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580B1 -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580B1
KR102023580B1 KR1020180011443A KR20180011443A KR102023580B1 KR 102023580 B1 KR102023580 B1 KR 102023580B1 KR 1020180011443 A KR1020180011443 A KR 1020180011443A KR 20180011443 A KR20180011443 A KR 20180011443A KR 102023580 B1 KR102023580 B1 KR 102023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user
signal
user authentication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081A (ko
Inventor
고다현
Original Assignee
고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다현 filed Critical 고다현
Priority to KR1020180011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5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신속하게 사용자를 인증하고, 연계된 서비스를 식별 및 연결하는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이 정의되는 터치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 터치동작이 발생하면 터치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 인증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호출을 수행함으로써, 높은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긴박한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ORIZATION BASED ON TOUCH INPUT}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신속하게 사용자를 인증하고, 연계된 서비스를 식별 및 연결하는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의 정보보호 등을 위해, 권한이 없는 타인이 무단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기본적으로 잠금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기능은 패스워드 입력, 팬턴인증, 지문 또는 홍체인식과 같은 생체정보 인증 방식 등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보안 관리, 배터리 관리, 오작동 방지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유익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화면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화면이 활성화된 모바일 단말기(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화면상에 표시된 사용자 인증정보(3), 일 예로서, 4자리 숫자와 같은 패스워드를 가상키보드(5)를 통해 입력해야 하며,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잠금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타인의 사용을 제한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에게 예상치 못한 사건이 발생함에 따라 긴급 구조 요청, 자신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한 상황정보를 보호자나 지인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겸용하는 경우, 가상키보드(5)를 이용하여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행위는 즉각적인 작동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위기 상황 발생시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되는 버튼을 눌러 사용자가 보호자나 지인에게 위기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모바일 단말기에 별도의 전용버튼이 구비되는 등의 제약사항이 있어 일반적인 모바일 단말기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2802호(공개일자: 2011.05.0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종에 관계없이 잠금기능을 갖는 일반적인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가능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즉시 사용자를 인증하고,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과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하나 이상의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이 정의되는 터치정보를 등록 및 설정하는 터치 설정부와,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일정시간 동안 발생한 제1 및 제2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터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분석부와, 상기 터치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신호에 의한 화면상의 터치된 영역의 면적, 두 좌표간 거리, 두 좌표가 이루는 선 또는 두 좌표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도면의 면적을 산출하고, 산출결과와 상기 터치정보를 비교하여 프로파일의 존재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터치신호의 종료 이후 제2 터치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터치신호 및 제2 터치신호간 신호간격을 산출하는 지연 산출모듈과, 상기 제1 터치신호 또는 제2 터치신호의 발생 및 종료시간에 따른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유지시간 측정모듈과, 일정기간 동안 상기 제1 터치신호 또는 제2 터치신호가 발생한 발생횟수를 산출하는 횟수 산출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 터치신호에 의한 화면상의 터치된 영역의 면적, 두 좌표간 거리, 두 좌표가 이루는 선 또는 두 좌표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도면의 면적을 산출하는 면적 산출모듈과, 상기 신호간격, 유지시간, 발생횟수, 두 좌표간 거리, 이루는 선 및 도면의 면적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터치정보를 비교하여 프로파일의 존재시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연 산출모듈 및 유지시간 측정모듈은 각각 상기 신호간격 및 유지시간의 최소값 및 최대값과, 상기 최소값 및 최대값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모듈은, 산출된 최소값, 최대값 및 평균값과 상기 터치정보에 정의된 터치동작과 임계치 내에서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을 독출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사용자 인증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파일이 존재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에 따라 사용자 인증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어플리케이션 호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의한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하나 이상의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이 정의되는 터치정보를 등록 및 설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일정시간 동안 발생한 제1 및 제2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기 저장된 터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신호를 분석하고,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판정하는 단계와,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신호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신호에 의한 화면상의 터치된 영역의 면적, 두 좌표간 거리, 두 좌표가 이루는 선 또는 두 좌표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도면의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두 좌표간 거리, 이루는 선 및 도면의 면적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터치정보를 비교하여 프로파일의 존재시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터치신호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신호의 종료 이후 제2 터치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터치신호 및 제2 터치신호간 신호간격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터치신호 또는 제2 터치신호의 발생 및 종료시간에 따른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일정기간 동안 상기 제1 터치신호 또는 제2 터치신호가 발생한 발생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간격, 유지시간 및 발생횟수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터치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이후, 사용자 인증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파일이 존재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파일에 따라 사용자 인증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이 정의되는 터치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 터치동작이 발생하면 터치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 인증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호출을 수행함으로써, 높은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긴박한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분석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분석부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코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터치정보의 일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실행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인증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단말(Terminal)" 및 "...