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838B1 - Multilayered thermoelectric modu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ultilayered thermoelectric modu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838B1
KR102026838B1 KR1020180061835A KR20180061835A KR102026838B1 KR 102026838 B1 KR102026838 B1 KR 102026838B1 KR 1020180061835 A KR1020180061835 A KR 1020180061835A KR 20180061835 A KR20180061835 A KR 20180061835A KR 102026838 B1 KR102026838 B1 KR 102026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semiconductor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region
conductive suppor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성윤
안승건
이우화
강영훈
이영국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6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8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8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H01L35/32
    • H01L35/24
    • H01L35/3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6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organic com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cked thermoelectric modul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 therm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stacked thermoelectric module, P- and N-type semiconductor regions are formed to alternately meet at a conductive support, and the conductive support is formed in a folded shape along a boundary line where the P- and N-type semiconductor regions meet in order to allow the P- and N-type semiconductor regions to face each other. Also, an insulating la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P- and N-type semiconductor regions, and an electrode unit where a semiconductor region is not formed, is position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ductive support. The thermoelectr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hermoelectric element in which the thermoelectric modu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through each electrode unit; and a flexible support inclu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each of the thermoelectric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 cutting and arranging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re unnecessary. Also, 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is reduced by forming only thermal contact while removing an electrical bonding process, thereby improving output and processability.

Description

적층형 열전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MULTILAYERED THERMOELECTRIC MODU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Stacked thermoelectric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ULTILAYERED THERMOELECTRIC MODU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적층형 열전 모듈,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및 열전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d thermoelectric modul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therm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ermoelectric device.

열전현상은 열과 전기 사이의 가역적, 직접적인 에너지 변환 현상을 의미하며, 재료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의 이동이 발생하는 현상으로 물질에 가해지는 온도 차에 의한 전기 에너지 발생현상(Seebeck 효과) 및 역으로 외부에서 부하되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발생하는 물질의 발열현상 또는 흡열현상(Peltier 효과)을 말한다. Thermoelectric phenomenon refers to the reversible and direct energy conversion between heat and electricity, the movement of electrons and holes in the material, the generation of electrical energy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applied to the material (seebeck effect) and vice versa It refers to the exothermic phenomenon or endothermic phenomenon (Peltier effect) of the material generated by the electrical energy loaded in the.

열전을 이용할 경우, 산업 폐열, 자연열, 체열 등과 같은 다양한 열원을 이용한 전력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정밀, 급속 냉각 등이 가능한 미래형 친환경 에너지 변환이 가능하다. 또한, 이를 이용한 열전소자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데 사용되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어 시대적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는 기술이다.Using thermoelectric, not only is it possible to produce power using various heat sources such as industrial waste heat, natural heat, body heat, etc., but it is also possible to transform the environment-friendly energy of the future that can be precisely and rapidly cooled. 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device using the same is used to directly convert the therm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the electrical energy into thermal energy and can save energy is the technology that best meets the needs of the times.

기존의 열전소자는 P형 열전재료와 N형 열전재료의 끝부분이 전극 접합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 구조이다. 유기물에 기반한 열전소자는 일반적으로 필름형으로 이루어지며, 수십 나노미터 두께의 필름을 재단하여 정렬시키고 각각의 필름을 연결시킴으로 인해 높은 열전성능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thermoelectric device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nds of a P-type thermoelectric material and an N-type thermoelectric material are connected in series by electrode bonding. Thermoelectric devices based on organic materials are generally made in a film form,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high thermoelectric performance is difficult to achieve due to cutting and aligning films of several tens of nanometers in thickness and connecting each film.

비록 비저항성이 낮은 재료를 전극으로 이용하여 P형 열전재료와 N형 열전재료를 연결하더라도 전극과 열전소자 사이에 발생하게 되는 계면 또는 접촉저항이 내부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며, 열 또는 기계적 충격 등에 의한 계면 이탈 또는 크랙 생성 시 전기저항이 증가하거나 전력이 급감하여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 Although the P-type thermoelectric material and the N-type thermoelectric material are connected by using a low resistivity material as an electrode, the interface or contact resistance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creases the internal resistance, and thermal or mechanical shock When the interface breaks out or cracks are generated, the electrical resistance increases or the power decreases rapidly.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01121호는 열전소자를 개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 상에 적층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적층된 P형 셀(P type cell), 상기 제1 전극 상에 적층된 N형 셀(N type cell), 상기 P형 셀 및 상기 N형 셀 상에 적층된 제2 전극, 그리고 상기 제2 전극 상에 적층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N형 셀의 단면적은 상기 P형 셀의 단면적보다 크게 설정되는 열전소자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열전소자는 P형 셀과 N형 셀을 각각 형성하고, 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을 별도로 형성하고 있어,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구조적으로도 저항이 증가하고, 계면 이탈이 발생할 수 있으며, 크랙 생성에 따른 전기저항 증가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101121 discloses a thermoelectric device, and specifically, a lower substrate, a first electrode stacked on the lower substrate, and a P-type cell stacked on the first electrode ( P type cell, an N-type cell stacked on the first electrode, a P-type cell and a second electrode stacked on the N-type cell, and an upper substrate stacked on the second electrode. And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N-type cell is set larger than that of the P-type cell. However, 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forms a P-type cell and an N-type cell, respectively, and separately forms an electrod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a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 is complicated, the resistance is also increased structurally, and the interface is separated. It may occur, and there may be a problem of an increase in electrical resistance due to crack generation.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8157호는 열전소자를 개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서로 마주하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배치된 제1 전극층; 상기 제2 기판의 상면에 배치된 제2 전극층; 상기 제1 기판의 관통홀과 상기 제1 전극층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솔더층; 상기 제2 기판의 관통홀과 상기 제2 전극층의하면에 배치되는 제2 솔더층; 및 상기 제1 기판의 관통홀과 상기 제2 기판의 관통홀에 배치되는 열전소재;를 포함하는 열전소자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열전소자 또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별도의 전극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어, 상기한 바와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8-0028157 discloses a thermoelectric device, specifically,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 first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A first solder layer disposed on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substrat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solder layer disposed on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substrate and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a thermoelectric material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substrate. However, the thermoelectric device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type semiconductor and the N-type semiconductor through a separate electrode, the same problem may occur as described above.

