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739B1 -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및 양자암호마킹 물품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및 양자암호마킹 물품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739B1
KR102021739B1 KR1020180064290A KR20180064290A KR102021739B1 KR 102021739 B1 KR102021739 B1 KR 102021739B1 KR 1020180064290 A KR1020180064290 A KR 1020180064290A KR 20180064290 A KR20180064290 A KR 20180064290A KR 102021739 B1 KR102021739 B1 KR 102021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um
encryption key
random number
product information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령
이현규
장기형
김영주
Original Assignee
채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령 filed Critical 채령
Priority to KR1020180064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CCIPHERING OR DECIPHERING APPARATUS FOR CRYPTOGRAPHIC OR OTHER PURPOSES INVOLVING THE NEED FOR SECRECY
    • G09C1/00Apparatus or methods whereby a given sequence of signs, e.g. an intelligible text, is transformed into an unintelligible sequence of signs by transposing the signs or groups of signs or by replacing them by other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ystem
    • G09C1/04Apparatus or methods whereby a given sequence of signs, e.g. an intelligible text, is transformed into an unintelligible sequence of signs by transposing the signs or groups of signs or by replacing them by other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ystem with sign carriers or indicators moved relative to one another to positions determined by a permutation code, or key, so as to indicate the appropriate corresponding clear or ciphered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6Secure or tamper-resistant hou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10/00Quantum computing, i.e.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quantum-mechanical phenome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양자마킹기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 및 제품표면에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고, 양자 리더기는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수신기로 수신하여 리더기통신부를 통해 양자통신부로 전송하고,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리더기통신부로 전송하면, 양자리더기는 리더기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Description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및 양자암호마킹 물품관리 시스템 {The product information data by quantum code and the quantum marking apparatus for prevention of forgery by x-y coordinate of hash function matrix and the product management system marked by quantum}
마킹 장치는 목재, 플라스틱, 금속, 코팅 금속, 석재, 유리 또는 종이와 같은 소재의 표면에 레이저 빔 또는 인쇄잉크로 문자, 기호, 문양 또는 그림을 각인하는 장치를 말한다.
초소형의 PUF(Phisycally Unclonable Function) Chip과 QRNG(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 Chip을 이용한 전자기적인 방법에 의한 물리적으로 유니크(unique)한 인증 복제 불가능한 기술을 적용하기 힘든 원자재(목재, 플라스틱, 금속, 유리, 종이 등) 표면에 물리적인 마킹을 통해 복제 불가능한 유니크(unique) 인증 양자마킹기와 양자마킹기를 이용한 물품관리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마킹 장치는 각인을 위한 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레이저 빔의 방향, 강도, 이동 속도 및 분포와 같은 것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이저 마킹 장치는 X-Y 테이블에서 작업 소재가 고정되어 있고 레이저 광학 기기가 X-Y 방향으로 움직여 작업 소재에 각인을 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다른 한편으로 레이저 마킹 장치가 Y 방향으로 이동을 하고 레이저가 X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각인이 될 수 있다.
정품 제품에 대한 인증의 방법으로 게런티 카드의 홀로그램 또는 TC코드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비의도적으로 공개된 제품 코드가 복제되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의사난수를 이용해 암호화키를 생성하여 사용할 경우 역시 양자컴퓨터 등에 의해 쉽게 해킹이 가능해 진다.
안전한 통신을 위해 양자 역학적 특성을 이용한 양자 암호(quantum cryptography) 및 양자 암호 키 분배(QKD: Quantum Key Distribution) 기술로 물리적 입자의 전달이 아닌 큐비트(qubit)를 전송(quantum teleportation)하는 기술로 양자 상태(quantum states)에 정보를 기록해 전송하여 공격자가 도청을 위해 양자 상태를 측정하는 순간 양자 상태 자체가 변화되어 도청이 불가능한 기술관련이다.
따라서 수신자는 데이터에 대한 도청 시도를 파악하고 수신된 정보를 폐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양자 상태에 기록된 정보는 근본적으로 도청이 불가능하다.
하드웨어 보안을 위해 식별키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제조중 공정 편차를 이용하여 PUF(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를 구현하여 식별키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적용하여 물리적 개체인증을 수행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보안성을 강화한다.
일반적으로 IP카메라도 소프트웨어적 보안이 가능하지만 소프트웨어적 방법은 하드웨어가 이미 형성된 이후에 부가하는 것이므로 변조될 가능성이 상존하였다.
그래서, 데이터 보안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데이터를 처리할 하드웨어의 설계 시작시부터 데이터 보안을 고려한 설계가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로 구현된 물리적 보안으로 메모리 부담이 없고 처리속도가 빠르다.
IC(Integrated Circuit) 칩의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하드웨어 핀(PIN) 편차를 이용한 상기 PUF를 통해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값을 생성한 후 공인인증 플랫폼에서 보관 후 단말기에 설치된 PUF의 PIN 값을 포함하는 인증요청 키가 공인인증 플랫폼에서 수신하여 PIN 값이 일치할 경우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PUF가 물리적인 단말기를 하드웨어적으로 인증한다면, 상기 PUF의 PIN 값을 1회성 양자난수 OTP(One Time Password)를 생성한 인증요청 키(암호키/복호키)를 생성하는 것은 양자난수생성기를 통해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순수난수생성기는 난수소스발생기,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난수소스발생기는 예측 불가한 자연현상을 이용하여 발생한 무작위 난수소스로 암호키를 생성한다.
상기 예측불가 자연현상으로는 자연광,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방사선, 열잡음, 노이즈 등을 이용해 양자난수(Quantum Random Number, QRN)를 발생한다.
상기 암호키를 한 쌍의 암호키로 상호 암호통신을 위한 대칭암호키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은 양자난수와 달리 의사난수생성기(pseudorandom number generator, PRNG)를 통해 OTP(One Time Password) 비대칭암호키를 암호화 생성한다.
본 발명의 순수난수생성기(True Random Number Generator, TRNG)는 양자난수(Quantum Random Number, QRN) 대칭암호키와 의사난수(pseudorandom number, PRN)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는 것으로, 한 쌍의 대칭암호키를 통해 양방향 통신 및 인증이 가능하다.
상기 양자난수 대칭암호키에 의사난수생성기를 통해 다시 암호화한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는 것으로, 대칭암호키를 통해 비대칭암호키를 복호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활 속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인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이 보편화 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이란, 인간과 사물, 서비스 세 가지 분산된 환경 요소에 대해 인간의 명시적 개입 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 처리 등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이다.