서버(Server)"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단말(Terminal)" 및 "...서버(Server)"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에 적용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형태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탑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 (130), AP(140), 메모리(150) 및 저장소(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타 단말과 연결되거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설치파일(*.ipa, *.apk)을 다운로드 하여 저장소(160)에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특히, 입력부(120)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는 키 버튼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화면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보드를 클릭하는 터치 스크린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화면상의 하나 이상의 영역이 터치되면 입력부(120)는 이에 따른 터치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의 구동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비디오 어뎁터(Video Adap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소형의 휴대용 모바일 단말에 적합한 소형의 액정표시소자(LCD), 전기영동소자(EPD) 및 유기전계발광소자(OLED)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AP(Application Processor; 14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포함된 모바일 단말기에 적합한 시스템 온 칩(SOC)일 수 있으며, 저장소(160)에 저장된 OS, 웹 브라우저 및 기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메모리(150)에 상주시켜 실행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 탑재된 각 구성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AP(140)는 각 구성모듈과 내부적으로 서로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 버스는 메모리 버스(Memory Bus)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 주변 장치 버스(Peripheral Device) 및 다양한 버스 아키텍처들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구조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자 인증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100)의 부팅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어 그 프로세스가 메모리(150)에 상주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모리(15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소(1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이 파일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고, 단말용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이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인증 시스템(200)은 그 설치파일이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 되면 저장소(160)에 임시 저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소(160)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탈착이 가능한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200)은 메모리(150)에 상주하고, 입력부(120)에서 발생한 터치신호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터치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프로파일이 존재하면, 사용자를 인증하고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200)은 프로파일에 연계된 소정의 프로그램이 정의된 경우, 그 프로그램의 실행을 AP(140)에 요청함으로써, 신속한 프로그램의 실행을 구현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의 각 구성부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터치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에 대한 하나 이상의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이 정의되는 터치정보를 등록 및 설정하는 터치 설정부(210),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발생한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220), 터치정보를 참조하여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하는 분석부(230), 터치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240) 및 프로파일에 따라 사용자 인증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어플리케이션 호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설정부(210)는 사용자가 자신의 의도한 터치동작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 인증 및 연계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는 터치정보를 생성 및 등록할 수 있다. 터치정보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이 정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이 의도한 터치동작을 하나 이상 설정함으로써 신속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터치정보는 데이터 베이스(240)에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수시로 갱신될 수 있다.
감지부(220)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부(120)에 의해 생성된 터치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단말의 잠금상태에서도 터치동작을 입력받아 터치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그 터치신호는 실시간으로 감지부(220)에 전달된다.
분석부(230)는 감지부(220)가 감지한 터치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분석부(230)는 데이터 베이스(240)를 참조하여 감지된 터치신호와 기 설정된 터치정보와 비교하고, 그 터치신호가 가리키는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며, 임계치 내에서 터치동작과 프로파일이 일치하면 사용자를 인증하게 된다.
데이터 베이스(240)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이 정의된 터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240)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이외에도 파일 저장을 위한 파일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시스템 운영을 위한 각종 설정값 들을 저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호출부(250)는 정상 사용자로 인증시, 해당 프로파일에 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AP(140)에 요청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호출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는 긴급 상황 발생시 공공기관 등의 통화 연결을 설정할 수 있고, 이에 프로파일에 특정 터치동작에 따른 사용자 인증시 긴급신고 전화번호로의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220)에 의해 해당 터치동작이 감지되면, 분석부(230)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고, 그 즉시 어플리케이션 호출부(250)는 해당 긴급신고 전화번호를 통해 호(call)를 발생시키게 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터치동작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하고 연계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긴급한 상황에서 잠금화면을 해체하는 등의 동작 없이도 신속하게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분석부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분석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분석부(230)는 감지된 터치신호(TS)가 일정기간 동안 발생하는 제1 터치신호를 포함한다고 할 때, 제1 터치신호의 종료 이후 제2 터치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터치신호 및 제2 터치신호간 신호간격을 산출하는 지연 산출모듈(231), 제1 터치신호 또는 제2 터치신호의 발생 및 종료시간에 따른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유지시간 측정모듈(233), 일정기간 동안 제1 터치신호 또는 제2 터치신호가 발생한 발생횟수를 산출하는 횟수 산출모듈(235) 및 신호간격, 유지시간 및 발생횟수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터치정보를 비교하여 프로파일의 존재시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모듈(23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230)는 사용자 인증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파일이 존재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모듈(2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연 산출모듈(231)은 터치신호(TS)에서 2회 이상의 터치동작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두 터치동작간 간격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즉 입력부를 2회 이상 터치하는 동작을 프로파일로 설정할 수 있고, 지연 산출모듈(231)은 최초 터치동작이 종료한 시점에서 일정기간 내 다음 터치동작이 발생하면 그 기간을 산출할 수 있다.
