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315B1 -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및 이의 협력 데이터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및 이의 협력 데이터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315B1
KR102024315B1 KR1020130153764A KR20130153764A KR102024315B1 KR 102024315 B1 KR102024315 B1 KR 102024315B1 KR 1020130153764 A KR1020130153764 A KR 1020130153764A KR 20130153764 A KR20130153764 A KR 20130153764A KR 102024315 B1 KR102024315 B1 KR 102024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data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
parti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038A (ko
Inventor
인민교
이강찬
이승윤
전종홍
김성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315B1/ko
Priority to US14/464,350 priority patent/US20150163853A1/en
Publication of KR20150068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및 이의 협력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 각각과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구축된 애드혹 망을 통해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와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 및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릴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은 데이터를 제1 부분 데이터 및 제2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고, 제1 부분 데이터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도록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제2 부분 데이터는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수신하도록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및 이의 협력 데이터 통신 방법{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ultiple communication interfaces and its cooperative data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이 다른 이동 통신 단말과 협력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은 피처폰이 대부분이었고 음성 통화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주된 기능이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좁은 대역폭으로도 통신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마트 폰을 포함한 스마트 통신 기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이동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의 대역폭도 증가하고 또한 통신 기술도 2G, 3G, 4G 등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통신 기기의 보급 확산 및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면서 동시에 큰 대역폭을 요구하는 서비스의 종류 및 이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대용량 파일(예컨대, 동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다운로드나 스트리밍 서비스의 종류와 함께 이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종류 및 이에 대한 사용자 요구는 대부분의 이동 통신 단말이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대용량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함에 따라서 더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일부 서비스의 경우에는 이동 통신망이 지원하는 최대 전송 속도를 상회하는 서비스도 등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서비스는 사용자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이용할 수 없다. 그리고 이동 통신망이 지원하는 최대 전송 속도로 커버가 가능한 서비스라고 하더라도, 기지국과의 거리나 기지국의 위치, 이동 통신에 장애가 되는 건물 등의 주변 환경 등과 같은 이동 통신망의 특성상에 따라서 모든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또한, 이동 통신망을 통한 모든 통신 상황이 양호하다고 하더라도, 과도한 양의 데이터 통신은 그 만큼 통신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는 부담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10-0052025호, "대역폭 공유 방식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의 유휴 대역폭을 활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이에 의하면, 컨텐츠를 요청하여 컨텐츠를 수신하는데 대역폭이 부족한 이동 통신 단말은 미리 등록된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유휴 대역폭을 추가로 할당 받아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은 자신의 대역폭은 물론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을 위한 대역폭도 추가한 넓은 대역폭을 활용하여 통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이 직접 자신의 대역폭은 물론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의 대역폭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으로, 특정한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이 통신할 수 있는 최대 대역폭을 초과하는 대역폭으로는 통신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체 컨텐츠를 직접 수신하기 때문에, 해당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52025호, "대역폭 공유 방식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각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제한적인 이동 통신망의 전송 대역폭과 전송 속도를 초과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가능한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및 이의 협력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특정 이동 통신 단말의 데이터 통신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및 이의 협력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이 협력하여 대용량의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나 끊김 없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및 이의 협력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로서, 이동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 각각과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구축된 애드혹 망을 통해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 및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릴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은 상기 데이터를 제1 부분 데이터 및 제2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부분 데이터는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부분 데이터는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수신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은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의 개수 및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 각각이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은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 리스트 관리부 및 상기 단말 리스트 관리부에 있는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 각각이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대역폭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은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이동 통신망 관리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망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릴레이 모듈은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부분 데이터와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 부분 데이터를 통합하여 응용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에,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은 상기 제2 부분 데이터를 복수 개의 서브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수신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있는 제2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데이터 수신을 요청 받으면,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은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요청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데이터 