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089B1 - Degas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Degas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089B1
KR102022089B1 KR1020170176235A KR20170176235A KR102022089B1 KR 102022089 B1 KR102022089 B1 KR 102022089B1 KR 1020170176235 A KR1020170176235 A KR 1020170176235A KR 20170176235 A KR20170176235 A KR 20170176235A KR 102022089 B1 KR102022089 B1 KR 102022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ipe
air
water supply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2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2577A (en
Inventor
니노미야 타다시
키요미즈 테츠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산업
Publication of KR2018007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5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0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42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 B01D19/0047Atomizing, spraying, trick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개방식 탈기 장치에서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의 제거 기능을 더욱 높이고 순환 급탕 시스템에서 동관 또는 동합관의 부식 방지 효과를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순환 급탕 시스템을 유통하는 급수로부터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개방식 탈기 장치에 있어서, 하방에 저수부, 상방에 공기 정체부를 구비하는 탱크와, 상기 개방식 탈기 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급된 급수를 상기 탱크 내의 상기 공기 정체부로 도입하기 위한 급수관과, 급수관의 선단 부분에 취부되고 공급된 급수를 공기 정체부로 분무 형태로 분출시키는 스프레이 노즐과, 탱크 내의 저수부에 모여져 처리된 급수를 개방식 탈기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과, 탱크 바깥의 대기중으로부터 탱크 내의 공기 정체부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관과, 탱크 내의 공기 정체부의 공기를 탱크 바깥의 대기중으로 방출하기 위한 배기관을 구비하고, 흡기관의 흡기배출구와 상기 배기관의 배기입구의 거리가 공기 정체부 공간 내에서 최대가 되도록 배치된 구성의 개방식 탈기 장치로 하였다. The task is to further enhance the removal of dissolved oxygen,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in open degassers and to improve the corrosion protection of copper or copper tubes in circulating hot water syst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for removing dissolved oxygen,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from water supply circulating in a circul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comprising: a tank having a water storage portion below and an air stagnation portion above; A water supply pipe for introduc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the air stagnation part in the tank, a spray nozzle mounted at the tip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spraying the supplied water supply into the air stagnation part in a spray form;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open degassing unit, an intake pipe for introducing air from the atmosphere outside the tank to the air stagnation part in the tank, and an exhaust pipe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air stagnation part in the tank to the atmosphere outside the tank The distance between the intake and exhaust ports of the intake pipe and the exhaust inlet of the exhaust pipe It was set as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of the structu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come maximum in a sieving space.

Description

탈기 장치 {DEGASSING APPARATUS}Degasser {DEGA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순환 급탕 시스템을 유통하는 급수에서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개방식 탈기 장치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for removing dissolved oxygen,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in a feedwater circulating in a circul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호텔, 병원, 집합 주택 등의 대형 건물에서의 급탕 시스템에는 중앙 급탕 방식의 강제 순환 급탕 시스템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순환 급탕 시스템은, 도 1에 그 계통도를 예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밀폐형 저탕조(1), 밀폐형 저탕조(1)로부터 각 급탕전(給湯栓)(5)까지의 배관인 공급관(2), 각 급탕전(5)의 앞단에서 밀폐형 저탕조(1)까지의 배관인 복귀관(3), 팽창 탱크(4) 및 순환 펌프(6)로 구성되어 있다. In a hot water supply system in a large building such as a hotel, a hospital, or a collective house, a forced hot water supply system of a central hot water supply system is often adopted. As shown in FIG. 1, the circul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is generally a supply pipe 2 which is a pipe from the hermetic storage tank 1 and the hermetic storage tank 1 to each hot water supply field 5. And a return pipe 3, an expansion tank 4, and a circulation pump 6, which are pipes from the front end of each hot water supply field 5 to the closed type water storage tank 1, respectively.

이 구성에 있어서, 고가(高架) 수조(7)에 저장된 물은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된 밀폐형 저탕조에 보내져 가열되고, 이 밀폐형 저탕조에서 나온 온수는 공급관(2)을 통해 각 객실 및 설비에 공급되어 급탕전(5)의 개방에 의해 사용되고, 과잉의 온수는 복귀관(3)을 통해 밀폐형 저수조(1)에 되돌아가 다시 가열되며, 물은 사용한 만큼 고가 수조(7)로부터 밀폐형 저수조(1)로 보충된다. 도 1은 순환 펌프를 하층에 설치한 하향 급탕 방식의 일례이고, 도 1의 급탕 방식에서는 밀폐형 저탕조(1)에 보내진 물은 보일러(8)에서 가열된다. 9는 밀폐형 저탕조(1)로부터 보일러(8)로 물을 보내고 보일러(8)에서 밀폐형 저탕조(1)로 가열된 온수를 보내기 위한 순환 펌프이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water stored in the high-priced water tank (7) is sent to and heated in a closed water storage tank installed on the ground or underground, and the hot water from this closed water storage tank is supplied to each room and equipment through the supply pipe (2). Used by opening of the hot water supply 5, excess hot water is returned to the closed water storage tank 1 through the return pipe 3 and heated again, and water is used from the high price water tank 7 to the closed water storage tank 1 as much as used. Is replenished. FIG. 1 is an example of a downward hot water supply system in which a circulation pump is provided in a lower layer, and in the hot water supply system of FIG. 1, water sent to the closed water storage tank 1 is heated in the boiler 8. 9 is a circulation pump for sending water from the closed water storage tank 1 to the boiler 8 and for sending hot water heated from the boiler 8 to the closed water storage tank 1.

