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165B1 - 착신전환 중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착신전환 중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165B1
KR102027165B1 KR1020130124802A KR20130124802A KR102027165B1 KR 102027165 B1 KR102027165 B1 KR 102027165B1 KR 1020130124802 A KR1020130124802 A KR 1020130124802A KR 20130124802 A KR20130124802 A KR 20130124802A KR 102027165 B1 KR102027165 B1 KR 102027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 forwarding
request
terminal
forw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558A (ko
Inventor
장재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1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착신전환 중계 장치는,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는 호 세션 제어부, 및 단말기의 착신 전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호 세션 제어부에 호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호 요청된 착신번호의 착신 전환 신청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호 세션 제어부에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호 세션 제어부는, 상기 착신번호가 착신 전환 신청된 경우, 상기 호 요청을 착신전환 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측으로 직접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신전환 중계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ENGAGING CALL FORWARDING SERVICE}
본 발명은 착신전환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VoLTE(Voice over LTE) 시스템 상에서 착신전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착신전환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착신전환 서비스는 특정 단말기에 걸려오는 전화를 사용자가 희망하는 다른 단말기로 자동 연결시켜주는 서비스로써, 현재 상용화 되어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에 기반한 음성통화 서비스인 VoLTE(Voice over LTE)의 경우에도 착신전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도 1은 종래의 VoLTE에서 착신전환 시 호 처리 절차를 간략히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는 발신 측(100), 착신전환 요청 측(200), 착신전환 수신 측(300)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는 각각, 단말기(110, 210, 310), 호 처리 절차에 따른 메시지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120, 220, 320), 착신전환에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TAS(Telephony Application Server: 130, 23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신 단말기(110)가 착신번호를 입력하여 호 연결을 요청하면 INVITE 메시지는 CSCF(120)를 거쳐 착신전환 요청 측(200)으로 전달된다(S11). 착신전환 요청 측 CSCF(220)에서 INVITE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전환 요청 측 TAS(230)에 호 연결이 요청된 착신번호가 착신전환 신청이 되어 있는 번호인지 확인한다(S12).
착신전환 신청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발신 측(100)으로 180 RINGING 메시지를 전송하고(S13), 이 후 사용자가 호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200 OK 메시지를 발신 측(100)으로 전송하고(S14), 발신 측(100)에서 ACK 메시지를 착신전환 요청 측(200)으로 전송함으로써, 호 연결이 완료 된다(S15).
이와 달리, 착신전환 요청 측 TAS(230)에서 확인 결과 호 연결이 요청된 착신번호가 착신전환 신청이 되어 있는 경우, 전송된 호 요청을 착신전환 된 번호로 재송신 중임을 알리기 위한 181 FORWARDED 메시지를 발신 측(100)에 전송하고(S16), INVITE 메시지를 착신전환 수신 측 CSCF(320)를 통해 착신전환 수신 단말기(310)로 전송한다(S17).
이 후 착신전환 수신 측(300)에서 전송된 180 RINGING 메시지는 착신전환 요청 측(200)을 거쳐 발신 측(100)으로 전송되고(S18, S19), 착신전환 수신 단말기(310)의 사용자가 호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200 OK 메시지를 착신전환 요청 측(200)을 거쳐 발신 측(100)으로 전송한다(S20, S21). 발신 측(100)에서 ACK 메시지가 착신전환 요청 측(200)을 거쳐 착신전환 수신 측(300)으로 전송됨으로써 호 연결이 완료되어 음성통화를 실시할 수 있다(S22, S23).
종래의 호 처리 절차에서는 발신 단말기(110)에서 전송한 INVITE 메시지를 비롯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가 착신전환 요청 측 CSCF(220) 및 TAS(230)를 거쳐 착신전환 수신 측의 CSCF(320) 및 TAS(330)로 전송되므로, 복잡한 호 처리 절차를 거쳐야만 한다.
