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713B1 -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713B1
KR102024713B1 KR1020180086665A KR20180086665A KR102024713B1 KR 102024713 B1 KR102024713 B1 KR 102024713B1 KR 1020180086665 A KR1020180086665 A KR 1020180086665A KR 20180086665 A KR20180086665 A KR 20180086665A KR 102024713 B1 KR102024713 B1 KR 102024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upper case
rubber pad
pad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영
문상혁
진기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086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713B1/ko
Priority to PCT/KR2019/008338 priority patent/WO202002266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4Adaptation for subterranean or subaqueous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부착되는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유선형의 돔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상부 케이스, 안테나 회로의 기판이 배치되는 기판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기판 가이드의 외곽 기설정된 높이까지 하부 케이스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면,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안테나 회로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측면에 수밀 돌기가 형성되는 고무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Waterproof structure for vehicle antenna}
본 발명은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루프 상단 등의 외부에 장착되는 안테나의 방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안테나는 주행 시 바람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유선형 돔 형태로 구현되며, 샤크 형, 마이크로-폴 형 등 다양한 타입이 있다. 차량용 안테나의 기구 부품은 외관 디자인 및 안테나 내부의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상부케이스(커버)와 안테나의 회로가 안착되는 하부케이스(베이스) 및 차량 내부에 침투되는 수분 유입을 차단하는 고무패드로 구성된다.
기존의 차량용 안테나는 상부케이스에 수밀격벽 리브를 형성하고, 형성된 수밀격벽 리브를 하부케이스와 결합된 고무패드의 홈에 밀착시키거나, 실리콘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수분이 안테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고무패드의 홈에 결합되는 수밀 구조에서는 상부케이스의 수밀격벽 리브의 정확한 결합 및 압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접착제에 의한 접합은 접착 부재가 추가될 뿐만 아니라, 공정이 까다롭고 토출 장비, 폐기 시설 등의 투자비가 발생되어 원가적으로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798523호 (2017.11.10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서로 다른 위치에서 다수 횟수로 차단하여 방수성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 케이스가 결합된 고무패드에 상부케이스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 케이스의 수밀격벽 리브의 파손을 방지하고, 고무패드에 결합된 하부 케이스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구조는 차량에 부착되는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구조에 있어서, 유선형의 돔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상부 케이스; 안테나 회로의 기판이 배치되는 기판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기판 가이드의 외곽 기설정된 높이까지 상기 하부 케이스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면,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안테나 회로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측면에 수밀 돌기가 형성되는 고무패드; 를 포함한다.
상기 고무패드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방된 하부의 케이스 에지에 밀착되도록 케이스 결합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 가이드의 기지정된 높이로 격벽 결합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결합 평면부와 상기 격벽 결합 평면부 사이의 측면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상에 대응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밀 돌기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측면에서 기지정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패드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방된 하부의 케이스 에지에 밀착되도록 케이스 결합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 가이드의 기지정된 높이로 격벽 결합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결합 평면부와 상기 격벽 결합 평면부 사이의 측면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다단의 계단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수밀 돌기는 상기 다단의 계단 구조의 각 단의 상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패드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방된 하부의 케이스 에지에 밀착되도록 케이스 결합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 케이스 에지의 하단 외측에는 상기 케이스 결합 평면부에 인가되는 압력을 높이기 위한 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는 개방된 하부의 케이스 에지의 하단 내측에 상기 고무패드와 지정된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상부 케이스 에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무패드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 케이스 에지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패드 방수 홈 및 상기 패드 방수홈 내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에지 돌기에 밀착되어 상기 안테나 회로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추가 수밀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기판 가이드의 외곽을 따라 케이스 압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케이스 압축홈에 대응하는 수밀격벽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고무패드는 상부면에서 상기 케이스 압축홈의 영역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도록, 상기 기판 가이드의 기지정된 높이로 격벽 결합 평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구조는 유선형의 돔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상부 케이스; 안테나 회로의 기판이 배치되는 기판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기판 가이드의 외곽 기설정된 높이까지 상기 하부 케이스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면, 상기 상부 케이스와 밀착되어 상기 안테나 회로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고무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기판 가이드의 외곽을 따라 케이스 압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케이스 압축홈 상에 형성된 상기 고무패드에 밀착되도록 상기 케이스 압축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밀격벽 리브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구조는 하부케이스가 결합된 고무패드에 적어도 하나의 수밀 돌기와 상부 케이스의 케이스 에지 및 상부 케이스의 수밀격벽 리브에 의해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서 다수 횟수로 수분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방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의 케이스 에지의 형상 구조를 이용하여, 상부 케이스와 고무패드의 경계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더욱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 시, 고무패드의 수밀 돌기가 상부 케이스에 밀착되어 상부 케이스를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부 케이스에 상부 케이스의 수밀격벽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압축홈이 형성되고, 고무패드는 하부 케이스의 압축홈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더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방수 성능을 개선하며 고무패드로부터 수밀격벽 리브로 전달되는 응력을 개선하여 수밀격벽 리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2 는 도1 의 상부 케이스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다.
