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646B1 -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 - Google Patents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646B1
KR102026646B1 KR1020180134251A KR20180134251A KR102026646B1 KR 102026646 B1 KR102026646 B1 KR 102026646B1 KR 1020180134251 A KR1020180134251 A KR 1020180134251A KR 20180134251 A KR20180134251 A KR 20180134251A KR 102026646 B1 KR102026646 B1 KR 102026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 port
switching unit
control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윤
채동철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4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4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test interfaces, e.g. adapters, test boxes, switches, PIN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5/00Ground equipment for vehicles, e.g. starting towers, fuel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39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signal generators, power supplies or circuit analy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의 신호 분배 절체 장치는, 제1 신호를 외부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1 신호포트, 제2 신호를 외부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2 신호포트,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를 제어 계측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3 신호포트, 상기 제1 신호포트와 상기 제3 신호포트의 연결을 상기 제어 계측 장치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시키는 제1 스위칭부, 상기 제2 신호포트와 상기 제3 신호포트 사이의 연결을 상기 제어 계측 장치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시키는 제2 스위칭부,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계측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4 신호포트, 상기 제3 신호포트와 제1 신호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제5 신호포트, 그리고 상기 제2 신호포트와 상기 제2 스위칭부 및 제2 신호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제6 신호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5 신호포트와 상기 제6 신호포트는 착탈 가능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Satellite test and launch support apparatus}
본 발명은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성개발 및 검증에는 많은 전기지상지원장비(위성의 전력공급, 아날로그신호 검증 및 확인, 통신 등의 지원)가 사용된다. 크게 위성 조립 및 시험(이하 AIT: Assembly Integration & Test)에 사용하는 AIT 장비들과 발사지원(Launch Support)을 하는 LS 장비로 구분할 수 있다.
AIT 장비는 여러 종류로 구성되고, LS 장비는 한 종으로 구성된다. AIT 장비 중 하나인 전력공급 및 상태모니터링 장비와 LS 장비는 그 기능이 매우 유사하나 인터페이스가 완전히 달라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왔다. AIT 장비의 하나인 전력공급 및 상태모니터링 장비와 LS 장비의 기능은 전력을 공급하고, 위성에 장착된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 위성 아날로그신호의 획득 등이 있으며, 대부분 AIT 장비가 LS 장비보다 그 기능이 많다.
기존의 위성 개발에서는 이 유사한 장비를 따로 개발하고 검증하여, 그 개발비용 및 시간의 투자가 필요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00781호(공개일자: 2011.01.06) 한국등록특허 제1,588,221호(등록일자: 2016.01.19)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성 조립 및 시험(이하 AIT: Assembly Integration & Test)에 사용하는 AIT 장비와 발사지원(Launch Support)을 하는 LS 장비를 하나의 장비로 개발하되, AIT 기능과 LS 기능을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의 신호 분배 절체 장치는, 제1 신호를 외부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1 신호포트, 제2 신호를 외부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2 신호포트,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를 제어 계측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3 신호포트, 상기 제1 신호포트와 상기 제3 신호포트의 연결을 상기 제어 계측 장치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시키는 제1 스위칭부, 상기 제2 신호포트와 상기 제3 신호포트 사이의 연결을 상기 제어 계측 장치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시키는 제2 스위칭부,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계측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4 신호포트, 상기 제3 신호포트와 제1 신호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제5 신호포트, 그리고 상기 제2 신호포트와 상기 제2 스위칭부 및 제2 신호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제6 신호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5 신호포트와 상기 제6 신호포트는 착탈 가능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신호포트와 상기 제5 신호포트를 연결하는 제3 신호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계측 장치는, 상기 제3 신호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상기 제5 신호포트에 연결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신호포트로부터 신호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 계측 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2 신호포트로부터 신호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 계측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계측 장치는,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상기 제5 신호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가 온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오프시키고,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상기 제5 신호포트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가 온되어 있으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는, 상기 제5 신호포트에 형성된 복수의 플러그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잭 단자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5 신호포트에 형성된 복수의 잭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에 형성된 복수의 잭 단자 중 미리 정해진 2개 이상의 잭 단자가 저항체의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에 형성된 복수의 플러그 단자 중 미리 정해진 2개 이상의 플러그 단자가 저항체의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 계측 장치는, 상기 저항체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상기 제5 신호포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신호포트로부터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2 신호포트로부터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는 위성 발사 지원을 위한 신호이고, 상기 제2 신호는 위성 조립 및 시험을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AIT 기능과 LS 기능을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AIT 기능과 LS 기능을 운용함에 있어서 각 기능(전력공급, 신호 모니터링 등)을 위한 부품을 공용으로 사용하되, 각 기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전기적으로 완전 독립되게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배 절체 장치와 케이블의 연결 구성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는 신호 분배 절체 장치(100)와 제어 계측 장치(200)를 포함한다.