실제 시스템에서 고출력의 열전발전을 위해서는 P형과 N형의 열전소재를 반복적으로 고밀도로 배치해야 하지만 열전소자 구성에 따라 100 마이크로미터 이상 두께의 필름을 세로 방향으로 세우는 것이 불가능하며, 세워진다 하더라도 공정적 손실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연속 공정에 기반하여 제조 비용을 낮추며 대면적 및 고집적도 열전소자의 제조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P-type and N-type thermoelectric materials have to be repeatedly placed at high density for high power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in actual systems, but it is impossible to erect a film with a thickness of more than 100 micromet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depending on the thermoelectric configur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loss is large.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large area and high-density thermoelectric element while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based on the continuous proces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0112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0112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815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28157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형 열전 모듈, 이의 제조방법, 및 이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 열전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cked thermoelectric modul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therm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도성 지지체에 교번적으로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상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도록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상접하는 경계선을 따라 전도성 지지체가 접힌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 사이에 절연층이 위치하고, 전도성 지지체의 일 말단부 및 타 말단부에는 반도체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전극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전 모듈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alternately contact the conductive support, and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o that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face each other The conductive support is folded along a boundary line where the semiconductor region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n insulating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an electrode having no semiconductor region formed at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nductive support. It provides a laminated thermoelectric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전도성 지지체에 교번적으로 P형 도펀트와 N형 도펀트를 상접하도록 인쇄하여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되, 전도성 지지체의 일 말단부 및 타 말단부에는 도펀트를 인쇄하지 않는 방법으로 전극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 사이 공간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상접하는 경계선을 따라 전도성 지지체를 접는 단계; 및 접힌 전도성 지지체를 P형 도펀트와 N형 도펀트가 인쇄된 길이 방향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전 모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repeatedly printing a P-type dopant and an N-type dopant on the conductive support to form a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an N-type semiconductor region repeatedly, the dopant is printed 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ductive support Forming an electrode part in a manner not performed; Forming an insulating layer in a space between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Folding the conductive support along a boundary line between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such that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face each other; And cutting the folded conductive support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to a length direction in which the P-type dopant and the N-type dopant are printed.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한 열전 모듈 복수개가 각각의 전극부를 통하여 직렬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열전 소자; 및 상기 복수개의 열전 모듈 각각이 수용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가요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장치를 제공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the thermoelectric elements electrically inter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respective electrode portion; And a flexible support including a space in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is accommodated.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열전 모듈 각각을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가요성 지지체에 상기 복수개의 열전 모듈을 고정시키는 단계; 및 가요성 지지체에 고정된 상기 열전 모듈 복수개를 각각의 전극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직렬로 상호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ixing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to a flexible support including a space for receiving each of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fixed to the flexible support to each other in series through respective electrode unit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연속 공정에 의해 하나의 전도성 지지체에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을 형성하고, 연속적으로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서로 상접하는 경계선을 따라 접어 열전 소자를 제작함으로써 열전 소자의 개별 재단 및 정렬이 불필요하고, 전기적인 접합공정을 제거하면서 열적인 접촉만 형성되게 하여 전기적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며, 이로 인해 출력 및 공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형성된 열전 소자를 다수의 작은 열전 모듈로 절단하여 가요성 지지판에 삽입하거나 상하 기판 사이에 배열한 후 전극을 연결하고, 양면에 열전도성 테이프를 부착하여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대면적의 고집적도 열전 장치 제조를 위한 공정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orms a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an N-type semiconductor region on one conductive support by a continuous process, and continuously folds the thermoelectric element along a boundary line where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abrication eliminates the need for separate cutting and alignment of thermoelectric elements, and eliminates electrical bonding processes, resulting in only thermal contact, reducing 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thereby improving output and processability. In addition, the formed thermoelectric element is cut into a plurality of small thermoelectric modules and inserted into a flexible support plate or arranged between upper and lower substrates, and then electro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process efficiency for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전 소자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제조된 열전 장치의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형 도펀트의 열전특성을 확인하는 실험 결과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N형 도펀트의 열전특성을 확인하는 실험 결과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제조된 열전 장치의 발전 용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제조된 열전 장치에 대하여 체온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압 및 전류 실험을 보여주는 사진 및 그래프이고,
도 7은 열전도성 테이프를 형성하지 않은 열전 장치의 사진 및 이의 발전용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제조된 열전 장치의 사진이다.
1 is a flow chart showing a thermoelectric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of a thermoelectric device manufactur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erimental result graph for confirming the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the P-type dopa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erimental result graph for confirming the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the N-type dopa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of the thermoelectric device manufactur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hotograph and a graph showing voltage and current experiments generated by body temperature with respect to the thermoelectric device manufactur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graph showing a photograph of a thermoelectric device not forming a thermally conductive tape and a generating capacity thereof, and
8 is a photograph of a thermoelectric device manufactur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적층형'은 복수의 열전 모듈이 서로 면을 접하면서 쌓여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cked type" refers to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are stack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서 '열전 모듈'은 열로부터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단위체를 의미하며, '열전 소자'는 상기 열전 모듈이 복수개가 연결된 것을 의미하며, '열전 장치'는 이와 같은 열전 소자가 다른 기능성 구성들과 조합되어 하나의 구조체를 이룬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moelectric module' means a unit capable of producing electricity from heat, and 'thermoelectric element' means that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are connected, and 'thermoelectric device' is different in such thermoelectric elements. In combination with the components, it means a structure.

본 발명은 전도성 지지체에 교번적으로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상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도록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상접하는 경계선을 따라 전도성 지지체가 접힌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 사이에 절연층이 위치하고, 전도성 지지체의 일 말단부 및 타 말단부에는 반도체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전극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전 모듈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are formed such that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are alternately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support, and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face each other. The conductive support is folded along the adjacent boundary line, and an insulating la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an electrode portion where no semiconductor region is formed is disposed at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nductive support. It provides a laminated thermoelectric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이하 본 발명의 적층형 열전 모듈을 각 구성 별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aminated thermoelectr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적층형 열전 모듈은 전도성 지지체에 교번적이고 반복적으로 형성된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상접하는 경계선을 따라 전도성 지지체가 접힌 형태를 가지고, 이와 같이 전도성 지지체가 접힘에 따라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 사이에는 절연층이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형 열전 모듈은 전도성 지지체의 일 말단부 및 타 말단부에 반도체 영역이 형성되지 않아 전극 역할을 수행하는 전극부가 위치한다.The laminated thermoelectr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an N-type semiconductor region that are alternately and repeatedly formed on the conductive support, wherein the conductive support is folded along a boundary line between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As the conductive support is folded,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face each other, and an insulating la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In addition, in the stacked thermoelectr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miconductor region is not formed at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nductive support so that an electrode portion serving as an electrode is positioned.

