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904B1 -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904B1
KR102026904B1 KR1020180030612A KR20180030612A KR102026904B1 KR 102026904 B1 KR102026904 B1 KR 102026904B1 KR 1020180030612 A KR1020180030612 A KR 1020180030612A KR 20180030612 A KR20180030612 A KR 20180030612A KR 102026904 B1 KR102026904 B1 KR 102026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ubstrate
vibration motor
elastic member
vertical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929A (ko
Inventor
김남석
박석준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030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90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은, 기판이 안착되는 기판 안착부; 상기 기판 안착부 상에 형성되고, 둘레에 코일이 배치되는 코일 지지부; 상기 기판 안착부보다 임의 높이의 단차만큼 돌출되고, 상기 기판 안착부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브라켓 확장부; 및 상기 브라켓 확장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탄성부재 지지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어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기판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BRACKET FOR VERTICAL LINEAR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가 장착되는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진동모터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등에 탑재되고 있다.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는 점점 소형화 및 경량화 되는 추세로,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되는 진동모터의 사이즈 및 구조 또한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을 채용하므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의 수명이 중요시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 내부의 디스플레이(네비게이션, 자동차 전면유리 디스플레이 등)는 터치 스크린을 채용하는 추세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가 탑재되고 있다.
자동차는 고전압으로 구동되므로, 고전압 구조에서 구동 시, 상하 공간을 확보하면서 고 진동력을 제공하는 진동모터가 요구된다.
따라서, 공간활용 및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진동량을 증가시키는 진동모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7716호(2017.09.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동 가능한 공간을 더 넓게 형성하는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브라켓에 단차 부분을 추가하여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는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낙하 등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킨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브라켓에 단차 부분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단차 부분에 배치되는 기판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전류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자기력을 증대 시키는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은, 기판이 안착되는 기판 안착부; 상기 기판 안착부 상에 형성되고, 둘레에 코일이 배치되는 코일 지지부; 상기 기판 안착부보다 임의 높이의 단차만큼 돌출되고, 상기 기판 안착부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브라켓 확장부; 상기 브라켓 확장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탄성부재 지지부; 및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의 외부 일측에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 기판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안착부는 상기 브라켓 확장부의 일부 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까지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 중 하나는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더 연장되어 상기 외부 기판 지지부와 접하고, 상기 기판 안착부, 상기 브라켓 확장부 및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는 서로 높이가 다른 3개의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 안착부의 두께는, 상기 브라켓 확장부의 두께보다 더 얇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판 안착부는 상기 브라켓 확장부에 비해 0.2~0.8배의 두께를 갖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 안착부는, 상기 브라켓 확장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단조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브라켓 확장부에 비해 더 치밀한 조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와 상기 브라켓 확장부 사이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기판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기판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제1방향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기판 지지부 상에는 상기 기판의 영역 중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입력단자를 포함하는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코일 지지부는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의 외측 모서리에 형성된 케이스 결합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어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기판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낙하 등 외부 충격에 의한 브라켓의 변형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켓의 소재 두께를 증가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켓에 단차 부분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단차 부분에 배치되는 기판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전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기력을 증대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리니어 진동모터용 브라켓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리니어 진동모터용 브라켓의 상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연장부가 배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리니어 진동모터용 브라켓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리니어 진동모터용 브라켓이 적용된 진동모터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울러, 편의상 도면상의 도면 부호와 소자 기호가 병행되어 작성될 수 있음을 전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1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10)의 상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에서 A-A’방향을 자른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10)은 기판 안착부(4), 코일 지지부(2), 브라켓 확장부(6) 및 탄성부재 지지부(8)를 포함한다.
기판 안착부(4)는 브라켓(10)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기판 안착부(4) 상에 기판이 안착된다.
코일 지지부(2)는 상기 기판 안착부(4) 상에 형성되고, 둘레에 코일이 배치된다.
코일 지지부(2)는 기판 안착부(4) 상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코일 지지부(2)는 기판 안착부(4)의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코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코일 지지부(2)는 프레스 또는 딥 드로잉 공법 등을 사용하여 기판 안착부(4)의 상부 방향, 즉 내측으로 압입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코일 지지부(2)는 도 2(b)에서도 볼 수 있듯이 중공부(B)를 포함하며, 코일 지지부(2)를 형성하는 판의 두께는 기판 안착부(4)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거나 또는 기판 안착부(4)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기판 안착부(4)는 브라켓 확장부(6)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단조하여 형성되므로, 브라켓 확장부(6)의 두께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기판 안착부(4)는 브라켓 확장부(6)의 두께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더라도, 브라켓 확장부(6)의 강도와 동일한 강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안착부(4)의 두께(d1)는 브라켓 확장부(6)의 두께(d2)와 비교할 때 0.2 배 내지 0.8 배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기판 안착부(4)의 두께(d1)가 브라켓 확장부(6)의 두께(d2) 대비 0.2배 이상인 경우, 기판 안착부(4)에 기판이 배치되어, 상하 진동 시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안착부(4)의 두께(d1)가 브라켓 확장부(6)의 두께(d2) 대비 0.8배 이하인 경우, 기판 안착부(4)를 프레스(Press) 공법으로 제조 시에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기판 안착부(4)는 브라켓 확장부(6)와 대비하여 더 치밀한 조직을 가질 수 있다. 즉, 일정한 두께의 금속판 중 일부 영역을 단조 또는 프레스 방식으로 가공하는 경우, 단조 또는 프레스에 의해 눌리는 부분은 종전보다 치밀한 조직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기판 안착부(4)는 브라켓 확장부(6)보다 더 치밀한 조직을 가짐으로써, 브라켓 확장부(6)와 대비하여 더 얇은 두께를 가짐과 동시에 동일한 강도 내지 더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 브라켓 확장부(6)는 기판 안착부(4)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브라켓 확장부(6) 및 기판 안착부(4) 사이에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확장부(6)는 기판 안착부(4)보다 임의 높이의 단차만큼 돌출되어, 기판 안착부(4)의 외측으로 확장된다.
