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228B1 - Drain plug - Google Patents

Drain plu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228B1
KR102021228B1 KR1020180022987A KR20180022987A KR102021228B1 KR 102021228 B1 KR102021228 B1 KR 102021228B1 KR 1020180022987 A KR1020180022987 A KR 1020180022987A KR 20180022987 A KR20180022987 A KR 20180022987A KR 102021228 B1 KR102021228 B1 KR 102021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lange portion
thin
drain
engagemen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9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9527A (en
Inventor
겐스케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80099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5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2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배수구멍을 가진 피장착부와 플러그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게 한 배수 플러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배수 플러그(10)는, 피장착부가 가지는 배수구멍을 덮는 플랜지부(11)와 이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서 연장되며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12, 13)를 구비한다. 각 걸어맞춤 다리부(12, 13)는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 있어서 별개의 위치에서 연장되고, 플랜지부(11)는 이 플랜지부(11) 내에서 각 걸어맞춤 다리부(12, 13)가 접속하는 부분인 접속부(21a, 22a)와, 이 접속부(21a, 22a)보다도 두께가 얇으며 적어도 접속부(21a, 22a) 간에 위치하는 제 1 박육부(23)를 포함한다.
(Problem) The drain plug which suppressed the formation of the clearance gap between a to-be-mounted part which has a drain hole and a plug is provided.
(Solution means) The drain plug 10 has a plurality of flanges 11 covering the drainage holes of the mounted portion and a plurality of flanges 11 extending from the rear surface 11R of the flange portion 11 and engaged with the peripheral edges of the drain holes. And engaging legs 12 and 13. Each of the engaging legs 12 and 13 extends at a separate position on the rear surface 11R of the flange portion 11, and the flange portion 11 extends into each of the engaging legs within the flange portion 11 ( The connection part 21a, 22a which is the part which 12, 13 connects, and the 1st thin part 23 which is thinner than this connection part 21a, 22a and located between the connection part 21a, 22a at least is included.

Description

배수 플러그{DRAIN PLUG}Drain plug {DRAIN PLUG}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패널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장착되는 배수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plug mounted to a through hole formed in a panel of an automobile or the like.

자동차가 구비하는 리어게이트, 트렁크 리드,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 등은 외측 패널과 내측 패널로 구성되는 차체 패널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은 선단에 있어서 서로 용접되고, 또한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됨으로써, 차체 패널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의 사이에는 빗물이나 차체를 세정하기 위한 물이 들어가는 일이 있기 때문에, 내측 패널에는 차체 패널 내의 물을 차체 패널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다.The rear gate, the trunk lid, the front door, the rear door, and the like, which the automobile has, are formed of a vehicle body panel composed of an outer panel and an inner panel.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are welded to each other at the tip, and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so that the vehicle body panel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Since rain water and water for washing the vehicle body may enter between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a drain hole for discharging water in the vehicle body panel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panel is formed.

이러한 배수구멍에는 배기가스나 먼지 등이 차체 패널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플러그가 장착되어 있다. 플러그는 배수구멍을 덮는 머리부와 이 머리부에서 연장되는 1개의 걸림 다리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 다리가 배수구멍에 삽입되면, 머리부와 걸림 다리가 내측 패널을 끼워 넣음으로써, 플러그가 배수구멍에 장착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These drainage holes are provided with plugs for preventing exhaust gas and dust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ody panel. The plug has a head covering the drainage hole and one catching leg extending from the head. When the locking leg is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the head and the locking leg sandwich the inner panel so that the plug is attached to the drain hole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5374311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5374311

그런데, 내측 패널은 이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의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하기 때문에,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의 용접부의 근방에 있어서 만곡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많다. 또, 배수구멍은 이 배수구멍에서의 배수의 효율을 높일 목적으로, 용접부의 근방, 즉 내측 패널의 내에서 만곡한 형상을 가진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플러그에는, 이러한 내측 패널에 있어서의 용접부의 근방 등의 피장착부의 형상을 따름으로써, 피장착부와 플러그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인 것이 요구되고 있다.By the way, since an inner panel makes a predetermined space | interval between this inner panel and an outer panel, it has a curved shape in the vicinity of the welding part of an inner panel and an outer panel in many cases. In addition, the drain hole is often formed in a portion having a curved shape in the vicinity of the welded portion, that is, in the inner panel,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drainage water in the drain hole. Therefore, the plug is required to have a configuration capable of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a gap between the portion to be mounted and the plug by following the shape of the portion to be mounted such as in the vicinity of the weld portion in the inner panel.

본 발명은, 배수구멍을 가진 피장착부와 플러그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게 한 배수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 plug capable of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a gap between a plug having a drain hole and a plug.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배수 플러그는, 피장착부가 가지는 배수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이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를 구비하는 배수 플러그이다. 상기 각 걸어맞춤 다리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이면에 있어서 별개의 위치에서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 내에서 상기 각 걸어맞춤 다리부가 접속하는 부분인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보다도 두께가 얇으며 적어도 상기 접속부 간에 위치하는 박육부를 포함한다.The drain plug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flange portion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drain hole of the mounted portion, and a plurality of engaging leg portions exten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peripheral edge of the drain hole. It is a drain plug to be provided. Each engaging leg portion extends at a separate posi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is a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each of the engaging leg portions in the flange portion, and the thickness is thinner than the connecting portion. It includes a thin portion locat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접속부 간에 위치하는 박육부를 절곡위치로 함으로써 플랜지부가 구부러지기 쉽다. 결과적으로,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걸어맞춤 다리부의 걸어맞춤에 적절한 형상으로 플랜지부가 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걸어맞춤 다리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 있어서,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플랜지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 나아가서는 배수구멍과 플랜지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a flange part tends to bend by making the thin part located between connection parts bend position. As a result, the flange portion is easily deformed into a shape suitable for engaging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and the engaging leg portion of the drain hole, so that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drain hole in the state where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of the drain hole is engaged with It is suppressed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and further,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drainage hole and the flange portion.

상기 배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는 홈의 저부이며, 상기 홈은 1개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rain plug, the thin portion is a bottom of the groove, and the groove preferably extends along one direction.

상기 구성에 의하면, 1개의 방향을 따라서 플랜지부가 휘어지기 쉽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a flange part tends to bend along one direction.

상기 배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는 제 1 걸어맞춤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 내에서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가 접속하는 부분인 제 1 접속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는 상기 제 1 접속부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로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가 상기 배수구멍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사이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rain plug, the plurality of engaging legs include a first engaging leg, and the flange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that is a portion to which the first engaging leg is connected in the flange. The first engagement leg portion extends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oward the end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and when the first engagement le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the first engagement leg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are drained out. It is desirable to sandwich the peripheral edge of the hol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걸어맞춤 다리부를 배수구멍 내에 삽입했을 때에, 제 1 걸어맞춤 다리부와 플랜지부가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사이에 두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 1 걸어맞춤 다리부와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걸어맞춤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first engaging le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hole, the first engaging leg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 peripheral edges of the drainage hol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engagement of the peripheral edge of the.

상기 배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에 상기 배수구멍으로 통하는 오목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rain plug, the flange portion preferably has a concave portion leading to the drain hole at the end of the flange portion.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에 의해서 배수구멍을 덮음으로써, 배수구멍에 대해서 외부로부터 물 등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면서, 배수구멍으로부터 물이 배출되기 쉽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by covering a drain hole by a flange part, water is easy to be discharged | emitted from a drain hole, restraining water from entering into the drain hole from the exterior.

