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992B1 - Lipid marker for identifying Graves’ disease and Graves’ disease with ophthalmopathy - Google Patents

Lipid marker for identifying Graves’ disease and Graves’ disease with ophthalmopath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992B1
KR102025992B1 KR1020170176022A KR20170176022A KR102025992B1 KR 102025992 B1 KR102025992 B1 KR 102025992B1 KR 1020170176022 A KR1020170176022 A KR 1020170176022A KR 20170176022 A KR20170176022 A KR 20170176022A KR 102025992 B1 KR102025992 B1 KR 102025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ves
disease
concentration
group
norma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0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4567A (en
Inventor
이은직
문명희
변슬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6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992B1/en
Publication of KR20190074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5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9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9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ipids, e.g. cholesterol, lipoproteins, or their recep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2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30/72Mass spect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13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405/00Assays, e.g. immunoassays or enzyme assays, involving lip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6Ophthalmolo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레이브스병(GD)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식별용 지질 마커 및 상기 지질 마커를 이용하여 그레이브스병(GD)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선별된 지질 마커를 생체시료에서 빠른 시간 안에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질환자의 안구에 외적인 변화가 나타나기 전에 그레이브스병(GD)병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질환을 보다 빨리 식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pid marker for identifying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using the lipid marker.
In the present invention, selected lipid markers are selectively detected in a biological sample in a short time, so that Graves' disease (GD) disease and Graves' eye disease (GO) disease can be detected more quickly before external changes to the eyes of Graves' eye disease (GO) patients appear. Can be identified.

Description

그레이브스병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 식별용 지질 마커{Lipid marker for identifying Graves’ disease and Graves’ disease with ophthalmopathy}Lipid marker for identifying Graves ’disease and Graves’ disease with ophthalmopathy}

본 발명은 그레이브스병(GD)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식별용 지질 마커 및 상기 지질 마커를 이용하여 그레이브스병(GD)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pid marker for identifying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using the lipid marker.

갑상선 항진증인 그레이브스 병(Graves’ disease, GD)은 자가면역질환(autoimmune)으로 갑상샘 자극면역글로불린이 갑상선 수용체(receptor)를 활성화시켜 갑상선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는 질환이다. 약 50%의 GD 질환자들의 경우 안와지방과 결합조직이 증가하여 안구가 돌출되는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raves’ disease with ophthalmopathy, Graves ophthalmopathy, GO)으로 분류된다.Graves' disease (GD), a hyperthyroidism, is an autoimmune disease in which the thyroid stimulating immunoglobulin activates the thyroid receptors (receptors), causing excess thyroid hormones. About 50% of people with GD are classified as Graves' disease with ophthalmopathy (GO), which causes increased orbital fat and connective tissue.

그레이브스 병(GD)의 진단은 갑상선호르몬 분비기능을 촉진하는 역할에 관여하는 혈액 내 갑상샘 자극호르몬(thyroid-stimulating hormones)의 농도를 측정하여 정상치보다 낮고, 갑상선 호르몬인 T3(트리요오드티로닌, triiodothyronine)와 T4(티록신, tryroxine)가 정상치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여 이루어진다. Diagnosis of Graves' disease (GD) is lower than normal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yroid-stimulating hormones in the blood, which are involved in the role of thyroid hormone secretion. ) And T4 (tryroxine) is higher than normal.

안구 변화 증상까지 나타나는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의 경우도 호르몬 농도는 GD와 다르지 않기 때문에, 그레이브스 병(GD)과 같은 방법으로 진단이 이루어진다. In Graves 'eye disease (GO), which causes symptoms of eye changes, the hormone concentration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GD, so diagnosis is made in the same way as Graves' disease (GD).

현재, 그레이브스 병(GD)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의 식별은 안구 변화의 유무의 측정에 따라 나뉘어지므로,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의 조기 진단이 어렵다는 문제를 가진다. Currently, the identification of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is divid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eye changes, there is a problem that early diagnosis of Graves' eye disease (GO) is difficult.

따라서, 그레이브스 병(GD)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식별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필요로 한다. Thus, there is a need for new methods for identifying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1. 원저 : 갑상선질환 및 비갑상선질환에서 TSH 측정의 진단적 의의, Korean Journal of Medicine(구 대한내과학회지), 40권 3호, pp. 358-364, 19911. Original Articles: Diagnostic Significance of TSH Measurement in Thyroid and Non-Thyroid Diseases, Korean Journal of Medicine, 40, 3, pp. 358-364, 1991

본 발명은 그레이브스 병(GD)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의 식별을 위한 지질 마커를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establish lipid markers for the identification of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본 발명에서는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 및 트리아실글리세롤(T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레이브스병(GD) 및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식별용 마커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markers for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ysophosphatidylcholine (LPC) and triacylglycerol (TG).

또한, 본 발명에서는 대상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지질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lipid component in a biological sample isolated from the subject; And

상기 측정된 지질 성분의 농도 및 정상군으로부터 분리된 지질 성분의 농도를 비교하여 그레이브스병(GD) 및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And comparing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lipid components and concentrations of lipid components isolated from the normal group to determine whether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상기 지질 성분은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 및 트리아실글리세롤(T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레이브스병(GD) 및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의 식별 방법을 제공한다. The lipid component provides a method of identifying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ysophosphatidylcholine (LPC) and triacylglycerol (TG).

본 발명에서는 초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전기분무이온화-질량분석법(nLC-ESI-MS/MS)을 사용하여, 검출한계가 펨토몰(fmol/㎕) 수준으로 미량으로 존재하거나 질량분석기의 검출세기가 낮은 각종 지질종의 검출 및 구조분석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분석 방법은 혈장과 뇨 시료에서 각각 단지 100 ㎕와 1 mL의 적은 양으로도 지질의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nLC-ESI-MS / MS), the detection limit is present in trace amounts at the level of femtomol (fmol / μl) or the detection intensity of the mass spectrometer is Low detection of various lipid species and structural analysis are possible. In particular, the analytical metho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nalyze lipids in a small amount of only 100 μl and 1 mL, respectively, in plasma and urine sample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선별된 지질 마커를 생체시료에서 빠른 시간 안에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질환자의 안구에 외적인 변화가 나타나기 전에 그레이브스병(GD)병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질환을 보다 빨리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detects selected lipid markers in a biological sample in a short time to detect Graves' disease (GD) disease and Graves' eye disease (GO) disease before external changes appear in the eyes of Graves' eye disease (GO) patients. It can be identified faster.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은 마커만 선택적으로 간단하게 검출하여 진단하는 미래형 진단법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Accordingly,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be developed into a future diagnostic method in which only a marker is selectively detected and diagnosed.

도 1은 폴츠 변형 추출법(Folch modified with MTBE/CH3OH 추출법)을 사용하여 지질을 확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초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전기분무이온화-질량분석기(nLC-ESI-MS/MS)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각종 이온화 매개체별 이온화 효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S1P를 a) 양이온 모드와 b) 음이온 모드에서 분석한 S1P의 CID 스펙트라 그래프이다.
도 5는 a) 혈장과 b) 뇨 시료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변한 지질들의 PCA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a) 혈장 시료와 b) 뇨 시료에서 선별된 GD와 GO 식별용 지질 마커의 변화(정상군 대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securing lipids using the Folch modified with MTBE / CH 3 OH extraction method.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er (nLC-ESI-MS / MS) system.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ionization efficiency of various ionization mediators.
Figure 4 is a CID spectra graph of S1P analyzed S1P in a) cation mode and b) anion mode.
FIG. 5 is a graph showing PCA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lipids in a) plasma and b) urine samples.
6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normal group control) of lipid markers for identifying GD and GO selected from a) plasma samples and b) urine samples.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지질은 하기 표 1과 같다. Lipids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able 1 below.