도3 은 도1 의 하부 케이스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다.
도4 는 도1 의 고무패드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다.
도5 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 시에 케이스 압축홈 상에 형성된 고무패드와 수밀격벽 리브의 밀착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밀 돌기와 상부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7 내지 도9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다.
도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의 수분 유입 경로와 이의 차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2 내지 도4 는 각각 도1 의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및 고무패드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안테나의 일예로서 샤크형 안테나를 도시하였으며, 사크형 안테나는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UC), 안테나 회로(ATC), 하부 케이스(DC), 고무패드(PAD)를 포함한다.
도1 및 도2 를 참조하면, 상부 케이스(UC)는 하부 케이스(DC)와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차량의 수행 시에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고, 내부에 안테나 회로(ATC)가 배치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테나 회로(ATC)를 보호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유선형 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UC)는 일예로 PC(PolyCarbonate), PC+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등 플라스틱 고분자 화합물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UC)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케이스 결합부재(CSCR)를 이용하여 하부 케이스(DC)와 결합될 수 있도록, 케이스 결합부재(CSCR)가 나사산을 이루며 삽입되는 보스(boss)(BO)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결합부재(CSCR)에 의해 하부 케이스(DC)와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UC)는 개방된 하부의 케이스 에지(CEG)가 고무패드(PAD)에 압력을 가하는 형태로 결합되며,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안테나(ANT)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 에지(CEG)가 고무패드(PAD)에 압력을 가하는 형태로 결합되더라도, 케이스 에지(CEG)와 고무패드(PAD)가 접촉되는 모든 영역에서 균일한 압력을 인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케이스 에지(CGE)와 고무패드(PAD)는 제조 시에 공차가 존재하며, 특히 고무패드(PAD)의 경우, 제조된 이후 수축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재료이다. 이러한 수축은 고무패드(PAD)의 형상에 따라서 각 위치에서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로 인해, 케이스 에지(CEG)가 고무패드(PAD)에 인가하는 압력은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케이스 에지(CEG)가 고무패드(PAD)에 접촉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모든 위치에서 케이스 에지(CEG)와 고무패드(PAD)가 접촉될지라도, 케이스 에지(CEG)의 하부면이 평탄하게 제조되는 경우, 모서리 부분의 곡률에 따라 수분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UC)의 케이스 에지(CEG)의 하단 외측에 첨부(ACU)를 형성한다. 상부 케이스(UC)와 하부 케이스(DC)의 결합 시에, 케이스 에지(CEG)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첨부(ACU)는 고무패드(PAD)의 영역을 파고들어 압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 에지(CEG)의 하부면이 평탄한 경우보다, 고무패드(PAD)의 압축률을 높이게 된다. 이로 인해 고무패드(PAD)의 탄성이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케이스 에지(CEG)와 고무패드(PAD)의 접촉부를 통한 수분 유입을 더욱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UC)와 고무패드(PAD)의 제조 공정 상의 허용 공차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UC)는 내부의 빈 공간에 수밀격벽 리브(WBR)가 더 형성된다. 수밀격벽 리브(WBR)는 후술하는 하부 케이스(DC)의 기판 가이드(SGD)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수밀격벽 리브(WBR)는 하부 케이스(DC)의 기판가이드(SGD)의 외측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UC)와 하부 케이스(DC)가 결합되면, 기판 가이드(SGD)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수밀격벽 리브(WBR)는 상부 케이스(UC)와 하부 케이스(DC)의 결합 시에 상부 케이스(UC)의 내부에서 고무패드(PAD)의 대응하는 영역에 압력을 가하는 형태로 접촉하여, 기판가이드(SGD) 상에 배치되는 안테나 회로(ATC)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안테나 회로(ATC)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여 실질적인 안테나로 기능하는 부분으로, 기판(SUB)과 기판(SUB)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로 소자 및 안테나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안테나 회로(ATC)는 특정 통신 방식이 아닌 여러 통신 방식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회로 소자와 안테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 회로(ATC)는 하부 케이스(DC)의 지정된 위치에 결합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도1 및 도3 을 참조하여, 하부 케이스(DC)를 설명한다. 도3 에서 (a)는 하부 케이스(DC)의 상면도이며, (b)는 하면도이다.
