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166B1 - 일방 방열 구조를 가지는 축열식 뜸질기 - Google Patents

일방 방열 구조를 가지는 축열식 뜸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166B1
KR102027166B1 KR1020170166389A KR20170166389A KR102027166B1 KR 102027166 B1 KR102027166 B1 KR 102027166B1 KR 1020170166389 A KR1020170166389 A KR 1020170166389A KR 20170166389 A KR20170166389 A KR 20170166389A KR 102027166 B1 KR102027166 B1 KR 102027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storage
case
moxibustion
heat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704A (ko
Inventor
이상대
Original Assignee
이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대 filed Critical 이상대
Priority to KR1020170166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166B1/ko
Priority to PCT/KR2018/015314 priority patent/WO2019112317A1/ko
Publication of KR2019006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emperature indicator
    • A61F2007/009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emperature indicator with a thermo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7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a heat accumulator, e.g. a sand or liquid reservo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일방 방열 구조를 가지는 축열식 뜸질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 전면에 돌출 형성되며, 신체의 소정 부위에 접촉되어 국부적 온열 자극을 가하는 뜸질돌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축열재와, 상기 축열재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전기적 발열되는 히팅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뜸질돌기로 전달하기 위한 열을 축적하는 축열부; 및 상기 축열부의 열을 상기 뜸질돌기로 전달하는 방열구를 구비하고, 상기 축열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단열시키는 단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부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에 진공의 단열 공간이 구비된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축열식 뜸질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일방 방열 구조를 가지는 축열식 뜸질기 {ELECTRIC MOXIBUSTION DEVICE HAVING ONE-DIRECTION HEAT RADIATION}
본 발명은 일방 방열 구조를 가지고 인체에 국부적 온열 자극을 가하는 뜸질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국부적 온열 자극을 가하는 방식의 물리요법으로 뜸(moxa treatment)이 알려져 있다. 뜸은 혈자리 등 제한된 국소 부위에 온열 자극을 가함으로써, 체표 내 심층 부위나 내부 장기에까지 열 전달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각종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에 효과를 보이고 있다. 민간요법이나 물리치료에서 널리 활용되는 찜질요법의 경우, 표피의 넓은 면적에 대해 고르게 열을 전달하여 혈액 순환이나 근육의 이완을 보조한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뜸과는 구별된다. 특히, 범용적인 찜질요법은 표피나 피하조직의 온도를 일시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오히려 내부의 심층 부위나 장기의 온도는 자율신경계의 작용에 의해 저하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방 시술법에서 행해지는 뜸은 약물을 체표에서 연소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약물이 연소되면서 국소 부위에 온열 자극을 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약물을 태워야 하기 때문에 재(ash)의 발생과 처리, 연소로 인한 냄새, 장소나 시간의 제약 등 뜸 시술에 많은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679747호(이하, '747 특허)를 통해 축열 방식의 뜸질기를 기 출원한 바 있다. '747 특허의 뜸질기는 약물을 태우는 전형적인 방식에서 탈피하여, 축열된 열이 국소 부위에서 제한적 방열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사용이 좀 더 간편하고 휴대가 가능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747 특허의 뜸질기는 종래 전형적인 찜질기 등과 달리 제한된 국소 부위에서 방열이 이뤄지는 일방(一方) 방열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기기의 전체 외표면을 통해 전(全) 방위로 방열이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뜸질돌기를 통해 한쪽 방향으로만 방열이 이뤄지는 것이다. 전형적인 찜질기 등의 경우, 외표면 전체를 통해 전 방위로 방열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747 특허의 뜸질기와 구별될 수 있다.