이러한 순환 급탕 시스템에서는, 공급관, 복귀관 등의 배관으로서 인탈산동 등의 동관 또는 동합금관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동관이나 동합급관이 사용되는 이유는, 레지오넬라속균 등의 세균에 대한 항균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시공성이 뛰어나고 일반적으로 통수(通水)와 함께 관내면에 아산화동, 산화동 등의 안정한 피막이 형성되어 양호한 내식성이 부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순환 급탕 시스템의 배관재로서 동관 또는 동합금관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 환경, 운전 조건에 따라서는 Ⅱ형 공식(孔食)이나 궤식(潰食) 등의 부식에 의한 누설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이 경험되고 있다. In such a circul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copper pipes or copper alloy pipes such as phosphorous copper are often used as pipes such as supply pipes and return pipes. Copper and copper alloy pipes are used because they have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against bacteria such as Legionella bacteria, and have excellent workability. Because it is granted. However, when copper pipes or copper alloy pipes are used as the piping material for the circul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depending on the operating environment and operating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cause problems of leakage due to corrosion such as type II formula or erosion. Is being experienced.

이러한 동관 또는 동합금관의 부식의 원인은, 종래 급수 중의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순환 급탕 시스템의 순환 배관의 도중에 개방식 탈기 장치를 설치하여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분리 제거하는 것에 의해 부식을 억제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로는 특허문헌 1 참조).The cause of corrosion of the copper pipe or copper alloy pipe is known to be caused by dissolved oxygen,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in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and an open degass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circulation pipe of the circul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It is proposed to suppress corrosion by separating and removing (see Patent Literature 1 as an example).

이러한 종래 방식의 개방식 탈기 장치에서는, 밀폐형 저탕조, 상기 밀폐형 저탕조로부터 각 급탕전까지의 배관인 공급관, 각 급탕전의 앞단에서 밀폐형 저탕조까지의 배관인 복귀관, 및 순환 펌프를 구비하는 구성을 갖춘 순환 급탕 시스템에 있어서, 순환 급탕 시스템을 유통하는 급수에서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개방식 탈기 장치로서, 공급관 및/또는 복귀관에 설치되고, 순환 급탕 시스템 운전시에 저수부와 그 상면에 공기 정체부가 존재하는 탱크, 밀폐형 저수조와 연통하고 그 선단부로부터 밀폐형 저탕조까지 공급된 급수를 기포 상태로 공기 정체부에 분출하는 급수관, 처리된 급수를 탱크의 저수부로부터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배수관, 일단부는 탱크의 하면 근방에서 저수부 가운데를 통해 위쪽으로 연장되어 공기 정체부로 개방됨과 동시에 타단부는 탱크 바깥의 대기 중으로 개방된 흡기관, 일단부는 탱크의 공기 정체부로 개방되고 타단부는 탱크 바깥의 대기중으로 개방되는 배기관을 구비하고, 밀폐형 저탕조로부터 탱크 내로 공급되어 가열되는 급수는 탱크 내의 공기 정체부로 방출되어 수증기화하고, 급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와 분리되어 물방울로 되어 탱크 내의 저수부로 낙하하고, 배수관을 통해 공급관 및/또는 복귀관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type of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it is provided with a closed type water storage tank, a supply pipe which is a pipe from the said closed type water storage tank to each hot water supply field, a return pipe which is a pipe from the front end of each hot water supply field to a closed type water storage tank, and a circulation pump. Circulating hot water supply system, which is an open degassing device for removing dissolved oxygen,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in a water supply flowing through a circulating hot water supply system, is installed in a supply pipe and / or a return pipe, A water supply pipe which communicates with a tank having an air stagnation on its upper surface, a sealed water tank, and discharge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ip end to the closed water tank to the air stagnation in a bubbled state, and supplies the treated water to the supply pipe from the reservoir of the tank. One end of the drain pipe extends upward through the center of the reservoir near the bottom of the tank, At the same time, the other end has an intake pipe open to the atmosphere outside the tank, one end is open to the air stagnant part of the tank,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n exhaust pipe open to the atmosphere outside the tank. The supplied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stagnant air in the tank to vaporize it, separated from the dissolved oxygen,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contained in the water supply, falling into the water reservoir in the tank, and falling into the reservoir in the tank, through the supply pipe and / or the return pipe. It was configured to be supplied with.

일본 특허공개 특개2010-255882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255882

그러나, 종래 방식의 개방식 탈기 장치에서는, 순환 급탕 시스템을 유통하는 급수로부터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제거하는 것은 가능하였으나, 이들의 제거가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며, 그래서 순환 급탕 시스템에서의 동관 또는 동합금관의 부식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However, in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of the prior art, it was possible to remove dissolved oxygen,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from the feedwater circulating in the circul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but their removal is not necessarily sufficient, so that the copper tube 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rrosion of the copper alloy tube can not be completely prevented.