본 발명의 전도성 지지체는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탄소그라파이트, 그래핀 옥사이드, 카본 블랙, 카본 나노파이버 및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섬유일 수 있다. 또한, 전기 전도도를 고려하면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는 번들(bundle)들이 일렬로 배향되고, 다공성 형태일 수 있다.The conductiv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kind of fi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nanotubes, graphene, carbon graphite, graphene oxide, carbon black, carbon nanofibers, and conductive polymers.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the carbon nanotube fibers may be aligned in bundles and in a porous form.

이때 P형 반도체 영역은 2,3,5,6-테트라플루오루-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HAuCl4, FeCl3, 질산, 및 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친환경적이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점에서 FeCl3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rein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is 2,3,5,6-tetrafluorolu-tetracyanoquinomidimethane, 7,7,8,8-tetracyanoquinomidimethane, HAuCl 4 , FeCl 3 , nitric acid, and sulfuric acid It may be made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t may be made of FeCl 3 in that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heap.

N형 반도체 영역은 벤질 비올로젠, 트리페닐포스핀,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닐린, 폴리아진, 폴리(4-아미노스티렌), 폴리(4-비닐피리딘), 폴리아릴아민, 폴리비닐아민, 히드라진,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아민, 에틸아민 및 피롤리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침투성이 좋고 분자구조가 간단하다는 점에서 벤질 비올로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N-type semiconductor regions include benzyl viologen, triphenylphosphine, polyethyleneimine, polyaniline, polyazine, poly (4-aminostyrene), poly (4-vinylpyridine), polyarylamine, polyvinylamine, hydrazine, ethylenediamine , Triethylamine, ethylamine and pyrrolidine, and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nzyl viologen in terms of permeability and simple molecular structure.

본 발명에서 절연층으로는 가소성 고분자 또는 경화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화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를 사용하여 P형 반도체 영역 또는 N형 반도체 영역에 절연층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는 절연층 양면은 에폭시 또는 세라믹계의 절연성 접합 물질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astic polymer or a curable polymer may be used as the insulating layer, and when the curable polymer is used, the insulating layer may be fixed to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or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by using an adhesive, or both surfaces of the insulating layer Silver epoxy or ceramic insulating bonding material may be applied.

본 발명의 P형 반도체 영역을 형성하는 P형 도펀트의 농도는 0.01 mM 내지 20 mM의 범위일 수 있고, N형 반도체 영역을 형성하는 N형 도펀트의 농도는 0.1 mM 내지 100 mM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형 도펀트의 농도는 1 mM 내지 10 mM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N형 도펀트의 농도는 5 mM 내지 100 mM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oncentration of the P-type dopant forming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ange from 0.01 mM to 20 mM,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N-type dopant forming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may range from 0.1 mM to 100 mM. .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P-type dopant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mM to 10 mM, more preferably, the concentration of the N-type dopant is in the range of 5 mM to 100 mM.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모듈은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고출력이고, 또한, 자체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부를 통하여 복수개의 열전 모듈이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Despite the small size, the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output and also has an advantage that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can be easily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n electrode portion formed therein.

또한, 본 발명은 적층형 열전 모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acked thermoelectric module.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열전 모듈의 제조방법은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d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도성 지지체에 교번적으로 P형 도펀트와 N형 도펀트를 상접하도록 인쇄하여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되, 전도성 지지체의 일 말단부 및 타 말단부에는 도펀트를 인쇄하지 않는 방법으로 전극부를 형성하는 단계;By alternately printing the P-type dopant and the N-type dopant on the conductive support,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are repeatedly formed, but do not print the dopant 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ductive support. Forming a portion;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 사이 공간에 절연층을 형성하? 단계;Is an insulating layer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step;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상접하는 경계선을 따라 전도성 지지체를 접는 단계; 및Folding the conductive support along a boundary line between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such that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face each other; And

접힌 전도성 지지체를 P형 도펀트와 N형 도펀트가 인쇄된 길이 방향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d cutting the folded conductive support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to a length direction in which the P-type dopant and the N-type dopant are printed.

이하, 본 발명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step.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열전 모듈의 제조방법은 전도성 지지체에 교번적으로 P형 도펀트와 N형 도펀트를 서로 상접하도록 인쇄하여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되, 전도성 지지체의 일 말단부 및 타 말단부에는 도펀트를 인쇄하지 않는 방법으로 전극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tacked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dopant are alternately printed on the conductive support so as to repeatedly form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but at one end of the conductive support. And forming an electrode portion at the other end portion by a method not printing a dopant.

본 발명의 전도성 지지체는 예를 들어, 광폭 전도성 지지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전도성 지지체에 P형 반도체 영역, 이에 상접하는 N형 반도체 영역, 다시 이에 상접하는 P형 반도체 영역이 계속적 및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교번적으로 P형 도펀트와 N형 도펀트를 서로 상접하도록 인쇄한다.The conductiv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 example, a wide conductive support.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type dopant and the N-type dopant are alternately formed so that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adjacent thereto and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djacent thereto may be continuously and repeatedly formed on the conductive support. Print so that they touch each other.

한편,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는 전도성 지지체의 일 말단부 및 타 말단부에 도펀트를 인쇄하지 않는 방법으로 전극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도펀트를 인쇄하지 않는 방법으로 전극부를 형성하여, 추후 절단에 의하여 적층형 열전 모듈 복수개가 형성되었을 때, 이들 복수의 열전 모듈을 상기 전극부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repeatedly forming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to form the electrode portion by the method do not print the dopant 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ductive support. As such, when the plurality of stacked thermoelectric modules are formed by cutting the electrode part by a method of not printing the dopant,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lectrode part.

상기 단계에서, P형 도펀트와 N형 도펀트를 인쇄하는 방법은 브러쉬 캐스팅법, 스크린 프린팅법 및 스프레이 코팅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도핑단계에서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특정 부위에 도핑을 수행할 수 있다는 공정 용이성 관점에서 브러쉬 캐스팅법을 사용할 수 있다.In this step, the method of printing the P-type and N-type dopant may be performed by one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rush casting method, a screen printing method and a spray coating method, in particular, the mask in the doping step Brush casting can be used in view of ease of process that doping can be performed on a specific site without using.

이때, 담지 등의 방법이 아니라 브러쉬 캐스팅법 등의 방법으로 도핑을 수행함에 있어서 도핑을 원활하게 수행한다는 관점에서 P형 도펀트와 N형 도펀트의 농도는 각각 0.01 mM 내지 20 mM, 및 0.1 mM 내지 100 mM일 수 있고, 나아가, 해당 농도는 각각 1 mM 내지 10 mM, 및 5 mM 내지 50 mM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centration of the P-type dopant and N-type dopant is 0.01 mM to 20 mM, and 0.1 mM to 100, respectively, in terms of smoothly doping in performing the doping by a method such as brush casting method, rather than supporting. mM, and furthermore, the concentrations may be 1 mM to 10 mM, and 5 mM to 50 mM, respectively.

