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588B1 -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588B1
KR102025588B1 KR1020190072880A KR20190072880A KR102025588B1 KR 102025588 B1 KR102025588 B1 KR 102025588B1 KR 1020190072880 A KR1020190072880 A KR 1020190072880A KR 20190072880 A KR20190072880 A KR 20190072880A KR 102025588 B1 KR102025588 B1 KR 102025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access control
numerical data
io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경률
Original Assignee
엄경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경률 filed Critical 엄경률
Priority to KR102019007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47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signal str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은 재난 관련 데이터 측정 센서가 포함된 IOT 모듈을 이용하여 출입통제 장치의 출입 통제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에 있어서, 출입 통제 서버가 상기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재난 관련 제1수치 데이터를 상기 IOT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서버가 재난 정보 분석 서버로부터 텍스트가 포함된 재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서버가 상기 수신된 재난 메시지를 이용하여 재난 관련 제2수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서버가 상기 수신된 재난 메시지를 통해 재난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제1수치 데이터 및 상기 제2수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t시점에서의 재난의 위험 단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통제 서버가 상기 결정된 현재 t시점에서 재난의 종류 및 위험 단계에 대응하는 상황별 재난 대응 정보를 상기 출입통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METHOD FOR CONTROLLING OPEN AND CLOSE OF ENTRANCE AND EXIT BASED IOT}
본 발명은 출입통제 장치의 출입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연재해 또는 자연재난은 상당한 규모의 인적 피해 및 물적 피해를 낳으면서도 완전한 대응이 어려워 그 피해를 경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자연재해나 자연재난은 발생빈도는 낮으나 발생의 예측이 어렵고 최근 들어 발생양상이 다각화되고 발생규모도 커지는 추세에 있다. 또한, 산업화가 고도화됨에 따라서 자연재해나 자연재난뿐 아니라 사람에 의한 인재도 큰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국민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재난 및 재해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하게 하기 위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45438호가 있다.
특히, 차나 사람의 출입이 자유롭지 못한 출입통제 장치가 있는 곳에서는 재난에 대응하여 보다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기존의 출입통제 장치는 사람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되는 방식이어서, 재난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출입통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재난 상황에 맞게 신속하게 출입통제 통제 장치의 출입통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출입통제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난의 상황에 맞게 신속하게 출입통제 장치의 출입을 자동으로 통제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IOT 모듈에서 실제 측정한 측정 데이터와 재난 분석 서버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모두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재난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상황에 대응되게 대처하게 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재난 관련 데이터 측정 센서가 포함된 IOT 모듈을 이용하여 출입통제 장치의 출입 통제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에 있어서, 출입 통제 서버가 상기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재난 관련 제1수치 데이터를 상기 IOT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서버가 재난 정보 분석 서버로부터 텍스트가 포함된 재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서버가 상기 수신된 재난 메시지를 이용하여 재난 관련 제2수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서버가 상기 수신된 재난 메시지를 통해 재난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제1수치 데이터 및 상기 제2수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t시점에서의 재난의 위험 단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통제 서버가 상기 결정된 현재 t시점에서 재난의 종류 및 위험 단계에 대응하는 상황별 재난 대응 정보를 상기 출입통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은 재난 상황에 맞게 상황별 재난 대응 정보를 출입통제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출입통제 장치의 출입을 자동으로 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IOT 모듈에서 실제 측정한 측정 데이터와 재난 분석 서버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모두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재난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상황에 대응되게 출입통제 장치의 출입을 자동으로 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출입통제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출입통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시스템은 출입통제 서버(100), 출입통제 장치(200), 복수의 IOT 모듈(300-1~N), 재난 정보 분석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통제 서버(100)와 출입통제 장치(200)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망은 매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망을 말하는 것으로, 유선 통신망, 컴퓨터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출입통제 장치가 하나만 표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출입통제 장치가 하나의 출입통제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출입통제 장치에는 식별자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출입통제 서버(100)와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s) 모듈(300-1~N)은 유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s) 모듈(300-1~N) 각각은 재난 관련 데이터 측정을 위한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센서는 강수량 센서, 지진감지 센서, 화재감지 센서, 온도 센서, 미세먼지 측정 센서, 수위센서, 가스센서, 연기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센서는 이산화탄소, 유해가스, 공기질센서, 암모니아, 에탄올, 수소 등 가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상기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s) 모듈(300-1~N) 각각은 상기 출입통제 장치(200)가 설치된 곳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설치될 수 있다.
