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039B1 -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및 그의 시밍 방법 - Google Patents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및 그의 시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039B1
KR102024039B1 KR1020170177204A KR20170177204A KR102024039B1 KR 102024039 B1 KR102024039 B1 KR 102024039B1 KR 1020170177204 A KR1020170177204 A KR 1020170177204A KR 20170177204 A KR20170177204 A KR 20170177204A KR 102024039 B1 KR102024039 B1 KR 102024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agnetic field
module
bobbin
iron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539A (ko
Inventor
장재영
이상갑
황영진
안민철
Original Assignee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77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0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6/00Superconducting magnets; Superconducting coils
    • H01F6/06Coils, e.g. winding, insulating, terminating or casing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틱 시밍 모듈과 그를 포함하는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를 개시한다. 그의 장치는, 초전도 코일 모듈과,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 내에 배치되고,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 내의 자기장을 제어하는 마그네틱 시밍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틱 시밍 모듈은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 내의 외부 시밍 모듈과, 상기 외부 시밍 모듈 내에 배치되어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 내의 자기장의 균일도를 증가시키는 내부 시밍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및 그의 시밍 방법{superconductor magnet apparatus and shimm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시밍 모듈들을 포함하는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와 그의 시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전도체는 전력의 손실 없이 전류를 흘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온 초전도체(HTS: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는 액체 질소의 기화 온도 이상의 임계 온도 이하에서 저항이 0이 되는 특성을 갖는다. 고온 초전도체는 케이블, 변압기, 발전기, 한류기, 및 모터와 같은 전력기기들과, 자기공명영상(MRI), 및 핵자기공명(NMR) 등과 같은 의료/바이오 응용기기로서 상용화 되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고온 초전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은 등록특허 제115874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기장의 공간 균일도를 개선할 수 있는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를 개시한다. 그의 장치는, 초전도 코일 모듈; 및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 내에 배치되고,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 내의 자기장을 제어하는 마그네틱 시밍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 시밍 모듈은: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 내의 외부 시밍 모듈; 및 상기 외부 시밍 모듈 내에 배치되어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 내의 자기장의 균일도를 증가시키는 내부 시밍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은: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 초전도 선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전도 선재는 고온 초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시밍 모듈은: 상기 보빈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을 따라 연장하는 제 1 실린더; 및 상기 제 1 실린더의 외주면 상에 배치된 제 1 철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시밍 모듈은 상기 제 1 철편들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철편들을 상기 제 1 실린더에 압착시키는 제 1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보빈과 상기 제 1 실린더 사이의 거리는 상기 철편들과 상기 제 1 접착 테이프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실린더는 알루미늄 파이프 또는 서스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시밍 모듈은: 상기 제 1 실린더 내의 제 2 실린더; 및 상기 제 2 실린더의 외주면 상에 배치된 제 2 철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시밍 모듀은 상기 제 2 철편들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철편들을 상기 제 2 실린더에 압착시키는 제 2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실린더와 상기 제 2 실린더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철편들과 상기 제 2 접착 테이프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실린더는 알루미늄 파이프 또는 서스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의 시밍 방법은, 초전도 코일 모듈 내에 자기장을 유도하는 단계;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의 보빈 내의 상기 자기장을 측정하여 상기 자기장의 세기를 매핑하는 단계; 상기 보빈 내에 제공되는 제 1 실린더에 고정될 제 1 철편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철편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실린더 내에 상기 자기장을 재 유도하는 단계; 상기 제 1 실린더 내의 상기 자기장을 재 측정하여 상기 자기장의 세기를 재 매핑하는 단계; 상기 제 1 실린더 내에 제공되는 제 2 실린더에 고정될 제 2 철편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철편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실린더 내의 상기 자기장을 또 다시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실린더 내의 상기 자기장을 또 다시 측정하여 상기 자기장의 세기를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는, 초전도 코일 모듈 내의 외부 시밍 모듈 내의 내부 시밍 모듈을 이용하여 자기장의 공간 균일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그네틱 시밍 모듈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의 시밍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는 초전도 코일의 제 1 자기장 변화율, 외부 시밍 모듈을 이용한 제 2 자기장 변화율, 그리고 외부 시밍 모듈 및 내부 시밍 모듈을 이용한 제 3 자기장 변화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그래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더하여, 본 명세서에서, 어떤 막이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100)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100)는 핵자기공명(NMR)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100)는 자기공명영상(MRI)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100)는 냉매 챔버(110), 초전도 코일 모듈(120), 및 마그네틱 시밍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냉매 챔버(110)는 냉매(112)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112)는 액체 질소 및/또는 액체 헬륨을 포함할 수 있다. 초전도 코일 모듈들(120)은 냉매 챔버(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초전도 코일 모듈들(120)은 냉매(112) 내에 침지될 수 있다. 냉매(112)는 냉매 챔버(110) 외부의 칠러(미도시)로 순환될 수 있다. 냉매(112)는 약 77K이하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초전도 코일 모듈들(120)는 냉매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초전도 코일 모듈(120)은 보빈(122)과, 초전도 코일(124)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122)은 초전도 코일(12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122)은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의 절연 관(pipe)를 포함할 수 있다. 초전도 코일(124)은 보빈(122)의 외주면을 따라 감길 수 있다. 초전도 코일(124)은 고온 초전도 선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초전도 코일(124)은 보빈(122) 내에 자기장(140)을 유도할 수 있다.