P형 도펀트로는 2,3,5,6-테트라플루오루-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HAuCl4, FeCl3, 질산, 및 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친환경적이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점에서 FeCl3를 사용할 수 있다.P-type dopants include 2,3,5,6-tetrafluororu-tetracyanoquinomidimethane, 7,7,8,8-tetracyanoquinomidimethane, HAuCl 4 , FeCl 3 , nitric acid, and sulfuric acid.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y be used, and FeCl 3 may be used in that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inexpensive.

P형 도펀트를 위한 용매로는 1,2-디클로로벤젠, 메탄올, 에탄올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고 끓는 점이 낮다는 점에서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As a solvent for the P-type dopant,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2-dichlorobenzene, methanol, ethanol and toluene may be used, and ethanol may be used in that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as low boiling point.

N형 도펀트로는 벤질 비올로젠, 트리페닐포스핀,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닐린, 폴리아진, 폴리(4-아미노스티렌), 폴리(4-비닐피리딘), 폴리아릴아민, 폴리비닐아민, 히드라진,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아민, 에틸아민 및 피롤리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침투성이 좋고 분자구조가 간단하다는 점에서 벤질 비올로젠을 사용할 수 있다.N-type dopants include benzyl viologen, triphenylphosphine, polyethyleneimine, polyaniline, polyazine, poly (4-aminostyrene), poly (4-vinylpyridine), polyarylamine, polyvinylamine, hydrazine, ethylenediamine ,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ethylamine, ethylamine and pyrrolidine may be used, and benzyl viologen may be used in view of its permeability and simple molecular structure.

N형 도펀트를 위한 용매로는 1,2-디클로로벤젠, 메탄올, 에탄올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휘발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톨루엔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solvent for the N-type dopant,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2-dichlorobenzene, methanol, ethanol and toluene can be used, and toluene can be used in view of excellent volatility.

상기 단계에서 전도성 지지체는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탄소그라파이트, 그래핀 옥사이드, 카본 블랙, 카본 나노파이버 및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섬유일 수 있다.In this step, the conductive support may be one fi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nanotubes, graphene, carbon graphite, graphene oxide, carbon black, carbon nanofibers, and conductive polymers.

상기 단계에서 사용되는 전도성 지지체가 탄소나노튜브 섬유인 경우, 탄소나노튜브 섬유는 직접 방사법(direct spinning), 응고방사법(coagulation spinning), 액정방사법(liquid-crystalline spinning), 및 브러쉬 방사법(brush spinning)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특히, 전기 전도도가 증가한다는 관점에서 직접 방사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전도도를 고려하면 상기 탄소나노튜브 섬유는 번들(bundle)들이 일렬로 배향되고, 다공성 형태일 수 있다.When the conductive support used in the step is a carbon nanotube fiber, the carbon nanotube fiber is direct spinning, coagulation spinning, liquid-crystalline spinning, and brush spinning It can be produced by one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 particular, it can be produced using a direct spinning method in terms of increasing electrical conductivity.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the carbon nanotube fibers may be aligned in bundles and in a porous form.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열전 모듈의 제조방법은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상접하는 경계선을 따라 전도성 지지체를 접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도성 지지체 상에 교번적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된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의 경계선을 따라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전도성 지지체를 접어 열전 모듈을 형성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tacked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lding a conductive support along a boundary line between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such that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face each other. A thermoelectric module is formed by folding the conductive support so that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face each other along the boundary line of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that are alternately repeatedly formed on the conductive support.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 형성 후, 전도성 지지체를 접기 전에 각 도펀트에 포함된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증발은 예를 들어 뜨거운 바람을 불어주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evaporating a solvent included in each dopant after the formation of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before folding the conductive support, wherein the evaporation is performed by, for example, hot wind. It can be done in a blowing manner.

한편, 열전 모듈에서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 사이에는 절연체가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전도성 지지체 상에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을 형성하고, 이들 중 일면에 절연층을 형성한 후, 전도성 지지체를 상기 경계선을 따라 접어 열전 모듈을 형성하거나, 또는 전도성 지지체에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을 형성하고, 전도성 지지체를 상기 경계선을 따라 일정 정도 접은 후,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한 후, 완전히 접어 열전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전도성 지지체를 접는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전도성 지지체를 접은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In the thermoelectric module, an insulator is formed between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an N-type semiconductor region are formed on a conductive support, and an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fter forming a, the conductive support is folded along the boundary to form a thermoelectric module, or to form a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an N-type semiconductor region on the conductive support, and after folding the conductive support to some extent along the boundary, P-type After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between th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the thermoelectric module may be formed by completely folding the insulating layer. That is, the step of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efore the folding of the conductive support, or may be performed after the folding of the conductive support.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절연층은 스핀 코팅법, 드랍 캐스팅법, 닥터 블레이딩법, 스프레이 코팅법 및 바 코팅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또는 접착제가 형성되어 있는 PET 양면 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layer may be carried out by one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pin coating, drop casting, doctor blading, spray coating and bar coating, or an adhesive is formed. PET double sided tape can also be used.

절연층으로 가소성 고분자 또는 경화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화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를 사용하여 P형 반도체 영역 또는 N형 반도체 영역에 절연층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는 절연층 양면은 에폭시 또는 세라믹계의 절연성 접합 물질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As the insulating layer, a plastic polymer or a curable polymer may be used, and when using a curable polymer, an adhesive may be used to fix the insulating layer to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or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or both surfaces of the insulating layer may be epoxy or ceramic. The insulating bonding material of the system may be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접힌 전도성 지지체를 P형 도펀트와 N형 도펀트가 인쇄된 길이 방향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과 같이, 접힌 전도성 지지체를 P형 도펀트와 N형 도펀트가 인쇄된 길이 방향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절단함에 의하여 복수의 적층형 열전 모듈을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utting the folded conductive support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P-type dopant and the N-type dopant are printed. As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acked thermoelectric modules can be manufactured by a simple method by cutting the folded conductive support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to the printed length direction of the P-type dopant and the N-type dopant.

이때 상기 절단은 샤링 절단, 가스 절단, 플라즈마 절단, 레이저 절단, 톱 절단 및 나이프 절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utting may be performed by one or more metho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hearing cutting, gas cutting, plasma cutting, laser cutting, saw cutting and knife cutt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전 모듈 복수개가 각각의 전극부를 통하여 직렬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열전 소자; 및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are thermoelectric elements electrically inter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respective electrode portion; And

상기 복수개의 열전 모듈 각각이 수용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가요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장치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support including a space in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are accommoda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전 장치를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component.