사물인터넷의 보편화에 따라 보안위협도 높아지고 있으며, 사물인터넷 보안을 위해서는 사물인터넷 기기에서부터 시스템까지 전 구간에 대한 단절 없는 보안이 필요하다.
특히 다양한 기능과 프로토콜을 가진 기기들과 통신해야 하기 때문에 개방형 표준기술을 사용해야 하므로 보안 위협에 훨씬 노출되고 있다.
한편, 소프트웨어 기반의 난수 생성 기술은 리소스를 많이 사용할 뿐 아니라 고도화된 해킹 기술을 이용하면 난수 발생 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물인터넷 기기간의 보안을 위해 자연현상의 무작위성에서 난수를 추출하는 자연 난수 또는 진정 난수가 요청되고 있으며, 이는 특정한 패턴이 없고 예측이 불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크기가 크고 매우 비싸며 추출장치가 필요해 소형화 장치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IP Security Protocol : IPSec)은 네트워크 통신의 패킷 처리 계층에서의 보안을 위해 개발된 프로토콜로서,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 : VPN)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공중망 사용자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프로토콜이다.
로컬 기반의 IPSec VPN 서비스는, 다양한 통신 로컬들이 별도의 VPN 설정 없이, 공중망에 연결된 VPN 로컬에 접속하여 원격지의 사설망에 접속해 VPN 트래픽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가상 사설망 서비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VPN 로컬은, 공중망을 통해 가상사설망게이트웨이(VPN GateWay : VPN G/W)와 IPSec 터널 생성을 위한 인증 단계를 수행하며, IPSec에서는 상기 인증을 위한 키 교환 절차로 IKE 방식을 1단계(Main Mode or Aggressive Mode)와 2단계(Quick Mode)로 나누어 진행한다.
상기 IKE의 1단계는 보안성이 없는 공중망에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ISAKMP(Internet Security Association and Key Management Protocol) 단계로서, VPN 로컬과 가상 사설망 게이트웨이(VPN G/W)가 서로 사전에 공유하여 가지고 있는 사전 공유키(Pre-Shared Key)와, ISAKMP의 암호화 방법 및 해시 함수 등에 대해 서로 협상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2단계는 실제 IPSec 터널(Tunnel)을 통해 주고 받을 데이터의 암호화 방법 및 IPSec 터널을 통해 주고 받을 트래픽의 유형 등을 협상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로컬 기반의 IPsec VPN 서비스는 유선 기반과 무선 기반으로 나눌 수 있다.
유선 기반은 상술한 VPN 로컬이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가상 사설망 게이트(VPN G/W)에 접속하는 것이고, 무선 기반은 상술한 VPN 로컬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가상 사설망 게이트웨이(VPN G/W)에 접속하는 것이다.
유선 기반의 VPN 서비스에서, VPN 로컬과 가상 사설망 게이트웨이(VPN G/W) 사이에서 IKE 1단계 인증을 위해, VPN 로컬에 고정 IP 주소를 할당하고, VPN 로컬과 가상 사설망 게이트웨이(VPN G/W)에 미리 설정된 사전 공유키(Pre-Shared Key)를 저장한 후, 가상 사설망 게이트웨이(VPN G/W)에서 해당 사전 공유키를 가지고 있는 VPN 로컬의 IP 주소가 상기 고정으로 할당된 IP 주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인증을 수행한다.
이 경우, 가입자의 VPN 로컬 하위에 위치하는 실제 사용자 로컬은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VPN 로컬을 통해 원격지의 사설망에 접속할 수 있다.
인터넷을 비롯한 유무선 통신의 사용이 급속히 확대됨에 따라 통신네트워크의 보안문제는 국가, 기업, 금융상의 중요기밀 보호 및 개인의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
1970년대에 개발되어 현재 인터넷 등 통신시스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대칭 공개키 암호체계는 해결하기 매우 어려운 수학적인 문제를 공개키로 사용하여 정보를 암호화하고 그 해를 비밀키로 사용하여 해독하는 방식으로서 원리적으로 수학적인 “계산 복잡성”에 기초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Rivest, Shamir, Adleman 등 세 사람이 개발한 RSA 공개키 암호체계는 매우 큰 수를 소인수분해하기가 매우 난해하다는 점을 이용한다.
즉, 수학적으로 소인수분해 문제는 문제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계산시간이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따라서 송신자와 수신자가 충분히 큰 숫자의 소인수분해 문제를 공개키로 사용하면 도청자가 암호문을 해독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 할 것이라는 점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학적인 계산복잡성에 기초한 암호체계는 보다 정교한 알고리즘의 발전에 따라 그 안전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또한 1994년 AT&T의 Peter Shor가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소인수분해 알고리즘을 개발함으로써 양자컴퓨터가 개발되면 RSA 암호체계는 근본적으로 해독이 가능한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이러한 보안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등장한 양자암호통신(quantum cryptography) 기술은 그 안전성이 수학적인 계산 복잡성이 아닌 자연의 근본 법칙인 양자역학의 원리에 기초하므로 도청 및 감청이 매우 어려워, 최근 크게 주목 받고 있다.
즉,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양자 복제불가능성”과 같은 양자물리학의 법칙에 기초해서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암호 키(일회용 난수표)를 절대적으로 안전하게 실시간으로 분배하는 기술로서 "양자 키 분배 기술(QKD)"로도 알려져 있다.
최초의 양자 암호 프로토콜은 1984년 IBM의 C.H. Bennett과 몬트리올 대학의 G. Brassard에 의해 발표되었다.
고안자들의 이름을 따서 BB84 프로토콜로 명명된 이 프로토콜은 두 개의 기저(basis)를 이루는 네 개의 양자 상태(예를 들면, 단일광자의 편광상태)를 이용한다.
그러나 위의 선행기술에 따르면 양자암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통신용 영상로컬기와 서버간의 송수신 장치가 필요하며, 통신용 영상로컬기와 서버간의 송수신 장치에 대한 비용 부담이 커지는 한계가 있다.
생산 문서(종이)에 대한 유니크한 인증을 위해 워터마크 등을 인쇄하나, 워터마크 생성 방법이 프로그램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양자컴퓨터에 의해 해킹이 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보안성 및 암호화가 되지않고 단순히 제품 이력정보를 마킹할 경우 물리적 유니크 인증이 불가능하다.
즉, 정품 이력 정보를 비정품에 인쇄해 유통될 경우 정품인증이 불가능하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바코드, QR코드, RFID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물리적 유니크 인증을 시도하는 기술이 상용화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의사난수발생 프로그램을 이용한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물리적(바코드, QR코드, RFID 등)인증 수단을 결합 한것으로, 의사난수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는 해킹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원천적으로 양자컴퓨터로도 해킹이 불가능한 양자역학을 기반으로, 의사난수가 아닌 양자난수를 이용해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의사난수로 공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사람이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언어, 숫자, 문자 등으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마킹하는 것을 통해 양자보안 인증시스템을 통한 보안의 극대화 및 사용자의 편리성을 결합한 복제 불가능한 양자마킹기를 기술적 과제로한다.
복제·해킹 불가능한 하드웨어 보안을 위해 식별키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제조중 공정 편차를 이용한 PUF(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를 구현하여 식별키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적용하여 유니크한 물리적 개체인증을 수행하는 기술을 적용할 수 없는 원자재 및 가공품에 대한 유니크한 인증을 한다.
제품정보 데이터를 양자난수생성기 QRNG(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를 통해 발생한 양자난수로 암호화한 유니크(Unique)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품정보 데이터 규칙에 따라 의사난수생성기 PRNG(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를 통해 제품에 대한 1회성 OTP(One Time Password)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한 후 사용자 언어의 제품정보 데이터를 잉크, 레이져, 타공 등의 물리적 방법으로 마킹한다.
복제 불가능한 물리적 인증 수단인 PUF(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를 구현하기 위한 e-FUSE, 반도체칩 공정편차와 같은 방법의 적용이 불가능한 제품에 대해서도 양자마킹기를 이용하여 물리적 유니크 인증이 가능하다.
물리적 유니크 암호화 데이터를 사람이 직관적으로 쉽게 관리 및 인증이 가능한 편리성을 제공하는 양자마킹기 및 양자마킹 물품관리 시스템이다.
도 1은 비대칭암호키 마킹과정 설명 예
도 2는 비대칭암호키 수식 설명도
종래의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제품의 표면에 마킹기로 마킹 표시하거나, 의사난수프로그램에 의해 생성한 의사난수로 의사난수암호키를 생성하여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암호화 마킹(바코드, 홀로그램, 워터마크, TC코드) 표시하는 공지기술은 복제 해킹이 가능하다.