지질명Geological name 지질명Geological name 리소포스파티딜콜린
(lysophosphatidylcholine)
Lysophosphatidylcholine
(lysophosphatidylcholine)
LPCLPC 스핑고신-1-포스페이트
(sphingosine-1-phosphate)
Sphingosine-1-phosphate
(sphingosine-1-phosphate)
S1PS1P
포스파티딜콜린
(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choline)
PCPC 리소스핑고마이엘린
(Lysosphingomyelin)
Reeffingo Myelin
(Lysosphingomyelin)
LSMLSM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LPE 스핑고마이엘린
(Sphingomyelin)
Sphingomyelin
(Sphingomyelin)
SMSM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hosphatidylethanolamine
(Phosphatidylethanolamine)
phosphatidylethanolamine
PEPE 세라마이드
(Ceramide)
Ceramide
(Ceramide)
CerCer
PE 플라스마로겐
(PE plasmalogan)
PE plasmaogen
(PE plasmalogan)
PepPep 모노헥소실세라마이드
(Monohexosylceramide)
Monohexyl ceramide
(Monohexosylceramide)
MHCMHC
리소포스파티딜글리세롤
(lysophosphatidylglycerol)
Lysophosphatidylglycerol
(lysophosphatidylglycerol)
LPGLPG 디헥소실세라마이드
(Dihexosylceramide)
Dihexyl ceramide
(Dihexosylceramide)
DHCDHC
포스파티딜글리세롤
(phosphatidylglycerol)
Phosphatidylglycerol
(phosphatidylglycerol)
PGPG 트리헥소실세라마이드
(Trihexosylceramide)
Trihexyl ceramide
(Trihexosylceramide)
THCTHC
리소포스파티딜이노시톨
(lysophosphatidylinositol)
Lysophosphatidyl inositol
(lysophosphatidylinositol)
LPILPI 디아실글리세롤
(diacylglycerol)
Diacylglycerol
(diacylglycerol)
DGDG
포스파티딜이노시톨
(phosphatidylinositol)
Phosphatidyl Inositol
(phosphatidylinositol)
PIPI 트리아실글리세롤
(triacylglycerol)
Triacylglycerol
(triacylglycerol)
TGTG
포스파티딘 산
(phosphatidic acid)
Phosphatidine acid
(phosphatidic acid)
PAPA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질명과 함께 기재되는 숫자는 상기 지질 중의 탄소의 개수 및 다중결합의 개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6:1-LPC"는 16개의 탄소와 1개의 다중결합을 가지는 리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을 가리킨다. 이하,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 중의 다른 지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numbers described together with the lipid nam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present the number of carbons and the number of multiple bonds in the lipids. For example, "16: 1-LPC" refers to lysophosphatidylcholine having 16 carbons and one multiple bond.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defined, the same can be applied to other lipids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그레이브스병(GD)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식별"이란 그레이브스병(GD) 환자와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환자를 구분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상인과 그레이브스병(GD) 환자 및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환자를 구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상인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환자를 구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cation of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not only distinguishes Graves' disease (GD) patients and Graves' eye disease (GO) patients, but also normal people and Graves' disease (GD) patients and Graves. It may include distinguishing a patient with ocular disease (GO). It may also include distinguishing between normal people and Graves' eye disease (GO) patients.

이때, 정상인 또는 정상군은 임상적으로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시사하는 증상 및 징후, 및 갑상선 안구병증의 증상 및 징후가 없으며, 혈액 검사에서 갑상선 이상이 없는 사람을 의미한다.In this case, a normal person or a normal group refers to a person who has no symptoms and signs clinically suggestive of hyperthyroidism, and no symptoms and signs of thyroid ophthalmopathy, and does not have thyroid abnormalities in a blood test.

본 발명은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 및 트리아실글리세롤(T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레이브스병(GD) 및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식별용 마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arkers for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ysophosphatidylcholine (LPC) and triacylglycerol (TG).

본 발명에서는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은 16:1-LPC 및 18:1-LPC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트리아실글리세롤(TG)은 44:2-TG, 54:7-TG, 60:13-TG, 46:2-TG, 48:1-TG, 50:1-TG, 50:2-TG 및 52:0-T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lysophosphatidylcholine (LPC)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6: 1-LPC and 18: 1-LPC, triacylglycerol (TG) is 44: 2-TG, 54: 7-TG, 60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3-TG, 46: 2-TG, 48: 1-TG, 50: 1-TG, 50: 2-TG, and 52: 0-TG.

본 발명자들은 그레이브스병(GD) 및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의 식별을 위한 마커를 찾기 위해 환자들의 생체시료, 즉 혈액(혈장) 또는 뇨로부터 샘플을 채취하여 지질을 추출하고, 초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전기분무이온화-질량분석기(nLC-ESI-MS/MS)을 이용하여 그레이브스병(GD) 환자들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환자들의 지질 프로파일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이 차이를 이용하여 그레이브스병(GD) 및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를 식별하고 나이가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환자들을 진단할 수 있는 마커 발굴 연구를 수행하였다. The inventors have taken samples from patients' biological samples, ie blood (plasma) or urine, to extract lipids and find lipids for markers for identification of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and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nLC-ESI-MS / MS)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lipid profile differences between Graves 'disease (GD) patients and Graves' eye disease (GO) patients. (GD) and Graves ophthalmopathy (GO) were identified and marker discovery studies were performed to diagnose older Graves ocular disease (GO) patients.

이를 위해 총 281종의 지질을 동정하였다. nLC-ESI-MS/MS 분석시 얻어지는 CID 질량분석 스펙트럼으로부터 분자구조를 식별한 뒤, 정상군, GD 질환자 및 GO 질환자의 혈장 시료에서 각 분자들에 대한 개별 정량을 진행한 결과 44:2-TG가 정상군과 대조시 GD 질환자에서 2.06 배로 증가하는 반면 GO 질환자 혈장에서는 2.99배로 증가하여 두 그룹간의 차이는 1.45배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변화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54:7-TG는 정상군과 대조시 GD군 혈장에서는 1.85배 증가하는 반면 GO군에서는 2.63배로 증가하여 두 질환군의 차이(1.42배)가 뚜렷히 나타났으며, 60:13-TG에서도 두 질환군의 차이는 1.43배의 증감의 차이가 나타났다.A total of 281 lipids were identified for this purpose. Molecular structures were identified from the CID mass spectrometry obtained during the nLC-ESI-MS / MS analysis, and individual quantification of each molecule in the plasma samples of normal, GD and GO patients was performed. 44: 2-TG Was increased by 2.06 times in the GD disease group and 2.99 times in the plasma of GO disease group,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to be 1.45 times statistically significant. 54: 7-TG increased 1.85-fold in plasma in GD group and 2.63-fold in GO group compared to normal group, showing a clear difference (1.42-fold) between the two disease groups, and 60: 13-TG.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1.43 times of increase and decrease.

또한, 정상군, GD 질환자와 GO 질환자의 뇨 시료에서 총 191종의 지질을 nLC-ESI-MS/MS를 이용하여 SRM 방식으로 개별 정량하였다. 결과, 정상군과 비교시 16:1-LPC가 GD군에서는 3.65배, GO군에서는 6.12배로 증가하여 GD군과 GO군의 뚜렷한 차이(1.68배)가 나타났으며, 18:1-LPC의 경우도 GD군과 GO군에서 각각 7.30배 및 9.99배 증가하여 두 그룹간의 뚜렷한 차이(1.37배)가 나타났다. 또한, 두 그룹간 46:2-TG는 0.70배, 48:1-TG는 0.66배, 50:1-TG는 0.63배, 50:2-TG는 0.68배 및 52:0-TG는 0.70배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발견되었다. In addition, a total of 191 lipids in urine samples of normal group, GD disease and GO disease were individually quantified by SRM method using nLC-ESI-MS / MS. As a result, the 16: 1 LPC increased 3.65 times in the GD group and 6.12 times in the GO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showing a clear difference (1.68 times) in the GD group and the GO group. In the GD and GO groups, 7.30-fold and 9.99-fold increase, respective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1.37-fold)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46: 2-TG was 0.60 times, 48: 1-TG was 0.66 times, 50: 1-TG was 0.63 times, 50: 2-TG was 0.68 times, and 52: 0-TG was 0.70 tim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한편, d18:1-S1P은 혈장 시료에서 정상군 대비 GD 군에서 1.30배, GO 군에서 1.98배 증가하여, 두 그룹간은 1.53배의 차이가 있었고, 뇨 시료에서도 GD군에서는 1.24배, GO군에서는 1.88배 증가하여 두 그룹간은 1.52배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n the other hand, d18: 1-S1P increased 1.30 times in the GD group and 1.98 times in the GO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in the plasma sample, and there was a difference of 1.53 times in the two groups, and 1.24 times in the GD group and the GO group in the urine sample. In 1.88 tim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1.52 times.