본 발명에 따른 열전 장치는 상기 열전 모듈 복수개가 각각의 전극부를 통하여 직렬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열전 소자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열전 모듈을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발생되는 전압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전 장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모듈 복수개를 상기 전극부를 통하여 상호 연결하기 때문에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열전 소자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ermoelectric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are electrically interconnected in series through respective electrode units. As such,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voltage generat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in series. 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forming a thermoelectric element by a very simple method because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n electrode part are interconnected through the electrode part.

이때, 복수개의 열전 모듈의 직렬 연결은 하나의 열전 모듈의 P형 반도체 영역의 면과 다른 열전 모듈의 N형 반도체 영역의 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때 연결을 위한 소재로는 알루미늄, 구리, 금, 은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복합체, 전도성 폴리머, 또는 탄소나노튜브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상용화되어 입수가 용이하다는 관점에서 실버 페이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ries connection of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may be perform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urface of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of on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surface of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of another thermoelectric module. A silver, a metal such as aluminum, copper, gold, silver, or a composite thereof, a conductive polymer, or a carbon nanotube material may be used, and silver paste may be used in view of commercialization and easy availability.

본 발명의 열전 장치는 상기와 같은 열전 소자의 각 열전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가요성 지지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 장치는 복수개의 열전 모듈이 직렬로 연결되어 열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의 전압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열전 모듈 각각이 가요성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어, 가요성을 갖는 열전 장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발열 표면에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thermoelectr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support including a space accommodating each thermoelectric modul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s described above. The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as the advantage that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to increase the voltage of electricity generated from heat,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is fixed to a flexible support, thereby providing flexibility. Since the device can be obtai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heating surface.

이때, 가요성 지지체는 유연성과 신축성이 뛰어난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PDMS(폴리디메틸 실록산)을 포함하는 실리콘 기반의 폴리머 재질 또는 이들의 복합재 또는 탄소 기반의 고분자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유연성과 안정성이라는 관점에서 실리콘 기반의 폴리머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lexible support may use a material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and elasticity, for example, a silicon-based polymer material including PDMS (polydimethyl siloxane) or a composite or carbon-based polymer material thereof may be used. In terms of flexibility and stability, the use of silicone-based polymer materials can be considered.

상기 가요성 지지체는 1 W/m·K 이하의 열전도도를 갖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열전도도가 낮은 물질을 가요성 지지체로 사용함으로써,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의 동일 온도 차에서도 더 많은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As the flexible support, a material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1 W / m · K or less may be used. By using a material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as the flexible support, more electricity can be generated even at the sam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hot portion and the cold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열전 장치는 보다 효율적인 방열 및 이에 따른 효율적인 발전을 위하여 열전 모듈 중 저온부와 접하는 측면에 가요성 방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요성 방열판은 메쉬 형태 또는 이와 다른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lexible heat sink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low temperature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for more efficient heat dissipation and thereby efficient power generation. In this case, the flexible heat sink may have a mesh form or another form.

나아가, 본 발명의 열전 장치는 보다 효율적인 전열 및 이에 따른 효율적인 발전을 위하여 열전 모듈 중 고온부 또는 고온부 및 저온부와 접하는 면에 열 이동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열 이동 통로는 예를 들어 열전도성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열전도성 테이프가 열전 모듈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알루미늄 호일이 부착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thermoelectr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 transfer passage on th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in contact with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or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and the low temperature portion for more efficient heat transfer and thus efficient power generation, wherein the heat transfer passage is, for example, thermally conductive. It may be formed of a tape, wherein the aluminum foil may be attac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in which the thermal conductive tape is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module.

나아가,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열전 모듈 각각을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가요성 지지체에 상기 복수개의 열전 모듈을 고정시키는 단계; 및 가요성 지지체에 고정된 상기 열전 모듈 복수개를 각각의 전극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직렬로 상호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ixing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to a flexible support including a space for receiving each of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fixed to the flexible support to each other in series through respective electrode unit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전 장치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step.

본 발명에 따른 열전 장치의 제조방법은 상기 열전 모듈 복수개를 각각의 전극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직렬로 상호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와 같이 복수개의 열전 모듈을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발생되는 전압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극부를 포함하는 열전 모듈 복수개를 그 전극부를 통하여 상호 연결하기 때문에, 상호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구성이 불필요하여 연결 단계가 매우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in series through respective electrode portions, thereby increasing a voltage generat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in series. It can be effected.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terconnects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including an electrode part through the electrode part as described above, an additional configuration is unnecessary for mutual electrical connection, and thus the connection step is greatly simplified.

이때, 복수개의 열전 모듈을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하는 것은 하나의 열전 모듈의 P형 반도체 영역의 면과 다른 열전 모듈의 N형 반도체 영역의 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때 연결은 알루미늄, 구리, 금, 은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복합체, 전도성 폴리머, 또는 탄소나노튜브 재질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상용화되어 입수가 용이하다는 관점에서 실버 페이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in series may be perform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urface of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of on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surface of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of another thermoelectric module. It can be performed using a metal such as silver aluminum, copper, gold, silver, or a composite thereof, a conductive polymer, or a carbon nanotube material, and may use a silver paste from the viewpoint of being commercially available.

상기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스퍼터링(sputtering), 전자빔 증착, 열증발 증착 등과 같은 건식 증착법 또는 스크린 프린팅 또는 전기도금과 같은 습식 증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브러쉬 캐스팅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as described above, a dry deposition method such as sputtering, electron beam deposition, thermal evaporation deposition, or the like, or a wet deposition method such as screen printing or electroplating may be used, or a brush casting method may be used.

본 발명의 열전 장치 제조방법은 각각의 열전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가요성 지지체에 상기 복수개의 열전 모듈을 고정시킨 후, 상기한 방법과 같이 열전 모듈 복수개를 각각의 전극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직렬로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열전 장치는 복수개의 열전 모듈이 직렬로 연결되어 열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의 전압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열전 모듈 각각이 가요성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어, 가요성을 갖는 열전 장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발열 표면에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hermoelectr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ixing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to a flexible support including a space accommodating each thermoelectric module,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each electrode unit as described above. Can be interconnected. The thermoelectric device thus formed has the advantage that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to increase the voltage of electricity generated from heat,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is fixed to a flexible support, thereby providing flexibility. Since it can be obtai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heating surface.