제어 계측 장치(200)는 위성 발사지원(Launch Support)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거나, 위성 조립 및 시험(이하 AIT: Assembly Integration & Test)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계측 장치(200)는 신호 분배 절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고, 위성에 장착된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 위성 아날로그신호의 획득 등의 동작을 수행하며, 이를 위한 부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계측 장치(200)에 구비된 부품은 AIT 기능이나 LS 기능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신호 분배 절체 장치(100)에 접속되는 외부 장치는, 조립 및 시험 중에 있는 위성체 또는 위성체 시뮬레이터일 수 있다. 또한 조립이 완료되어 발사 대기 중인 위성체일 수도 있다.
제어 계측 장치(200)는 신호 분배 절체 장치(100)를 통해 외부 장치와 위성 발사 지원을 위한 제1 신호 또는 위성 조립 및 시험을 위한 제2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신호 분배 절체 장치(100)와 제어 계측 장치(200)는 케이블(310, 320)을 통해 연결되어 각종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신호 분배 절체 장치(100)는 제1 신호포트(110), 제2 신호포트(120), 제3 신호포트(130), 제4 신호포트(140), 제5 신호포트(150), 제6 신호포트(160), 제1 스위칭부(SW1), 제2 스위칭부(SW2), 제1 신호라인(L1), 제2 신호라인(L2), 제3 신호라인(L3) 및 제4 신호라인(L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포트(110)는 제1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2 신호포트(120)는 제2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신호는 위성 발사 지원을 위해 외부 장치와 교환되는 각종 신호일 수 있으며, 제2 신호는 위성 조립 및 시험을 위해 외부 장치와 교환되는 각종 신호일 수 있다.
제1 신호포트(110) 및 제2 신호포트(120)는 각각 외부 장치와 신호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3 신호포트(130)는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제어 계측 장치(200)와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4 신호포트(140)는 제1 스위칭부(SW1)와 제2 스위칭부(SW2)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어 계측 장치(200)와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3 신호포트(130)와 제4 신호포트(140)는 각각 제어 계측 장치(200)의 제1 포트(210)와 제2 포트(220)에 케이블(310, 32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5 신호포트(150)는 제1 신호라인(L1)을 통해 제3 신호포트(130)와 연결되고, 제3 신호라인(L3)을 통해 제4 신호포트(14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5 신호포트(150)는 착탈 가능한 케이블(330)을 통해 제6 신호포트(1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6 신호포트(160)는 제2 신호라인(L2)을 통해 제2 신호포트(120)와 연결되고, 케이블(330)을 통해 제5 신호포트(1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칭부(SW1)는 제1 신호포트(110)와 제3 신호포트(130)의 연결을 제어 계측 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위칭부(SW1)는 제1 신호포트(110)와 제3 신호포트(130)를 연결하는 제1 신호라인(L1)의 배선 경로 상에 위치하되, 제1 스위칭부(SW1)가 오프되었을 때 제1 신호포트(110)와 제3 신호포트(130)를 연결을 차단하고, 반대로 온되었을 때 제1 신호포트(110)와 제3 신호포트(130)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위칭부(SW1)는 제1 신호포트(110)로부터 신호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 감지 기능을 구비하고,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 계측 장치(200)에 제4 신호라인(L4)으로 연결된 제4 신호포트(140)를 통해 신호 감지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제4 신호라인(L4)으로 연결된 제4 신호포트(140)를 통해 제1 스위칭부(SW1)는 온오프 제어 신호를 제어 계측 장치(2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스위칭부(SW2)는 제2 신호포트(120)와 제6 신호포트(160)의 연결을 제어 계측 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스위칭부(SW2)는 제2 신호포트(120)와 제6 신호포트(160)를 연결하는 제2 신호라인(L2)의 배선 경로 상에 위치하되, 제2 스위칭부(SW2)가 오프(off)되었을 때 제2 신호포트(120)와 제6 신호포트(160)를 연결을 차단하고, 반대로 온(on)되었을 때 제2 신호포트(120)와 제6 신호포트(160)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위칭부(SW2)는 제2 신호포트(120)로부터 신호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 감지 기능을 구비하고,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 계측 장치(200)에 제4 신호라인(L4)으로 연결된 제4 신호포트(140)를 통해 신호 감지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제4 신호라인(L4)으로 연결된 제4 신호포트(140)를 통해 제2 스위칭부(SW2)는 온오프 제어 신호를 제어 계측 장치(2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스위칭부(SW1)와 제2 스위칭부(SW2)는 제어 계측 