또한, 착신전환 요청 측(200)을 거치지 않고, 착신전환 수신 측(300)으로 직접 SIP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현하는 경우, 착신전환 요청 측 TAS(230)에서 통화 연결에 대한 과금정보를 포함하는 CDR(Charging Data Record)을 생성할 수 없게 된다.
현재의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착신전환 서비스는 착신전환 통화의 시간을 월 단위 또는 년 단위에서 일정 시간 내로 제한하여 서비스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착신전환 요청 측의 CDR을 생성하는 것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착신전환 요청 측 TAS(230)로 호가 거치지 않는 경우 착신전환 요청 CDR을 생성하지 못해, 착신전환 서비스 사용 도수를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착신전환 시 종래의 호 처리 절차를 간략히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각 단말기에 대한 CDR(Charging Data Record)을 생성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전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각각의 TAS에 착신전환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호 처리 과정에서 발신 측에서 착신전환 수신 측으로 메시지가 직접 전송되도록 하여 호 처리 과정을 단순화 함과 동시에, 각 단말기에 대한 통화 연결에 대한 과금정보를 포함하는 CDR(Charging Data Record)을 생성할 수 있는 착신전환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착신전환 중계 장치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는 호 세션 제어부; 및 단말기의 착신 전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호 세션 제어부에 호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호 요청된 착신번호의 착신 전환 신청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호 세션 제어부에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호 세션 제어부는, 상기 착신번호가 착신 전환 신청된 경우, 상기 호 요청을 착신전환 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측으로 직접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전환 중계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발신 과금정보 및 상기 착신 전환이 요청된 단말기에 대한 착신 전환 요청 과금정보를 생성하는 과금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착신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고, 호 요청된 착신번호의 착신 전환 신청 여부를 TAS에 확인하는 발신 측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망내 단말기 가입자의 의 착신 전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호 요청된 착신번호의 착신 전환 신청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CSCF에 전송하는 발신 측 TAS(Telephony Application Server)를 포함하며, 상기 발신 측 CSCF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착신번호가 착신 전환 신청된 경우, 상기 호 요청을 착신 전환을 요청한 측의 CSCF로 전송하지 않고, 착신 전환을 수신하는 측의 CSCF로 직접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 측 TAS는,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과금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CDR(Charging Data Record) 및 상기 착신 전환이 요청된 단말기에 대한 과금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전환 요청 CDR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착신전환 중계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호 요청된 착신번호의 착신 전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번호가 착신 전환 신청된 경우, 상기 호 요청을 착신전환 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측으로 직접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전환 중계 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발신 과금정보 및 상기 착신 전환이 요청된 단말기에 대한 착신 전환 요청 과금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신전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각각의 TAS에 착신전환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호 처리 과정에서 발신 측에서 착신전환 수신 측으로 메시지가 직접 전송되도록 하여 호 처리 과정을 단순화 함과 동시에, 각 단말기에 대한 통화 연결에 대한 과금정보를 포함하는 CDR(Charging Data Record)을 생성할 수 있는 착신전환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착신전환 서비스 시 호처리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전환 중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전환 서비스 시 호처리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전환 중계 장치(1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전환 중계 장치(10)는 호 세션 제어부(11), 어플리케이션 서버(12), 과금정보 생성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착신전환 중계 장치(10)는 발신 단말기(110) 측에 마련되어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인입되는 호를 라우팅할 수 있다.
호 세션 제어부(11)는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전환 요청 단말기(210) 또는 착신전환 수신 단말기(310) 간에 호 처리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를 중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호 처리 과정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상에서 정의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SIP는 음성과 화상 통화 같은 멀티미디어 세션을 제어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며, 각각의 단말들이 서로를 식별하여 그 위치를 찾고, 그들 상호 간에 멀티미디어 통신 세션을 생성하거나 삭제 또는 수정하기 위한 절차를 명시한 응용 계층의 시그널링 프로토콜이다. 호 세션 제어부(11)는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호 요청을 위한 INVIT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2)는 착신전환 서비스를 포함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어플리케이션 서버(12)에서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의 예로써, 발신자표시 서비스, 발/착신 금지, 레터링 서비스를 들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2)는 착신전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12)는 착신전환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이동통신망 내의 가입자 테이블을 공유하여 착신전환 서비스를 신청한 단말기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착신전환 요청 단말기(210)의 번호와 맵핑되는 착신전환 수신 단말기(310)의 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호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12)는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호 연결이 요청된 착신번호의 착신전환 신청 여부를 확인하여, 호 세션 제어부(11)에 전송한다.