또한, 종래 방식의 개방식 탈기 장치에서는, 탱크의 공기 정체부를 순환하는 공기의 순환량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와, 흡기관의 공기 정체부 측의 단부와, 배기관의 공기 정체부측의 단부로부터 물방울이 침입하고 급기관 및 배기관의 기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Moreover, in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system, the problem that the circulation amount of the air which circulates through the air stagnation part of a tank is not enough, and water droplets invade from the end part of the air stagnation part side of an intake pipe, and the end part of the air stagnation part side of an exhaust pipe. There is also a problem of degrading the function of the supply pipe and the exhaust pip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에 대하여 열심히 연구를 행하였던 바,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의 제거의 정도와, 흡기관의 공기 정체부 측의 단부와, 배기관의 공기 정체부 측의 단부와의 거리의 사이에 매우 중요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현출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In particular,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problem that dissolved oxygen,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cannot be sufficiently removed, and the degree of removal of dissolved oxygen,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and the end portion of the air stagnation part of the intake pipe, The present invention has emerged by showing that a very important causal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exhaust pipe and the end of the air stagnation part.

즉, 본 발명은 개방식 탈기 장치에 있서의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의 제거 기능을 더욱 높이고, 순환 급탕 시스템의 동관 또는 동합금관의 부식 방지 효과를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That is, this invention makes it a subject to improve the removal function of dissolved oxygen,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in an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and to improve the corrosion prevention effect of the copper pipe or copper alloy pipe of a circul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즉,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순환 급탕 시스템을 유통하는 급수로부터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개방식 탈기 장치에 있어서, 하방에 저수부, 상방에 공기 정체부를 구비하는 탱크와, 상기 개방식 탈기 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급된 급수를 상기 탱크 내의 상기 공기 정체부로 도입하기 위한 급수관과, 급수관의 선단 부분에 취부되고 공급된 급수를 공기 정체부로 분무 형태로 분출시키는 스프레이 노즐과, 탱크 내의 저수부에 모여져 처리된 급수를 개방식 탈기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과, 탱크 바깥의 대기중으로부터 탱크 내의 공기 정체부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관과, 탱크 내의 공기 정체부의 공기를 탱크 바깥의 대기중으로 방출하기 위한 배기관을 구비하고, 흡기관의 흡기배출구와 상기 배기관의 배기입구의 거리가 공기 정체부 공간 내에서 최대가 되도록 배치된 구성의 개방식 탈기 장치로 하였다. That is,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in the invention which concerns on the 1st viewpoint of this invention, in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for removing dissolved oxygen,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from the water supply which distribute | circulates a circul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a water storage part below And a tank having an air stagnation upward, a water supply pipe for introduc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into the air stagnation section in the tank, and a water supply mounted and supplied to the tip of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air stagnation section. A spray nozzle for ejecting in the form,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e reservoir in the tank to the outside of the open degassing apparatus, an intake pipe for introducing air from the atmosphere outside the tank to the air stagnation in the tank, An exhaust pipe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air stagnation part in the tank into the atmosphere outside the tank; The distance between the exhaust inlet of the intake pipe and the exhaust pipe outlet was set to gaebangsik degassing apparatus of the structure arranged such that the maximum in the stagnant air space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공기 정체부는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하고, 거리가 최대인 한 쌍의 서로 마주보는 변의 어느 일방의 근방에 흡기관의 흡기배출구를 배치하고, 다른 쪽 변의 근방에 배기관의 배기입구를 배치한 구성의 개방식 탈기 장치로 하였다. Moreover, in the invention which concerns on the 2nd viewpoint of this invention, an air-retention part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rrange | positions the intake_outlet of the intake pipe in the vicinity of either one of a pair of mutually opposing sides, and has the other side It was set as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of the structure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exhaust_inlet of an exhaust pipe in the vicinity.

또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제1 또는 제2 관점에 따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에 있어서, 흡기관의 흡기입구의 근방에 송풍 팬을 배치한 구성의 개방식 탈기 장치로 하였다. Moreover, in the invention which concerns on the 3rd viewpoint of this invention, in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of invention which concerns on a 1st or 2nd viewpoint, it was set as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of the structure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blowing fan in the vicinity of the intake inlet of an intake pipe.

또한,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제1 내지 제3의 어느 하나의 관점에 따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에 있어서, 흡기관의 흡기 배출구, 및/또는 배기관의 배기입구에 방적 커버를 구비한 구성의 개방식 탈기 장치로 하였다. Further,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pen degassing apparatus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a spinning cover is provided at the intake exhaust outlet of the intake pipe and / or the exhaust inlet of the exhaust pipe. It was set as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of the structure compris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개방식 탈기 장치의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의 제거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순환 급탕 시스템의 동관 또는 동합금관의 부식 방지 효과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By setting it as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removal function of dissolved oxygen,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of an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and to improve the corrosion prevention effect of the copper pipe or copper alloy pipe of a circul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도 1은 순환 급탕 시스템의 계통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흡기배출구와 배기입구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ystem diagram of a circul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2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open dega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position of an intake exhaust port and an exhaust inlet po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식 탈기 장치를 구비한 순환 급탕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보일러(8), 밀폐형 저탕조(1), 공급관(2), 복귀관(3), 팽창 탱크(4), 순환 펌프(6, 9), 복수의 급탕전(5), 및 고가 수조(7)로 구성되고, 보일러(8)에서 가열된 온수는 일단 밀폐형 저장조(1)에 저류된 후, 공급관(2)을 통해 각 급탕전(5)에 급탕되고, 남은 온수는 복귀관(3)에 환류되어 보일러(8)에서 재차 가열되게 되어 있다. 온수가 소비되면, 그 소비량에 상응하는 양의 물이 고가 수조(7)로부터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1 shows an example of a circulating hot water supply system equipped with an open dega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boiler 8, a hermetic storage tank 1, a supply pipe 2, a return pipe 3, and an expansion tank 4 ), Circulation pumps 6 and 9, a plurality of hot water supply tanks 5, and an elevated water tank 7, and the hot water heated in the boiler 8 is once stored in the sealed storage tank 1, and then a supply pipe ( The hot water is heated to each hot water supply 5 through 2), and the remaining hot water is refluxed in the return pipe 3 to be heated in the boiler 8 again. When hot water is consumed, an amount of water corresponding to the consumption amount is to be supplied from the high price bath 7.