브라켓 확장부(6)는 단차를 통해, 기판 안착부(4)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 지지부(8)는 브라켓 확장부(6)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진동자(4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30)의 일 측이 탄성부재 지지부(8)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 지지부(8)는 브라켓 확장부(6)와 동일한 균일도의 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 지지부(8)의 두께(d3)는 브라켓 확장부(6)의 두께(d2)와 동일한 두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 지지부(8)는 브라켓 확장부(6)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 지지부(8)는 탄성부재 지지부(8) 및 브라켓 확장부(6) 사이에 배치되는 경사면(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S)을 통해, 브라켓 확장부(6) 및 탄성부재 지지부(8) 사이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면(S)은 브라켓 확장부(6)를 기준으로 탄성부재 지지부(8)의 방향으로 각도를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경사면(s)이 배치됨으로써, 외부 충격 시, 힘이 분산되어 브라켓 확장부(6) 및 탄성부재 지지부(8) 사이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면(S)의 각도는 브라켓 확장부(6)를 기준으로, 0도 내지 90도 중 하나의 값일 수 잇다.
탄성부재 지지부(8)는 탄성부재 지지부(8)의 외측 모서리에 형성된 케이스 결합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결합부(9)에는 브라켓(10)과 더불어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가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 결합부(9)의 형상은 단단한 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돌기, 체결 홈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10)이 포함하는 연장부(3)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는 연장부(3)가 개구부(C)를 통과하는 제1방향으로만 연장되어 배치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연장부(3)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에 동시에 배치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삭제
연장부(3)는 기판 안착부(4)의 일부 영역을 정의하는 것으로, 연장부(3) 상에도 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3)는 상기 개구부(C)를 통과하여 상기 외부 기판 지지부(12)에 연결되는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3)는 상기 개구부(C)를 통해 외부 기판 지지부(12)와 접할 수 있으며, 연장부(3)와 접하는 외부 기판 지지부(12)에는 기판의 영역 중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 안착부(4)는 복수개의 연장부(3)를 포함하여 전체가 동일한 두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삭제
한편, 기판은 기판 안착부(4) 및 연장부(3) 상에 안착되어 단단히 고정되므로, 낙하 등 외부충격에도 분리되지 않아,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10)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10)이 적용되는 진동 모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10)이 적용된 진동 모터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대칭 구조를 갖는 진동 발생장치의 절반만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서 생략된 나머지 절반은 도시된 구조의 대칭형태가 이어져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진동 모터는 상부에 커버기능을 하는 케이스(20) 및 케이스(20)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의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브라켓(10)을 포함하며, 케이스(20) 및 브라켓(10)이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진동 모터는 브라켓(10)이 포함하는 코일 지지부(2)에 마련되는 고정자(50), 상기 브라켓(10)의 상측에 일 측이 고정되며, 하측은 진동자(40)와 결합하는 탄성부재(30) 및 상기 브라켓(10)의 상측 일면에 고정되어 외부 기기와 코일(52)의 전기적 연결기능을 수행하는 기판(60)을 포함한다.
고정자(50)는 코일 지지부(2)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코일(52) 및 코일(52)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는 요크(54)를 포함한다.
고정자(50)는 코일 지지부(2)의 외측면에 삽입 결합하여 고정된다.
코일(52)은 링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코일(52)은 코일 지지부(2) 외측으로 고정될 수 있고, 이 때 별도의 접착을 위한 물질을 코일 지지부(2) 외측에 형성하여 상기 코일(52)이 코일 지지부(2)에 접착 고정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요크(54)는 도넛형상을 가지며, 코일 지지부(2)에 외측부에 고정되어, 별도의 가공과정 없이 전자기력을 증폭시키는 요크(54)의 설치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진동자(40)는 링 형상의 자석(44), 상기 자석(44)의 외측 면에 결합되는 중량체(42) 및 자석(44)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측 요크(46)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체(42)는 진동자(40)의 상/하 움직임에 따른 진동력의 부가를 돕는 역할을 수행하며, 자석(44)의 하부에 마련되는 요크(46)는 전자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자석(44)은 1개의 자석 또는 상측 자석 및 하측 자석 2개가 결합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자석이 결합될 경우, 보다 강한 전자기력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30)는 상기 진동자(40)와 연결되어 진동자(40)의 상하 운동을 지지하는 부재를 일컫는 것으로, 탄성부재(30)의 일 측은 탄성부재 지지부(8) 상에 부착되고, 하측은 진동자(40)와 부착되어, 진동자(40)의 상하 운동을 지지한다.