마그네틱 시밍 모듈(130)은 냉매 챔버(110) 및 초전도 코일 모듈들(1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틱 시밍 모듈(130)은 냉매(112)로부터 이격(spaced)될 수 있다. 초전도 코일 모듈들(120)의 자기장(140)은 마그네틱 시밍 모듈(130)을 통과할 수 있다. 마그네틱 시밍 모듈(130)은 자기장(140)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마그네틱 시밍 모듈(130)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마그네틱 시밍 모듈(130)은 외부 시밍 모듈(133)과 내부 시밍 모듈(1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시밍 모듈(133)은 상기 보빈(12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시밍 모듈(133)은 제 1 실린더(132), 제 1 철편들(134) 및 제 1 접착 테이프(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린더(132)는 상기 보빈(12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린더(132)는 상기 보빈(122)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린더(132)는 비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실린더(132)는 알루미늄 파이프 또는 서스(SUS)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철편들(134)은 상기 제 1 실린더(132)의 외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철편들(134)은 강자성체일 수 있다. 상기 제 1 철편들(134)은 상기 제 1 실린더(132) 내의 자기장(14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철편들(134)은 상기 제 1 실린더(132) 내의 상기 자기장(140)의 공간 균일도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철편들(134)의 위치와 모양은 상기 보빈(122) 내의 상기 자기장(140)의 분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자기장(140)은 설계 및 제작 상의 오류에 의해 상기 보빈(122) 내에서 불 균일하게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철편들(134)은 상기 자기장(140)을 균일하게 만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착 테이프(135)는 상기 제 1 철편들(134)을 상기 제 1 실린더(132)의 외주면 상에 압착 및/또는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보빈(122)과 상기 제 1 실린더(13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철편들(134)과 상기 제 1 접착 테이프(135) 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내부 시밍 모듈(137)은 상기 외부 시밍 모듈(13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시밍 모듈(137)은 제 2 실린더(136), 제 2 철편들(138) 및 제 2 접착 테이프(1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린더(136)는 상기 제 1 실린더(13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실린더(136)는 상기 제 1 실린더(132)와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린더(136)는 비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실린더(136)는 알루미늄 파이프 또는 서스(SUS)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철편들(138)는 상기 제 2 실린더(136)의 외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철편들(138)은 강자성체일 수 있다. 상기 제 2 철편들(138)은 상기 제 2 실린더(136) 내의 상기 자기장(14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철편들(138)은 상기 자기장(140)의 공간 균일도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 2 철편들(138)의 위치와 모양은 상기 보빈(122) 내의 상기 자기장(140)의 분포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착 테이프(139)는 상기 제 2 철편들(138)을 상기 제 2 실린더(136)의 외주면 상에 압착 및/또는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린더(136)와 상기 제 1 실린더(13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철편들(138) 상기 제 2 접착 테이프(139)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2 실린더(136) 내에는 제 3 내지 제 n 실린더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내지 제 n 실린더들의 외주면 상에 제 3 내지 제 n 철편들과 제 3 내지 제 n 접착 테이프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내지 제 n 철편들은 상기 제 3 내지 제 n 실린더들 내의 상기 자기장(140)을 편향시켜 공간 균일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100)의 시밍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의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100)의 시밍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밍 방법은 보빈(122) 내에 자기장(140)을 유도하는 단계(S10), 상기 보빈(122) 내의 상기 자기장(140)을 측정하는 단계(S20), 상기 제 1 철편들(134)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S30), 제 1 실린더(132) 내에 상기 자기장(140)을 다시 유도하는 단계(S40), 상기 제 1 실린더(132) 내의 상기 자기장(140)을 다시 측정하는 단계(S50), 상기 제 2 철편들(138)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S60), 상기 제 2 실린더(136) 내에 상기 자기장(140)을 또 다시 유도하는 단계(S70), 상기 제 2 실린더(136) 내의 상기 자기장(140)을 또 다시 측정하는 단게(S80) 및 상기 자기장(140)의 공간 균일도를 평가하는 단계(S9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120)은 상기 마그네틱 시밍 모듈(130) 없이 상기 보빈(122) 내에 상기 자기장(140)을 유도한다(S10). 상기 자기장(140)의 세기는 상기 초전도 코일(124)에 인가되는 전류에 비례할 수 있다.