특히, 양자난수생성기로 부터 발생하는 양자난수에 마킹기의 고유 MAC Address 데이터 및 PUF Chip의 PIN 데이터를 해시함수로 연산하여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품정보 데이터를 양자난수생성기 QRNG(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를 통해 발생한 양자난수로 암호화한 유니크(Unique)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한 후 제품정보 데이터 규칙에 따라 의사난수생성기 PRNG(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를 통해 제품에 대해 1회성 OTP(One Time Password)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한 후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사용자 언어의 제품정보 데이터)와 함께 잉크, 레이져, 타공 등의 물리적 방법으로 종이 또는 제품 표면에 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요 구성 요소로 양자컴퓨터, 양자마킹기, 양자리더기로 주요 구성되어, 양자난수생성기(QRNG) 및 의사난수생성기(PRNG)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Q-MCU), 양자통신부(Q-MODEM), OTP 메모리(OTP M/M)로 구성된 양자컴퓨터 및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는 양자마킹기 및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와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리더기통신부(R-MODEM), 표시부로 구성된 양자리더기로 구성된다.
세부 구성요소와 각 구성 요소간의 결합관계는 아래와 같다.
양자난수생성기(QRNG)는 난수소스발생기, 양자검출 다이오드, 양자랜덤펄스 생성기, 양자난수 제어부로 구성된다.
난수소스발생기는 LED(Light-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방사선 동위원소, 노이즈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양자입자를 방출하는 난수소스발생기이다.
양자검출 다이오드는 상기 난수소스발생기로 부터 발생하는 양자입자를 검출하는 양자검출 다이오드이다.
양자랜덤펄스 생성기는 상기 양자검출 다이오드로부터 양자입자 이벤트를 검출하여 양자입자의 검출에 상응하는 랜덤펄스를 발생하는 양자랜덤펄스 생성기이다.
양자난수 제어부는 상기 양자랜덤펄스 생성기를 통해 발생하는 무작위 난수소스로 양자난수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양자난수 제어부이다.
양자메인보드(Q-MCU)는 난수발생 프로그램에 의해 의사난수를 생성하는 의사난수생성기(PRNG)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양자난수 제어부로 부터 양자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 및 상기 의사난수생성기(PRNG)로부터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한다.
양자메인보드(Q-MCU)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OTP 메모리(OTP M/M)에 저장 후 비대칭암호키를 양자통신부를 통해 양자마킹기로 전송한다.
양자마킹기는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
Figure 112018054844716-pat00001
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양자마킹기는 제품표면에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는 양자마킹기이다.
양자마킹기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와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양자컴퓨터 양자메인보드로 전송한다.
양자메인보드(Q-MCU)는 상기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와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OTP 메모리(OTP M/M)에 저장한다.
양자 리더기는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수신기로 수신하여 리더기통신부(R-MODEM)를 통해 양자통신부(Q-MODEM)로 전송한다.
양자메인보드(Q-MCU)는 양자통신부(Q-MODEM)를 통해 수신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OTP 메모리(OTP M/M)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한 복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양자메인보드(Q-MCU)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호화 데이터를 리더기통신부(R-MODEM)로 전송한다.
양자리더기는 리더기통신부(R-MODEM)를 통해 수신한 복호화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이다.
일 실시 예로,
양자난수생성기 및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양자통신부, 메모리로 구성된 양자컴퓨터 및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는 양자마킹기 및 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식하는 인식부, 단말기 통신부,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로 구성된다.
양자난수생성기는 무작위 난수소스로 양자난수를 생성하고, 양자메인보드는 난수발생 프로그램에 의해 의사난수를 생성하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양자난수생성기로 부터 양자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하고, 상기 의사난수생성기로부터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한다.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며,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양자마킹기로 전송한다.
양자마킹기는 제품표면에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어느 하나로 표식한다.
휴대형 단말기는 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어느 하나로 표식된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인식부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부로 인식된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단말기 통신부를 통해 양자통신부로 전송한다.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양자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단말기 통신부로 전송한다.
휴대형 단말기는 단말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이다.
일 실시 예로,
양자난수생성기 및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양자통신부, 메모리로 구성된 양자컴퓨터 및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는 양자마킹기 및 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다.
양자난수생성기는 무작위 난수소스로 양자난수를 생성한다.
양자메인보드는 난수발생 프로그램에 의해 의사난수를 생성하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양자난수생성기로 부터 양자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한다.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의사난수생성기로부터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한다.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양자메인보드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양자메인보드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양자마킹기로 전송한다.
양자마킹기는 제품표면에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어느 하나로 표식한다.
스마트폰은 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어느 하나로 표식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카메라로 인식한다.
스마트폰은 상기 카메라로 인식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양자통신부로 전송한다.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은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화면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난수 비공개 데이터와 의사난수 공개 데이터를 결합한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마킹기이다.
일 실시 예로,
의사난수생성기(PRNG; 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순수난수생성기(TRNG; True Random Number Generator), OTP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양자컴퓨터 및 암호화 데이터를 표시하는 양자마킹기 및 상기 양자마킹기로 표시된 암호화 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단말기로 구성된다.
양자컴퓨터 내부 양자메인보드는 순수난수생성기로 부터 발생하는 순수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 및 양자메인보드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통해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 및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OTP 메모리에 저장 후 비대칭암호키를 양자마킹기로 전송한다.
양자마킹기는 공개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인식 단말기는 양자마킹기로 표시된 암호화 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통해 암호화 데이터를 인식하여 양자컴퓨터 내부의 양자메인보드로 전송한다.