유지시간 측정모듈(233)은 하나의 터치동작이 지속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하나의 터치동작은 일정기간 그 상태가 지속될 수 있으며, 유지시간 측정모듈(233)은 터치동작의 발생부터 종료까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터치동작에 있어서 좌표이동 여부도 고려될 수 있다.
횟수 산출모듈(235)은 복수의 터치시도에 따라 일정기간 동안 그 터치동작의 발생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최초 터치동작을 취한 이후, 반복적으로 터치동작을 수행하여 일정기간 동안의 터치횟수를 프로파일로 설정할 수 있고, 횟수 산출모듈(235)은 기 설정된 기간동안의 터치발생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의 터치동작들은 각각 프로파일로 등록되거나, 각 터치동작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방식으로 하나의 프로파일로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모듈(237)은 전술한 지연 산출모듈(231), 유지시간 측정모듈(233) 및 횟수 산출모듈(235)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부터 산출 또는 측정된 신호간격, 유지시간 및/또는 발생횟수와 터치정보(DB)를 비교하여 프로파일에 해당되는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정상 사용자로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AP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지연 산출모듈(231) 및 유지시간 측정모듈(233)은 각각 신호간격 및 유지시간의 최소값 및 최대값과, 최소값 및 최대값의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고, 사용자 인증모듈(237)은 산출된 최소값, 최대값 및 평균값과 터치정보에 정의된 터치동작과 임계치 내에서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을 독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신호의 분석에 있어서 산출 및 측정된 값을 그대로 이용하는 할 수 있고, 또는 터치동작과 프로파일 간의 직접적인 매칭 뿐만 아니라, 오류를 최소화하고 인식률을 개선하기 위해, 산출된 값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이용하거나 그 평균값을 이용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식별모듈(238)은 터치정보(DB)의 프로파일에 사용자 인증시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으면,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식별하고 어플리케이션 호출부에 알려줄 수 있다(out). 이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즉시 실행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230)는 제1 및 제2 터치신호에 의한 화면상의 두 좌표간 거리, 두 좌표가 이루는 선 또는 두 좌표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도면의 면적을 산출하는 면적 산출모듈(239)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사용자 인증모듈(237)은 두 좌표간 거리, 이루는 선 및 도면의 면적 중, 하나 이상과 터치정보를 비교하여 프로파일의 존재시 사용자를 인증하는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모듈(2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하나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 전체를 이용하여 터치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두 손가락 이상을 이용하여 터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두 손가락을 이용하는 방식인 경우, 면적 산출모듈(239)은 화면 즉, 입력부 상에서 터치가 발생한 두 영역의 좌표를 판단하고, 그 두 좌표가 이루는 선 또는 두 좌표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두 손가락이 취할 수 있는 터치동작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길이, 손가락 사이의 거리, 손가락을 오무리고 벌리는 동작에 따른 각도 등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터치동작에 따른 형태를 프로파일로 설정할 수 있다.
면적 산출모듈(239)은 전술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동작에 따른 길이 또는 면적 등을 산출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분석부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코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는, 각 프로그램 모듈에 대응하는 복수의 함수로 이루어질 수 있고, 'onkeyd()' 함수를 통해 두 터치동작간 간격을 산출하는 지연산출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onkeyp()' 함수는 하나의 터치의 유지시간 및 터치 반복횟수를 측정 및 산출하는 유지시간 측정모듈 및 횟수 산출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reset()' 함수는 일정기간 동안 터치가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분석부가 다음 사용자 인증시도를 분석하기 위한 리셋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터치정보의 일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정보는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프로파일은 터치동작과 관련하여 입력된 원 데이터와, 원 데이터에 대한 최소값 및 최대값, 이들의 평균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설정부를 통해 터치동작을 프로파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원 데이터는 감지된 터치동작을 그대로 반영한 데이터이고, 최소값 및 최대값(T_MIN, T_MAX)은 둘 이상의 터치신호를 비교하여 선택된 데이터이다. 또한, 평균값(T_AVR)은 둘 이상의 터치신호의 평균값을 산출한 데이터이다.