'747 특허의 뜸질기는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738958호(이하, '958 특허)를 통해 좀 더 개선 및 구체화된 바 있다. '958 특허의 뜸질기는 상품화 및 제작을 위해 '747 특허 뜸질기의 각 구성부품 등을 보다 구체화시키고, 방열구의 개폐 조절을 위한 기술구성을 좀 더 개선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79747호(2016년 11월 21일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1738958호(2017년 5월 17일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축열 방식의 뜸질기를 보다 개선한 것으로, 일방 방열 구조를 가지는 축열식 뜸질기의 단열 구조 개선을 통해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고, 온도 제어 방식의 개선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축열식 뜸질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 전면에 돌출 형성되며, 신체의 소정 부위에 접촉되어 국부적 온열 자극을 가하는 뜸질돌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축열재와, 상기 축열재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전기적 발열되는 히팅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뜸질돌기로 전달하기 위한 열을 축적하는 축열부; 및 상기 축열부의 열을 상기 뜸질돌기로 전달하는 방열구를 구비하고, 상기 축열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단열시키는 단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부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에 진공의 단열 공간이 구비된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축열식 뜸질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축열식 뜸질기는 단열하우징을 포함하는 단열부를 통해 축열부에 대한 단열 성능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열 성능의 개선은 축열식 뜸질기의 사용 시간을 늘리거나, 기기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단열하우징이 축열부 후방 부위를 단열시킴으로써, 후면케이스의 과열이 좀 더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상의 편의를 기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사용 시간의 증가, 기기의 소형화, 사용상의 편의 증진 등은 일방 방열 방식 또는 국부 방열 방식을 전제로, 축열부에 대한 단열 성능을 개선함에 따라 얻어지는 기술적 효과들로, 전(全) 방위로 방열이 이뤄지는 전형적인 찜질기 등에서는 그 적용이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축열식 뜸질기는 기존의 바이메탈이 아닌 온도센서에 의한 온도 제어 방식을 취하고 있다. 제어부는 기 설정된 온도범위에 따라 히팅코일로의 전원 공급 시간을 제어하며, 이와 같은 전원 공급은 충전단자로 전원이 연결되는 시점에서 1회에 한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축열식 뜸질기는 제어로직의 단순화를 통해 오작동이 최소화되는 한편, 종래 바이메탈 방식과 대비하여 보다 정확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시점의 온도에 즉시 대응하여 재가열 및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등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뜸질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축열식 뜸질기에서 케이스를 제거한 내부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축열재, 단열하우징 및 후면케이스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3에 도시된 단열하우징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메인브라켓 및 방열량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후면케이스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뜸질기(1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축열식 뜸질기(100)는 케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축열식 뜸질기(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 내부에는 소정의 장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전면케이스(111) 및 후면케이스(112)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케이스(111) 및 후면케이스(112)는 상호 조립되어 하나의 폐쇄된 내부 장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면케이스(111) 및 후면케이스(112)의 외형은 각각 반구형 또는 이와 유사한 완만한 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다만, 케이스(110) 외형이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11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소정의 단열 기능을 가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축열식 뜸질기(100)는 후술할 뜸질돌기(120)를 통한 국부적 방열을 의도하며, 그 외 다른 부위에서의 방열은 가급적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케이스(110)는 금속 등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의 사용이 바람직하지 않으며, 예컨대, 소정의 단열 기능을 가지고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축열식 뜸질기(100)는 뜸질돌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뜸질돌기(120)는 전면케이스(111) 중앙으로 노출되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뜸질돌기(120)는 신체의 소정 부위에 접촉 가압되어 해당 부위에 국부적 온열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뜸질돌기(120)는 체표의 넓은 면적에 열을 전달하기보다는 혈자리 등 국소 부위에 온열 자극을 가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적절히 제한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뜸질돌기(120)는 외경이 3-5cm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뜸질돌기(120)는 반구형 또는 이와 유사한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뜸질돌기(120)가 혈자리 등 국소 부위를 소정 정도 가압하면서 온열 자극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경우 뜸질돌기(120)를 통한 혈자리 등의 지압 효과와 함께, 뜸질돌기(120)가 뜸질 부위에 소정 정도 파묻힌 형태로 열을 전달하여 불필요한 외부 방열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뜸질돌기(120)는 소정의 열 전달이 가능한 것이면 그 재질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뜸질돌기(120)는 옥, 게르마늄석, 신기석, 대리석, 금, 은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축열식 뜸질기(100)는 충전단자(13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단자(130)는 외부 전원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케이스(110) 일측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충전단자(130)는 전면케이스(111)와 후면케이스(112)의 경계선 일측에 배치되고 있다. 