양자컴퓨터 내부의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인식 단말기로부터 암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OTP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상기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공개 데이터를 상기 인식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이다.
일 실시 예로,
양자난수생성기(QRNG; 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는 순수난수생성기(TRNG; True Random Number Generator)로 대체된다.
일 실시 예로,
의사난수생성기로 발생하는 의사난수로 대칭암호키를 생성하고, 양자난수생성기로 발생하는 양자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는 X,Y 행렬의 (x,y) 좌표 마킹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는 해시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로,
비대칭암호키는 X,Y 행렬의 (x,y) 좌표 마킹 함수로,
Figure 112018054844716-pat0000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로,
의사난수생성기는 2차 행렬 해시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로,
Figure 112018054844716-pat00003
상기 비대칭암호키(
Figure 112018054844716-pat00004
) 수학식에 있어서,
의사난수생성기는 마킹기의 고유 MAC Address 데이터(
Figure 112018054844716-pat00005
)를 대칭암호키(
Figure 112018054844716-pat00006
)로 암호화한 데이터 값으로 해시함수(
Figure 112018054844716-pat00007
)의 X 좌표 값을 생성하고, 의사난수생성기는 마킹기의 PUF PIN 데이터(
Figure 112018054844716-pat00008
)를 대칭암호키(
Figure 112018054844716-pat00009
)로 암호화한 데이터 값으로 해시함수(
Figure 112018054844716-pat00010
)의 Y 좌표 값을 생성하면, 의사난수생성기의 이진화 함수인 해시함수는 상기 X좌표 값 및 Y좌표 값을 비교하여 X좌표 값이 Y좌표 데이터 값보다 크면 1, 작으면 0으로 이진화하는 해시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로,
인식부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수신기 또는 QR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와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수신기 또는 QR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는 암호화 데이터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는 공개 데이터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로,
의사난수생성기는 PUF(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 Chip로 대체되어, 의사난수는 PUF(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 Chip에서 추출한 하드웨어 PIN 데이터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로,
양자난수생성기는 PUF(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 Chip로 대체되어 양자난수는 PUF Chip에서 추출한 하드웨어 PIN 데이터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로,
양자컴퓨터(양자서버)는 의사난수생성기(PRNG; 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순수난수생성기(TRNG; True Random Number Generator), OTP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양자컴퓨터이다.
양자 마킹기는 암호화 데이터를 표시하는 양자마킹기 및 상기 양자마킹기로 표시된 암호화 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단말기로 구성된다.
양자컴퓨터 내부 양자메인보드는 순수난수생성기로 부터 발생하는 순수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 및 양자메인보드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통해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 및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OTP 메모리에 저장 후 비대칭암호키를 양자마킹기로 전송한다.
양자마킹기는 공개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인식 단말기는 양자마킹기로 표시된 암호화 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통해 암호화 데이터를 인식하여 양자컴퓨터 내부의 양자메인보드로 전송한다.
양자컴퓨터 내부의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인식 단말기로부터 암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OTP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상기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복호화 데이터를 상기 인식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마킹 물품관리 시스템이다.
일 실시 예로,
양자컴퓨터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순수난수생성기, OTP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양자컴퓨터이다.
양자마킹기는 비대칭암호키로 공개 데이터를 암호화한 데이터가 입력된 NFC 태그를 제품표면에 삽입 및 공개 데이터를 제품표면에 마킹하는 양자마킹기이다.
스마트폰은 상기 양자마킹기로 비대칭암호키로 공개 데이터를 암호화한 데이터가 입력된된 NFC 태그를 인식하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다.
양자컴퓨터 내부 양자메인보드는 순수난수생성기로 부터 발생하는 순수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 및 양자메인보드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통해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 및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OTP 메모리에 저장 후 비대칭암호키를 양자마킹기로 전송한다.
양자마킹기는 제품표면에 공개 데이터를 마킹 및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공개 데이터가 입력된 NFC 태그를 제품표면에 삽입하는 양자마킹기이다.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공개 데이터가 입력된 NFC 태그를 스마트폰은 수신하여 양자컴퓨터로 전송한다.
양자컴퓨터 내부의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공개 데이터를 수신하여 OTP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상기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공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마킹 물품관리 시스템이다.
일 실시 예로,
양자난수생성기 및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양자통신부, 메모리로 구성된 양자컴퓨터 및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는 양자마킹기 및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와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리더기통신부, 표시부로 구성된 양자리더기로 구성된다.
양자난수생성기는 난수소스발생기, 양자검출 다이오드, 양자랜덤펄스 생성기, 양자난수 제어부로 구성된다.
난수소스발생기는 LED(Light-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방사선 동위원소, 노이즈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양자입자를 방출하는 난수소스발생기이다.
양자검출 다이오드는 상기 난수소스발생기로 부터 발생하는 양자입자를 검출하는 양자검출 다이오드이다.
양자랜덤펄스 생성기는 상기 양자검출 다이오드로부터 양자입자 이벤트를 검출하여 양자입자의 검출에 상응하는 랜덤펄스를 발생하는 양자랜덤펄스 생성기이다.
양자난수 제어부는 상기 양자랜덤펄스 생성기를 통해 발생하는 무작위 난수소스로 양자난수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양자난수 제어부이다.
양자메인보드는 난수발생 프로그램에 의해 의사난수를 생성하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양자난수 제어부로 부터 양자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한다.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의사난수생성기로부터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한다.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메모리에 저장 후 비대칭암호키를 양자통신부를 통해 양자마킹기로 전송한다.
양자마킹기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양자마킹기는 양자마킹기의 MAC Address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데이터 값으로 해시함수의 X 좌표 값을 생성 및 양자마킹기는 양자마킹기 내부의 PUF Chip에서 추출한 PUF PIN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데이터 값으로 해시함수의 Y 좌표 값을 생성한다.
양자마킹기는 상기 이진화 함수인 해시함수로 상기 X좌표 값 및 Y좌표 값을 비교하여 X좌표 값이 Y좌표 데이터 값보다 크면 1, 작으면 0으로 이진화하는 해시함수인
Figure 112018054844716-pat00011
이다.
양자마킹기는 제품표면에 상기 해시함수의 X,Y 좌표 값에 따라 표식한다.
양자 리더기는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수신기로 수신하여 리더기통신부를 통해 양자통신부로 전송한다.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리더기통신부로 전송한다.
양자리더기는 리더기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이다.

