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632B1 - 공동주택 전선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선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632B1
KR102026632B1 KR1020190013551A KR20190013551A KR102026632B1 KR 102026632 B1 KR102026632 B1 KR 102026632B1 KR 1020190013551 A KR1020190013551 A KR 1020190013551A KR 20190013551 A KR20190013551 A KR 20190013551A KR 102026632 B1 KR102026632 B1 KR 102026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inge
cap
clevis
insulat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13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과 압착슬리브를 직접 압착한 후 압착부위를 절연 가능한 상태로 은폐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전선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닫이형 절연캡(40)이 개폐될 때 인서트관(32)과 제 1힌지부(43)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제 1힌지부(43)에 형성되는 오목한 간섭방지홈(44); 제 1클레비스부(34)의 사이에 형성되고, 여닫이형 접연캡(40)의 외주면에 밀찰되는 반달홈(37); 중공절연체(30)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는 보스(36); 여닫이형 절연캡(4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보스(36)가 삽입되는 압입구멍(4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전선 접속장치{Wire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배전에 사용되는 전선 접속을 위한 공동주택 전선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과 압착슬리브를 직접 압착한 후 압착부위를 절연이 가능한 상태로 신속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전선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에 사용되는 전선접속기는 비절연으로 된 것과 절연으로 된 것으로 구분되며, 비절연 전선접속기는 절연처리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선접속 후 절연을 위해 절연테이프를 이용해서 노출부위를 감싸는작업이 필요하며, 절연 전선접속기는 접속 후 테이핑 작업을 필요로하지 않아 작업을 신속하게 마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전선접속기의 일종인 절연 전선접속기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경관 형태의 절연캡(10)에 원통형으로 된 동슬리브(12)를 삽입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복이 탈피된 전선(13)(14)의 도선(13a)(14a)을 동슬리브(12)에 삽입한 상태에서 압착공구(15)를 이용 절연캡(10)의 외부를 압박함으로써 내부에 위치된 동슬리브(12)와 도선(13a)(14a)을 압착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전선접속기는 통상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로 이루어진 절연캡(10)를 통해 동슬리브(12)를 간접적으로 압착하기 때문에 절연캡(10)의 압착부위에 크랙(10c)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전용의 절연용 압착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비절연용 압착공구(끝이 돌기가 형성되어 있음)나 기타 플라이어를 사용해서 압착하는 경우 절연캡(10)의 크랙(10c)은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이를 위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0593885호(명칭, 전선 연결 접속기)는 압착이 아닌 드라이버나 렌치에 의해 무두볼트를 돌려서 전선의 도선부위를 접속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압착에 비해 체결력이 부족하여 접속불량률이 높고, 부피가 커서 비좁은 공간에서는 수납이 어려우므로 사용분야가 제한적이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0726286호(명칭, 공동주택용 전선 접속기)는 링모양의 편심캠을 이용해서 전선의 도선부위를 압박하여 접속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시공할 때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장점은 있으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공사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압착에 비해 결속력이 크게 떨어져 통전 성능에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93885호(공고일 2006.06.30.)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26286호(공고일 2007.06.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압착 후 신속하게 압착부위를 절연할 수 있고, 절연부위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전선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 전선 접속장치는, 전선이 삽입되는 중공절연체; 중공절연체의 외측 중심에 형성되고, 전선의 심선을 압착하기 위한 압착슬리브가 설치되는 인서트관; 중공절연체와 인서트관이 만나는 부위에 형성되는 고정플랜지; 인서트관과 압착슬리브를 덮는 여닫이형 접연캡; 여닫이형 절연캡의 단부에 형성되어 고정플랜지와 만나는 가동플랜지; 여닫이형 절연캡과 가동플랜지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여닫이형 절연캡이 개방될 때 압착슬리브를 통과시키는 개방구; 고정플랜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클레비스부; 제 1클레비스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여닫이형 절연캡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 1힌지부; 제 1클레비스부와 제 1힌지부를 관통하는 제 1힌지핀; 개방구를 여닫는 보조뚜껑; 여닫이형 절연캡의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클레비스부; 제 