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675B1 - miR-135a-5p 및 p62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조절 메커니즘 및 이의 이용 - Google Patents

miR-135a-5p 및 p62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조절 메커니즘 및 이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675B1
KR102026675B1 KR1020180017040A KR20180017040A KR102026675B1 KR 102026675 B1 KR102026675 B1 KR 102026675B1 KR 1020180017040 A KR1020180017040 A KR 1020180017040A KR 20180017040 A KR20180017040 A KR 20180017040A KR 102026675 B1 KR102026675 B1 KR 102026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
thr
ala
expression
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518A (ko
Inventor
정두일
김미선
정현석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6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analyt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nucleic acids, uric acid, worms, m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1/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sed by assay method
    • C12Q2561/113Real time assa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6Screening for pharmacologic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78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miRNA, siRNA or ncRN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0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ell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iR-135a-5p 및 p62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조절 메커니즘 및 이의 이용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p62 또는 miR-135a-5p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방법, miR-135a-5p 또는 이의 효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세포에 피검화합물을 처리하고 miR-135a-5p 또는 p62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알레르기 질환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p62 또는 miR-135a-5p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을 통해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miR-135a-5p 또는 이의 효현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사용하면 알레르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miR-135a-5p의 발현을 증가시키거나 p62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통해 알레르기 질환 치료제를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어, 앞으로 새롭고 보다 효과적인 알레르기 질환 치료제의 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miR-135a-5p 및 p62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조절 메커니즘 및 이의 이용{Regulation mechanism of allergic reaction by miR-135a-5p and p62,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miR-135a-5p 및 p62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조절 메커니즘 및 이의 이용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p62 또는 miR-135a-5p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방법, miR-135a-5p 또는 이의 효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세포에 피검화합물을 처리하고 miR-135a-5p 또는 p62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알레르기 질환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가포식(autophagy)은 리소좀에서 일어나는 분해 작용으로서 세포의 생존, 분화 및 항상성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 p62는 이러한 자가포식의 지표 단백질의 일종으로 리간드에 결합하여 자가포식 작용을 조절하고 자가포식체(autophagosome)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T세포 수용체(TCR)의 하위 표적으로 작용하고, Th2 편향 반응(Th2 polarization)과 알러지성 기도 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IKK(I kappa kinase) 복합체 활성을 조절하여 NF-kB 활성과 GATA, IL-3 생성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도 보고된 바 있다.
한편, AP1S3 유전자 결실(knock out)은 자가포식을 억제하고, p62의 비정상적인 축적을 초래하며, 피부 조직 염증을 매개하는 IL-1, IL-36 등의 발현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HDAC3 발현 조절은 유방암 세포에서 자가포식을 유도하며, HDAC3는 알레르기 반응 시 그 발현이 증가하고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매개한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HDAC 억제제(inhibitor)는 mTOR 억제제의 효과를 증가시킴으로써 자가포식성 세포괴사를 증가시키고, HDAC8 발현감소는 SOCS1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키며, SOCS1은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매개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인간 피부 각질 세포에서 TLR2/6 또는 TLR4 활성화는 자가포식작용을 활성화시키고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통해 p62의 발현을 유도하며, p62/SQSTM1(p62)는 자가포식작용에서 수용체로서 유비퀴탄화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리고 자가포식은 비반세포에서의 탈입자 반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H3R(히스타민H3 수용체) 차단은 mTOR 인산화를 억제하여 자가포식을 강화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자가포식에서의 p62의 역할,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는 다양한 인자들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된 바 있으나, 아직까지 알레르기 반응에서 p62의 역할에 관해서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발명자는 HDAC3 등의 자가포식 및 알레르기 반응에서의 역할, 자가포식과 다양한 염증 반응과의 관련성, p62의 자가포식에서의 역할들에 관한 상기와 같은 여러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p62가 알레르기 반응을 조절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였고, 만약 그렇다면 p62의 발현을 조절하는 miRNA 유전자들 또한 알레르기 반응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여 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의 결과, p62가 알레르기 반응을 매개하고, miR-135가 이러한 p62의 발현을 음성적으로 조절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Cha-Molstad H, Yu JE, Feng Z, Lee SH, Kim JG, Yang P, Han B, Sung KW, Yoo YD, Hwang J, McGuire T, Shim SM, Song HD, Ganipisetti S, Wang N, Jang JM, Lee MJ, Kim SJ, Lee KH, Hong JT, Ciechanover A, Mook-Jung I, Kim KP, Xie XQ, Kwon YT, Kim BY. p62/SQSTM1/Sequestosome-1 is an N-recognin of the N-end rule pathway which modulates autophagosome biogenesis. Nat Commun. 2017 Jul 24;8(1):102. Mahil SK, Twelves S, Farkas K, Setta-Kaffetzi N, Burden AD, Gach JE, Irvine AD, Kepiro L, Mockenhaupt M, Oon HH, Pinner J, Ranki A, Seyger MM, Soler-Palacin P, Storan ER, Tan ES, Valeyrie-Allanore L, Young HS, Trembath RC, Choon SE, Szell M, Bata-Csorgo Z, Smith CH, Di Meglio P, Barker JN, Capon F. AP1S3 Mutations Cause Skin Autoinflammation by Disrupting Keratinocyte Autophagy and Up-Regulating IL-36 Production. J Invest Dermatol. 