상기 결과들을 토대로, 혈장 시료 및 뇨 시료에서 GD와 GO를 식별할 수 있는 지질을 마커로 선별하었다.Based on the results, lipids capable of identifying GD and GO in plasma and urine samples were selected as markers.

상기 마커들은 갑상선 항진증인 그레이브스병(GD)의 마커이면서, 특히 GD 질환자의 약 50%에서 나타나는 안와지방과 결합조직이 증가하여 안구가 돌출되는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에 특이성을 나타낸다. 즉, 상기 마커를 통해 그레이브스병(GD)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질환의 식별이 가능하다. The markers are markers of Graves 'disease (GD), a hyperthyroidism, and are particularly specific for Graves' eye disease (GO), in which the orbital fat and connective tissue increase in about 50% of people with GD, resulting in increased eyeball. That is, the marker enables the identification of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마커를 사용하여, 생체시료에서 빠른 시간 안에 선택적으로 검출함으로써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질환자의 안구에 외적인 변화가 나타나기 전에 그레이브스병(GD)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질환을 보다 빨리 식별할 수 있으며, GO의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above-described marker,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disease before the external changes appear in the eyes of Graves' eye disease (GO) patients by selective detection in a biological sample quickly. Can be identified faster and early diagnosis of GO is possible.

본 명세서에서 용어 "진단"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대한 한 객체의 감수성(susceptibility)을 판정하는 것, 한 객체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을 현재 가지고 있는 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걸린 한 객체의 예후(prognosis)를 판정하는 것, 또는 테라메트릭 스(therametrics)(예컨대, 치료 효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객체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diagnosis” refers to determining the susceptibility of an object to a particular disease or condition,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currently has a particular disease or condition, or having a particular disease or condition. Determining the prognosis of an object, or therametrics (eg,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n object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reatment efficacy).

또한, 본 발명은 그레이브스병(GD) 및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의 식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identifying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상기 식별 방법은 대상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지질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The identification method may include measuring a concentration of a lipid component in a biological sample isolated from a subject; And

상기 측정된 지질 성분의 농도 및 정상군으로부터 분리된 지질 성분의 농도를 비교하여 그레이브스병(GD) 및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by compa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lipid component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lipid component separated from the normal group.

이때, 지질 성분은 전술한 마커일 수 있다. 또한, 대상군 또는 대상체는 환자군 또는 예비 환자군으로서 GO 또는 GD와 관련된 증상, 구체적으로 임상적으로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시사하는 증상 및 징후(갑상선종, 신경과민, 열 과민증, 체중감소, 심부정맥 등), 및 갑상선 안구병증의 증상 및 징후(안구 돌출, 복시, 안와주위 부종, 눈꺼풀 뒤 당김 등)를 가지는 군을 의미한다. 또한, 정상군은 전술한 임상적으로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시사하는 증상 및 징후, 및 갑상선 안구병증의 증상 및 징후가 없으며, 혈액 검사에서 갑상선 이상이 없는 군을 의미한다. In this case, the lipid component may be the aforementioned marker. In addition, the subject or subject may be a patient or prospective patient with symptoms associated with GO or GD, specifically those with clinically suggestive hyperthyroidism (thyroidoma, nerve hypersensitivity, fever hypersensitivity, weight loss, deep vein, etc.), And the symptoms and signs of thyroid ophthalmopathy (eye protrusion, diplopia, periorbital edema, back eyelid pull, etc.). In addition, the normal group refers to a group having no symptoms and signs indicating the above-mentioned clinically hypothyroidism, and no symptoms and signs of thyroid ophthalmopathy, and a blood test without thyroid abnormalities.

일 구체예에서 생물학적 시료로는 조직, 혈액 또는 뇨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혈액 또는 뇨를 사용할 수 있다. 혈액은 혈장을 사용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biological sample may be tissue, blood, or urine, and blood or urine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od may use plasma.

본 발명에서 지질 성분은 종래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통해 대상체로부터 얻을 수 있다.The lipid component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from a subject through a method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지질 추출방법을 통해 완전한 지질을 확보하는 과정은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다양한 지질 종류별로 효율적인 지질 추출방법을 적용하지 못한다면, 목표하는 지질을 추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질 외에 각종 단백질, 무기질, 이온 등의 매트릭스(matrix)가 지질이 이온화 하는 데 방해요인이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지질 분석의 감도와 선택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지질 추출방법 중에서 분석하려는 지질의 종류나 실험의 목적에 따라서 적합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Securing complete lipids through the lipid extraction method is necessary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data. If the effective lipid extraction method is not applied to various types of lipids, not only the target lipids may be extracted but also a matrix of various proteins, minerals, and ions in addition to the lipids may interfere with the ionization of the lipids. Thus, the sensitivity and selectivity of the lipid analysis are degraded. Therefore, among the various lipid extraction methods, a suitable method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lipid to be analyzed or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일반적인 지질 추출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폴츠법(Folch method)은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독성이 강하며 수용액과 섞었을 때 하층액을 차지하므로, 층 경계에 있는 지질 외의 물질을 회수하지 않고 회수하는 것이 힘들다는 단점을 가진다. The most widely used method of extracting lipids is the Folch method, which uses chloroform, which is highly toxic and occupies a lower layer when mixed with an aqueous solution. The disadvantage is that it is difficult to recover.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폴츠법을 변형하여 클로로포름 대신 상기 클로로포름 보다 독성이 약한 메틸 삼차 부틸 에테르(methyl tert-butyl ether, MTBE)를 사용하여 지질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을 폴츠 변형 추출법(Folch modified with MTBE/CH3OH 추출법)이라 할 수 있다. 폴츠 변형 추출법은 MTBE와 메탄올을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며, 수용액 층과 유기용매 층이 분리될 때 MTBE의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로 인하여 유기용매 층이 위층에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폴츠 변형 추출법은 상대적으로 극성이 강한 라이소지질 및 S1P부터 비극성이 강한 TG까지 높은 회수율로 지질 성분들을 추출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lipids can be extracted by modifying the Foltz method using methyl tert-butyl ether (MTBE), which is less toxic than chloroform instead of chlorofor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be referred to as a Foltz modified extraction method (Folch modified with MTBE / CH 3 OH extraction method). The strain modified extraction method uses a solvent mixed with MTBE and methanol, and has an advantage that the organic solvent layer is on the upper layer due to the relatively low density of MTBE when the aqueous layer and the organic solvent layer are separated. In addition, the Poletz strain extraction method can extract lipid components with high recovery from relatively strong lysolipids and S1P to non-polar TG.

본 발명에서는 추출된 지질 성분의 농도를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ed lipid component can be measured using a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er.

본 발명에서 크로마토그래피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정량용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모세관 액체크로마토그래피(capillary LC), 초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UPLC) 또는 초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nUPLC 또는 nL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질량분석기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기분무이온화(ESI) 방식의 질량분석기 중에서 탠덤질량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질량분석기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질량분석기로 이온트랩 질량분석기(ion trap MS), 삼중 사중극자 질량분석기(triple quadrupole MS), Q-TOF 또는 오비트랩 MS 등을 사용할 수 있다.Chromatography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quantitative liquid chromatography commonly used in the art, specifically capillary liquid chromatography (capillary LC),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or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nUPLC) Or nLC). In addition, the mass spectrometer may use a mass spectrometer capable of performing tandem mass spectrometry in an electrospray ionization (ESI) mass spectrometer commonly used in the art. Specifically, an ion trap MS, an ion trap MS, a triple quadrupole MS, a Q-TOF or an orbit lab MS may be used as the mass spectrometer.