하부 케이스(DC)는 안테나 회로(ATC)를 안테나(ANT)의 내부에 거치 및 고정한다. 하부 케이스(DC)는 안테나 회로(ATC)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예로 알루미늄이나 아연 등의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DC)에는 안테나 회로(ATC)의 거치 위치를 지정하는 기판 가이드(SGD)가 형성되고, 기판 가이드(SGD)에 안테나 회로(ATC)가 안정적으로 거치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기판 가이드 돌기(SGB) 및 기판 체결홀(SLH)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 체결홀(SLH)은 안테나 회로(ATC)의 다양한 회로 소자가 배치된 기판(SUB)이 스크류와 같은 기판 결합부재(SSCR)를 이용하여 하부 케이스(DC)에 결합되도록, 기판 결합부재(SSCR)가 삽입되는 홀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 가이드(SGD)는 외측면이 2단 계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 가이드(SGD)가 2단 계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은 후술하는 고무패드(PAD)가 기판 가이드(SGD)에 형성되는 영역을 제한하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예에서 고무패드(PAD)는 2단 구조의 기판 가이드(SGD)에서 1단의 높이까지만 형성되고, 가이드 보스(GBO)의 2단의 상부면은 커버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 케이스(DC)에는 케이스 결합부재(CSCR)를 이용하여 상부 케이스(UC)와 결합될 수 있도록 케이스 체결홀(CLH)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DC)의 케이스 체결홀(CLH)은 상부 케이스(UC)에 형성된 보스(BO)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결합부재(CSCR)가 하부 케이스(DC)의 케이스 체결홀(CLH)을 통해 상부 케이스(UC)의 보스(BO)에 삽입됨으로써, 안테나(ANT)의 하부 케이스(DC)와 상부 케이스(UC)를 결합한다.
하부 케이스(DC)의 상부면에는 케이스 체결홀(CLH)을 감싸는 형태로 형태로 돌출되는 가이드 보스(GBO)가 형성된다. 가이드 보스(GBO)는 케이스 체결홀(CLH)을 관통하여 상부 케이스(UC)의 보스(BO)에 삽입되는 케이스 결합부재(CSCR) 사선으로 비틀려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부 케이스(UC)의 보스(BO)를 지지하여, 케이스 결합부재(CSCR)에 의해 상부 케이스(UC) 또는 상부 케이스의 보스(BO)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DC)의 하부면에는 상부면의 가이드 보스(GBO)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 홈(GDG)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GDG) 또한 가이드 보스(GBO)와 유사하게 케이스 결합부재(CSCR)를 가이드하고, 케이스 결합부재(CSCR)의 헤드가 케이스 체결홀(CLH)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막는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케이스 결합부재(CSCR)가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상부 케이스(UC) 또는 상부 케이스의 보스(BO)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적으로 하부 케이스(DC)에는 하부 케이스(DC)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무패드(PAD)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다수의 관통홀(T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DC)에는 안테나(ANT)가 차량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는 일예로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형태 체결구(LH)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DC)의 체결구(LH)는 차량에 미리 준비된 안테나 홀을 통해 차량 내부로 삽입되며, 삽입된 체결구(LH)는 차량 내부에서 너트와 체결되어 안테나(ANT)를 차량에 고정할 수 있다.
즉 하부 케이스(DC)는 기판 결합부재(SSCR) 및 케이스 결합부재(CSCR)를 이용하여 안테나 회로(ATC) 및 상부 케이스(UC)와 결합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LH)를 이용하여 안테나(ANT)가 차량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하부 케이스(DC)는 안테나 회로(ATC)가 하부 케이스(DC)를 통과하여 차량으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인가받고, 안테나 회로(ATC)로 전원 전압 및 접지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유선 선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케이블 홀(CH)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DC)에서는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가이드(SGD)의 외곽 형상을 따라 케이스 압축홈(CCF)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 압축홈(CCF)은 상부 기판(DC)에 형성된 수밀격벽 리브(WBR)에 대응하는 위치 및 형태로 형성된다.
케이스 압축홈(CCF)의 용도 및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고무패드(PAD)는 하부 케이스(DC)와 상부 케이스(UC)가 결합부재(CSCR)에 의해 결합될 때, 고무패드(PAD)의 탄성에 의해 하부 케이스(DC)와 상부 케이스(UC)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하부 케이스(DC)와 상부 케이스(UC)의 경계면을 따라 수분이 안테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무패드(PAD)는 안테나를 차량에 체결할 때, 안테나가 차량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장착되도록 하고, 안테나와 차량 외부의 경계면을 따라 수분이 안테나 내부 또는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차량의 외형과 안테나에 일치감을 주어 안테나의 장착으로 인한 차량 외관 디자인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고무패드(PAD)는 하부 케이스(DC)의 외곽을 감싸도록 하부 케이스(DC)와 일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4 에서는 하부 케이스(DC)와 결합된 상태의 고무패드(PAD)를 도시하였다.
도4 에서도 (a)는 고무패드(PAD)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b)는 하면도를 나타낸다.