본 발명에 따른 개방식 탈기 장치는, 공급관(2) 및/또는 복귀관(3)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되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저탕조(1) 근방의 공급관에 설치된다(설치위치 A). 순환 급탕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위치 A와 같이 아래쪽이 아니라, 급탕전(5)에 가까운 위쪽에 설치되어도 좋다(설치위치 B). 또한, 설치위치 C와 같이 복귀관에 설치하여도 좋다.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in the supply pipe 2 and / or the return pipe 3.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it is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 tube near the sealed water storage tank 1 (installation position A). In the circul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it may be provided above the hot water supply 5 instead of the lower side like the installation position A (installation position B). It may also be provided in the return pipe as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C.

다음으로, 도 2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방식 탈기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10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FIG.

본 발명에 따른 개방식 탈기 장치(10)는, 하방에 저수부(12), 상방에 공기 정체부(13)를 구비하는 탱크(11)와, 개방식 탈기 장치(10)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급수를 탱크(11) 내의 공기 정체부(13)로 도입하기 위한 급수관(14)과, 급수관(14)의 선단 부분에 장착되어 공급된 급수를 공기 정체부(13)에 분무 상태로 하여 분출하는 스프레이 노즐(15)과, 탱크(11) 내의 저수부(12)에 모여 처리된 급수를 개방식 탈기 장치(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17)과, 탱크(11) 바깥의 대기중으로부터 탱크(11) 내의 공기 정체부(13)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관(18)과, 탱크(11) 내의 공기 정체부(13)의 공기를 탱크(11) 바깥의 대기중에 방출하기 위한 배기관(2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P는 처리된 급수를 송출하기 위한 펌프, V는 저수부(12)의 수위(h)를 제어하기 위한 배수용 밸브이다.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10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supplies the water supply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tank 11 and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10 provided with the water storage part 12 below and the air stagnation part 13 above. The spray nozzle which sprays the water supply pipe 14 for introduce | transducing into the air retention part 13 in the tank 11, and the water supply attached to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14 in the sprayed state to the air retention part 13, and is sprayed. (15), a drain pipe (17)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e reservoir (12) in the tank (11) to the outside of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10), and the tank (from the atmosphere outside the tank (11). Intake pipe 18 for introducing air into air stagnation part 11 in 11 and exhaust pipe 21 for discharging air from air stagnation part 13 in tank 11 into the atmosphere outside tank 11. ). In addition, P is a pump for sending processed water, and V is a drain valve for controlling the water level h of the reservoir 12.

그리고, 흡기관(18)의 공기 정체부(13) 측의 선단인 흡기배출구(19)와 배기관(21)의 공기 정체부(13) 측의 선단인 배기입구(22)의 배치에 관하여, 배기입구(22)와의 거리가 공기 정체부(13)의 공간 내에서 최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And regarding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intake exhaust port 19 which is the front end of the air retention part 13 side of the intake pipe 18, and the exhaust inlet 22 which is the front end of the air retention part 13 side of the exhaust pipe 21,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inlet 22 may become the maximum in the space of the air retention part 13.

여기에서 흡기배출구(19)와, 배기입구(22)와의 거리가 공기 정체부(13)의 공간 내에서 최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고 하는 것은, 흡기배출구(19)와 배기입구(22)의 상대적인 거리가 공기 정체부(13)의 공간 내에서 최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intake and exhaust outlets 19 and the exhaust inlet 22 is the maximum in the space of the air stagnation part 13, and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intake and exhaust outlets 19 and the exhaust inlet 22 is described. It means that is arranged so as to be the maximum in the space of the air stagnation part (13).

예를 들면, 공기 정체부(13)의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거리가 최대로 되는 한 쌍의 마주보는 변 X, X의 어느 한쪽의 변 X의 근방에 흡기배출구(19)를 배치하고, 다른 한쪽의 변 X의 근방에 배기입구(22)를 배치하여도 좋고, 같은 방식으로 도 3에 도시된 거리가 최대로 되는 한 쌍의 마주보는 변 Y, Y의 어느 한쪽의 변 Y의 근방에 흡기배출구(19)를 배치하고 다른 한쪽의 변 Y의 근방에 배기입구(22)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air stagnation part 13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intake exhaust port 19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either side X of a pair of opposing sides X and X of which the distance shown in FIG. 3 is maximum. ), And the exhaust inlet 22 may be arranged near the other side X, and in the same manner, either one of the pair of opposing sides Y and Y in which the distance shown in FIG. 3 is maximized. The intake exhaust port 19 may be arranged near the side Y, and the exhaust inlet 22 may be arranged near the other side Y.

