일을 감싼다.
상기 하부 포장지(200)에는 제3 스틱형 에어셀(231) 및 제4 스틱형 에어셀(232)이 번갈아 가면서 위치하고, 상기 제3 스틱형 에어셀(231) 및 제4 스틱형 에어셀(232) 사이에 타원형 형태의 제2 공기 구멍(233)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3 스틱형 에어셀(231)이 제4 스틱형 에어셀(232) 보다 안쪽으로 진행되어 있다.
상기 홈(220)은 하부 포장 용지(250)의 바깥쪽 외주(250a)의 안쪽에서 상기 제3 스틱형 에어셀(231) 및 제4 스틱형 에어셀(232) 사이에 위치한다.
도 7 내지 도 9은 배와 같이 과실 무게가 크고 과피의 경도가 중간 정도인 과일에 적합한 포장 용지로, 에어 셀의 지름 및 크기와 에어셀 비닐 두께는 보통 정도로 하며, 에어 셀 사이의 중간 구멍의 크기와 개수 및 에어셀 분리 개수를 크게 한 것이다.
제1 스틱형 에어셀(10) 및 제2 스틱형 에어셀(40)은 각각 3개의 파트(10a, 10b, 10c; 40a, 40b, 40c)를 구비하도록 하여 1개의 에어셀의 분리 개수를 증가 시켰다.
또한, 제1 공기 구멍(20)도 2개의 파트(20a, 20b)로 나누었으며 각각 타원형 형태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마찬가지로, 제3 스틱형 에어셀(231) 및 제4 스틱형 에어셀(232)도 각각 3개의 파트(231a, 231b, 231c; 232a, 232b, 232c)를 구비하도록 하여 에어셀의 분리 개수를 증가 시켰다.
또한, 제2 공기 구멍(233)도 2개의 파트(233a, 233b)로 나누었으며 각각은 타원형 형태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도 10 내지 도 12는 사과와 같이 과실 무게가 중간 정도이고 과피 경도가 중간 정도인 과일에 적합한 포장 용지로, 에어 셀의 지름 및 크기와 에어셀 비닐 두께를 보통으로 하며, 에어 셀 사이의 중간 구멍의 크기와 개수 또한 보통으로 하고 에어셀 분리 개수를 크게 한 것이다.
제1 스틱형 에어셀(10) 및 제2 스틱형 에어셀(40)은 각각 4개의 제1 내지 제4 파트(10a, 10b, 10d, 10e; 40a, 40b, 40d, 40e)를 구비하도록 하여 1개의 에어셀의 분리 개수를 증가 시켰다.
제1 및 제2 파트(10a, 10b; 40a, 40b)는 원추형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루어 지나, 제3 파트 및 제4 파트(10d, 10e; 40d, 40e)는 서로 마주 보는 형태로 이루어지면 원추형 방향 (원추의 꼭지점으로 향하는 방향)에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하였다.
제1 및 제2 파트(10a, 10b; 40a, 40b)는 서로 나란한 방향이나, 제3 파트 및 제4 파트 (10d, 10e; 40d, 40e)는 제1 및 제2 파트와 나란하지 않으며 서로 경사진 형태로 마주보고 있다.
또한, 제4 파트(10e; 40e)가 제 3파트(10d; 40d)에 비하여 길이가 긴 형태가 되도록 하였다.
제1 공기 구멍(20)은 2개의 파트(20a, 20b)로 나누었으며 각각 타원형 형태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마찬가지로, 제3 스틱형 에어셀(231) 및 제4 스틱형 에어셀(232)은 각각 4개의 제1 내지 제4 파트(231a, 231b, 231d, 231e; 232a, 232b, 232d, 232e)를 구비하도록 하여 1개의 에어셀의 분리 개수를 증가 시켰다.
제1 및 제2 파트(231a, 231b; 232a, 232b)는 원추형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루어 지나, 제3 파트 및 제4 파트(231d, 231e; 232d, 232e)는 서로 마주 보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원추형 방향 (원추의 꼭지점으로 향하는 방향)에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하였다.
제1 및 제2 파트(231a, 231b; 232a, 232b)는 서로 나란한 방향이나, 제3 파트 및 제4 파트 (231d, 231e; 232d, 232e)는 제1 및 제2 파트와 나란하지 않으며 서로 경사진 형태로 마주보고 있다.
또한, 제4 파트(231e; 232e)가 제3 파트(231d, 232d)에 비하여 길이가 긴 형태가 되도록 하였다.
제1 공기 구멍(20)은 2개의 파트(233a, 233b)로 나누었으며 각각 타원형 형태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복숭아와 같이 과실 무게가 중간 정도이고 과피 경도가 약한 과일에 적합한 포장 용지로, 에어 셀의 지름 및 크기와 에어셀 비닐 두께를 작게 하며, 에어 셀 사이의 중간 구멍의 크기와 개수 및 에어셀 분리 개수를 크게 한 것이다.
제1 스틱형 에어셀(10)은 5개의 제1 내지 제5 파트 (10a, 10b, 10f, 10g, 10h)로 제2 스틱형 에어셀(40)은 각각 4개의 제1 내지 제4 파트(40a, 40b, 40f, 40g)를 구비하도록 하여 1개의 에어셀의 분리 개수를 증가 시켰다.