후술할 히팅코일 등은 충전단자(130)에 연결된 외부 전원으로부터 축열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축열식 뜸질기(100)에서 케이스(110)를 제거한 내부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축열식 뜸질기(100)는 축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축열부(140)는 뜸질돌기(120)로 제공하기 위한 열을 축적하기 위한 것으로, 축열재(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축열재(141)는 소정의 축열(蓄熱)이 가능한 재질이면 무방하며, 예컨대, 돌(stone), 황토석, 고령토, 맥반석, 무쇠, 세라믹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축열재(141)는 소정 두께를 가진 원판형 또는 원통형으로 그 형상이 예시되고 있으나, 반드시 예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축열재(141)는 평면 형상이 타원형, 다각형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축열부(140)는 축열재(141)에 설치되는 히팅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히팅코일은 충전단자(130)에 전기적 연결되어 충전단자(130)로 연결된 외부 전원에 의해 발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히팅코일은 뜸질에 필요한 열을 축열재(141)에 축적시킬 수 있다.
히팅코일은 축열재(141) 내부에 매설되거나, 축열재(141) 일면의 홈을 통해 축열재(141)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축열재(141) 후면에 홈이 형성되고, 이에 히팅코일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축열재(141) 후면에는 커버(142)가 설치될 수 있다. 커버(142)는 축열재(141)와 동일한 재질로 이뤄져 축열재(141)의 일부를 형성하고, 히팅코일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축열식 뜸질기(100)는 단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부(150)는 축열부(140)의 표면을 외부로부터 대부분 단열시시키고, 단열되지 않은 뜸질돌기(120)로만 국부적 방열이 이뤄지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축열식 뜸질기(100)는 방열 부위를 뜸질돌기(120)로 제한하여 뜸 요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으로, 비교적 작은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바, 이와 같은 단열부(150)의 구조 및 기능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축열식 뜸질기(100)는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738958호(이하, '958 특허) 등과 비교하여 단열구조 및 성능을 상당 부분 개선한 것임을 알려둔다.
구체적으로, 단열부(150)는 축열재(141) 전면에 설치되는 단열커버(15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커버(151)는 축열재(141) 전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 방열구(151a)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단열커버(151)는 중앙에 방열구(151a)를 구비하는 원판형 또는 원형 도넛 형태로 예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단열커버(151)는 축열재(141)의 열이 방열구(151a)를 통해 제한적 방열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단열커버(151)는 중앙의 방열구(151a)를 통해 제한적으로 축열재(141)의 열이 전방의 뜸질돌기(1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축열재(141) 전면에서 방열구(151a)를 제외한 다른 부위로의 열 전달은 단열커버(151)에 의해 소정 정도 차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단열커버(151)는 세라믹 보드, 석고 등의 단열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단열커버(151)는 내부에 단열 공간을 구비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단열커버(151) 내부의 단열 공간은 진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열커버(151)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열 구조는 관련 업계에서 통상 '진공 스텐'으로 지칭되고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 단열커버(151)의 재질은 반드시 스테인리스 스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진공의 단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예컨대, 단열커버(151)는 스틸, 탄소섬유 등을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열부(150)는 축열재(141)의 후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열하우징(152)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하우징(152)은 축열재(141)의 후면 및 측면을 외부로부터 단열시킬 수 있다. 즉, 축열재(141)는 전면이 전술한 단열커버(151)에 의해 단열되고, 후면 및 측면이 단열하우징(152)에 의해 단열되는 것이다. 단열커버(151) 및 단열하우징(152)은 내부에 축열재(141)가 수용되는 하나의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단열공간 내에서 축적된 축열재(141)의 열은 방열구(151a)를 통해서만 국부적으로 외부 방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열하우징(152)는 내부에 단열 공간을 구비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열하우징(152) 내부의 단열 공간은 진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단열하우징(152)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진공 스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단열커버(151)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다.
