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153B1 -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설치 방법 및 수중 고박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설치 방법 및 수중 고박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7153B1 KR102027153B1 KR1020180082831A KR20180082831A KR102027153B1 KR 102027153 B1 KR102027153 B1 KR 102027153B1 KR 1020180082831 A KR1020180082831 A KR 1020180082831A KR 20180082831 A KR20180082831 A KR 20180082831A KR 102027153 B1 KR102027153 B1 KR 1020271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derwater
- installation work
- rope
- installation
- wor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63B2021/203—Mooring cables or ropes, hawsers, or the like; Adapt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면에 부유하는 구조를 가지면서 일정 설치 수심까지 하강하도록 하여 해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필요시에는 다시 해수면으로 상승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설치 방법 및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수중에서 고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수중에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수중에서 고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의 인간의 활동 영역은 지상에 머무르고 있지만, 해양 및 우주 등으로 그 활동범위를 넓히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인구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환경오염 문제와 자원고갈 문제, 위협받는 인류의 생존과 문명의 보존을 위하여 해양 개발이 필수적으로 요청되고 있으며, 특히 우주에 비하여 개발 진행 속도가 느렸던 해양 개발이 미래생활공간의 확보와 심해자원개발 등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구 표면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광활한 바다는 인류 문명을 이어갈 수 있는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서의 가능성이 모색되고 있다.
해저에 구축 가능한 수중 주거지는, 관광 및 레저용, 대규모 인원의 주거지용, 과학 연구용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인간이 해저에서 장기간 생활하기 위한 거주시설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에 관하여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방안이 확립되지 않았다.
또한 이와 같이 구축된 거주시설에 대한 유지보수는 어떻게 할 것인지가 문제가 된다.
현재까지 제시된 방식으로는 해수면에 부유하는 형태의 건축물이거나, 해저면에 고정된 건축물 등이 제시된 바 있지만, 이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해수면에 부유하는 건축물의 경우 일종의 대형 선박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는 해저 건축물이라 볼 수 없다.
해저면에 고정된 건축물의 경우에는 이를 어떻게 설치하고, 설치된 후에는 어떻게 유지보수를 수행할 것인지가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해수면에 부유하는 구조를 가지면서 일정 설치 수심까지 하강하도록 하여 해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필요시에는 다시 해수면으로 상승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설치 방법 및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수중에서 고박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치작업용 풀리 및 고박용 로프 결합구가 마련된 복수의 고박 장치를 설치 목표 지점을 중심으로 해수면 아래의 복수의 고정지점에 설치하는 단계 ; 해수면에 부유 가능하며 외부로부터 밀폐 가능하며 내부에 주거용 공간 및 주거용 시설이 마련된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해수면에 부유시키는 단계 ; 복수의 윈치가 마련된 설치작업용 작업선을 해수면에 부유시키는 단계 ; 해수면에 부유중인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에 일단이 고정된 복수의 설치작업용 로프의 타단부를 상기 고박 장치의 설치작업용 풀리를 지나 상기 설치작업용 작업선의 윈치에 장착하는 단계 ; 상기 설치작업용 작업선의 윈치로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를 당겨 해수면에 부유중인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설치 수심까지 하강시키는 단계 ; 설치 수심으로 하강된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에 일단이 고정된 복수의 고박용 로프의 타단을 상기 고박 장치의 고박용 로프 결합구에 결합시키는 단계 ; 상기 고박용 로프에 의하여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가 고박된 후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다시 부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의 일단이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의 타단부를 상기 설치작업용 작업선의 윈치로부터 분리하여 수중에 남겨두는 단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고박 장치의 설치 단계 이후 상기 고박 장치의 설치작업용 풀리에 중간부가 걸리며 양단부에 해수면에 부유하는 제1부유체가 결합된 복수의 제1임시줄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마련되며 ;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를 상기 윈치에 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의 타단부를 상기 제1임시줄의 일단에 연결한 후 상기 제1임시줄의 타단을 당겨서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의 타단부가 상기 설치작업용 풀리를 지나도록 하는 것 ; 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설치작업용 작업선은 복수의 분할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를 상기 윈치에 장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분할몸체 