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709B1 -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 및 증모용 매듭 - Google Patents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 및 증모용 매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709B1
KR102023709B1 KR1020180147843A KR20180147843A KR102023709B1 KR 102023709 B1 KR102023709 B1 KR 102023709B1 KR 1020180147843 A KR1020180147843 A KR 1020180147843A KR 20180147843 A KR20180147843 A KR 20180147843A KR 102023709 B1 KR102023709 B1 KR 102023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hair growth
rod
hair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미정
강종진
Original Assignee
전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미정 filed Critical 전미정
Priority to KR1020180147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86Applicators or tools for applying hair ext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41G5/006Fastening thereof by threading with the remaining hair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41G5/0073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buttons, com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주면에 복수의 증모용 매듭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매듭 지어있는 증모용 막대; 상기 증모용 막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증모용 막대의 단부에 연결되어 원모가 안착되는 원모 안착부; 상기 증모용 막대의 양 측에서 상기 증모용 막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증모용 막대에 매듭 지어있는 상기 증모용 매듭을 상기 원모 안착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매듭 이송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증모용 매듭의 양 단을 그립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증모용 매듭을 조일 수 있는 매듭 조임부;를 포함하는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 및 증모용 매듭{PROCEDURE APPARATUS FOR EXTENSION HAIR KNOT AND EXTENSION HAIR KNOT}
본 발명은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 및 증모용 매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노화나 약물의 남용 혹은 심리적으로 받게 되는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머리카락이 점차 탈모되면서 머리숱이 감소하게 되므로 두피 부분이 노출되어 외관상 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흉해진 탈모 부위를 감추기 위해서는 가발을 이용하거나 외과적 수술에 의한 머리카락 식모(植毛) 등의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 중 가발을 착용하게 될 경우에는 가발의 착탈에 따른 번거로움과 아울러 두피가 외부와 차단되므로 답답하고 부자연스럽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가발을 손질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또한 외과적 시술에 의한 머리카락 식모 방법의 경우에는 그 시술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비용이 고가인데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따를 뿐만 아니라, 머리카락의 식모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증모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여러가지 고안 매듭 방법으로 제품들이 출시되었으나 머리카락 고유의 유지성분과 탄성에 의해 매듭이 조금씩 느슨해지면서 풀리거나 미끄러져 내려오는 문제가 있어 실제 사업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시술자가 추가적인 재활용 시술을 위해 매듭을 별도로 풀기전에, 바람이나 물 등 기타의 일상적인 요인에 의해 저절로 풀려버림으로써, 고객 불만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또한, 종래의 증모 방법은 원모에 시술자가 코바늘을 사용하여 직접 수개의 증모용 모발을 수작업으로 묶어 고정 부착하는 것으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못해 쉽게 풀려버리거나 미끄러져 내려오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매듭 아래 원모를 한번 더 묶어 걸림 매듭을 만드는 등 시술과정이 복잡하고 원모를 손상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람이 수작업으로 머리카락 한 가닥마다 증모용 매듭의 고리를 걸어서 고정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증가하고 시술 중 원모의 견인성탈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1580호(2018.09.2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증모용 매듭을 원모에 연결할 수 있는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증모용 매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주면에 복수의 증모용 매듭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매듭 지어있는 증모용 막대; 상기 증모용 막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증모용 막대의 단부에 연결되어 원모가 안착되는 원모 안착부; 상기 증모용 막대의 양 측에서 상기 증모용 막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증모용 막대에 매듭 지어있는 상기 증모용 매듭을 상기 원모 안착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매듭 이송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증모용 매듭의 양 단을 그립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증모용 매듭을 조일 수 있는 매듭 조임부;를 포함하는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매듭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면에 고정되는 연결블록;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블록을 관통하여, 일 단부가 상기 증모용 막대에 접촉되는 아암; 상기 연결블록의 외측에서 상기 아암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연결블록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블록과 