착신전환 신청이 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호 세션 제어부(11)는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착신전환 요청 단말기(210) 측을 거치지 않고 착신전환 수신 단말기(310) 측으로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이 때 착신전환 요청 측의 호 세션 제어부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거쳐 착신전환 수신 단말기(310)에 호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신전환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호 연결 시에 착신전환 요청 측의 CSCF 및 TAS를 거쳐 SIP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없이, 발신 측의 어플리케이션 서버(12)에서 착신전환 가입 여부를 확인하여 직접 착신전환 요청 측의 단말기로 SIP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호 연결에 소요되는 자원 및 시간을 감소 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망에서는 통화 기록의 정확한 확인을 위해 발신 단말기(110) 및 착신 단말기 각각에 대한 과금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착신전환 서비스 시에 모든 착신전환 통화의 시간을 월 단위 또는 년 단위에서 일정 시간 내로 제한하여 서비스하고 있는 바, 호가 연결되어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발신 단말기(110), 착신전환 요청 단말기(210) 및 착신전환 수신 단말기(310) 각각에 대한 과금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 과금정보는 CDR(Charging Data Record)로 기록되며, 매 통화에 대한 착신전환 여부를 일정한 구분자, 예를 들어 발신 CDR의 구분자 sub-service-type(3101), 착신전환 CDR의 구분자 sub-service-type(3109), 최종착신 CDR의 구분자 sub-service-type(3101)을 포함하는 바, 해당 CDR이 발신 측, 착신전환 요청 측 또는 착신전환 수신 측의 기록인 지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경우, 착신전환 중계 장치(10)에서 착신전환 요청 단말기(210) 측으로 호를 보내지 않고, 착신전환 수신 단말기(310)로 직접 호를 전송하므로, 착신전환 수신 단말기(210) 측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는 과금정보를 생성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착신전환 중계 장치(10)는 과금정보 생성부(13)에서 발신 단말기(110)에 대한 발신 과금정보 및 상기 착신전환 요청 단말기(210)에 대한 착신전환 과금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상에서 정의된 방식으로 호 처리를 수행하며, 호 처리 과정에 있어, 공지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120, 220, 320)는 각각의 세션을 개시, 종료, 수정하는 등 세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노드로써, S-CSCF(Serving-CSCF) P-CSCF(Proxy-CSCF), I-CSCF(Interrogating-CSCF)를 포함할 수 있다. P-CSCF(Proxy-CSCF)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망 내의 단말기와 IMS 시스템이 연결되는 접속 포인트로 동작하고, I-CSCF(Interrogating-CSCF)는 다른 망으로부터 SIP 메시지를 수신하는 접속 포인트로 동작하고, S-CSCF(Serving-CSCF)는 SIP 메시지를 다른 단말기 또는 다른 망으로 라우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AS(Telephony Application Server: 130, 230, 330)는 착신전환 서비스 등의 부가 서비스를 지원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TAS(130, 230, 330)는 이동통신망 내의 가입자 테이블을 공유하여 착신전환 서비스를 신청한 모든 단말기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의 호 연결 요청에 따라 발신 단말기(110)는 INVITE 메시지를 CSCF(120)에 전송한다(S110).
CSCF(120)는 호 요청된 착신번호의 착신전환 신청 여부를 발신 측 TAS(130)에 확인한다(S12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TAS(130)는 이동통신망 내 단말기 가입자의 착신 전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저장해 두고 있으므로, 착신전환이 신청 된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다(S130).