이때, 가요성 지지체는 유연성과 신축성이 뛰어난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PDMS(폴리디메틸 실록산)을 포함하는 실리콘 기반의 폴리머 재질 또는 이들의 복합재 또는 탄소 기반의 고분자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유연성과 안정성이라는 관점에서 실리콘 기반의 폴리머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lexible support may use a material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and elasticity, for example, a silicon-based polymer material including PDMS (polydimethyl siloxane) or a composite or carbon-based polymer material thereof may be used. In terms of flexibility and stability, the use of silicone-based polymer materials can be considered.

상기 가요성 지지체는 1 W/m·K 이하의 열전도도를 갖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열전도도가 낮은 물질을 가요성 지지체로 사용함으로써,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의 동일 온도 차에서도 더 많은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As the flexible support, a material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1 W / m · K or less may be used. By using a material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as the flexible support, more electricity can be generated even at the sam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hot portion and the cold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열전 장치의 제조방법은 보다 효율적인 방열 및 이에 따른 효율적인 발전을 위하여 열전 모듈 중 저온부와 접하는 측면에 가요성 방열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요성 방열판은 메쉬 형태 또는 이와 다른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hermoelectr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tep of forming a flexible heat sink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low temperature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for more efficient heat dissipation and thereby efficient power generation. In this case, the flexible heat sink may have a mesh form or another form.

나아가, 본 발명의 열전 장치의 제조방법은 보다 효율적인 전열 및 이에 따른 효율적인 발전을 위하여 열전 모듈 중 고온부 또는 고온부 및 저온부와 접하는 면에 열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열 이동 통로는 예를 들어 열전도성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열전도성 테이프가 열전 모듈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알루미늄 호일이 부착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hermoelectr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tep of forming a heat transfer passage on th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in contact with the hot or hot and cold portion for more efficient heat transfer and thus efficient power generation, wherein the heat transfer passage For example, may be formed of a thermally conductive tape, wherein the aluminum foil may be attac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that the thermally conductive tape is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module.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간단한 방법으로 가요성 열전 장치를 제조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표면을 갖는 적용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열전 장치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열을 통한 발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flexible thermoelectric device by a simple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o manufacture a thermoelectric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the application field having a variety of types of surface, furthermor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through he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greatly improved.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의 내용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are only inten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contents.

<실시예 1><Example 1>

열전 모듈의 제조 Manufacturing of thermoelectric modules

광폭 탄소나노튜브 웹(숭실대학교 제조) 8 cm X 30 cm를 전도성 지지체로 사용하였다.A wide carbon nanotube web (manufactured by Soongsil University) 8 cm X 30 cm was used as the conductive support.

에탄올 용매 10 mL에 FeCl3 8.1 mg을 투입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P형 도펀트를 제조하였다. 증류수 10 mL에 벤질 비올로젠 0.2 g을 녹인 후 톨루엔 10 mL을 투입하여 생성된 분리층에 소듐 보로하이드리드 7.5 g을 가하여 하루 동안 보관 후 유기층을 취하여 N형 도펀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P형 도펀트의 농도는 5 mM이었고, N형 도펀트의 농도는 50 mM이었다. 8.1 mg of FeCl 3 was added to 10 mL of ethanol and stirred uniformly to prepare a P-type dopant. 0.2 g of benzyl viologen was dissolved in 10 mL of distilled water, and 10 mL of toluene was added thereto, and 7.5 g of sodium borohydride was added to the resulting separation layer, followed by storage for 1 day to prepare an N-type dopant. The concentration of the prepared P-type dopant was 5 mM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N-type dopant was 50 mM.

상기 도펀트 중 우선 P형 도펀트를 광폭 탄소나노튜브 웹 전도성 지지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폭 0.5 cm 두께로 직선으로 인쇄하여 전도성 지지체에 P형 반도체 영역을 형성하였다. 이때 인쇄는 브러쉬 캐스팅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Among the dopants, first, a P-type dopant was printed in a straight line with a width of 0.5 cm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de carbon nanotube web conductive support to form a P-type semiconductor region on the conductive support. At this time, printing was performed using a brush casting method.

다음으로, 상기 형성된 P형 반도체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절연층을 P형 반도체 영역에 부착한 후, 이와 상접하여 상기 제조된 N형 도펀트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N형 반도체 영역을 형성하였다.Next, after the insulating layer having the same area as the formed P-type semiconductor region was attached to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using the prepared N-type dopant.

이와 같은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의 경계를 따라 전도성 지지체를 접어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을 접합하였다.The conductive support was folded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were bonded to each other with an insul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이와 같은 P형 반도체 영역을 형성하고 절연층 부착 후 N형 반도체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을 각 20회 반복하고 접는 단계를 20회 반복함으로써,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각각 20개가 반복하여 형성되도록 하였다.By forming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ttaching the insulating layer, and repeat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20 times and folding 20 times, 20 P-type semiconductor regions and 20 N-type semiconductor regions are repeated. To form.

한편, 광폭 탄소나노튜브 웹의 양 말단에 폭 0.5 cm로 반도체 영역을 형성하지 않는 방법으로 양 말단에 전극부를 형성하였다.On the other hand, electrode portions were formed at both ends by a method of not forming a semiconductor region at a width of 0.5 cm at both ends of the wide carbon nanotube web.

상기 과정을 통하여 접힌 전도성 지지체를 P형 도펀트와 N형 도펀트가 인쇄된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나이프를 이용하여 각 0.4 cm의 폭으로 절단하여 적층형 열전 모듈을 제조하였다.The laminated conductive thermoelectric module was manufactured by cutting the folded conductive support through a knife using a knif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in which the P-type dopant and the N-type dopant were printed.

<실시예 2><Example 2>

열전 장치의 제조Manufacture of thermoelectric devices

2 cm X 4 cm 크기의 PDMS(polydimethyl siloxane)를 가요성 지지체로 사용하였고, 상기 가요성 지지체에는 상기 열전 모듈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된 복수의 적층형 열전 모듈들을 상기 가요성 지지체의 홈에 삽입하여 고정시켰다. Polydimethyl siloxane (PDMS) having a size of 2 cm X 4 cm was used as the flexible support, and the flexible support is formed with a groove into which the thermoelectric module can be inserted and fixed. A plurality of stacked thermoelectric modules prepared in Example 1 were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grooves of the flexible support.