이격되어, 상기 아암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연결블록과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에서, 상기 아암 외주면을 감싸며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듭 조임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이동 블록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증모용 매듭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된 이동바;를 포함하는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바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원모 안착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증모용 매듭의 매듭이 조여지는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의 단부에는 도르레부가 형성되어, 상기 증모용 매듭의 단부가 상기 이동바의 슬릿으로 가이드 되는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모용 막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바퀴 회전하여 형성되는 1차 고리 매듭부; 상기 1차 고리 매듭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1차 고리 매듭부와 이격되며 상기 증모용 막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바퀴 회전하여 형성되는 2차 고리 매듭부; 및 상기 2차 고리 매듭부에서 상기 1차 고리 매듭부 측으로 연장되어, 일 단부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복수회 반복하여 감싸는 조임 매듭부; 를 포함하여, 타 단이 상기 조임 매듭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1차 고리 매듭부와 상기 2차 고리 매듭부에 엇갈리도록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모용 매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증모용 매듭을 원모에 연결할 수 있는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증모용 매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에 따른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가 작동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모용 매듭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1)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1)는 증모용 막대(10), 원모 안착부(20), 가이드 레일(30), 매듭 이송부(40) 및 매듭 조임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증모용 막대(10)는 외주면에 복수의 증모용 매듭(100)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매듭 지어 배치된다. 증모용 막대(10)는 긴 막대 형상으로, 증모용 매듭(100)의 고리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원모 안착부(20)는 증모용 막대(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증모용 막대(10)의 단부에 연결되어 원모(200)가 안착될 수 있다. 원모 안착부(20)에는 삽입홈(21)이 형성될 수 있고, 삽입홈(21)에 원모(200)가 삽입되어, 원모(200)가 안착될 수 있다.
다만, 원모 안착부(20)는 원모(200)가 안착되기 위해 삽입홈(21)이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모 안착부(20)의 단부는 링 모양이나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0)은 증모용 막대(10)의 양 측에서 증모용 막대(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0)은 리니어 모션 가이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매듭 이송부(40)는 가이드 레일(30)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증모용 막대(10)에 매듭 지어있는 증모용 매듭(100)을 원모 안착부(20)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매듭 이송부(40)는 증모용 막대(10)의 양 측 각각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30)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매듭 이송부(40)는 한 쌍이 증모용 막대(1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듭 이송부(40)는 증모용 막대(10)에 매듭지어 있는 증모용 매듭(100)을 원모 안착부(20) 측으로 밀어, 증모용 매듭(100)이 원모 안착부(20)에 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증모용 매듭(100)의 고리부에서 증모용 막대(10)가 이탈하고, 증모용 매듭(100)의 고리부에 원모 안착부(20)가 위치될 수 있다.
매듭 이송부(40)는 가이드 블록(41), 연결블록(42), 아암(43), 도르레부(44), 제1 브라켓(45), 제2 브라켓(46) 및 탄성부재(47)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41)은 가이드 레일(30) 상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연결블록(42)은 가이드 블록(4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블록(42)은 가이드 블록(41)의 상면에 배치되어, 가이드 블록(41)이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연결블록(42)에는 아암(43)이 고정되어, 연결블록(42)이 이동됨에 따라 아암(43)도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연결블록(42)의 내측을 아암(43)이 관통할 수 있다. 아암(43)은 연결블록(42)에 형성된 관통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연결블록(42)은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아암(43)이 연결블록(42)을 관통하여 증모용 막대(1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후술할 아암(43)은 육각기둥 형태의 연결블록(42)에서 서로 대향하는 면을 관통하되, 증모용 막대(10)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아암(43)은 가이드 레일(30)의 외측에서 연결블록(42)을 관통하여, 일 단부가 증모용 막대(10)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아암(43)은 가이드 레일(30)의 외측에서 증모용 막대(10) 측으로 연결블록(42)을 관통할 수 있다.
아암(43)은 단부가 증모용 막대(10)에 접촉되어, 증모용 막대(10)에 매듭지어 있는 증모용 매듭(100)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아암(43)의 단부가 증모용 매듭(100)의 후방(즉, 도 2를 기준으로 하측)에서 접촉된 상태에서, 가이드블록이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증모용 매듭(100)이 아암(43)의 단부에 의해 밀려서, 증모용 막대(10)에서 원모 안착부(20) 측으로 낙하할 수 있다.