본 발명에서는 초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전기분무이온화-질량분석기(nLC-ESI-MS/MS)를 이용하여 지질을 측정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lipids can be measured using an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er (nLC-ESI-MS / MS).

상기 초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전기분무이온화-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약 30분 이내에 생체시료 내 지질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GD 및 GO의 두 질환을 식별할 수 있다.The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er can be used to analyze and compare lipids in biological samples within about 30 minutes to identify two diseases, GD and GO.

본 발명에서는 측정된 지질 성분의 농도를 정상군으로부터 분리된 지질 성분의 농도와 비교하여 그레이브스병(GD) 및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여부를 식별하거나,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진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or to diagnose Graves' eye disease (GO) by comparing the measured concentration of lipid components with the concentration of lipid components isolated from the normal group. .

본 발명에서는 상기 GD 및 GO의 두 질환의 식별을 위한 지질 성분, 즉 마커로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 및 트리아실글리세롤(T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은 16:1-LPC 및 18:1-LPC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트리아실글리세롤(TG)은 44:2-TG, 54:7-TG, 60:13-TG, 46:2-TG, 48:1-TG, 50:1-TG, 50:2-TG 및 52:0-T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ysophosphatidylcholine (LPC) and triacylglycerol (TG) may be used as lipid components, that is, markers for identifying two diseases of the GD and GO. In this case, lysophosphatidylcholine (LPC)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6: 1-LPC and 18: 1-LPC, triacylglycerol (TG) is 44: 2-TG, 54: 7-TG, 60:13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G, 46: 2-TG, 48: 1-TG, 50: 1-TG, 50: 2-TG, and 52: 0-TG.

일 구체예에서, 생물학적 시료가 혈액, 구체적으로 혈장일 경우, 지질 성분은 트리아실글리세롤(TG)일 수 있다. 이때, 트리아실글리세롤(TG)은 44:2-TG, 54:7-TG 및 60:13-T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biological sample is blood, specifically plasma, the lipid component may be triacylglycerol (TG). At this time, the triacylglycerol (TG)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44: 2-TG, 54: 7-TG and 60: 13-TG.

상기 혈액 시료에서, 하기 조건 중 두 개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면 그레이브스병(GD)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의 그레이브스병(GD)은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포함한다. In the blood sample, if two or mor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it may be determined as Graves' disease (GD). Graves 'disease (GD) at this time includes Graves' eye disease (GO).

(1) 44:2-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1.5 배 이상(1) The concentration of 44: 2-TG is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2) 54:7-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1.5 배 이상(2) 54: 7-TG concentration is 1.5 times more than that of normal group

(3) 60:13-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1.5 배 이상(3) the concentration of 60: 13-TG is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또한, 혈액 시료에서 하기 조건 중 두 개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면 그레이브스병(GD)과 구분되는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wo or mor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in the blood sample, it may be determined as Graves 'eye disease (GO) which is distinguished from Graves' disease (GD).

(1) 44:2-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2.5 배 이상(1) The concentration of 44: 2-TG is 2.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2) 54:7-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2.2 배 이상(2) 54: 7-TG concentration is 2.2 times more than that of normal group

(3) 60:13-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2.5 배 이상(3) The concentration of 60: 13-TG is 2.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즉, 혈액 시료에서 44:2-TG, 54:7-TG 및 60:13-TG는 정상군과 비교하여 1.5배 이상의 상이한 농도 차이를 가지므로, 정산인과 그레이브스병(GD) 환자를 구분하기 위한 마커로서 사용된다. 더욱이, 상기 마커들은 그레이브스병(GD)일 경우와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일 경우 30% 이상의 농도 차이를 가지고 또한 동일한 농도의 증가/감소 경향을 가지므로, 그레이브스병(GD)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환자의 구분을 위한 마커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커를 통해 정상인과 그레이브스병(GD) 환자 및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환자의 구분이 가능하며, 나아가 대상체로부터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판단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44: 2-TG, 54: 7-TG, and 60: 13-TG in blood samples have a difference in concentration of 1.5 times or more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It is used as a marker for. Furthermore, since the markers have a concentration difference of 30% or more in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and also have the same increase / decrease tendency of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 GO) It serves as a marker for the identification of patients. Accordingly, the marker makes it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a normal person, Graves' disease (GD) patient and Graves' eye disease (GO) patient, and further determine Graves' eye disease (GO) from the subject.

한편, 일 구체예에서, 생물학적 시료가 뇨일 경우, 지질 성분은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 및 트리아실글리세롤(T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때,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은 16:1-LPC 및 18:1-LPC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트리아실글리세롤(TG)은 46:2-TG, 48:1-TG, 50:1-TG, 50:2-TG 및 52:0-T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when the biological sample is urine, the lipid componen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ysophosphatidylcholine (LPC) and triacylglycerol (TG). In this case, lysophosphatidylcholine (LPC)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6: 1-LPC and 18: 1-LPC, triacylglycerol (TG) is 46: 2-TG, 48: 1-TG, 50: 1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G, 50: 2-TG, and 52: 0-TG.

상기 뇨 시료에서, 하기 조건 중 두 개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면 그레이브스병(GD)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의 그레이브스병(GD)은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포함한다. In the urine sample, if two or mor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it can be determined as Graves' disease (GD). Graves 'disease (GD) at this time includes Graves' eye disease (GO).

(1) 16:1-LPC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1.5 배 이상(1) The concentration of 16: 1-LPC is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2) 18:1-LPC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1.5 배 이상(2) the concentration of 18: 1-LPC is 1.5 times or more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3) 46:2-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67 배 이하(3) The concentration of 46: 2-TG is 0.67 times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4) 48:1-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67 배 이하(4) The concentration of 48: 1-TG is 0.67 times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5) 50:1-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67 배 이하(5) 50: 1-TG concentration is 0.67 times less than that of normal group

(6) 50:2-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67 배 이하(6) The concentration of 50: 2-TG is 0.67 times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7) 52:0-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67 배 이하(7) 52: 0-TG concentration is 0.67 times less than that of normal group

또한, 뇨 시료에서, 하기 조건 중 두 개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면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 urine sample, when two or mor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it can be judged as Graves ocular disease (GO).

(1) 16:1-LPC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4.5 배 이상(1) Concentration of 16: 1-LPC is 4.5 times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

(2) 18:1-LPC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5.8 배 이상(2) 18: 1-LPC concentration is 5.8 times or more than that of normal group

(3) 46:2-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55 배 이하(3) the concentration of 46: 2-TG is 0.55 times or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4) 48:1-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55 배 이하(4) the concentration of 48: 1-TG is 0.55 times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5) 50:1-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45 배 이하(5) The concentration of 50: 1-TG is 0.45 times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6) 50:2-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45 배 이하(6) 50: 2-TG concentration is 0.45 times or less than that of normal group

(7) 52:0-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55 배 이하(7) 52: 0-TG concentration is 0.55 times less than that of normal group

즉, 뇨에서 16:1-LPC, 18:1-LPC, 46:2-TG, 48:1-TG, 50:1-TG, 50:2-TG 및 52:0-TG는 정상군과 비교하여 1.5 배 이상 또는 0.67 배 이하의 상이한 농도차이를 가지므로, 정산인과 그레이브스병(GD) 환자를 구분하기 위한 마커로서 사용된다. 더욱이, 상기 마커들은 그레이브스병(GD)일 경우와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일 경우 30% 이상의 농도 차이를 가지고 또한 동일한 농도의 증가/감소 경향을 가지므로, 그레이브스병(GD)과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환자의 구분을 위한 마커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커를 통해 정상인과 그레이브스병(GD) 환자 및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환자의 구분이 가능하며, 나아가 대상군으로부터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판단할 수 있다.That is, in the urine, 16: 1-LPC, 18: 1-LPC, 46: 2-TG, 48: 1-TG, 50: 1-TG, 50: 2-TG, and 52: 0-TG are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It is used as a marker to distinguish between settler and Graves' disease (GD) patients because they have different concentration differences of 1.5 times or 0.67 times. Furthermore, since the markers have a concentration difference of 30% or more in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and also have the same increase / decrease tendency of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 GO) It serves as a marker for the identification of patients. Accordingly, the marker makes it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a normal person, Graves' disease (GD) patient and Graves' eye disease (GO) patient, and further determine Graves' eye disease (GO) from the subject group.