상기 배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이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이하 "평면시(平面視)"라고 한다}, 상기 접속부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박육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id drain plug WHEREIN: The said flange part is seen from the plane which opposes the said back surface of the said flange part (henceforth "plane view"), between at least 1 of the said connection part, and between the edge part of the said flange part. It is desirable to have a thin portion located.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의 휘어짐의 기점이 되는 박육부를 접속부의 주위에 복수개 가지기 때문에, 플랜지부가 박육부를 1개만 가지는 구성에 비해서, 플랜지부가 보다 변형하기 쉬워지고, 나아가서는 플랜지부의 변형이 피장착부의 형상에 의해서 추종되기 쉬워진다.
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since the thin part used as the starting point of a bending of a flange part has a some plural around a connection part, compared with the structure in which a flange part has only one thin part, a flange part becomes easier to deform | transform, and also the deformation of a flange part It becomes easy to follow by the shape of this to-be-mounted part.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구멍을 가진 피장착부와 배수 플러그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t can suppress that a clearance gap is formed between the to-be-mounted part which has a drain hole, and a drain plug.

도 1은 배수 플러그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수 플러그의 측면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배수 플러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플랜지부의 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의 플랜지부의 상면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4는 플랜지부의 이면과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배수 플러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플랜지부의 이면과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배수 플러그의 사시 구조에 있어서 일부를 파단한 파단 사시도.
도 6은 배수 플러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
도 7은 배수 플러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
도 8은 배수 플러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ide view which shows the side structure of the drain plug in one Embodiment of a drain plu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drain plug.
Fig. 3 is a top view showing the top structure of the flange portion in planar view facing th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rspective structure of the drain plug viewed from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Fig. 5 is a broken perspective view of part broken in the perspective structure of the drain plug viewed from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6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ain plug.
7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ain plug.
8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ain plug.

도 1~도 8을 참조하여, 배수 플러그를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로서 자동차가 구비하는 차체 패널 중 리어게이트를 구성하는 차체 패널이 가지는 배수구멍에 장착되는 배수 플러그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배수 플러그의 구성 및 배수 플러그의 작용을 순서대로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1-8, the drain plug attached to the drain hole which the vehicle body panel which comprises a rear gate among the vehicle body panels with which an automobile is equipped as an embodiment which actualized the drain plug is demonstrated.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drain plug and the action of the drain plug will be described in order.

〈배수 플러그의 구성〉<Configuration of Drainage Plug>

도 1~도 5를 참조하여 배수 플러그의 구성을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1-5, the structure of a drain plug is demonstrated.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 플러그(10)는 플랜지부(11),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 및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부(11)는 배수 플러그(10)의 장착 대상인 피장착부가 가지는 배수구멍을 덮는다.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 및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각각은 플랜지부(11)의 이면에서 연장되어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진다. 플랜지부(11),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 및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성형된다. 배수 플러그(10)의 형성 재료는 예를 들면 일래스터머이며, 올레핀계 열가소성 일래스터머(TPO)인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the drain plug 10 is provided with the flange part 11, the 1st engagement leg part 12, and 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As shown in FIG. The flange part 11 covers the drainage hole which a to-be-mounted part which is a mounting object of the drain plug 10 has. Each of the first engagement leg portion 12 and the second engagement leg portion 13 extend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1 and engages with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drainage hole. The flange part 11, the 1st engagement leg part 12, and 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are integrally shape | molded by injection molding, for example. The forming material of the drain plug 10 is, for example, an elastomer, and is preferably an 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 (TPO).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11)는 표면(11F)과 이 표면(11F)과는 반대측의 면인 이면(11R)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 및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각각은,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 있어서의 별개의 위치에서 이면(11R)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lange portion 11 includes a surface 11F and a rear surface 11R that is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11F. Each of the first engagement leg portion 12 and the second engagement leg portion 13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ck surface 11R at a separate position on the back surface 11R of the flange portion 11. have.

플랜지부(11)는 이 플랜지부(11) 내에서 각 걸어맞춤 다리부(12, 13)가 접속하는 부분인 접속부(21a, 22a)를 포함하고, 2개의 접속부(21a, 22a) 중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가 접속하는 접속부는 제 1 접속부(21a)이며,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접속하는 접속부는 제 2 접속부(22a)이다. 플랜지부(11)는 제 1 박육부(23)를 포함하고, 제 1 박육부(23)가 가지는 두께의 평균값은 제 1 접속부(21a) 및 제 2 접속부(22a)가 가지는 두께의 평균값보다도 얇고, 또한 제 1 박육부(23)는 제 1 접속부(21a)와 제 2 접속부(22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박육부(23)는 표면(11F)에서 이면(11R)으로 향해서 오목한 제 1 홈(11a)의 저부이다.The flange part 11 includes the connection parts 21a and 22a which are the parts which the engagement leg parts 12 and 13 connect in this flange part 11, The first of two connection parts 21a and 22a. The connection part which the engagement leg part 12 connects is a 1st connection part 21a, and the connection part which 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connects is a 2nd connection part 22a. The flange portion 11 includes the first thin portion 23,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thin portion 23 is thinn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a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a. Moreover, the 1st thin part 23 is located between the 1st connection part 21a and the 2nd connection part 22a. The first thin portion 23 is the bottom of the first groove 11a which is concave toward the rear surface 11R from the surface 11F.

플랜지부(11)는 제 2 박육부(24)를 더 포함하고, 제 2 박육부(24)는 플랜지부(11)의 이면(11R)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와 플랜지부(11)의 가장자리인 단부(11E)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박육부(24)는 표면(11F)에서 이면(11R)으로 향해서 오목한 제 2 홈(11b)의 저부이다. 플랜지부(11)의 두께는, 플랜지부(11) 내에서 제 1 접속부(21a)에 대해서 제 1 박육부(23)와는 반대측의 부분에 있어서, 제 1 접속부(21a)에서 단부(11E)로 향해서 점차 얇아지고, 제 2 박육부(24)에 대해서 제 2 접속부(22a)와는 반대측의 부분에 있어서, 단부(11E)로 향해서 점차 얇아진다.The flange portion 11 further includes a second thin portion 24, and the second thin portion 24 has a second engagement leg portion in a plan view facing the rear surface 11R of the flange portion 11. It is located between the 13 and the end portion 11E, which is the edge of the flange portion 11. The second thin portion 24 is the bottom of the second groove 11b which is concave toward the rear surface 11R from the surface 11F. The thickness of the flange part 11 is a part on the opposite side to the 1st thin part 23 with respect to the 1st connection part 21a in the flange part 11, from the 1st connection part 21a to the edge part 11E. Gradually thinner toward the end portion 11E in the portion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a with respect to the second thin portion 24.

이와 같이, 플랜지부(11)에서는 단부(11E)의 근방에 있어서 두께가 얇기 때문에,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에 장착되었을 때에, 플랜지부(11)의 단부(11E)가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형상을 추종하기 쉽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lange portion 11 is thin in the vicinity of the end portion 11E, when the flange portion 11 is attached to the drainage hole, the end 11E of the flange portion 11 is the circumference of the drainage hole. It is easy to follow the shape of the edge part.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접속부(21a) 및 제 2 접속부(22a)는 각 걸어맞춤 다리부(12, 13)가 접속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 1 접속부(21a) 및 제 2 접속부(22a)는 배수구멍에 대해서 플랜지부(11)를 위치 결정한 후에, 플랜지부(11) 내에 있어서 높은 강성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한편, 제 1 박육부(23) 및 제 2 박육부(24)는 플랜지부(11)의 단부(11E)를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형상으로 추종시킨 후에, 플랜지부(11) 내에 있어서 높은 가요성이 요구되는 부분이다.As mentioned above, the 1st connection part 21a and the 2nd connection part 22a are the parts to which the engaging legs 12 and 13 connec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a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a are portions in which the high rigidity is required in the flange portion 11 after positioning the flange portion 11 with respect to the drainage hole. On the other hand, the first thin portion 23 and the second thin portion 24 are highly flexible in the flange portion 11 after following the end 11E of the flange portion 11 in the shape of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drain hole. Last name is required.