2클레비스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보조뚜껑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2힌지부; 제 2클레비스부와 제 2힌지부를 관통하는 제 2힌지핀; 보조뚜껑의 단부에 형성되고, 고정플랜지와 만나는 밀착부; 고정플랜지에 형성되는 걸림홈; 밀착부에 형성되어 여닫이형 절연캡이 닫혔을 때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여닫이형 절연캡이 개폐될 때 인서트관과 제 1힌지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제 1힌지부에 형성되는 오목한 간섭방지홈; 제 1클레비스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여닫이형 접연캡의 외주면에 밀찰되는 반달홈; 중공절연체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는 보스; 여닫이형 절연캡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보스가 삽입되는 압입구멍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여닫이형 접연캡(40)을 꺾어서 회전시키면, 쉽게 개방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전선(20)(21) 접속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닫이형 접연캡(40)이 개방될 때 압착슬리브(31)가 개방구(42)를 통과하기 때문에 여닫이형 접연캡(40)과 압착슬리브(31)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개방구(42)를 개폐하기 위한 보조뚜껑(5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개방구(42)를 통해 압착슬리브(31)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걸림돌기(54)와 걸림홈(35)에 의해 여닫이형 접연캡(40)과 보조뚜껑(50)이 닫힌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닫이형 접연캡(40)을 개방한 후 중공절연체(30)의 하부에 밀착시키면, 보스(36)가 압입구멍(47)에 압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닫이형 접연캡(40)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닫이형 접연캡(40)이 개폐될 때 제 1힌지부(43)에 형성된 간섭방지홈(44)에 의해 제 1힌지부(43)가 인서트관(32)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클레비스부(34)의 사이에 형성된 반달홈(37)에 의해 여닫이형 접연캡(40)을 중공절연체(30)에 나란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선접속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전선접속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전선접속기에 의한 전선의 압착 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일반적인 전선접속기에 의해 전선이 압착 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저면측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형 접연캡과 보조뚜껑이 개방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형 접연캡과 보조뚜껑이 닫힌 것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형 접연캡과 보조뚜껑이 개방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를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배면측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형 접연캡과 보조뚜껑이 닫힌 것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13은 도 12를 상부에서 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선(20)(21)이 삽입되는 중공절연체(30); 중공절연체(30)의 외측 중심에 형성되고, 전선(20)(21)의 심선을 압착하기 위한 압착슬리브(31)가 설치되는 인서트관(32); 중공절연체(30)와 인서트관(32)이 만나는 부위에 형성되는 고정플랜지(33)를 포함한다.
중공절연체(30), 인서트관(32), 고정플랜지(33) 및 하기의 제 1클레비스부(34)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체를 이용해서 모두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전선(20)(21)의 절연피복을 박피해서 노출된 전선(20)(21)의 심선은 압착슬리브(31)로 삽입하고, 전선(20)(21)은 중공절연체(30)의 내부에 위치시킨다.
본 발명은 인서트관(32)과 압착슬리브(31)를 덮는 여닫이형 접연캡(40); 여닫이형 절연캡(40)의 단부에 형성되어 고정플랜지(33)와 만나는 가동플랜지(41); 여닫이형 절연캡(40)과 가동플랜지(41)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여닫이형 절연캡(40)이 개방될 때 압착슬리브(31)를 통과시키는 개방구(42)를 포함한다.
여닫이형 접연캡(40)은 예컨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동플랜지(41)는 고정플랜지(33)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방구(42)는 여닫이형 접연캡(40)의 한쪽 단부에서 반대편 단부를 향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플랜지(33)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클레비스부(34); 제 1클레비스부(34)의 사이에 위치되고, 여닫이형 절연캡(40)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 1힌지부(43); 제 1클레비스부(34)와 제 1힌지부(43)를 관통하는 제 1힌지핀(45)을 포함한다.
여닫이형 접연캡(40), 제 1힌지부(43) 및 하기의 제 2클레비스부(46)는 합성수지 절연체를 이용해서 모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제 1클레비스부(34)와 제 1힌지부(43)의 중심에는 제 1힌지핀(45)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부호생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개방구(42)를 여닫는 보조뚜껑(50); 여닫이형 절연캡(40)의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클레비스부(46); 제 2클레비스부(46)의 사이에 위치되고, 보조뚜껑(5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2힌지부(51); 제 2클레비스부(46)와 제 2힌지부(51)를 관통하는 제 2힌지핀(52)을 포함한다.