또한, 본 발명은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 및 트리아실글리세롤(T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마커에 대한 정량장치를 포함하는 그레이브스병(GD) 및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식별용 진단 키트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gnostic for identifying Graves 'disease (GD) and Graves' eye disease (GO) comprising a quantification device for a mark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ysophosphatidylcholine (LPC) and triacylglycerol (TG) Relates to a kit.

상기 정량장치는 초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전기분무이온화-질량분석기(nLC-ESI-MS/MS)일 수 있다. The metering device may be an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er (nLC-ESI-MS / MS).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arative examples n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given below.

실시예Example

1. 지질 확보1. Securing Geology

본 발명에서는 클로로포름 보다 독성이 덜한 메틸 삼차 부틸 에테르 (methyl tert-butyl ether, MTBE)를 사용하는 폴츠 변형 추출법(Folch modified with MTBE/CH3OH 추출법)을 이용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lch modified with MTBE / CH 3 OH extraction using methyl tert-butyl ether (MTBE), which is less toxic than chloroform, was used.

상기 추출법은 MTBE와 메탄올을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며 수용액 층과 유기용매 층이 분리될 때 MTBE의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 때문에 유기용매 층이 위층에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추출법은 상대적으로 극성이 강한 라이소지질 및 S1P부터 비극성이 강한 TG까지 높은 회수율로 추출할 수 있다. The extraction method uses a solvent in which MTBE and methanol are mix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rganic solvent layer is in the upper layer because of the relatively low density of MTBE when the aqueous solution layer and the organic solvent layer are separated. In addition, the extraction method can be extracted with a relatively high polarity of lyso lipids and S1P to a high non-polar TG recovery.

상기 추출에 사용되는 MTBE, CH3OH 및 H2O는 HPLC-grade로 Avantor™ Performance Materials (Center Valley, PA)에서 구입하였다.MTBE, CH 3 OH and H 2 O used for the extraction were purchased from Avantor ™ Performance Materials (Center Valley, PA) by HPLC-grade.

폴츠 변형 추출법을 이용한 지질은 추출은 도 1의 모식도의 방법으로 추출하였다.Lipids were extracted using the modified strain extraction method by the method of FIG. 1.

구체적으로, 혈장 시료의 경우 100 ㎕에서, 뇨 시료의 경우는 1 ml에서 지질을 추출하였다. 먼저 300 ㎕의 CH3OH를 첨가한 후 짧게 섞어준 후 아이스 배스(ice bath)에 시료를 10 분 동안 넣어두었다. 그 후, 1000 ㎕의 MTBE를 첨가한 후 1 시간동안 볼텍싱(vortexing)하고 250 ㎕의 H2O를 첨가한 후 10 분간 다시 볼텍싱(vortexing)하였다. 수용액층과 유기층 분리를 위해 1000 X g 에서 원심분리를 한 후, 위층에 존재하는 유기층을 취했다. 유기층을 취한 후 다시 수용액층에 300 ㎕의 CH3OH를 첨가한 후 10 분간 볼텍싱(vortexing)하고 1000 X g 에서 원심분리를 한 후 위층에 존재하는 유기층을 취하여 앞서 취한 유기층과 합쳐서 동결건조기롤 통해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지질은 클로로포름 CHCl3:CH3OH (3:7, v/v)에 녹였고 CH3OH:H2O (9:1, v/v)에 희석하여 분석하였다.Specifically, lipids were extracted in 100 μl for plasma samples and 1 ml for urine samples. First, 300 μl of CH 3 OH was added, followed by brief mixing. The sample was placed in an ice bath for 10 minutes. Thereafter, 1000 μl of MTBE was added and then vortexed for 1 hour, 250 μl of H 2 O was added, and then vortexed for 10 minutes. After centrifugation at 1000 X g to separate the aqueous layer and the organic layer, the organic layer present in the upper layer was taken. After taking the organic layer, 300 μl of CH3OH was added to the aqueous layer, followed by vortexing for 10 minutes, centrifugation at 1000 X g, followed by taking the organic layer present in the upper layer, combined with the previously taken organic layer, and drying through a freeze dryer roll. I was. The dried lipid was dissolved in chloroform CHCl 3: CH 3 OH (3: 7, v / v) and analyzed by dilution in CH 3 OH: H 2 O (9: 1, v / v).

2. 지질 성분 농도 측정을 통한 2. Measurement of Lipid Concentration 마커Marker 선별 Selection

100 ㎕ 혈장과 1 mL 뇨 시료에서 추출한 지질을 도 2에 따른 초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전기분무이온화-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지질의 정성 및 정량분석을 진행하였다. Polymicro Technology, LLC(Phoenix, AZ)에서 구입한 100 ㎛의 내경을 갖는 캐피라리(capillary)에는 1.7 ㎛의 크기를 갖는 Waters(Milford, MA)의 BEH(ethylene bridged hybrid bead) 충진물을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직접 패킹(packing)하여 제작하였다. 펌프(Pump)와 컬럼의 연결은 모두 50 ㎛의 내경을 갖는 캐피라리(capillary)를 이용하였고 나노플로우(nanoflow)를 위해 유속을 스플릿(split)하는 밸브(valve)에는 20 ㎛의 내경을 갖는 캐피러리(capillary)를 연결하여 분리 흐름(split flow)을 조절하였다. Lipids extracted from 100 μl plasma and 1 mL urine samples were subjected 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lipids using the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er according to FIG. 2. Capillary with an inner diameter of 100 μm purchased from Polymicro Technology, LLC (Phoenix, AZ) was filled with ethylene bridged hybrid bead (BEH) from Waters (Milford, MA) having a size of 1.7 μm using nitrogen gas. Produced by direct packing (packing). The pump and column connections all used capillary with an internal diameter of 50 μm and a valve with an internal diameter of 20 μm for a valve that splits the flow rate for nanoflow. The split flow was controlled by connecting capillary.

정성분석에는 써모피셔사이언티픽(Waltham, MA)의 Thermo Scientific™ UltiMate™ 3000 RSLCnano System을 LTQ velos ion trap 질량분석기에 직접 연결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정성분석에서 확인된 지질을 정량하는 정량분석에서는 Waters의 nanoACQUITY UPLC를 TSQ Vantage triple-stage quadrupole 질량분석기에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directly connecting ThermoFisher Scientific's Thermo Scientific ™ UltiMate ™ 3000 RSLCnano System to the LTQ velos ion trap mass spectrometer. NanoACQUITY UPLC was used in conjunction with a TSQ Vantage triple-stage quadrupole mass spectrometer.