이렇게 흡기배출구(19)와 배기입구(22)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은 순환 급탕 시스템을 유통하는 급수로부터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제거하는 효과가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By arranging the intake and exhaust outlets 19 and the exhaust inlet 22 in this way, the effect of removing dissolved oxygen,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from the water supply flowing through the circul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as described later is greatly improv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10)의 운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용존 공기,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포함하고 밀폐형 저탕조(1)에서 가열된 급수는 급수관(14)에서 탱크(11) 내로 보내진다. 급수관(14)의 선단부에는 스프레이 노즐(15)이 구비되고, 스프레이 노즐(15)에서 급수를 가능한 한 미세한 입자 상태로 하여 탱크(11) 내의 공기 정체부(13)에 광범위하게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정체부(13)에 급수를 광범위하게 분무하기 위해서는 급수를 상방을 향하여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레이 노즐(15)에 있어서 급수를 분무하는 개소는 1개소이거나 복수 개소라도 좋다. 분무된 급수는 미세한 입자 상태로 되어 탱크(11) 내의 공기 정체부(13)로 방출되지만, 60 ℃ 정도의 온도로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증기화(수증기)되고, 급수에 포함되어 있는 용존 공기, 유리 탄소, 잔류 염소가 분리된다. Next, the operation method of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10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The feed water containing dissolved air, free carbon, residual chlorine and heated in the closed bottom water tank 1 is sent from the water supply pipe 14 into the tank 11. A spray nozzle 15 is provided at the tip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4, and the spray nozzle 15 is preferably sprayed extensively to the air stagnation part 13 in the tank 11 with water supply as fine as possible. . In order to spray water to the air stagnation part 13 extensively, it is preferable to spray water supply upwards. In the spray nozzle 15, the place which sprays water supply may be one place or multiple places. The spray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air stagnation part 13 in the tank 11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but since it is heated to a temperature of about 60 ° C., it is easily vaporized (water vapor) and dissolved air contained in the water supply, Free carbon, residual chlorine is separated.

용존 공기, 유리 탄소, 잔류 염소와 분리된 수증기는 탱크(11) 내에서 재액화하고 물방울로 되어 탱크(11) 내의 저수부(12)로 낙하하고, 저수부(12)의 급수는 배수관(17)에서 탱크 바깥으로 배출되고, 공급관으로 공급된다. 탱크(11) 내의 공기 정체부(13) 중에 분리된 용존 공기, 유리 탄소, 잔류 염소는 공기 정체부(13) 내의 공기와 함께 탱크(11) 내에 있는 배기입구(22)에서 배기관(21)을 통해 배기출구(23)에서 탱크 바깥으로 배출된다. 배기입구(22)에서의 공기배출은 흡기배출관(19)으로부터 공기 정체부(13)로 공기가 밀려 들어가는 것에 의해 촉진된다. 만약, 흡기관(18)이 막히거나 흡기관(18)을 구비하지 않고 흡기배출관(19)으로부터 공기 정체부(13)로 공기가 밀려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배기관(21)의 배기출구(23)에서의 공기 배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공기 정체부로 방출된 유리 탄소나 잔류 염소는 점차 그 농도가 증가하고, 저수부의 급수 중에 재용해하여 유리 탄소나 잔류 염소의 저감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Water vapor separated from the dissolved air,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is re-liquefied in the tank 11 and becomes water droplets and falls to the reservoir 12 in the tank 11, and the water supply of the reservoir 12 is drained. ) Is discharged out of the tank and fed to the supply line. Dissolved air,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separated in the air stagnation part 13 in the tank 11 together with the air in the air stagnation part 13 discharge the exhaust pipe 21 at the exhaust inlet 22 in the tank 11. Through the exhaust outlet 23 is discharged out of the tank. The air discharge at the exhaust inlet 22 is promoted by the air being pushed into the air stagnation part 13 from the intake exhaust pipe 19. If the intake pipe 18 is clogged or air is not pushed in from the intake exhaust pipe 19 to the air retention section 13 without the intake pipe 18, the exhaust outlet 23 of the exhaust pipe 21 The amount of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released into the air stagnant portion gradually increases, and the concentration gradually increases, and redissolved in the water supply of the reservoir, so that the free carbon or residual chlorine is not sufficiently reduced.

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에서는, 흡기관(18)이 탱크(11)의 하면 근방에서 상방으로, 저수부(12) 내를 통해 연장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저수부(12)의 급수는, 대략 60 ℃의 온도로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저수부(12) 내를 통해 있는 흡기관(18)은 그 가열 급수에 의해 가열되고, 나아가 흡기관(18) 내에 체류하는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가열된 공기는, 흡기관(18) 내를 상승하여 흡기배출구(19)에서 탱크(11) 내로 밀려 들어가고, 탱크(11) 바깥으로 통하는 흡기입구(20)에서 흡기관을 통해 흡기배출구(19)로의 공기의 흐름을 만든다. 흡기관(18)은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배기입구(22)는 흡기배출구(19)보다 상부, 더욱 좋게는 탱크(11)의 상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배치에 의해 흡기관의 흡기배출구(19)로부터 배기입구(22)로의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ake pipe 18 extends from the vicinity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ank 11 to the upper s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reservoir 12. Since the water supply of the water storage part 12 is heated to the temperature of about 60 degreeC, the intake pipe 18 through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part 12 is heated by the heated water supply, and stays in the intake pipe 18 further. To heat the air. The heated air rises in the intake pipe 18, is pushed into the tank 11 from the intake outlet 19, and is taken in through the intake pipe 19 through the intake pipe 20 at the intake inlet 20 which passes outside the tank 11. Create a flow of air to the furnace. The intake pipe 18 is not limited to one, but can also be provided in plurality. The exhaust inlet 22 is preferably located above the intake outlet 19, more preferab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11, and by such arrangement, the exhaust inlet 22 is smooth from the intake outlet 19 to the exhaust inlet 22 of the intake pipe. It is possible to create a flow of air.