이 점에 대해서, 상기 플랜지부(11)에서는 이 플랜지부(11)에 대해서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플랜지부(11) 내에서 제 1 접속부(21a) 및 제 2 접속부(22a)보다도 휘어지게 하고 싶은 부분인 제 1 박육부(23) 및 제 2 박육부(24)에 있어서, 제 1 접속부(21a) 및 제 2 접속부(22a)보다도 두께를 얇게 하고 있다. 환언하면, 플랜지부(11)에서는 이 플랜지부(11)에 대해서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플랜지부(11) 내에서 제 1 박육부(23) 및 제 2 박육부(24)보다도 휘어지게 하고 싶지 않은 부분인 제 1 접속부(21a) 및 제 2 접속부(22a)에 있어서, 제 1 박육부(23) 및 제 2 박육부(24)보다도 두께를 두껍게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aid flange part 11,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is flange part 11, it makes it bend in the flange part 11 rather than the 1st connection part 21a and the 2nd connection part 22a. In the 1st thin part 23 and the 2nd thin part 24 which are desired parts, thickness is thinner than the 1st connection part 21a and the 2nd connection part 22a. In other words, in the flange portion 11,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flange portion 11, the flange portion 11 does not want to be bent in the flange portion 11 than the first thin portion 23 and the second thin portion 24. In the 1st connection part 21a and the 2nd connection part 22a which are not a part, thickness is thicker than the 1st thin part 23 and the 2nd thin part 24. As shown in FIG.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11)의 표면(11F)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제 1 홈(11a)은 1개의 방향인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표면(11F)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제 2 홈(11b)은 제 1 홈(11a)과 마찬가지로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Y방향에 있어서, 제 1 홈(11a)과 제 2 홈(11b)이 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있다. 제 1 홈(11a) 및 제 2 홈(11b)의 각각은 Y방향에 있어서의 플랜지부(11)의 대략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환언하면, 플랜지부(11)의 표면(11F)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제 1 박육부(23) 및 제 2 박육부(24)가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Y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in the planar view which opposes the surface 11F of the flange part 11, the 1st groove 11a is extended along the X direction which is one direction. In the planar view facing the surface 11F, the second groove 11b extends along the X direction similarly to the first groove 11a, and is the first groove in the Y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X direction. 11a and the 2nd groove 11b are provided in parallel at intervals. Each of the first groove 11a and the second groove 11b extends substantially over the entire flange portion 11 in the Y direction. In other words, in the planar view facing the surface 11F of the flange portion 11, the first thin portion 23 and the second thin portion 24 extend along the X direction and are spaced in the Y direction. It is attached to this.

이와 같이, 제 1 박육부(23)는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홈(11a)의 저부이기 때문에, X방향을 따라서 플랜지부(11)가 휘어지기 쉽다. 또, 제 2 박육부(24)도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홈(11b)의 저부이기 때문에, X방향을 따라서 플랜지부(11)가 휘어지기 쉽다. 또, 플랜지부(11)는 이 플랜지부(11)의 휘어짐의 기점이 되는 박육부로서 제 1 박육부(23)에 더하여 제 2 박육부(24)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11)가 제 1 박육부(23)만을 가지는 구성에 비해서, 플랜지부(11)가 보다 변형하기 쉬워진다. 그렇기 때문에, 플랜지부(11)의 변형이 피장착부에 의해서 추종되기 쉬워진다.Thus, since the 1st thin part 23 is the bottom part of the 1st groove 11a extended along a X direction, the flange part 11 tends to bend along a X direction. Moreover, since the 2nd thin part 24 is also the bottom part of the 2nd groove | channel 11b extended along a X direction, the flange part 11 tends to bend along a X direction. Moreover, since the flange part 11 has the 2nd thin part 24 in addition to the 1st thin part 23 as a thin part us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bending of the flange part 11, the flange part 11 is Compared with the configuration having only the first thin portion 23, the flange portion 11 is more easily deformed. Therefore, the deformation of the flange portion 11 can be easily followed by the attached portion.

플랜지부(11)는 제 1 후육부(21), 제 2 후육부(22) 및 제 3 후육부(25)를 포함하고, Y방향에 있어서 제 1 후육부(21), 제 1 박육부(23), 제 2 후육부(22), 제 2 박육부(24) 및 제 3 후육부(25)가 기재의 순서대로 병설되어 있다. 제 1 후육부(21), 제 2 후육부(22) 및 제 3 후육부(25)는 제 1 박육부(23) 및 제 2 박육부(24)보다도 두꺼운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후육부(21)는 상술한 제 1 접속부(21a)를 포함하며, 제 2 후육부(22)는 상술한 제 2 접속부(22a)를 포함하고 있다.The flange portion 11 includes a first thick portion 21, a second thick portion 22, and a third thick portion 25, and includes a first thick portion 21 and a first thin portion in the Y direction. 23), the 2nd thick part 22, the 2nd thin part 24, and the 3rd thick part 25 are provided in the order of description. The first thick portion 21, the second thick portion 22, and the third thick portion 25 include portions thicker than the first thin portion 23 and the second thin portion 24. The first thick portion 21 includes the above-described first connecting portion 21a, and the second thick portion 22 includes the above-described second connecting portion 22a.

표면(11F)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플랜지부(11)는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2개의 제 3 홈(11c)을 가지며, 각 제 3 홈(11c)은 플랜지부(11)의 단부(11E) 내에서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을 따르는 부분과 단부(11E)의 코너부를 따르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각 제 3 홈(11c)은 이 제 3 홈(11c) 내의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에 있어서, 제 1 홈(11a) 및 제 2 홈(11b)에 접속하고 있다. 플랜지부(11) 중 각 제 3 홈(11c)이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제 3 홈(11c)을 가지지 않는 구성에 비해서 두께가 얇다. 그렇기 때문에, 플랜지부(11)에 있어서의 단부(11E)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피장착부의 형상을 추종하기 쉬워진다.In a plan view facing the surface 11F, the flange portion 11 has two third grooves 11c extending along the Y direction, each third groove 11c having an end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11. It has the part along the part extended along the Y direction in 11E, and the part along the corner part of the edge part 11E. Each 3rd groove 11c is connected to the 1st groove 11a and the 2nd groove 11b in the part extended along the Y direction in this 3rd groove 11c. In the part in which the 3rd groove | channel 11c is located among the flange parts 11, thickness is thin compared with the structure which does not have the 3rd groove | channel 11c. Therefore, the par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edge part 11E in the flange part 11 becomes easy to follow the shape of a to-be-mounted part.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11)는 이 플랜지부(11)의 이면(11R)과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플랜지부(11)의 중앙부로 향해서 오목한 그릇형상을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11)는 이 플랜지부(11)의 둘레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단부(11E)를 포함하는 테이퍼부이며, 플랜지부(11)의 중앙부로 향해서 가늘어져가는 테이퍼부를 가지고 있다. 제 1 후육부(21), 제 2 후육부(22) 및 제 3 후육부(25)의 각각에는 테이퍼부의 일부가 포함된다. 테이퍼부에 있어서, 플랜지부(11)의 단부(11E)로부터의 거리가 작은 부위일수록 두께가 얇다.As shown in FIG. 4, the flange portion 11 has a concave bowl shape toward the center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11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ear surface 11R of the flange portion 11. The flange part 11 is a taper part including the edge part 11E over the whol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is flange part 11, and has a taper part tapering toward the center part of the flange part 11. Each of the first thick portion 21, the second thick portion 22, and the third thick portion 25 includes a portion of the tapered portion. In the tapered portion, the portion having a smaller distance from the end portion 11E of the flange portion 11 is thinner.