분리에 사용되는 이동상은 기울기용리(gradient elution) 방법을 이용하여 극성이 높은 물질부터 순서대로 분리하였다. 이동상 A는 H2O와 CH3CN이 9:1의 부피비로 섞인 용매를 사용하고, 이동상 B는 CH3OH:CH3CN:이소프로파놀(isopropanol,IPA)이 2:2:6의 비율로 섞인 이동상을 사용하였다. 이동상 A는 B에 비해 극성이 매우 높은 용매로서 비극성인 지질분자가 오토샘플러(autosampler)를 통해 컬럼에 주입 될 시 이동상에 의해 컬럼 밖으로 빠지지 않고 컬럼과 지질분자가 효과적으로 바인딩(binding) 해 주는 역할을 해 준다. 시료가 컬럼으로 주입 될 시 이동상 A로만 이동하며 스플릿 밸브(split valve)를 닫은 상태에서 진행하였다. 이동상 B의 조성은 비극성이 높은 IPA의 비율을 높여주어 컬럼에 바인딩(binding) 된 비극성인 지질분자들이 효율적으로 분리되도록 해 주었다. 하지만 IPA의 비율이 너무 높을수록 이동상 A와 B가 혼합될 시 발생하는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사용가능한 이동상 B에 점도가 가장 낮은 CH3CN을 첨가해 주고, 이온화 매개체를 효율적으로 유기용매에 녹이기 위해 CH3OH 또한 첨가해 주었다. 이동상 B의 비율을 천천히 높여주어 지질을 분리할 때 스플릿 밸브(split valve)의 위치를 바꿔서 펌프에서 흐르는 유속 중 300 nL/min만 분석컬럼으로 흘러가도록 하며 남은 유속은 스플릿 밸브(split valve)로 빠져나가게하여 이동상 용매 변화를 빠르게 적용시키며 dwell time을 최소화시켰다. The mobile phase used in the separation was separated in order from the highly polar material by using a gradient elution method. Mobile phase A uses a solvent in which H 2 O and CH 3 CN are mixed at a volume ratio of 9: 1, and mobile phase B has a ratio of 2: 2: 6 of CH 3 OH: CH 3 CN: isopropanol (IPA). A mobile phase mixed with was used. Mobile phase A is a highly polar solvent compared to B. When nonpolar lipid molecules are injected into the column through the autosampler, the mobile phase A effectively binds the column and the lipid molecules without falling out of the column by the mobile phase. Do it. When the sample is injected into the column, it moves only to the mobile phase A and proceeds with the split valve closed. The composition of mobile phase B increased the proportion of highly non-polar IPA, allowing efficient separation of nonpolar lipid molecules bound to the column. However, if the ratio of IPA is too high,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mobile phases A and B are mixed increases, so that CH 3 CN having the lowest viscosity is added to the mobile phase B that can be used. 3 OH was also added. Slowly increase the proportion of mobile phase B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plit valve when separating the lipids so that only 300 nL / min of the flow rate from the pump flows to the analytical column, and the remaining flow rate flows out of the split valve. By moving out, the mobile phase solvent change was applied quickly and the dwell time was minimized.

정성과 정량 분석에 최적화된 다른 종류의 기울기용리법이 사용되었다. 정성분석(LTQ Velos ion trap)의 경우 시료가 분석컬럼에 충분히 바인딩(binding) 할 수 있도록 600 nL/min으로 13분간 흘러주었다. 그 후 스플릿 밸브(split valve)를 열고 6 μL/min으로 유속을 높여준 후 2분간 이동상 B를 75%로, 9 분간 80%로, 다음 9분간 95%로, 다음 9분간 99%로 그리고 99%를 10분간 유지하여 지질을 분리 및 분석하였다. 정량분석(TSQ Vantage triple-quadrupole)의 경우 이동상 A를 1 μL/min으로 10분간 흘러주어 시료를 컬럼에 바인딩(binding)한 후 스플릿 밸브(split valve)를 열고 이동상 B를 20 μL/min의 유속으로 1분간 50%로, 다음 3분간 80%로, 다음 9분간 100%로, 그리고 8분간 100%를 유지하여 단 30분안에 지질을 정량하였다. Another gradient elution method was used that was optimized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In the case of qualitative analysis (LTQ Velos ion trap), the sample was flowed at 600 nL / min for 13 minutes to sufficiently bind the analysis column. Then open the split valve and increase the flow rate to 6 μL / min, then move Mobile Phase B to 75% for 2 minutes, 80% for 9 minutes, 95% for the next 9 minutes, 99% for the next 9 minutes and 99% Was maintained for 10 minutes to separate and analyze lipids. For quantitative analysis (TSQ Vantage triple-quadrupole), flow mobile phase A at 1 μL / min for 10 minutes, bind the sample to the column, open split valve, and flow rate 20 μL / min for mobile phase B. Lipids were quantified in just 30 minutes at 50% for 1 minute, 80% for the next 3 minutes, 100% for the next 9 minutes, and 100% for 8 minutes.

1 mM Ammonium formate(AF)와 0.1% formic acid (FA), 1 mM AF와 1% FA, 5 mM AF와 1% FA, 1 mM AF가 첨가된 이동상 용매를 이용하여 지질을 분석한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FA가 1% 이상으로 첨가되어야만 S1P가 검출되는 점을 발견하였다. AF의 경우 5 mM보다 낮은 1 mM이 첨가된 경우 이온화 효율이 증가하였음이 검증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지질을 한 번에 분석하기 위해, 1 mM AF와 1% FA가 혼합된 이온화 매개체를 최종적으로 선택하였다. AF와 FA는 Sigma-Aldrich (St. Louis, MO)에서 구입하였고 이동상 조성에 사용된 모든 용매는 HPLC-grade로 Avantor™ Performance Materials (Center Valley, PA)에서 각각 구입하였다.Lipi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mobile phase solvent containing 1 mM Ammonium formate (AF), 0.1% formic acid (FA), 1 mM AF and 1% FA, 5 mM AF, 1% FA, and 1 mM AF. As shown in Fig. 3, S1P was detected only when FA was added at 1% or more. In the case of AF, it was proved that the ionization efficiency increased when 1 mM lower than 5 mM was added, so the final selection of the ionization medium mixed with 1 mM AF and 1% FA was performed to analyze various types of lipids at once. It was. AF and FA were purchased from Sigma-Aldrich (St. Louis, Mo.) and all solvents used in the mobile phase composition were purchased from Avantor ™ Performance Materials (Center Valley, PA), respectively, by HPLC-grade.

지질분석에 최적화된 이온화 매개체와 기울기용리법을 이용하여 정상군, GD군, GO군의 혈장 내 지질 5 ㎍과 뇨 시료 내 지질 15 ㎍을 주입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injecting 5 ㎍ of plasma lipids and 15 ㎍ of urine sample into the normal, GD, and GO groups using ionization media and gradient elution optimized for lipid analysis.

정성분석의 경우 시료를 정상군, GD군, GO군 별로 풀링(pooling)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충돌-유도 해리(collision-induced dissociation, CID) 스펙트라를 사용하여 지질 구조를 확인하였다. In the case of qualitative analysis, the samples were pooled by the normal group, the GD group, and the GO group,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As shown in FIG. 4, the lipid structure was identified by using collision-induced dissociation (CID) spectra. It was.

S1P의 경우, 양이온 모드에서는 [M+H]+ 형태에서 검출되었으며 H2O가 잘려 검출된 조각이온(m/z 362.4), 인산기가 잘려나간 조각이온(m/z 282.4), 인산기에서 H2O이 추가로 잘려 검출된 조각이온(m/z 264.4)이 검출되어 S1P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음이온 모드에서는 [M-H]- 형태에서 검출되어 인산기 이온(m/z 97)과 H2O가 추가로 잘린 이온(m/z 79)이 나타나 음이온 모드에서도 구조분석이 가능하지만 양이온 모드의 검출 세기가 훨씬 높은 관계로 S1P의 경우 양이온 모드에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혈액 시료에서 총 389종, 뇨 시료에서 273종의 지질 구조를 분석하였다(표 2).In the case of S1P, in the cation mode, it was detected in [M + H] + form and detected by cutting off H 2 O (m / z 362.4), by cutting off phosphate groups (m / z 282.4), and in the phosphate group H 2 O was further cut and detected fragment ions (m / z 264.4) were detected to confirm the structure of S1P. In negative ion mode [MH] - is detected in the form of a phosphoric ion (m / z 97) and H 2 O is added to the ion (m / z 79) is shown the structure analysis is possible in the negative ion mode, cut into, but the detected intensity of the cation mode Much higher relationships were analyzed in cationic mode for S1P. In this way, a total of 389 lipid structures were analyzed in blood samples and 273 in urine samples (Table 2).