상기와 같이 진공 스텐으로 이루어진 단열커버(151)나 단열하우징(152)는 통상적인 단일 벽 구조의 단열재에 비해 단열 성능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단열커버(151) 및 단열하우징(152)은 축열재(141) 측면 및 후방 부위로의 열 전달을 최소화하며, 이는 결국 불필요한 방열을 줄여 축열식 뜸질기(100)의 사용 시간을 늘리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측면에서 동일한 열량이나 사용 시간 대비 축열식 뜸질기(10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열하우징(152)은 축열재(141)로 인해 후면케이스(112)가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기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축열식 뜸질기(100)는 전면케이스(111) 중앙에 뜸질돌기(120)가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후면케이스(112)를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축열재(141) 후방 부위로의 충분한 단열 성능이 확보되지 않으면, 후방케이스(110)가 뜨거워져 화상 등 안전사고를 야기하거나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축열식 뜸질기(100)는 축열재(141)의 후방 부위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단열 성능이 우수한 단열하우징(152)을 사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나 사용상의 불편함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후면케이스(112)로의 열 전달을 보다 방지하기 위해, 단열하우징(152)은 외측 후면이 후면케이스(112)의 내측 전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는 단열하우징(152)과 후면케이스(112) 간에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후면케이스(112)의 표면온도가 쉽게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단열하우징(152) 외측 후면은 전술한 내측 전면(152a)의 반대측 일면으로, 후면케이스(112)를 향해 배치된 면을 지칭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축열재(141), 단열하우징(152) 및 후면케이스(112)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열하우징(152)은 후면케이스(112) 내에 조립된 상태에서 외측 후면(152c)이 후면케이스(112)의 내측 전면(112c)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구조를 가진다. 이는 단열하우징(152)과 후면케이스(112)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후면케이스(112)로 축열재(141)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단열하우징(152)의 장착 배치를 위해, 필요에 따라 고정클립(153)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153)은 소정 두께의 금속판재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 형성되어, 단열하우징(152)의 후방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고정클립(153)의 양 단은 후술할 메인브라켓(16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클립(153)은 단열하우징(152)이 전방의 메인브라켓(160) 측에 장착 고정되도록 하여, 외측 후면(152c)이 후면케이스(112)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게 한다. 고정클립(153)은 복수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고정클립(153)이 대략 십(十)자 형태로 배치되어 단열하우징(152)을 장착 고정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3a는 도 3에 도시된 단열하우징(152)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단열하우징(252)은 축열재(141)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을 감싸는 단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술한 단열커버(151)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변형예의 단열하우징(252)은 중앙에 뜸질돌기(120)에 대응되는 중공을 가진 전면부와, 전술한 실시예의 단열하우징(152)과 유사한 형태의 후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단열하우징(252)은 전면부와 후면부 내부에 축열재(141)를 수납하는 공간을 가지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단열하우징(252)의 전면부와 후면부 결합부위 일측에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온도센서또는 온도퓨즈 등 온도제어를 위한 부재를 설치 할 수 있게 한다. 본 변형예의 단열하우징(252)은 전술한 실시예의 단열커버(151)를 단열하우징(252)의 전면부를 통해 대체한 것으로, 축열재(141)에 대한 단열을 더욱 강화 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축열식 뜸질기(100)는 메인브라켓(160) 및 방열량조절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브라켓(160)은 단열커버(151) 전방에 배치되어 단열하우징(152) 등 케이스(110) 내부 부품을 위한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메인브라켓(160)은 소정의 결합수단을 통해 케이스(110) 내부에 고정 지지될 수 있으며, 중앙에는 방열구(151a)에 대응되는 센터홀(161)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구(151a)의 열은 센터홀(161)을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노출된 뜸질돌기(120)로 전달될 수 있다.