탄성부재(30)의 하측과 진동자(40)가 부착되는 경우, 진동자(40)와 탄성부재(30)를 연결시키는 플레이트(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케이스(20)는 진동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댐퍼는 탄성부재(30)가 배치되는 케이스(20) 내측 일면 또는 브라켓(10) 상측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는 링 형상 또는 원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댐퍼가 배치됨으로써, 강한 진동력의 발생 또는 전자기기 등의 낙하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진동자(40) 및 탄성부재(3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판(60)은 브라켓(10)이 포함하는 기판 안착부(4)에 배치되어, 전기적 연결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판(60)은 FPCB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동 모터는 교류전원이 기판(60)을 통해 인가됨에 따라 진동자(40)가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10)을 포함하는 진동 모터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박스(set-top box), 홈 오토메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 코일 지지부
3: 연장부
4: 기판 안착부
6: 브라켓 확장부
8: 탄성부재 지지부
9: 케이스 결합부
12: 외부 기판 지지부

Claims (10)

  1. 기판이 안착되는 기판 안착부;
    상기 기판 안착부 상에 형성되고, 둘레에 코일이 배치되는 코일 지지부;
    상기 기판 안착부보다 임의 높이의 단차만큼 돌출되고, 상기 기판 안착부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브라켓 확장부;
    상기 브라켓 확장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탄성부재 지지부; 및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의 외부 일측에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 기판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안착부는, 상기 브라켓 확장부의 일부 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까지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 중 하나는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더 연장되어 상기 외부 기판 지지부와 접하고,
    상기 기판 안착부, 상기 브라켓 확장부 및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는 서로 높이가 다른 3개의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안착부는 상기 브라켓 확장부에 비해 0.2~0.8배의 두께를 갖는,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안착부는 상기 브라켓 확장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단조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브라켓 확장부에 비해 더 치밀한 조직을 갖는,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제1방향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에 대칭을 이루어 형성되는,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판 지지부 상에는 상기 기판의 영역 중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입력단자를 포함하는 영역이 배치되는,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판 지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기판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와 상기 브라켓 확장부 사이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지지부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의 외측 모서리에 형성된 케이스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
KR1020180030612A 2018-03-16 2018-03-16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KR102026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612A KR102026904B1 (ko) 2018-03-16 2018-03-16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612A KR102026904B1 (ko) 2018-03-16 2018-03-16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29A KR20190108929A (ko) 2019-09-25
KR102026904B1 true KR102026904B1 (ko) 2019-09-30

Family

ID=6806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612A KR102026904B1 (ko) 2018-03-16 2018-03-16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9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870B1 (ko) * 2021-11-26 2022-06-24 (주) 샤인테크놀러지 진동모터용 홀막음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홀막음 일체형 브라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396B1 (ko) 2011-05-25 2012-06-25 최형규 선형 진동 장치
KR101339606B1 (ko) * 2012-06-22 2013-12-10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997A (ko) * 2011-08-27 2013-03-07 (주)파트론 전원 연결부 고정 구조
KR101525654B1 (ko) * 2012-12-06 2015-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KR101777716B1 (ko) 2016-08-04 2017-09-18 자화전자(주) 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396B1 (ko) 2011-05-25 2012-06-25 최형규 선형 진동 장치
KR101339606B1 (ko) * 2012-06-22 2013-12-10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870B1 (ko) * 2021-11-26 2022-06-24 (주) 샤인테크놀러지 진동모터용 홀막음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홀막음 일체형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29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60324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heat collection/diffusion structure
US1049198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housing
KR102483238B1 (ko) 방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10381910B2 (en)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CN107094222B (zh) 电子装置和其制造方法
KR20180097237A (ko) 안테나방사체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50142386A (ko) 카메라 장치 및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9472888B2 (en) Connect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102350063B1 (ko)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
KR102433755B1 (ko) 감전 방지 기능을 가지는 방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00823B1 (ko) 리니어 진동 모터
KR102026904B1 (ko) 수직 리니어 진동 모터용 브라켓
KR102016669B1 (ko) 사운드 진동 액츄에이터
US10033845B2 (en) Contact structure and conta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7152515A1 (zh) 一种线性振动马达
KR102061073B1 (ko) 사운드 진동 액츄에이터
US20230305594A1 (en) Strap structure connected to housing,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2384503B1 (ko) 슬림형 전자 장치
KR102138339B1 (ko) 사운드 진동 액츄에이터
KR102016672B1 (ko) 사운드 진동 액츄에이터
US20220152652A1 (en) Haptic actu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102142564B1 (ko) 사운드 진동 액츄에이터
KR102030604B1 (ko) 사운드 진동 액츄에이터
KR20170055797A (ko) 선형 진동 발생 장치
KR102098321B1 (ko) 사운드 진동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