다음, 필드 맵퍼(미도시)는 상기 보빈(122) 내의 상기 자기장(140)을 측정하여 상기 보빈(122) 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자기장(140)의 세기를 맵핑한다(S20). 상기 필드 맵퍼는 상기 보빈(122)의 중심에서 상기 자기장(140)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자기장(140)의 세기는 상기 보빈(122)의 축 방향을 따라 정량적으로 측정 및/또는 매핑될 수 있다.
이후, 제어 부는 상기 제 1 철편들(134)의 배치 위치를 결정한다(S30). 상기 제 1 철편들(134)의 배치 위치는 상기 자기장(140)이 불균일한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작업자 및/또는 엔지니어는 상기 제 1 실린더(132)의 외주면에 상기 제 1 철편들(134)을 개재하여 상기 제 1 접착 테이프(135)를 감을 수 있다. 상기 제 1 실린더(132)는 상기 보빈(122)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120)은 상기 제 1 실린더(132) 내에 상기 자기장(140)을 다시 유도한다(S40).
그 후, 상기 필드 맵퍼는 상기 제 1 실린더(132) 내의 상기 자기장(140)을 다시 측정하여 상기 제 1 실린더(132) 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자기장(140)의 세기를 다시 맵핑한다(S50).
상기 제어 부는 상기 제 2 철편들(138)의 배치 위치를 결정한다(S60). 상기 제 2 철편들(138)의 배치 위치는 상기 자기장(140)이 불균일한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작업자 및/또는 엔지니어는 상기 제 2 실린더(136)의 외주면에 상기 제 2 철편들(138)을 개재하여 상기 제 2 접착 테이프(139)를 감을 수 있다. 상기 제 2 실린더(136)는 상기 제 1 실린더(132)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120)은 상기 제 2 실린더(136) 내에 상기 자기장(140)을 또 다시 유도한다(S70).
그리고, 상기 필드 맵퍼는 상기 제 2 실린더(136) 내의 상기 자기장(140)을 또 다시 측정하여 상기 제 2 실린더(136) 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자기장(140)의 세기를 다시 맵핑한다(S80).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 부는 상기 제 2 실린더(136) 내의 상기 자기장(140)의 공간 균일도를 평가한다(S90). 상기 공간 균일도는 상기 제 1 철편들(134)과 상기 제 2 철편들(138)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도 4는 초전도 코일(124)의 제 1 자기장 변화율(152), 외부 시밍 모듈(133)을 이용한 제 2 자기장 변화율(154) 그리고 외부 시밍 모듈(133) 및 내부 시밍 모듈(137)을 이용한 제 3 자기장 변화율(156)을 비교하여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자기장 변화율(154)은 제 1 자기장 변화율(152) 보다 작고, 제 3 자기장 변화율(156)은 상기 제 2 자기장 변화율(154)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자기장(140)의 변화율은 공간 균일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초전도 코일(124)는 약 614 ppm(part per million)의 공간 균일도의 자기장(140)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철편들(134)과 상기 제 2 철편들(138)은 상기 자기장(140)의 공간 균일도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철편들(134)은 상기 제 1 실린더(132) 내의 상기 자기장(140)을 약 158ppm의 공간 균일도로 편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철편들(134)과 상기 제 2 철편들(138)은 상기 제 2 실린더(136) 내의 상기 자기 장을 약 39ppm의 공간 균일도로 편향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2)

  1. 초전도 코일 모듈; 및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 내에 배치되고,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 내의 자기장을 제어하는 마그네틱 시밍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마그네틱 시밍 모듈은: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 내의 외부 시밍 모듈; 및
    상기 외부 시밍 모듈 내에 배치되어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 내의 자기장의 균일도를 증가시키는 내부 시밍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초전도 코일 모듈은: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 초전도 선재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시밍 모듈은:
    상기 보빈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을 따라 연장하는 제 1 실린더; 및
    상기 제 1 실린더의 외주면 상에 배치된 제 1 철편들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 시밍 모듈은:
    상기 제 1 실린더 내의 제 2 실린더; 및
    상기 제 2 실린더의 외주면 상에 배치된 제 2 철편들을 포함하는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시밍 모듈은 상기 제 1 철편들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철편들을 상기 제 1 실린더에 압착시키는 제 1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상기 제 1 실린더 사이의 거리는 상기 철편들과 상기 제 1 접착 테이프의 두께보다 큰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린더는 알루미늄 파이프 또는 서스 파이프를 포함하는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시밍 모듈은 상기 제 2 철편들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철편들을 상기 제 2 실린더에 압착시키는 제 2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린더와 상기 제 2 실린더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철편들과 상기 제 2 접착 테이프의 두께보다 큰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린더는 알루미늄 파이프 또는 서스 파이프를 포함하는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11. 초전도 코일 모듈의 보빈 내에 자기장을 유도하는 단계;
    상기 자기장을 상기 보빈의 내벽에 인접하는 위치마다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자기장의 세기를 상기 보빈의 내벽에 인접하는 위치의 좌표에 매핑하는 단계;