제1 스틱형 에어셀(10)에서 제1 내지 제3 파트(10a, 10b, 10f)는 나란한 형태로 원추형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제4 및 제5 파트(10g, 10h)는 서로 동일한 사이즈이면서 마주 보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원추형 방향 (원추의 꼭지점으로 향하는 방향)에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하였다.
제1 내지 제3 파트(10a, 10b, 10f)는 서로 나란한 방향이나, 제4 파트 및 제5 파트 (10g, 10h)는 서로 경사진 형태로 마주보고 있다.
또한, 제2 스틱형 에어셀(40)는 4개의 나란한 제1 내지 제4 파트(40a, 40b, 40f, 40e)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 4파트는 포장지 용지(50)의 외부로 돌출되어 하부 포장지(200)의 홈(220)에 끼워진다.
제1 공기 구멍(20)은 3개의 파트(20a, 20b, 20c)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 타원형 형태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마찬가지로, 제3 스틱형 에어셀(231)도 5개의 제1 내지 제5 파트(231a, 231b, 231f, 231g, 231h)로 분리되고, 제4 스틱형 에어셀(232)은 4개의 제1 내지 제4 파트(232a, 232b, 232f, 232g)로 분리되어 있다.
제3 스틱형 에어셀(231)에서 제1 내지 제3 파트(231a, 231b, 231f)는 나란한 형태로 원추형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제4 및 제5 파트(231g, 231h)는 서로 동일한 사이즈이면서 마주 보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원추형 방향(원추의 꼭지점으로 향하는 방향)에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하였다.
제1 내지 제3 파트(231a, 231b, 231f)는 서로 나란한 방향이나, 제4 파트 및 제5 파트 (231g, 231h)는 서로 경사진 형태로 마주보고 있다.
또한, 제2 스틱형 에어셀(232)는 4개의 나란한 제1 내지 제4 파트(232a, 232b, 232f, 232g)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공기 구멍(233)은 3개의 파트(233a, 233b, 233c)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 타원형 형태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상부용 포장지 200: 하부용 포장지
10, 40: 스틱형 에어셀 20: 공기 구멍
230: 홈

Claims (4)

  1. 상부가 잘린 원추형 형태의 상부 포장지(100); 및
    상부 포장지의 하부에서 상부 포장지(100)와 함께 과일을 포장하기 위한 상부가 잘린 원추형 형태의 하부 포장지(200)를 포함하고,
    상부 포장지(100)은 포장 용지(50), 상기 포장 용지(50)에 설치된 제1 및 제2 스틱형 에어셀(10, 40)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틱형 에어셀(10, 40) 사이의 제1 공기 구멍(20)을 포함하고,
    하부 포장지(200)은 포장 용지(250), 상기 포장 용지(250)에 설치된 제3 및 제4 스틱형 에어셀(231, 232) 및 상기 제3 및 제4 스틱형 에어셀(231, 232) 사이의 제2 공기 구멍(233) 및 홈(220)을 포함하고,
    제3 스틱형 에어셀(231)이 제4 스틱형 에어셀(232)에 비하여 원추형 꼭지점을 향해 보다 더 진행되어 있고,
    상기 제2 스틱형 에어셀(40)은 포장 용지(50)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포장지(200)의 홈(220)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구멍(20)은 타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스틱형 에어셀(10, 40)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3개의 파트(10a, 10b, 10c; 40a, 40b, 40c)로 나뉘어 지고,
    상기 제1 공기 구멍(20)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파트(20a, 20b)로 나뉘어 지며,
    상기 제3 및 제4 스틱형 에어셀(231, 232)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3개의 파트(231a, 231b, 231c; 232a, 232b, 232c)로 나뉘어 지고,
    상기 제2 공기 구멍(233)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파트(232a, 232b)로 나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스틱형 에어셀(10) 및 제2 스틱형 에어셀(40)은 각각 4개의 제1 내지 제4 파트(10a, 10b, 10d, 10e; 40a, 40b, 40d, 40e)로 분리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파트(10a, 10b; 40a, 40b)는 나란한 방향이나 제3 파트 및 제4 파트(10d, 10e; 40d, 40e)는 서로 마주 보는 형태로 상기 제1 및 제2 파트(10a, 10b; 40a, 40b)에 대해서는 비스듬하고,
    상기 제4 파트(10e; 40e)가 상기 제3 파트(10d; 40d)에 비하여 길이가 길며,
    제1 공기 구멍(20)은 타원형 형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파트(20a, 20b)로 분리되고,
    제3 스틱형 에어셀(231) 및 제4 스틱형 에어셀(232)은 각각 4개의 제1 내지 제4 파트(231a, 231b, 231d, 231e; 232a, 232b, 232d, 232e)로 분리되고,
    제1 및 제2 파트(231a, 231b; 232a, 232b)는 나란한 방향이나 제3 파트 및 제4 파트(231d, 231e; 232d, 232e)는 서로 마주 보는 형태로 상기 제1 및 제2 파트(231a, 231b; 232a, 232b)에 대해서는 비스듬하고,
    상기 제4 파트(231e; 232e)가 상기 제3 파트(231d; 231d)에 비하여 길이가 길며,