2016 Nov;136(11):2251-2259. Kim Y, Kim K, Park D, Lee E, Lee H, Lee YS, Choe J, Jeoung D. Histone deacetylase 3 mediates allergic skin inflammation by regulating expression of MCP1 protein. J Biol Chem. 2012 Jul 27;287(31):25844-59. Noh K, Kim M, Kim Y, Kim H, Kim H, Byun J, Park Y, Lee H, Lee YS, Choe J, Kim YM, Jeoung D. miR-122-SOCS1-JAK2 axis regulates allergic inflammation and allergic inflammation-promoted cellular interactions. Oncotarget. 2017 Jul 10;8(38):63155-63176.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알레르기 질환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레르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알레르기 질환 치료제를 효과적으로 스크리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검사대상의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검체로부터 p62 또는 miR-135a-5p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측정된 p62의 발현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높을 경우 알레르기 질환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miR-135a-5p의 발현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낮을 경우 알레르기 질환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질환은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특히 아나필락시스,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및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체는 p62 또는 miR-135a-5p의 발현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생물학적 검체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대상의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복수 등을 검체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도 조직이나 세포를 사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p62 또는 miR-135a-5p의 발현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현수준은 p62에 대한 웨스턴 블롯 또는 ELISA를 수행하거나, miR-135a-5p에 대한 정량적 실시간 PCR을 수행하여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단백질 또는 마이크로RNA의 발현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스턴 블롯, ELISA, 정량적 실시간 PCR을 포함하여, 면역침강, 면역형광염색, 마이크로어레이 발현 프로파일링(microarray expression profiling), PCR, 역전사 PCR(RT-PCR), 역전사 실시간 PCR, 노던블롯(northern blot), 질량분석법, 핵산시퀀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miR-135a-5p 또는 이의 효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효현제는 a) miR-135a-5p의 서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b) pre-miR-135a의 서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c) miR-135a-5p를 암호화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여 동물의 세포 내에서 miR-135a-5p를 발현하는 벡터; 및 d) pre-miR-135a를 암호화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여 동물의 세포 내에서 pre-miR-135a를 발현하는 벡터; 중에서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질환은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특히 아나필락시스,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및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miR-135a-5p를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및 p62를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세포에 피검화합물을 처리하는 단계; b) 피검화합물이 처리된 세포에서 miR-135a-5p 또는 p62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대조군과 비교하여 miR-135a-5p의 발현수준이 증가되거나 p62의 발현수준이 감소된 시험군의 피검화합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miR-135a-5p의 발현수준이 증가시키거나 p62의 발현수준이 감소시키는 피검화합물은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새로운 알레르기 질환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인간 또는 쥐의 비반세포(mast cell)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보다 효과적으로 알레르기 질환 치료제를 스크리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질환은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특히 아나필락시스,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및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효과적으로 스크리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현수준은 p62에 대한 웨스턴 블롯 또는 ELISA를 수행하거나, miR-135a-5p에 대한 정량적 실시간 PCR을 수행하여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단백질 또는 마이크로RNA의 발현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스턴 블롯, ELISA, 정량적 실시간 PCR을 포함하여, 면역침강, 면역형광염색, 마이크로어레이 발현 프로파일링(microarray expression profiling), PCR, 역전사 PCR(RT-PCR), 역전사 실시간 PCR, 노던블롯(northern blot), 질량분석법, 핵산시퀀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p62 또는 miR-135a-5p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을 통해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miR-135a-5p 또는 이의 효현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사용하면 알레르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miR-135a-5p의 발현을 증가시키거나 p62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통해 알레르기 질환 치료제를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어, 앞으로 새롭고 보다 효과적인 알레르기 질환 치료제의 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의 A는 RBL2H3 세포주에서 항원 자극에 의해 p62의 발현이 증가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항원 자극에 의해 자가포식(autophagy)의 지표 단백질인 ATG-5, LC3-II, pBeclin1Ser15 등의 발현이 증가하고 기지의 알레르기 지표 단백질인 HDAC3, TGaseII 등의 발현 또한 항원 자극에 의해 증가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의 B는 RNA 간섭에 따라 RBL2H3 세포주에서 p62의 발현이 감소될 경우 알레르기 반응의 지표 단백질인 HDAC3, TGaseII 등의 발현과 자가포식 지표 단백질들의 발현이 감소되고 알레르기 반응에 따른 FcεRI-HDAC3 결합과 FcεRI-Lyn 결합이 억제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의 C는 RNA 간섭에 따라 p62의 발현이 감소될 경우 알레르기 반응의 지표 반응인 베타 헥소스아미니다제(β-hexosaminidase) 활성이 감소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의 A는 BALB/C 쥐를 이용한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 모델에서 p62의 발현감소로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 유도에 따른 혈관 투과성 증가가 억제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의 B는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 모델에서 p62의 발현감소로 항원 자극에 의한 β-hexosaminidase 활성 증가가 억제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의 C는 조직을 이용한 웨스턴 결과로서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에 의한 HDAC3, TGaseII 발현 증가가 p62 의존적으로 일어남을 나타내고, 면역침강 결과 p62 발현 감소가 FcεRI-Lyn, FcεRI-HDAC3, FcεRI-TGaseII 결합을 억제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의 A는 BALB/C 동물 모델에서 p62가 수동적 전신성 아나필락시스를 매개함을 RNA 간섭 실험을 통해 나타낸 것이다. 수동적 전신성 아나필락시스는 직장의 온도를 강하시키고 p62 발현감소는 이를 억제한다.