릴레이 모듈은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상기 요청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와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의 협력 통신 방법으로서, 응용으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신할 제1 부분 데이터와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신할 제2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부분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게 요청하고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상기 제2 부분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부분 데이터와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 부분 데이터를 통합하여 상기 응용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은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의 개수 및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 각각이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성하는 있는 단말들 사이의 협업 통신을 활용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은 자신에게 허용되거나 또는 사용할 수 있는 제한된 이동 통신망의 전송 대역폭보다 큰 전송 대역폭이 요구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가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은 한정된 이동 통신망을 통한 대역폭만 가지고서도 고화질 및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다운로드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받을 수가 있다. 그리고 일부 사용 가능한 대역폭(또는 데이터 전송량)에 여유가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경제적으로 데이터 다운로드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및 이의 협력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 구성에 포함되는 이동 통신 단말(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의 도 2의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의 협력 데이터 통신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의 협력 데이터 통신 절차를 도식적으로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및 이의 협력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 100),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mobile device, 200), 및 서비스 서버(100)와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200)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망(cellular network, 3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200)이 근거리 애드혹 망(short range ad hoc network, 400)을 구축 또는 구성하고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이동 통신망(300)을 통해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200) 중에서 어느 하나인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에게로 컨텐츠를 제공한다. 여기서, 컨텐츠의 제공은 컨텐츠의 다운로드는 물론 실시간 스트리밍을 포함하는데,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자(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CSP)의 일종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자일 수 있다. 그리고 CSP는 여러 레벨의 스트리밍 서비스, 예컨대 고품질(HD) 스트리밍 서비스는 물론 음악 파일 스트리밍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CSP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직접 제어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즉, CSP는 사용자 또는 응용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바로(on demand) 네트워크 능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CSP는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중앙 집중 네트워크 관리를 채택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서비스를 요청한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에게 컨텐츠의 전부를 전송할 수도 있지만,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과 제2 내지 제N(N은 2이상의 정수) 이동 통신 단말(200b)로 컨텐츠를 분할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내지 제N 이동 통신 단말(200b)은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과 근거리 애드혹 망(400)을 형성하고 있는 단말로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하나의 컨텐츠가 둘 또는 그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되어 분할된 컨텐츠들이 이동 통신망(300)을 통해 다수(제1 내지 제N)의 이동 통신 단말(200a 및 200b)로 분산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일례로, 이동 통신 단말(200)은 각각 컨텐츠의 일부 세그먼트를 요청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00)는 요청 받은 컨텐츠의 세그먼트를 요청 단말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이동 통신 단말(200)은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로부터 미리 컨텐츠의 세그먼트들을 어떤 이동 통신 단말이 수신할지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서버(100)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서 각 이동 통신 단말에게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단말(200)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이다. 이동 통신 단말(200)은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terminal) 등의 다른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200)은 2G, 3G, 4G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이동 통신 표준에 따른 통신을 지원한다.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표준에 따른 통신을 또한 지원한다. 즉, 이동 통신 단말(200)은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는 물론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200)의 대표적인 예가 스마트 폰이다. 최근에 스마트 폰에서는 단순히 이동 통신망(300)을 활용한 음성 통화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는 물론 근거리 통신망을 활용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무선랜(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WLA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근접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등을 포함하는데, 이동 통신 단말(200) 사이에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는 애드혹 망을 구축하는 것을 지원한다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이동 통신 단말(200)에는 이들 근거리 통신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특성상 거리의 제약이 많아서 일정 거리 이상으로 떨어져 있으면 활용할 수 없는 특성이 있으나, 근거리에서는 이동 통신보다 높은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통신의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고속 또는 넓은 대역폭이 요구되는 서비스(예컨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다운로드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동 통신 단말들(200a, 200b) 사이의 협업 통신으로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근거리에 있는, 즉 해당 근거리 통신이 지원하는 통신 가능 거리 이내에 있는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들(200a, 200b)이 근거리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근거리 애드혹 망(400)을 구성하여 서로의 협업 체계를 구축한다. 그리고 대용량의 밴드폭, 즉 이동 통신망(300)에서 제공하는 밴드폭 이상이거나 또한 이동 통신망(300)을 통해 활용 가능한 밴드폭이 필요한 특정 단말, 예컨대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은 다른 단말, 즉 제2 내지 제N 이동 통신 단말(200b)의 도움을 받아서 넓은 대역폭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제2 내지 제N 이동 통신 단말(200b)은 이동 통신망(300)을 이용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근거리 애드혹 망(400)을 통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은 근거리 애드혹 망(400)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는 물론 이동 통신망(300)을 통해 직접 수신한 데이터를 결합하여 응용으로 전달한다.