장치(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반도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라인(L1)은 제1 신호포트(110), 제1 스위칭부(SW1), 제3 신호포트(130)를 연결하는 신호라인과 제3 신호포트(130)와 제5 신호포트(150)를 연결하는 신호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신호라인(L2)은 제2 신호포트(120), 제2 스위칭부(SW2) 및 제6 신호포트(150)를 연결하는 신호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신호라인(L3)은 제4 신호포트(140)와 제5 신호포트(150)를 연결하는 신호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신호라인(L4)은 제4 신호포트(140)와 제1 스위칭부(SW1) 및 제2 스위칭부(SW2)를 연결하는 신호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 계측 장치(200)는 제3 신호라인(L3)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케이블(330)의 커넥터가 제5 신호포트(150)에 연결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 계측 장치(200)는 케이블(330)의 커넥터가 제5 신호포트(15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스위칭부(SW1)와 제2 스위칭부(SW2)가 온되어 있으면, 제1 스위칭부(SW1)를 오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 계측 장치(200)는 케이블(330)의 커넥터가 제5 신호포트(150)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스위칭부(SW1)와 제2 스위칭부(SW2)가 온되어 있으면, 제2 스위칭부(SW2)를 오프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배 절체 장치와 케이블의 연결 구성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케이블(330)의 커넥터(331)는 제5 신호포트(150)에 형성된 복수의 플러그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잭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331)에 형성된 복수의 잭 단자 중 미리 정해진 2개 이상의 잭 단자(331a, 331b)가 저항체(334)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반대로 케이블(330)의 커넥터(331)는 제5 신호포트(150)에 형성된 복수의 잭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케이블(330)의 커넥터(331)에 형성된 복수의 플러그 단자 중 미리 정해진 2개 이상의 플러그 단자가 저항체의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케이블(330)은 복수의 배선(333)으로 커넥터(331)와 연결된 커넥터(33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332)는 케이블(330)을 제6 신호포트(15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제어 계측 장치(200)는 커넥터(331)가 제5 신호포트(150)에 연결되면 제3 신호라인(L3)을 통해 저항체(334)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케이블(330)의 커넥터(331)가 제5 신호포트(150)에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계측 장치(200)는 제3 신호라인(L3)에 일정한 전류를 흘려주고, 측정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저항값을 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계측 장치(200)는 DMM(Digital Multi-meter)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위에서 설명한 방법 외에도 커넥터(331)가 제5 신호포트(150)에 연결된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의 신호 분배 절체 장치(100)에 테스트 및 동작 지원 대상인 모든 장비가 연결되어 온(ON)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S310). 만일 모든 장비가 온(ON) 상태가 아니면 모든 장비를 온 상태로 연결시킬 수 있다(S320).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에 모든 장비가 온(ON) 상태로 연결된 것이 확인되면(S310-Y),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는 위성 시험 대상인 장비의 AIT 연결과 발사 지원 대상인 장비의 LS 연결이 모두 되어있는지 확인한다(S330). 도 1에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칭부(SW1)와 제2 스위칭부(SW2)에서 신호 연결 유무를 감지하여 제어 계측 장치(200)에 전달하므로, 제어 계측 장치(200)는 AIT 연결과 LS 연결이 모두 온 상태로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AIT 연결과 LS 연결이 모두 되어있으면(S330-Y), 제어 계측 장치(200)는 AIT 연결과 LS 연결 중 하나를 차단한다(S340). 도 1에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어 계측 장치(200)는 케이블(330)의 커넥터가 제5 신호포트(15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스위칭부(SW1)와 제2 스위칭부(SW2)가 온되어 있으면, 제1 스위칭부(SW1)를 오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 계측 장치(200)는 케이블(330)의 커넥터가 제5 신호포트(150)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스위칭부(SW1)와 제2 스위칭부(SW2)가 온되어 있으면, 제2 스위칭부(SW2)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 계측 장치(200)는 AIT 연결과 LS 연결 중 하나가 차단되면(S330-N), 차단되지 않고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S350). 예컨대 LS 연결이 차단되었으면, AIT 연결을 통한 위성 조립 및 시험 동작을 수행하고, 반대로 AIT 연결이 차단되었으면, LS 연결을 통한 위성 발사지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제1 신호를 외부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1 신호포트,