상기 가요성 지지체의 홈에 삽입하여 고정된 복수의 적층형 열전 모듈을 실버 페이스트를 이용하고 브러쉬 캐스팅방법을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하여 열전 소자 및 열전 장치를 제조하였다. 이때 열전 소자는 2 X 3로 총 6개의 열전 모듈로 구성되었으며 각 열전 모듈은 20개의 P-N쌍으로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stacked thermoelectric modules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grooves of the flexible support wer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using silver paste and brush casting to manufacture thermoelectric devices and thermoelectric devices. At this time,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composed of six thermoelectric modules of 2 X 3 and each thermoelectric module is formed of 20 P-N pairs.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에 위치한 열전 소자의 열전달을 균일하게 하고 온도차를 극대화기 위하여 열전 소자의 상판 및 하판에 열전도성 테이프를 부착하여 열전 장치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열전 장치의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uniformize the heat transfer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s located between the high temperature part and the low temperature part, and to maximize the temperature difference, a thermoelectric tape wa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plate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manufacture a thermoelectric device, and a photograph of the manufactured thermoelectric device is shown in FIG. 2. .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브러쉬 캐스링을 이용한 도핑시 도펀트 농도에 따른 전도성 지지체의 열전 특성 비교Comparison of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Conductive Supports According to Dopant Concentration in Doping with Brush Casing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인 브러쉬 캐스팅법으로 형성된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의 최적 열전성능을 구현하고 이에 따른 열전 모듈을 제작하기 위하여 각 도펀트 농도에 따른 열전 성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 및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광폭 탄소나노튜브 웹(숭실대학교 제조)을 2 cm X 2 cm로 잘라 전도성 지지체로 사용하였고, 하기 표 1에 기재된 농도의 도펀트를 전도성 지지체에 브러쉬 캐스팅으로 도포한 후 각각에 대하여 열전 성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전기 전도도는 상온에서 Keithley 195A digital multimeter 및 Keithley 220 programmable current source를 이용하여 'standard van der Pauw direct-current four-probe method'를 이용하여 측정되었고, 제벡계수는 LSR-3(Linseis,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In order to realize the optimal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formed by the brush casting method,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bricate the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ly, the thermoelectric performance was measured according to each dopant concentration. Table 1 and Figures 3 and 4 are shown. A wide carbon nanotube web (manufactured by Soongsil University) was cut into 2 cm X 2 cm and used as a conductive support, and the dopants of the concentrations described in Table 1 were applied to the conductive support by brush casting, and then thermoelectric performance was measured for each. . Specificall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measured using a standard van der Pauw direct-current four-probe method using a Keithley 195A digital multimeter and a Keithley 220 programmable current source at room temperature, and the Seebeck coefficient was LSR-3 (Linseis, Germany). Was measured using.

도펀트Dopant 도펀트 농도 (mM)Dopant Concentration (mM) 전기전도도
(S cm-1)
Electrical conductivity
(S cm -1 )
제벡계수
(μV K-1)
Seebeck coefficient
(μV K -1 )
역률
(μW m-1 K-2)
Power factor
(μW m -1 K -2 )
샘플1Sample 1 없음none 00 998.4998.4 39.239.2 153.4153.4 샘플2Sample 2 FeCl3 FeCl 3 0.010.01 1010.21010.2 43.443.4 190.3190.3 샘플3Sample 3 FeCl3 FeCl 3 0.10.1 1034.91034.9 60.860.8 382.6382.6 샘플4Sample 4 FeCl3 FeCl 3 0.50.5 1212.31212.3 77.077.0 718.8718.8 샘플5Sample 5 FeCl3 FeCl 3 1One 1414.31414.3 93.893.8 1244.41244.4 샘플6Sample 6 FeCl3 FeCl 3 55 2305.32305.3 82.282.2 2165.82165.8 샘플7Sample 7 FeCl3 FeCl 3 1010 3689.63689.6 73.873.8 2009.52009.5 샘플8Sample 8 벤질 비올로젠Benzyl viologen 0.010.01 976.6976.6 37.437.4 136.6136.6 샘플9Sample 9 벤질 비올로젠Benzyl viologen 0.10.1 968.2968.2 35.135.1 119.3119.3 샘플10Sample 10 벤질 비올로젠Benzyl viologen 0.50.5 954.1954.1 20.920.9 41.741.7 샘플11Sample 11 벤질 비올로젠Benzyl viologen 1One 946.4946.4 7.67.6 5.55.5 샘플12Sample 12 벤질 비올로젠Benzyl viologen 55 1006.21006.2 -75.6-75.6 575.1575.1 샘플13Sample 13 벤질 비올로젠Benzyl viologen 1010 1105.81105.8 -94.2-94.2 981.2981.2 샘플14Sample 14 벤질 비올로젠Benzyl viologen 5050 1132.41132.4 -102.6-102.6 1192.11192.1 샘플15Sample 15 벤질 비올로젠Benzyl viologen 100100 1140.51140.5 -89.4-89.4 911.5911.5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FeCl3 용액을 이용하여 브러쉬 캐스팅 방법으로 형성된 P형 도핑의 경우, 전기전도도 값과 제벡계수의 제곱 값의 곱으로 구해지는 역률 값이 5 mM 농도에서 최적임을 알 수 있고, 농도가 1 mM 이상인 경우 역률 값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나아가 농도가 10 mM인 경우 오히려 5 mM인 경우보다 역률 값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Table 1, in the case of the P-type doping formed by the brush casting method using FeCl 3 solution, the power factor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electric conductivity value and the square value of the Seebeck coefficient is the optimal value at 5 mM concentration.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concentration is 1 mM or more, it can be seen that the power factor value is very excellent. Furthermore, when the concentration is 10 mM, it can be seen that the power factor value is lower than that of 5 mM.

벤질 비올로젠을 이용한 N형 도핑의 경우, 1 mM 이하의 낮은 농도 영역에서는 N형 반도체를 형성하지 못하고 50 mM 농도에서 최고의 역률 값을 보이며 최적의 열전특성을 나타내었다. 농도가 5 mM 이상인 경우 역률 값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나아가 농도가 100 mM인 경우 오히려 50 mM인 경우보다 역률 값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case of N-type doping with benzyl viologen, the N-type semiconductor was not formed in the low concentration region of 1 mM or less, and showed the best thermoelectric value at 50 mM concentr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ower factor value is very excellent when the concentration is 5 mM or more, and furthermore, when the concentration is 100 mM, it can be seen that the power factor value is lower than when the concentration is 50 mM.