고무패드(PAD)는 일예로 하부 케이스(DC)와 일체 형태로 형성되도록 인서트 사출(Insert Injection Molding)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인서트 사출되는 고무패드(PAD)는 사출된 고무가 하부 케이스(DC)의 관통홀(TH)을 통과하는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고무패드(PAD)와 하부 케이스(DC)와의 결합력을 높이고, 결합된 이후 고무패드(PAD)가 하부 케이스(DC)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무패드(PAD)는 일예로,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TPE(Thermoplastic Elastomer) 등 50~70도 경도의 연질가류 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무 패드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수밀리브(WR1 ~ WR3)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수밀리브(WR1 ~ WR3)는 안테나(ANT)와 차량이 결합되는 경계면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다수의 수밀리브(WR1 ~ WR3)는 고무패드(PAD)의 하부면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다수의 수밀리브(WR1 ~ WR3)는 안테나(ANT)가 차량에 결합될 때, 고무패드(PAD)의 하부면의 수직 방향으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단이 점차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수밀리브(WR1 ~ WR3)가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무패드(PAD)의 하부면에서 외부 방향으로 휘어져야 한다. 이에 수밀리브(WR1 ~ WR3)는 외부 방향으로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외측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수밀리브(WR1 ~ WR3) 각각은 서로 다른 각도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수밀리브(WR1 ~ WR3) 각각에서도 위치에 따라 각도와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안테나(ANT)가 장착되는 차량의 외부면이 평면이 아닌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무패드(PAD)는 외측 테두리 상부에서 상부 케이스(UC)의 케이스 에지(CEG)의 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케이스 결합 평면부(CLPA)가 형성된다. 케이스 결합 평면부(CLPA)는 상부 케이스(UC)의 케이스 에지(CEG)의 하단이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케이스(UC)의 케이스 에지(CEG)의 외측에 첨부(ACU)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4 의 좌측 확대 도면에서와 같이, 케이스 에지(CEG)의 첨부(ACU)는 케이스 결합 평면부(CLPA)의 대응하는 위치에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가하게 되며, 케이스 결합 평면부(CLPA)의 해당 위치에 압축률이 증가된다. 이로 인해 탄성이 증가하여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한 압력을 가할 때, 케이스 에지(CEG)에 첨부(ACU)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케이스 에지(CEG)가 더 깊게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되어, 상부 케이스(UC)와 고무패드(PAD)의 제조 공정 상의 공차가 증가하더라도 수분 유입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즉 허용 공차를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무패드(PAD)는 하부 케이스(DC)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되지만, 기판 가이드(SGD)의 상부는 커버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기판 가이드(SGD)의 외측면까지 형성된다.
고무패드(PAD)는 하부 케이스(DC)의 상부면에서 평면으로 형성되며, 여기서의 평면을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 결합 평면부(BLPA)라 한다. 격벽 결합 평면부(BLPA)는 하부 케이스(DC)의 상부면으로부터 기지정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예로 격벽 결합 평면부(BLPA)는 기판 가이드(SGD)의 외측 2단 계단 구조에서 1단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 가이드(SGD)의 외측면은 상부 케이스(UC)와 하부 케이스(DC)가 결합되면, 상부 케이스(UC)에 형성된 수밀격벽 리브(WBR)가 고무패드(PAD)의 격벽 결합 평면부(BLPA)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수밀격벽 리브(WBR)가 고무패드(PAD)의 격벽 결합 평면부(BLPA)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케이스 에지(CEG)와 유사하게 안테나 회로(ATC)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차단한다.
그러나 격벽 결합 평면부(BLPA)의 두께가 격벽 결합 평면부(BLPA)가 평탄하지 않거나, 수밀격벽 리브(WBR)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균일하지 않는 경우에는 안테나 회로(ATC)로 수분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압력이 가해진 고무패드(PAD)의 응력이 크게 작용하여 수밀격벽 리브(WBR)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수밀격벽 리브(WBR)가 파손되면 내부의 수밀 성능이 저하되어 안테나 회로(ATC)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이에 격벽 결합 평면부(BLPA)는 하부 케이스(DC)의 상부면으로부터 기지정된 높이의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수밀격벽 리브(WBR)으로부터 균일하고 안정적인 압력을 인가받아, 안테나 회로(ATC)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즉 수밀격벽 리브(WBR)와 고무패드(PAD)의 격벽 결합 평면부(BLPA) 사이의 경계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다만, 고무패드(PAD)에서 하부 케이스(DC)의 상부면으로부터 격벽 결합 평면부(BLPA)의 상부면까지의 높이, 즉 격벽 결합 평면부(BLPA)의 두께는 제조비용과 수밀격벽 리브(WBR)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조절되어야 한다.