보조뚜껑(50), 제 2힌지부(51) 및 하기의 밀착부(53)는 합성수지 절연체를 이용해서 모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보조뚜껑(50)을 닫았을 때 보조뚜껑(50)의 외주면이 여닫이형 접연캡(40)의 외주면과 동일한 표면을 이루도록 보조뚜껑(50)과 여닫이형 접연캡(40)을 동일한 내경과 외경을 갖는 단면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클레비스부(46)와 제 2힌지부(51)의 중심에는 제 2힌지핀(52)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부호생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보조뚜껑(50)의 단부에 형성되고, 고정플랜지(33)와 만나는 밀착부(53); 고정플랜지(33)에 형성되는 걸림홈(35); 밀착부(53)에 형성되어 여닫이형 절연캡(40)이 닫혔을 때 걸림홈(35)에 걸리는 걸림돌기(54)를 포함한다.
보조뚜껑(50)을 닫았을 때 서로 만나는 밀착부(53)와 가동플랜지(41)를 모두 동일한 원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걸림돌기(54)와 걸림홈(35)은 보조뚜껑(50)과 여닫이형 접연캡(40)이 자연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닫이형 절연캡(40)이 개폐될 때 인서트관(32)과 제 1힌지부(43)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제 1힌지부(43)에 형성되는 오목한 간섭방지홈(44); 제 1클레비스부(34)의 사이에 형성되고, 여닫이형 접연캡(40)의 외주면에 밀찰되는 반달홈(37); 중공절연체(30)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는 보스(36); 여닫이형 절연캡(4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보스(36)가 삽입되는 압입구멍(47)을 포함한다.
반달홈(37)은 여닫이형 접연캡(40)을 개방해서 중공절연체(30)의 하부에 밀착시킬 때 중공절연체(30)와 여닫이형 접연캡(40)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스(36)의 외경을 압입구멍(47)의 내경보다 약간 큰 외경으로 형성하면 보스(36)가 압입구멍(47)에 강제로 압입되면서 여닫이형 접연캡(4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면 중 부호 22는 압착슬리브(31)를 지지하기 위한 압착다이를 나타낸 것이고, 23은 전선(20)(21)의 심선과 압착슬리브(31)를 서로 압착하기 위한 압착펀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7,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절연체(30)를 잡고 여닫이형 접연캡(40)을 아래쪽으로 꺾으면, 여닫이형 접연캡(40)이 제 1힌지핀(45)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고, 압착슬리브(31)가 개방구(42)를 통과하면서 보조뚜껑(50)이 제 2힌지핀(5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된다.
이와 같이 여닫이형 접연캡(40)을 강제로 개방할 때 보조뚜껑(50)이 탄성복원력을 갖고 휘면서 걸림돌기(54)가 걸림홈(35)으로부터 이탈된다.
이후 여닫이형 접연캡(40)을 중공절연체(30)의 하부에 밀착시키면, 반달홈(37)이 중공절연체(3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보스(36)가 압입구멍(47)에 강제로 압입되어 여닫이형 접연캡(4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여닫이형 접연캡(40)과 보조뚜껑(50)이 개방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슬리브(31)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압착다이(22)와 압착펀치(23)를 이용해서 압착슬리브(31)를 직접 압착할 수 있게 된다.
압착슬리브(31)를 압착한 다음 여닫이형 접연캡(40)과 보조뚜껑(50)을 회전시켜서 닫으면, 여닫이형 접연캡(40)에 형성된 가동플랜지(41)가 고정플랜지(33)와 만나는 순간 회전이 정지되고, 보조뚜껑(50)에 의해 개방구(42)가 폐쇄된다.