150개 이상의 시료로부터 수백개의 지질을 개별 정량하는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분석시간을 단축하고자 풀링된 시료로 1차 정량을 진행하였다. 정량분석은 전구체(precursor) 값과 product ion을 정하여 선택적인 지질만 분석하는 선택적 반응 모니터링(selected reaction monitoring, SRM) 모드에서 진행하였으며, 1차 정량분석을 진행한 지질의 수는 혈장 지질 281종과 뇨 지질 191종이었다(표 2).Since it takes a lot of time to individually quantify hundreds of lipids from more than 150 samples, the first quantification was conducted with a pooled sample to reduce the analysis time.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in the Selective Reaction Monitoring (SRM) mode, where the precursor value and the product ion were selected to analyze only selective lipids. Urine lipids were 191 species (Table 2).

ClassesClasses PlamsaPlamsa UrineUrine   ClassesClasses PlamsaPlamsa UrineUrine   ClassesClasses PlamsaPlamsa UrineUrine LPCLPC 1616 77 LPILPI 22 1One SMSM 2323 2121 PCPC 3939 2626 PIPI 2020 1616 CERCER 1313 88 LPELPE 77 33 LPSLPS 00 1One MHCMHC 99 77 PEPE 2020 1313 PSPS 00 1010 DHCDHC 44 55 PEpPEp 1313 77 PAPA 55 55 THCTHC 44 44 LPGLPG 66 33 S1PS1P 1One 1One DGDG 2323 1010 PGPG 2222 1111 LSMLSM 44 44 TGTG 50/15850/158 28/11028/110           TOTALTOTAL 281/389281/389 191/273191/273

TG의 경우 다른종류의 지질과 다르게 지방산의 위치가 식별이 가능하지 않으며, 3개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져있어 같은 종류의 지방산이 다른 조합으로 다르게 존재한다. 예를 들어 46:0-TG의 경우, 탄소길이는 46개이며 CID 스펙트라에서 지방산은 14:0, 16:0, 18:0이 검출되었으며 세 지방산 중 두 지방산 조합으로는 28:0, 30:0, 32:0이 검출되었다. 이로 46:0-TG가 14:0,16:0,16:0-TG와 14:0,14:0,18:0-TG으로 존재한다는 점이 분석되었으나 정량분석시 TG의 지방산 길이로 product ion을 설정하므로 해당 길이의 지방산을 가지고있는 모든 TG isomers는 함께 분석되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정성 분석에서 검출된 TG 수에 비해 정량분석에서 검출되는 TG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1차 정량분석에서 표준편차를 포함하여 1.5배 이상의 증감의 차이를 보인 지질만 시료별 개별 정량을 진행하여 분석시간을 단축하였다. In the case of TG, unlike the other lipids, the location of fatty acids is not discernible, and because they consist of three fatty acids, the same type of fatty acids are present in different combinations. For example, 46: 0-TG has 46 carbons and 14: 0, 16: 0, 18: 0 fatty acids were detected in the CID spectra, and 28: 0, 30: 0, 32: 0 was detected. It was analyzed that 46: 0-TG exists as 14: 0,16: 0,16: 0-TG and 14: 0,14: 0,18: 0-TG. So all TG isomers that have fatty acids of that length were analyzed together. For this reason, the TG detecte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relatively reduced compared to the number of TG detected in the qualitative analysis. In the first quantitative analysis, the analysis time was shortened by performing individual quantification of each lipid only sample that showed a difference of 1.5 times or more including the standard deviation.

표 3 내지 5는 개별 시료 정량 분석결과에서 정상군(C), GD군, GO군을 비교하여 1.5배 이상과 p<0.01의 차이를 나타낸 지질(bold)만 정리한 결과이다. 또한, 도 5에서는 각 지질의 피크 면적을 계산하여 정상군과 비교한 GD/C, GO/C와 GD군과 GO군을 비교한 GO/GD로 나타내었다. 이온화 변화를 보정하기위해 각 시료에 첨가한 지질 내부표준물질의 피크 면적을 계산하여 모든 지질의 피크 면적을 보정하였다.Tables 3 to 5 show only the lipids (bold) showing a difference of 1.5 times or more and p <0.01 by comparing the normal group (C), the GD group, and the GO group in the individual sampl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In addition, in FIG. 5, the peak area of each lipid was calculated and represented as GO / GD compared to the GD / C, GO / C and GD and GO group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In order to correct the ionization change, the peak area of the lipid internal standard added to each sample was calculated to correct the peak area of all lipids.

Figure 112017127065991-pat00001
Figure 112017127065991-pat00001

Figure 112017127065991-pat00002
Figure 112017127065991-pat00002

Figure 112017127065991-pat00003
Figure 112017127065991-pat00003

상기 표 3 내지 5에 정리된 지질들을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로 그려 나타내었다(도 5). Lipids summarized in Tables 3 to 5 are depict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FIG. 5).

각각의 포인트는 개별 시료를 나타내며 정상군의 경우는 검은색 동그라미, GD군은 하얀색 동그라미, GO군은 별 모양으로 나타내어 개별 시료에 대한 지질 분자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룹별로 집단화(clustering)가 되어있다는 점은 그룹안에서 분포가 잘 이루어졌다는 걸 알 수 있으며, 뇨 시료보다 혈액 시료에서 GD군과 GO군이 겹쳐지지 않고 뚜렷한 차이가 있었음을 판단할 수 있었다.Each point represents an individual sample. The normal group is represented by black circles, the GD group by white circles, and the GO group by stars. The fact that the grouping was clustered in each group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was good in the group, and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GD group and the GO group did not overlap in the blood sample than the urine sample.

도 6은 정상군에 대한 GD군과 GO군의 특정 지질 분자의 변화를 그린 그림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changes in specific lipid molecules of the GD group and the GO group with respect to the normal group.

혈장에서는 총 5종의 지질, 뇨 시료에서는 총 9종이 지질이 GD군과 GO군시, 1.5배 이상의 증감과 함께 통계적으로 의미(p<0.01)있게 변하는 것을 견주어 볼 수 있었다. A total of 5 types of lipids in plasma and 9 types of urine sampl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1) with more than 1.5-fold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GD and GO groups.

특히 GO군의 d18:1-S1P가 혈장과 뇨 시료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는 점을 발견하였다. 혈장 시료에서는 16:0p/20:2-PEp가 GO군에서 증가하는 반면 GD군에서 크게 변하지않았고 58:7-TG는 GD군에서 증가하는 반면 GO군에서 크게 변하지 않거나 다소 감소하였다. d18:1-S1P와 (16:1,18:0)-DG는 GD군과 GO군에서 증가하였지만 GO군에서 현저히 크게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뇨 시료에서는 16:0/22:5-PE, 18:0/20:4-PE, 18:1/18:2-PE, 18:1/20:4-PE가 정상군과 대조시 GD군에서의 감소가 GO군에서의 감소의 폭보다 컸으며 48:1-과 50:1-TG의 경우, 반대로 GO군에서의 감소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16:1-LPC와 d18:1-S1P은 GD군보다 GO군에서 보다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16:1-LPC의 경우 GD군에서는 약 3배, GO군에서는 약 6배로 증가하여 혈액이나 뇨 시료 내 다른 어떤 지질보다 눈에 띄게 증가한 점을 알 수 있다.Especially, d18: 1-S1P of GO group was found to increase statistically in plasma and urine samples, respectively. In the plasma samples, 16: 0p / 20: 2-PEp increased in the GO group bu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the GD group, while 58: 7-TG increased in the GD group but did not change or decreased slightly in the GO group. d18: 1-S1P and (16: 1,18: 0) -DG increased in the GD and GO groups, bu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O group,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rine sample, 16: 0/22: 5-PE, 18: 0/20: 4-PE, 18: 1/18: 2-PE, and 18: 1/20: 4-PE were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The decrease in was greater than the decrease in the GO group, whereas for 48: 1- and 50: 1-TG, the decrease in the GO group was greater. 16: 1-LPC and d18: 1-S1P increased more rapidly in the GO group than in the GD group, and 16: 1-LPC increased about 3 times in the GD group and about 6 times in the GO group, resulting in other blood or urine samples. Notice the significant increase over any lipid.