방열량조절부(170)는 센터홀(161)을 통한 열 전달량을 가변시키기 위한 것으로, 뜸질돌기(120)는 이에 의해 온도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방열량조절부(170)는 센터홀(161)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뜸질돌기(120)로의 열 전달량을 가변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방열량조절부(170)는 뜸질돌기(120)로의 열 전달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반드시 예시된 바와 같이 센터홀(161)의 개도를 조절하는 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679747호(이하, '747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방열량조절부(170)는 열 전도율이 상이한 복수의 블록(전열블록, 단열블록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센터홀(161)의 개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취할 경우에도, 기 출원한 '958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구조 등이 응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에 예시된 방열량조절부(170)의 일 구체예를 중심으로, 그 구조 및 형태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메인브라켓(160) 및 방열량조절부(17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열량조절부(170)는 메인브라켓(16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171)과, 회전링(171)의 회전 위치에 따라 센터홀(161)의 개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베인(172)을 구비할 수 있다. 참고로, 이와 같은 방열량조절부(170)의 구조는 기 출원한 '958 특허에 개시된 바와 유사한 것임을 알려둔다.
회전링(171)은 메인브라켓(160) 전면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을 축으로 메인브라켓(160)에 대해 소정 각도 범위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회전링(171) 일측에는 회전 반경을 따라 원호(arc) 형태로 연장된 슬릿(171b)이 마련될 수 있으며, 메인브라켓(160) 전면에는 슬릿(171b)에 체결되는 안내돌기(16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슬릿(171b) 및 안내돌기(162)는 복수 세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2개 세트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한 쌍의 베인(172)은 회전링(171)의 회전 위치에 따라 센터홀(161)을 차폐시키거나 센터홀(161)을 일정량 개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각 베인(172)은 일측이 메인브라켓(160) 전면에 마련된 힌지(163)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이와 이격된 타측이 회전링(171)에 마련된 견인돌기(171c)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베인(172)에는 힌지(163)와의 결합을 위한 힌지홀(172a) 및, 견인돌기(171c)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172b)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베인(172)이 한 쌍으로 예시되고 있는바, 메인브라켓(160) 및 회전링(171)에 마련되는 힌지(163) 및 견인돌기(171c)는 각 베인(172)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한 쌍의 베인(172)은 레버부(171a)에 가해지는 조작력에 의해 회전링(171)이 회전되면, 각 견인돌기(171c)를 통해 회전 조작력을 전달받고, 각 힌지(163)를 중심으로 소정 정도 회동되어, 센터홀(161)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축열식 뜸질기(100)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기판(18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80)은 케이스(110) 내부의 단열부(150) 외측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즉, 기판(180)은 단열부(150) 외측과 케이스(110) 내측 간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180)을 단열부(150)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축열재(141)의 열이 기판(180)에 전달되는 것을 줄이기 위함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기판(180)은 케이스(110) 내부에서 단열부(150)를 중심으로 충전단자(130) 반대측에 배치되고 있다.