도 3의 B는 폐 조직을 이용한 효소 분석 결과로서 p62의 발현이 감소될 경우 알레르기 반응의 지표 반응인 β-hexosaminidase 활성이 감소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의 C는 폐 조직을 이용한 웨스턴 블롯 결과로서 p62의 발현이 감소될 경우 알레르기 반응의 지표 단백질인 HDAC3, TGaseII 등의 발현이 감소되고 알레르기 반응에 따른 FcεRI-Lyn, FcεRI-HDAC3, FcεRI-TGaseII 결합이 억제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의 A는 항원 자극된 RBL2H3 세포주에서 miR-135a-5p의 발현이 감소됨을 qRT-PCR(quantitative real-time PCR) 실험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B는 miR-135a-5p 저해제의 처리로 RBL2H3 세포주의 miR-135a-5p의 발현이 감소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의 C는 RBL2H3 세포주에서 miR-135a-5p 저해제로 인한 miR-135a-5p 발현 감소가 알레르기 지표 분자인 HDAC3, SOCS1 등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ATG-5, LC3-II, pBeclin1Ser15 등의 지가포식 지표 단백질들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FcεRI-Lyn, FεRI-HDAC3, FcεRI-SOCS1 결합을 유도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의 D는 RBL2H3 세포주에서 miR-135a-5p 저해제가 농도 의존적으로 β-hexosaminidase 활성을 증가시키며(상단), p62 발현을 증가시킴(하단)을 qRT-PCR 실험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E는 RBL2H3 세포주에서 miR-135a-5p 저해제가 자가포식의 지표 단백질인 LC3 puncta 발현을 증가시킴을 면역형광염색 실험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F는 RBL2H3 세포주에서 miR-135a-5p 저해제 처리 후 수득한 조건 배지가 혈관신생능을 증가시킴을 마트리겔 플러그(matrigel plug) 분석을 통해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는 miR-135a-5p 저해제를 통한 miR-135a-5p 발현 감소가 BALB/C 쥐의 혈관 투과성을 항원 비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의 B는 BALB/C 쥐의 귀 조직을 이용한 qRT-PCR 분석에서 miR-135a-5p 저해제가 p62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의 C는 BALB/C 쥐의 귀 조직을 이용한 웨스턴 블롯과 면역침강 분석을 통해 miR-135a-5p 저해제가 HDAC3, SOCS1 등의 발현과 LC3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자가포식 지표 단백질들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항원 비의존적으로 FcεRI-Lyn, FεRI-HDAC3, FcεRI-SOCS1 결합을 유도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의 D는 BALB/C 쥐의 귀 조직을 이용한 분석에서 miR-135a-5p 저해제가 항원 비의존적으로 β-hexosaminidase 활성을 증가시킴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의 A는 miR-135a-5p 모방체가 RBL2H3 세포주에서 항원 자극에 의한 자가포식 지표 단백질들과 HDAC3 등의 알레르기 반응 지표 분자들의 발현 증가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며(좌측), 항원 자극에 의한 FcεRI-Lyn, FεRI-HDAC3, FcεRI-SOCS1 결합 유도를 억제함(우측)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의 B는 RBL2H3 세포주의 항원 자극으로 miR-135a-5p의 발현 수준이 감소하고, miR-135a-5p 모방체의 처리에 따라 증가함을 qRT-PCR 분석으로 관찰한 것이다.
도 7의 A는 BALB/C 쥐를 이용한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 모델에서 miR-135a-5p 모방체에 의한 miR-135a-5p 발현 증가가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 유도에 따른 혈관 투과성 증가를 억제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의 B는 BALB/C 쥐를 이용한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 모델에서 miR-135a-5p 모방체에 의한 miR-135a-5p 발현 증가가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 유도에 따른 β-hexosaminidase 활성 증가를 억제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의 C는 BALB/C 쥐를 이용한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 모델에서 miR-135a-5p 모방체에 의한 miR-135a-5p 발현 증가가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 유도에 따른 HDAC3, SOCS1, p62 등의 발현과 LC3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자가포식 지표 단백질들의 발현 증가를 억제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알레르기 질환의 바이오마커로 p62 또는 miR-135a-5p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miR-135a-5p 또는 이의 효현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62는 자가포식의 지표 단백질의 일종으로 리간드에 결합하여 자가포식 작용을 조절하고 자가포식체 생성에 관여하는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로,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의 Genbank 데이터베이스 등을 통해 잘 알려져 있다. 인간(Homo sapiens)의 경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쥐(Mus musculus)의 경우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 밖에 다양한 오솔로그(ortholog)들이 알려져 있다.
miR-135a는 작은 크기의 RNA 분자로, 마이크로RNA 데이터베이스인 miRBase(http://www.mirbase.org) 등을 통해 잘 알려져 있다. 인간(Homo sapiens)의 경우, pre-miRNA 서열(스템-루프 서열, stem-loop sequence)은 서열번호 3과 같으며, 서열번호 4의 has-miR-135a-5p와 서열번호 5의 hsa-miR-135a-3p의 두 가지 성숙한 형태가 존재한다. 생쥐(Mus musculus)의 경우 pre-miRNA 서열은 서열번호 6과 같으며, 서열번호 7의 mmu-miR-135a-5p와 서열번호 8의 mmu-miR-135a-3p의 두 가지 성숙한 형태가 존재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p62와 miR-135a의 성숙한 형태인 miR-135a-5p가 알레르기 질환에 관여한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것으로, 연구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알레르기 반응 연구의 대상 세포주인 쥐의 호염기구 세포(rat basophilic leukemia cell; RBL2H3 cells)에서 항원(DNP-HSA; dinitrophenyl-human serum albumin) 자극에 의해 p62의 발현이 증가하며, 이외에도 자가포식(autophagy)의 표지 단백질들인 ATG-5, LC3-II, pBeclin1Ser15 등의 발현이 증가하고 기지의 알레르기 표지 단백질들인 HDAC3, TGaseII 등의 발현 또한 항원 자극에 의해 증가한다.
(2) RNA 간섭에 의한 p62의 발현 감소는 세포 수준에서의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한다.
(3) p62는 BALB/C 쥐를 이용한 아나필라시스 모델에서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매개한다.
(4) p62는 BALB/C 쥐를 이용한 아나필라시스 모델에서 수동적 전신성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매개한다.
(5) RBL2H3 세포주에 항원(DNP-HSA)을 처리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할 경우 miR-135a-5p의 발현이 감소한다.
(6) TargetScan 분석 결과 miR-135a-5p는 p62 유전자의 3ㅄ-UTR(untranslated region; 비 번역 영역)에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miR-135a-5p 억제 분자(miR-135a-5p inhibitor)에 의한 miR-135a-5p 발현 감소는 항원 비의존적으로 세포(RBL2H3 cells) 수준에서의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하고 p62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8) miR-135a-5p 억제 분자에 의한 miR-135a-5p 발현 감소는 항원 비의존적으로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유도한다.