Claims (30)

  1. 양자난수생성기(QRNG) 및 의사난수생성기(PRNG)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Q-MCU), 양자통신부(Q-MODEM), OTP 메모리(OTP M/M)로 구성된 양자컴퓨터;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는 양자마킹기;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와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리더기통신부(R-MODEM), 표시부로 구성된 양자리더기;로 구성되어,

    양자난수생성기(QRNG)는 난수소스발생기, 양자검출 다이오드, 양자랜덤펄스 생성기, 양자난수 제어부로 구성되며;
    난수소스발생기는 LED(Light-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방사선 동위원소, 노이즈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양자입자를 방출하는 난수소스발생기이며;
    양자검출 다이오드는 상기 난수소스발생기로 부터 발생하는 양자입자를 검출하는 양자검출 다이오드이며;
    양자랜덤펄스 생성기는 상기 양자검출 다이오드로부터 양자입자 이벤트를 검출하여 양자입자의 검출에 상응하는 랜덤펄스를 발생하는 양자랜덤펄스 생성기이며;
    양자난수 제어부는 상기 양자랜덤펄스 생성기를 통해 발생하는 무작위 난수소스로 양자난수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양자난수 제어부이며;

    양자메인보드(Q-MCU)는 난수발생 프로그램에 의해 의사난수를 생성하는 의사난수생성기(PRNG)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양자난수 제어부로 부터 양자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및
    양자메인보드(Q-MCU)는 상기 의사난수생성기(PRNG)로부터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및
    양자메인보드(Q-MCU)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OTP 메모리(OTP M/M)에 저장 후 비대칭암호키를 양자마킹기로 전송하며;
    양자마킹기는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
    Figure 112019047320774-pat00012
    )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며;및
    양자마킹기는 제품표면에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는 양자마킹기이며;
    양자마킹기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와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양자컴퓨터 양자메인보드로 전송하며;
    양자메인보드(Q-MCU)는 상기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와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OTP 메모리(OTP M/M)에 저장하며;

    양자 리더기는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수신기로 수신하여 리더기통신부(R-MODEM)를 통해 양자통신부(Q-MODEM)로 전송하며;
    양자메인보드(Q-MCU)는 양자통신부(Q-MODEM)를 통해 수신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OTP 메모리(OTP M/M)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한 복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Q-MCU)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호화 데이터를 리더기통신부(R-MODEM)로 전송하며;
    양자리더기는 리더기통신부(R-MODEM)를 통해 수신한 복호화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2. 양자난수생성기(QRNG) 및 의사난수생성기(PRNG)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Q-MCU), 양자통신부(Q-MODEM), OTP 메모리(OTP M/M)로 구성된 양자컴퓨터;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는 양자마킹기;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와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리더기통신부(R-MODEM), 표시부로 구성된 양자리더기;로 구성되어,

    양자난수생성기(QRNG)는 난수소스발생기, 양자검출 다이오드, 양자랜덤펄스 생성기, 양자난수 제어부로 구성되며;
    난수소스발생기는 LED(Light-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방사선 동위원소, 노이즈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양자입자를 방출하는 난수소스발생기이며;
    양자검출 다이오드는 상기 난수소스발생기로 부터 발생하는 양자입자를 검출하는 양자검출 다이오드이며;
    양자랜덤펄스 생성기는 상기 양자검출 다이오드로부터 양자입자 이벤트를 검출하여 양자입자의 검출에 상응하는 랜덤펄스를 발생하는 양자랜덤펄스 생성기이며;
    양자난수 제어부는 상기 양자랜덤펄스 생성기를 통해 발생하는 무작위 난수소스로 양자난수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양자난수 제어부이며;

    양자메인보드(Q-MCU)는 난수발생 프로그램에 의해 의사난수를 생성하는 의사난수생성기(PRNG)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양자난수 제어부로 부터 양자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및
    양자메인보드(Q-MCU)는 상기 의사난수생성기(PRNG)로부터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및
    양자메인보드(Q-MCU)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OTP 메모리(OTP M/M)에 저장 후 비대칭암호키를 양자마킹기로 전송하며;
    양자마킹기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며;및
    양자마킹기는 제품표면에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며;
    양자마킹기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와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양자컴퓨터 양자메인보드로 전송하며;
    양자메인보드(Q-MCU)는 상기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와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OTP 메모리(OTP M/M)에 저장하며;

    양자 리더기는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수신기로 수신하여 리더기통신부(R-MODEM)를 통해 양자통신부(Q-MODEM)로 전송하며;
    양자메인보드(Q-MCU)는 양자통신부(Q-MODEM)를 통해 수신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OTP 메모리(OTP M/M)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한 복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Q-MCU)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호화 데이터를 리더기통신부(R-MODEM)로 전송하며;
    양자리더기는 리더기통신부(R-MODEM)를 통해 수신한 복호화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3. 양자난수생성기 및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양자통신부, 메모리로 구성된 양자컴퓨터;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는 양자마킹기;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와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리더기통신부, 표시부로 구성된 양자리더기;로 구성되어,