P형의 경우, FeCl3 용액의 농도가 1 mM 이하일 때 브러쉬 캐스팅법에 의한 도핑의 효과가 우수하지 않았으며 N형의 경우, 벤질 비올로젠의 농도가 1 mM 이하일 때는 전도성 지지체의 제벡계수가 양의 값을 보이며 브러쉬 캐스팅법으로 N형 도핑이 진행되어지지 않았다.In case of P-type, the effect of doping by brush casting method was not good when the concentration of FeCl 3 solution was 1 mM or less. In case of N-type, the Seebeck coefficient of the conductive support was positive when the concentration of benzyl viologen was 1 mM or less. N-type doping was not performed by brush casting.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열전 장치를 사용하여 온도 차에 따른 발생 전압과 발생 전류를 측정한 결과 3.3 K의 온도 차에 의해서 17.41 μW의 발전용량을 나타내었다(도 5). 제조된 열전 장치의 총 면적으로 발전용량을 나눈 발전밀도의 경우 2.17 μW cm-2로 계산되었다. 더 나아가 손가락으로 소자의 상단을 접촉하여 인체열로 온도차이를 발생시킨 경우 22 mV 및 179 μA의 전기적 신호를 얻을 수 있었다(도 6).As a result of measuring the generated voltage and the generated curr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using the thermoelectric device manufactured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of 17.41 μW was shown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3.3 K (FIG. 5). The generation density divided by the total generation capacity of the manufactured thermoelectric device was calculated to be 2.17 μW cm −2 . Furthermore,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was generated by human body heat by touching the top of the device with a finger, electrical signals of 22 mV and 179 μA were obtained (FIG. 6).

<실험예 3>Experimental Example 3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열전 장치와,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나 열전도성 테이프를 부착하지 않은 열전 장치의 발전 용량을 비교한 결과, 열전도성 테이프를 부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3.3 K의 온도 차에 의하여 발전용량이 10.22 μW였으나(도 7), 열전도성 테이프를 부착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전 장치의 경우 같은 온도 차에서 발전용량이 17.41 μW로 약 70% 가량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of the thermoelectric device manufactured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thermoelectric device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but without the thermal conductive tape, the temperature of 3.3 K was not applied. Although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was 10.22 μW due to the difference (FIG. 7), the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thermal conductive tape attached improved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to about 17% by 17.41 μW at the same temperature difference. Could get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도성 지지체의 양면에 전도성 지지체의 길이방향으로, 교번적으로 P형 도펀트와 N형 도펀트를 상접하도록 인쇄하여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되, 전도성 지지체의 일 말단부 및 타 말단부에는 도펀트를 인쇄하지 않는 방법으로 전극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 사이 공간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P형 반도체 영역과 N형 반도체 영역이 상접하는 경계선을 따라 전도성 지지체를 접는 단계; 및
접힌 전도성 지지체를 P형 도펀트와 N형 도펀트가 인쇄된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전 모듈의 제조방법.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are repeated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ductive suppo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ductive support so as to alternately contact the P-type dopant and the N-type dopant, and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nductive support are formed. Forming an electrode part by a method not printing a dopant;
Forming an insulating layer in a space between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Folding the conductive support along a boundary line between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such that the P-type semiconductor regi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region face each other; And
And cutting the folded conductive suppor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wise direction in which the P-type dopant and the N-type dopant are prin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는 브러쉬 캐스팅법, 스크린 프린팅법 및 스프레이 코팅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전 모듈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inting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thermoelectric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arried out by one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rush casting method, a screen printing method and a spray coating metho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형 도펀트의 농도는 0.01 mM 내지 20 mM 이고, N형 도펀트의 농도는 0.1 mM 내지 10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전 모듈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centration of the P-type dopant is 0.01 mM to 20 mM, the concentration of the N-type dopant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acked thermoelectric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0.1 to 100 m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복수개의 열전 모듈 각각을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가요성 지지체에 제4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열전 모듈 복수개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가요성 지지체에 고정된 상기 열전 모듈 복수개를 각각의 전극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직렬로 상호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장치의 제조방법.
Fix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claim 4 to a flexible support including a space for receiving each of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And
And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modules fixed to the flexible support electrically in series through respective electrode units.
제10항에 있어서,
열전 모듈 중 저온부와 접하는 측면에 가요성 방열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hermoelectric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flexible heat sink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low temperature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KR1020180061835A 2018-05-30 2018-05-30 Multilayered thermoelectric modu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268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835A KR102026838B1 (en) 2018-05-30 2018-05-30 Multilayered thermoelectric modu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835A KR102026838B1 (en) 2018-05-30 2018-05-30 Multilayered thermoelectric modu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838B1 true KR102026838B1 (en) 2019-09-30

Family

ID=6809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835A KR102026838B1 (en) 2018-05-30 2018-05-30 Multilayered thermoelectric modu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83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1031A (en) * 2009-09-10 2011-03-24 Toshiba Corp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KR20130137253A (en) * 2012-05-17 2013-12-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lexible multi-layered thermoelectric device with enhanced thermoelectric ability and preparation thereof
KR20140101121A (en) 2013-02-08 2014-08-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hermo electric device
WO2017156296A1 (en) * 2016-03-09 2017-09-14 Wake Forest University Thermoelectric piezoelectric generator
KR20180028157A (en) 2016-09-08 2018-03-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hermoelectric element
KR20180052269A (en) * 2016-11-10 2018-05-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lexible thermoelement comprising carbon nanotube str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1031A (en) * 2009-09-10 2011-03-24 Toshiba Corp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KR20130137253A (en) * 2012-05-17 2013-12-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lexible multi-layered thermoelectric device with enhanced thermoelectric ability and preparation thereof
KR20140101121A (en) 2013-02-08 2014-08-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hermo electric device
WO2017156296A1 (en) * 2016-03-09 2017-09-14 Wake Forest University Thermoelectric piezoelectric generator
KR20180028157A (en) 2016-09-08 2018-03-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hermoelectric element
KR20180052269A (en) * 2016-11-10 2018-05-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lexible thermoelement comprising carbon nanotube str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568B1 (en) Flexible multi-layered thermoelectric device with enhanced thermoelectric ability and preparation thereof
CN110383516B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having photothermal conversion substrate
US11211539B2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US20180294397A1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JPWO2017038773A1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manufacturing method, and heat conductive substrate
JP2016072602A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20180183360A1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JP7374624B2 (en) thermal power generation device
JP6659836B2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WO2015163105A1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KR102026838B1 (en) Multilayered thermoelectric modu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6510045B2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US10347811B2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JP6505585B2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JP6405446B2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US20220302365A1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JP2018067608A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CN107846157B (en)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KR101300758B1 (en) HIGHLY EFFICIENT π-TYPE THERMOELECTRIC MODULE FOR POWER GENERATION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JP2016192424A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WO2024053430A1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WO2017051699A1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JP6698364B2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device
JP2018010981A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564066B2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and heat conductive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conductive lamin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