결국,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은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보다 넓은 대역폭 또는 고속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의 입장에서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서 컨텐츠의 일부만 수신하면 되기 때문에,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텐츠 수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들(200) 각각은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 및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들(200) 각각은 통합 네트워크 관리 모듈(220) 및 데이터 릴레이 모듈(250, 도 2 참조)을 구비하고 있는데, 그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1에서는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만 그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고 다른 이동 통신 단말(200b)들은 그 구성이 간략히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단지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이동 통신망(300)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성 통신은 물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나 망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망(300)은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2G, 3G, 4G 표준에 따른 이동 통신망은 물론 장래에 구축될 보다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에는 이동 통신망(300)에 두 개의 기지국(Base Station, 310)이 존재하고 또한 각 기지국(310)은 하나 이상의 이동 통신 단말(20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성이 단지 예시적인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컨대,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200b)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과 같거나 또는 다른 기지국(310, 320)을 활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애드혹 망(400)도 이동 통신 단말들(200) 사이에 직접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망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구체적인 구성이나 통신 프로토콜, 그리고 애드혹 망을 형성하는 구체적인 절차 등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이 없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들(200)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근거리 애드혹 망(400)을 구축하고 있으며, 구축된 근거리 애드혹 망(400)을 통해서 이동 통신 단말들(20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자신이 활용 가능한 이동 통신망(300)의 대역폭보다 큰 대역폭이 요구되는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이동 통신 단말, 예컨대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은 근거리 애드혹 망(400)을 구축하고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200b)을 활용하여 보다 원활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은 통합 네트워크 관리 모듈(220)을 통하여 서비스(데이터)를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200b) 중에서 가용한 단말들 각각에게 분산하여 일부 세그먼트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다. 요청을 받은 이동 통신 단말들(200b) 각각은 직접 이동 통신망(300)을 통해서 부분 데이터를 수신하며, 또한 수신한 부분 데이터를 근거리 애드혹 망(400)을 통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에게 전달 또는 중계(relay)한다. 그리고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의 통합 네트워크 관리 모듈(220)은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200b)로부터 수신된 부분 데이터(세그먼트)들과 자신이 직접 이동 통신망(300)을 통해 수신한 부분 데이터(세그먼트)들을 데이터 릴레이 모듈(250, 도 2 참조)을 통해 결합한 다음 이를 요청한 응용(application, 210)으로 결합된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러한 협업 통신을 이용하면,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은 자신이 이용 가능한 이동 통신 대역폭보다 큰 대역폭이 필요한 서비스도 이용할 수가 있다. 일례로, 고 대역폭을 요구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예컨대, 월드컵 경기, 올림픽 경기 등과 같은 스포츠 경기)를 여러 명이 모여서 시청하려고 하고 또한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인터넷 접속 외에는 다른 접속 경로가 없는 경우에,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이 서로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성한 다음 서로 협력 통신을 통해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끊김 없이 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비용이 발생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나 스트리밍 받고자 할 경우에,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이 해당 컨텐츠를 분할하여 받음으로써 데이터를 빠른 시간에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도 분담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특히 무료로 이용 가능한 유휴 데이터 전송량을 많이 가지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전송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 구성에 포함되는 이동 통신 단말(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200)은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 및 데이터 릴레이 모듈(2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200)은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 및 하나 이상(1 ~ M(M은 1이상의 정수))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를 포함하며, 각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통신 제어부(230) 및 하나 이상(1 ~ M)의 근거리 통신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응용(210)은 이동 통신 단말(200)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으로서, 필요한 데이터를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로 요청하고 또한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전달 받아서 사용(재생하거나 실행)하는 모듈을 가리킨다.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은 응용(210)과 네트워크 자원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응용(210)에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부 네트워크 자원을 관리하고 제어한다. 네트워크 자원에는 기본적으로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 및 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이동 통신 제어부(230)가 포함된다. 그리고 네트워크 자원에는 하나 이상, 즉 제1 내지 제M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와 이들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내지 제M 근거리 통신 제어부(260)도 포함된다.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의 개수는 각 단말의 기능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다. 이들 각각의 네트워크 자원은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은 이동 통신 제어부(230) 및 근거리 통신 제어부(26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 및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각각의 통신 인터페이스(231, 261)의 동작은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은 또한 응용(210)으로부터 데이터 요청이 있으면, 서비스 서버(100, 도 1 참조)로부터 효율적으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요청 데이터를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할한다. 즉,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은 활용 가능한 모든 네트워크 자원을 활용하여 요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서 각 부분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나 제1 내지 제M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를 통해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은 요청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응용(210)으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요청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예컨대, 해당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미리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를 통해 자신이 직접 활용할 수 있는 대역폭에 관한 정보는 물론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의 리스트 및 이들 각각이 이용할 수 있는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요청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은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있는 단말들의 리스트와 함께 각 단말들의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거나 또는 수시로 각 단말에게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여 받을 수도 있다.