필요에 따라, 케이스(110) 내부에는 기판(180)의 설치공간을 구획하는 제1격벽(113a)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벽(113a)은 기판(180)과 단열부(150)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단열부(150) 내 축열재(141)로부터 기판(180)으로의 열 전달을 소정 정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충전단자(130)로의 열 전달을 저감시키기 위해 제2격벽(113b)이 구비될 수 있다. 제2격벽(113b)는 전술한 제1격벽(113a)과 유사하게 충전단자(130) 및 단열부(150) 사이로 연장되어, 케이스(110) 내부에서 충전단자(130)의 설치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후면케이스(112)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후면케이스(112)에는 하나 이상의 통풍구(112a, 112b)가 형성될 수 있다. 통풍구(112a, 112b)는 케이스(110) 내부공간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켜, 케이스(110)나 케이스(110) 내부공간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통풍구(112a, 112b)는 충전단자(130)나 기판(18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필요에 따라, 통풍구(112a, 112b)는 충전단자(130) 또는 기판(180) 위치와 무관하게 후면케이스(112)의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통풍구(112a, 112b)는 제1통풍구(112a) 및 제2통풍구(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통풍구(112a)는 기판(180)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후면케이스(112)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통풍구(112a)는 내부 열기의 배출 및 외기의 유입을 통해, 케이스(110) 내부 열로 인한 기판(180) 온도 상승을 소정 정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통풍구(112b)는 충전단자(130)에 대응되는 것으로, 충전단자(130)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후면케이스(112)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통풍구(112b)는 케이스(110) 내부 열로 인한 충전단자(130) 부위의 온도 상승을 소정 정도 저감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기판(180) 및 충전단자(130)가 케이스(110) 내부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통풍구(112a, 112b)는 후면케이스(112) 좌우측에 형성되고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축열식 뜸질기(100)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판(180)에는 축열식 뜸질기(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센서는 히팅코일, 축열재(141), 방열구(151a), 케이스(110) 내부 및 뜸질돌기(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소에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온도센서는 단열부(150)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히팅코일의 온도는 축열재(141)에 축적된 열이나 온도가 반영되지 않을 수 있고, 축열재(141)나 방열구(151a)는 고온 환경으로 인해 비교적 고가의 온도센서가 요구될 수 있으며, 뜸질돌기(120)의 온도는 방열량조절부(170)의 조작에 따라 가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어부는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에 따라 히팅코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축열재(141) 내부 온도가 적절한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에 따라 히팅코일로의 전원 공급 시간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측정된 온도값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만큼 히팅코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예컨대,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이 기 설정된 제1온도범위 내에 있을 경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제1시간동안 히팅코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이 기 설정된 제2온도범위 내에 있을 경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제2시간동안 히팅코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제1온도범위는 제2온도범위보다 낮은 온도 범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의 제1시간은 제2시간보다 긴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의 제1, 2온도범위는 보다 다수의 온도범위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제어부는 제1 내지 n온도범위에 따라 대응되는 제1 내지 n시간동안 히팅코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온도센서가 뜸질돌기(120)의 온도를 측정한다고 가정하면, 제어부는 측정된 온도값이 30도 미만(제1온도범위)일 경우, 히팅코일로 5분(제1시간)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측정된 온도값이 30-40도(제2온도범위)일 경우, 히팅코일로 4분(제2시간)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온도범위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만큼 전원을 공급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충전단자(130)에 전원이 연결되면, 1회에 한해 상기와 같은 전원의 공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센서 또한 충전단자(130) 연결시에 1회만 동작할 수 있다. 즉, 충전단자(130)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면, 온도센서가 해당 시점의 축열재(141) 등의 온도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값에 따라 제어부가 기 설정된 시간만큼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온도 제어 방식은 온도센서를 사용하여 기존의 바이메탈 방식에 비해 보다 정교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면서도, 바이메탈 온도제어 방식의 불가피한 문제점인 재사용을 위해 기다려야 하는 루즈 타임이 없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대로 사용시점의 온도에 즉시 대응하여 재가열이 되는 장점이 있으며, 제어로직을 단순화시켜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과열로 인한 기기의 손상이나 화상 등 안전사고의 위험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 즉, 종래 바이메탈 방식의 경우, 충전단자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어 있으면, 온도에 따라 지속적으로 전원 공급 및 차단이 반복되게 된다. 