Claims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대상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지질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지질 성분의 농도 및 정상군으로부터 분리된 지질 성분의 농도를 비교하여 그레이브스병(GD) 또는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질 성분은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 및 트리아실글리세롤(T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레이브스병(GD) 또는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lipid component in a biological sample isolated from the subject; And
Compa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lipid component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lipid component isolated from the normal group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Graves 'disease (GD) or Graves' eye disease (GO),
The lipid componen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ysophosphatidylcholine (LPC) and triacylglycerol (TG)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o identify Graves 'disease (GD) or Graves' eye disease (GO).
제 3 항에 있어서,
지질 성분의 농도 측정은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는
그레이브스병(GD) 또는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Determin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ipid components using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o identify Graves 'disease (GD) or Graves' eye disease (GO).
제 3 항에 있어서,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은 16:1-LPC 및 18:1-LPC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트리아실글리세롤(TG)은 44:2-TG, 54:7-TG, 60:13-TG, 46:2-TG, 48:1-TG, 50:1-TG, 50:2-TG 및 52:0-TG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그레이브스병(GD) 또는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Lysophosphatidylcholine (LPC)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6: 1-LPC and 18: 1-LPC, triacylglycerol (TG) is 44: 2-TG, 54: 7-TG, 60: 13-T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46: 2-TG, 48: 1-TG, 50: 1-TG, 50: 2-TG, and 52: 0-TG.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o identify Graves 'disease (GD) or Graves' eye disease (GO).
제 3 항에 있어서,
생물학적 시료는 조직, 혈액 또는 뇨인
그레이브스병(GD) 또는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Biological samples are tissue, blood or urine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o identify Graves 'disease (GD) or Graves' eye disease (GO).
제 6 항에 있어서,
생물학적 시료가 혈액일 경우, 지질 성분은 트리아실글리세롤(TG) 이고,
상기 트리아실글리세롤(TG)은 44:2-TG, 54:7-TG 및 60:13-T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그레이브스병(GD) 또는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f the biological sample is blood, the lipid component is triacylglycerol (TG),
The triacylglycerol (TG)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44: 2-TG, 54: 7-TG and 60: 13-TG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o identify Graves 'disease (GD) or Graves' eye disease (GO).
제 7 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중 두 개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면 그레이브스병(GD)으로 판단하고,
(1) 44:2-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1.5 배 이상
(2) 54:7-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1.5 배 이상
(3) 60:13-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1.5 배 이상,
하기 조건 중 두 개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면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으로 판단하며,
(1) 44:2-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2.5 배 이상
(2) 54:7-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2.2 배 이상
(3) 60:13-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2.5 배 이상,
상기 그레이브스병(GD)은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포함하는 것인
그레이브스병(GD) 또는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f two or mor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it is determined as Graves' disease (GD),
(1) The concentration of 44: 2-TG is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2) 54: 7-TG concentration is 1.5 times more than that of normal group
(3) the concentration of 60: 13-TG is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If two or mor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met, Graves ocular disease (GO) is determined,
(1) The concentration of 44: 2-TG is 2.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2) 54: 7-TG concentration is 2.2 times more than that of normal group
(3) the concentration of 60: 13-TG is 2.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The Graves 'disease (GD) is to include Graves' eye disease (GO)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o identify Graves 'disease (GD) or Graves' eye disease (GO).
제 6 항에 있어서,
생물학적 시료가 뇨일 경우, 지질 성분은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 및 트리아실글리세롤(T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은 16:1-LPC 및 18:1-LPC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트리아실글리세롤(TG)은 46:2-TG, 48:1-TG, 50:1-TG, 50:2-TG 및 52:0-T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그레이브스병(GD) 또는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f the biological sample is urine, the lipid compone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ysophosphatidylcholine (LPC) and triacylglycerol (TG),
The lysophosphatidylcholine (LPC)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6: 1-LPC and 18: 1-LPC, triacylglycerol (TG) is 46: 2-TG, 48: 1-TG, 50: 1-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G, 50: 2-TG and 52: 0-TG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o identify Graves 'disease (GD) or Graves' eye disease (GO).
제 9 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중 두 개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면 그레이브스병(GD)으로 판단하고,
(1) 16:1-LPC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1.5 배 이상
(2) 18:1-LPC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1.5 배 이상
(3) 46:2-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67 배 이하
(4) 48:1-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67 배 이하
(5) 50:1-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67 배 이하
(6) 50:2-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67 배 이하
(7) 52:0-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67 배 이하,
하기 조건 중 두 개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면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으로 판단하며,
(1) 16:1-LPC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4.5 배 이상
(2) 18:1-LPC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5.8 배 이상
(3) 46:2-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55 배 이하
(4) 48:1-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55 배 이하
(5) 50:1-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45 배 이하
(6) 50:2-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45 배 이하
(7) 52:0-TG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보다 0.55 배 이하,
상기 그레이브스병(GD)은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포함하는 것인
그레이브스병(GD) 또는 그레이브스 안구병증(GO)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If two or mor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it is determined as Graves' disease (GD),
(1) The concentration of 16: 1-LPC is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2) the concentration of 18: 1-LPC is 1.5 times or more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3) The concentration of 46: 2-TG is 0.67 times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4) The concentration of 48: 1-TG is 0.67 times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5) 50: 1-TG concentration is 0.67 times less than that of normal group
(6) The concentration of 50: 2-TG is 0.67 times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7) the concentration of 52: 0-TG is 0.67 times or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If two or mor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met, Graves ocular disease (GO) is determined,
(1) Concentration of 16: 1-LPC is 4.5 times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
(2) 18: 1-LPC concentration is 5.8 times or more than that of normal group
(3) the concentration of 46: 2-TG is 0.55 times or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4) the concentration of 48: 1-TG is 0.55 times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5) The concentration of 50: 1-TG is 0.45 times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6) 50: 2-TG concentration is 0.45 times or less than that of normal group
(7) the concentration of 52: 0-TG is 0.55 times or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The Graves 'disease (GD) is to include Graves' eye disease (GO)
How to provide information to identify Graves 'disease (GD) or Graves' eye disease (GO):
KR1020170176022A 2017-12-20 2017-12-20 Lipid marker for identifying Graves’ disease and Graves’ disease with ophthalmopathy KR1020259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022A KR102025992B1 (en) 2017-12-20 2017-12-20 Lipid marker for identifying Graves’ disease and Graves’ disease with ophthalmopath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022A KR102025992B1 (en) 2017-12-20 2017-12-20 Lipid marker for identifying Graves’ disease and Graves’ disease with ophthalmopath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567A KR20190074567A (en) 2019-06-28
KR102025992B1 true KR102025992B1 (en) 2019-09-26

Family

ID=6706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022A KR102025992B1 (en) 2017-12-20 2017-12-20 Lipid marker for identifying Graves’ disease and Graves’ disease with ophthalmopath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9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1507B (en) * 2021-11-25 2024-02-13 杭州拓宏生物科技有限公司 Graves disease marker microorganism and application thereof
KR102638210B1 (en) * 2021-11-30 2024-02-1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thyroid ophthalmopathy and uses thereof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ren Beyoglu et al., 'The metabolomic window into hepatobiliary disease', Journal of Hepatology, 2013, Vol. 59, pp 842-858. 1부.*
PLoS One, 2017, Vol. 12, e0175274.
The Open Cardiovascular Medicine Journal, 2011, Vol. 5, pp 76-8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567A (en)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2600B2 (en) Methods of detecting reverse triiodothyronine by mass spectrometry
JP6678046B2 (en) Thyroglobulin determination by mass spectrometry
Jia et al. Metabolomic identification of potential phospholipid biomarkers for chronic glomerulonephritis b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US8729463B2 (en) Measurement of 25-hydroxyvitamin D3 and C3-epi-25-hydroxyvitamin D3
KR102025992B1 (en) Lipid marker for identifying Graves’ disease and Graves’ disease with ophthalmopathy
US11624737B2 (en) Methods for detecting lacosamide by mass spectrometry
JP7203086B2 (en)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guanidinoacetic acid, creatine, and creatinine by mass spectrometry
CN112881567A (en) Detec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phospholipid compounds classified in high abundance and low abundance in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