만일 격벽 결합 평면부(BLPA)의 두께가 두꺼우면, 수밀격벽 리브(WBR)에 의해 고무패드(PAD)에 압력이 높게 인가되어, 고무패드(PAD)의 압축률이 높아지더라도 응력이 작아 수밀격벽 리브(WBR)의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수분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넓은 면적의 격벽 결합 평면부(BLPA)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반면, 격벽 결합 평면부(BLPA)의 두께가 얇으면, 수밀격벽 리브(WBR)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케이스(DC)에 케이스 압축홈(CCF)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고무패드(PAD)는 격벽 결합 평면부(BLPA)에서 케이스 압축홈(CCF)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도 평면이 유지되도록 한다. 즉 케이스 압축홈(CCF)이 형성된 영역에서 고무패드(PAD)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한다.
도5 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 시에 케이스 압축홈 상에 형성된 고무패드와 수밀격벽 리브의 밀착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5 에서 (a)는 하부 케이스(DC)의 케이스 압축홈(CCF) 상에 격벽 결합 평면부(BLPA)가 형성된 고무패드(PAD)와 상부 케이스(UC)에 형성된 수밀격벽 리브(WBR)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b) 내지 (d)는 상부 케이스(UC)와 하부 케이스(DC)의 결합 시에 수밀격벽 리브(WBR)에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수밀격벽 리브(WBR)와 고무패드(PAD)가 밀착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b)는 상부 케이스(UC)와 하부 케이스(DC)가 결합되기 이전 상태로 수밀격벽 리브(WBR)가 고무패드(PAD)에 압력을 인가하기 이전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c)는 상부 케이스(UC)와 하부 케이스(DC)가 결합되는 중간 상태를 나타낸다. (d)는 상부 케이스(UC)와 하부 케이스(DC)가 완전히 결합된 결합 상태를 나타낸다.
도5 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 패드(PAD)는 하부 케이스(DC)에 케이스 압축홈(CCF)이 형성되어 있음에도, 압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압축홈(CCF)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한다. 즉 격벽 결합 평면부(BLPA)의 일부로서 평면을 유지한다. 이는 고무패드(APD)의 격벽 결합 평면부(BLPA)에서 케이스 압축홈(CCF)에 대응하는 영역이 나머지 영역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됨을 의미한다.
도5 의 (c)를 참조하면, 상부 케이스(UC)와 하부 케이스(DC)가 결합되어감에 따라 수밀격벽 리브(WBR)가 고무패드(PAD)에 밀착되어 압력을 인가하기 시작하고, 이로 인해 고무패드(PAD)의 형상 변화가 발생한다.
이때 하부 케이스(DC)의 케이스 압축홈(CCF)은 수밀격벽 리브(WBR)에 대응하여 형성되었으므로, 고무패드(PAD)의 격벽 결합 평면부(BLPA)에서 두께가 두꺼운 영역은 수밀격벽 리브(WBR)에 의해 압력이 인가되는 영역에 대응한다.
그리고 (d)를 참조하면, 상부 케이스(UC)와 하부 케이스(DC)가 완전히 결합되면, 고무패드(PAD)의 압축률이 크게 높아지게 되며, 수밀격벽 리브(WBR)와 고무패드(PAD)는 완전하게 밀착하게 된다. 즉 고무패드(PAD)는 두꺼워진 두께에 의해 높은 압축률로 수밀격벽 리브(WBR)와 밀착하게 되어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두꺼워진 만큼 고무패드(PAD)에서 수밀격벽 리브(WBR)로 가해지는 응력은 압축률에 비해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격벽 결합 평면부(BLPA)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수밀격벽 리브(WBR)에 가해지는 응력을 줄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무패드(PAD)의 압축률을 높여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부 케이스(UC)의 수밀격벽 리브(WBR)가 고무패드(PAD)를 통해 하부 케이스(DC)의 압축홈에 압력을 가하므로, 고무패드(PAD)와 결합된 하부 케이스(DC)의 유동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하부 케이스(DC)는 수밀격벽 리브(WBR)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패드(PAD)는 상부 케이스(UC)의 내측면을 향하는 수밀 돌기(WB)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무패드(PAD)에서 케이스 결합 평면부(CLPA)와 격벽 결합 평면부(BLPA) 사이의 측면은 내부가 빈 돔형의 상부 케이스(UC)의 형상 구조에 대응하여, 도4 에서와 같이 상부 케이스(UC)의 내측면 경사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수밀 돌기(WB)는 도4 의 좌측 및 우측 확대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무패드(PAD)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케이스 결합 평면부(CLPA)와 격벽 결합 평면부(BLPA) 사이의 측면을 따라 기지정된 높이에서 형성된다. 수밀 돌기(WB)는 좌측 확대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UC)와 하부 케이스(DC)의 결합되면, 상부 케이스(UC)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안테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추가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밀 돌기(WB)는 고무 패드(PAD)의 외곽 형상과 상부 케이스(UC)의 내측면 형상이 정확하게 대응하지 않더라도 상부 케이스(UC)가 고무패드(PAD)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부 케이스(UC)의 내부 형상과 고무패드(PAD)의 외측면의 형상이 정확하게 매칭되지 않더라도, 상부 케이스(UC)와 고무패드(PAD)가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UC)의 제조 공정 상의 허용 공차를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탄성이 있는 고무로 구현되므로 상부 케이스(UC)와 하부 케이스(DC)의 결합 과정에서, 결합 압력에 발생할 수 있는 상부 케이스(UC)의 파손을 줄여 줄여줄 수 있다.