    제2 신호를 외부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2 신호포트,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를 제어 계측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3 신호포트,
    상기 제1 신호포트와 상기 제3 신호포트의 연결을 상기 제어 계측 장치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시키는 제1 스위칭부,
    상기 제2 신호포트와 상기 제3 신호포트 사이의 연결을 상기 제어 계측 장치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시키는 제2 스위칭부,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계측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4 신호포트,
    상기 제3 신호포트와 제1 신호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제5 신호포트,
    상기 제2 신호포트와 상기 제2 스위칭부 및 제2 신호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제6 신호포트, 그리고
    상기 제4 신호포트와 상기 제5 신호포트를 연결하는 제3 신호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제5 신호포트와 상기 제6 신호포트는 착탈 가능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어 계측 장치는,
    상기 제3 신호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상기 제5 신호포트에 연결되었는지 판단하는 신호 분배 절체 장치.
  3. 제 2 항에서,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신호포트로부터 신호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 계측 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2 신호포트로부터 신호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 계측 장치에 전달하는 신호 분배 절체 장치.
  4. 제 3 항에서,
    상기 제어 계측 장치는,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상기 제5 신호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가 온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오프시키고,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상기 제5 신호포트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가 온되어 있으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오프시키는 신호 분배 절체 장치.
  5. 제 3 항에서,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는,
    상기 제5 신호포트에 형성된 복수의 플러그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잭 단자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5 신호포트에 형성된 복수의 잭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에 형성된 복수의 잭 단자 중 미리 정해진 2개 이상의 잭 단자가 저항체의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에 형성된 복수의 플러그 단자 중 미리 정해진 2개 이상의 플러그 단자가 저항체의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신호 분배 절체 장치.
  6. 제 5 항에서,
    상기 제어 계측 장치는,
    상기 저항체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상기 제5 신호포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신호 분배 절체 장치.
  7. 제 2 항에서,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신호포트로부터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2 신호포트로부터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신호 분배 절체 장치.
  8. 제1 신호를 외부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1 신호포트,
    제2 신호를 외부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2 신호포트,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를 제어 계측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3 신호포트,
    상기 제1 신호포트와 상기 제3 신호포트의 연결을 상기 제어 계측 장치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시키는 제1 스위칭부,
    상기 제2 신호포트와 상기 제3 신호포트 사이의 연결을 상기 제어 계측 장치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시키는 제2 스위칭부,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계측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4 신호포트,
    상기 제3 신호포트와 제1 신호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제5 신호포트, 그리고
    상기 제2 신호포트와 상기 제2 스위칭부 및 제2 신호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제6 신호포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는 위성 발사 지원을 위한 신호이고, 상기 제2 신호는 위성 조립 및 시험을 위한 신호인 신호 분배 절체 장치.