플랜지부(11)는 이 플랜지부(11)의 단부(11E)에 배수구멍으로 통하는 오목부(11d)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11d)는 플랜지부(11) 내에서 제 3 후육부(25)에 포함되는 단부(11E)에 위치하고 있다.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을 덮을 때, 플랜지부(11)는 배수구멍에 대해서 외부로부터 물 등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면서, 오목부(11d)를 통해서 배수구멍으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The flange part 11 has the recessed part 11d which communicates with the drain hole at the edge part 11E of this flange part 11. The recessed part 11d is located in the edge part 11E included in the 3rd thick part 25 in the flange part 11. When the flange portion 11 covers the drainage hole, the flange portion 11 makes it easy to discharge the water from the drainage hole through the recessed portion 11d while suppressing the entry of water or the like from the outside into the drainage hole. have.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는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서 멀어지도록 XY평면과 교차하는 평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Y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형상을 하고 있다. X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길이는 X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박육부(23)의 길이보다도 짧다.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에 있어서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 접속하는 단부가 기단이며, 이 기단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선단이다. 플랜지부(11)에 있어서, X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접속부(22a)의 길이는 X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기단의 길이와 같고, Y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접속부(22a)의 길이는 Y방향을 따르는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기단의 두께와 같다. 즉, 플랜지부(11) 내에서,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기단이 플랜지부(11)에 투영된 부분은 플랜지부(11)에 있어서의 제 2 접속부(22a)이다.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extends along the plane which cross | intersects the XY plane so that it may become far from the back surface 11R of the flange part 11, and has the shape which has predetermined thickness in a Y direction. The length of the second engaging leg portion 13 in the X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thin portion 23 in the X direction. In the 2nd engaging leg part 13, the edge part connected to 11 R of back surfaces of the flange part 11 is a base end, and the edge part on the opposite side to this base end is a tip end. In the flange part 11, the length of the 2nd connection part 22a in the X direction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base end of 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in the X direction, and is 2nd in the Y direction.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art 22a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base end of 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along a Y direction. That is, in the flange part 11, the part in which the base end of 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projected to the flange part 11 is the 2nd connection part 22a in the flange part 11. As shown in FIG.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외주면 중 X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해서 돌출된 걸어맞춤 돌출부(13a)가 위치하고 있다. 배수 플러그(10)가 배수구멍에 장착되었을 때, 걸어맞춤 돌출부(13a)는 배수구멍의 가장자리보다도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로 향해서 돌출된다. 그렇기 때문에, 배수 플러그(10)가 배수구멍으로부터 빗나가는 방향의 힘이 배수 플러그(10)에 불필요하게 작용했을 때, 걸어맞춤 돌출부(13a)가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맞닿음으로써, 배수 플러그(10)가 배수구멍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억제된다.The engaging protrusion 13a which protruded toward the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is located in the surface which opposes each other in the X direction am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2nd engaging leg part 13. As shown in FIG. When the drain plug 10 is attached to the drain hole, the engaging protrusion 13a projects toward the peripheral edge of the drain hole rather than the edge of the drain hole. Therefore, when the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in plug 10 deviates from the drain hole unnecessarily acts on the drain plug 10, the engaging projection 13a abuts against the peripheral edge of the drain hole, thereby draining the drain plug ( 10) is suppressed from falling out of the drain hole.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는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와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가 병설되는 방향을 따라서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를 관통하는 2개의 두께 경감부(13b)를 가지고 있다. 2개의 두께 경감부(13b)는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와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가 병설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있다. 각 두께 경감부(13b)는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서부터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선단보다도 바로 앞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2개의 두께 경감부(13b)를 가지기 때문에, 2개의 두께 경감부(13b)가 병설되는 방향을 따르는 힘으로서, 각 두께 경감부(13b)를 타방의 두께 경감부(13b)로 향해서 오목하게 하는 힘이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에 작용했을 때에,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휘어지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를 배수구멍에 삽입할 때에,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형상이 변하기 쉽고, 나아가서는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걸어맞춤 돌출부(13a)를 가지고 있더라도,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배수구멍 내로 진입하기 쉽다.The second engagement leg portion 13 has two thicknesses penetrating the second engagement leg portion 13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engagement leg portion 13 and the first engagement leg portion 12 are arranged in parallel. It has the relief part 13b. The two thickness reduction parts 13b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and the 1st engagement leg part 12 are arranged in parallel. Each thickness reducing part 13b extends from the rear surface 11R of the flange part 11 to just before the front end of the second engagement leg part 13. Since 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has two thickness reduction parts 13b, each thickness reduction part 13b is made into the other thickness as a forc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two thickness reduction parts 13b are parallel. When the force which becomes concave toward the relief part 13b acts on 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tends to bend. Therefore, when inserting the second engagement leg portion 13 into the drainage hole, the shape of the second engagement leg portion 13 tends to change, and furthermore, the second engagement leg portion 13 is the engagement protrusion portion. Even if it has 13a, 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is easy to enter in a drain hole.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는 제 1 접속부(21a)에서 플랜지부(11)의 단부(11E)로 향해서 연장되고,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가 배수구멍에 삽입되었을 때에,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와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사이에 두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와 둘레 가장자리부의 걸어맞춤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에 있어서,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 접속하는 단부가 기단이며, 이 기단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선단이다. X방향에 있어서,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기단의 길이는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기단의 길이보다도 짧고, 또한 제 1 박육부(23)의 길이보다도 짧다.As shown in FIG. 5, the first engagement leg 12 extends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a toward the end 11E of the flange portion 11, and the first engagement leg 12 is drained. When inserted into the hole, the first engaging leg portion 12 and the flange portion 11 are configured to sandwich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of the drainage hole. Therefore, the strength of the engagement of the 1st engagement leg part 12 and the circumferential edge part can be raised. In the 1st engagement leg part 12, the edge part connected to 11 R of back surfaces of the flange part 11 is a base end, and the edge part on the opposite side to this base end is a tip end. In the X direction, the length of the base end of the first engagement leg portion 12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base end of the second engagement leg portion 13 and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thin portion 23.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는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서 돌출되는 대략 갈고리형상을 가지며, 기단을 포함하는 기단 요소와 선단을 포함하는 선단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기단 요소는 이면(11R)에서 멀어지도록 연장되고,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선단 요소는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기단 요소에서 플랜지부(11)의 단부(11E)로 향해서 연장된다. 이와 같이,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선단 요소가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와는 다른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기 때문에, 배수구멍을 가진 피장착부가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을 때에,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와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양방이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각각 다른 위치에 걸어맞춰지기 쉽다.The first engagement leg portion 12 has a substantially hook shape projecting from the rear surface 11R of the flange portion 11, and is composed of a proximal element including the proximal end and a proximal element including the proximal end. The proximal element of the first engagement leg 12 extends away from the back surface 11R, and the proximal element of the first engagement leg 12 is planar at the proximal element of the first engagement leg 12. It extends toward the end 11E of the branch 11. Thus, since the front end element of the 1st engagement leg part 12 extends along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when the to-be-mounted part which has a drain hole has a curved shape, Both the first engagement leg 12 and the second engagement leg 13 are likely to be engag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drainage hole.