상술한 바와 같이, 흡기관의 흡기배출구(19)로부터 배기입구(22)로의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더욱더 흡기관(18)의 흡기입구(20) 근방에 송풍 팬(24)을 설치하는 것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흡기관의 흡기배출구(19)로부터 배기입구(22)로의 공기 흐름이 더욱 원활하게 되고, 개방식 탈기 장치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reate a smooth flow of air from the intake outlet 19 of the intake pipe to the exhaust inlet 22, a blower fan 24 is further provided near the intake inlet 20 of the intake pipe 18. It is also good. By doing so, the air flow from the intake exhaust port 19 of the intake pipe to the exhaust inlet 22 becomes smoother, and the function of the open degassing apparatus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흡기관(18) 및/또는 배기관(21) 내에 물이 차서 흡기관의 흡기배출구(19)로부터 배기입구(22)로의 공기의 흐름이 나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기관(18)의 흡기배출구(19) 및/또는 배기관(21)의 배기입구(22)에 방적(防滴) 커버(25)를 설치하는 것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방식 탈기 장치의 기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water from filling in the intake pipe 18 and / or the exhaust pipe 21 and deteriorating the flow of air from the intake outlet 19 of the intake pipe to the exhaust inlet 22, the intake pipe 18 is prevente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pin cover 25 at the intake and exhaust ports 19 and / or the exhaust inlet 22 of the exhaust pipe 21. By doing so,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e functional deterioration of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in advance.

일반적인 순환 급탕 시스템에 설치되는 개방식 탈기 장치의 치수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탱크를 직육면체 형상으로 하는 경우, 도 2에 있어서 저면적(D)을 100,000 ~ 320,000 ㎟ (200 ~ 400 mm × 500 ~ 800 mm의 직사각형 형상), 높이(H)를 500 ~ 100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dimension of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installed in a general circul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In the case of making a tank in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bottom area (D) in FIG. 2 is 100,000-320,000 mm <2> (200-400 mm x 500-) 800 mm rectangular shape), and the height H is preferably 500 to 1000 mm.

순환 급탕 시스템의 운전시에 있어서, 저수부의 수위(h)는 200 ~ 500 mm(높이(H)에 대해 대략 25 ~ 60 %)로 하고, 배기구로에서의 공기배출량(흡기배출구에서의 공기 압입량과 같음)(V2)는 대략 1.5 ~ 13 ㎥/h, 밀폐형 저수조에서 급수관에 공급하는 급수의 순환량(배수관에서 공급관 및/또는 복귀관에 배출되는 급수량과 같음)(V1)은 대략 30 ~ 50 ℓ/분 으로 운전된다. 공기배출량(V2)과 급수의 순환량(V1)의 비(V2/V1)는 0.5 ~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0.5 미만에서는 배출공기량에 대해 처리해야 할 급수량이 많아지고, 용존 공기 등의 제거율이 충분하지 않게 된다. 6.0을 초과하면, 배출공기량이 많아져 용존 공기 등의 배출과 함께 수증기의 탱크 바깥으로의 유출도 많아지게 되고, 순환수의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V2/V1의 범위는 1.0 ~ 5.0 이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탱크(11)는 직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하였으나,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로는 원통 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During operation of the circulating hot water supply system, the water level h of the reservoir is set to 200 to 500 mm (approximately 25 to 60% of the height H), and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air indentation at the intake outlet) (V2) is approximately 1.5 to 13 m3 / h, and the amount of circulation of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pipe in a closed water reservoir (equivalent to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supply pipe to the supply pipe and / or the return pipe) (V1) is approximately 30 to 50 It is operated at l / min. It is preferable that ratio (V2 / V1) of air discharge | release amount V2 and the circulation amount V1 of water supply is 0.5-6.0. If it is less than 0.5, the amount of water to be treated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discharged air is increased, and the removal rate of dissolved air or the like is not sufficient. If it exceeds 6.0, the amount of exhaust air increases, and together with the discharge of dissolved air, the outflow of water vapor to the outside of the tank also increases, resulting in a loss of circulating water. More preferably, the range of V2 / V1 is 1.0 to 5.0. In addition, although the tank 11 shown in FIG. 2 was assumed to b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shape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 cylindrical shape may be sufficient.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 그 효과를 실증한다. 또한,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나는 것이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and the effect is demonstrated. In addition, in this Example,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shows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실시예 1Example 1

도 2에서, 하기의 형상, 치수를 구비하는 개방식 탈기 장치를 사용하여 실험을 행하고, 급수 중의 용존 공기, 유리 탄소, 잔류 염소가 어느 정도 분리 제거될 수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In Fig. 2,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n open degassing apparatus having the following shape and dimensions, and it was confirmed how much dissolved air,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in the feed water could be separated and removed.

개방식 탈기 장치의 치수 형상 : 저면이 300mm×600mm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높이(H)가 800mm인 직육면체의 탱크Dimensional shape of the open type degassing device: rectangular parallelepiped tank with a bottom surface of 300mm × 600mm and a height H of 800mm

흡기입구(22) : 단면적이 약 564㎟의 동관Intake port 22: copper pipe having a cross section of about 564 mm2

흡기관(18): 외경이 28.58mm, 두께가 0.89mm, 내단면적이 564㎟의 동관Intake pipe 18: A copper tube having an outer diameter of 28.58 mm, a thickness of 0.89 mm, and an inner end area of 564 mm 2.