따라서 바이메탈에 불량이 발생된 경우, 쉽게 과열이 발생될 수 있는 환경에 있다. 특히,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기기를 충전 상태로 방치해두는 경우, 과열로 인한 손상이나 화재 발생의 우려도 있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충전단자(130)가 연결되는 시점에서 1회에 한해 기 설정된 시간 동안만 전원이 공급되므로, 과열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충전 상태로 방치해두는 경우에도, 초기 1회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이후 전원 공급이 이뤄지지 않으므로, 사용상 안전을 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축열식 뜸질기(100)는 진공스텐을 포함하는 단열부(150)를 통해 축열부(140)에 대한 단열 성능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열 성능의 개선은 축열식 뜸질기(100)의 사용 시간을 늘리거나, 기기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단열하우징(152)이 축열부(140) 후방 부위를 단열시킴으로써, 후면케이스(112)의 과열이 좀 더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상의 편의를 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축열식 뜸질기(100)는 기존의 바이메탈이 아닌 온도센서에 기한 온도 제어 방식을 취하고 있다. 제어부는 기 설정된 온도범위에 따라 히팅코일로의 전원 공급 시간을 제어하며, 이와 같은 전원 공급은 충전단자(130)로 전원이 연결되는 시점에서 1회에 한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축열식 뜸질기(100)는 제어로직의 단순화를 통해 오작동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과열로 인한 안전상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축열식 뜸질기 110: 케이스
120: 뜸질돌기 130: 충전단자
140: 축열부 150: 단열부
160: 메인브라켓 170: 방열량조절부
180: 기판

Claims (8)

  1.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 전면에 돌출 형성되며, 신체의 소정 부위에 접촉되어 국부적 온열 자극을 가하는 뜸질돌기(120);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는 축열재(141)와, 상기 축열재(141)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전기적 발열되는 히팅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뜸질돌기(120)로 전달하기 위한 열을 축적하는 축열부(140); 상기 축열부(140)의 열을 상기 뜸질돌기(120)로 전달하는 방열구(151a)를 구비하고, 상기 축열부(140)를 내부에 수용하여 단열시키는 단열부(150);
    상기 케이스(110) 내부, 상기 뜸질돌기(120), 상기 축열부(140), 상기 방열구(151a) 및 상기 단열부(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소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값에 기반하여 상기 히팅코일로의 전원 공급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부(15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에 진공의 단열 공간이 구비된 이중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온도 값이 측정되면, 1회에 한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히팅코일로 전원을 공급하되,
    측정된 온도값이 기 설정된 제1온도범위 이내일 경우, 상기 히팅코일에 기 설정된 제1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고,
    측정된 온도값이 기 설정된 제2온도범위 이내일 경우, 상기 히팅코일에 기 설정된 제2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2온도범위는 상기 제1온도범위보다 높은 범위로 형성되고, 상기 제2시간은 상기 제1시간보다 짧은 시간으로 형성된, 축열식 뜸질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150)는,
    상기 방열구(151a)를 구비하고 상기 축열부(140) 전면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단열커버(151); 및
    상기 축열부(140)의 측면 및 후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단열커버(151)와 함께 상기 축열부(140)가 수용되는 소정의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단열하우징(152);을 포함하되,
    상기 단열커버(151) 및 상기 단열하우징(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내부에 진공의 단열 공간이 구비된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축열식 뜸질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열하우징(152)은,
    외측 후면(152c)이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 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110)는,
    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구(112a, 112b)가 형성된, 축열식 뜸질기.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팅코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180); 및
    상기 히팅코일로의 전원 공급을 위해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것으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는 충전단자(1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기판(180) 및 상기 충전단자(130)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후면 일측에 통풍구(112a, 112b)가 형성되는, 축열식 뜸질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팅코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180); 및
    상기 히팅코일로의 전원 공급을 위해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것으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는 충전단자(1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서 상기 기판(180) 또는 상기 충전단자(130)의 설치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113a, 113b)를 구비하는, 축열식 뜸질기.