(9) miR-135a-5p mimic에 의한 miR-135a-5p 발현 증가는 세포 수준(RBL2H3 세포주)에서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한다.
(10) miR-135a-5p mimic에 의한 miR-135a-5p 발현 증가는 동물모델(BALB/C 쥐)에서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서 miR-135a-5p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 예를 들어 원숭이, 돼지, 말, 소, 양, 개, 고양이, 생쥐, 토끼 등으로부터 유래한 것일 수 있으며, 인간 유래의 것(hsa-miR-135a-5p)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miR-135a-5p의 효현제는 miR-135a-5p의 작용성 등가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miR-135a-5p와 같이 p62 유전자의 3ㅄ-UTR에 결합하여 p62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여 동물의 세포 내에서 miR-135a-5p를 발현하는 벡터일 수 있다. 또한, miR-135a-5p에서 일부 염기서열이 결실, 치환 또는 삽입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기능적으로 동등한 작용을 할 수 있는 변이체도 포함하며,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형태가 아닌 PNA(peptide nucleic acids) 또는 LNA(locked nucleic acid)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 miR-135a-5p의 서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b) pre-miR-135a의 서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c) miR-135a-5p를 암호화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여 동물의 세포 내에서 miR-135a-5p를 발현하는 벡터; 및 d) pre-miR-135a를 암호화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여 동물의 세포 내에서 pre-miR-135a를 발현하는 벡터;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miR-135a-5p 또는 이의 효현제는 식품의약안정청(KFDA)의 통상적인 약학 제제로의 제형화 기준 또는 건강보조식품의 제형 기준에 의거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miR-135a-5p 또는 이의 효현제는 그 자체를 사용하거나 마이크로RNA 본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부가염 또는 금속 복합체 등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miR-135a-5p, 이의 효현제 및 이들의 염 형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투여방법, 투여형태 및 치료목적에 따라 상기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혼합하여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비경구 투여 시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주사, 자궁내 경막주사, 뇌혈관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고,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 약학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것이나, 통상적으로 조성물에 함유된 본 발명의 miR-135a-5p 및 이의 효현제를 기준으로 하루에 약 0.0001 내지 100㎎/㎏일 수 있으며, 하루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임상 투여 시에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miR-135a-5p 및 이의 효현제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p62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매개
DNP(dinitropheny)-특이적 IgE 항체로 감작된 RBL2H3 세포주(rat basophilic leukmia)에 항원(DNP-HSA, DNP-human serum albumin, 100ng/㎖)을 시간별로 처리하고 각 시간별로 수득한 단백질을 대상으로 웨스턴 블롯을 수행한 결과, 항원 자극에 의해 TGaseII, HDAC3 등의 알레르기 반응의 지표 단백질들의 발현이 증가하고, p62의 발현도 증가하였다(도 1의 A 참조). 또한 상기 항원은 시간 의존적으로 자가포식(autophagy) 지표 단백질들(ATG5, LC3-I/II, pBeclin1Ser15)의 발현수준을 증가시켰다(도 1의 A 참조).
RBL2H3 세포주에 scrambled siRNA(10nM)(단백질 발현 억제 기능이 없는 siRNA)(Scr.) 혹은 si-p62[sense 5'-GACGAUGACUGGACACAUU-3'(서열번호 9) 및 antisense 5'-AAUGUGUCCAGUCAUCGUC-3'(서열번호 10)인 siRNA](10nM)(SiP62)를 처리하고 다음날 DNP-특이적 IgE 항체로 24시간 감작한 후 전술한 항원으로 4시간 처리 후에 웨스턴 블롯을 수행한 결과, si-p62에 의한 p62 발현 감소는 항원 자극에 의한 HDAC3 등의 발현과 자가포식(autophagy) 지표 단백질들의 발현 증가를 억제하고 항원 자극에 의한 FcεRI-Lyn, FcεRI-HDAC3 결합을 억제하였다(도 1의 B 참조). 또한, si-p62에 의한 p62 발현 감소는 항원 자극에 의한 β-hexosaminidase 활성증가를 억제하였다(도 1의 C 참조).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p62는 in vitro 알레르기 반응을 매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p62에 의한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 매개
수동성 피하 아나필락시스(passive cutaneous anaphylaxis)는 기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유도하였다. 구체적으로, DNP-특이적 IgE 항체(0.5㎍/㎏ 쥐)를 BALB/C 쥐의 귀에 주사하고 24시간 후에 항원인 DNP-HSA(250㎍/㎏ 쥐)와 에반스 용액(evans blue solution)을 포함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를 전술한 BALB/C 쥐의 꼬리 정맥에 주사하여 아나필락시스를 유도하였다.
이때, si-p62(100nM) 혹은 scrambled siRNA(100nM)(대조군)를 DNP-특이적 IgE 항체와 함께 주사하였다.
항원 자극 30분 후에 쥐의 귀를 잘라서 포름아마이드 용액에 침지시킨 다음 에반스 용액을 용출하고 용출정도를 광학밀도(optical density)로 측정함으로써 혈관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기지의 방법에 따라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를 유도한 다음 scrambled siRNA 혹은 si-p62의 처리에 따른 혈관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 si-p62에 의한 p62 발현 감소는 혈관 투과성 증가를 억제하였다(도 2의 A 참조).
같은 쥐의 귀 조직을 이용하여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아나필락시스 유도는 β-hexosaminidase 활성을 증가시키고 si-p62에 의한 p62 발현 감소는 이의 증가를 억제하였다(도 2의 B 참조).