또한, 흡기배출구(19)를 변 X1(도 2의 좌하방에 있는 저수부의 상면 모서리)의 근방에 배치하고, 배기입구(22)를 변 X2(도 2의 우상방의 모서리)의 근방에 배치하였다. Further, the intake air outlet 19 is arranged near the side X1 (upper corner of the reservoir in the lower left of FIG. 2), and the exhaust inlet 22 is arranged near the side X2 (the upper right corner of FIG. 2). It was.

저수부의 수위(h)를 약 400mm로 유지하고, 급수량(=배수량)(V1)을 2.4㎥/h, 급수의 온도를 55~65℃로 제어하였다. 이 때, 배기구에서의 공기배출량(V2)은 2.0~2.2㎥/h의 범위내로 거의 일정하였다. 흡기관 내를 흐르는 공기량도 동일하였다. (V2/V1)은 대략 0.8~0.9이다. The water level h of the reservoir was maintained at about 400 mm, the water supply amount (= drainage amount) V1 was controlled to 2.4 m 3 / h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y to 55 to 65 ° C. 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 amount V2 at the exhaust port was substantially constant within the range of 2.0 to 2.2 m 3 / h.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intake pipe was also the same. (V2 / V1) is approximately 0.8 to 0.9.

용존 공기의 지표로서, 용존 산소 농도, 유리 탄소 송도, 잔류 염소 농도를 각각 개방식 탈기 장치의 급수관(도 2의 14)와 배수관(도 2의 17)에서 24시간 모니터링하여 분리 제거의 상황을 확인하였다. As an indicator of dissolved air,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free carbon song, and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were monitored for 24 hours in the water supply pipe (14 in FIG. 2) and the drain pipe (17 in FIG. 2) of the open degassing apparatus, respectively, to confirm the situation of separation and removal. .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로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에서, 흡기배출구(18)를 변 Y1(도 2의 우하방에서 저수부의 상면 모서리)의 근방에 배치하고, 배기입구(22)를 변 X2(도 2의 우상방의 모서리)의 근방에 배치한 장치를 사용하여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As a comparative example, in the same apparatus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intake air outlet 18 is arranged near the side Y1 (upper corner of the reservoir at the lower right of FIG. 2), and the exhaust inlet 22 is arranged on the side X2 (FIG. The same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apparatus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right corner of 2.

24시간 모니터링 후의 용존 산소 농도, 유리 탄소 농도, 잔류 염소 농도의 평균치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는, 비교예 1에 대하여,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의 어느 하나에 대해서도 제거율을 대폭 개선한 것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Table 1 shows the average values of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free carbon concentration and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after monitoring for 24 hours. As shown in Table 1, in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moval rate of the dissolved oxygen,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respect to 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급수중 농도
(㎎/ℓ)
Concentration in water supply
(Mg / l)
탈기 처리수중
농도 (㎎/ℓ)
Degassing Water
Concentration (mg / l)
급수중 농도
(㎎/ℓ)
Concentration in water supply
(Mg / l)
탈기 처리수중
농도 (㎎/ℓ)
Degassing Water
Concentration (mg / l)
용존 산소Dissolved oxygen 1010 55 1010 77 유리 탄소Glass carbon 2424 22 2424 55 잔류 염소Residual chlorine 0.50.5 0.020.02 0.50.5 0.050.05