도4 에서는 일예로서, 수밀 돌기(WB)가 케이스 결합 평면부(CLPA)와 격벽 결합 평면부(BLPA) 사이의 측면을 따라 하나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수밀 돌기(WB)는 상부 케이스(UC)와의 접합부를 따라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위치에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밀 돌기(WB)는 수분의 유입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UC)의 내부면 또는 에지의 형상에 대응하는 위치 및 형태로 형성되어야 한다.
도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밀 돌기와 상부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6 에서는 도4 와 달리 고무패드(PAD)의 케이스 결합 평면부(CLPA)에 패드 방수홈(PWF)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부 케이스(UC) 하부의 케이스 에지(CEG)의 하단 내측이 하단 외측보다 돌출된 형태로 상부 케이스 에지 돌기(UCEB)가 형성된다. 상부 케이스 에지 돌기(UCEB)는 상부 케이스(UC)와 하수 케이스(DC)의 결합시에, 고무패드(PAD)의 케이스 결합 평면부(CLPA)에 형성된 방수홈(PWF)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즉 고무패드(PAD)의 패드 방수홈(PWF)과 상부 케이스 에지 돌기(UCEB)는 상부 케이스(UC)의 케이스 에지(CEG)가 고무패드(PAD)에 결합될 위치를 지정한다.
이렇게 패드 방수홈(PWF)에 의해 상부 케이스(UC)의 에지의 위치가 고정되면, 상부 케이스(UC)와 하부 케이스(DC)의 결합시에 상부 케이스(UC)가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뿐만 아니라, 결합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부 케이스(UC)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고무패드(PAD)에 패드 방수홈(PWF)이 형성되고, 패드 방수홈(PWF) 내부에 상부 케이스 에지 돌기(UCEB)에 대응하는 수밀 돌기(WB1)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특히 도6 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무패드(PAD)는 방수홈(PWF) 내에 수밀 돌기(WB1)가 형성된다. 방수홈(PWF) 내의 수밀 돌기(WB1)는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 에지 돌기(UCEB)와 접촉하여 밀착됨으로써, 상부 케이스(UC)와 고무패드(PAD)의 결합부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부 케이스(UC)에는 도2 에서 마찬가지로 첨부(ACU)가 형성되고, 고무 패드(PAD)의 패드 방수홈(PWF)이 도6 과 달리, 상부 케이스(UC)의 케이스 에지(CEG) 하단 전체가 삽입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무 패드(PAD)의 패드 방수홈(PWF)이 상부 케이스(UC)의 케이스 에지(CEG)가 결합될 위치를 지정하고, 케이스 에지(CEG)의 하단 외측에 첨부(ACU)가 도4 의 좌측 확대 도면에서와 같이, 패드 방수홈(PWF) 내부에 압력을 가하여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6 의 고무패드(PAD)는 케이스 결합 평면부(CLPA)와 격벽 결합 평면부(BLPA) 사이가 다단의 계단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계단 구조 형상의 각 단에 수밀 돌기(WB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UC)의 내측면 또한 다단의 계단 구조로 형성되는 고무패드(PAD)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다층의 계단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UC)와 하수 케이스(DC)의 결합시에, 고무 패드(APD)의 각 단에 형성된 수밀 돌기(WB2)와 상부 케이스(UC)의 내측의 다단 구조가 밀착되어, 상부 케이스(UC)와 고무패드(PAD)의 결합부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도6 의 수밀 돌기(WB2)는 도4 의 수밀 돌기(WB)와 유사하게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
도7 내지 도9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다.