데이터 릴레이 모듈(250)은 이동 통신 단말(200)에서 각 구성 요소들 사이에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전달 또는 중계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릴레이 모듈(250)은 통한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 및 제1 내지 제 M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들(261) 사이에서 각종 신호(요청 메시지 등)를 전달하고 또한 각 통신 인터페이스(231, 261)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각 통신 인터페이스(231, 261)를 통해 수신된 부분 데이터는 결합 또는 통합하여 필요한 전체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이를 응용(210)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도 한다.
일례로, 데이터 릴레이 모듈(250)은 근거리 애드혹 망(400, 도 1 참조)을 구성하고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을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은 수신된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이동 통신망(300, 도 1 참조)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릴레이 모듈(250)은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로 전달할 수 있다. 계속해서,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은 수신된 데이터가 근거리 애드혹 망(400)을 통해 요청 단말에게로 전송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를 제어하는데, 이에 의하여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가 근거리 애드혹 망(400)을 구축하고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 즉 요청 단말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릴레이 모듈(250)을 통해 데이터 요청이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 및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로 각각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과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있는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로 전달된 데이터 요청은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에게로 전송된다. 상기 데이터 요청에 따라서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와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 각각을 통해 요청된 데이터가 수신된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이다. 데이터 릴레이 모듈(250)은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와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 각각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결합 또는 통합하며, 통합된 데이터는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의 제어에 따라서 응용(2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의 도 2의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00)은 데이터/네트워크 통합 관리부(221), 이동 통신망 관리부(223), 근거리 통신망 관리부(225), 및 응용 처리 관리부(227)를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터/네트워크 통합 관리부(221)는 데이터 관리부(226), 단말 리스트 관리부(222), 및 대역폭 관리부(224)를 포함한다.
응용 처리 관리부(227)는 단말 내부의 응용들에서 요청되는 요구 사항을 분류하고 또한 처리 및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응용 처리 관리부(227)는 단말 내에서 네트워크 공유 기능을 활용하는 다수의 응용을 관리하고 각각의 응용에서 요구되는 사항을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데이터/네트워크 통합 관리부(221)의 데이터 관리부(226)는 응용 처리 관리부(227)의 요청에 따라서 응용에서 요구하는 데이터의 분리/통합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관리부(226)는 응용 관리 처리부(227)에서 요청되는 내용(데이터)을 분석하고 또한 이의 처리(데이터 다운로드)에 필요한 네트워크 수요를 계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데이터 관리부(226)는 단말 리스트 관리부(222) 및 대역폭 관리부(224)에 분석된 내용에 따라서 데이터 수신을 요청한다. 그리고 요청에 따라서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에 대한 통합 작업을 수행하여 통합된 데이터를 응용 처리 관리부(227)를 통해 응용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단말 리스트 관리부(222)는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성하고 있는 단말의 리스트 및 이동 통신망에 대한 가용성을 모니터링하고 또한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 리스트 관리부(222)는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성하고 있는 단말들의 리스트를 관리하여 또한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이 활용 가능한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 리스트 관리부(222)는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성하고 있는 단말들의 구성은 물론 각 단말들의 네트워크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 리스트 관리부(222)는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성했던 단말들의 리스트는 물론 단말들 각각의 협업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협업 히스토리는 이전에 단말들이 협업 통신을 위하여 제공하였던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협업 히스트리를 활용하면, 자주 이용되는 근거리 애드혹 망의 연동 및 단말의 대역폭 정보와 함께 과거 이력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이후의 협업 통신에서는 보다 신속한 대역폭의 분배 및 단말들의 활용이 가능하다.