플랜지부(11)에 있어서, X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접속부(21a)의 길이는 X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기단의 길이와 같고, Y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접속부(21a)의 길이는 Y방향을 따르는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기단의 두께와 같다. 즉,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기단이 플랜지부(11)에 투영된 부분은 플랜지부(11)에 있어서의 제 1 접속부(21a)이다.In the flange part 11, the length of the 1st connection part 21a in the X direction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base end of the 1st engagement leg part 12 in the X direction, and is 1st in the Y direction.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art 21a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base end of the 1st engagement leg part 12 along a Y direction. That is, the part which the base end of the 1st engagement leg part 12 projected to the flange part 11 is the 1st connection part 21a in the flange part 11.

〈배수 플러그의 작용〉<Action of drain plug>

도 6~도 8을 참조하여 배수 플러그(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있어서, 배수 플러그(10)를 배수구멍에 삽입했을 때의 형상으로서, 배수구멍에 대한 배수 플러그(10)의 장착을 개시했을 때의 배수 플러그(10)의 형상이 이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The operation of the drain plug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6 and 8, as the shape when the drain plug 10 is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the shape of the drain plug 10 when the mounting of the drain plug 10 to the drain hole is started This is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 플러그(10)의 장착 대상인 차체 패널(30)은 내측 패널(31)과 외측 패널(32)을 구비하고 있다. 차체 패널(30)은, 예를 들면 일방의 단부에 있어서 내측 패널(31)과 외측 패널(32)이 용접된 용접부(30a)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6, the vehicle body panel 30 to which the drain plug 10 is mounted includes an inner panel 31 and an outer panel 32. The vehicle body panel 30 includes a welded portion 30a to which the inner panel 31 and the outer panel 32 are welded at one end, for example.

내측 패널(31)은, 용접부(30a)의 근방에 있어서, 외측 패널(3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한 후, 외측 패널(32)과의 사이의 거리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도록 외측 패널(32)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내측 패널(31)에는 이 내측 패널(31)에 있어서의 만곡한 부분을 넘도록 배수구멍(31a)이 형성되고, 내측 패널(31) 내에서 배수구멍(31a)을 포함하는 부분이 피장착부(31b)이다. 피장착부(31b)는 배수구멍(31a)을 구획하는 둘레 가장자리부(31b1)를 포함하고 있다.The inner panel 31 is cur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panel 32 in the vicinity of the welded portion 30a, and then the outer panel 32 maintains a distance between the outer panel 32 at a predetermined value. Has a shape extending along the parallel direction. A drainage hole 31a is formed in the inner panel 31 so as to exceed a curved portion of the inner panel 31, and a portion including the drainage hole 31a in the inner panel 31 is a part to be mounted 31b. )to be. The mounted portion 31b includes a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31b1 that partitions the drain hole 31a.

배수구멍(31a)에 배수 플러그(10)가 장착될 때에는, 먼저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가 배수구멍(31a)에 삽입됨으로써,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선단과, 플랜지부(11) 내에서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선단과 대향하는 부위가 배수구멍(31a)의 둘레 가장자리부(31b1)를 사이에 둔다. 그 다음에, 플랜지부(11)의 표면(11F)으로부터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를 배수구멍(31a)의 내부로 압입하는 방향의 힘이 더해짐으로써,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배수구멍(31a)의 내부로 압입된다.When the drain plug 10 is mounted in the drain hole 31a, the first engaging leg portion 12 is first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31a, whereby the tip of the first engaging leg portion 12 and the plan A portion of the branch 11 that faces the tip of the first engagement leg 12 sandwiches the peripheral edge portion 31b1 of the drainage hole 31a. Next, the force of the direction which presses 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into the drainage hole 31a from the surface 11F of the flange part 11 is added, and 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is added. Is pressed into the drain hole 31a.

이렇게 하여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배수구멍(31a)의 둘레 가장자리부(31b1)에 걸어맞춰질 때에는, 각 걸어맞춤 다리부를 배수구멍(31a) 내로 압입하기 위한 힘이 플랜지부(11)에 더해짐으로써, 제 1 접속부(21a)와 제 2 접속부(22a)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박육부(23)를 절곡위치로 하여 플랜지부(11)가 구부러지기 쉽다. 이것에 의해서, 배수구멍(31a)의 둘레 가장자리부(31b1)와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걸어맞춤 및 둘레 가장자리부(31b1)와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걸어맞춤에 적절한 형상으로 플랜지부(11)가 변형하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배수구멍(31a)의 둘레 가장자리부(31b1)와 각 걸어맞춤 다리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 있어서, 둘레 가장자리부(31b1)와 플랜지부(11)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 나아가서는 배수구멍(31a)과 플랜지부(11)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In this way, when the second engagement leg portion 13 is engaged with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31b1 of the drainage hole 31a, a force for pressing each engagement leg portion into the drainage hole 31a is applied to the flange portion 11. In addition, the flange part 11 tends to bend by making the 1st thin part 23 located between the 1st connection part 21a and the 2nd connection part 22a into a bend position. Thereby, the engagement of the circumferential edge part 31b1 and the 1st engagement leg part 12 of the drainage hole 31a, and the engagement of the circumferential edge part 31b1 and 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are carried out. The flange portion 11 is easily deformed into an appropriate shape. Therefor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peripheral edge portion 31b1 and the flange portion 11 in a state where the peripheral edge portion 31b1 of the drainage hole 31a and the respective engagement leg portions are engaged. This suppresses the formation of a gap between the drainage hole 31a and the flange portion 11.

배수 플러그(10)가 배수구멍(31a)에 장착되면,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31a)의 전체를 덮는다. 또한, 배수구멍(31a)에 배수 플러그(10)가 장착되면,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31a)의 둘레 가장자리부(31b1)를 추종하도록 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플랜지부(11)가 가지는 오목부(11d)는 둘레 가장자리부(31b1)를 통해서 배수구멍(31a)으로 통한다. 이것에 의해서, 배수구멍(31a)에서 이 배수구멍(31a)의 외부로 배출된 물은 배수구멍(31a)의 둘레 가장자리부(31b1)로 이동한 후, 오목부(11d)에서 배수 플러그(10)의 외부로 배출된다.When the drain plug 10 is mounted in the drain hole 31a, the flange portion 11 covers the entire drain hole 31a. In addition, when the drain plug 10 is attached to the drain hole 31a, the flange portion 11 is easily deformed to follow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31b1 of the drain hole 31a. The recessed portion 11d communicates with the drain hole 31a through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31b1. As a resul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age hole 31a to the outside of the drainage hole 31a moves to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31b1 of the drainage hole 31a, and then the drain plug 10 in the recess 11d. Discharged outside).

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구멍(31a)에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삽입되면, 두께 경감부(13b)가 변형함으로써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걸어맞춤 돌출부(13a)가 내측 패널(31)과 외측 패널(32)의 사이까지 압입된다. 이것에 의해서, 플랜지부(11)와 걸어맞춤 돌출부(13a)가 피장착부(31b)를 사이에 둠으로써, 배수 플러그(10)가 배수구멍(31a)을 덮도록 피장착부(31b)에 장착된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second engagement leg portion 13 is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31a, the engagement protrusion of the second engagement leg portion 13 is deformed by deforming the thickness reducing portion 13b. 13a is press-fitted between the inner panel 31 and the outer panel 32. As a result, the flange 11 and the engaging protrusion 13a are sandwiched by the mounted portion 31b, so that the drain plug 10 is attached to the mounted portion 31b so as to cover the drain hole 31a. .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1)의 단부(11E)를 따르도록 제 3 홈(11c)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11)의 단부(11E)에 있어서의 변형이 피장착부(31b)의 형상을 추종하기 쉽다. 결과적으로, 플랜지부(11)와 피장착부(31b)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As mentioned above, since the 3rd groove 11c is located along the edge part 11E of the flange part 11,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n the edge part 11E of the flange part 11 is carried out of the to-be-mounted part 31b. Easy to follow shape As a result, the formation of a gap between the flange portion 11 and the mounted portion 31b is suppressed.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 플러그(10)가 장착되는 차체 패널(40)에서는 내측 패널(41)과 외측 패널(42)의 사이의 거리가 크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낸 예보다도 더 크게 만곡한 내측 패널(41)에 배수구멍(41a)의 전체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외측 패널(42)에 대해서 용접부(40a)를 기점으로 하여 내측 패널(41)이 만곡하고, 피장착부(41b)에 있어서 이 피장착부(41b)와 외측 패널(42)이 형성하는 각도가 45°정도인 경우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in the vehicle body panel 40 on which the drain plug 10 is mounted,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panel 41 and the outer panel 42 is large, which is larger tha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entire drain hole 41a may be formed in the curved inner panel 41. For example, the inner panel 41 is curved with respect to the outer panel 42 starting from the welded part 40a, and this to-be-mounted part 41b and the outer panel 42 are formed in the to-be-mounted part 41b. Sometimes the angle is around 45 °.