같은 쥐의 귀 조직을 이용하여 웨스턴 블롯을 수행한 결과, 아나필락시스 유도는 p62, TGaseII, HDAC3 등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si-p62에 의한 p62 발현 감소는 아나필락시스에 의한 상기와 같은 단백질의 발현 증가를 억제하였다(도 2의 C 참조). 또한 si-p62에 의한 p62 발현 감소는 아나필락시스에 의한 FcεRI-Lyn, FcεRI-HDAC3 등의 결합을 억제하였다(도 2의 C 참조).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p62는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를 매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p62에 의한 수동적 전신성 아나필락시스 매개
수동성 전신성 아나필락시스(passive systemic anaphylaxis)는 기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유도하였다. 구체적으로, DNP-특이적 IgE 항체(0.5㎍/㎏ 쥐)를 BALB/C 쥐의 꼬리 정맥에 주사하고 24시간 후에 항원인 DNP-HSA(250㎍/㎏ 쥐)를 BALB/C 쥐의 꼬리 정맥에 주사하여 아나필락시스를 유도하였다.
이때, si-p62(100nM) 혹은 scrambled siRNA(100nM)(대조군)를 DNP-특이적 IgE 항체와 함께 주사하였다.
유도 후 직장 온도(rectal temperature)는 기지의 digital gauge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조직으로부터 용출물을 기지의 방법에 따라 수득하여 웨스턴 블롯, 면역침강, 효소 활성 측정 등을 수행하였다.
이의 결과, 기지의 방법에 따라 아나필락시스를 유도할 경우 직장의 온도가 강하되었으며, si-p62에 의한 p62 발현 감소는 아나필락시스에 의한 직장온도 강하를 억제하였다(도 3의 A 참조).
BALB/C 쥐의 폐 조직을 이용한 효소활성 측정 결과, 아나필락시스 유도는 β-hexosaminidase 활성을 증가시키고 si-p62에 의한 p62 발현 감소는 이의 증가를 억제하였다(도 3의 B 참조).
BALB/C 쥐의 폐 조직을 이용한 웨스턴 블롯 결과, 아나필락시스 유도는 HDAC3, TGaseII, p62 등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si-p62에 의한 p62 발현 감소는 아나필락시스에 의한 상기와 같은 단백질의 발현 증가를 억제하였다(도 3의 C 참조). 또한, si-p62에 의한 p62 발현 감소는 아나필락시스에 의한 FcεRI-Lyn, FcεRI-HDAC3, FcεRI-TGaseII 결합을 억제하였다(도 3의 C 참조).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p62는 수동적 전신성 아나필락시스를 매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miR-135a-5p에 의한 항원 비의존적 세포 수준의 알레르기 반응 조절
항원 자극된 RBL2H3 세포주에서 miR-135a-5p의 발현수준이 감소하는 것을 qRT-PCR을 통해 확인하였다(도 4의 A 참조).
이에 RBL2H3 세포주에 miR-135a-5p 저해제(5'-UUCACAUAGGAAUAAAAAGCCAUA-3'(서열번호 11) 서열의 RNA)(10nM)(miR-135a-5p Inh.)를 트랜스팩션하여 miR-135a-5p 발현을 감소시키고 웨스턴 블롯, 면역침강, 효소 활성 측정, 면역형광염색 등을 수행하였다. 대조군은 대조 저해제(10nM)(miRNA 저해 기능이 없는 RNA)(Ctrl. Inh.)를 트랜스팩션하였다.
이의 결과, miR-135a-5p 발현 감소로 인해 p62, HDAC3, SOCS1 등의 발현과 자가포식 지표 단백질들의 발현이 증가되고 항원 비의존적으로 FcεRI-Lyn, FcεRI-HDAC3, FcεRI-SOCS1 결합이 유도되었다(도 4의 C 참조).
또한, 항원 비의존적으로 β-hexosaminidase 활성이 증가하고, qRT-PCR 분석에서 p62 발현이 증가하였으며(도 4의 D 참조), 면역형광염색에서 자가포식 지표 단백질인 LC-3 단백질의 puncta pattern이 증가하였다(도 4의 E 참조).
그리고 miR-135a-5p 저해제를 트랜스팩션하여 miR-135a-5p 발현이 억제된 RBL2H3 세포주의 조건 배지는 대조군 RBL2H3 새포주에서 수득한 조건 배지에 비해 혈관신생능이 높음을 마트리젤 플러그(matrigel plug)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도 4의 F 참조).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miR-135a-5p는 항원 비의존적으로 세포 수준에서 알레르기 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5. miR-135a-5p에 의한 항원 비의존적 in vivo 알레르기 반응 조절
BALB/C 쥐의 귀에 miR-135a-5p 저해제(100nM) 또는 대조 저해제(100nM)(대조군)를 주사하고 다음 날, BALB/C 쥐의 꼬리정맥으로 2%(v/v) 에반스 용액을 주사하였다. 주사 1시간이 경과한 후, 혈관 투과도를 기지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 miR-135a-5p 저해제를 BALB/C 쥐의 귀에 주사할 경우 항원 비의존적으로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였다(도 5의 A 참조).
또한, 이 BALB/C 쥐의 귀 조직을 이용한 qRT-PCR 분석에서 miR-135a-5p 저해제는 p62 mRNA 발현을 증가시키고(도 5의 B 참조), 같은 조직을 이용한 웨스턴 블롯에서 miR-135a-5p 저해제는 HDAC3, SOCS1, p62 등의 발현과 자가포식 지표 단백질들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항원 비의존적으로 FcεRI-Lyn, FcεRI-HDAC3, FcεRI-SOCS1 결합을 유도하였다(도 5의 C 참조).