착신전환 신청 된 것으로 확인되면, 전송된 호 요청을 착신전환 된 최종착신번호로 재송신 중임을 알리기 위한 181 FORWARDED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140).
또한, INVITE 메시지를 착신전환 수신 측의 CSCF(320)로 전송한다(S150). 즉, 발신 측 TAS(130)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착신전환 여부를 확인하므로, 착신전환 요청 측의 단말기(210), CSCF(220) 및 TAS(230)에 호 요청을 전송함이 없이 직접 착신전환 수신 측(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착신전환 수신 측 CSCF(320)는 전송 받은 INVITE 메시지를 착신전환 수신 단말기(310)로 전송하고(S160), 180 RINGING 메시지가 착신전환 수신 단말기(310)로부터 착신전환 수신 측 CSCF(320), 발신 측 CSCF(120)를 거쳐 발신 단말기(110)에 전송된다(S170, S180, S190).
이 후, 착신전환 수신 단말기(310)의 사용자가 호 연결을 수락하는 경우, 200 OK 메시지를 착신전환 수신 측 CSCF(320) 및 발신 측 CSCF(120)를 거쳐 발신 단말기(110)에 전송하고(S210, S220, S230),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ACK가 발신 측 CSCF(120), 착신전환 수신 측 CSCF(320)를 거쳐 착신전환 수신 단말기(310)로 전송됨으로써(S240, S250, S260), 호 연결 세션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전환 수신 단말기(310) 간에 통화를 수행하게 되고(S270), 발신 측 TAS(130)는 발신 CDR 및 착신전환 요청 CDR을 생성하여 저장하고(S280), 착신전환 수신 측 TAS(330)는 착신전환 수신 CDR을 생성하여 저장한다(S290).CDR(Charging Data Record)은 이동통신망에서는 통화 기록의 정확한 확인을 위한 것으로, TAS에서 연결된 단말기의 CDR을 저장 및 갱신한다. CDR은 발신 단말기 번호, 착신전환 요청 단말기 번호 및/또는 착신전환 수신 단말기 번호와, 통화 시간을 포함하며, 일정한 구분자, 예를 들어 발신 CDR의 구분자 sub-service-type(3101), 착신전환 CDR의 구분자 sub-service-type(3109), 최종착신 CDR의 구분자 sub-service-type(310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호 처리 메시지는 착신전환 요청 측 CSCF(220) 및 TAS(230)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착신전환 수신 측 CSCF(320)로 전송되는 바, 착신전환 요청 측 TAS(230)에서는 착신전환 요청 CDR을 생성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발신 측 TAS(130)에서 발신 CDR 및 착신전환 요청 CDR을 함께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착신전환 서비스의 사용 도수를 추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전환 중계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착신전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착신전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TAS에 통합 가입자 테이블을 마련하여 착신전환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호 처리 과정에서 발신 측에서 착신전환 요청 측으로 호 처리 메시지가 직접 전송되도록 하여 호 처리 과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발신 측 TAS에 발신 CDR 및 착신전환 요청 CDR을 생성함으로써, 착신전환 서비스의 사용 도수를 통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착신전환 중계 장치 11: 호 세션 제어부
12: 어플리케이션 서버 13: 과금정보 생성부
110: 발신 단말기 120: 발신 측 CSCF
130: 발신 측 TAS 210: 착신전환 요청 단말기
220: 착신전환 요청 측 CSCF 230: 착신전환 요청 측 TAS
310: 착신전환 수신 단말기 320: 착신전환 수신 측 CSCF
330: 착신전환 수신 측 TAS

Claims (6)

  1. 착신전환 중계 장치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는 호 세션 제어부;
    단말기의 착신 전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호 세션 제어부에 호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호 요청된 착신번호의 착신 전환 신청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호 세션 제어부에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착신번호의 착신 전환 신청이 확인되어, 상기 호 세션 제어부가 상기 호 요청을 착신전환 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측으로 직접 전송한 경우, 상기 착신전환 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측의 과금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과금정보인,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발신 과금정보 및 상기 착신 전환이 요청된 단말기에 대한 착신 전환 요청 과금정보를 생성하는 과금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전환 중계 장치.