배수 플러그(10)가 이러한 차체 패널(40)에 장착될 때라도,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와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41a)의 둘레 가장자리부(41b1)를 사이에 두는 상태에서,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배수구멍(41a)에 압입될 때에는, 제 1 박육부(23)를 기점으로 하여 플랜지부(11)가 구부러지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배수구멍(41a)의 둘레 가장자리부(41b1)와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걸어맞춤 및 둘레 가장자리부(41b1)와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걸어맞춤에 적절한 형상으로 플랜지부(11)가 변형하기 쉽다.Even when the drain plug 10 is mounted on such a body panel 40, the first engagement leg portion 12 and the flange portion 11 sandwich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41b1 of the drainage hole 41a.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engaging leg portion 13 is press-fitted into the drain hole 41a, the flange portion 11 tends to bend from the first thin portion 23 as a starting point. Therefore, it is suitable for the engagement of the circumferential edge part 41b1 and the 1st engagement leg part 12 of the drain hole 41a, and the engagement of the circumferential edge part 41b1 and the 2nd engagement leg part 13, respectively. The flange portion 11 is easily deformed into a shape.

또한, 플랜지부(11)는 제 1 박육부(23)에 더하여 제 2 박육부(24)를 가지기 때문에, 내측 패널(41)의 기립이 급준하더라도 제 2 박육부(24)를 기점으로 하여 플랜지부(11)가 구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41a)의 둘레 가장자리부(41b1)의 형상을 따라서 변형하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플랜지부(11)의 변형이 둘레 가장자리부(41b1)의 형상을 추종하기 쉽고, 나아가서는 플랜지부(11)와 배수구멍(41a)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In addition, since the flange part 11 has the 2nd thin part 24 in addition to the 1st thin part 23, even if the standing part of the inner panel 41 is steep, the plan is made from the 2nd thin part 24 as a starting point. Since the branch portion 11 is easily bent, the flange portion 11 tends to deform along the shape of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41b1 of the drain hole 41a. Therefore, the deformation of the flange portion 11 easily follows the shape of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41b1, and furthermore, the formation of a gap between the flange portion 11 and the drain hole 41a is suppress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수 플러그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에 열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rain plug,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1) 제 1 접속부(21a)와 제 2 접속부(22a)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박육부(23)를 절곡위치로 함으로써 플랜지부(11)가 구부러지기 쉽다. 이것에 의해서,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각 걸어맞춤 다리부의 걸어맞춤에 적절한 형상으로 플랜지부(11)가 변형하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각 걸어맞춤 다리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 있어서,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플랜지부(11)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 나아가서는 배수구멍과 플랜지부(11)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1) The flange part 11 tends to bend by making the 1st thin part 23 located between the 1st connection part 21a and the 2nd connection part 22a into a bend position. Thereby, the flange part 11 tends to deform | transform into the shape suitable for the engagement of the circumferential edge part of a drain hole and each engagement leg part. Therefor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drainage hole and the flange portion 11 in a state where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drainage hole is engaged with each engaging leg portion, and furthermore, the drainage hole and the flange portion It is suppressed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11).

(2) 제 1 박육부(23)가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홈(11a)의 저부이기 때문에, X방향을 따라서 플랜지부(11)가 휘어지기 쉽다.(2) Since the first thin portion 23 is the bottom of the first groove 11a extending along the X direction, the flange portion 11 tends to bend along the X direction.

(3)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를 배수구멍 내에 삽입했을 때에,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와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사이에 두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와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걸어맞춤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3) When the first engaging leg 12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hole, since the first engaging leg 12 and the flange 11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 peripheral edges of the drainage hol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engagement of the first engagement leg 12 and the peripheral edge of the drainage hole.

(4) 플랜지부(11)에 의해서 배수구멍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배수구멍에 대해서 외부로부터 물 등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면서, 배수구멍으로부터 물이 배출되기 쉽다.(4) By covering a part of the drain hole by the flange portion 11, water is easily discharged from the drain hole while preventing water or the like from entering the drain hole.

(5) 플랜지부(11)가 이 플랜지부(11)의 휘어짐의 기점이 되는 박육부를 2개의 접속부의 주위에 복수개 가지기 때문에, 플랜지부(11)가 제 1 박육부(23)만을 가지는 구성에 비해서, 플랜지부(11)가 보다 변형하기 쉬워지고, 나아가서는 플랜지부(11)의 변형이 피장착부의 형상에 의해서 추종되기 쉬워진다.(5) Since the flange portion 11 has a plurality of thin portions that are the starting point of the bending of the flange portion 11 around two connection portions, the flange portion 11 has only the first thin portion 23. On the other hand, the flange portion 11 is more easily deformed, and furthermore, the deformation of the flange portion 11 can be easily followed by the shape of the mounted portion.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적당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 mentioned above can be changed suitably as follows and can be implemented.

·플랜지부(11)의 크기는 배수 플러그(10)가 배수구멍에 장착되었을 때에 배수구멍의 전체를 덮는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배수구멍의 일부를 덮는 크기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배수 플러그(10)가 배수구멍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의 일부를 덮기 때문에, 배수구멍이 전혀 덮이지 않은 상태에 비해서, 배수구멍 내로 물이나 먼지가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The size of the flange portion 11 has a size covering the entire drain hole when the drain plug 10 is mounted in the drain hole, but may be a size covering a part of the drain hole. Even in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flange portion 11 covers a part of the drainage hole when the drain plug 10 is mounted in the drainage hole, water or dust enters the drainage hole as compared with a state where the drainage hole is not covered at all. Suppressed.

·플랜지부(11)는 상술한 그릇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평판형상을 가져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플랜지부(11)가 걸어맞춤 다리부 간에 박육부를 가지고 있으면, 플랜지부(11)는 걸어맞춤 다리부와 배수구멍의 걸어맞춤에 적절한 형상으로 적잖이 변형하기 때문에, 상술한 (1)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flange portion 11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bowl shape but may have a flat plate shape. Even in such a configuration, if the flange portion 11 has a thin portion between the engagement legs, the flange portion 11 deforms to a shape suitable for engagement between the engagement legs and the drain hole, and thus, the above-mentioned (1 ) Can be obtained.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걸어맞춤 돌출부(13a)가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의 사이에 압입되는 정도로 휘어지는 것이 가능하면,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에 있어서의 2개의 두께 경감부(13b)는 생략되어도 좋다.If the engagement protrusion 13a of the second engagement leg 13 can be bent to the extent that the engagement protrusion 13a is pushed in between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two thickness reductions in the second engagement leg 13 are reduced. The part 13b may be omitted.