아암(43)의 외측 단부에는 도르레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암(43)의 가이드 레일(30)의 외측 단부로써, 사람이 파지하는 부분 측에는 도르레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도르레부(44)는 증모용 매듭(100)이 원모 안착부(20)에 안착된 후, 증모용 모발의 일 단(101) 및 타 단(102)을 가이드하여 매듭 조임부(50)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르레부(44)는 증모용 막대(1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증모용 막대(10)의 좌측에 배치된 도르레부(44)는 증모용 매듭(100)의 일 단(101)을 매듭 조임부(50)로 가이드하고, 증모용 막대(10)의 우측에 배치된 도르레부(44)는 증모용 매듭(100)의 타 단(102)을 매듭 조임부(50)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로, 도르레부(44)가 앞뒤로 이동하면서 증모용 매듭(100)의 양단을 당기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브라켓(45)은 연결블록(42)의 외측에서 아암(43)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브라켓(46)은 연결블록(42)의 내측에서 아암(43)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브라켓(45)과 제2 브라켓(46)은 연결블록(42)의 폭보다 소정 간격 넓은 폭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45)은 연결블록(42)의 외측에서 연결블록(42)의 일측면과 인접하도록 아암(43)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브라켓(46)은 연결블록(42)의 내측에서 연결블록(42)과 이격되어 아암(43)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브라켓(46)과 연결블록(42)이 이격된 사이에 아암(43) 외주면을 감싸며 탄성부재(47)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45), 제2 브라켓(46) 및 탄성부재(47)에 의해, 아암(43)이 외측으로 당겨질 수 있고, 아암(43)이 외측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탄성부재(47)에 의해 내측으로 다시 위치가 복원될 수 있다.
매듭 조임부(50)는 가이드 레일(30)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증모용 매듭(100)의 양 단을 그립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이동하여, 증모용 매듭(100)을 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듭 조임부(50)가 증모용 막대(10) 양 측 각각에서 증모용 매듭(100)의 일 단(101) 및 타 단(102) 각각을 그립한 상태에서, 매듭 조임부(50)가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후방(즉, 도 2를 기준으로 하측)으로 이동하여, 증모용 매듭(100)의 일 단(101) 및 타 단(102)을 양 측에서 당겨질 수 있다. 이에, 증모용 매듭(100)이 조여질 수 있다.
매듭 조임부(50)는 이동 블록(51), 이동바(52) 및 슬릿(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블록(51)은 가이드 레일(30) 상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바(52)는 이동 블록(51)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증모용 매듭(10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53)이 형성될 수 있다. 도르레부(44)에서 가이드된 증모용 매듭(100)의 일 단(101) 및 타 단(102)이 이동바(52)의 슬릿(53)에 삽입될 수 있다. 증모용 막대(10) 양 측 각각에 위치된 슬릿(53) 각각에 일 단(101) 및 타 단(102)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이동 블록(51)이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증모용 매듭(100)이 조여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에 따른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1)가 작동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증모용 막대(10)에 위치된 증모용 매듭(100)의 하측(후방) 양측에 아암(43)이 접촉된 상태에서, 가이드 블록(41)이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상측(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모용 매듭(100)이 증모용 막대(10)에서 원모 안착부(2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원모 안착부(20)에 안착되어 있던 원모(200)가 증모용 매듭(100)의 고리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모용 매듭(100)의 일 단(101) 및 타 단(102) 각각이 매듭 조임부(50)의 슬릿(53)에 각각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 블록(51)이 하측(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일 단(101) 및 타 단(102)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증모용 매듭(100)이 조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증모용 매듭(100)의 고리에 원모(200)가 조여진 상태에서, 증모용 매듭(100)을 원모 안착부(20)에서 이탈시키게 되면, 증모용 매듭(100)이 원모(200)에 묶이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별도의 접착제나 복잡한 증모시술의 기술없이 증모가 가능하다.
이때, 증모용 매듭(100)의 일 단(101) 및 타 단(102)은 1개의 가닥이 아닌 복수 가닥의 머리카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가닥의 머리카락에 복수의 머리카락을 묶는 형태로 증모가 가능하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증모용 막대(10)에 있는 복수의 증모용 매듭(100) 중 다음 증모용 매듭(100)을 원모 안착부(20)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가이드 블록(41)이 하측(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아암(43)이 외측으로 당겨지게 되면, 제2 브라켓(46)에 의해 탄성부재(47)가 가압되고, 제1 브라켓(45)은 연결블록(42)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47)가 가압되면서 아암(43)이 외측으로 당겨짐으로써, 아암(43)이 증모용 막대(10)와 이격될 수 있다.