대역폭 관리부(224)는 단말 리스트 관리부(222)에서 관리하는 리스트에 포함되는 이동 통신 단말들 각각의 가용 대역폭(이동 통신망을 통한 가용 대역폭)을 모니터링하고 또한 요청에 따라서 배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배분을 위하여, 대역폭 관리부(224)는 데이터 관리부(226)의 요청에 따라서 모니터링한 가용 대역폭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맞춰서 각 이동 통신 단말에게 요청할 대역폭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결정된 대역폭에 관한 사항은 데이터 관리부(226)로 전달되어, 데이터 관리부(226)가 요청된 전체 데이터를 각 단말들에게 요청할 부분 데이터들로 나누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동 통신망 관리부(223)는 현재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이동통신 망을 통해 수행할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이동 통신망 관리부(223)는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 도 2 참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 관리부(225)는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한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근거리 통신망 관리부(225)는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 도 2 참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근거리 통신망 관리부(225)는 단말의 성능 등의 조건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의 동작, 즉 복수의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한 통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의 협력 데이터 통신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도 1의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이 근거리 애드혹 망(400)을 형성하고 있는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을 활용하여 협력 데이터 통신을 하는 방법과 함께 도 1의 이동 통신 단말(200a)이 근거리 애드혹 망(400)을 형성하고 있는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의 요청에 응하여 협력 데이터 통신을 하는 방법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다. 전자의 방법에서,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이 복수 개가 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먼저,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이 근거리 애드혹 망(400)을 형성하고 있는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을 활용하여 협력 데이터 통신을 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는 공유 네트워크를 위해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과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성하고 있는 단말로서, 활용 가능한 이동 통신망의 대역폭이 존재하고, 애드혹 망을 구성하고 있는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로부터 데이터 분산 수신 요청이 있을 경우에, 가용한 이동 통신망 자원을 이용하여 요청된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응용으로부터 데이터 수신 요청이 있는 경우에,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은 근거리 애드혹 망을 형성하고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200b)의 리스트와 각 이동 통신 단말(200b)의 가용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을 파악한다. 그리고 요청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요청된 데이터를 분할하여 수신할 계획을 수립한다. 이 때, 전체 데이터는 자신의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를 통해 수신할 제1 부분 데이터와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성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이동 통신 단말(200b)이 수신할 제2 부분 데이터로 나누어질 수 있다. 만일,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성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200b)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제2 부분 데이터는 각 이동 통신 단말(200b)에게로 할당될 서브 부분 데이터로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제1 부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30)은 데이터 릴레이 모듈(270)을 통해 제1 부분 데이터에 대한 수신 요청을 이동 통신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제1 부분 데이터에 대한 수신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고 그 이후에 그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부분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는 수신된 제1 부분 데이터를 데이터 릴레이 모듈(270)로 전달한다.
또한,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은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제2 부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30)은 데이터 릴레이 모듈(270)을 통해 제2 부분 데이터에 대한 수신 요청을 근거리 통신 제어부(260)로 전달한다. 이 때,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성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200b)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서브 부분 데이터 각각에 대한 수신 요청을 근거리 통신 제어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는 구축된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제2 부분 데이터(또는 서브 부분 데이터 각각)에 대한 수신 요청을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로 전송하고 그 이후에 그에 대한 응답으로 제2 부분 데이터(또는 서브 부분 데이터 각각)를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수신한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도 수신된 제2 부분 데이터(또는 서브 부분 데이터 각각)을 데이터 릴레이 모듈(270)로 전달한다.