    양자난수생성기는 난수소스발생기, 양자검출 다이오드, 양자랜덤펄스 생성기, 양자난수 제어부로 구성되며;
    난수소스발생기는 LED(Light-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방사선 동위원소, 노이즈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양자입자를 방출하는 난수소스발생기이며;
    양자검출 다이오드는 상기 난수소스발생기로 부터 발생하는 양자입자를 검출하는 양자검출 다이오드이며;
    양자랜덤펄스 생성기는 상기 양자검출 다이오드로부터 양자입자 이벤트를 검출하여 양자입자의 검출에 상응하는 랜덤펄스를 발생하는 양자랜덤펄스 생성기이며;
    양자난수 제어부는 상기 양자랜덤펄스 생성기를 통해 발생하는 무작위 난수소스로 양자난수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양자난수 제어부이며;

    양자메인보드는 난수발생 프로그램에 의해 의사난수를 생성하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양자난수 제어부로 부터 양자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의사난수생성기로부터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메모리에 저장 후 비대칭암호키를 양자통신부를 통해 양자마킹기로 전송하며;
    양자마킹기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며;
    양자마킹기는 제품표면에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며;

    양자 리더기는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수신기로 수신하여 리더기통신부를 통해 양자통신부로 전송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리더기통신부로 전송하며;
    양자리더기는 리더기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4. 양자난수생성기 및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양자통신부, 메모리로 구성된 양자컴퓨터;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는 양자마킹기;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와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리더기통신부, 표시부로 구성된 양자리더기;로 구성되어,

    양자난수생성기는 난수소스발생기, 양자검출 다이오드, 양자랜덤펄스 생성기, 양자난수 제어부로 구성되며;
    난수소스발생기는 양자입자를 방출하는 난수소스발생기이며;
    양자검출 다이오드는 상기 난수소스발생기로 부터 발생하는 양자입자를 검출하는 양자검출 다이오드이며;
    양자랜덤펄스 생성기는 상기 양자검출 다이오드로부터 양자입자 이벤트를 검출하여 양자입자의 검출에 상응하는 랜덤펄스를 발생하는 양자랜덤펄스 생성기이며;
    양자난수 제어부는 상기 양자랜덤펄스 생성기를 통해 발생하는 무작위 난수소스로 양자난수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양자난수 제어부이며;

    양자메인보드는 난수발생 프로그램에 의해 의사난수를 생성하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양자난수 제어부로 부터 양자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의사난수생성기로부터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양자메인보드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양자통신부를 통해 양자마킹기로 전송하며;
    양자마킹기는 제품표면에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며;

    양자 리더기는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수신기로 수신하여 리더기통신부를 통해 양자통신부로 전송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리더기통신부로 전송하며;
    양자리더기는 리더기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5. 양자난수생성기 및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양자통신부, 메모리로 구성된 양자컴퓨터;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는 양자마킹기;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와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리더기통신부, 표시부로 구성된 양자리더기;로 구성되어,

    양자난수생성기는 무작위 난수소스로 양자난수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난수발생 프로그램에 의해 의사난수를 생성하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양자난수생성기로 부터 양자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의사난수생성기로부터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양자메인보드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양자마킹기로 전송하며;
    양자마킹기는 제품표면에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며;

    양자 리더기는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수신기로 수신하여 리더기통신부를 통해 양자통신부로 전송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리더기통신부로 전송하며;
    양자리더기는 리더기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6. 양자난수생성기 및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양자통신부, 메모리로 구성된 양자컴퓨터;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는 양자마킹기;
    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식하는 인식부, 단말기 통신부,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로 구성되어,

    양자난수생성기는 무작위 난수소스로 양자난수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난수발생 프로그램에 의해 의사난수를 생성하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양자난수생성기로 부터 양자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의사난수생성기로부터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양자메인보드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양자마킹기로 전송하며;
    양자마킹기는 제품표면에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어느 하나로 표식하며;

    휴대형 단말기는 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어느 하나로 표식된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인식부로 인식하며;
    휴대형 단말기는 상기 인식부로 인식된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단말기 통신부를 통해 양자통신부로 전송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단말기 통신부로 전송하며;
    휴대형 단말기는 단말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7. 양자난수생성기 및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양자통신부, 메모리로 구성된 양자컴퓨터;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표식하는 양자마킹기;
    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되어,

    양자난수생성기는 무작위 난수소스로 양자난수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난수발생 프로그램에 의해 의사난수를 생성하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양자난수생성기로 부터 양자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의사난수생성기로부터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양자메인보드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양자마킹기로 전송하며;
    양자마킹기는 제품표면에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 및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어느 하나로 표식하며;

    스마트폰은 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어느 하나로 표식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카메라로 인식하며;
    스마트폰은 상기 카메라로 인식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양자통신부로 전송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스마트폰은 복호화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를 화면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8. 의사난수생성기(PRNG; 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순수난수생성기(TRNG; True Random Number Generator), OTP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양자컴퓨터;
    암호화 데이터를 표식하는 양자마킹기;
    상기 양자마킹기로 표시된 암호화 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단말기;로 구성되어,

    양자컴퓨터 내부 양자메인보드는 순수난수생성기로 부터 발생하는 순수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및
    양자메인보드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통해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및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OTP 메모리에 저장 후 비대칭암호키를 양자마킹기로 전송하며;

    양자마킹기는 공개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하며;
    인식 단말기는 양자마킹기로 표시된 암호화 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통해 암호화 데이터를 인식하여 양자컴퓨터 내부의 양자메인보드로 전송하며;
    양자컴퓨터 내부의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인식 단말기로부터 암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OTP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상기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공개 데이터를 상기 인식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9. 의사난수생성기(PRNG; 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순수난수생성기(TRNG; True Random Number Generator), OTP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양자컴퓨터;
    암호화 데이터를 마킹하는 양자마킹기;
    상기 양자마킹기로 표시된 암호화 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단말기;로 구성되어,

    양자컴퓨터 내부 양자메인보드는 순수난수생성기로 부터 발생하는 순수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및
    양자메인보드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통해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및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OTP 메모리에 저장 후 비대칭암호키를 양자마킹기로 전송하며;