·플랜지부(11)가 가지는 제 3 홈(11c)은 생략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3 홈(11c)이 생략된 부위에 있어서 플랜지부(11)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플랜지부(11)의 기계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다.The third groove 11c of the flange portion 11 may be omitted.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since the thickness of the flange part 11 becomes thick in the site | part from which the 3rd groove | channel 11c was omitte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flange part 11 can be improved.

·플랜지부(11)는 제 2 박육부(24)에 더하여, 플랜지부(11)의 표면(11F)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와 플랜지부(11)의 단부(11E)의 사이에 위치하는 다른 박육부를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11)가 가지는 박육부의 수가 증가한 만큼, 플랜지부(11)가 걸어맞춤 다리부와 배수구멍의 걸어맞춤에 적절한 형상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The flange portion 11, in addition to the second thin portion 24, has a first engagement leg portion 12 and the flange portion 11 in a planar view facing the surface 11F of the flange portion 11. You may also include the other thin part located between 11E of edges.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as the number of the thin parts of the flange part 11 increases, it becomes easy to deform | transform the flange part 11 into the shape suitable for the engagement of a fitting leg part and a drain hole.

·플랜지부(11)는 제 2 박육부(24)를 가지지 않는 한편, 플랜지부(11)의 표면(11F)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와 플랜지부(11)의 단부(11E)의 사이에 위치하는 다른 박육부를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11)가 다른 박육부를 가짐으로써, 플랜지부(11)가 걸어맞춤 다리부와 배수구멍의 형상에 적절한 형상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The flange portion 11 does not have the second thin portion 24, while the first engagement leg portion 12 and the flange portion (in plan view facing the surface 11F of the flange portion 11). Another thin part located between the ends 11E of 11) may be included.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flange part 11 has another thin part, it becomes easy to deform | transform the flange part 11 into the shape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engagement leg part and the drain hole.

·제 1 홈(11a) 및 제 2 홈(11b)의 적어도 일방은, 플랜지부(11)의 표면(11F)에서 이면(11R)으로 향해서 오목한 홈이 아니라,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서 표면(11F)으로 향해서 오목한 홈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플랜지부(11)가 걸어맞춤 다리부 간에 위치하는 박육부를 가지는 이상은, 상술한 (1)과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groove 11a and the second groove 11b is not a groove that is concave toward the rear surface 11R from the surface 11F of the flange portion 11 but is the rear surface 11R of the flange portion 11. ) May be a groove concave toward the surface 11F. Even in such a configuration, the above-described flange portion 11 having a thin portion located between the engaging legs can obtain the same effect as in (1) described above.

·제 1 박육부(23)는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홈(11a)의 저부가 아니어도 좋고, X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오목부에 있어서, 각 오목부의 저부여도 좋다. 각 오목부는, 플랜지부(11)의 표면(11F)에서 이면(11R)으로 향해서 오목한 오목부, 혹은 이면(11R)에서 표면(11F)으로 향해서 오목한 오목부이면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X방향을 따라서 병설되는 복수의 오목부에 의해서, 1개의 박육부가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thin portion 23 may not be the bottom of the first groove 11a extending along the X direction, or may be the bottom of each recess in a plurality of recesses positioned at intervals along the X direction. . Each recessed part may be a recessed part concave toward the front surface 11R at the surface 11F of the flange part 11, or a recessed part concave toward the surface 11F at the rear surface 11R. In this structure, one thin part is comprised by the some recessed part provided along the X direction.

요점은, 상술한 박육부는 이 박육부가 가지는 두께의 평균값이 접속부가 가지는 두께의 평균값보다도 작고, 수지 힌지로서 기능하는 구성이면 좋다. 예를 들면, 1개의 박육부가 복수의 오목부로 구성될 때에는, 박육부 내에 접속부보다도 두꺼운 부분이 포함되어도 좋고, 표면(11F)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각 오목부가 구획하는 영역이 직사각형상을 가져도 좋고, 원형상을 가져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박육부를 기점으로 하여 플랜지부(11)가 변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술한 (1)과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oint is that the above-described thin part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thin part is small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art and functions as a resin hinge. For example, when one thin part consists of a some recessed part, the part thicker than a connection part may be included in the thin part, and the area | region which each recess part partitions in planar view facing the surface 11F is rectangular. You may have it and may have a circular shape. Even in such a structure, since the flange part 11 becomes easy to deform | transform from a thin part as a starting point, the effect equivalent to (1) mentioned above can be acquired.

·제 2 박육부(24)는 제 1 박육부(23)와 마찬가지로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홈(11b)의 저부가 아니어도 좋고, 예를 들면 X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오목부에 있어서, 각 오목부의 저부여도 좋다.The second thin portion 24 may not be the bottom portion of the second groove 11b extending along the X direction similarly to the first thin portion 23, and for example, a plurality of second thin portions 24 spaced apart along the X direction. In the recess, the bottom of each recess may be sufficient.

·제 1 박육부(23)는 X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전체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고, 적어도 제 1 접속부(21a)와 제 2 접속부(22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즉,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X방향을 따르는 제 1 박육부(23)의 길이가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기단에 있어서의 X방향을 따르는 길이와 같고, 또한 제 1 접속부(21a)와 제 2 접속부(22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적어도 걸어맞춤 다리부 간에 박육부가 위치하고 있으면, 플랜지부(11)가 걸어맞춤 다리부와 배수구멍의 걸어맞춤에 적절한 형상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 즉, 상술한 (1)과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first thin portion 23 may not be located substantially in the whole in the X direction, and may be located at least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a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a. That is,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1st thin part 23 along the X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length along the X direction in the base end of the 1st engagement leg part 12, and is also the 1st connection part 21a. )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a. Even in such a configuration, if the thin portion is located at least between the engaging legs, the flange 11 is easily deformed into a shape suitable for engaging the engaging legs and the drain hole. That is, the effect equivalent to (1) mentioned above can be acquired.

·제 2 박육부(24)는 제 1 박육부(23)와 마찬가지로 X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전체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고, 제 2 접속부(22a)와 플랜지부(11)의 단부(11E)의 사이에 있어서, X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The second thin portion 24 does not have to be located substantially in the entire X direction as with the first thin portion 23, and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a and the end portion 11E of the flange portion 11. In this case, it may be located at least in part in the X direction.

·배수 플러그(10)가 가지는 걸어맞춤 다리부의 개수는 상술한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플랜지부가 걸어맞춤 다리부 간의 전체에 박육부를 가지고 있으면, 상술한 (1)과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number of engaging leg portions of the drain plug 10 is not limited to the two described above, but may be three or more. Even in such a configuration, if the flange portion has a thin portion throughout the engaging legs, the same effect as in the above (1) can be obtained.

·배수 플러그(10)의 장착 대상은 리어게이트를 구성하는 차체 패널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트렁크 리드,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 등을 구성하는 차체 패널이어도 좋다. 배수 플러그(10)가 이러한 도어를 구성하는 차체 패널에 장착되었을 때에도, 배수 플러그(10)는 리어게이트를 구성하는 차체 패널에 장착되었을 때와 동등한 효과를 가진다.The mounting target of the drain plug 10 is not limited to the vehicle body panel constituting the rear gate, but may be, for example, the vehicle body panel constituting the trunk lid, the front door, the rear door, and the like. Even when the drain plug 10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panel constituting such a door, the drain plug 10 has an effect equivalent to that when the drain plug 10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panel constituting the rear gate.

·배수 플러그(10)는, 차체 패널에 형성된 배수구멍에 장착되는 플러그로서 뿐만 아니라, 다른 판부재에 배수 이외의 목적으로 형성된 관통구멍, 예를 들면 통기구멍 등에 장착되는 플러그로서 이용되어도 좋다.The drain plug 10 may be used not only as a plug attached to a drain hole formed in the vehicle body panel, but also as a plug attached to a through hole formed in another plate member for purposes other than drainage, for example, a vent hole.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로부터 도출되는 기술적 사상을 부기한다.The technical idea derived from the said embodiment and modification is added.