사이에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위치시키고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상기 설치작업용 작업선에 고정시키는 단계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해수면에 부유하는 제2부유체가 일단부에 결합된 제2임시줄의 타단부를, 상기 윈치로부터 분리된 설치작업용 로프의 타단부에 연결하는 단계 ; 가 더 마련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해수면에 부유 가능하며 외부로부터 밀폐 가능하며 내부에 주거용 공간 및 주거용 시설이 마련된 수중 주거용 구조체 ; 설치작업용 풀리 및 고박용 로프 결합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설치 목표 지점을 중심으로 해수면 아래의 복수의 고정지점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박 장치 ; 일단이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고박 장치의 고박용 로프 결합구에 결합되어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고박하도록 이루어진 복수의 고박용 로프 ;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하강 및 부상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기 고박 장치의 설치작업용 풀리를 지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설치작업용 로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해수면에 부유하는 제2부유체가 일단부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해저면에 위치한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임시줄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해수면에 부유하는 구조를 가지면서 일정 설치 수심까지 하강하도록 하여 해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필요시에는 다시 해수면으로 상승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설치 방법 및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수중에서 고박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설치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설치작업용 작업선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치 대상인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평면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수중 주거용 구조체가 상하로 연속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설치작업용 작업선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치 대상인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평면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수중 주거용 구조체가 상하로 연속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설치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1) 고박 장치 설치 단계
복수의 고박 장치(110)를 설치 목표 지점을 중심으로 해수면 아래의 복수의 고정지점에 도 1과 같이 설치한다.
도 1은 고박 장치(110)와 제1임시줄(12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고박 장치(110)는 6개 지점에 설치한다.
본 실시예의 고박 장치(110)는, 해저 지반에 삽입된 말뚝(111)과, 말뚝(111)의 상단부에 고정된 고박용 몸체(112)와, 고박용 몸체(112)에 마련된 설치작업용 풀리(113, pulley)와, 고박용 몸체(112)에 마련된 고박용 로프 결합구(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서 고박 장치(110)의 고정지점은 해저 지반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해저에 다른 고정된 구조물이 있다면 고박 장치(110)는 그 고정된 구조물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고정된 구조물은 다른 수중 주거용 구조체일 수도 있다.
설치작업용 풀리(113)는 고박용 몸체(112)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후술하는 설치작업용 로프(210)가 걸린 채로 회전될 수 있다.
고박용 로프 결합구(114)는 후술하는 고박용 로프(220)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으며 어떠한 형태이던지 가능하다. 즉 고박용 로프 결합구(114)는, 고리 형태의 고박용 로프(220)가 걸릴 수 있는 후크 형태이거나, 선박 등을 계류시키기 위한 계선주 등의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2) 제1임시줄 설치 단계
고박 장치(110)가 설치된 후, 도 1과 같이 고박 장치(110)의 설치작업용 풀리(113)에 제1임시줄(120)을 설치한다.
제1임시줄(120)은 중간부가 고박 장치(110)의 설치작업용 풀리(113)에 걸리며 양단부에는 해수면에 부유하는 제1부유체(121)가 결합된다.
제1임시줄(120)은 고박 장치(110)마다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제1임시줄(120)을 미리 설치하면, 후술하는 설치작업용 로프(210)가 설치작업용 풀리(113)를 지나도록 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될 수 있다.
(3) 수중 주거용 구조체 부유 단계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를 설치 목표 지점의 해수면에 도 2와 같이 부유시킨다.
도 12는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의 평면 개념도이다.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는 외부로부터 밀폐 가능하며 내부에 주거용 공간 및 주거용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즉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는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수중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해수가 침투하지 아니하며, 내부에 인간이 활동할 수 있는 충분한 주거용 공간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인간의 활동에 필요한 각종 전자 장비, 전기 장비 등의 각종 주거용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는 외력이 없을 경우 양성 부력으로 인하여 해수면에 부유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는 평면상 형태가 원형이며, 측면상 형태가 수평방향으로 긴 타원형 형태이다.
본 실시예의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는 내부 부피가 1000m3이다.