도7 은 하부 케이스(DC)와 고무패드(PAD)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8 은 하부 케이스(DC)에 안테나 회로(ATC)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며, 도9 는 상부 케이스(UC)와 하부 케이스(DC)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7 에서는 하부 케이스(DC)가 고무패드(PAD)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부 케이스(DC)와 고무패드(PAD)가 분리된 분해도를 나타내었기 때문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고무패드(PAD)는 하부 케이스(DC)를 감싸는 형태로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무패드(PAD)는 하부 케이스(DC)에 형성된 관통홀(TH)를 통과하여 사출되어 형성됨으로써, 하부 케이스(DC)와 분리되지 않는 구조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고무패드(PAD)는 상부 케이스(UC)와 하부 케이스(DC)를 결합하기 위해 하부 케이스(DC)에 형성된 케이스 체결홀(CLH)과 안테나(ANT)를 차량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LH) 및 케이블홀(CH)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고무패드(PAD)는 상부 케이스(UC)의 케이스 에지(CEG)의 하단이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평면 형태의 케이스 결합 평면부(CLPA)가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고무패드(PAD)는 케이스 결합 평면부(CLPA)에는 상부 케이스(UC)의 케이스 에지(CEG)의 하단에 대응하는 방수홈(PWF)이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UC)가 결합될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한편 도8 을 참조하면, 안테나 회로(ATC)의 기판(SUB)가 하부 케이스(DC)의 기판 가이드(SGD)에 배치 고정된다. 이때, 기판 가이드(SGD)의 상부면에는 안테나 회로(ATC)의 기판(SUB)이 배치될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미리 형성된 기판 가이드 돌기(SGB)에 따라 가이드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 회로(ATC)는 기판 결합부재(SSCR)가 기판(SUB) 상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기판 가이드(SGD)에 형성된 기판 체결홀(SLH)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하부 케이스(DC)에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도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패드(PAD)와 일체로 결합되고, 안테나 회로(ATC)가 결합된 하부 케이스(DC)가 상부 케이스(UC)와 결합되어, 안테나(ANT)가 조립된다. 여기서 상부 케이스(UC)는 케이스 결합부재(CSCR)가 삽입되는 다수의 보스(BO)가 형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케이스 결합부재(CSCR)는 하부 케이스(DC)에 형성된 케이스 체결홀(CLH)을 통해 다수의 보스(BO)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부 케이스(UC)와 하부 케이스(DC)를 결합하여 안테나(ANT)를 조립한다.
도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의 수분 유입 경로와 이의 차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 은 도7 내지 도9 에 도시된 결합 과정을 통해 결합된 안테나(ANT)에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는 경로와 본 실시예가 유입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수분은 상부 케이스(UC)와 고무패드(PAD)의 결합 영역을 통해 안테나(ANT)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고무패드(PAD)에는 케이스 결합 평면부(CLPA)가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UC)의 케이스 에지(CEG)의 하부에는 첨부(ACU)가 형성됨으로써, 케이스 에지(CEG)의 첨부(ACU)는 케이스 결합 평면부(CLPA)의 대응하는 위치에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가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고무패드(PAD)의 압축률이 증가되어 상부 케이스(UC)와 밀착됨으로써, 수분의 유입을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리고 고무패드(PAD)에서 케이스 결합 평면부(CLPA)와 격벽 결합 평면부(BLPA) 사이의 측면에 수밀 돌기(WB)가 형성되어, 결합된 상부 케이스(UC)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상부 케이스(UC)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수밀 돌기(WB)는 상부 케이스(UC)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2차로 차단한다.
한편, 2차 차단에도 불구하고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은 상부 케이스(UC)의 수밀격벽 리브(WBR)과 고무패드(PAD)의 격벽 결합 평면부(BLPA)에 의해 3차로 차단된다.
여기서 하부 케이스(DC)에는 상부 케이스(UC)의 수밀격벽 리브(WBR)에 대응하는 위치에 케이스 압축홈(CCF)이 형성되므로, 고무패드(PAD)의 격벽 결합 평면부(BLPA)에서 케이스 압축홈(CCF)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더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수밀격벽 리브(WBR)에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고무패드(PAD)는 더 높은 압축률로 압축될 수 있어,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두께의 증가로 인해 응력이 줄어들어, 수밀격벽 리브(WBR)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는 하부케이스가 결합된 고무패드에 적어도 하나의 수밀 돌기와 상부 케이스의 케이스 에지 및 상부 케이스의 수밀격벽 리브에 의해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서 다수 횟수로 수분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방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의 케이스 에지의 형상 구조를 이용하여, 상부 케이스와 고무패드의 경계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더욱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 시, 고무패드의 수밀 돌기가 상부 케이스에 밀착되어 상부 케이스를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부 케이스에 상부 케이스의 수밀격벽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압축홈이 형성되고, 고무패드는 하부 케이스의 압축홈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더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방수 성능을 개선하며 고무패드로부터 수밀격벽 리브로 전달되는 응력을 개선하여 수밀격벽 리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NT: 안테나 UC: 상부 케이스
DC: 하부 케이스 ATC: 안테나 회로
PAD: 고무패드 CSCR: 케이스 결합부재
BO: 보스 WBR: 수밀격벽 리브
CEG: 케이스 에지 ACU: 첨부
CCF: 케이스 압축홈 CLH: 케이스 체결홀
GDG: 가이드 홈 GBO: 가이드 보스
LH: 체결구 CH: 케이블홀
TH: 관통홀 SGD: 기판 가이드
SGB: 기판 가이드 돌기 SLH: 기판 체결홀
SSCR: 기판 결합부재 WB, WB1, WB2: 수밀돌기
WR1 ~ WR3: 수밀리브 CLPA: 케이스 결합 평면부
BLPA: 격벽 결합 평면부 PWF: 패드 방수홈
UCEB: 상부 케이스 에지 돌기

Claims (12)

  1. 차량에 부착되는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구조에 있어서,
    유선형의 돔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상부 케이스;
    안테나 회로의 기판이 배치되는 기판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기판 가이드의 외곽 기설정된 높이까지 상기 하부 케이스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면,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안테나 회로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측면에 수밀 돌기가 형성되는 고무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패드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방된 하부의 케이스 에지에 밀착되도록 케이스 결합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 가이드의 기지정된 높이로 격벽 결합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결합 평면부와 상기 격벽 결합 평면부 사이의 측면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상에 대응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밀 돌기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측면에서 기지정된 높이에 형성되는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구조.