〈부기 1〉<Book 1>

피장착부가 가지는 관통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플랜지부와,A flange portion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through hole of the mounted portion;

상기 플랜지부의 이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를 구비하는 플러그로서,A plug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legs extending from a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engaged with a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through hole,

상기 각 걸어맞춤 다리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이면에 있어서 별개의 위치에서 연장되고,Each engaging leg portion extends at a separate posi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 내에서 상기 각 걸어맞춤 다리부가 접속하는 부분인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보다도 두께가 얇으며 적어도 상기 접속부 간에 위치하는 박육부를 포함하는 플러그.And the flange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to which the respective engaging legs are connected in the flange portion, and a thin portion thinner than the connecting portion and located at least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부기 2〉<Book 2>

피장착부가 가지는 관통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플랜지부와,A flange portion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through hole of the mounted portion;

상기 플랜지부의 이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를 구비하는 플러그로서,A plug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legs extending from a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engaged with a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through hole,

상기 각 걸어맞춤 다리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이면에 있어서 별개의 위치에서 연장되고,Each engaging leg portion extends at a separate posi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상기 플랜지부에서는, 상기 플랜지부 내에서 상기 각 걸어맞춤 다리부가 접속하는 부분인 접속부의 두께의 평균값이 상기 접속부 간에 있어서의 두께의 평균값보다도 두꺼운 플러그.The said flange part is a plug in which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art which is the part which each said engagement leg part connects in the said flange part is thick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between the said connection parts.

상기 각 부기에 의하면, 접속부 간을 절곡위치로 함으로써 플랜지부가 구부러지기 쉽다. 결과적으로,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걸어맞춤 다리부의 걸어맞춤에 적절한 형상으로 플랜지부가 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걸어맞춤 다리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 있어서,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플랜지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 나아가서는 배수구멍과 플랜지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bookkeeping, the flange portion tends to bend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placed in the bent position. As a result, the flange portion is easily deformed into a shape suitable for engaging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and the engaging leg portion of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drain hole in the state where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and the engaging leg portion of the drain hole are engaged. It is suppressed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and further,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drainage hole and the flange portion.

10 : 배수 플러그 11 : 플랜지부
11a : 제 1 홈 11b : 제 2 홈
11c : 제 3 홈 11d : 오목부
11E : 단부 11F : 표면
11R : 이면 12 : 제 1 걸어맞춤 다리부
13 : 제 2 걸어맞춤 다리부 13a : 걸어맞춤 돌출부
13b : 두께 경감부 21 : 제 1 후육부
21a : 제 1 접속부 22 : 제 2 후육부
22a : 제 2 접속부 23 : 제 1 박육부
24 : 제 2 박육부 25 : 제 3 후육부
30, 40 : 차체 패널 30a, 40a : 용접부
31, 41 : 내측 패널 31a, 41a : 배수구멍
31b, 41b : 피장착부 31b1, 41b1 : 둘레 가장자리부
32, 42 : 외측 패널
10 drain plug 11 flange portion
11a: first groove 11b: second groove
11c: third groove 11d: recess
11E: End 11F: Surface
11R: Back side 12: 1st engagement leg part
13: second engagement leg portion 13a: engagement protrusion
13b: thickness reduction portion 21: first thick portion
21a: first connection portion 22: second thick portion
22a: 2nd connection part 23: 1st thin part
24: 2nd thin part 25: 3rd thick part
30, 40: body panel 30a, 40a: welded portion
31, 41: inner panel 31a, 41a: drain hole
31b, 41b: Mounted part 31b1, 41b1: Peripheral edge part
32, 42: outer panel

Claims (7)

피장착부가 가지는 배수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이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를 구비하는 배수 플러그로서,
상기 각 걸어맞춤 다리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이면에 있어서 별개의 위치에서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 내에서 상기 각 걸어맞춤 다리부가 접속하는 부분인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보다도 두께가 얇으며 적어도 상기 접속부 간에 위치하는 박육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육부는 홈의 저부이며, 상기 홈이 1개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플러그.
A flange portion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drainage hole of the mounted portion,
A drain plug extending from a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legs engaged with a peripheral edge of the drain hole;
Each engaging leg portion extends at a separate posi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The flange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to which the respective engaging legs are connected in the flange portion, and a thin portion thinner than the connecting portion and located at least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And the thin portion is a bottom of the groove, wherein the groove extends along one direc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는 제 1 걸어맞춤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 내에서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가 접속하는 부분인 제 1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는 상기 제 1 접속부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로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가 상기 배수구멍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사이에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플러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engaging legs comprises a first engaging legs,
The flange portion has a first connection portion that is a portion to which the first engagement leg portion connects in the flange portion,
The first engagement leg portion extends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oward the end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and when the first engagement le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the first engagement leg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are drained out. A drain plug characterized by sandwiching a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hole.
삭제dele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에 상기 배수구멍으로 통하는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플러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nd the flange portion has a concave portion leading to the drain hole at an end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이면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박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플러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nd the flange portion has a thin portion locat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ortions and an end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in a plan view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이면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박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플러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nd the flange portion has a thin portion locat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ortions and an end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in a plan view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KR1020180022987A 2017-02-28 2018-02-26 Drain plug KR10202122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36246 2017-02-28
JP2017036246A JP2018141526A (en) 2017-02-28 2017-02-28 Drain pl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527A KR20180099527A (en) 2018-09-05
KR102021228B1 true KR102021228B1 (en) 2019-09-11

Family

ID=6352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987A KR102021228B1 (en) 2017-02-28 2018-02-26 Drain plu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8141526A (en)
KR (1) KR1020212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1762B2 (en) * 2019-03-20 2022-09-0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hole plug
CN111746428B (en) * 2020-07-08 2022-04-01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Drainage mechanism for side door of automobi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2109A1 (en) * 1984-11-17 1986-05-22 Itw-Ateco Gmbh, 2000 Norderstedt COVERAGE FOR CLOSING SHEET OPENING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4311A (en) 1976-12-15 1978-07-01 Iwatsu Electric Co Ltd Facsimile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2109A1 (en) * 1984-11-17 1986-05-22 Itw-Ateco Gmbh, 2000 Norderstedt COVERAGE FOR CLOSING SHEET OPEN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527A (en) 2018-09-05
JP2018141526A (en)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4302B2 (en) Antenna unit
US9120509B2 (en) Hole plug
KR102021228B1 (en) Drain plug
JP6214335B2 (en) Hole plug
US9359010B2 (en) Cowl-top cover
KR20140001247A (en) Grommet
CN104428078A (en) Method for bending composite sheet and bent composite sheet
US8485593B2 (en) Drain plug
US10087795B2 (en) Sealing-equipped oil pan
JP6536154B2 (en) Fixed structure of glass run
JP6947628B2 (en) Hole plug mounting structure
JP5035776B2 (en) Resin panel
JP6010516B2 (en) Automotive lining panel
CN113474970B (en) Sound insulation equipment for machine
US10857954B1 (en) Clip assemblies
US11608893B2 (en) Light weight hole plug
JP6795366B2 (en) plug
JP5911790B2 (en) Hole plug
KR10172925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one-piece side members using currying matallic mold and currying matallic mold of integral side members
US1022043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channel
JP6080558B2 (en) Hole plug
JP6054703B2 (en) Assembly structure of hollow parts
JP6008922B2 (en) Cap member
CN220262722U (en) Bumper assembly and vehicle
JP5759812B2 (en) Cover connection structure and cover conn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