KR1020170166389A 2017-12-06 2017-12-06 일방 방열 구조를 가지는 축열식 뜸질기 KR102027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389A KR102027166B1 (ko) 2017-12-06 2017-12-06 일방 방열 구조를 가지는 축열식 뜸질기
PCT/KR2018/015314 WO2019112317A1 (ko) 2017-12-06 2018-12-05 일방 방열 구조를 가지는 축열식 뜸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389A KR102027166B1 (ko) 2017-12-06 2017-12-06 일방 방열 구조를 가지는 축열식 뜸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04A KR20190066704A (ko) 2019-06-14
KR102027166B1 true KR102027166B1 (ko) 2019-11-14

Family

ID=6675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389A KR102027166B1 (ko) 2017-12-06 2017-12-06 일방 방열 구조를 가지는 축열식 뜸질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7166B1 (ko)
WO (1) WO201911231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755A (ja) * 2003-10-03 2005-04-28 Shinko Denshi Kk 筋肉疲労解消用加熱・冷却装置
KR200417049Y1 (ko) * 2006-03-08 2006-05-23 김민호 음이온 원적외선 방사 온돌 찜질기
KR101679747B1 (ko) * 2015-03-10 2016-11-25 이상대 뜸질기
KR101738958B1 (ko) * 2015-12-11 2017-05-23 이상대 온열 뜸질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554U (ko) * 2007-07-16 2009-01-21 대일의료기(주) 휴대용 축열 찜질장치
KR200458970Y1 (ko) * 2010-08-02 2012-03-21 유유자 온열 찜질기
KR20140088478A (ko) * 2013-01-02 2014-07-10 이준희 온열 찜질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755A (ja) * 2003-10-03 2005-04-28 Shinko Denshi Kk 筋肉疲労解消用加熱・冷却装置
KR200417049Y1 (ko) * 2006-03-08 2006-05-23 김민호 음이온 원적외선 방사 온돌 찜질기
KR101679747B1 (ko) * 2015-03-10 2016-11-25 이상대 뜸질기
KR101738958B1 (ko) * 2015-12-11 2017-05-23 이상대 온열 뜸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2317A1 (ko) 2019-06-13
KR20190066704A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6401B2 (en) Moxibustion device
KR101832907B1 (ko)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온열장치
KR102027166B1 (ko) 일방 방열 구조를 가지는 축열식 뜸질기
KR20120054816A (ko) 온열치료기
KR100874821B1 (ko) 쑥뜸기
KR101679747B1 (ko) 뜸질기
KR200426372Y1 (ko) 외부에서 온도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온열기
CN206453999U (zh) 一种智能艾灸器
KR20140129851A (ko) 온열 및 부항 치료 겸용 쑥뜸기
KR200466006Y1 (ko) 휴대용 전기 찜질기
CN201342074Y (zh) 足部养生桶
KR101738958B1 (ko) 온열 뜸질기
KR200267471Y1 (ko) 원적외선 방사형 헤어 아이론
KR200394534Y1 (ko) 헤어 아이론의 열판 보호장치
KR100564003B1 (ko) 쑥뜸용 온구기
CN220385635U (zh) 储能式宽频电磁波谱治疗器
JP4453961B2 (ja) 赤外線治療器
KR102357146B1 (ko) 찜질 기능을 갖는 복부 지방제거용 지압마사지기
KR100424775B1 (ko) 슬라이드식 온열장치와 그 사용방법
KR200217812Y1 (ko) 온열치료기
KR20090107811A (ko) 휴대용 습식 뜸질장치
KR20230022720A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열식 찜질기
JP3584231B2 (ja) 面状ヒーター及び温熱健康器
CN205849784U (zh) 一种电加热艾灸装置
KR200145928Y1 (ko) 보온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