기타, 프로파일에는 터치와 관련된 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터치 인증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계의 실행주체는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본 발명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구성부가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터치 기반 사용자 인증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의한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에 대한 하나 이상의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이 정의되는 터치정보를 등록 및 설정하는 단계(S100)와,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발생한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110)와, 기 저장된 터치정보를 참조하여 터치신호를 분석하고,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판정하는 단계(S120)와,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대한 하나 이상의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이 정의되는 터치정보를 등록 및 설정하는 단계(S100)는, 사용자 단말에 본 발명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이 설치 및 실행된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동작이 감지하고 이를 프로파일로 저장하여 이를 포함하는 터치정보를 등록 및 생성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발생한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110)는 사용자 단말의 구동에 따라 사용자 인증 시스템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이 잠금상태에 진입하고, 이후,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터치가 발생하면, 사용자 인증 시스템이 그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저장된 터치정보를 참조하여 터치신호를 분석하고,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판정하는 단계(S120)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이 감지된 터치신호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터치정보를 비교하여 터치동작과 프로파일의 일치 또는 대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 때,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터치신호에 따른 두 터치동작의 간격, 터치동작의 유지시간 및 복수의 터치동작 발생횟수 등을 산출 또는 추출하여 임계치 내 프로파일과 동일 또는 유사정도에 따라 대응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터치동작의 최소값, 최대값 또는 평균값을 판단에 이용할 수 있다.
이후,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S130)는 사용자 시스템이 S120 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현재 사용자를 정상 사용자로 인증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 따라 사용자는 패스워드 등의 별도의 입력을 수행하지 않아도 사용자 단말의 잠금상태를 해제 된다.
또한, S130 단계 이후, 프로파일에 연계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설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실행화면의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실행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터치정보 설정화면(W100)으로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실행하고 터치정보 설정기능을 활성화하면,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터치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이 기재된 사용법창(W110)과, 텍스트 입력창 및 실행버튼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창(W120)을 포함하는 설정화면(W100)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는 터치정보 설정화면(W100)을 이용하여 자신이 의도한 터치 인증방식을 입력하고 이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터치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전에 등록한 터치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른 방식의 프로파일을 추가하거나, 터치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터치화면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사용자 단말(100)은 화면상에 안내화면(W20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잠금상태이며, 통상적으로 그 잠금상태가 일정기간 지속되면 화면이 오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화면(W200)상의 문구창(W210)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긴급상황이 발생하거나, 기타 필요한 경우, 안내화면(W200)을 터치함으로써 인증을 시도하게 된다.
도 8c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터치발생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터치동작을 수행하여 생성된 터치신호와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터치정보와의 비교에 따라 일치 또는 일치범위 내로 판단된다면, 정상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상태로서 잠금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호출과 동시에 인증확인 문구창(W310)과,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명창(W320)을 포함하는 실행안내화면(W300)을 표시할 수 있고, 이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특히, 도면에서는 긴급상황에 따라 관계기관에 신고하기 위한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인증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안내화면(W400)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두 손가락(usr)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터치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 고유의 신체적 특징인 두 손가락 끝에 각각 해당하는 영역(A1, A2)의 면적을 감지하고, 저장된 터치정보와의 비교에 따라 일치 또는 일치범위 내 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다른 형태의 인증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잠김상태에서 사용자가 두 손가락(usr)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터치동작을 수행하고, 이후 손가락(usr)을 벌림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그 두 손가락(usr)이 이루는 거리(L1), 두 손가락(usr)이 이루는 도형의 면적(A3) 및 그 면적(A3)에 따른 각도(D1)를 감지하고, 저장된 터치정보와의 비교에 따라 일치 또는 일치범위 내 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 사용자 단말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AP 150 : 메모리
160 : 저장소 200 : 사용자 인증 시스템
210 : 설정부 220 : 감지부
230 : 분석부 240 : 데이터 베이스
250 : 어플리케이션 호출부

Claims (9)

  1.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하나 이상의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이 정의되는 터치정보를 등록 및 설정하는 터치 설정부;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일정시간 동안 발생한 제1 및 제2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터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분석부;
    상기 터치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프로파일에 따라 사용자가 인증되면 연계된 긴급상황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어플리케이션 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신호에 의한 두 좌표간 거리, 두 좌표가 이루는 영역의 면적, 선 또는 두 좌표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도면의 면적 중, 어느 하나를 산출하고, 산출결과와 상기 터치정보를 비교하여 프로파일의 존재시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신호에 의한 화면상의 터치된 영역의 면적, 두 좌표간 거리, 두 좌표가 이루는 선 또는 두 좌표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도면의 면적을 산출하는 면적 산출모듈