    양자마킹기는 공개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에 저장하여 마킹하며;
    인식 단말기는 양자마킹기로 마킹된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에 저장된 암호화 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통해 암호화 데이터를 인식하여 양자컴퓨터 내부의 양자메인보드로 전송하며;
    양자컴퓨터 내부의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인식 단말기로부터 암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OTP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상기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공개 데이터를 상기 인식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10.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양자난수생성기(QRNG; 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는 순수난수생성기(TRNG; True Random Number Generator)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11.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의사난수생성기로 발생하는 의사난수로 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
    양자난수생성기로 발생하는 양자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비대칭암호키는 X,Y 행렬의 (x,y) 좌표 마킹 함수로,
    Figure 112019047320774-pat0001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1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의사난수생성기는 2차 행렬 해시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1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마킹기는 PUF Chip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비대칭암호키(
    Figure 112019047320774-pat00014
    )는
    Figure 112019047320774-pat00015
    로,
    의사난수생성기는 마킹기의 고유 MAC Address 데이터(
    Figure 112019047320774-pat00016
    )를 대칭암호키(
    Figure 112019047320774-pat00017
    )로 암호화한 데이터 값으로 해시함수(
    Figure 112019047320774-pat00018
    )의 X 좌표 값을 생성하며;
    의사난수생성기는 마킹기의 PUF PIN 데이터(
    Figure 112019047320774-pat00019
    )를 대칭암호키(
    Figure 112019047320774-pat00020
    )로 암호화한 데이터 값으로 해시함수(
    Figure 112019047320774-pat00021
    )의 Y 좌표 값을 생성하며;
    의사난수생성기의 이진화 함수인 해시함수는 상기 X좌표 값 및 Y좌표 값을 비교하여 X좌표 값이 Y좌표 데이터 값보다 크면 1, 작으면 0으로 이진화하는 해시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17. 삭제
  18. 삭제
  1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는 암호화 데이터로, 공개 제품정보 데이터는 공개 데이터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20.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의사난수생성기는 PUF(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 Chip로 대체되어,
    의사난수는 PUF(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 Chip에서 추출한 하드웨어 PIN 데이터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21.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양자난수생성기는 PUF(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 Chip로 대체되어 양자난수는 PUF Chip에서 추출한 하드웨어 PIN 데이터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22.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양자마킹기는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를 입력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23.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양자마킹기는 비대칭암호키를 입력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24. 양자난수생성기 및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양자통신부, 메모리로 구성된 양자컴퓨터;
    암호화 데이터를 제품표면에 표식하는 양자마킹기;
    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되어,

    양자난수생성기는 무작위 난수소스로 양자난수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난수발생 프로그램에 의해 의사난수를 생성하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양자난수생성기로 부터 양자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의사난수생성기로부터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양자메인보드는 공개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양자마킹기로 전송하며;
    양자마킹기는 제품표면에 암호화 데이터를 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어느 하나로 표식하며;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통하여 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어느 하나로 표식된 암호화 데이터를 인식하며;
    스마트폰은 상기 내장된 카메라로 인식된 암호화 데이터를 양자통신부로 전송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암호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복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양자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호화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스마트폰은 복호화 데이터를 화면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 물품관리 시스템.
  25. 의사난수생성기(PRNG; 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순수난수생성기(TRNG; True Random Number Generator), OTP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양자컴퓨터;
    암호화 데이터를 표시하는 양자마킹기;
    상기 양자마킹기로 표시된 암호화 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단말기;로 구성되어,

    양자컴퓨터 내부 양자메인보드는 순수난수생성기로 부터 발생하는 순수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및
    양자메인보드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통해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및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OTP 메모리에 저장 후 비대칭암호키를 양자마킹기로 전송하며;

    양자마킹기는 공개 데이터를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하며;
    인식 단말기는 양자마킹기로 표시된 암호화 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통해 암호화 데이터를 인식하여 양자컴퓨터 내부의 양자메인보드로 전송하며;
    양자컴퓨터 내부의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인식 단말기로부터 암호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OTP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상기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복호화 데이터를 상기 인식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 물품관리 시스템
  26. 제 24 항, 제 2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비대칭암호키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RFID(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중 어느 하나에 입력하여 제품표면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 물품관리 시스템
  27.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순수난수생성기, OTP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양자컴퓨터;
    비대칭암호키로 공개 데이터를 암호화한 데이터가 입력된 NFC 태그를 제품표면에 삽입 및 공개 데이터를 제품표면에 마킹하는 양자마킹기;
    상기 양자마킹기로 비대칭암호키로 공개 데이터를 암호화한 데이터가 입력된된 NFC 태그를 인식하는 인식단말기;로 구성되어,

    양자컴퓨터 내부 양자메인보드는 순수난수생성기로 부터 발생하는 순수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및
    양자메인보드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통해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및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OTP 메모리에 저장 후 비대칭암호키를 양자마킹기로 전송하며;

    양자마킹기는 제품표면에 공개 데이터를 마킹 및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공개 데이터가 입력된 NFC 태그를 제품표면에 삽입하는 양자마킹기이며;

    인식 단말기는 공개 데이터 및 NFC 태그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통해 공개 데이터 및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공개 데이터를 수신하여 양자컴퓨터 내부의 양자메인보드로 전송하며;
    양자컴퓨터 내부의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인식 단말기로부터 공개 데이터 및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공개 데이터를 수신하여 OTP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상기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공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데이터가 공개 데이터와 일치 여/부 정보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 물품관리 시스템.
  28.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순수난수생성기, OTP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양자컴퓨터;
    비대칭암호키로 공개 데이터를 암호화한 데이터가 입력된 NFC 태그를 제품표면에 삽입 및 공개 데이터를 제품표면에 마킹하는 양자마킹기;
    상기 양자마킹기로 비대칭암호키로 공개 데이터를 암호화한 데이터가 입력된된 NFC 태그를 인식하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되어,

    양자컴퓨터 내부 양자메인보드는 순수난수생성기로 부터 발생하는 순수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및
    양자메인보드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통해 발생한 의사난수로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및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대칭암호키 및 비대칭암호키를 OTP 메모리에 저장 후 비대칭암호키를 양자마킹기로 전송하며;