  9. 외부 장치와 위성 발사 지원을 위한 제1 신호 또는 위성 조립 및 시험을 위한 제2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제어 계측 장치, 그리고
    위성 발사 지원을 위한 제1 신호를 외부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1 신호포트, 위성 조립 및 시험을 위한 제2 신호를 외부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2 신호포트,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제어 계측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3 신호포트, 상기 제1 신호포트와 상기 제3 신호포트의 연결을 상기 제어 계측 장치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시키는 제1 스위칭부, 상기 제2 신호포트와 상기 제3 신호포트 사이의 연결을 상기 제어 계측 장치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시키는 제2 스위칭부,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계측 장치와 교환하기 위한 제4 신호포트, 상기 제3 신호포트와 제1 신호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제5 신호포트, 그리고 상기 제2 신호포트와 상기 제2 스위칭부 및 제2 신호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제6 신호포트를 포함하는 신호 분배 절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신호포트와 상기 제6 신호포트는 착탈 가능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
KR1020180134251A 2018-11-05 2018-11-05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 KR102026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251A KR102026646B1 (ko) 2018-11-05 2018-11-05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251A KR102026646B1 (ko) 2018-11-05 2018-11-05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646B1 true KR102026646B1 (ko) 2019-09-30

Family

ID=6809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251A KR102026646B1 (ko) 2018-11-05 2018-11-05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094B1 (ko) * 2020-11-26 2021-10-0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점검 장치, 인공위성 및 디버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781A (ko) 2009-06-29 2011-01-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체용 알에프 통합 측정 장치
KR101028043B1 (ko) * 2009-12-29 2011-04-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과 지상장비 간 rf 지원 시스템
KR101297577B1 (ko) * 2012-02-13 2013-08-19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Rf 성능 테스트용 스위칭 장치
KR101412679B1 (ko) * 2013-11-08 2014-06-27 (주)에스피에스 마그네틱 커넥터를 구비한 전원공급시스템
KR101588221B1 (ko) 2014-08-08 2016-01-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체 시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781A (ko) 2009-06-29 2011-01-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체용 알에프 통합 측정 장치
KR101028043B1 (ko) * 2009-12-29 2011-04-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과 지상장비 간 rf 지원 시스템
KR101297577B1 (ko) * 2012-02-13 2013-08-19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Rf 성능 테스트용 스위칭 장치
KR101412679B1 (ko) * 2013-11-08 2014-06-27 (주)에스피에스 마그네틱 커넥터를 구비한 전원공급시스템
KR101588221B1 (ko) 2014-08-08 2016-01-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체 시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094B1 (ko) * 2020-11-26 2021-10-0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점검 장치, 인공위성 및 디버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95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electronic connections
US10996286B2 (en) Test system and method for a wiring harness
US7746090B1 (en) System for testing connections of two connectors
US7574318B2 (en) I/O port tester
CN103905955A (zh) 检测耳机插入的方法、检测耳机插入的装置及接口电路
CN103022962B (zh) 断路开关以及检测断路开关中的罗格夫斯基互感器的方法
TW201819930A (zh) 高接觸電阻偵測
KR102026646B1 (ko) 위성 시험 및 발사 지원 겸용 장치
WO2008090378A1 (en) Battery connection unit
CN101785154B (zh) 多级连接器系统
US10031050B2 (en) Universal manufacturing test platform
US20220034975A1 (en) Cable condition indicator
CN104569846B (zh) 一种单体电池测试系统
CA2921170A1 (en) Two-wire resistance terminated ground check
CN105137234A (zh) 多通道直流模拟量检测装置
CN215575602U (zh) 一种简易type-C端口焊接可靠性识别检测装置
CN210534766U (zh) 一种飞行控制与管理计算机的测试设备
US200402370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emulator cable orientation while providing signal drive capability
KR20220146230A (ko) 전력기기의 결선상태를 영상으로 확인하는 검사장치
US10114055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tester
US10408869B1 (en) Electrical connection validation scheme
CN212340308U (zh) 一种多类别混合传感器检测系统
KR101389388B1 (ko) 커넥터 방식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모터 성능 검사기 및 모터 성능의 검사 방법
CN216925623U (zh) 仪表测试装置
US10802052B2 (en) Circuit multi-tester including phase rotation-measurement circui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