한편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의 하부에는 복수의 지점(본 실시예의 경우 6개의 지점)마다 설치작업용 로프(210)의 일단과 고박용 로프(220)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즉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에는 미리 6개의 설치작업용 로프(210)와 6개의 고박용 로프(220)가 준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설치작업용 로프(210)의 타단부와 고박용 로프(220)의 타단부는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에 임시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4) 설치작업용 작업선 부유 단계
설치작업용 작업선(300)('바지선'이라고도 한다.)을 설치 목표 지점의 해수면에 도 2와 같이 부유시킨다.
도 10 및 도 11은 설치작업용 작업선(300)의 평면 개념도이며, 도 10은 두 개의 분할몸체(300A, 300B)가 힌지(320)를 중심으로 닫힌 형태이며, 도 11은 두 개의 분할몸체(300A, 300B)가 힌지(320)를 중심으로 열린 형태이다.
설치작업용 작업선(300)에는 복수의 윈치(301)(본 실시예의 경우 6개)가 마련된다.
윈치(301)는 설치작업용 로프(210)을 감아 끌어당기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설치작업용 작업선(300)에서는 로프를 이끌기 위하여 각 윈치(301)마다 페어리더(302, fair-leader)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설치작업용 작업선(300)은, 두 개의 분할몸체(300A, 300B)가 서로 결합된 것이다.
두 개의 분할몸체(300A, 300B)는 서로 결합되어, 도 9와 같이 중앙부에 수중 주거용 구조체용 빈 공간(310)을 형성한다.
두 개의 분할몸체(300A, 300B)의 일측이 힌지(320)에 의하여 결합되며, 두 개의 분할몸체(300A, 300B)의 타측에는 분할몸체 체결장치(330)가 마련된다.
따라서 두 개의 분할몸체(300A, 300B)는 힌지(320)를 중심으로 타측이 개방되거나 힌지(320)를 중심으로 타측이 닫힌 후 분할몸체 체결장치(330)에 의하여 닫힌 타측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5)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설치작업용 작업선에 고정하는 단계
도 3과 같이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를 설치작업용 작업선(300)의 수중 주거용 구조체용 빈 공간(310)에 위치시키고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를 고정한다.
즉 설치작업용 작업선(300)의 두 개의 분할몸체(300A, 300B)가 힌지(320)를 중심으로 타측이 개방되도록 한 후 두 개의 분할몸체(300A, 300B) 사이에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를 위치시키고 두 개의 분할몸체(300A, 300B)의 타측을 닫고 분할몸체 체결장치(330)에 의하여 분할몸체(300A, 300B)의 타측이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
아울러 설치작업용 작업선(300)의 분할몸체(300A, 300B)에는 수중 주거용 구조체용 빈 공간(310)을 향하여 복수의 완충부재(340)가 마련되어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와 설치작업용 작업선(300)간의 수평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요동을 최소화한다. 완충부재(340)는 탄성고무로 제작되거나 댐퍼 등의 충격흡수장치일 수 있다.
또한 설치작업용 작업선(300)의 상부에는 상부 고정 결합대(350)가 마련되어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와 설치작업용 작업선(300)간의 상하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요동을 최소화한다.
이와 같이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가 설치작업용 작업선(300)의 수중 주거용 구조체용 빈 공간(310)에 고정된다.
(6) 설치작업용 로프의 윈치 장착 단계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가 설치작업용 작업선(300)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된 후, 도 5와 같이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에 일단이 고정된 복수의 설치작업용 로프(210)의 타단부를 고박 장치(110)의 설치작업용 풀리(113)를 지나 설치작업용 작업선(300)의 윈치(301)에 장착한다.
만일 제1임시줄(120)이 없다면 잠수부가 직접 복수의 설치작업용 로프(210)의 타단부를 고박 장치(110)의 설치작업용 풀리(113)를 지나 설치작업용 작업선(300)의 윈치(301)에 장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는 이미 제1임시줄(12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임시줄(120)을 이용하여 설치작업용 로프(210)를 고박 장치(110)의 설치작업용 풀리(113)를 지나도록 한다.