아암(43)이 증모용 막대(10)와 이격된 상태에서 후방(하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증모용 막대(10)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증모용 매듭(10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47)가 가압된 상태로 아암(43)이 외측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증모용 막대(10)의 후방에 배치된 증모용 매듭(100) 후방으로 아암(43)이 이동할 수 있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43)이 당겨진 상태가 해제되면, 탄성부재(47)가 다시 팽창할 수 있다. 탄성부재(47)가 팽창되면서 아암(43)의 단부가 다시 증모용 막대(10)에 접촉될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증모용 매듭(100)을 원모 안착부(20)로 낙하시키고, 증모용 매듭(100)의 고리에 원모(200)가 고정되도록 매듭을 조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모용 매듭(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1차 고리 매듭부(110)는 증모용 막대(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바퀴 회전하여 형성될 수 있다.
2차 고리 매듭부(120)는 1차 고리 매듭부(110)에서 연장되어, 1차 고리 매듭부(110)와 이격되며 증모용 막대(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바퀴 회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증모용 매듭(100)의 일 단(101)은 2차 고리 매듭부(120)의 반대측에 위치되어 있고, 증모용 매듭(100)의 타 단(102)이 2차 고리 매듭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조임 매듭부(130)는 증모용 매듭(100)의 타 단(102)은 2차 고리 매듭부(120)에서 1차 고리 매듭부(110) 측으로 연장되어, 일 단(101)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복수회 반복하여 감쌀 수 있다.
조임 매듭부(130)는 "W"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임 매듭부(130)는 제1 조임부 및 제2 조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임부는 1차 고리 매듭부(110)에서 늘어트려 있는 일 단(101)을 2차 고리 매듭부(120)에서 연장된 타 단(102)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임부는 제1 조임부에서 연장되는 형태로써, 증모용 매듭(100)의 타 단(102)이 일 단(101)의 내측에서 다시 외측으로 감긴 후, 다시 한번 타 단(102)이 일 단(10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감기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임 매듭부(130)는 증모용 매듭(100)의 타 단(102)이 일 단(101)을 3번 감싸며 조이는 형태로써, "W"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임 매듭부(130)에 의해 매듭이 보다 더 단단할 수 있다.
이 후, 타 단(102)은 조임 매듭부(130)에서 연장되어, 1차 고리 매듭부(110)와 2차 고리 매듭부(120)의 외측과 내측을 엇갈리며 통과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 10: 증모용 막대
20: 원모 안착부 21: 삽입홈
30: 가이드 레일 40: 매듭 이송부
41: 가이드 블록 42: 연결블록
43: 아암 44: 도르레부
45: 제1 브라켓 46: 제2 브라켓
47: 탄성부재 50: 매듭 조임부
51: 이동블록 52: 이동바
53: 슬릿 100: 증모용 매듭
200: 자연 모발 110: 1차 고리 매듭부
120: 2차 고리 매듭부 130: 조임 매듭부
131: 제1 조임부 132: 제2 조임부
101: 일단 102: 타단

Claims (6)

  1. 외주면에 복수의 증모용 매듭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매듭 지어있는 증모용 막대;
    상기 증모용 막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증모용 막대의 단부에 연결되어 원모가 안착되는 원모 안착부;
    상기 증모용 막대의 양 측에서 상기 증모용 막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증모용 막대에 매듭 지어있는 상기 증모용 매듭을 상기 원모 안착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매듭 이송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증모용 매듭의 양 단을 그립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증모용 매듭을 조일 수 있는 매듭 조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증모용 매듭은,
    상기 증모용 막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바퀴 회전하여 형성되는 1차 고리 매듭부;
    상기 1차 고리 매듭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1차 고리 매듭부와 이격되며 상기 증모용 막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바퀴 회전하여 형성되는 2차 고리 매듭부; 및
    타 단이 상기 2차 고리 매듭부에서 상기 1차 고리 매듭부 측으로 연장되어, 타 단이 일 단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복수회 반복하여 감싸는 조임 매듭부; 를 포함하여,
    타 단이 상기 조임 매듭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1차 고리 매듭부와 상기 2차 고리 매듭부에 엇갈리도록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듭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면에 고정되는 연결블록;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블록을 관통하여, 일 단부가 상기 증모용 막대에 접촉되는 아암;