계속해서 데이터 릴레이 모듈(270)은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로부터 수신된 제1 부분 데이터와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로부터 수신된 제2 부분 데이터(복수의 서브 부분 데이터)를 통합한다. 그리고 통합된 데이터는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을 통해 이를 요청한 응용으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도 1의 이동 통신 단말(200a)이 근거리 애드혹 망(400)을 형성하고 있는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의 요청에 응하여 협력 데이터 통신을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은 공유 네트워크를 위해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과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성하고 있는 단말로서, 활용 가능한 이동 통신망의 대역폭이 존재하고, 애드혹 망을 구성하고 있는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로부터 데이터 분산 수신 요청이 있을 경우에, 가용한 이동 통신망 자원을 이용하여 요청된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여기서 설명하는 방법은 앞에서 언급한 방법에서 제2 부분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받은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의 내부에서 수행되는 절차일 수 있다.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는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로부터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이 데이터 전송 요청은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의 입장에서는 전술한 제2 부분 데이터 또는 그 중의 하나인 서브 부분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은 수신된 데이터 전송 요청을 데이터 릴레이 모듈(270)을 통해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로 전달한다.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은 수신된 데이터 전송 요청을 분석한 다음,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로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달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220)은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231)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 릴레이 시스템(270)을 통해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261)로 전달하여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의 협력 데이터 통신 절차를 도식적으로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이 다른 단말, 즉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과 협력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협력 데이터 통신 절차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하며,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사항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과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는 단말 사이에 직접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애드혹 망을 형성한다(S10). 여기서,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이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들(200a, 200b) 사이에 근거리 애드혹 망을 형성하는 절차는 해당 근거리 통신 표준에 의하여 결정되며, 그 구체적인 절차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리고 단계 S10이 진행되는 시기도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이 데이터를 전송 받을 것을 응용으로부터 요청 받기 이전이거나 또는 그 이후일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근거리 애드혹 망을 형성한 후에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은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의 리스트와 각 단말이 제공할 수 있는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은 응용으로부터 요청 받은 데이터를 제1 및 제2 부분 데이터로 분할한다(S11).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이 복수 개인 경우에 제2 부분 데이터가 복수 개의 서브 부분 데이터로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단계 S11에서는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는 자신이 수집하여 보유하고 있는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의 개수 및 각 단말이 제공할 수 있는 대역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요청 받은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단계 S11 이후에는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이 이동 통신망과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각각 분할된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12 내지 S17). 이러한 단계 S12 내지 S17 사이의 진행 과정은 앞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단계 S12 내지 S17 중에서, 이동 통신망을 통해, 즉 제1 기지국(320)과 통신하여 제1 부분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S16 및 단계 S17의 과정과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즉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에게 요청하고 또한 요청을 받은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제2 기지국(310)과 통신하여 제2 부분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S12 내지 S15가 진행되는 세부적인 타이밍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이 없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단계 S12 내지 S17들 사이의 타이밍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는 달리 단계 S12이전에 단계 S16이 먼저 수행되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단계 S17과 단계 S15 사이의 정확한 타이밍도 변경될 수 있다.
단계 S12 내지 S17의 수행 결과, 제1 기지국(320)으로부터 제1 부분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제2 이동 통신 단말(200b)로부터 제2 부분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1 이동 통신 단말(200a)은 수신된 제1 및 제2 부분 데이터를 병합 또는 결합한다(S18). 그리고 이렇게 결합된 전체 데이터를 이를 요청한 응용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성하는 있는 단말들 사이의 협업 통신을 활용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은 자신에게 허용되거나 또는 사용할 수 있는 제한된 이동 통신망의 전송 대역폭보다 큰 전송 대역폭이 요구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가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은 한정된 이동 통신망을 통한 대역폭만 가지고서도 고화질 및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다운로드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받을 수가 있다. 그리고 일부 사용 가능한 대역폭(또는 데이터 전송량)에 여유가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경제적으로 데이터 다운로드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만 특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Claims (10)

  1.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 각각과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구축된 애드혹 망을 통해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 및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릴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은 상기 데이터를 제1 부분 데이터 및 제2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부분 데이터는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부분 데이터는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수신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의 개수 및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 각각이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은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 리스트 관리부; 및
    상기 단말 리스트 관리부에 있는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 각각이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대역폭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은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이동 통신망 관리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망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릴레이 모듈은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부분 데이터와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 부분 데이터를 통합하여 응용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6.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 각각과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구축된 애드혹 망을 통해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 및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릴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은 상기 데이터를 제1 부분 데이터 및 제2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부분 데이터는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부분 데이터는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수신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에,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은 상기 제2 부분 데이터를 복수 개의 서브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수신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7.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 각각과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구축된 애드혹 망을 통해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 및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릴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은 상기 데이터를 제1 부분 데이터 및 제2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부분 데이터는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부분 데이터는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수신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있는 제2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데이터 수신을 요청 받으면, 상기 통합 네트워크 자원 관리 모듈은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요청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통해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릴레이 모듈은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상기 요청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9.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와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의 협력 통신 방법에 있어서,
    응용으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신할 제1 부분 데이터와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신할 제2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부분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게 요청하고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상기 제2 부분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부분 데이터와 상기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 부분 데이터를 통합하여 상기 응용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애드혹 망을 구축하고 있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의 개수 및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들 각각이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통신 방법.