즉 도 4와 같이 수상에서 설치작업용 로프(210)의 타단부를 제1임시줄(120)의 일단에 연결한 후, 수상에서 제1임시줄(120)의 타단을 당기면 제1임시줄(120)이 끌려 올라오면서 설치작업용 로프(210)가 설치작업용 풀리(113)를 지난 후 수상으로 끌려 올라온다. 이와 같이 끌려 올라온 설치작업용 로프(210)의 타단부를 도 5와 같이 설치작업용 작업선(300)의 윈치(301)에 장착한다.
따라서 설치작업용 로프(210)의 윈치(301) 장착 작업이 모두 수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해저면 작업이 불필요하다.
(7) 수중 주거용 구조체 하강 단계
설치작업용 로프(210)가 윈치(301)에 장착된 후, 도 6과 같이 윈치(301)로 설치작업용 로프(21)를 감아 당겨 해수면에 부유중인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를 설치 수심까지 하강시킨다.
즉 복수의 윈치(301)들은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의 양성 부력보다 높은 인장력으로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를 끌어 내린다.
본 실시예에서 설치 수심은 수심 50m이다.
(8) 고박용 로프 결합 단계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가 설치 수심까지 하강하면, 도 7과 같이 일단이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에 고정된 복수의 고박용 로프(220)의 타단을 고박 장치(110)의 고박용 로프 결합구(114)에 결합시킨다.
(9) 고박용 로프에 의한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고박 단계
도 7과 같이 고박용 로프(220)가 고박용 로프 결합구(114)에 결합된 후, 고박용 로프(220)에 의하여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가 고박된다.
이와 같은 고박 단계는, 설치작업용 로프(210)에 걸린 긴장을 완화하기 위하여 설치작업용 로프(210)를 조금 풀어주어 작업이며, 이에 의하여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의 양성 부력으로 인한 긴장력이 설치작업용 로프(210)에서 고박용 로프(220)로 전이되도록 하는 것이다.
(10) 설치작업용 로프의 윈치 분리 단계
고박용 로프(220)에 의하여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를 고박한 후, 도 8과 같이 설치작업용 로프(210)를 설치작업용 작업선(300)의 윈치(301)로부터 분리한다. 따라서 윈치(301)에 장착되었던 설치작업용 로프(210)의 단부는 해저면에 위치하게 된다.
(11) 제2임시줄 설치 단계
윈치(301)로부터 분리된 설치작업용 로프(210)는 그 중간부가 여전히 고박 장치(110)의 설치작업용 풀리(113)를 지난 상태이며, 설치작업용 로프(210)의 중간부를 고박 장치(110)에 고정하여 고박용 로프(220)가 문제가 생겼을 경우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가 설치작업용 로프(210)에 의하여 고박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설치작업용 로프(210)의 타단부에 제2임시줄(130)을 연결한다.
제2임시줄(130)의 일단부에는 해수면에 부유하는 제2부유체(131)가 결합되며, 제2임시줄(130)의 타단부는 해저면에 위치한 설치작업용 로프(210)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설치작업용 로프(210)를 다시 윈치(301)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 제2임시줄(130)을 매개하여 설치작업용 로프(210)를 윈치(301)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가 해저의 설치 수심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수중 주거용 구조체는 위의 순서를 역순으로 실행할 경우 수중 주거용 구조체(200)는 해수면으로 부상할 수 있다.