또한, 같은 조직을 이용한 효소 활성 분석에서 miR-135a-5p 저해제는 항원 비의존적으로 β-hexosaminidase 활성을 증가시켰다(도 5의 D 참조).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miR-135a-5p는 항원 비의존적으로 in vivo 알레르기 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6. miR-135a-5p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억제
RBL2H3 세포주에 miR-135a-5p 모방체(miR-135a-5p 서열로 이루어지는 합성 RNA)(10nM)(miR-135a-5p mimic) 또는 대조 모방체(단백질 발현 억제 기능이 없는 RNA)(Ctrl. mimic)를 트랜스팩션하고 24시간 후에 DNP-특이적 IgE 항체를 24시간 처리한 후 항원(DNP-HSA 100ng/㎖)을 1시간 처리하고, 기지의 방법에 따라 웨스턴 블롯과 면역침강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의 결과, miR-135a-5p 모방체에 의한 miR-135a-5p의 과발현은 항원 자극에 의한 자가포식 지표 단백질들 및 알레르기 반응 지표 분자들의 발현증가를 억제하였다(도 6의 A 참조).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miR-135a-5p 또는 이의 효현제는 알레르기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7. miR-135a-5p에 의한 수동적 피하 아나필락시스 반응 억제
BALB/C 쥐의 귀에 DNP-특이적 IgE 항체(0.5㎍/㎏ 쥐)를 miR-135a-5p 모방체(100nM) 또는 대조 모방체(100nM)와 함께 주사하고 다음 날, BALB/C 쥐의 꼬리정맥으로 PBS 혹은 항원인 DNP-HSA(250㎍/㎏ 쥐)를 2%(v/v) 에반스 용액과 더불어 주사하였다. 주사 1시간이 경과한 후, 혈관 투과도를 기지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 miR-135a-5p 모방체는 항원 자극에 의한 혈관 투과성 증가를 억제하였다(도 7의 A 참조).
또한, 이 BALB/C 쥐의 귀 조직을 이용한 효소 활성 분석에서 miR-135a-5p 모방체는 항원 자극에 의한 β-hexosaminidase 활성증가를 억제하였고(도 7의 B 참조), 같은 조직을 이용한 웨스턴 블롯에서 miR-135a-5p 모방체는 항원 자극에 의한 자가포식 지표 단백질들 및 알레르기 반응 지표 분자들의 발현증가를 억제하였다(도 7의 C 참조).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miR-135a-5p 또는 이의 효현제는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110> KNU-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120> Regulation mechanism of allergic reaction by miR-135a-5p and p62, and use thereof <130> PA-D18012 <160> 1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2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Met Ser Gly Phe Asn Phe Gly Gly Thr Gly Ala Pro Thr Gly Gly Phe 1 5 10 15 Thr Phe Gly Thr Ala Lys Thr Ala Thr Thr Thr Pro Ala Thr Gly Phe 20 25 30 Ser Phe Ser Thr Ser Gly Thr Gly Gly Phe Asn Phe Gly Ala Pro Phe 35 40 45 Gln Pro Ala Thr Ser Thr Pro Ser Thr Gly Leu Phe Ser Leu Ala Thr 50 55 60 Gln Thr Pro Ala Thr Gln Thr Thr Gly Phe Thr Phe Gly Thr Ala Thr 65 70 75 80 Leu Ala Ser Gly Gly Thr Gly Phe Ser Leu Gly Ile Gly Ala Ser Lys 85 90 95 Leu Asn Leu Ser Asn Thr Ala Ala Thr Pro Ala Met Ala Asn Pro Ser 100 105 110 Gly Phe Gly Leu Gly Ser Ser Asn Leu Thr Asn Ala Ile Ser Ser Thr 115 120 125 Val Thr Ser Ser Gln Gly Thr Ala Pro Thr Gly Phe Val Phe Gly Pro 130 135 140 Ser Thr Thr Ser Val Ala Pro Ala Thr Thr Ser Gly Gly Phe Ser Phe 145 150 155 160 Thr Gly Gly Ser Thr Ala Gln Pro Ser Gly Phe Asn Ile Gly Ser Ala 165 170 175 Gly Asn Ser Ala Gln Pro Thr Ala Pro Ala Thr Leu Pro Phe Thr Pro 180 185 190 Ala Thr Pro Ala Ala Thr Thr Ala Gly Ala Thr Gln Pro Ala Ala Pro 195 200 205 Thr Pro Thr Ala Thr Ile Thr Ser Thr Gly Pro Ser Leu Phe Ala Ser 210 215 220 Ile Ala Thr Ala Pro Thr Ser Ser Ala Thr Thr Gly Leu Ser Leu Cys 225 230 235 240 Thr Pro Val Thr Thr Ala Gly Ala Pro Thr Ala Gly Thr Gln Gly Phe 245 250 255 Ser Leu Lys Ala Pro Gly Ala Ala Ser Gly Thr Ser Thr Thr Thr Ser 260 265 270 Thr Ala Ala Thr Ala Thr Ala Thr Thr Thr Ser Ser Ser Ser Thr Thr 275 280 285 Gly Phe Ala Leu Asn Leu Lys Pro Leu Ala Pro Ala Gly Ile Pro Ser 290 295 300 Asn Thr Ala Ala Ala Val Thr Ala Pro Pro Gly Pro Gly Ala Ala Ala 305 310 315 320 Gly Ala Ala Ala Ser Ser Ala Met Thr Tyr Ala Gln Leu Glu Ser Leu 325 330 335 Ile Asn Lys Trp Ser Leu Glu Leu Glu Asp Gln Glu Arg His Phe Leu 340 345 350 Gln Gln Ala Thr Gln Val Asn Ala Trp Asp Arg Thr Leu Ile Glu Asn 355 360 365 Gly Glu Lys Ile Thr Ser Leu His Arg Glu Val Glu Lys Val Lys Leu 370 375 380 Asp Gln Lys Arg Leu Asp Gln Glu Leu Asp Phe Ile Leu Ser Gln Gln 385 390 395 400 Lys Glu Leu Glu Asp Leu Leu Ser Pro Leu Glu Glu Leu Val Lys Glu 405 410 415 Gln Ser Gly Thr Ile Tyr Leu Gln His Ala Asp Glu Glu Arg Glu Lys 420 425 430 Thr Tyr Lys Leu Ala Glu Asn Ile Asp Ala Gln Leu Lys Arg Met Ala 435 440 445 Gln Asp Leu Lys Asp Ile Ile Glu His Leu Asn Thr Ser Gly Ala Pro 450 455 460 Ala Asp Thr Ser Asp Pro Leu Gln Gln Ile Cys Lys Ile Leu Asn Ala 465 470 475 480 His Met Asp Ser Leu Gln Trp Ile Asp Gln Asn Ser Ala Leu Leu Gln 485 490 495 Arg Lys Val Glu Glu Val Thr Lys Val Cys Glu Gly Arg Arg Lys Glu 500 505 510 Gln Glu Arg Ser Phe Arg Ile Thr Phe Asp 515 520 <210> 2 <211> 52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 Met Ser Gly Phe Asn Phe Gly Gly Thr Gly Ala Pro Ala Gly Gly Phe 1 5 10 15 Thr Phe Gly Thr Ala Lys Thr Ala Thr Thr Thr Pro Ala Thr Gly Phe 20 25 30 Ser Phe Ser Ala Ser Gly Thr Gly Thr Gly Gly Phe Asn Phe Gly Thr 35 40 45 Pro Ser Gln Pro Ala Ala Thr Thr Pro Ser Thr Ser Leu Phe Ser Leu 50 55 60 Thr Thr Gln Thr Pro Thr Thr Gln Thr Pro Gly Phe Asn Phe Gly Thr 65 70 75 80 Thr Pro Ala Ser Gly Gly Thr Gly Phe Ser Leu Gly Ile Ser Thr Pro 85 90 95 Lys Leu Ser Leu Ser Asn Ala Ala Ala Thr Pro Ala Thr Ala Asn Thr 100 105 110 Gly Ser Phe Gly Leu Gly Ser Ser Thr Leu Thr Asn Ala Ile Ser Ser 115 120 125 Gly Ser