출입통제 서버(100)와 재난 정보 분석 서버(400)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재난 정보 분석 서버(400)의 예로 기상청 서버, 공공데이터 포털 서버 등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출입통제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통제 서버(100)는 수신부(110), 저장부(120), 재난 데이터 추출부(130), 재난 상황 결정부(140), 재난 대응 정보 추출부(150), 전송부(160),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10)는 재난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부(110)는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s) 모듈(300-1~N)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수치 데이터가 포함된 재난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치 데이터는 IOT 모듈에 포함된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이다. 또한, 상기 수신부(110)는 상기 재난 정보 분석 서버(400)로부터 텍스트가 포함된 재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재난 상황별 대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출입통제 장치(200)가 복수 개인 경우, 재난 상황별 대응 정보는 각 출입통제 장치의 식별자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통제 장치 1과는 재난 상황별 대응 정보 1과 매핑되고, 출입통제 장치 2와는 재난 상황별 대응 정보 2가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재난 상황별 대응 정보는 재난의 종류 및 재난의 단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재난 상황별 대응 정보는 재난 상황별 대응 시나리오 뿐만 아니라 대응 명령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재난은 지진, 홍수, 화재 등으로 그 종류가 분류될 수 있고, 재난의 단계는 정상, 경보, 긴급 단계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재난의 종류에 따라 재난의 세분화 단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진의 경우는 재난의 단계가 3단계로 구분되고, 화재의 경우에는 재난의 단계가 4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재난 데이터 추출부(130)는 수신한 재난 데이터 및 재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새로운 재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상기 재난 메시지로부터 재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난 데이터 추출부(130)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재난 메시지로부터 자연어 처리하여 재난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상기 추출된 재난 데이터와 IOT 모듈로부터 수신한 재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재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재난 상황 결정부(140)는 상기 재난 데이터 추출부(130)에서 추출되거나 생성된 재난 데이터에 근거하여 현재 t시점에서의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 또는 미래 t+a시점에서의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재난 대응 정보 추출부(150)는 결정된 현재 t시점 또는 t+a시점에서의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에 대응되는 재난 상황별 대응 정보를 상기 저장부(120)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160)는 추출된 재난 상황별 대응 정보 출입통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출된 재난 상황별 대응 정보가 특정 출입통제 장치의 식별자와 매핑된 경우, 상기 전송부(160)는 해당되는 출입통제 장치로 상기 재난 상황별 대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부(110), 상기 저장부(120), 상기 재난 데이터 추출부(130), 상기 재난 상황 결정부(140), 상기 재난 대응 정보 추출부(150), 및 상기 전송부(16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출입통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통제 장치(200)는 수신부(210), 디스플레이부(220), 알람부(230), 도어부(240), 음성 출력부(250), 전송부(260),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210)는 상기 출입통제 서버(100)로부터 상황별 재난 대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상황별 재난 대응 정보는 상황별 재난 대응 명령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는 상황별 재난 대응 정보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는 재난의 단계가 정상인 경우에는 재난 관련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재난의 단계가 경보 단계인 경우에는 경보 메시지를 표시하고, 재난의 단계가 긴급 단계인 경우에는 긴급 메시지 및 대피 장소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230)는 상황별 재난 대응 정보에 따라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알람 신호는 경고음, 경고등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의 단계가 정상인 경우에는 경고음이나 경고등이 작동하지 않고, 재난의 단계가 경보 단계 또는 긴급 단계인 경우에는 경고음 및 경고등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240)은 대상 객체가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open)되거나 출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폐쇄(closed)되는 구조물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문이나 차량이 출입할 수 있는 차단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240)은 상황별 재난 대응 정보에 따라 개방이나 폐쇄상태가 자동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250)는 상황별 재난 대응 정보에 따라 재난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재난 방송은 상황별 재난 대응 정보에 매칭되게 저장된 방송일 수도 있고, 상기 출입통제 서버(100)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출력되는 방송일 수도 있다.