즉 설치작업용 로프를 윈치에 장착하는 단계, 설치작업용 로프를 당겨 고박용 로프에 의한 고박을 해제하면서 설치작업용 로프에 긴장력을 전이하는 단계, 고박용 로프를 고박용 로프 결합구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설치작업용 로프를 풀면서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부상시키는 단계, 설치작업용 로프를 윈치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설치 방법 및 수중 고박 시스템에 의하여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유지 보수 등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수중 주거용 구조체가 상하로 연속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즉 하부에 대형 수중 주거용 구조체(내부 부피 1000m3)가 고박된 후, 대형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상부에 복수의 고박 장치를 마련하고 이 고박 장치에 기초하여 소형 수중 주거용 구조체(내부 부피 500m3)가 고박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2개의 수중 주거용 구조체가 상하로 연속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3개의 수중 주거용 구조체가 상하로 연속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고박 장치 111 : 말뚝
112 : 고박용 몸체 113 : 설치작업용 풀리
114 : 고박용 로프 결합구
120 : 제1임시줄 121 : 제1부유체
130 : 제2임시줄 131 : 제2부유체
200 : 수중 주거용 구조체 210 : 설치작업용 로프
220 : 고박용 로프
300 : 설치작업용 작업선
300A, 300B : 분할몸체
301 : 윈치 302 : 페어리더
310 : 수중 주거용 구조체용 빈 공간
320 : 힌지
330 : 분할몸체 체결장치
340 : 완충부재
350 : 상부 고정 결합대
112 : 고박용 몸체 113 : 설치작업용 풀리
114 : 고박용 로프 결합구
120 : 제1임시줄 121 : 제1부유체
130 : 제2임시줄 131 : 제2부유체
200 : 수중 주거용 구조체 210 : 설치작업용 로프
220 : 고박용 로프
300 : 설치작업용 작업선
300A, 300B : 분할몸체
301 : 윈치 302 : 페어리더
310 : 수중 주거용 구조체용 빈 공간
320 : 힌지
330 : 분할몸체 체결장치
340 : 완충부재
350 : 상부 고정 결합대
Claims (6)
- 설치작업용 풀리 및 고박용 로프 결합구가 마련된 복수의 고박 장치를 설치 목표 지점을 중심으로 해수면 아래의 복수의 고정지점에 설치하는 단계 ;
해수면에 부유 가능하며 외부로부터 밀폐 가능하며 내부에 주거용 공간 및 주거용 시설이 마련된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해수면에 부유시키는 단계 ;
복수의 윈치가 마련된 설치작업용 작업선을 해수면에 부유시키는 단계 ;
해수면에 부유중인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에 일단이 고정된 복수의 설치작업용 로프의 타단부를 상기 고박 장치의 설치작업용 풀리를 지나 상기 설치작업용 작업선의 윈치에 장착하는 단계 ;
상기 설치작업용 작업선의 윈치로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를 당겨 해수면에 부유중인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설치 수심까지 하강시키는 단계 ;
설치 수심으로 하강된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에 일단이 고정된 복수의 고박용 로프의 타단을 상기 고박 장치의 고박용 로프 결합구에 결합시키는 단계 ;
상기 고박용 로프 결합구에 상기 고박용 로프가 결합된 후 상기 고박용 로프에 의하여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고박하는 단계 ;
상기 고박용 로프에 의하여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가 고박된 후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다시 부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의 일단이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의 타단부를 상기 설치작업용 작업선의 윈치로부터 분리하여 수중에 남겨두는 단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설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고박 장치의 설치 단계 이후 상기 고박 장치의 설치작업용 풀리에 중간부가 걸리며 양단부에 해수면에 부유하는 제1부유체가 결합된 복수의 제1임시줄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마련되며 ;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를 상기 윈치에 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의 타단부를 상기 제1임시줄의 일단에 연결한 후 상기 제1임시줄의 타단을 당겨서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의 타단부가 상기 설치작업용 풀리를 지나도록 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설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작업용 작업선은 복수의 분할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를 상기 윈치에 장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분할몸체 사이에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위치시키고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상기 설치작업용 작업선에 고정시키는 단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설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해수면에 부유하는 제2부유체가 일단부에 결합된 제2임시줄의 타단부를, 상기 윈치로부터 분리된 설치작업용 로프의 타단부에 연결하는 단계 ;
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설치 방법.