Thr Ser Asn Gln Gly Thr Ala Pro Thr Gly Phe Val Phe Gly 130 135 140 Ser Ser Thr Thr Ser Ala Pro Ser Thr Gly Ser Thr Gly Phe Ser Phe 145 150 155 160 Thr Ser Gly Ser Ala Ser Gln Pro Gly Ala Ser Gly Phe Ser Leu Gly 165 170 175 Ser Val Gly Ser Ser Ala Gln Pro Thr Ala Leu Ser Gly Ser Pro Phe 180 185 190 Thr Pro Ala Thr Leu Val Thr Thr Thr Ala Gly Ala Thr Gln Pro Ala 195 200 205 Ala Ala Ala Pro Thr Ala Ala Thr Thr Ser Ala Gly Ser Thr Leu Phe 210 215 220 Ala Ser Ile Ala Ala Ala Pro Ala Ser Ser Ser Ala Thr Gly Leu Ser 225 230 235 240 Leu Pro Ala Pro Val Thr Thr Ala Ala Thr Pro Ser Ala Gly Thr Leu 245 250 255 Gly Phe Ser Leu Lys Ala Pro Gly Ala Ala Pro Gly Ala Ser Thr Thr 260 265 270 Ser Thr Thr Thr Thr Thr Thr Thr Thr Thr Thr Thr Ala Ala Ala Ala 275 280 285 Ala Ala Ser Thr Thr Thr Thr Gly Phe Ala Leu Ser Leu Lys Pro Leu 290 295 300 Val Ser Ala Gly Pro Ser Ser Val Ala Ala Thr Ala Leu Pro Ala Ser 305 310 315 320 Ser Thr Ala Ala Gly Thr Ala Thr Gly Pro Ala Met Thr Tyr Ala Gln 325 330 335 Leu Glu Ser Leu Ile Asn Lys Trp Ser Leu Glu Leu Glu Asp Gln Glu 340 345 350 Arg His Phe Leu Gln Gln Ala Thr Gln Val Asn Ala Trp Asp Arg Thr 355 360 365 Leu Ile Glu Asn Gly Glu Lys Ile Thr Ser Leu His Arg Glu Val Glu 370 375 380 Lys Val Lys Leu Asp Gln Lys Arg Leu Asp Gln Glu Leu Asp Phe Ile 385 390 395 400 Leu Ser Gln Gln Lys Glu Leu Glu Asp Leu Leu Ser Pro Leu Glu Glu 405 410 415 Ser Val Lys Glu Gln Ser Gly Thr Ile Tyr Leu Gln His Ala Asp Glu 420 425 430 Glu Arg Glu Lys Thr Tyr Lys Leu Ala Glu Asn Ile Asp Ala Gln Leu 435 440 445 Lys Arg Met Ala Gln Asp Leu Lys Asp Ile Ile Glu His Leu Asn Met 450 455 460 Ala Gly Gly Pro Ala Asp Thr Ser Asp Pro Leu Gln Gln Ile Cys Lys 465 470 475 480 Ile Leu Asn Ala His Met Asp Ser Leu Gln Trp Val Asp Gln Ser Ser 485 490 495 Ala Leu Leu Gln Arg Arg Val Glu Glu Ala Ser Arg Val Cys Glu Gly 500 505 510 Arg Arg Lys Glu Gln Glu Arg Ser Leu Arg Ile Ala Phe Asp 515 520 525 <210> 3 <211> 90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3 aggccucgcu guucucuaug gcuuuuuauu ccuaugugau ucuacugcuc acucauauag 60 ggauuggagc cguggcgcac ggcggggaca 90 <210> 4 <211> 23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4 uauggcuuuu uauuccuaug uga 23 <210> 5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5 uauagggauu ggagccgugg cg 22 <210> 6 <211> 90 <212> RNA <213> Mus musculus <400> 6 aggccucacu guucucuaug gcuuuuuauu ccuaugugau ucuauugcuc gcucauauag 60 ggauuggagc cguggcguac ggugaggaua 90 <210> 7 <211> 23 <212> RNA <213> Mus musculus <400> 7 uauggcuuuu uauuccuaug uga 23 <210> 8 <211> 22 <212> RNA <213> Mus musculus <400> 8 uauagggauu ggagccgugg cg 22 <210> 9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sequence of si-p62 <400> 9 gacgaugacu ggacacauu 19 <210> 10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sequence of si-p62 <400> 10 aaugugucca gucaucguc 19 <210> 11 <211> 24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of miR-135a-5p inhibitor <400> 11 uucacauagg aauaaaaagc caua 24

Claims (11)

  1. 검사대상의 아나필락시스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검체로부터 p62 또는 miR-135a-5p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는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및 복수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수준의 측정은 p62에 대한 웨스턴 블롯 또는 ELISA를 수행하거나, miR-135a-5p에 대한 정량적 실시간 PCR을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miR-135a-5p 또는 이의 효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효현제는
    a) miR-135a-5p의 서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b) pre-miR-135a의 서열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c) miR-135a-5p를 암호화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여 동물의 세포 내에서 miR-135a-5p를 발현하는 벡터; 및
    d) pre-miR-135a를 암호화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여 동물의 세포 내에서 pre-miR-135a를 발현하는 벡터;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나필락시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a) miR-135a-5p를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및 p62를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분리된 세포에 피검화합물을 처리하는 단계;
    b) 피검화합물이 처리된 세포에서 miR-135a-5p 또는 p62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대조군과 비교하여 miR-135a-5p의 발현수준이 증가되거나 p62의 발현수준이 감소된 시험군의 피검화합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나필락시스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인간 또는 쥐의 비반세포(mast 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수준의 측정은 p62에 대한 웨스턴 블롯 또는 ELISA를 수행하거나, miR-135a-5p에 대한 정량적 실시간 PCR을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KR1020180017040A 2018-02-12 2018-02-12 miR-135a-5p 및 p62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조절 메커니즘 및 이의 이용 KR102026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040A KR102026675B1 (ko) 2018-02-12 2018-02-12 miR-135a-5p 및 p62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조절 메커니즘 및 이의 이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040A KR102026675B1 (ko) 2018-02-12 2018-02-12 miR-135a-5p 및 p62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조절 메커니즘 및 이의 이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518A KR20190097518A (ko) 2019-08-21