상기 전송부(260)는 주변의 디바이스로 현재 또는 미래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브로드 캐스팅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수신부(210), 상기 디스플레이부(220), 상기 알람부(230), 상기 도어부(240), 상기 음성 출력부(250), 및 상기 전송부(26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복수의 IOT 모듈(300-1~N) 각각은 자신의 측정 센서를 통해 재난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강수량 센서가 포함된 IOT 모듈은 강수량을 측정하고, 온도 센서가 포함된 IOT 모듈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출입통제 서버(100)는 상기 복수의 IOT 모듈(300-1~N) 각각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재난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420). 상기 수신된 재난 관련 데이터는 온도나 강수량 등의 제1수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통제 서버(100)는 상기 재난 정보 분석 서버(400)에서 분석한 재난 관련 분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430). 상기 분석 데이터는 텍스트가 포함된 재난 메시지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출입통제 서버(100)는 상기 분석 데이터 및 상기 제1수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재난 상황 식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440). 현재 재난 상황 식별 데이터라 함은 출입장치(200)에 타켓된 현재 재난의 종류 및 재난의 단계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말한다. 상기 출입통제 서버(100)는 분석 데이터를 자연어 처리하여 재난 관련 제2수치 데이터 및 재난의 종류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석 데이터가 재난 메시지인 경우, 해당 재난 메시지를 자연어 처리하여 출입장치(200)에 타켓된 재난의 종류를 홍수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통제 서버(100)는 재난의 단계를 상기 제1수치 데이터와 상기 제2수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수치 데이터와 상기 제2수치 데이터의 차이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일 경우에는 제1수치 데이터와 상기 제2수치 데이터의 평균을 상기 출입통제 장치(200)가 설치된 곳에 대한 현재 t시점에서의 재난 데이터로 결정하고, 제1수치 데이터와 상기 제2수치 데이터의 차이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제1수치 데이터와 상기 제2수치 데이터에 설정된 가중치를 반영한 평균을 상기 출입통제 장치(200)가 설치된 곳에 대한 현재 t시점에서의 재난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출입통제 서버(100)는 상기 결정된 현재 t시점에서의 재난 관련 수치 데이터(이하, '제3수치 데이터'라 함)를 딥러닝의 입력값으로 사용하여 상기 출입통제 장치(200)가 설치된 곳에 대한 미래 t+a시점에서의 재난 관련 제4수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50). 예를 들어, 상기 출입통제 서버(100)는 상기 제3수치 데이터를 과거 통계값에 의해 학습된 딥러닝 알고리즘의 입력값으로 사용하여 출력값으로 상기 제4수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출입통제 서버(100)는 상기 제3수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현재 t시점에서의 재난의 종류 및 재난 단계를 결정하고, 상기 제4수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미래 t+a시점에서의 재난의 종류 및 재난의 단계를 결정할 수 있다(S460).
상기 출입통제 서버(100)는 S460 단계에서 결정된 재난 상황에 대응되는 재난 대응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출입통제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S470). 상기 재난 대응 정보는 상기 출입통제 장치(200)가 작동할 시간에 대한 스케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출입통제 장치(200)는 상기 수신한 재난 대응 정보에 따라 출입통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480). 예를 들어, 재난의 단계가 정상, 경보, 긴급으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출입통제 장치(200)는 정상, 경보, 긴급 단계에 따라 도어부(240)의 개방과 폐쇄, 재난 경고 메시지 표시, 대피장소 안내 표시 등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미래 시점인 t+a에서의 재난의 종류 및 재난 단계에 대응되는 재난 대응 정보를 전송하는 이유는 출입통제 장치(200)에 상기 재난 대응 정보가 도착할 시점에서는 현재 시점에 대한 대응 정보에 따라 출입통제 기능을 수행하면 시기적으로 늦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은 재난 상황에 맞게 상황별 재난 대응 정보를 출입통제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출입통제 장치의 출입을 자동으로 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IOT 모듈에서 실제 측정한 측정 데이터와 재난 분석 서버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모두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재난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상황에 대응되게 출입통제 장치의 출입을 자동으로 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T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T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T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T-Tptical Media), 및 롬(RTM), 램(RAM), 플래시 메모리, SSD (STlid State Drive)와 같은 메모리 저장장치 등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한편, 이러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출입통제 서버
110: 수신부
120: 저장부
130: 재난 데이터 추출부
140: 재난 상황 결정부
150: 재난 대응 정보 추출부
160: 전송부
170: 제어부
200: 출입통제 장치
300-1~N: IOT 모듈

Claims (5)

  1. 재난 관련 데이터 측정 센서가 포함된 IOT 모듈을 이용하여 출입통제 장치의 출입 통제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에 있어서,