  2. 삭제
  3. 차량에 부착되는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구조에 있어서,
    유선형의 돔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상부 케이스;
    안테나 회로의 기판이 배치되는 기판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기판 가이드의 외곽 기설정된 높이까지 상기 하부 케이스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면,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안테나 회로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측면에 수밀 돌기가 형성되는 고무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패드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방된 하부의 케이스 에지에 밀착되도록 케이스 결합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 가이드의 기지정된 높이로 격벽 결합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결합 평면부와 상기 격벽 결합 평면부 사이의 측면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다단의 계단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수밀 돌기는
    상기 다단의 계단 구조의 각 단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는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구조.
  4. 제1 항 및 제3 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방된 하부의 케이스 에지에 밀착되도록 케이스 결합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 케이스 에지의 하단 외측에는 상기 케이스 결합 평면부에 인가되는 압력을 높이기 위한 첨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구조.
  5. 제1 항 및 제3 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개방된 하부의 케이스 에지의 하단 내측에 상기 고무패드와 지정된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상부 케이스 에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무패드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 케이스 에지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패드 방수홈 및 상기 패드 방수홈 내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에지 돌기에 밀착되어 상기 안테나 회로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추가 수밀 돌기가 더 형성되는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구조.
  6. 제1 항 및 제3 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기판 가이드의 외곽을 따라 케이스 압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케이스 압축홈에 대응하는 수밀격벽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고무패드는
    상부면에서 상기 케이스 압축홈의 영역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도록, 상기 기판 가이드의 기지정된 높이로 격벽 결합 평면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구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86665A 2018-07-25 2018-07-25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 KR102024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65A KR102024713B1 (ko) 2018-07-25 2018-07-25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
PCT/KR2019/008338 WO2020022666A1 (ko) 2018-07-25 2019-07-08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65A KR102024713B1 (ko) 2018-07-25 2018-07-25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713B1 true KR102024713B1 (ko) 2019-09-25

Family

ID=6806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665A KR102024713B1 (ko) 2018-07-25 2018-07-25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7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7075A (ja) * 2004-01-28 2005-08-11 Denso Corp プリント基板の取り付け構造
KR101342027B1 (ko) * 2012-10-31 2013-12-16 위너콤 주식회사 차량용 샤크핀 안테나의 수밀구조
KR101798523B1 (ko) 2016-06-17 2017-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안테나 및 그의 수밀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7075A (ja) * 2004-01-28 2005-08-11 Denso Corp プリント基板の取り付け構造
KR101342027B1 (ko) * 2012-10-31 2013-12-16 위너콤 주식회사 차량용 샤크핀 안테나의 수밀구조
KR101798523B1 (ko) 2016-06-17 2017-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안테나 및 그의 수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2415B2 (en) Waterproof box for a wiring harness connector
US7271773B2 (en) Antenna mounted on vehicle
US7005578B2 (en) Rainproof recessed outlet box
US6743981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ic junction box
JP5882127B2 (ja) 車載用アンテナ
US20030147228A1 (en) Electronic circuit board fastening member
US20120121938A1 (en) Waterproof battery pack
JP2003219539A (ja) 防水ボックスのカバー組付構造
US20060243484A1 (en) Sealing member and grommet having the same
KR102024714B1 (ko)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
US20110308925A1 (en) Push switch
US7888596B2 (en) Sealing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KR102024713B1 (ko)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
KR102037690B1 (ko)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
US20210098867A1 (en) Compound curvature conformal antenna
CN205429142U (zh) 一种车顶天线的紧固密封结构
US10738975B2 (en) Thin waterproof work light
US1197895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1670841B2 (en) Vehicle antenna mounting system
US6773018B2 (en) Sealable antenna housing
KR102088328B1 (ko) 고전압 정션블록
KR102580781B1 (ko) 루프 안테나
US11766996B1 (en) Sealed type windshield wiper structure
WO2020022666A1 (ko) 차량용 안테나의 방수 구조
US20240123801A1 (en) Corner cover, sealing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corner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