    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터치신호의 종료 이후 제2 터치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터치신호 및 제2 터치신호간 신호간격을 산출하는 지연 산출모듈;
    상기 제1 터치신호 또는 제2 터치신호의 발생 및 종료시간에 따른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유지시간 측정모듈;
    일정기간 동안 상기 제1 터치신호 또는 제2 터치신호가 발생한 발생횟수를 산출하는 횟수 산출모듈; 및
    상기 신호간격, 유지시간, 발생횟수, 두 좌표간 거리, 이루는 선 및 도면의 면적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터치정보를 비교하여 프로파일의 존재시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모듈
    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산출모듈 및 유지시간 측정모듈은 각각 상기 신호간격 및 유지시간의 최소값 및 최대값과, 상기 최소값 및 최대값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모듈은,
    산출된 최소값, 최대값 및 평균값과 상기 터치정보에 정의된 터치동작과 임계치 내에서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을 독출하는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사용자 인증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파일이 존재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모듈
    을 더 포함하는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5. 삭제
  6.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의한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하나 이상의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이 정의되는 터치정보를 등록 및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일정시간 동안 발생한 제1 및 제2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기 저장된 터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신호를 분석하고,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판정하는 단계;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파일이 존재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파일에 따라 사용자가 인증되면 연계된 긴급상황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신호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신호에 의한 두 좌표간 거리, 두 좌표가 이루는 영역의 면적, 선 또는 두 좌표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도면의 면적 중, 어느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두 좌표간 거리, 이루는 선 및 도면의 면적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터치정보를 비교하여 프로파일의 존재시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인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터치신호의 종료 이후 제2 터치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터치신호 및 제2 터치신호간 신호간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신호 또는 제2 터치신호의 발생 및 종료시간에 따른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일정기간 동안 상기 제1 터치신호 또는 제2 터치신호가 발생한 발생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간격, 유지시간 및 발생횟수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터치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방법.
  9. 삭제
KR1020180011443A 2018-01-30 2018-01-30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023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443A KR102023580B1 (ko) 2018-01-30 2018-01-30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443A KR102023580B1 (ko) 2018-01-30 2018-01-30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081A KR20190092081A (ko) 2019-08-07
KR102023580B1 true KR102023580B1 (ko) 2019-09-20

Family

ID=6762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443A KR102023580B1 (ko) 2018-01-30 2018-01-30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341B1 (ko) * 2020-10-14 2021-04-22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터치패턴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94744A1 (en) 2006-12-20 2009-09-02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Catalyst component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and catalysts therefrom obtained
KR20130013858A (ko) * 2011-07-29 2013-02-06 주식회사 더존넥스트 터치 스트로크 다이나믹스의 관계 분석에 기초한 인증 수행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081A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39649A1 (en) Continuous authentication
US8863243B1 (en) Location-based access control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239728B1 (en) Fingerprint recognizing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9024603A1 (zh) 终端及儿童模式实现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80144110A1 (en) Multi-input user interaction and behavioral based authentication system for context aware applications
US20180203986A1 (en)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ouchscreen Terminal
US20160328602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KR20130133223A (ko) 바이오키네마틱 입력을 이용한 사용자 식별
WO2019101096A1 (zh) 安全验证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WO2011126515A1 (en) Authenticating a person's identity using rfid card, biometric signature recognition and facial recognition
US201201859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tisical user authentication using incremental user behavior
CN106919824B (zh) 一种指纹解锁的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EP3286681B1 (en) Detecting and preventing illicit use of device
CN114329374A (zh) 基于设备上的用户输入模式的数据保护系统
US20130086673A1 (en) Techniques for securely unlocking a touch screen user device
US20220014526A1 (en) Multi-layer biometric authentication
US9035745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US10810297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ulti-touch security system
KR102023580B1 (ko) 터치 입력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JP2000222123A (ja) 指紋による個人識別機能付きマウスを用いた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該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個人識別方法
CN112966249A (zh) 多用户账户的切换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CN106778131B (zh) 一种隐藏信息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09583168B (zh) 解锁控制方法及电子装置
US10237736B2 (en) Unlocking of a mobile device by a code received via a stencil on a touchscreen
CN108418829B (zh) 账号登陆验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