이때 보조뚜껑(50)에 형성된 밀착부(53)가 고정플랜지(33)와 만나면 걸림돌기(54)가 걸림홈(35)에 걸리면서 보조뚜껑(50)과 여닫이형 접연캡(40)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비절연 상태의 압착슬리브(31)가 절연체로 된 여닫이형 접연캡(40)과 보조뚜껑(50)에 의해 은폐되어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20,21 : 전선 22 : 압착다이
23 : 압착펀치 30 : 중공절연체
31 : 압착슬리브 32 : 인서트관
33 : 고정플랜지 34 : 제 1클레비스부
35 : 걸림홈 36 : 보스
37 : 반달홈 40 : 여닫이형 접연캡
41 : 가동플랜지 42 : 개방구
43 : 제 1힌지부 44 : 간섭방지홈
45 : 제 1힌지핀 46 : 제 2클레비스부
47 : 압입구멍 50 : 보조뚜껑
51 : 제 2힌지부 52 : 제 2힌지핀
53 : 밀착부 54 : 걸림돌기

Claims (2)

  1. 삭제
  2. 전선(20)(21)이 삽입되는 중공절연체(30);
    상기 중공절연체(30)의 외측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전선(20)(21)의 심선을 압착하기 위한 압착슬리브(31)가 설치되는 인서트관(32);
    상기 중공절연체(30)와 상기 인서트관(32)이 만나는 부위에 형성되는 고정플랜지(33);
    상기 인서트관(32)과 상기 압착슬리브(31)를 덮는 여닫이형 접연캡(40);
    상기 여닫이형 절연캡(4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랜지(33)와 만나는 가동플랜지(41);
    상기 여닫이형 절연캡(40)과 상기 가동플랜지(41)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여닫이형 절연캡(40)이 개방될 때 상기 압착슬리브(31)를 통과시키는 개방구(42);
    상기 고정플랜지(33)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클레비스부(34);
    상기 제 1클레비스부(34)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여닫이형 절연캡(40)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 1힌지부(43);
    상기 제 1클레비스부(34)와 상기 제 1힌지부(43)를 관통하는 제 1힌지핀(45);
    상기 개방구(42)를 여닫는 보조뚜껑(50);
    상기 여닫이형 절연캡(40)의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클레비스부(46);
    상기 제 2클레비스부(46)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보조뚜껑(5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2힌지부(51);
    상기 제 2클레비스부(46)와 상기 제 2힌지부(51)를 관통하는 제 2힌지핀(52);
    상기 보조뚜껑(50)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랜지(33)와 만나는 밀착부(53);
    상기 고정플랜지(33)에 형성되는 걸림홈(35);
    상기 밀착부(53)에 형성되어 상기 여닫이형 절연캡(40)이 닫혔을 때 상기 걸림홈(35)에 걸리는 걸림돌기(54);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전선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형 절연캡(40)이 개폐될 때 상기 인서트관(32)과 상기 제 1힌지부(43)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제 1힌지부(43)에 형성되는 오목한 간섭방지홈(44);
    상기 제 1클레비스부(34)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여닫이형 접연캡(40)의 외주면에 밀찰되는 반달홈(37);
    상기 중공절연체(30)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는 보스(36);
    상기 여닫이형 절연캡(4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보스(36)가 삽입되는 압입구멍(4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선 접속장치.
KR1020190013551A 2019-02-01 2019-02-01 공동주택 전선 접속장치 KR102026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51A KR102026632B1 (ko) 2019-02-01 2019-02-01 공동주택 전선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51A KR102026632B1 (ko) 2019-02-01 2019-02-01 공동주택 전선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632B1 true KR102026632B1 (ko) 2019-09-30

Family

ID=6809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551A KR102026632B1 (ko) 2019-02-01 2019-02-01 공동주택 전선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6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885B1 (ko) 2004-09-21 2006-06-30 강재석 전선 연결 접속기
KR100726286B1 (ko) 2007-02-26 2007-06-08 (주)하예성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전선 접속기
KR101303784B1 (ko) * 2013-06-24 2013-09-04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전선접속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885B1 (ko) 2004-09-21 2006-06-30 강재석 전선 연결 접속기
KR100726286B1 (ko) 2007-02-26 2007-06-08 (주)하예성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전선 접속기
KR101303784B1 (ko) * 2013-06-24 2013-09-04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전선접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8336B (zh) 用于预制电缆的连接器
US7198526B1 (en) Low-profile flag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assembly
US5573429A (en) Wire holder for a water-proof connector having a u-shaped holder member and rubber plug
JP2005158640A (ja) 多極コネクタ
KR20160032212A (ko) 전기 케이블의 차폐부와 하우징 사이의 전기 접점을 형성하는 장치, 및 미리-조립된 케이블
JPH04500743A (ja) 一体的に張力を解放する電気的接続装置
US4446332A (en) Wire connector
US3617614A (en) Explosion-proof electrical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US6254403B1 (en) Assembly for and method of selectively grounding contacts of a connector to a rear portion of the connector
CA2140059C (en) Multi-wire locking system
JP2013251114A (ja) 圧接端子
KR102026632B1 (ko) 공동주택 전선 접속장치
JP2008021646A6 (ja) ケーブルコネクタ
US4759725A (en) Electrical wiring fixture
KR102277839B1 (ko) 고전압 커넥터
US4324949A (en)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 conductors together
US6905360B2 (en) Power cord connector for an appliance
US4295004A (en) Wire connector
US3880489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03784B1 (ko) 공동주택용 전선접속기
US6142795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ed contact
US3249907A (en) Sealed multi-contact electrical connector
KR200209229Y1 (ko)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US6000963A (en) Contact element with a connection for stranded conductors
WO2020087279A1 (en) Power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