- 해수면에 부유 가능하며 외부로부터 밀폐 가능하며 내부에 주거용 공간 및 주거용 시설이 마련된 수중 주거용 구조체 ;
설치작업용 풀리 및 고박용 로프 결합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설치 목표 지점을 중심으로 해수면 아래의 복수의 고정지점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박 장치 ;
일단이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고박 장치의 고박용 로프 결합구에 결합되어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고박하도록 이루어진 복수의 고박용 로프 ;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를 하강 및 부상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수중 주거용 구조체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기 고박 장치의 설치작업용 풀리를 지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설치작업용 로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고박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해수면에 부유하는 제2부유체가 일단부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해저면에 위치한 상기 설치작업용 로프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임시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고박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2831A KR102027153B1 (ko) | 2018-07-17 | 2018-07-17 |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설치 방법 및 수중 고박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2831A KR102027153B1 (ko) | 2018-07-17 | 2018-07-17 |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설치 방법 및 수중 고박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7153B1 true KR102027153B1 (ko) | 2019-10-01 |
Family
ID=6820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2831A KR102027153B1 (ko) | 2018-07-17 | 2018-07-17 |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설치 방법 및 수중 고박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715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9239A (ko) | 2020-02-27 | 2021-09-06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감요를 위한 수중 주거용 구조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68040B2 (ja) * | 1987-08-12 | 1997-10-27 | 株式会社トリオマリンテック | 大型海洋構造物の施設方法及びその装置 |
JP2001199383A (ja) * | 2000-01-19 | 2001-07-24 | Sumitomo Metal Ind Ltd | 構造物の敷設係留方法 |
KR100307218B1 (ko) | 1999-04-13 | 2001-09-26 | 김철호 | 해상호텔 |
CN104443276A (zh) * | 2013-09-22 | 2015-03-25 | 曲言明 | 潜标滑轮系泊系统 |
-
2018
- 2018-07-17 KR KR1020180082831A patent/KR1020271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68040B2 (ja) * | 1987-08-12 | 1997-10-27 | 株式会社トリオマリンテック | 大型海洋構造物の施設方法及びその装置 |
KR100307218B1 (ko) | 1999-04-13 | 2001-09-26 | 김철호 | 해상호텔 |
JP2001199383A (ja) * | 2000-01-19 | 2001-07-24 | Sumitomo Metal Ind Ltd | 構造物の敷設係留方法 |
CN104443276A (zh) * | 2013-09-22 | 2015-03-25 | 曲言明 | 潜标滑轮系泊系统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9239A (ko) | 2020-02-27 | 2021-09-06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감요를 위한 수중 주거용 구조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572041A (en) | Spar-type floating production facility | |
US5190107A (en) | Heave compensated support system for positioning subsea work packages | |
US2986889A (en) | Anchoring systems | |
US3111926A (en) | Apparatus for anchoring underwater vessels | |
AU2009294382B2 (en) | Method of locating a subsea structure for deployment | |
AU2009229020B2 (en) | Method of installing an underwater riser | |
AU2007205290B2 (en) | Mooring system | |
GB2529210A (en) | Improved wave energy converter | |
CN107449629B (zh) | 一种海底机械式万米级轻型冲击地质取样装置 | |
EP1509672A1 (en) | Apparatuses and methods of deploying and installing subsea equipment | |
IE47558B1 (en) | Submersible template for locating boreholes in the bottom of a body water | |
EP0350490B1 (en) | Mooring/support system for marine structures | |
KR20220045208A (ko) | 텐션 레그 플랫폼 기반의 부유체를 설치하는 방법 | |
KR101328504B1 (ko) | 양광 시스템의 해저 배열 및 채광 방법 | |
KR102027153B1 (ko) | 수중 주거용 구조체의 수중 설치 방법 및 수중 고박 시스템 | |
NO177723B (no) | Fremgangsmåte ved styring av den vertikale posisjon til et legeme med positiv oppdrift i vann | |
GB2206628A (en) | Method of installing a template on the seafloor | |
US4636114A (en) | Buoyancy-supported struts for ocean platforms | |
KR100967816B1 (ko) | 반잠수식 리그선의 스러스터 장착 방법 | |
IE43330B1 (en) | Platform for marine work | |
CN207215485U (zh) | 一种海底机械式万米级轻型冲击地质取样装置 | |
CN111377040B (zh) | 水下基站支持系统安装方法 | |
KR102095380B1 (ko) | 해양구조물의 계류라인 설치장치 및 해양구조물의 계류라인 설치방법 | |
AU2018303476B2 (en) | Subsea installation method | |
KR101148056B1 (ko) | 해양구조물 설치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