    제2 공기 구멍(233)은 타원형 형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파트(233a, 233b)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스틱형 에어셀(10)은 5개의 제1 내지 제5 파트(10a, 10b, 10f, 10g, 10h)로 분리되고, 제2 스틱형 에어셀(40)은 4개의 제1 내지 제4 파트(40a, 40b, 40f, 40g)로 분리되고,
    제1 스틱형 에어셀(10)에서 제1 내지 제3 파트(10a, 10b, 10f)는 원추형 상부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진행하고 제4 및 제5 파트(10g, 10h)는 서로 동일한 사이즈이면서 마주 보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3 파트(10a, 10b, 10f)에 대하여 일정한 각으로 기울어져 있고,
    제2 스틱형 에어셀(40)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파트(40a, 40b, 40f, 40e)는 원추형 상부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 공기 구멍(20)은 타원형의 3개의 파트(20a, 20b, 20c)로 나뉘어지고,
    제3 스틱형 에어셀(231)은 5개의 제1 내지 제5 파트(231a, 231b, 231f, 231g, 231h)로 분리되고, 제4 스틱형 에어셀(232)은 4개의 제1 내지 제4 파트(232a, 232b, 232f, 232g)로 분리되며,
    제3 스틱형 에어셀(231)에서 제1 내지 제3 파트(231a, 231b, 231f)는 원추형 상부로 나란하게 진행하고, 제4 및 제5 파트(231g, 231h)는 서로 동일한 사이즈이면서 마주 보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내지 제3 파트(231a, 231b, 231f)에 대하여 일정한 각으로 기울어져 있고,
    제4 스틱형 에어셀(232)는 4개의 나란한 제1 내지 제4 파트(232a, 232b, 232f, 232g)로 이루어져 있고,
    제2 공기 구멍(233)은 타원형의 3개의 파트(233a, 233b, 233c)로 나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 케이스.
KR1020190074065A 2019-06-21 2019-06-21 과일 포장용 케이스 KR102027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065A KR102027173B1 (ko) 2019-06-21 2019-06-21 과일 포장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065A KR102027173B1 (ko) 2019-06-21 2019-06-21 과일 포장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173B1 true KR102027173B1 (ko) 2019-10-01

Family

ID=6820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065A KR102027173B1 (ko) 2019-06-21 2019-06-21 과일 포장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1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223Y1 (ko) * 2005-06-28 2005-09-07 윤재석 과일포장용기
KR101583465B1 (ko) * 2015-07-09 2016-01-08 대명산업(주) 공기층이 형성된 과일용 팬캡
KR200480047Y1 (ko) 2015-09-30 2016-04-06 정기영 장기 유통 및 보관이 가능한 과일포장체
WO2016077404A1 (en) * 2014-11-10 2016-05-19 Pregis Innovative Packaging Llc Inflatable packaging with apertures
KR20190000738U (ko) 2017-09-13 2019-03-22 우희섭 과일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223Y1 (ko) * 2005-06-28 2005-09-07 윤재석 과일포장용기
WO2016077404A1 (en) * 2014-11-10 2016-05-19 Pregis Innovative Packaging Llc Inflatable packaging with apertures
KR101583465B1 (ko) * 2015-07-09 2016-01-08 대명산업(주) 공기층이 형성된 과일용 팬캡
KR200480047Y1 (ko) 2015-09-30 2016-04-06 정기영 장기 유통 및 보관이 가능한 과일포장체
KR20190000738U (ko) 2017-09-13 2019-03-22 우희섭 과일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41498C (en) Container system for products, method for producing a container of bananas, and method of ventilating and storing product
US3420367A (en) Multiple container package
CN108861093A (zh) 一种防止瓶装化妆品损坏的包装盒
US3835994A (en) Cone package
KR102027173B1 (ko) 과일 포장용 케이스
IL30208A (en) Pocket packaging with reinforced rim made of plastic material only for a few fruits or similar objects
KR20170143349A (ko) 과일포장용기
US3436231A (en) Packaging of bananas for shipment and controlled ripening
CN207566070U (zh) 一种防护型竹酒包装盒
US5989606A (en) Berry pack
US3357624A (en) Pulp partition molding
KR101134298B1 (ko) 과일 포장용 수지트레이
KR102039182B1 (ko) 과일 포장용 속 케이스
CN205771078U (zh) 一种果蔬快递包装结构
US1042928A (en) Means for packing fresh pineapples.
US3650394A (en) Packaging device
US3056523A (en) Packaging
KR200437918Y1 (ko) 과일 포장용 커버
JPH0454945Y2 (ko)
KR101570521B1 (ko) 과일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
KR200395223Y1 (ko) 과일포장용기
KR200390579Y1 (ko) 과일 커버
KR101623442B1 (ko) 가압부재를 갖는 과일용 포장상자
KR101533050B1 (ko) 과일 포장구
KR200290022Y1 (ko) 과일포장용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