  2. 삭제
  3. 착신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고, 호 요청된 착신번호의 착신 전환 신청 여부를 TAS에 확인하는 발신 측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망내 단말기 가입자의 착신 전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호 요청된 착신번호의 착신 전환 신청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발신 측 CSCF에 전송하며, 상기 착신번호가 착신 전환 신청된 것으로 확인되어 상기 발신 측 CSCF가 상기 호 요청을 착신 전환 호를 수신하는 측의 CSCF로 직접 전송한 경우, 상기 착신전환 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측의 과금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과금정보인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발신 CDR(Charging Data Record) 및 상기 착신 전환이 요청된 단말기에 대한 착신 전환 요청 CDR을 저장하는 발신 측 TAS(Telephony Application Ser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4. 삭제
  5. 착신전환 중계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호 요청된 착신번호의 착신 전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착신번호가 착신 전환 신청된 경우, 상기 호 요청을 착신전환 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측으로 직접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전환 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측의 과금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과금정보인,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발신 과금정보 및 상기 착신 전환이 요청된 단말기에 대한 착신 전환 요청 과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전환 중계 방법.
  6. 삭제
KR1020130124802A 2013-10-18 2013-10-18 착신전환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027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802A KR102027165B1 (ko) 2013-10-18 2013-10-18 착신전환 중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802A KR102027165B1 (ko) 2013-10-18 2013-10-18 착신전환 중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558A KR20150045558A (ko) 2015-04-29
KR102027165B1 true KR102027165B1 (ko) 2019-11-05

Family

ID=5303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802A KR102027165B1 (ko) 2013-10-18 2013-10-18 착신전환 중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1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281B1 (ko) * 2003-09-18 2005-11-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다중 매체간의 착신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05126B1 (ko) * 2009-08-03 2016-03-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20606A (ko) * 2010-08-30 2012-03-08 주식회사 케이티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558A (ko)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04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voice and multimedia services between CSI terminal and IMS terminal
KR100886548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네트워크에서단말의 성능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2751971B1 (en) Home routing for ims roaming using vplmn anchor
KR100933121B1 (ko) Ims 도메인을 통한 실시간 서비스를 포함하는 ims 단말의 호 요청을 csi 단말이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0757144B2 (en) Session control logic with internet protocol (IP)-based routing
EP3278548B1 (en) Routing multiple numbers for one telecommunications device
EP2899937B1 (en) Qos bearer resource control method and system during access negotiation and release
CN108702363A (zh) 网络服务访问控制
EP2192742A1 (en) Local session controller, ip multimedia subsystem and session registration method
EP3420464B1 (en) Initiation of conference and transfer call i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based emergency services network
CN102158926B (zh) 媒体路径优化过程中sdp请求的处理方法及装置
KR101471046B1 (ko) 패킷 기반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KR100922953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호 변경 요청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27165B1 (ko) 착신전환 중계 장치 및 방법
JP2011049687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とそのsip信号中継方法及びsip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
CN101505509B (zh) 资源预留的实现方法以及互通网元
CN105830412B (zh) 会话发起处理
US11463485B2 (en) Method, system and entity for a media transfer session in an IMS infrastructure
CN104509082A (zh) 移动通信系统、呼叫控制装置、移动台以及移动通信方法
JP5909516B2 (ja) 通信システム、緊急通報規制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20190120951A (ko)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49587B1 (ko) 착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0581866B (zh) 文件传输方法和ip多媒体子系统ims网络终端
WO202309503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data
KR102049586B1 (ko) 착신망의 호 처리 기능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