    양자마킹기는 제품표면에 공개 데이터를 마킹 및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공개 데이터가 입력된 NFC 태그를 제품표면에 삽입하는 양자마킹기이며;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공개 데이터가 입력된 NFC 태그를 스마트폰은 수신하여 양자컴퓨터로 전송하며;
    양자컴퓨터 내부의 양자메인보드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공개 데이터를 수신하여 OTP 메모리에 저장된 대칭암호키를 통해 상기 비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공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 물품관리 시스템.
  29. 의사난수생성기를 포함하는 양자메인보드, 순수난수생성기, OTP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양자컴퓨터와 양자마킹기로 구성되어,

    양자컴퓨터 내부 양자메인보드는 순수난수생성기로 부터 발생하는 순수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하고, 의사난수생성기를 통해 상기 대칭암호키를 암호화하여 비대칭암호키를 생성함에 있어서,
    양자메인보드는 순수난수생성기로 부터 무작위 난수를 수신하여 대칭암호키를 생성하며;
    양자메인보드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통해 양자마킹기의 MAC Address 데이터를 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데이터 값으로 해시함수의 X 좌표 값을 생성하며;및
    양자메인보드는 의사난수생성기를 통해 양자마킹기 내부의 PUF PIN 데이터를 대칭암호키로 암호화한 데이터 값으로 해시함수의 Y 좌표 값을 생성하며;및
    양자메인보드는 의사난수생성기의 이진화 함수인 해시함수로 상기 X좌표 값 및 Y좌표 값을 비교하여 X좌표 값이 Y좌표 데이터 값보다 크면 1, 작으면 0으로 이진화하는 해시함수로 비대칭암호키
    Figure 112019047320774-pat00023
    를 생성하며;
    양자컴퓨터는 상기 비대칭암호키를 양자마킹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 물품관리 시스템.
  30. 삭제
KR1020180064290A 2018-06-04 2018-06-04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및 양자암호마킹 물품관리 시스템 KR102021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290A KR102021739B1 (ko) 2018-06-04 2018-06-04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및 양자암호마킹 물품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290A KR102021739B1 (ko) 2018-06-04 2018-06-04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및 양자암호마킹 물품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739B1 true KR102021739B1 (ko) 2019-11-05

Family

ID=6857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290A KR102021739B1 (ko) 2018-06-04 2018-06-04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및 양자암호마킹 물품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2687A (zh) * 2021-06-24 2021-09-28 中电信量子科技有限公司 基于量子安全密钥的发送邮件的加密方法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386A (ko) * 2000-09-08 2002-03-15 구자홍 대중교통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운송 시스템 및 그 운송방법
US20040184369A1 (en) * 2001-06-18 2004-09-23 Jurgen Herre Device and method for embedding a watermark in an audio signal
JP2005060108A (ja) * 2003-07-30 2005-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物流管理システム
WO2013007500A1 (en) * 2011-07-08 2013-01-17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sation index modulation for watermarking an input sig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386A (ko) * 2000-09-08 2002-03-15 구자홍 대중교통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운송 시스템 및 그 운송방법
US20040184369A1 (en) * 2001-06-18 2004-09-23 Jurgen Herre Device and method for embedding a watermark in an audio signal
JP2005060108A (ja) * 2003-07-30 2005-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物流管理システム
WO2013007500A1 (en) * 2011-07-08 2013-01-17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sation index modulation for watermarking an input sig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2687A (zh) * 2021-06-24 2021-09-28 中电信量子科技有限公司 基于量子安全密钥的发送邮件的加密方法和系统
CN113452687B (zh) * 2021-06-24 2022-12-09 中电信量子科技有限公司 基于量子安全密钥的发送邮件的加密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zid et al. Secure authentication scheme for medicine anti-counterfeiting system in IoT environment
CN1689297B (zh) 使用密钥基防止未经授权分发和使用电子密钥的方法
US10616213B2 (en) Password manipulation for secure account creation and verification through third-party servers
Kulseng et al. Lightweight mutual authentication and ownership transfer for RFID systems
KR101389100B1 (ko) 저복잡도 장치들을 사용하여 인증 및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TWI691195B (zh) 用於安全供應鏈資產管理的多層級認證
CN103281194B (zh) 一种基于双线性对的安全和轻量级rfid所有权转移方法
CN104322003A (zh) 借助实时加密进行的密码认证和识别方法
US20230254121A1 (en) Secret material exchange and authentication cryptography operations
KR102172693B1 (ko) 양자암호키 4차 행렬 해시함수 블럭체인 스마트 그리드 배전반 제어시스템 감시 cctv 방재 감시카메라
KR102021739B1 (ko) 양자암호키로 생성한 암호화 제품정보 데이터와 해시함수 2차 행렬 (x,y) 좌표 값으로 마킹하는 복제 위변조 방지 양자암호마킹기 및 양자암호마킹 물품관리 시스템
KR100406009B1 (ko) 각다중화 홀로그램을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위·변조 방지방법 및 시스템
CN111132152B (zh) 一种基于多层密钥体制的rfid标签认证方法
KR102182053B1 (ko) 양자암호키 4차 행렬 해시함수 블럭체인 디밍제어 led 가로등 제어시스템 감시 cctv 방재 감시카메라
KR102216671B1 (ko) 양자암호키 4차 행렬 해시함수 블럭체인 구내 영상음성 방송장치 제어시스템 감시 cctv 방재 감시카메라
Prakash et al. ENHANCING SECURITY IN CRYPTOGRAPHIC SMART CARDS THROUGH ELLIPTIC CURVE CRYPTOGRAPHY AND OPTIMIZED MODIFIED MATRIX ENCODING ALGORITHMS.
JP2009271107A (ja) 秘匿通信システム及び秘匿認証システム
KR101226319B1 (ko) 신원 확인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216683B1 (ko) 양자암호키 4차 행렬 해시함수 블럭체인 암호화 영상저장 cctv 감시장치 제어시스템 감시 cctv 방재 감시카메라
KR102182062B1 (ko) 양자암호키 4차 행렬 해시함수 블럭체인 tts 동보 방송장치 제어시스템 감시 cctv 방재 감시카메라
JP2004260367A (ja)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記憶媒体
KR102216688B1 (ko) 양자암호키 4차 행렬 해시함수 블럭체인 태양광 발전장치 제어시스템 감시 cctv 방재 감시카메라
Sahni et al. Schemes and Applications of Visual Cryptography
Al-Hamami et al. Enhancing Security to protect e-passport against photo forgery
Abidin Enhancing the Security of E-Passports using a Secure Key Management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