    상기 보빈 내에 제공되는 제 1 실린더에 고정될 제 1 철편의 위치를 상기 매핑된 자기장의 세기가 불균일하거나 변화되는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철편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실린더 내에 상기 자기장을 재 유도하는 단계;
    상기 자기장을 상기 제 1 실린더의 내벽에 인접하는 위치마다 재 측정하여 상기 재 측정된 자기장의 세기를 상기 제 1 실린더의 내벽에 인접하는 위치의 좌표에 재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실린더 내에 제공되는 제 2 실린더에 고정될 제 2 철편의 위치를 상기 재 매핑된 자기장의 세기가 불균일하거나 변화되는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의 시밍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철편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실린더 내의 상기 자기장을 또 다시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실린더 내의 상기 자기장을 또 다시 측정하여 상기 자기장의 세기를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의 시밍 방법.

KR1020170177204A 2017-12-21 2017-12-21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및 그의 시밍 방법 KR102024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04A KR102024039B1 (ko) 2017-12-21 2017-12-21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및 그의 시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04A KR102024039B1 (ko) 2017-12-21 2017-12-21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및 그의 시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539A KR20190075539A (ko) 2019-07-01
KR102024039B1 true KR102024039B1 (ko) 2019-09-24

Family

ID=6725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204A KR102024039B1 (ko) 2017-12-21 2017-12-21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및 그의 시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0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751B1 (ko) * 2016-12-26 2017-10-18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마그네틱 시밍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4012A (ja) * 1994-09-16 1997-03-18 Hitachi Medical Corp 超電導多層複合体を用いた超電導磁石装置と着磁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751B1 (ko) * 2016-12-26 2017-10-18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마그네틱 시밍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539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5291B2 (en) Multilayer magnetic shield
CN102403081B (zh) 磁体组件及其制造方法
JPS6135502A (ja) コイル巻型とコイル巻装方法
CN106898452B (zh) 可容易地接近的深度冷冻的nmr匀场装置
JP6090557B2 (ja) 超電導体、超電導磁石、超電導磁場発生装置及び核磁気共鳴装置
KR101777751B1 (ko) 마그네틱 시밍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KR102024039B1 (ko)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및 그의 시밍 방법
US20040041673A1 (en) Low-leakage magnetic-field magnet and shield coil assembly
US9177707B2 (en) Superconducting magnet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same
US7427908B1 (en) Magnetic shimming configuration with optimized turn geometry and electrical circuitry
WO2012157745A1 (ja) 超伝導磁石及び核磁気共鳴装置
Kim et al. Persistent current mode of a 1-T-class HTS pancake coil for NMR/MRI applications
KR102027784B1 (ko)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의 시밍 방법 및 그의 구조
US20090189607A1 (en) Gradient coi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gradient coil manufacturing method
Miyazaki et al. Development of a 5.1 T conduction-cooled YBCO coil composed of a stack of 12 single pancakes
US11199599B2 (en) Magnet assembly comprising closed superconducting HTS shims
Miyazaki et al. Evaluation of magnetic field homogeneity of a conduction-cooled REBCO magnet with a room-temperature bore of 200 mm
KR102002164B1 (ko) 마그네틱 시밍 모듈, 초전도 마그네트 장치, 및 그의 시밍 방법
JP6941703B2 (ja) 強磁性シールドを介したフィールドクーリングにより超伝導バルク磁石を磁化するための超伝導磁石装置および方法
JP2017143173A (ja) 超電導コイル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超電導コイル
KR101824314B1 (ko) 쉐이킹 코일을 포함하는 초전도 코일 모듈
RU171954U1 (ru) Магнитная система с двухсекционным высокотемпературным сверхпроводящим магнитом
Toral et al. Fabrication and testing of a combined superconducting magnet for the TESLA test facility
US101850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thermal reflectivity of a cryogenic component
JPH0838454A (ja) 磁気共鳴映像装置の磁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