1 : 밀폐형 저탕조
2 : 공급관
3 : 복귀관
4 : 팽창 탱크
5 : 급탕전
6 : 순환 펌프
7 : 고가 수조
8 : 보일러
9 : 순환 펌프
10 : 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
11 : 탱크
12 : 저수부
13 : 공기 정체부
14 : 급수관
15 : 스프레이 노즐
16 : 스프레이 노즐로부터 분무상태로 분출된 물
17 : 배수관
18 : 흡기관
19 : 흡기배출구
20 : 흡기입구
21 : 배기관
22 : 배기입구
23 : 배기출구
24 : 송풍 팬
25 : 방적 커버
P : 순환 펌프
V : 밸브
A : 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의 설치부
B : 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의 설치부
C : 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의 설치부
1: Hermetically sealed water tank
2: supply pipe
3: return tube
4: expansion tank
5: hot water supply
6: circulation pump
7: expensive tank
8: boiler
9: circulation pump
10: open dega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ank
12: reservoir
13: air stagnation
14: water supply pipe
15: spray nozzle
16: water spouted from the spray nozzle in a spray state
17: drain pipe
18: intake pipe
19: intake exhaust
20: intake inlet
21: exhaust pipe
22: exhaust inlet
23: exhaust outlet
24: blower fan
25: spinning cover
P: circulation pump
V: Valve
A: Installation portion of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 installation portion of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 mounting portion of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순환 급탕 시스템을 유통하는 급수로부터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개방식 탈기 장치에 있어서,
하방에 저수부, 상방에 공기 정체부를 구비하는 탱크와,
상기 개방식 탈기 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급된 급수를 상기 탱크 내의 상기 공기 정체부로 도입하기 위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선단 부분에 취부되고 공급된 상기 급수를 상기 공기 정체부로 분무 형태로 분출시키는 스프레이 노즐과,
상기 탱크 내의 상기 저수부에 모여져 처리된 상기 급수를 상기 개방식 탈기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과,
상기 탱크 바깥의 대기중으로부터 상기 탱크 내의 상기 공기 정체부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관과,
상기 탱크 내의 상기 공기 정체부의 공기를 상기 탱크 바깥의 대기중으로 방출하기 위한 배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기관의 흡기배출구와, 상기 배기관의 배기입구의 거리가 상기 공기 정체부 공간 내에서 최대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프레이 노즐은 상기 급수를 상기 탱크의 상방을 향하여 분출시키고,
상기 흡기관은 상기 탱크의 하면 근방에서 상방으로 상기 저수부 내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공기 정체부는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하고, 거리가 최대인 한 쌍의 서로 마주보는 변의 어느 일방의 근방에 상기 흡기관의 상기 흡기배출구를 배치하고, 다른 쪽 변의 근방에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입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식 탈기 장치.
In the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for removing dissolved oxygen, free carbon, and residual chlorine from feed water circulating in a circulation hot water supply system,
A tank having a water storage section below and an air stagnation section above;
A water supply pipe for introduc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open degassing apparatus into the air stagnation portion in the tank;
A spray nozzle which sprays the water supplied to the air stabilization part, which is installed and supplied to the tip of the water supply pipe;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water supply collected and treated in the reservoir in the tank to the outside of the open degassing apparatus;
An intake pipe for introducing air from the atmosphere outside the tank to the air stagnation portion in the tank;
An exhaust pipe for discharging air in the air stagnation part in the tank into the atmosphere outside the tank;
The distance between the intake and exhaust ports of the intake pipe and the exhaust inlet of the exhaust pipe is maximized in the air stagnation space;
The spray nozzle ejects the water supply upwards of the tank,
The intake pipe extends through the water reservoir from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tank upwards,
The air stabilization portion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air intake and exhaust ports of the intake pipe are disposed near one side of a pair of mutually opposite sides having a maximum distance, and the exhaust inlet of the exhaust pipe is disposed near the other side. An open dega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의 흡기입구의 근방에 송풍 팬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식 탈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open type dega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arranging a blowing fan in the vicinity of an intake inlet of the intake pipe.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의 상기 흡기배출구, 및/또는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입구에 방적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식 탈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n open dega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pinning cover at the intake exhaust port of the intake pipe and / or the exhaust inlet of the exhaust pipe.
KR1020170176235A 2016-12-21 2017-12-20 Degassing apparatus KR10202208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7721 2016-12-21
JP2016247721A JP2018100807A (en) 2016-12-21 2016-12-21 Dea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577A KR20180072577A (en) 2018-06-29
KR102022089B1 true KR102022089B1 (en) 2019-11-04

Family

ID=6265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235A KR102022089B1 (en) 2016-12-21 2017-12-20 Degas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8100807A (en)
KR (1) KR102022089B1 (en)
CN (1) CN108217798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6778A (en) * 2018-08-03 2018-12-07 德淮半导体有限公司 Ultrasonic scanning microscope water treatment facilities and its applica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6167A (en) * 2006-02-17 2007-08-30 Nippon Thermoener Co Ltd Deoxidation apparatus
JP2010255882A (en) * 2009-04-22 2010-11-11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Open type dea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752B1 (en) * 2006-12-11 2014-02-06 박진옥 Air Cleaner
KR20140055419A (en) * 2012-10-31 2014-05-09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storage device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6167A (en) * 2006-02-17 2007-08-30 Nippon Thermoener Co Ltd Deoxidation apparatus
JP2010255882A (en) * 2009-04-22 2010-11-11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Open type dea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00807A (en) 2018-06-28
CN108217798A (en) 2018-06-29
KR20180072577A (en)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089B1 (en) Degassing apparatus
US20110017476A1 (en) Fire-extinguishing unit for a storage system
JP2008030063A (en)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molding die
KR20170084132A (en) Device for producing and treating a gas stream through a volume of liquid, and facility and method implementing said device
CN106460185A (en)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for pickling and phosphating metal parts
KR20180080714A (en) Pickling and phosphating equipment for wire or wire parts, and coating treatment methods and treatment equipment for wire or wire parts
US20210054515A1 (en) Electrochemical reactor for processes for non-ferrous metal electrodeposition, which comprises a set of apparatuses for gently agitating an electrolyte, a set of apparatuses for containing and coalescing an acid mist, and a set of apparatuses for capturing and diluting acid mist aerosols remaining in the gas effluent of the reactor
JP5294476B2 (en) Open type deaerator
EP2734286B1 (en) Sub-atmospheric pressure gas scrubbers
CA2640190C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oling a solution
US201401128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ale build-up in a wfgd
JP2006266620A (en) Degassing device for liquid feed piping
JP7119729B2 (en) Water granulation produc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preventing water granulation precipitation in cooling tower of water granulation production equipment
CN207941362U (en) Absorption tower equipped with emergency shower system
JP2012097964A (en) Filtration system
KR101223900B1 (en) Continuous Galvanizing Line srtip for cooling water of zn powder filtration
KR101417655B1 (en) A Carvinas Drying System Equipped with a Ejector Producing Vacuum Drying
KR102001605B1 (en) Washing apparatus for membrane
KR102233977B1 (en) Combined water purfier for providing ice
KR102164577B1 (en) Ice water purifier to prevent internal pollution
CN212731619U (en) Multistage independent countercurrent spray washing tower
CN207025056U (en) A kind of split type flat mouth vertical purification tower
US20160024672A1 (en) Air Bubbling Valves System In Electrolysis Cells That Decrease The Production Losses Due to Breakage or Physical Damages;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2511423B1 (en) Equipment for the production and processing of gaseous streams through liquid volumes
JP4242751B2 (en) Deaerator for water sup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