    출입 통제 서버가 상기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재난 관련 제1수치 데이터를 상기 IOT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서버가 재난 정보 분석 서버로부터 텍스트가 포함된 재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서버가 상기 수신된 재난 메시지를 이용하여 재난 관련 제2수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출입 통제 서버가 상기 수신된 재난 메시지를 통해 재난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제1수치 데이터 및 상기 제2수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t시점에서의 재난의 위험 단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통제 서버가 상기 결정된 현재 t시점에서 재난의 종류 및 위험 단계에 대응하는 상황별 재난 대응 정보를 상기 출입통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t시점에서의 재난의 위험 단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수치 데이터 및 상기 제2수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3수치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3수치 데이터를 상기 출입통제 장치가 설치된 곳에 대한 현재 t시점에서의 재난 데이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은 상기 제3수치 데이터를 딥러닝의 입력값으로 사용하여 상기 출입통제 장치가 설치된 곳에 대한 미래 t+a시점에서의 재난 관련 제4수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4수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된 재난의 미래 t+a시점에서의 재난의 위험 단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통제 서버가 상기 결정된 미래 t+a시점에서 재난의 종류 및 위험 단계에 대응하는 상황별 재난 대응 정보를 상기 출입통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센서는
    강수량 센서, 지진감지 센서, 화재감지 센서, 온도 센서, 미세먼지 측정 센서, 수위센서, 가스센서, 연기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t시점에서 재난의 종류 및 위험 단계에 대응하는 상황별 재난 대응 정보 및 상기 미래 t+a시점에서 재난의 종류 및 위험 단계에 대응하는 상황별 재난 대응 정보는 상황별 재난 대응 명령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관련 제4수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수치 데이터에 매칭되는 과거 통계 데이터를 더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
KR1020190072880A 2019-06-19 2019-06-19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 KR102025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880A KR102025588B1 (ko) 2019-06-19 2019-06-19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880A KR102025588B1 (ko) 2019-06-19 2019-06-19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588B1 true KR102025588B1 (ko) 2019-09-26

Family

ID=6806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880A KR102025588B1 (ko) 2019-06-19 2019-06-19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5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2648A (zh) * 2021-04-07 2021-07-13 二十二冶集团装备制造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在线学习系统
KR20230071565A (ko) 2021-11-16 2023-05-23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재난 관측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15686B1 (ko) * 2023-03-17 2023-12-20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침수위험 도로 스마트 자동차단 통합재난 관리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198A (ko) * 2015-05-12 2016-11-22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키워드 관련도 기반의 재난 이슈별 재난 탐지 기술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처 방법
KR20160149406A (ko) * 2015-06-18 2016-12-28 (주)아신정보기술 재난 관리 장치 및 재난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198A (ko) * 2015-05-12 2016-11-22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키워드 관련도 기반의 재난 이슈별 재난 탐지 기술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처 방법
KR20160149406A (ko) * 2015-06-18 2016-12-28 (주)아신정보기술 재난 관리 장치 및 재난 관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2648A (zh) * 2021-04-07 2021-07-13 二十二冶集团装备制造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在线学习系统
KR20230071565A (ko) 2021-11-16 2023-05-23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재난 관측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15686B1 (ko) * 2023-03-17 2023-12-20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침수위험 도로 스마트 자동차단 통합재난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588B1 (ko)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
CN105376255B (zh) 一种基于K-means聚类的Android平台入侵检测方法
US9953517B2 (en) Risk early warning method and apparatus
EP3696624A1 (en) Intellig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2322427B1 (ko)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KR20200037399A (ko) 머신 러닝 기반의 무음 명령에 의해 음성 어시스턴트가 제어되는 것을 방어하는 방법
Iervolino Performance-based earthquake early warning
CN106251568A (zh) 一种基于紫外与图像检测技术的火灾报警安防系统及方法
CN109192222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声音异常检测系统
US98526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ound and performing an action on the detected sound
US9622048B2 (en) SNS based incident management
KR102220328B1 (ko)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292333B1 (ko) 모니터링되는 환경에 관련된 결정 요인에 따라 전관 방송을 송출하는 기법
KR20180057578A (ko)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1062488A (zh) 舞动轨迹预警方法及系统
KR102121059B1 (ko)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비상 방송 시스템, 장치 및 기법
CN108898717A (zh) 一种智能安防监控系统
EP3125433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iggering predetermined operation
CN109634554B (zh) 用于输出信息的方法和装置
Omarov Applying of audioanalytics for determining contingencies
CN115862296A (zh) 铁路施工工地的火灾风险预警方法、系统、设备及介质
KR102250200B1 (ko) 화재모니터링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2262395A (zh) 多重危害检测及控制系统及其方法
Li et al. Compromised IoT Devices Detection in Smart Home via Semantic Information
CN112511568A (zh) 一种网络安全事件的关联分析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