    상기 연결블록의 외측에서 상기 아암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연결블록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블록과 이격되어, 상기 아암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연결블록과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에서, 상기 아암 외주면을 감싸며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매듭 조임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이동 블록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증모용 매듭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된 이동바;를 포함하는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원모 안착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증모용 매듭의 매듭이 조여지는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단부에는 도르레부가 형성되어,
    상기 증모용 매듭의 단부가 상기 이동바의 슬릿으로 가이드 되는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
  6. 증모용 막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바퀴 회전하여 형성되는 1차 고리 매듭부;
    상기 1차 고리 매듭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1차 고리 매듭부와 이격되며 상기 증모용 막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바퀴 회전하여 형성되는 2차 고리 매듭부; 및
    상기 2차 고리 매듭부에서 상기 1차 고리 매듭부 측으로 연장되어, 일 단부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복수회 반복하여 감싸는 조임 매듭부; 를 포함하여,
    타 단이 상기 조임 매듭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1차 고리 매듭부와 상기 2차 고리 매듭부에 엇갈리도록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모용 매듭.
KR1020180147843A 2018-11-26 2018-11-26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 및 증모용 매듭 KR102023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843A KR102023709B1 (ko) 2018-11-26 2018-11-26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 및 증모용 매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843A KR102023709B1 (ko) 2018-11-26 2018-11-26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 및 증모용 매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709B1 true KR102023709B1 (ko) 2019-09-20

Family

ID=6806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843A KR102023709B1 (ko) 2018-11-26 2018-11-26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 및 증모용 매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048B1 (ko) * 2019-12-27 2021-04-29 유콘크리에이티브 주식회사 증모 시술 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205A (ko) * 2000-12-25 2002-10-26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의모재, 증모기구 및 증모방법
KR20170031580A (ko) 2015-09-11 2017-03-21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위험물 관리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205A (ko) * 2000-12-25 2002-10-26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의모재, 증모기구 및 증모방법
KR20170031580A (ko) 2015-09-11 2017-03-21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위험물 관리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048B1 (ko) * 2019-12-27 2021-04-29 유콘크리에이티브 주식회사 증모 시술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004B1 (ko) 붙임머리
CA2429081C (en) Supplemental hair attachment method and apparatus
JP4564162B2 (ja) 擬毛材及び増毛方法
JP6113987B2 (ja) 増毛方法
US5832938A (en) Hair style having ponytail strands woven into curls and tool therefor
US5533529A (en) Method and device for artificially increasing hair
KR102023709B1 (ko) 증모용 매듭 시술 장치 및 증모용 매듭
US11849789B2 (en) Artificial hair fastening tool and artificial hair fastening method technical field
KR20080090123A (ko) 매듭용 붙임머리 및 그 식모 방법
JP2006045734A (ja) 人毛髪束または人工毛髪束等の取付具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101248374B1 (ko) 붙임머리 시술 방법
US20060174908A1 (en) Hair styl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239154B1 (ko) 붙임머리 시술방법
KR102068711B1 (ko) 증모용 모발매듭기 및 증모방법
JP2022172773A (ja) 人工毛締結方法および人工毛締結修復方法
JP4698206B2 (ja) エクステンション取付け方法
KR101934827B1 (ko) 증모용 모발 매듭 방법
US20160100666A1 (en) Adjustable Fastener
KR101202159B1 (ko) 증모용 모발 매듭방법
KR20100085351A (ko) 증모를 위한 붙임머리 및 증모 방법
AU2013101052B4 (en) Knot Tying Jig
JPH0892809A (ja) 増毛方法
JP2579666B2 (ja) かつらの取付部の形成方法およびかつらの固定方法
JP4106558B2 (ja) 毛髪用繊維の取り付け方法
JP2004285551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