  10. 삭제
KR1020130153764A 2013-12-11 2013-12-11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및 이의 협력 데이터 통신 방법 KR102024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764A KR102024315B1 (ko) 2013-12-11 2013-12-11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및 이의 협력 데이터 통신 방법
US14/464,350 US20150163853A1 (en) 2013-12-11 2014-08-2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ultiple communication interfaces, and cooperative data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764A KR102024315B1 (ko) 2013-12-11 2013-12-11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및 이의 협력 데이터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038A KR20150068038A (ko) 2015-06-19
KR102024315B1 true KR102024315B1 (ko) 2019-09-23

Family

ID=53272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764A KR102024315B1 (ko) 2013-12-11 2013-12-11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및 이의 협력 데이터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63853A1 (ko)
KR (1) KR102024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8180A (zh) * 2016-01-25 2016-08-10 乐卡汽车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数据链路的建立方法、数据传输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170295598A1 (en) * 2016-04-07 2017-10-12 Qualcomm Incorporated Relaying based on service-type indicator and network availability
US10693928B2 (en) * 2017-01-30 2020-06-23 Wipro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adaptive streaming of multimedia data
US20220263729A1 (en) * 2021-02-15 2022-08-1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resource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717B1 (ko) * 2007-07-12 2011-10-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공유 방법 및시스템
KR20100052025A (ko) 2008-11-10 2010-05-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대역폭 공유 방식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20057456A1 (en) * 2009-04-16 2012-03-08 Nearvers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communication using short range and wide range communication links
KR101471138B1 (ko) * 2011-08-16 2014-12-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US9066323B2 (en) * 2012-11-15 2015-06-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 Hoc network connection
US9686335B2 (en) * 2013-03-15 2017-06-20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Shared data communication bandwidths among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3853A1 (en) 2015-06-11
KR20150068038A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9288B2 (en) Network operating system client architecture for mobile user equipment
CN110167051B (zh) 集中式单元-分布式单元架构下的通信方法、通信设备
CN110912723B (zh) 通信方法和装置
EP3398305B1 (en) Method and architecture for virtualized network service provision
CN108810903B (zh) 一种数据传输配置及数据传输方法和装置
EP3226604B1 (en) Data multi streaming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chor point, and system
US9686335B2 (en) Shared data communication bandwidths among mobile devices
US20210084525A1 (e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base station, gateway device, control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21521714A (ja) 拡張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ユーザ・デバイスのモビリティを可能に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50055623A1 (en) MOBILE SOFTWARE DEFINED NETWORKING (MobiSDN)
EP2792192B1 (en) Seamless transition of a cellular telephone from cellular to wi-fi communication
CN113630783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08282671B (zh) 一种流媒体数据传输方法
KR102024315B1 (ko) 다중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및 이의 협력 데이터 통신 방법
Kourtis et al. A cloud-enabled small cell architecture in 5G networks for broadcast/multicast services
JP2017028681A (ja) D2dリンクでのコンテンツ配達
US10200909B2 (en) Open wireless architecture (OWA) mobile cloud infrastructure and method
US201700783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electronic devices
WO2017133262A1 (zh) 终端化小区基于sdn控制的带宽共享方法及带宽共享装置
JP2018532336A (ja) バックホールリンクの確立方法及び装置
JP7116196B2 (ja) ネットワーク容量に制約のあるシナリオにおける共同メディア制作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制御上りリンクメディア伝送
US2023000757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edia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network slicing
KR101794689B1 (ko) D2d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지원 방법, 장치, 및 단말
US20200236516A1 (en) Communication charging system and communication charging method
CN117560726A (zh) 管理网络资源的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