KR102026675B1 true KR102026675B1 (ko) 2019-09-30

Family

ID=6780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040A KR102026675B1 (ko) 2018-02-12 2018-02-12 miR-135a-5p 및 p62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조절 메커니즘 및 이의 이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6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2155A2 (en) 2009-09-14 2011-03-17 Banyan Biomarkers, Inc. Micro-rna, autoantibody and protein markers for diagnosis of neuronal injur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717B1 (ko) * 2016-01-08 2017-08-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알레르기 반응을 조절하는 miR-122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2155A2 (en) 2009-09-14 2011-03-17 Banyan Biomarkers, Inc. Micro-rna, autoantibody and protein markers for diagnosis of neuronal injury

Non-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nvironmental and Molecular Mutagenesis (2012) 53(6):462-468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2015) 123(5):399-411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2016) 48:e243
Experimental and Therapeutic Medicine (2014) 8(4):1105-1110*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15) 16:2252-2268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10) 126:581-589
PLoS ONE (2012) 7(4):e34554
PLoS ONE (2015) 10(9):e0139322
The EMBO Journal (2006) 25:3524-3533*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10) 285(39):30139-3014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518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RIP3 deficiency protects against traumatic brain injury (TBI) through suppressing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apoptosis: dependent on AMPK pathway
Nakae et al. The forkhead transcription factor Foxo1 regulates adipocyte differentiation
JP4786793B2 (ja) 腫瘍形成におけるcxcr−4遺伝子の役割に基く治療的および診断的応用
Mesaros et al. Activation of Stat3 signaling in AgRP neurons promotes locomotor activity
Lee et al. Hypothalamic ATF3 is involved in regulating glucose and energy metabolism in mice
Yu et al. Serum amyloid A, an acute phase protein, stimulates proliferative and proinflammatory responses of keratinocytes
US20020086019A1 (en) Use of polypeptides or nucleic acids for the diagnosis or treatment of skin disorders and wound healing and for the identification of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s
US20090197256A1 (en) Use of a fibroblast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for the treatment and diagnosis of diabetic wound healing problems
Gui et al. Therapeutic elimination of the type 1 interferon receptor for treating psoriatic skin inflammation
Zhang et al.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mediates psoriasis‐like lesions via a Smad3‐dependent mechanism in mice
Liang et al.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activated protein kinase 2 inhibition attenuates fibroblast invasion and severe lung fibrosis
Chen et al. Involvement of high mobility group box‐1 in imiquimod‐induced psoriasis‐like mice model
Wang et al. miR-146a mediates thymosin β4 induced neurovascular remodeling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in type-II diabetic mice
CA2325226A1 (en) Use of polypeptides or nucleic acids encoding these for the diagnosis or treatment of skin disorders, and their use for the identification of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s
Mou et al. Dopamine receptor agonists ameliorate bleomycin-induced pulmonary fibrosis by repressing fibroblast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Xin et al. Therapeutic silencing of SMOC2 prevents kidney function loss in mouse model of chronic kidney disease
KR102026675B1 (ko) miR-135a-5p 및 p62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조절 메커니즘 및 이의 이용
WO2003097085A1 (en) Ddah modulators in the treatment of pain
Yin et al. Early growth response-2 expression in uterine leiomyoma cells: regulation and function
KR101770717B1 (ko) 알레르기 반응을 조절하는 miR-122
Yuan et al. Activin A activation drives renal fibrosis through the STAT3 signaling pathway
WO2002090552A2 (en) Use of 2&#39;-5&#39;-oligoadenylate synthetase and/or rnasel or nucleic acids encoding them for diagnosis, prophylaxis or treatment of wound healing
Emanuelli et al. SOCS-1 deficiency does not prevent diet-induced insulin resistance
US20020116724A1 (en) Polypeptides or nucleic acids encoding these of a family of G-protein coupled receptors and their use for the diagnosis or treatment of disorders, for example skin disorders and their use for the identification of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s
Koide et al. Tumor suppressor candidate 5 (TUSC5) is expressed in brown adipocy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